KR102436977B1 - 와이어링 정리 클립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정리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977B1
KR102436977B1 KR1020200142688A KR20200142688A KR102436977B1 KR 102436977 B1 KR102436977 B1 KR 102436977B1 KR 1020200142688 A KR1020200142688 A KR 1020200142688A KR 20200142688 A KR20200142688 A KR 20200142688A KR 102436977 B1 KR102436977 B1 KR 10243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ring
central axis
fixing part
cr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729A (ko
Inventor
권정은
하태진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9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링 정리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정리 클립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단이 회전되는 다수의 제 1고정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다수의 제 1고정부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제 2고정부, 상기 다수의 제 1고정부 끝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교차부 및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2고정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교차부의 측면에 인접하는 제 2교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고정부 및 제 2고정부가 서로 접하여 이루는 폐 공간에 와이어링이 위치하고, 상기 제 1교차부 및 제 2교차부가 서로 교호되어 형성되는 내측에 시트 프레임과 체결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링 정리 클립{Clip for Arrangement of Seat Wiring}
본 발명은 와이어링 정리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하나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와이어링과 시트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에 관한 것이다.
시트에 위치하는 열선, 통풍 블로워 및 디스플레이 등 최근에는 시트 내측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수의 전자 기기들이 내장되어 출하되고 있다.
다수의 전자 기기들을 포함하는 시트에는 시트 커버링 내측에 위치하는 와이어링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들로 전력을 인가하고 있다. 이에, 시트 내측에 위치하는 와이어링을 정리하기 위해서 파스너에 와이어링을 고정한 이후 시트 프레임에 호그링 작업을 수행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다만, 호그링 작업을 수행한 와이어링 고정장치는 오 체결에 따른 재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와이어링 고정장치를 파손하여 새로운 와이어링 고정장치를 통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하나의 체결 고정상 두 번의 고정작업을 포함하고 있어 공정상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차량의 출고 이후에도 사후 정비를 수행하는 경우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바, 재작업 시간 및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원인이 되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48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시트 프레임과 와이어링을 일체로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이 용이하고, 해제가 가능한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와이어링 정리 클립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와이어링 정리 클립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단이 회전되는 다수의 제 1고정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다수의 제 1고정부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제 2고정부; 상기 다수의 제 1고정부 끝단에 위치하는 제 1교차부; 및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2고정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교차부의 측면에 인접하는 제 2교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고정부 및 제 2고정부가 서로 접하여 이루는 폐 공간에 와이어링이 위치하고, 상기 제 1교차부 및 제 2교차부가 서로 교호되어 형성되는 내측에 시트 프레임과 체결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곡률을 갖고, 상기 제 1교차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곡률을 갖고, 상기 제 2교차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교차부는 상기 제 2교차부 사이로 억지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교차부의 끝단과 상기 제 2교차부의 끝단은 높이 방향으로 오버랩 구간을 포함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 1고정부에 고정되는 걸림부; 및 상기 제 1고정부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교차부의 끝단 또는 제 2교차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 프레임과 와이어링에 일체로 체결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하여 공정의 단순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과 해제가 가능한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제공하여, 정비상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오결합시 재작업이 가능한 와이어링 정리 클립을 통해 경제성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와이어링 정리 클립이 위치하는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와이어링 정리 클립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와이어링 정리 클립이 체결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와이어링 정리 클립이 체결된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방향으로서 중심축이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높이 방향, 중심축과 동일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기재하는 것으로, 그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링(300) 정리 클립(100)에 관한 것으로, 시트 내측 프레임과 체결되고, 시트 내측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링(300)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 와이어링(300)은 시트에 위치하는 전자기기와 체결되어 차체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전자기기는 시트의 구동을 수행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바, 시트의 위치 제어를 위한 모터, 시트 레일상의 이동을 위한 구동부, 통풍을 수행하기 위한 블로어, 시트에 배설되는 열선 등 전력이 요구되는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링(300) 정리 클립(100)이 체결되는 타단은 시트 프레임(200)으로 기재되는바, 시트 프레임(200)은 쿠션 프레임, 시트백 프레임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바, 와이어링(300)이 위치하는 시트를 구성하는 모든 프레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쿠션 프레임에 체결되는 와이어링(300) 정리 클립(100)의 결합도를 도시하고 있다.
와이어링(300)은 차체로부터 시트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와이어링(300) 정리 클립(100)에 의해 와이어링(300)과 시트 프레임(200)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트 프레임(200)은 쿠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링(300) 정리 클립(100)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제 1고정부(110), 제 2고정부(1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고정부(110) 및 제 2고정부(13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중심축과 멀리 떨어진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제 1고정부(110) 및 제 2고정부(130)의 결합을 통해 폐 공간(15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바, 폐 공간(150) 내측에는 와이어링(30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제 1고정부(110)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 1교차부(120) 및 제 2고정부(13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교차부(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는 시트 프레임(200)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는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 1고정부(110)와 제 2고정부(130)의 끝단은 서로 중첩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는 서로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와이어링(300) 정리 클립(1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 1고정부(110)와 제 2고정부(130)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중심축을 포함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 1고정부(110)와 제 2고정부(130)는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회전되어 체결되는바 제 1고정부(110) 내측면과 제 2고정부(130) 내측면을 따라 폐 공간(150)을 형성한다.
제 1교차부(120)는 제 1고정부(110)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구성되고, 제 2고정부(130)와 제 2교차부(140)는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교호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제 1고정부(110)의 끝단과 제 2고정부(130)의 끝단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는 중심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교차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가 서로 마주하는 일면이 간섭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가 체결됨에 있어서 억지끼움 결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 1고정부(11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바,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구성되는 고정 로드가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제 1고정부(1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향 외측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원 형태의 측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립(1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제 2고정부(130)는 제 1고정부(110)와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제 2고정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높이 방향으로 중심축으로부터 제 2고정부(130)의 끝단보다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제 2교차부(140)를 포함한다. 제 2교차부(140)는 제 2고정부(130) 사이에 위치하고, 제 2고정부(130) 끝단보다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교차부(140)는 제 1교차부(120)의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체결되는바, 제 1교차부(120) 및 제 2교차부(140)가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곡률 형태를 갖는바,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는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각각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로 교차하여 위치하는 제 1교차부(120) 및 제 2교차부(140)는 한쌍으로 시트 프레임(200)과 체결되는 방향으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 1고정부(110)와 제 2고정부(130)가 체결되는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제 1고정부(110)의 끝단과 제 2고정부(130)의 끝단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더욱이, 제 1고정부(110)에는 고정홈(111)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 2고정부(130)의 끝단에 위치하는 걸림부(131)가 상기 고정부 홈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 1고정부(110)의 끝단과 제 2고정부(130) 끝단이 서로 체결되도록 위치되고, 제 1고정부(110)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고정홈(111)을 포함하며, 제 2고정부(130)의 끝단에 위치하는 걸림부(131)는 상기 제 2고정부(130)에 대응되는 제 1고정부(110)의 고정홈(111)에 각각 위치하여 제 2고정부(130)와 제 1고정부(110)가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걸림부(131)는 고정홈(111)의 개방된 높이 방향 일측과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고정홈(111)의 타측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131)에 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고정홈(111)으로부터 걸림부(131)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 2고정부(130)는 제 1고정부(110)의 고정홈(111) 내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장력 인가에 따라 제 1고정부(110)와 제 2고정부(130)의 고정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가 체결된 상태 클립(100)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고정부(110)와 제 2고정부(130)가 이루는 폐 공간(1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 1고정부(110)의 끝단을 따라 형성되는 제 1교차부(120), 제 2고정부(130)와 인접하여 중심축으로부터 제 1교차부(12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 2교차부(140)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제 1고정부(110)와 제 2고정부(130)가 형성하는 폐 공간(150) 하단에 제 1교차부(120) 및 제 2교차부(140)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는 중심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차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제 1교차부(120)의 곡률방향과 제 2교차부(140)의 곡률방향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좌우로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 1고정부(110) 및 제 2고정부(130)는 서로 동일한 곡률 반지름을 갖도록 반원 형태로 구성되고, 제 1고정부(110)와 제 2고정부(130)가 체결된 상태에서 폐 공간(150)에는 원형의 내측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는 서로 상이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교차부(120)의 곡률반경은 제 2교차부(140)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반지름을 갖도록 구성되는 반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반지름을 갖도록 구성되는 제 1교차부(120) 및 제 2교차부(140)를 통해서 시트 프레임(200)의 두께에 대응하여 범용성이 높은 체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포함하는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의 일부는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 되는 영역을 포함하는바, 제 1교차부(120) 내측면과 제 2교차부(140) 내측면으로 인입된 시트 프레임(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교차부(120)와 제 2교차부(140)의 끝단에는 시트 프레임(200)이 위치하는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160)는 제 1교차부(120) 또는 제 2교차부(140)의 끝단에 위치하고,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바, 시트 프레임(200)과 클립(100) 사이의 진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클립
110: 제 1고정부
111: 고정홈
120: 제 1교차부
130: 제 2고정부
131: 걸림부
140: 제 2교차부
150: 폐 공간
160: 돌출부
200: 시트 프레임
300: 와이어링

Claims (7)

  1.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단이 회전되는 다수의 제 1고정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단에 위치하여 상기 다수의 제 1고정부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제 2고정부;
    상기 다수의 제 1고정부 끝단에 위치하는 제 1교차부; 및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의 제 2고정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교차부의 측면에 인접하는 제 2교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고정부 및 제 2고정부가 서로 접하여 이루는 폐 공간에 와이어링이 위치하고, 상기 제 1교차부 및 제 2교차부가 서로 교호되어 형성되는 내측에 시트 프레임과 체결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곡률을 갖고, 상기 제 1교차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곡률을 갖고, 상기 제 2교차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교차부의 끝단과 상기 제 2교차부의 끝단은 높이 방향으로 오버랩 구간을 포함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 1고정부에 고정되는 걸림부; 및
    상기 제 1고정부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교차부의 끝단 또는 제 2교차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링 정리 클립.

KR1020200142688A 2020-10-30 2020-10-30 와이어링 정리 클립 KR10243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88A KR102436977B1 (ko) 2020-10-30 2020-10-30 와이어링 정리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88A KR102436977B1 (ko) 2020-10-30 2020-10-30 와이어링 정리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29A KR20220057729A (ko) 2022-05-09
KR102436977B1 true KR102436977B1 (ko) 2022-08-26

Family

ID=8158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688A KR102436977B1 (ko) 2020-10-30 2020-10-30 와이어링 정리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9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7126A (ja) 2016-09-23 2018-03-29 アトムメディカル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の固定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1283A (ko) * 1996-07-31 1998-04-30 김영귀 호스 체결용 클립
DE19922856A1 (de) * 1998-09-15 2000-03-16 Daume Karin Einrichtung zum elektrisch leitenden Kontaktieren eines elektrisch leitenden Teiles eines insbesondere länglichen, beispielsweise im wesentlichen zylindrischen Körpers, beispielsweise eines Rohres oder eines Kabels
KR100514842B1 (ko) 2002-11-21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선 고정클립
KR100993116B1 (ko) * 2009-02-02 2010-11-08 임시정 내충격 관체용 벨 클립식 체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7126A (ja) 2016-09-23 2018-03-29 アトムメディカル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の固定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29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5512B2 (ja) エレベーターのシーブ支持装置
KR101325670B1 (ko) 시공이 용이한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JP6800289B2 (ja) 耐震用ケーブルトレイハンガー装置
KR102436977B1 (ko) 와이어링 정리 클립
JP5789717B2 (ja) 伝送ライン用スリーブの支持モジュール
JP6562538B2 (ja) デスク装置
JP2007139027A (ja) クランプ
JP4912662B2 (ja) 家具・器物の転倒防止固定具及び転倒防止固定方法
JP6804714B2 (ja) 耐震用軽量鉄骨フレームの構造
JPH07269011A (ja) 巡回可能な吊り天井
KR101183896B1 (ko)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
US20160114740A1 (en) Fixture for a vehicle
JP3483498B2 (ja) 免震手摺
JP3673780B2 (ja) ラック用連結部材
WO2015040700A1 (ja) 蓋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フロアパネル
KR200493092Y1 (ko) 키오스크용 디스플레이 프레임 조립체
JP6830033B2 (ja) 天井構造及び施工方法
KR102093701B1 (ko) 와이어링 간격유지 장치
WO2020179175A1 (ja) ワイヤハーネスモジュール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JP3241232U (ja) 防音装置
JP6888979B2 (ja) 連結構造体
JP2652797B2 (ja) 車輌用シート等のバネ構造
JP6249566B2 (ja) 建物組込型機械式駐車装置
JP3190935U (ja) 卓子構造および卓子用連結具
KR200143116Y1 (ko) 자동차용 호스류 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