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247B1 -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247B1
KR102434247B1 KR1020210099729A KR20210099729A KR102434247B1 KR 102434247 B1 KR102434247 B1 KR 102434247B1 KR 1020210099729 A KR1020210099729 A KR 1020210099729A KR 20210099729 A KR20210099729 A KR 20210099729A KR 102434247 B1 KR102434247 B1 KR 10243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ook
driving
bogi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보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보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보파텍
Priority to KR102021009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8Loading or unload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4Particular arrangements for handling and holding in place complete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금형교환대차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 메인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제1구동스프로킷(20); 메인프레임(10)의 상면 타측에 다수가 설치되되, 제1구동스프로킷(20)과 함께 사각형으로 이루게 배치되는 제1종동스프로킷(30); 제1구동스프로킷(20)과 제1종동스프로킷(30)을 연결하게 순환식으로 설치되는 구동체인(40); 구동체인(40)에 부설된 대차후크부(50); 대차후크부(50)가 투입되는 후크홈(603a)이 형성되고, 금형의 이송 중 진동을 흡수하는 후크스프링(604)이 구비되어 금형 일측에 설치되는 금형후크부(6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스에 금형을 투입하거나, 프레스에서 금형을 배출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체인이 순환식으로 설치됨으로써 소음 및 마모를 억제함과 동시에, 금형에 설치되는 금형후크에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구동체인의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금형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금형의 투입 및 배출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Hook device of the carriage for changing molds}
본 발명은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스에 금형을 투입하거나, 프레스에서 금형을 배출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체인을 순환식으로 설치하여 소음 및 마모를 억제함과 동시에, 금형에 설치되는 금형후크에 완충수단을 설치하여 구동체인의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금형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금형의 투입 및 배출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를 이용해 각종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프레스의 금형을 교환할 때, 금형을 프레스에 정확하게 투입 또는 프레스에서 정확하게 배출하거나, 프레스와 보관장소 간에 금형을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금형교환대차가 사용된다.
종래의 금형교환대차는, 상면에 다수의 이송롤러가 설치되어 금형이 적재되는 차대와, 차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차대의 타측에 설치된 종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 간에 설치된 구동체인과, 구동체인의 일측에 부설된 대차후크로 구성된다.
따라서 금형을 프레스에 정확하게 투입하거나, 프레스에서 정확하게 배출하기 위해서는 금형의 일측에 설치된 금형후크와 금형교환대차의 대차후크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해 구동체인을 투입 또는 배출 방향으로 구동시켜 금형을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금형교환대차의 대차후크는 구동체인에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체인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 및 진동이 대차후크와 상호 맞물린 금형후크를 통해 금형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금형의 이동 중 진동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금형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면서 금형의 투입 및 배출의 정확성과 정밀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구동체인의 구동 과정에서 늘어진 잔여체인은 차대 일측의 수납케이스에 투입되거나, 수납케이스에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구동체인과 수납케이스 간의 접촉으로 인해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차대 상부에는 구동체인의 구동을 안내하는 체인가이드가 구비되는데, 잔여체인이 수납케이스에 보관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차대에 적재된 금형을 프레스에 투입하기 위해 구동체인이 구동될 때, 구동체인과 체인가이드 간에 마찰이 크게 증가하여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구동체인의 마모도 증가하면서 구동체인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04456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체인을 순환식으로 설치하고, 금형에 설치되는 금형후크에 완충수단을 설치하여 구동체인의 구동에 따른 소음 및 마모를 억제하고, 구동체인의 진동이 금형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금형의 투입 및 배출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는,
금형교환대차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제1구동스프로킷(2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 타측에 다수가 설치되되, 제1구동스프로킷(20)과 함께 사각형으로 이루게 배치되는 제1종동스프로킷(30);
상기 제1구동스프로킷(20)과 제1종동스프로킷(30)을 연결하게 순환식으로 설치되는 구동체인(40);
상기 구동체인(40)에 부설된 대차후크부(50);
상기 대차후크부(50)가 투입되는 후크홈(603a)이 형성되고, 금형의 이송 중 진동을 흡수하는 후크스프링(604)이 구비되어 금형 일측에 설치되는 금형후크부(6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동스프로킷(20)과 제1종동스프로킷(30)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구동체인(40)이 수평 방향으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대차후크부(50)는,
상기 구동체인(40)에 부설되는 후크보디(501);
상기 후크보디(501)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크홈(603a)에 투입되는 후크부재(5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후크부재(502)는,
원통형으로 되어 후크보디(501)의 상부에서 공회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형후크부(60)는,
금형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601);
상기 고정브래킷(601)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안내봉(602);
상기 안내봉(602)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후크홈(603a)이 형성된 후크하우징(603);
상기 고정브래킷(601)과 후크하우징(603) 간에 탄설되어 후크하우징(60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크스프링(60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는,
상기 금형교환대차의 상부에 설치되어 대차후크부(50)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1구동모터(M1)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제공하는 센서부(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는,
상기 구동체인(40)의 구동력에 의해 투입 배출되는 금형을 적재하여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수단(80);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송수단(80)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2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되는 제2구동스프로킷(801);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2종동스프로킷(802);
상기 제2구동스프로킷(801)과 제2종동스프로킷(802)을 연결하게 순환식으로 설치되어 금형이 적재되는 이송체인(8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동모터(M1)와, 제2구동모터(M2)는 상호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스에 금형을 투입하거나, 프레스에서 금형을 배출하기 위하여 금형을 밀거나 당기는 대차후크부를 구동하는 구동체인을 메인프레임의 상면에 순환식으로 설치함으로써 구동체인의 구동 시 소음 및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에 설치되는 금형후크에 완충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구동체인의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금형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금형의 투입 및 배출의 정확성과 정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차후크부와 금형후크부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차후크부가 금형후크부에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형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송수단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차후크부와 금형후크부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차후크부가 금형후크부에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형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체인(40)을 순환식으로 설치하여 소음 및 마모를 억제하고, 구동체인(40)의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금형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메인프레임(10), 제1구동스프로킷(20), 제1종동스프로킷(30), 구동체인(40), 대차후크부(50), 금형후크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사각의 금속 판재로 되어 금형교환대차(B)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금형교환대차(B)는 금형(A)의 적재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된다.
금형교환대차의 이동을 위한 구동방식은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구동스프로킷(20)은 메인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M1)에 의해 구동된다.
제1구동스프로킷(20)은 메인프레임(10)의 상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구동모터(M1)는 금형교환대차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1구동모터(M1)의 구동축과 제1구동스프로킷(20) 간에는 구동력의 조절을 위한 변속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종동스프로킷(30)은 메인프레임(10)의 상면 타측에 다수가 설치되되, 제1구동스프로킷(20)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구동스프로킷(20)과 함께 사각형으로 이루게 3개소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체인(40)은 제1구동스프로킷(20)과 제1종동스프로킷(30)을 연결하게 금형교환대차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순환되게 설치됨으로써 평면상에서 볼 때, 구동체인(40)은 사각형을 이루고, 제1구동스프로킷(20)이 그 사각형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며, 제1종동스프로킷(30)이 그 사각형의 나머지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대차후크부(50)는 구동체인(40)에 부설되어 구동체인(40)의 구동에 따라 금형후크부(60)의 후크홈(603a)에 투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후크보디(501), 후크부재(502)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보디(501)는 구동체인(40)에 부설됨으로써 구동체인(40)의 구동 방향으로 따라 수평 이동한다.
상기 후크부재(502)는 후크보디(501)의 상부에 설치되어 금형후크부(60)의 후크홈(603a)에 투입된다.
후크부재(502)의 가로 길이는 후크홈(603a)의 폭 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크부재(502)가 금형후크부(60)의 후크홈(603a)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체인(40)이 구동되면, 구동체인(40)의 구동력이 후크부재(502)를 통해 후크홈(603a)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전달됨으로써 프레스에 금형을 투입하거나, 프레스에서 금형을 배출하기 위해 금형을 밀거나 당기는 힘이 금형후크부(60)로 전달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후크부재(502)는 원통형으로 되어 후크보디(501)의 상부에서 공회전되게 할 수 있다.
즉, 후크보디(501)에 수직으로 회전축이 설치되고, 후크부재(502)가 그 회전축에 결합되어 공회전 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재(502)가 후크홈(603a) 내부로 투입되거나, 후크홈(603a) 내부에서 배출될 때 마찰저항 감소로 인해 투입 및 배출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금형후크부(60)는 구동체인(40)의 진동이 금형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고정브래킷(601), 안내봉(602), 후크하우징(603), 후크스프링(60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래킷(601)은 금형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금형의 일측면에서 형성되되, 금형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금형에 탈부착되게 형성할 수 있다.
고정브래킷(601)의 가로 길이는 한정하지 않으며, 금형의 크기나 중량에 따라 다수의 고정브래킷(601)이 금형의 일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봉(602)은 고정브래킷(601)에서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안내봉(602)의 수는 한정하지 않으며, 금형의 크기나 중량에 따라 고정브래킷(601)에 복수의 안내봉(60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봉(602)의 외측 단부에는 후크하우징(60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내봉(60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헤드부가 안내봉(60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하우징(603)은 안내봉(602)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안내봉(602)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후크홈(603a)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은 후크하우징(603)의 하부에 형성되되, 후크하우징(603)의 좌우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됨으로써 개구된 양측으로 대차후크부(50)가 투입 및 배출된다.
상기 후크스프링(604)은 고정브래킷(601)과 후크하우징(603) 간에 탄설되어 후크하우징(603)이 외측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후크스프링(604)은 이탈 방지를 위해 안내봉(602)에 끼워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대차후크부(50)의 후크부재(502)가 금형후크부(60)의 후크홈(603a)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체인(40)이 구동되어
금형이 투입 또는 배출되는 과정에서 구동체인(40)의 진동이 대차후크부(50)의 후크부재(502)를 통해 금형후크부(60)의 후크홈(603a)에 전달되더라도, 후크스프링(604)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하우징(603)이 안내봉(602)을 따라 전후로 진동하면서 후크하우징(603)으로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여 금형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에 따라 금형의 투입 및 배출의 정확성과 정밀성이 크게 향상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는 대차후크부(5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는 금형교환대차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구동체인(40)에 의해 구동되는 대차후크부(50)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1구동모터(M1)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제공함으로써 대차후크부(50)의 위치에 따른 제1구동모터(M1)의 정확한 동작 제어가 가능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송수단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는 상기 구동체인(40)의 구동력에 의해 투입 배출되는 금형을 적재하여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수단(80); 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80)은 금형을 적재하여 이송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2구동스프로킷(801), 제2종동스프로킷(802), 이송체인(803)을 포함한다.
상기 제2구동스프로킷(801) 메인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2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된다.
제2구동모터(M2)는 금형교환대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종동스프로킷(802)은 메인프레임(10)의 상면 타측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이송체인(803)은 제2구동스프로킷(801)과 제2종동스프로킷(802)을 연결하여 수직 방향으로 순환되게 설치된다.
한편, 이송수단(80)은 구동체인(40)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M1)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인(40)에 의해 금형이 투입 또는 배출되는 과정에서 제2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체인(803)의 상부에 금형이 적재되면 금형의 중량이 이송체인(803)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구동체인(40)과 이송체인(803)의 구동력에 의해 금형이 이송됨에 따라 금형의 투입 및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구동모터(M1)와, 제2구동모터(M2)는 상호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제1구동모터(M1)와, 제2구동모터(M2)를 연동하는 경우, 구동체인(40)과 이송체인(803)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체인의 일측에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금형 B: 금형교환대차
M1: 제1구동모터 M2: 제2구동모터
10: 메인프레임 20: 제1구동스프로킷
30: 제1종동스프로킷 40: 구동체인
50: 대차후크부 501: 후크보디
502: 후크부재 60: 금형후크부
601: 고정브래킷 602: 안내봉
603: 후크하우징 603a: 후크홈
604: 후크스프링 70: 센서부
80: 이송수단 801: 제2구동스프로킷
802: 제2종동스프로킷 803: 이송체인

Claims (5)

  1. 금형교환대차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제1구동스프로킷(2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면 타측에 다수가 설치되되, 제1구동스프로킷(20)과 함께 사각형으로 이루게 배치되는 제1종동스프로킷(30);
    상기 제1구동스프로킷(20)과 제1종동스프로킷(30)을 연결하게 순환식으로 설치되는 구동체인(40);
    상기 구동체인(40)에 부설된 대차후크부(50);
    상기 대차후크부(50)가 투입되는 후크홈(603a)이 형성되고, 금형의 이송 중 진동을 흡수하는 후크스프링(604)이 구비되어 금형 일측에 설치되는 금형후크부(60); 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후크부(60)는,
    금형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601);
    상기 고정브래킷(601)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안내봉(602);
    상기 안내봉(602)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후크홈(603a)이 형성된 후크하우징(603);
    상기 고정브래킷(601)과 후크하우징(603) 간에 탄설되어 후크하우징(60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크스프링(60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후크부(50)는
    상기 구동체인(40)에 부설되는 후크보디(501);
    상기 후크보디(501)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크홈(603a)에 투입되는 후크부재(5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교환대차의 상부에 설치되어 대차후크부(50)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1구동모터(M1)의 제어부에 제공하는 센서부(70);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인(40)의 구동력에 의해 투입 배출되는 금형을 적재하여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수단(80);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KR1020210099729A 2021-07-29 2021-07-29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KR10243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729A KR102434247B1 (ko) 2021-07-29 2021-07-29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729A KR102434247B1 (ko) 2021-07-29 2021-07-29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247B1 true KR102434247B1 (ko) 2022-08-19

Family

ID=8311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729A KR102434247B1 (ko) 2021-07-29 2021-07-29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2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727U (ja) * 1991-08-23 1993-09-24 株式会社小林搬送機器 加工機械の金型交換装置
KR19980030339A (ko) * 1996-10-29 1998-07-25 양재신 금형다이 교환장치
KR100604456B1 (ko) 2005-04-30 2006-07-25 한성물류운반기계(주) 금형교환용 대차
KR100953600B1 (ko) * 2009-11-24 2010-04-21 영진단조(주) 단조금형 어태치먼트
KR20180018117A (ko) * 2016-08-12 2018-02-21 최경락 금형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727U (ja) * 1991-08-23 1993-09-24 株式会社小林搬送機器 加工機械の金型交換装置
KR19980030339A (ko) * 1996-10-29 1998-07-25 양재신 금형다이 교환장치
KR100604456B1 (ko) 2005-04-30 2006-07-25 한성물류운반기계(주) 금형교환용 대차
KR100953600B1 (ko) * 2009-11-24 2010-04-21 영진단조(주) 단조금형 어태치먼트
KR20180018117A (ko) * 2016-08-12 2018-02-21 최경락 금형교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491B1 (ko) 소형 이송장치
KR101874320B1 (ko) 호이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반송시스템
US20040042885A1 (en) Automated guided vehicle
KR101444909B1 (ko) 화물 이송장치
CN106740723B (zh) 重载机器人
JP7284827B2 (ja) トラバーサ、ベースユニット及び移動ユニット
KR102434247B1 (ko) 금형교환대차의 후크 장치
KR20130034493A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JP2007203563A (ja) ロール紙プリンタおよびロール紙繰り出し機構
CN110814089A (zh) 整形设备
KR102335447B1 (ko) 푸셔장치를 구비한 금형교환대차
JP2009269698A (ja) 自動倉庫における荷の移載装置
CN113895937A (zh) 一种板件堆垛缓存设备
KR101436544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장치의 안티드롭 유닛
US5647474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position deviation of a truck loaded on a traverser
CN210966439U (zh) 整形设备
JP3237537B2 (ja) 棒材送給装置
CN113501352A (zh) 袋装物装车机
JP6124457B2 (ja) 床上貨物搬送装置
JP2011121258A (ja) プリンター
CN112299065A (zh) 整车装车系统
CN213264232U (zh) 一种斗式提升装置
CN110733871A (zh) 物料传送设备
US20080159837A1 (en) Freight loading system of trailer
TW202031574A (zh) 可自動修正輸送帶偏移的輸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