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491B1 - 소형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491B1
KR101089491B1 KR1020100001633A KR20100001633A KR101089491B1 KR 101089491 B1 KR101089491 B1 KR 101089491B1 KR 1020100001633 A KR1020100001633 A KR 1020100001633A KR 20100001633 A KR20100001633 A KR 20100001633A KR 101089491 B1 KR101089491 B1 KR 10108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mall
support
groove
rot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756A (ko
Inventor
최희소
Original Assignee
최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소 filed Critical 최희소
Publication of KR2011003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Pack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판기와 같이 소형 기계에 이용되는 소형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형 이송장치는 요홈이 형성된 가이드, 가이드의 요홈 내부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장착되거나 나선형 홈이 형성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봉, 상기 스프링 및 회전 봉 사이 또는 회전 봉의 나선형 홈에 지지부의 일단이 결합 되며, 상기 회전 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이드 내의 적재된 물건의 수에 따라 상기 회전 봉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를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가 구비된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에 장착된 물건이 가이드의 일단에 연결된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물건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이송장치는 공간 효율이 높고 이송될 제품이 이탈이 방지되며, 안정적으로 제품을 이송할 수 있으며 적재된 제품이 개별적인 분출되는 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형 이송장치{A SMALL TRANSFER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판기와 같이 소형 기계에 이용되는 소형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공간이 작은 소형 기계에 이용될 수 있는 공간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소형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이송 수단으로써, 컨베이어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컨베이어는 재료나 화물 등을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적,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기계 장치를 말하며, 양끝에 장치된 벨트 풀리 사이에 넓적한 이음매 없는 고리모양의 벨트를 구동시키면서 그 위에 재료 또는 가공품, 완제품 등을 운반하는 연속식 운반기계의 일종으로 널리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물건을 이송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가 이용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벨트는 고무, 직물, 철망, 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를 순환시켜서 그 위에 물건을 올려놓고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이다. 벨트는 엔들리스로 하여 벨트 바퀴에 걸고, 벨트 바퀴를 전동기로 회전시켜서 구동하며, 도중에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이들러(idler)로 지지한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가 투명 자판기에 이용되어 음료 캔 또는 박스형 물건을 이송하는데 이용되어, 자판기 내부의 적재된 물건을 순차적으로 특정 위치까지 이송시킨다.
한편, 공장과 같이 넓은 장소에서 이용되며 큰 물건을 이송할 때 이용되는 컨베이어벨트와 달리 자판기와 같이 비교적 소형 장치에 컨베이어벨트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컨베이어벨트의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 사이에 활용하지 못하는 공간이 발생되어 상당량의 부피가 이용되지 못하여, 공간 비효율적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벨트는 합성 섬유 또는 고무 등으로 제조되어, 컨베이어벨트의 이용시간이 길어지면 벨트의 마모로 인하여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컨베이어벨트를 별도로 교체하여야 하며, 자판기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컨베이어벨트가 이용되는 경우 외부 온도보다 자판기 내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이로 인해 벨트에 이용되는 탄성 재료가 이완되어 예를 들면, 이송 대상이 되는 물건이 정해진 이동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이동되거나 작게 이송된다. 따라서, 정해진 이송거리만큼 이송을 요하는 기계의 작동시에 예상치 못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는 벨트 측면에 경계벽을 이용하여 적재된 물건이 이송될 때, 물건의 이송경로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지만, 상기 경계벽의 설치로 공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이송장치는 이송되는 물건이 컨베이어벨트 상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있어 크기가 비교적 작은 물건이 개별적으로 분출되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소형 기계 내부에서 적재된 물건을 순차적으로 특정 위치까지 이송시키며, 소형 기계 내부에서 적재된 물건을 정해진 이송거리만큼 소음 및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도 이송시킬 수 있는 소형 이송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적재된 제품이 이송될 때 이송경로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계벽의 설치가 필요치 않아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적재된 물건이 개별적인 분출되는 소형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요홈이 형성된 가이드, 가이드의 요홈 내부에 설치되며 스프링이 장착되거나 나선형 홈이 형성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봉, 상기 스프링 및 회전 봉 사이 또는 회전 봉의 나선형 홈에 지지부의 일단이 결합하며, 상기 회전 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스프링 또는 회전봉의 나선형 홈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이드 내의 적재된 물건의 수에 따라 상기 회전 봉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를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4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의 이동위치를 제어하는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가 구비된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물건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가이드의 요홈은 이송되는 물건의 일 단면이 결합 되도록 상기 물건의 일 단면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고, 상기 감지부는 가이드의 일단에 장착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연결된 마이크로스위치 또는 적외선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물건의 이송시에 이송되는 물건이 잘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지지면이 일정 폭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지지면의 넓이도 가변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로써, 회전봉, 지지부 및 감지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들이 동일한 이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송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이송장치에 의하면, 소형 기계 내부에서 적재된 물건을 순차적으로 가이드의 일단까지 이송시키며, 소형 기계 내부에서 적재된 제품을 정해진 이송거리만큼 스프링 및 회전 봉 사이 또는 회전 봉의 나선형 홈을 따라 지지부의 일단이 이동하므로 소음 및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도 이송시킬 수 있는 소형 이송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컵 또는 필터 팩과 같은, 적재된 물건이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어 이송경로인 스프링 및 회전 봉 사이 또는 회전 봉에 형성된 나선형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송되는 물건의 이탈방지를 위한 경계벽의 설치가 필요치 않아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에 연결된 돌출부 또는 적외선 스위치의 작동으로 적재된 제품이 개별적인 분출되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특히 필터 팩의 경우 가이드의 요홈에 결합하여 가이드가 필터 팩을 지지 및 고정하는 기능이 있으며, 조밀하게 필터 팩이 정렬되어 상대적으로 물건의 수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써 이용되는 소형 기계에 이용되는 이송 장치인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3은 회전 봉에 스프링이 장착되지 않고 나선형 홈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가 상, 하로 설치된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송장치의 지지면이 사각 형상인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써 이용되는 소형 기계에 이용되는 이송장치인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가 상, 하로 설치된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송장치의 지지면이 사각 형상인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이송장치는 요홈이 형성된 가이드(10), 상기 가이드(10)의 요홈 내부에 설치되며 스프링(20)이 장착되거나 나선형 홈이 형성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봉(30), 상기 스프링 및 회전 봉 사이 또는 회전 봉의 나선형 홈에 지지부(40)의 일단이 결합하며, 상기 회전 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부(40) 및 상기 가이드 내의 적재된 물건의 수에 따라 상기 회전 봉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40)를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4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1 센서(60) 및 제 2 센서(70)가 구비된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에 장착된 물건이 가이드의 일단에 연결된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물건이 이송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가이드의 일단에 장착된 돌출부(90) 및 상기 돌출부와 연결된 마이크로스위치(80)를 또는 적외선 센서포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된 마이크로스위치는 적재된 제품이 개별적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대적으로 큰 제품이 이송될 때에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대신하여 적외선 센서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봉에 장착된 스프링의 피치는 약 3㎜정도이며, 상기 스프링 및 회전봉 사이에 결합된 지지부의 일단의 두께는 약 2.6㎜로써,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스프링을 따라 이동할 때, 지지부의 이동에 기인한 소음 및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이송이 보장된다(도 3참조). 다만, 상기 스프링의 피치 거리 및 회전 봉의 직경은 이송되는 물건에 따라 가변한다. 상기 스프링 및 회전 봉의 사이는 지지부의 일단이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제시하며, 스프링이 장착되지 않고 회전 봉 자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회전 봉인 경우에는 나선형 홈이 지지부의 일단이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제시한다. 상기 나선형 홈이 형성된 회전 봉이 이송장치에 이용될 경우는 보다 정밀하게 물건을 이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회전봉, 지지부, 감지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10a, 10b)들이 동일한 이송방향으로 설치된 이송장치이다. 상기 이송장치는 예를 들면, 적재된 한 스택의 종이컵들과 같은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가진 제품을 이송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이송 장치의 지지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가이드 모두와 연결되며, 적재된 컵이 잘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로써 요홈이 형성된 가이드(10c), 상기 가이드(10c)의 요홈 내부에 설치되며 스프링(20c)이 장착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봉(30c), 상기 스프링 및 회전 봉 사이에 지지부(40c)의 일단이 결합 되며, 상기 회전 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면이 사각형인 지지부(40c) 및 상기 회전 봉을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40c)를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40c)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1 센서(60c) 및 제 2 센서(70c)가 구비된 감지부를 포함하며, 가이드의 일단에 연결된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물건이 이송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가이드의 일단에 장착된 돌출부(90c) 및 상기 돌출부와 연결된 마이크로스위치(80c)를 또는 적외선 센서포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된 마이크로스위치는 적재된 제품이 개별적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대적으로 큰 제품이 이송될 때에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대신하여 적외선 센서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는 소형 기계 내에서 제품을 정해진 구역까지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 일단은 소형 기계 내에서 특정 부품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봉(30, 30c)의 회전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모터는 가이드 후방부(50)의 측부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배열되고 모터에 의해 전력이 전달된다.
또한, 도 2 내지 3 및 도 5에 도시된 가이드 중앙부분은 회전 봉 및 스프링의 존재를 부각시키기 위해 가이드 내에 형성된 요홈 부분에 대해 생략된 채 도시되었으며, 상기 가이드 내에 형성된 요홈은 가이드 전체에 형성되어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인 자판기용 소형 이송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이송장치는, 소형 기계에서 이송장치가 필요한 모든 경우에 이용 가능한 것이며, 상기 이송 장치는 부가적인 작동을 위해서 이송장치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1: 컨베이어벨트 10: 가이드
20: 스프링 30: 회전 봉
40: 지지부 50: 가이드의 후방부
60: 제 1 센서 70: 제 2 센서
80: 마이크로 스위치
90: 돌출부 100: 필터 팩

Claims (6)

  1. 소형 이송장치에 있어서,
    요홈이 형성된 가이드(10);
    상기 가이드(10)의 요홈 내부에 설치되며 스프링(20)이 장착되거나 나선형 홈이 형성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봉(30);
    상기 스프링 또는 회전 봉의 나선형 홈사이에 지지부(40)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 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부(40); 및
    상기 가이드 내의 적재된 물건의 수에 따라 상기 회전 봉을 회전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40)를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4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의 이동위치를 제어하는 제 1 센서(60) 및 제 2 센서(70)가 구비된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물건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요홈은 이송되는 물건의 일 단면이 결합 되도록 상기 물건의 일 단면과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가이드의 일단에 장착된 돌출부(90) 및 상기 돌출부와 연결된 마이크로스위치(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가이드의 측부에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이송장치는 상기 회전 봉(30), 지지부(40), 감지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10a, 10b)들이 정해진 이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이송장치.
  6. 삭제
KR1020100001633A 2009-09-25 2010-01-08 소형 이송장치 KR101089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850 2009-09-25
KR20090090849 2009-09-25
KR1020090090849 2009-09-25
KR20090090850 2009-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756A KR20110033756A (ko) 2011-03-31
KR101089491B1 true KR101089491B1 (ko) 2011-12-02

Family

ID=435133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851A KR101003682B1 (ko) 2009-09-25 2009-12-22 티백 또는 필터 팩을 이용한 주입식 자판기 및 상기 자판기 작동 방법
KR1020100001633A KR101089491B1 (ko) 2009-09-25 2010-01-08 소형 이송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851A KR101003682B1 (ko) 2009-09-25 2009-12-22 티백 또는 필터 팩을 이용한 주입식 자판기 및 상기 자판기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003682B1 (ko)
CN (1) CN102034313B (ko)
MY (1) MY1535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2756A (zh) * 2011-08-24 2012-02-08 江西龙天茶业有限公司 泡茶装置的推茶机构
CN103186949B (zh) * 2011-12-31 2015-11-18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自动售水机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03536197B (zh) * 2012-07-12 2017-06-23 高美雯 自动冲泡机
CN103606225B (zh) * 2013-12-06 2016-02-03 张力 自动冲茶机
CN104188539B (zh) * 2014-08-14 2017-01-25 江西科益茶业有限公司 一种防止泡茶机推茶机构卡死的方法
CH710100A2 (de) * 2014-09-15 2016-03-15 Delica Ag Brüheinheit zur sequentiellen Zubereitung eines Getränks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aus wenigstens zwei Kapseln.
JP6500485B2 (ja) * 2015-02-19 2019-04-17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用原料の払出し装置
CN104814671B (zh) * 2015-05-22 2017-08-11 湖南湖大艾盛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智能茶艺机自动售卖系统
CN105447982A (zh) * 2016-01-04 2016-03-30 高卫保 一种自助茶水售卖机
CN108784354A (zh) * 2018-07-07 2018-11-13 羊芳 一种自动化饮料配制设备
CN110693325B (zh) * 2018-07-09 2021-10-15 惠州市和易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泡茶设备及自动泡茶方法
CN109008451B (zh) * 2018-08-20 2020-11-10 浙江任我行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办公桌自动供给瓶装水装置
CN109949503A (zh) * 2019-04-15 2019-06-28 海南喝呗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将袋装物品打开置入容器的装置
CN110840259B (zh) * 2019-11-05 2021-09-1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原液式茶水自动冲泡机
CN111932777B (zh) * 2020-07-10 2022-09-20 江苏蓝天空港设备有限公司 多功能自动售货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300B1 (ko) 1995-06-22 1999-10-15 배길성 자동판매기용 원료통 출구 개폐장치
KR100525593B1 (ko) 2003-08-13 2005-11-04 성기웅 일회용 팩제품 자동판매기
KR100551482B1 (ko) * 2002-11-18 2006-02-13 전용준 자기 선형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84B1 (ko) * 1999-12-20 2007-03-12 주식회사 롯데기공 음료자동판매기
JP2004094911A (ja) * 2002-07-10 2004-03-25 Koyaizu Satoru 茶の自動販売機
JP2006164104A (ja) 2004-12-10 2006-06-2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
KR100964431B1 (ko) * 2008-02-29 2010-06-16 변영석 자동판매기의 컵 카트리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300B1 (ko) 1995-06-22 1999-10-15 배길성 자동판매기용 원료통 출구 개폐장치
KR100551482B1 (ko) * 2002-11-18 2006-02-13 전용준 자기 선형 이송장치
KR100525593B1 (ko) 2003-08-13 2005-11-04 성기웅 일회용 팩제품 자동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34313A (zh) 2011-04-27
MY153502A (en) 2015-02-27
CN102034313B (zh) 2012-09-05
KR20110033756A (ko) 2011-03-31
KR101003682B1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491B1 (ko) 소형 이송장치
CN201990248U (zh) 一种基于90°升降转向装置的物流输送系统
EP3476777B1 (en) Feeding system
KR102442707B1 (ko)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JP2016044056A (ja) 物品仕分装置
JP2010504261A5 (ko)
CN109747275B (zh) 一种喷码设备
JP2013086827A (ja) 包装体の集積装置
CN210213706U (zh) 一种运输机构
KR101291535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225731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237062B1 (ko) 슈트 감지장치
KR2012011032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JP5915883B2 (ja) 物品仕分方法と物品仕分装置
KR101129283B1 (ko) 원료 수송용 벨트컨베이어
KR102103345B1 (ko) 김 전달 장치
KR101624329B1 (ko)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CN111977607A (zh) 弹簧输送装置和袋装弹簧生产设备
JP3242500U (ja) 移送装置
KR101938060B1 (ko) 트리퍼용 감지장치
KR100916599B1 (ko) 스파이럴 컨베이어
CN110733871A (zh) 物料传送设备
CN216104331U (zh) 送料装置与包装机
KR101470133B1 (ko) 동전검출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동전 처리기
KR20150104907A (ko) 금속 검출기 컨베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