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777B1 -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777B1
KR102436777B1 KR1020197000750A KR20197000750A KR102436777B1 KR 102436777 B1 KR102436777 B1 KR 102436777B1 KR 1020197000750 A KR1020197000750 A KR 1020197000750A KR 20197000750 A KR20197000750 A KR 20197000750A KR 102436777 B1 KR102436777 B1 KR 102436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phenol
condensation product
halogen
carbonyl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581A (ko
Inventor
소움야뎁 고쉬
헤망 다르지
프랑코 엔리코 스페로니
토마스 바라우드
Original Assignee
퍼포먼스 폴리아미드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포먼스 폴리아미드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퍼포먼스 폴리아미드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2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8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L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J24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8J2461/0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with monohydric phenols
    • C08J2461/10Phenol-formaldehyde 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J24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8J2461/1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with polyhydric phen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과 블렌딩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 및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액체를 수용, 저장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본 출원은 2016년 7월 13일에 출원된 인도 가출원번호 IN20162102398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러한 출원의 전체 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하여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과 블렌딩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 및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액체를 수용, 저장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기반 열가소성 조성물은 특히, 다양한 성형 공정을 통해 플라스틱 물품 및 부품으로 전환될 수 있는 원료이다.
폴리아미드는 할로겐-함유 산화제, 예를 들어, 이원자 할로겐, 할로겐 산화물, 할로겐 라디칼, 할로겐 아민 및/또는 할로겐 옥소음이온 염 또는 그들의 전구체에 대한, 특히,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에 대한 불량한 내성을 갖는다. 이러한 것들은 몇 시간 동안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과 접촉된 후 힘을 잃게 되며, 표면 양상(surface aspect)의 중대한 열화는 폴리아미드로 제조된 물품의 표면에서 일어난다.
많은 활용 분야에서, 이는 높은 기계적 성질 및 또한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물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드러나게 할 수 있다. 응용으로서, 특히, 배관 분야에서 파이프 및 탱크가 언급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응용에서, 특히, 배관 분야에서, 폴리아미드에 가해진 온도를 고려하여,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양호한 내성을 가지고 이러한 응용에 대한 사양을 충족할 수 있게 만드는, 특히 통상적인 폴리아미드를 기초로 한 포뮬레이션(formulation)을 발견하는 것이 어렵다.
본 출원인은 완전히 놀랍게도, 폴리아미드-기반 조성물에서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의 사용이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이의 내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대상은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과 블렌딩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의 기계적 성질, 특히, 염소처리수(chlorinated water)에서 에이징시킨 후 인장 강도 유지(tensile strength retention)를 개선하기 위해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보다 높은 내성, 특히, 염소처리 수에서 에이징시킨 후 개선된 인장 강도 유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 및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 및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액체를 수용, 저장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임의의 특허, 특허 출원, 및 공개문의 개시내용이 용어가 불명확하게 제공될 수 있는 정도까지 본 출원의 설명과 상충되는 경우에, 본 설명이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세부사항 및 장점은 하기의 설명을 읽을 때 더욱 더 충분히 나타날 것이다.
정의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용어 "하나를 포함하는(comprising one)"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용어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과 동의어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내지(between)"는 한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및/또는"은 의미 "및", "또는" 및 또한 이러한 용어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다른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임의의 범위의 농도의 특정 시에, 임의의 특정의 상한 농도가 임의의 특정의 하한 농도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연속되는 설명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한계치에서의 값이 제공되는 값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이 명시된다.
용어 "방향족 기"는 방향족 탄화수소 기 및/또는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기를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기는 산소, 질소, 또는 황을 함유한 기(예를 들어, 푸란, 피라졸 또는 티아졸로부터 유도된 그러한 기)를 포함한다. 방향족 기는 모노시클릭(예를 들어, 벤젠에서와 같이), 바이시클릭(예를 들어, 나프탈렌에서와 같이), 또는 폴리시클릭(예를 들어, 안트라센에서와 같이)일 수 있다. 모노시클릭 방향족 기는 5원 고리(예를 들어, 피롤로부터 유도된 5원 고리) 또는 6원 고리(예를 들어, 피리딘으로부터 유도된 6원 고리)를 포함한다. 방향족 기는 이의 연결 결합을 공유하는 고리를 포함하는 융합된 방향족 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로서, 반결정질 또는 비정질 (코)폴리아미드, 즉,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지방족 폴리아미드, 세미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더욱 일반적으로, 포화된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산과 포화된 지방족 또는 방향족 1차 디아민 간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선형 폴리아미드, 락탐 또는 아미노산의 축합에 의해 수득된 폴리아미드, 또는 이러한 다양한 모노머들의 혼합물의 축합에 의해 수득된 선형 폴리아미드가 언급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이러한 코폴리아미드는 예를 들어,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으로부터 수득된 폴리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산,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카프롤락탐으로부터 수득된 코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폴리아미드는
-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이산과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아민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폴리아미드,
-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자체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폴리아미드로서, 아미노산이 바람직하게, 락탐 고리의 열림(opening)에 의해 생성된 오메가 아미노산인 폴리아미드, 또는
- 상기 이산, 디아민 및/또는 아미노산의 조합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코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중축합에서 사용되는 이산, 디아민 및/또는 아미노산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는 2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바람직하게, 하기와 같은 (코)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7,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0,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9, 폴리아미드 5.10,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14, 폴리아미드 10.10, 폴리아미드 10.12, 폴리아미드 10.14, 폴리아미드 10.18, 폴리아미드 12.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18, 폴리아미드 6.36,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6.6/6.T, 폴리아미드 6.6/MPMD.T, (MPMD = 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폴리아미드 6.6/6.I 및 이러한 폴리아미드를 기반으로 한 블렌드 및 공중합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특히 상기 폴리아미드로부터 유도된 코폴리아미드, 또는 이러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아미드에는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 폴리카프롤락탐, 또는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와 폴리카프롤락탐의 공중합체 및 블렌드가 있다.
분자량이 사출-성형 공정에 적합하고, 예를 들어, 표준(standard) ISO 307에 따라 80 내지 200 ㎖/g, 및 가장 바람직하게, 100 내지 160 ㎖/g의 점도 지수(VI)를 갖는 폴리아미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더 낮은 점도의 폴리아미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특히, 스타(star)-형상 또는 H-형상의 거대분자 사슬 및 적절한 경우에, 선형의 거대분자 사슬을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스타-형상 또는 H-형상의 거대분자 사슬을 포함하는 중합체는 예를 들어, 문헌 FR 2743077호, FR 2779730호, US 5959069호, EP 0632703호, EP 0682057호 및 EP 0832149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는 랜덤 트리 타입(random tree type)의 중합체, 바람직하게, 랜덤 트리 구조를 갖는 코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랜덤 트리 구조의 이러한 코폴리아미드 및 이를 수득하는 공정은 특히, 문헌 WO 99/03909호에 기술되어 있다. 폴리아미드는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선형 열가소성 중합체 및 스타-형상, H-형상 및/또는 트리-타입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렌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문헌 WO 00/68298호에 기술된 것들의 타입의 과분지된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선형, 스타-형상, H-형상 및 트리-타입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과분지된 코폴리아미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30 중량% 내지 90 중량%의 폴리아미드를 함유한다.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은 바람직하게, 페놀-알데히드 축합 산물 및 페놀-케톤 축합 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페놀-알데히드 또는 페놀-케톤 축합 산물은 알데히드 또는 케톤과 페놀성 화합물의 축합 산물;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알데히드 및/또는 하나의 케톤과 적어도 하나의 페놀성 화합물의 축합 산물이다. 이러한 축합 반응은 일반적으로 산 또는 염기로 촉매화된다.
페놀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페놀, 크레졸, 자일레놀, 나프톨, 알킬페놀, 예를 들어, 부틸페놀, 3차-부틸페놀, 이소옥틸페놀, 니트로페놀, 페닐페놀, 레소르시놀 또는 비스페놀 A; 또는 임의의 다른 치환된 페놀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알데히드는 포름알데히드이다. 그러나, 아세트알데히드, 파라-포름알데히드(폴리옥시메틸렌), 부티르알데히드, 크로톤알데히드, 글리콕살 및 푸르푸랄과 같은 다른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케톤으로서,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아세토페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페놀-알데히드 축합 산물은 페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 산물이다.
바람직하게,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은 노볼락 수지 또는 레졸 수지이다.
노볼락은 1 미만의 페놀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몰 비율을 갖는 페놀-포름알데히드이다. 중합은 옥살산, 염산 또는 설포네이트 산과 같은 산-촉매작용을 이용하여 완료된다. 페놀 단위는 주로 메틸렌 및/또는 에테르 기에 의해 연결된다.
레졸은 1 초과(대개 대략 1.5)의 페놀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비율로 제조된 염기-촉매화된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이다. 페놀, 포름알데히드, 물, 및 촉매는 대개 형성되는 수지에 따라, 요망되는 양으로 혼합되고, 이후에, 가열된다. 대략 70℃에서, 반응의 제1 부분은 히드록시메틸 및 벤질 에테르 기가 풍부한, 진한 적갈색의 점착성 물질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의 노볼락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은 일반적으로, 2 내지 15의 축합도(degree of condensation)를 갖는다. 노볼락 수지는 바람직하게, 2 내지 15의 축합도를 갖는다.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은 500 내지 10000 g/mol, 바람직하게, 500 내지 3000 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또는 문헌[Determination of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s of Novolac Resins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R. Dargaville et al., 1996]에 잘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기술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사용되는 노볼락 수지는 유리하게, 500 내지 3000 g/mol, 바람직하게, 800 내지 2000 g/mol에 포함되는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상업적 노볼락 수지로서, 특히, 상품 Durez®, Vulkadur®, Rhenosin® 또는 Nowolac®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및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 1 중량% 내지 20 중량%, 특히,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및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의 총 중량에 대해 70 중량%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 80 중량% 내지 99 중량%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와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의 블렌딩(blending)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여러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 특히, 기계적 믹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와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의 건식 블렌딩(dry blending), 고체 혼합물은 이후에, 예를 들어, 압출 공정을 통해 용융됨.
- 특히, 폴리아미드의 압출 단계 동안 용융 배합에 의해, 용융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과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의 블렌딩. Bradender 기계 상에서 또는 2-롤 밀(two-roll mill)을 이용하여 배치-혼합하는 다른 용융-배합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
- 용매 매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와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의 블렌딩.
- 미세 분말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과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의 건식 블렌딩 및 용융-압축 성형에 의해 단일 부분으로서 이의 압밀.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특히, 매트릭스(matrix)로서, 특히, 과립화, 캘린더링(calendering), 주입, 성형(molding), 사출 성형 또는 프레싱(pressing)을 통해 사용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방울(drop), 프리즘(prism), 평행 육면체, 실린더형 또는 패드 형태의, 모든 구형, 평면 또는 난형 형상의 과립, 칩, 펠렛, 잉곳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물질이 실질적으로 구형 또는 타원체 펠렛의 형태를 가질 때,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특허 US 2918701호 및 US 3749539호 또는 그밖에 특허 출원 US 2005/003548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중 절단 공정(underwater cutting process)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구멍(hole)이 제공되고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매트릭스가 공급되고 전술된 바와 같은 충전제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다이 헤드(die head)를 이용한다. 수중 다이 헤드에는 회전식 나이프-홀더가 제공되며, 이의 블레이드는 다이 구멍으로부터 나오는 용융된 물질을 절단하며, 절단 헤드가 액침된 수욕(water bath)은 형성된 펠렛의 신속한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기에 적어도 보강 충전제, 예를 들어, 섬유성 또는 비-섬유성 충전제, 바람직하게,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유리 비드, 아라미드 섬유, 클레이, 카올린, 운모, 규회석, 실리카, 탈크, 흑연, 칼슘 카르보네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실리콘 카바이드 및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보강 충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보강 및/또는 팽화 충전제의 도입 수준은 복합 물질의 분야에서의 표준(standard)에 따른다. 이는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80%, 바람직하게, 10 내지 70%, 및 특히, 20 내지 60% 양의 충전제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중합체,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ABS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강인화제, 예를 들어, 작용화된 폴리올레핀 또는 고무, 열 안정제, UV 안정제, 사슬 연장제, 윤활제, 가공 보조제, 안료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대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이러한 충전제 및 첨가제는 예를 들어, 중합 동안 또는 용융 혼합물로서, 각 충전제 또는 첨가제에 적합한 통상적인 수단을 통해 폴리아미드에 첨가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은 할로겐-함유 산화제, 예를 들어, 이원자 할로겐, 할로겐 라디칼, 할로겐 산화물, 할로겐 아민 및/또는 할로겐 옥소음이온 염 또는 이의 전구체에 노출 후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기계적 성질 및 표면 양상을 유지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는 또한 표면으로부터 물질의 부식으로 인한 치수 변화, 부식된 제품으로부터의 물 오염, 흐름 성질에 영향을 미치고 박테리아 성장을 증진시키는 표면 거칠기 증가, 및 변색에 대한 내성에 관한 것이다. 이는 또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개선된 인장 강도 유지에 관한 것이다.
산화제는 다른 물질을 산화시켜서 전자를 잃게 하는 능력을 갖는 물질을 지칭한다. 폴리아미드의 상황에서, 산화제는 대개 폴리아미드 사슬 변형, 기계적 성질의 저하를 야기시키며, 표면 양상의 중대한 열화가 폴리아미드로 제조된 물품의 표면에서 일어난다.
할로겐-함유 산화제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산화제를 지칭한다.
전구체는 폴리아미드 매트릭스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특히 불균형 반응(disproportionation reaction)에 의해, 폴리아미드와 접촉 시에, 이원자 할로겐, 할로겐 라디칼, 할로겐 산화물, 할로겐 아민 및/또는 할로겐 옥소음이온 염을 생성시킬 수 있는 분자를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할로겐-함유 산화제는 유기 또는 무기일 수 있다.
이원자 할로겐에는, 특히, I2, Br2 및 Cl2가 있다. 이원자 할로겐의 전구체는, 특히, NaCl, NaBr, 및 NaI와 같은 이의 이온성 염이다.
할로겐 라디칼은 플루오린 라디칼, 클로린 라디칼, 브롬 라디칼, 또는 아이오딘 라디칼일 수 있다. 이러한 라디칼은 또한 할로겐 산화물 라디칼, 예를 들어, FO*, ClO*, BrO* 또는 IO*로서 존재할 수 있거나, 할로게네이트 라디칼(halogenate radical)(ClO3 *, BrO3 * 또는 IO3 *), 또는 이산화염소, 이산화브롬 또는 이산화요오드 라디칼일 수 있다.
할로겐 산화물에는 특히, ClO2, BrO2, IO2, 및 I2O5가 있다. 할로겐 산화물의 전구체는 특히, 차아할로겐산염(hypohalogenite) 및 상응하는 이원자 할로겐이다.
할로겐 옥소음이온 염은 특히, 하기 기술된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 퍼할로게네이트(perhalogenate)(산화 상태 +7): 예를 들어, 퍼클로레이트(ClO- 4), 퍼브로메이트(BrO- 4), 및 퍼아이오데이트(IO- 4);
- 할로게네이트(halogenate)(산화 상태 +5): 예를 들어, 클로레이트(ClO- 3), 브로메이트(BrO- 3), 및 아이오데이트(IO- 3);
- 할로게나이트(Halogenite)(산화 상태 +3): 예를 들어, 클로라이트(ClO- 2), 및 브로마이트(BrO- 2); 및
- 차아할로겐산염(산화 상태 +1):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염(ClO-) 및 차아브롬산염(BrO-)
바람직하게, 할로겐 옥소음이온 염은 알칼리 금속 할로겐 옥소음이온 염이며; 여기서, 알칼리 금속은 주기율표의 1족에서 확인되는 화학 원소이다. 알칼리 금속은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및 프란슘을 포함한다. 할로겐 옥소음이온 염은 또한, 알칼리 토금속 할로겐 옥소음이온 염일 수 있으며; 여기서, 알칼리 토금속은 주기율표의 2족에서 확인되는 화학 원소, 예를 들어, 칼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나트륨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할로겐 옥소음이온 염의 전구체는 특히, 금속 히드록사이드 용액과 반응하는 이원자 할로겐이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은 또한, 수성 매질에서의 클로라민의 분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할로겐-함유 산화제는 또한, 할로겐 아민, 예를 들어, 모노클로로아민, 디클로로아민, 트리클로로아민 또는 오가노클로로아민, 예를 들어, N-클로로 토실아미드(클로라민-T)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할로겐-함유 산화제는 특히, 세정 및/또는 소독 성질을 갖는 표백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플라스틱 가공 분야에서,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사출/취입-성형에 의해, 압출에 의해 또는 압출/취입-성형에 의해 수득된 물품의 제조를 위해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트윈-스크류 압출 디바이스에서 로드(rod) 형태로 압출되며, 이는 이후에, 과립으로 절단된다. 성형된 부품들은 상기에서 생성된 과립을 용융시키고 용융된 조성물을 사출-성형 디바이스내에 공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 및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액체를 수용, 저장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할로겐-함유 산화제, 예를 들어, 이원자 할로겐, 할로겐 라디칼, 할로겐 산화물, 할로겐 아민 및/또는 할로겐 옥소음이온 염 또는 이의 전구체는 물 정제, 소독 및 표백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용해된 화학물질을 함유한 물은 염소 함유 화학물질로 정제된 식수, 수영장 물, 의료용 설비에서 소독을 위한 물, 직물 및 페이퍼 산업에서 표백 공정을 위한/이로부터의 물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으로서, 계량 장치, 드럼, 펌프, 파이프, 배관 조인트/커넥터, 밸브, 컨테이너, 저장소, 탱크, 용기, 병, 박스, 호스, 도관 및 튜브, 예를 들어, 예컨대, 냉각 튜브, 냉각수 하우징, 엔진 공기 가이드 호스, 오일 순환로용 호스가 언급될 수 있다. 상기 물품은 예를 들어, 계량 장치, 드럼, 펌프, 파이프, 컨테이너, 저장소, 탱크, 용기, 병, 박스, 호스, 도관 및 튜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물품은 사출 성형에 의해, 압출에 의해 또는 취입 성형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로부터 생성된다.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또한, 특히, 매트릭스로서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다른 조성물에 특정 성질, 특히, 레올로지 성질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또한, 큰 비율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히, 폴리아미드를 기초로 한, 다른 열가소성 조성물과 혼합되도록 의도되는 마스터배치(masterbatch)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정 언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언어의 사용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의 제한이 구상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질, 개선 및 개량은 특히, 당업자의 일반적인 지식을 기초로 하여 관련된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구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 및 장점은 하기 실시예에 비추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낼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는 오로지 명시된 목적을 위해 제공된 것이다.
실험 섹션
샘플 제조
1) 폴리아미드 PA-6,6(Solvay, Stabamid® 27AE1) 또는 PA-6,10(Solvay, Stabamid® 28CE2) 및 다양한 비율의 노볼락 수지(Nowolak® S, LERG S.A., Poland, 약 2000 g/mol의 Mw를 가짐)를 트윈-스크류 압출기(Coperion, ZSK-26 Mc+, 12 배럴, L/D 48)에서 용융 블렌딩하였다. 유리 섬유(Nippon Electric, Grade 03T-289H)를 또한, 압출기의 제7 배럴을 통해 조성물에 첨가하고, 카본 블랙을 안료로서 사용하였다.
2)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로드를 절단함으로써 펠렛을 수득하고, 이를 오븐에서 진공 하, 100℃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3) 압출된 펠렛을 사출 성형 기계(Sumitomo, SE75EV)를 이용하여 추가 연구를 위한 표준 막대(standard bar)(인장 시편, ISO 527)로 성형하였다.
4) 사출 성형된 막대를 TEFLON® 쓰레드(thread)를 이용하여 2 L 유리 반응기에 매닮으로써 사출 성형된 막대를 85℃에서 6.5 내지 7.0의 pH에서 25 ppm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에 노출하였다. 노출 동안, 수성 매질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요오드 적정(iodometric titration)에 의해 차아염소산염 농도의 측정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매질의 농도를 2시간 마다 조정하였다. 그날 마지막에, 가열을 끄고, 다음날 아침에 노출 실험을 새로운 용액을 사용하여 다시 시작하였다.
DSC 분석
상기 언급된 조건에서 140시간 동안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노출된 상이한 조성물의 샘플 막대의 열적 성질을 DSC(TA-instruments, DSC 20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을 위하여, 각 시험 막대의 일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소량의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샘플을 수집하고, 이를 진공 하, 100℃에서 건조시켰다. 샘플의 DSC를 0℃ 내지 280℃의 온도 범위에서 20℃/분으로 수행하였다. 제1 냉각 사이클 및 제2 가열 사이클은 물질의 용융(Tm) 및 결정화(Tc) 온도의 측정을 위해 고려되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9002687399-pct00001
노볼락에 의해 보호되지 않고 차아염소산염 용액으로 노출된 폴리아미드 막대의 표면이 층별로 분해되어, Tm/Tc의 감소를 초래함음을 나타낸다. 반대로, 노볼락에 의해 보호된 폴리아미드 막대는 더 높은 차아염소산염 내성을 가져서, 폴리아미드의 Tm 및 Tc를 실질적으로 유지시킨다.
시각적 관찰
85℃에서 25 ppm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노출된 시험 막대에 대한 관찰을 125배 배율의 광학 현미경(Zeiss, Stemi 2000C)을 이용하여,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현미경 사진을 기록하고, 폴리아미드 분해로 인한 표면 상의 유리 섬유의 노출 크기에 대하여 등급화하였다. 일정한 문턱값에서의 이원화(binarization) 및 노출된 유리 섬유로 인한, 백색 면적 백분율의 측정에 의해, 이미지 처리 및 분석 소프트웨어(ImageJ, NIH, USA)를 그레이-스케일 이미지(gray-scale image)에 대해 이용하였다. 수득된 숫자는 3개의 카테고리로 그룹화될 수 있다 - 하기 기준에 따라, 좋음(Good), 나쁨(Bad) 및 매우 나쁨(Very bad):
- 매우 나쁨: 면적 백분율 = 40% 이상
- 나쁨: 면적 백분율 = 20 초과 내지 40%
- 좋음: 면적 백분율 = 0 내지 20%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9002687399-pct00002
L * 값(명도 지수)
막대를 60℃에서 35, 75, 200 또는 325시간 동안 25 ppm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존재 하에서 시험하였다. 칼라 측정을 위한 분광광도계(Colour i7, X-Rite)의 샘플 홀더(0.6 cm의 개구) 상에, 표면 물을 건조시킨 후 노출된 막대를 배치시킴으로써 L* 값(백색도(whitening))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19002687399-pct00003
노볼락에 의해 보호되지 않고 차아염소산염 용액으로 노출된 폴리아미드 샘플 막대의 표면이 분해되어, 표면 상에 더 많은 양의 노출된 유리 섬유로 인하여 L* 값의 증가를 야기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노볼락에 의해 보호된 폴리아미드 막대는 L* 값의 증가가 낮을수록 더 높은 차아염소산염 내성을 갖는다.
NaOCl 소비율의 동력학 연구
상기에서 제조된 바와 같은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이용한 NaOCl 소비율의 동력학 연구를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각 조성물에 대해 4개의 사출 성형된 플레이트[50 mm×20 mm×2.5 mm]를 수욕에 배치된, 85℃에서의 550 ml의 25 ppm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을 함유한 원뿔 플라스크에 유지시켰다. 요오드 적정을 이용하여 플라스크로부터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분취액을 취함으로써 플라스크에서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9002687399-pct00004
종래 기술의 폴리아미드 조성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노볼락을 함유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경우에 NaOCl의 소비가 빠르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는 폴리아미드 분자와 반응할 수 있기 전에 노볼락의 존재가 물질의 표면에서 NaOCl의 농도를 감소함을 시사한다.
인장 강도 성질
막대를 상이한 온도 23℃ 및 85℃에서 염소처리 수의 존재 하에서 시험하였다. 5 ppm의 NaOCl(차아염소산나트륨), pH 7 및 온도에서 염소 수준을 조정하기 위해 물을 모니터링하였다. 이러한 제어된 환경에서 상이한 에이징 시간 후에 인장 측정을 통해 물질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5]
물 23℃/5 ppm [NaOCl]/pH 7
인장 강도(MPa)/시간(시)
Figure 112019002687399-pct00005
[표 6]
물 85℃/5 ppm [NaOCl]/pH 7
인장 강도(MPa)/시간(시)
Figure 112019002687399-pct00006
노볼락에 의해 보호되고 차아염소산염 용액에 노출된 폴리아미드 샘플 막대가 노볼락을 가지지 않은 막대와 비교하여 더 높은 인장 강도 유지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18)

  1. 폴리아미드를 적어도 하나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과 블렌딩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가 반결정질 또는 비정질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가
    -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이산(diacid)과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아민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폴리아미드,
    -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자체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폴리아미드로서, 여기서 아미노산이 락탐 고리의 열림(opening)에 의해 생성된 오메가 아미노산일 수 있는, 폴리아미드, 또는
    - 상기 이산, 디아민 및/또는 아미노산의 조합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코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중축합에서 사용되는 이산, 디아민 및/또는 아미노산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가 2개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7,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0,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9, 폴리아미드 5.10,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14, 폴리아미드 10.10, 폴리아미드 10.12, 폴리아미드 10.14, 폴리아미드 10.18, 폴리아미드 12.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18, 폴리아미드 6.36,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6.6/6.T, 폴리아미드 6.6/MPMD.T, 폴리아미드 66.6I 및 이러한 폴리아미드를 기반으로 한 블렌드 및 공중합체인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이 페놀-알데히드 축합 산물 및 페놀-케톤 축합 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이 500 내지 3000 g/mol으로 이루어진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이 노볼락 수지(novolac resin) 또는 레졸 수지(resole resin)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폴리아미드 및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폴리아미드 및 페놀-카르보닐 축합 산물의 총 중량에 대해 70 중량% 내지 99.9 중량%, 또는 80 중량% 내지 99 중량%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보강 충전제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유리 비드, 아라미드 섬유, 클레이, 카올린, 운모, 규회석, 실리카, 탈크, 흑연, 칼슘 카르보네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실리콘 카바이드 및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보강 및/또는 팽화 충전제(reinforcing and/or bulking filler)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강인화제, 작용화된 폴리올레핀 또는 고무, 열 안정제, UV 안정제, 사슬 연장제, 윤활제, 가공 보조제, 안료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97000750A 2016-07-13 2017-07-12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436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621023980 2016-07-13
IN201621023980 2016-07-13
PCT/EP2017/067595 WO2018011291A1 (en) 2016-07-13 2017-07-12 Method for increasing resistance to halogen-containing oxidizing agents of a polyamide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581A KR20190029581A (ko) 2019-03-20
KR102436777B1 true KR102436777B1 (ko) 2022-08-26

Family

ID=5938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750A KR102436777B1 (ko) 2016-07-13 2017-07-12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300708A1 (ko)
EP (1) EP3484946A1 (ko)
JP (1) JP7150695B2 (ko)
KR (1) KR102436777B1 (ko)
CN (1) CN109476850B (ko)
BR (1) BR112019000252B1 (ko)
WO (1) WO2018011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5689A (zh) * 2019-10-25 2022-06-03 巴斯夫欧洲公司 聚酰胺组合物
EP3842470A1 (de) * 2019-12-23 2021-06-30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n für hypochlorit-beständige anwendungen
FR3122659A1 (fr) 2021-05-05 2022-11-11 Arkema France Compositions a base de polyamides et de fibres de verre et leur utilisation dans le domaine du sanitaire et de l’eau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8701A (en) 1956-02-23 1959-12-29 Eastman Kodak Co Method for pelleting organic thermoplastic materials
US3749539A (en) 1972-04-26 1973-07-31 Eastman Kodak Co Underwater pelletizer die plate
EP0632703B1 (en) 1992-03-16 1999-02-03 Rohan James Macarthur-Onslow Eating utensil
EP0682057A1 (en) 1994-05-09 1995-11-15 Dsm N.V. Process for improvement of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a polymer composition and polymer compositions obtained therefrom
EP0832149B1 (en) 1995-05-03 2000-07-19 Dsm N.V. Star-shaped branched polyamide
FR2743077B1 (fr) 1995-12-29 1998-02-20 Nyltech Italia Polyamide et un procede de fabrication de celui-ci, et des compositions le contenant
DE19654179A1 (de) 1996-12-23 1998-06-25 Basf Ag H-förmige Polyamide
FR2766197B1 (fr) 1997-07-17 1999-09-03 Nyltech Italia Copolyamide thermoplastique, composition a base de ce copolyamide thermoplastique
FR2779730B1 (fr) 1998-06-11 2004-07-16 Nyltech Italia Polyamides a fluidite elevee, son procede de fabrication, compositions comprenant ce copolyamide
FR2793252B1 (fr) 1999-05-05 2001-07-20 Rhodianyl Copolyamide hyperbranche, composition a base de ce copolyamide hyperbranche et procede d'obtention de ce dernier
US7226553B2 (en) 2003-07-30 2007-06-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 underwater pelletizer apparatus and process incorporating same
FR2915484B1 (fr) * 2007-04-27 2012-10-12 Rhodia Operations Materiau polyamide a proprietes barrieres aux fluides elevees.
FR2929285B1 (fr) * 2008-03-25 2011-07-15 Rhodia Operations Composition polyamide
FR2935144B1 (fr) * 2008-08-25 2011-12-16 Rhodia Operations Utilisation d'une resine novolaque pour augmenter la resistance aux acides d'une composition polyamide
FR2944288B1 (fr) * 2009-04-10 2012-08-17 Rhodia Operations Materiau polyamide a proprietes barrieres aux fluides eleve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00708A1 (en) 2019-10-03
CN109476850A (zh) 2019-03-15
CN109476850B (zh) 2022-04-26
EP3484946A1 (en) 2019-05-22
KR20190029581A (ko) 2019-03-20
JP7150695B2 (ja) 2022-10-11
BR112019000252B1 (pt) 2022-09-13
BR112019000252A2 (pt) 2019-04-16
JP2019521228A (ja) 2019-07-25
WO2018011291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777B1 (ko)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할로겐-함유 산화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EP1654305B1 (en) Process for efficiently producing highly plasticized polyamide blends
JPH111555A (ja) 耐熱性の部分芳香族ポリアミド
JP6655392B2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102679357B1 (ko) 고 내열성 폴리아미드 성형 배합물
US20200317908A1 (en) Formulation of novolak resins for enhancing the acid resistance of polyamide compositions
JP2023090932A (ja) 重合方法
TWI794146B (zh) 具有均一相對黏度及低凝膠含量之高分子量聚醯胺及共聚醯胺
KR101188589B1 (ko) 고분자량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
JP2010059366A (ja) 耐候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3406603B2 (ja) 難燃性ポリアミド
JP2016069557A (ja) ポリアミドペレットの貯蔵方法
JP4953669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249857A (ja) 熱可塑性成形材料
JP2015178551A (ja) ジアミン−ジカルボン酸塩水溶液の製造方法。
JPH08176298A (ja) 高融点ポリアミ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58813B1 (ko) 중축합에 의해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JP5183032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504229A (ja) ポリアミド組成物
JPH11116797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