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140B1 -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를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를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140B1
KR102434140B1 KR1020177028597A KR20177028597A KR102434140B1 KR 102434140 B1 KR102434140 B1 KR 102434140B1 KR 1020177028597 A KR1020177028597 A KR 1020177028597A KR 20177028597 A KR20177028597 A KR 20177028597A KR 102434140 B1 KR102434140 B1 KR 102434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norganic fine
layer
solar cell
fin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773A (ko
Inventor
쇼타로 니시오
아키라 시미즈
준 이나가키
신지 사와사키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7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lecting type, e.g. parabolic mirrors, concentrator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10T428/24413Metal or metal comp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10T428/24421Silicon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백색도와 양호한 내광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유지하면서, 전사자국 은폐성(전사된 요철이 보이기 어렵게 하는 것)이 우수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를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백색도가 50 이상, 파장 400~800 ㎚의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50~95%, 산가가 1~50 eq/ton, 두께가 30~380 ㎛인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은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10~38 질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으로 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표면에 있어서 돌기 높이에 대한 돌기 개수 밀도를 플로팅한 돌기 분포의 반치폭이 200~1,000 ㎚이다.

Description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를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White polyester film for solar cell, back-sealing sheet comprising same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높은 백색도와 양호한 광반사성, 내광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유지하면서, 전사된 요철이 보이기 어려운 성질(전사자국 은폐성)이 우수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를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태양전지는 차세대 클린 에너지원으로서 주목을 모으고 있다. 태양전지 모듈에는 그 이면을 봉지하는 이면 봉지 시트 등의 구성 부재가 사용되고, 이들 구성 부재에는 베이스 필름이 사용된다. 태양전지는 옥외에서 장기에 걸쳐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 구성 부재나 이들 구성 부재에 사용되는 베이스 필름에는 자연환경에 대한 내구성(내광성, 내가수분해성 등)이 요구된다.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용 베이스 필름으로서는 내UV성이나 은폐성 등을 높일 목적으로, 백색 안료 등이 첨가된 불소계 필름, 폴리에틸렌계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사용되어 왔다(특허문헌 1~10).
이중 특허문헌 10은 본 출원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것으로, 높은 백색도와 양호한 광반사성을 가지면서, 내광성 및 내가수분해성으로 대표되는 환경 내구성이 우수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10~35 질량%의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이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으로서 배치된 다층 구조를 갖는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로서 백색도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는 백색 안료인 이산화티탄 또는 황산바륨이 바람직한 것이 기재되어 있고, 실시예에는 이산화티탄을 단독으로 사용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1 및 12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판 등에 적합하게 사용되며, 휘도 특성 등이 우수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중 특허문헌 11에는 기포를 함유한 폴리에스테르층(A)의 적어도 한쪽 면에 표피층(B)를 갖고, 표피층(B)에 소정 겉보기 밀도의 무기 입자(c)를 5~30% 함유하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기포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A)는 휘도나 반사율 등의 광학 특성 면에서 필요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의 무기 입자(c)는 폴리에스테르(A) 측 표면의 중심면 평균 거칠기(Ra) 및 십점 평균 거칠기(Rz)를 제어하여 필름 표면에 요철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하며, 이것에 의해 필름의 광택도를 낮게 할 수 있고, 휘도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2에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A층과 B층을 적어도 가지며, B층이 기포를 갖고, A층이 루틸형 산화티탄, 황산바륨 및 이산화규소의 3종류의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백색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중 B층은 필름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함으로써 백색화되어 있고, 미세한 기포의 형성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중에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의(non-compatible) 폴리머,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의 폴리머 및 무기 입자를 잘게 분산시켜 함유시켜 이를 연신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A층의 경우, 전술한 3종류의 무기 입자를 병용함으로써 내UV성, 휘도 편차의 저감, 고반사율, 도광판의 흠집 및 밀착화면 편차의 발생 억제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것;특히, 루틸형 산화티탄에 황산바륨을 보완적으로 조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로써 양호한 반사율이 얻어지고, 휘도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황산바륨은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이기 때문에 A층에서도 미세한 기포를 다수 존재시킬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11-26108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11456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24739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13477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27002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18440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20817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8-85270호 공보 WO2007/105306호 공보 WO2013/05166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3/120313호 공보 WO2011/118305호 공보
특허문헌 1~10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의 구성 부재로서 백색 베이스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태양광을 반사시켜 발전효율을 올리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필름의 내가수분해성, 내UV성(내광성)을 높임으로써 환경 내구성이 우수한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베이스 필름을 백색으로 함으로써,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나 태양전지 모듈의 가공 공정 중에 전사되는 표면 요철이 빛의 반사에 의해 드러나, 태양전지의 폭로면이 깔끔한 평면이 아닌 요철로 보인다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에서의 표면 요철은 소위 가공 공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누른 자국이나 바닥에 놓을 때의 바닥면 모양 등이 전사된 전사자국으로서 육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전사자국은 일정 각도로부터의 빛을 필름면이 반사했을 때 강반사, 약반사 부분이 존재함으로써 드러난다.
한편, 특허문헌 1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기 입자를 고농도로 첨가하여, 필름 표면을 거칠게 할수록 광확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률적으로 표면을 거칠게 하는 것만으로는 필름에 전사된 표면 요철에 의한 빛의 강반사, 약반사 부분을 없앨 수는 없어, 전술한 전사자국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높은 백색도, 광반사성 및 환경 내구성(내광성, 내가수분해성)을 가지면서, 전사자국 은폐성이 우수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를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대표적인 본 발명은 아래와 같다.
항 1.
백색도가 50 이상, 파장 400~800 ㎚의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50~95%, 산가가 1~50 eq/ton, 두께가 30~380 ㎛인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은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10~38 질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으로 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표면에 있어서 돌기 높이에 대한 돌기 개수 밀도를 플로팅한 돌기 분포의 반치폭이 200~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항 2.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이 2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층인, 항 1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항 3.
상기 2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 중 적어도 2종의 무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의 차가 1.7 ㎛ 이상인, 항 2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항 4.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이 평균 입경이 0.1 ㎛~1.7 ㎛인 무기 미립자 I, 평균 입경이 1.8 ㎛~7.0 ㎛인 무기 미립자 II를 함유하고, 무기 미립자 I과 무기 미립자 II의 평균 입경의 차가 1.7 ㎛ 이상인, 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항 5.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이 루틸형을 주체로 하는 이산화티탄을 적어도 포함하는, 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항 6.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황산바륨을 포함하지 않는, 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항 7.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는 상기 무기 미립자 II의 평균 입경보다도 두꺼운, 항 4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항 8.
상기 무기 미립자 I이 루틸형을 주체로 하는 이산화티탄인, 항 4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항 9.
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sealing sheet).
항 10.
항 9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에 인접한 충전제층 및 충전제층에 매설된 태양전지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높은 백색도, 광반사성 및 환경 내구성(내광성, 내가수분해성)에 더하여, 우수한 전사자국 은폐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광반사성과 환경 내구성을 가지면서 가공 후의 외관이 우수한, 저렴하고 경량의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문헌 10을 개시한 후에도 전술한 전사자국에 기인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를 행해 왔다. 그 결과, 특허문헌 10에 기재된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10~35 질량%의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과 실질적으로 함유량이 중복되는 층에 대해서, 당해 층의 표면에 있어서 돌기 높이에 대한 돌기 개수 밀도를 플로팅한 돌기 분포의 반치폭이 200~1,000 ㎚가 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백색도가 50 이상, 파장 400~800 ㎚의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50~95%, 산가가 1~50 eq/ton, 두께가 30~380 ㎛인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10~38 질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으로 한 다층 구조를 가지고 있고, 그 무기 미립자를 10~38 질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표면에 있어서 돌기 높이에 대한 돌기 개수 밀도를 플로팅한 돌기 분포의 반치폭이 200~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10~38 질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상기 특허문헌 10과 동일하게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이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은 돌기 분포의 반치폭이 소정 범위로 제어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특허문헌 10에 기재된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과는 상위하다. 상세는 후술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백색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요건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와,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과 같은 글리콜을 중축합시켜서 제조되는 것으로, 호모폴리머여도 되고, 제3 성분을 공중합한 코폴리머여도 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대표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제3 성분을 공중합한 경우,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 또는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단위의 몰비율은 7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90 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글리콜을 직접 중축합시키는 방법 외에,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와 글리콜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킨 후에 중축합시키는 방법,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디글리콜에스테르를 중축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중축합 촉매로서는 안티몬 화합물, 티탄 화합물, 게르마늄 화합물, 주석 화합물, 알루미늄 및/또는 알루미늄 화합물, 방향족 고리를 분자 내에 갖는 인 화합물, 인 화합물의 알루미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중축합 반응 후,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부터 촉매를 제거하거나 또는 인계 화합물 등을 첨가함으로써 촉매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특성, 가공성, 색조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중축합 촉매는 적량 공존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할 때는 테레프탈산의 에스테르화 반응 시나 테레프탈산디메틸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 시에 디알킬렌글리콜이 부생된다. 디알킬렌글리콜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많이 포함되면, 얻어진 필름은 고온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있어서 디알킬렌글리콜의 함유량은 일정 범위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대표적인 디알킬렌글리콜로서 디에틸렌글리콜을 예로 들자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있어서 디에틸렌글리콜의 함유량은 2.3 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8 몰%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디에틸렌글리콜의 함유량을 2.3 몰% 이하로 함으로써 열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건조 시, 성형 시의 분해에 의한 산가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디에틸렌글리콜은 적은 편이 좋으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할 때 부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그 함유량의 하한은 1.0 몰%, 더 나아가서는 1.2 몰%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 점도는 0.65 ㎗/g 이상이 바람직하고, 0.67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9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 점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생산성을 얻는 동시에 형성한 필름의 내가수분해성,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고유 점도가 0.65 ㎗/g보다 낮은 경우는, 형성한 필름의 내가수분해성, 내열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0.90 ㎗/g보다 높은 경우는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 점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중합 후에 고상 중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가로 표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카르복실 말단은 자기 촉매 작용에 의해 가수분해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태양전지용 부재로서 고도의 내가수분해성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산가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1~50 eq/ton의 범위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상세는 후술한다).
필름의 산가를 상기 범위로 하는 데는 원료 수지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를 일정 범위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는 50 eq/ton 미만이 바람직하고, 25 eq/to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0 eq/ton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산가는 작은 편이 바람직한데, 생산성 측면에서 0.5 eq/ton이 하한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필름의 산가는 후기하는 적정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를 상기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수지의 중합 조건, 상세하게는 에스테르화 반응장치의 구조 등의 제조장치 요인이나, 에스테르화 반응장치에 공급하는 슬러리의 디카르복실산과 글리콜의 조성비, 에스테르화 반응 온도, 반응압 및 반응 시간 등의 에스테르화 반응 조건 또는 고상 중합 조건 등을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한 압출기로 공급하는 폴리에스테르 칩의 수분량을 제어하거나, 용융 공정에서의 수지 온도를 제어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이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에 의해 카르복실 말단을 봉쇄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칩을 압출기에 공급할 때 산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건조된 폴리에스테르 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칩의 수분량은 100 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0 pp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칩의 건조방법은 감압 건조나 가열 건조 등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 건조의 경우, 가열 온도는 100~200℃가 바람직하고, 120~180℃가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시간은 1시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3시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시간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를 억제하기 위해 용융 공정에서의 수지 온도를 일정 범위로 제어하는 것도 유효하다. 구체적으로는 용융 온도는 280~310℃인 것이 바람직하고, 290~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융 온도를 올림으로써 압출기 내에서의 여과 시 배압이 저하되어 양호한 생산성을 나타낼 수 있는데, 용융 온도가 310℃보다도 높아지면 수지의 열열화가 진행되어 수지의 산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얻어진 필름의 내가수분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는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형광증백제, 자외선흡수제, 적외선흡수색소, 열안정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1종 또는 다종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산화방지제로서는 방향족 아민계, 페놀계 등의 산화방지제를 사용 가능하고, 열안정제로서는 인산이나 인산에스테르 등의 인계, 황계, 아민계 등의 열안정제를 사용 가능하다.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한쪽의 최외층(태양광에 직접 접하는 쪽으로서, 또한 충전제층과 반대쪽)에 무기 미립자를 10~38 질량%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층(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을 갖는다.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10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2 질량% 이상 23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10 질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백색도, 전사자국 은폐성이 발현되지 않고, 38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응집에 의한 이물질의 발생이나 필름 품질, 필름 표면 강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의 표면에 있어서 돌기 높이에 대한 돌기 개수 밀도를 플로팅한 돌기 분포의 반치폭은 200~1,000 ㎚로 제어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써 전술한 특허문헌 10 등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높은 전사자국 은폐성이 부여된다.
우수한 전사자국 은폐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돌기 분포의 반치폭은 200~1,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250 ㎚~95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950 ㎚이다. 200 ㎚ 미만인 경우 전사자국 은폐성이 부족하여 표면 요철이 눈에 띄게 된다. 또한 1,000 ㎚를 초과하면 가공 공정의 핸들링 시에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 표면에 존재하는 무기 미립자의 미끄러져 떨어짐(滑落)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돌기 분포의 반치폭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보다 광범위한 각도에서 입사되는 빛에 대해 분포된 돌기가 빛을 확산시켜 전사자국에 의한 약반사, 강반사 부분을 약화시켜 전사자국이 드러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 높이에 대한 돌기 개수 밀도를 플로팅한 돌기 분포의 반치폭은 아래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촉침식 3차원 조도계(SE-3AK, 주식회사 코사카 연구소 제조)를 사용하여, 침 선단의 반경 2 ㎛, 하중 30 ㎎의 조건하에 필름의 길이방향으로 컷오프값 0.25 ㎜로, 측정길이 1 ㎜에 걸쳐 침의 보내기속도 0.1 ㎜/초로 측정하고, 2 ㎛ 피치로 500점으로 분할하여, 각 점의 높이를 3차원 조도 해석 시스템(TDA-21)에 입력한다. 이 조작을 필름의 폭방향에 대해 2 ㎛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150회, 즉 필름의 폭방향 0.3 ㎜에 걸쳐 행하고 해석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해석 시스템(TDA-21)을 사용하여 「슬라이스 레벨 등간격」의 항목을 0.05 ㎛로 설정하여 피크 입자 분포를 산출하고, 각 돌기 높이(레벨 0.05 ㎛ 간격)별 돌기 개수 밀도(개/㎟)를 구한다. 즉, 돌기 높이 0 ㎛, 0.05 ㎛, 0.10 ㎛, 0.15 ㎛…각각에 있어서 돌기 개수 밀도(개/㎟)를 구한다. 그리고, 얻어진 데이터에 대해서 세로축에 돌기 개수 밀도(개/㎟), 가로축에 돌기 높이(㎚)로 플로팅하여 돌기 분포를 얻는다. 돌기 분포의 피크 높이 절반 위치에 있어서의 돌기 분포폭(㎚)을 반치폭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돌기 분포는 분포를 가진 하나의 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기 분포의 산은 복수 존재해도 되나,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 분포의 산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각 산의 피크 위치에서 피크 높이 절반 위치에 있어서의 분포폭을 각각 측정하여, 가장 분포폭이 넓은 값을 반치폭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 분포의 반치폭을 특정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 종류가 상이한 2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를 첨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종류의 백색 무기 미립자만 사용한 경우는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 표면의 돌기 분포가 샤프해지고, 상기 반치폭이 작아져 전사자국 은폐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종류가 상이하다」는 것은, 평균 입경이 상이한 경우, 조성이 상이한 경우, 또는 평균 입경 및 조성 모두 상이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적어도 2종의 무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의 차가 1.7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 이상이다. 평균 입경의 차가 1.7 ㎛ 미만인 경우, 필름 표면의 돌기 높이의 분포가 좁아지고 상기 반치폭이 작아져, 일정 각도로부터의 빛을 다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전사 은폐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평균 입경의 차가 6.9 ㎛를 초과하는 경우, 돌기 분포의 산이 복수로 나뉠 가능성이 있어, 상기 반치폭이 작아져 역시 전사 은폐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평균 입경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6.9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4 ㎛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아래의 전자현미경으로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미립자를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며, 입자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배율을 변경하고, 랜덤으로 선택한 100개의 입자에 대해서 각 입자의 최대 직경(가장 떨어진 2점 간의 거리)을 측정하여, 그의 평균값을 균 입경으로 하였다.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 사용하는 2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는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무기 미립자 I과 무기 미립자 II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 I은 백색도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백색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이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백색 안료로서 이산화티탄 외에 황산바륨도 알려져 있는데, 황산바륨의 경우 필름의 내후성(내가수분해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황산바륨은 폴리에스테르 내 기포 형성작용을 갖기 때문에, 전술한 특허문헌 12와 같이 이산화티탄에 황산바륨을 병용하는 태양의 경우,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 내에 미세한 기포가 다수 생기기 쉬워져 필름의 표면 강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광성과 필름 표면 강도를 높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은 미세한 기포를 함유하지 않는 층(즉, 황산바륨을 포함하지 않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 I은 이산화티탄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미립자 I의 평균 입경은 0.1 ㎛ 이상이 바람직하고, 0.2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25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7 ㎛ 이하가 바람직하며, 1.3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0.7 ㎛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무기 미립자 I의 평균 입경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광산란 효과에 의한 필름의 백색도를 높이는 동시에 적합하게 제막을 행할 수 있다. 한편 평균 입경이 0.1 ㎛ 미만인 경우는, 광산란 효과의 부족으로 필름에 필요한 백색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평균 입경이 1.7 ㎛를 초과하는 경우는, 제막 중에 필름의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져 제막을 제대로 행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 I의 첨가량은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 대해 9.7~35.8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 I의 함유량은 10.6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1.2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28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1.4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 I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백색도와 반사율을 가지면서 환경 내구성이 우수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함유량이 9.7 질량%보다 낮은 경우, 필름의 백색도와 반사율이 불충분해져 필름의 광열화가 진행되기 쉬워진다. 또한 35.8 질량%를 초과하면 무기 미립자 I을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다수의 열이력이 필요해져 수지 열화가 진행되어버린다.
태양전지는 옥외에 있어서 장시간에 걸쳐 태양광의 조사를 받기 때문에 광열화에 대한 내구성(내광성)이 요구된다. 내광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상기 무기 미립자 I은 루틸형을 주체로 하는 이산화티탄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이산화티탄의 경우, 주로 루틸형과 아나타제형의 2개의 결정 형태가 알려져 있다. 아나타제형은 자외선의 분광 반사율이 매우 큰 것에 반하여, 루틸형은 자외선의 흡수율이 크다(즉, 분광 반사율이 작다)는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탄의 결정 형태에 있어서의 이러한 분광 특성의 차이에 착안하여, 루틸형의 자외선 흡수성능을 이용함으로써 필름의 내광성을 적합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필름의 광열화에 의한 착색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보다 적합한 태양에 있어서는 다른 자외선 흡수제를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아도 내광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자외선 흡수제의 블리드 아웃에 의한 오염이나 밀착성 저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주체」란, 전체 이산화티탄 미립자 중 루틸형 이산화티탄의 함유량이 50 질량%를 초과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체 이산화티탄 미립자 중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의 함유량은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 질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의 함유량이 10 질량%를 초과하면, 전체 이산화티탄 미립자 중에 차지하는 루틸형 이산화티탄의 함유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자외선 흡수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은 광촉매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이 작용에 의해서도 내광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루틸형 이산화티탄과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은 X선 구조 회절이나 분광 흡수 특성으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루틸형을 주체로 하는 이산화티탄 미립자의 표면은 알루미나나 실리카 등에 의한 무기 처리 또는 실리콘계나 알코올계 등에 의한 유기 처리가 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무기 미립자 II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리카, 카올리나이트, 탈크,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실리카, 제올라이트가 바람직하고, 실리카가 보다 바람직하다. 돌기 분포의 반치폭을 200 ㎚ 이상으로 넓게 하는 관점에서, 가는 구멍을 갖는 실리카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미립자 II의 평균 입경은 무기 미립자 I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평균 입경은 1.8 ㎛ 이상이 바람직하며, 2.2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이하가 바람직하며, 6.8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1.8 ㎛ 미만의 경우, 전사자국 은폐성이 부족하여 표면 요철이 눈에 띄게 된다. 한편 7.0 ㎛를 초과하면, 촉진 가수분해 후의 표면 박리에 대한 강도가 낮아져 태양전지용 백색 필름으로서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 II의 첨가량은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 대해 0.3~2.2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 II의 함유량은 0.4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6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0.3 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전사자국 은폐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2.2 질량%를 초과해서 첨가하면 표면 강도가 불충분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2개의 무기 입자의 첨가비율은 무기 미립자 I을 100 질량%로 했을 때, 무기 미립자 II는 0.85 질량% 이상 22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질량% 이상 17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8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 I에 대해 무기 미립자 II가 0.85 질량% 미만이 되면 충분한 전사자국 은폐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22 질량%를 초과해서 첨가하면 응집에 의한 표면 강도의 저하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는 돌기 분포의 반치폭이 200~1,000 ㎚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전술한 무기 미립자 I 및 무기 미립자 II 외에 다른 무기 미립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색 무기 미립자인 무기 미립자 I만 사용한 경우는,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 표면의 돌기 분포가 샤프해지고, 상기 반치폭이 작아져 전사자국 은폐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무기 미립자를 3종류 이상 사용하는 경우는, 각종 입자끼리의 응집에 의해 이물질이 발생하여 필름의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미립자 I과 무기 미립자 II로 이루어지는 2종의 무기 미립자의 사용이다.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의 두께는 상기 무기 미립자 II의 평균 입경(1.8~7.0 ㎛)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의 두께가 무기 미립자 II의 평균 입경보다도 작으면 상기 돌기 분포의 반치폭이 작아지고, 전사 은폐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의 두께는 2~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4~9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 ㎛~8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으로의 상기 무기 미립자의 첨가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열이력을 저감시키는 점에서는 사전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무기 미립자를 압출기로 혼합해 두는 마스터배치법(MB법)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사전에 건조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무기 미립자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수분이나 공기 등을 탈기하면서 마스터배치를 제작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데, 사전에 조금이라도 건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작하는 편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탈기하면서 마스터배치를 제작하는 방법이나, 충분히 건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탈기하지 않고 제작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의 무기 미립자의 첨가태양을 제어함으로써, 고농도의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면서 적합하게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를 낮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백색도와 광반사율을 가지면서 내광성과 내가수분해성을 양립시킨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상기와 같이 마스터배치를 제작할 때, 투입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사전에 건조에 의해 수분율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조건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00~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80℃에서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시간 이상 건조한다. 이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분량을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ppm 이하로 한다.
탈기하면서 마스터배치를 제작하는 경우는, 250~300℃, 바람직하게는 270~280℃의 온도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융해하여, 예비 혼련기에 1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탈기구를 설치하고 0.05 ㎫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의 연속 흡인 탈기를 행하여 혼합기 내의 감압을 유지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비 혼합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치에 의한 방법이어도 되고, 단일축 또는 이축 이상의 혼련 압출기에 의한 방법이어도 된다.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층구성>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상기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이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태양광에 직접 접하는 쪽의 최외층에 무기 입자를 많이 포함하는 층을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 필름을 백시트에 사용했을 때 필름 자체 및 백시트를 구성하는 내층의 부재 필름, 시트 및 접착층의 자외선 등에 의한 내광성의 열화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와 같이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이 배치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층 구조란, 적어도 2층의 적층 구성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을 A층으로 하고, 상기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A층)보다 무기 미립자 함유량이 적은 다른 층을 B층으로 할 때, 태양광과 직접 접하는 쪽부터 순서대로 A층/B층의 2층, A층/B층/A층의 3층 등의 층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은 2층 구성 또는 3층 구성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층 구성이다.
본 발명의 필름을 2층 구성으로 함으로써, 필름과 각종 기능 부여층이나 충전제층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자외선 등에 의한 열화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상기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A층)에는 어느 정도 높은 농도의 무기 미립자를 첨가시키기 때문에, A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의 경우 표면 조도도 커져버려, 각종 기능 부여층이나 충전제층과의 밀착도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이에 대해 2층 구성으로 하면, 상기 다른 층(B층)에 포함되는 무기 미립자 농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필름을 2층 구성(A층/B층) 또는 3층 구성(A층/B층/A층)으로 하는 경우, 필름 전층에 대해 최외층인 스킨층(A층)의 두께(편면 또는 양면 스킨층 합계 두께)는 5~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킨층(A층)의 두께 비율은 8%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28%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스킨층의 두께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백색도, 반사율 및 환경 내구성을 모두 겸비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스킨층의 두께 비율이 상기 하한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필름 광열화가 서서히 두께방향으로 진행될 우려가 있다. 한편 스킨층의 두께 비율이 상기 상한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필름 전체의 내가수분해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두께 비율을 만족시키는 2층 구성(A층/B층)이 바람직하다. 광열화는 태양광이 직접 침입하는 쪽의 최외층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서서히 진행된다. 이 때문에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은 몇 층으로 나눠 설치하기보다도, 태양광이 직접 침입하는 쪽의 최외층에 한 층 설치함으로써 이 층에 효율적으로 광열화 방지기능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층에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을 배치한 경우에는, 최외층이 빛으로 수지 열화됨으로써 필름 박리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그러한 관점으로부터도,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은 태양광이 직접 침입하는 쪽의 최외층에만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은 2층 구성으로 하고, 태양광이 직접 침입하는 쪽의 최외층에 무기 미립자 함유량을 집중시켜, 필름 전체로서는 무기 미립자 함유량을 낮게 억제함으로써 높은 백색도, 광반사율, 내UV성(내광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고도로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기 미립자 함유량이 적은 다른 층>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을 최외층으로서 포함하는 2층 이상의 적층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 이외의 층으로서 무기 미립자 함유량이 적은 다른 층을 포함한다. 이 다른 층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상기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보다 적으면 되고,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과의 차가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기 미립자 함유량이 적은 다른 층」은 0.5 질량% 이상 2 질량% 이하의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질량% 이상 1.8 질량% 이하이다. 이와 같이 다른 층에 무기 미립자를 소량 함유시킴으로써 내광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무기 미립자 함유량이 적은 다른 층」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1 ㎛ 이상, 7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름 표면 강도를 높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무기 미립자 함유량이 적은 다른 층」은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기포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미립자 함유량이 적은 다른 층」에 사용되는 무기 미립자의 종류는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티탄, 실리카,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내광성 등의 관점에서 전술한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에 사용되는 이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술한 무기 미립자 I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 전체에 차지하는 무기 미립자의 총 함유량은 2~10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이다.
<기능 부여층>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층 구성을 갖는데, 이접착성, 절연성, 내찰상성 등의 각종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 그 표면이 코팅 등에 의해 고분자 수지의 피복층으로 피복되어도 된다. 또한 이활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피복층에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가 포함되어도 된다.
상기 요구 특성 중 필름에 이접착성이 요구되는 경우,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성 도포액을 사용하여 상기 피복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도포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56792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589232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589233호 공보 등에 개시된 수성 도포액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EVA(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나 PVB(polyvinyl butyral) 등의 올레핀 수지의 충전제층과 접하는 면에 사용하는 경우, 충전제층에 대한 이접착성을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 수성 도포액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그중에서도 내열성,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하고, 태양광에 의한 황변 방지의 관점에서, 지방족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수지를 수성 도포액에 함유시킴으로써 필름의 습열하에서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방족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로서는 지방족계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이나 지방족계 폴리카보네이트트리올 등을 들 수 있는데, 지방족계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500~4,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3,000이다. 지방족계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의 수 평균 분자량이 1,500보다 작으면, 강경한 우레탄 성분이 증가하여 기재의 열수축에 의한 응력을 완화시킬 수 없어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수 평균 분자량이 4,000을 초과하면 접착성과 고온고습 처리 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지방족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의 몰비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100 몰%로 했을 때 3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5 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몰비가 3 몰% 미만인 경우는 수분산성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60 몰%를 초과하면 내수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내습열성이 저하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0℃ 미만이 바람직하고, -5℃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가압 접착 시에 부분적으로 용융된 EVA나 PVB 등의 올레핀 수지와 점도가 가까워져, 부분적 혼합에 의해 접착성이 향상되어 적합한 유연성을 나타내기 쉽다.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각층 형성용 폴리에스테르 칩을 각각의 압출기에 공급한 후, 용융 상태에서 적층하여 동일 다이로부터 압출하는 공압출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을 포함하는 2층 구성의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무기 미립자를 많이 포함한 폴리에스테르 칩(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용 수지 칩)과, 이것보다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 칩(다른 층용 수지 칩)을 각각의 압출기에 공급한 후, 용융 상태에서 적층하여 동일 다이로부터 압출하면 된다.
여기서, 각 폴리에스테르 칩을 압출기에 공급할 때 산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모두 충분히 건조된 폴리에스테르 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칩의 수분량은 100 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0 pp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칩의 건조방법은 감압 건조나 가열 건조 등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 건조의 경우, 가열 온도는 100~200℃가 바람직하고, 120~180℃가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시간은 1시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3시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시간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기 내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칩의 용융 온도는 280~310℃가 바람직하고, 29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융 온도를 올림으로써 압출기 내에서의 여과 시 배압이 저하되어 양호한 생산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용융 온도가 310℃보다도 높아지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열화가 진행되어 상기 수지의 산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얻어진 필름의 내가수분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어서 각각의 압출기에서 용융한 각 층 형성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 상태에서 적층하여 동일 다이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냉각롤로 인취(引取)함으로써 미연신 필름을 형성한다.
얻어진 미연신 필름은 이축 배향 처리에 의해 연신한다. 연신방법으로서는,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가열 롤이나 비접촉 히터로 가열한 후 속도차를 가진 롤 사이에서 연신(롤 연신)을 행하고, 이어서 클립으로 일축 연신한 필름의 양단부를 파지하여 오븐 내에서 가열한 후에 폭방향으로 연신(텐터 연신)을 행하며, 추가로 높은 열을 가하여 열고정을 행하는 축차 이축 연신법;종방향, 횡방향으로 동시에 연신을 행할 수 있는 기구를 갖는 텐터로 연신(텐터 동시 이축 연신)을 행하는 동시 이축 연신법;공기압으로 확장시키는 것에 의한 연신을 행하는 인플레이션 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연신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필름의 파단 신도를 적합하게 유지하기 위해, 종횡의 연신 배율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종횡의 배향 균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에 고도의 열 치수 안정성이 요구되는 경우는 필름에 세로 완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 완화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텐터의 클립 간격을 서서히 좁게 하여 세로 완화 처리를 행하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고 평4-028218호 공보)이나, 텐터 내에서 면도칼을 넣어 필름의 단부를 절단하여 클립의 영향을 피해 세로 완화 처리를 행하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고 소57-54290호 공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에서 열을 가하여 완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연신 공정에 있어서 연신 조건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필름에 고도의 열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름에 각종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 표면에 코팅 등에 의해 고분자 수지의 피복층을 형성하거나, 당해 피복층 중에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각종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접착성 등을 부여하기 위한 피복층을 형성하는 경우는, 피복층을 필름 제막 후(오프라인 코트법)에 설치해도 되고, 필름 제막 중(인라인 코트법)에 설치해도 된다. 생산성 측면에서는 피복층을 필름 제막 중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백색도는 5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백색도가 50 미만인 경우는 은폐성이 떨어지거나, 태양전지 모듈 가공 시에 육안으로의 필름 확인이 곤란해져 가공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파장 400~800 ㎚의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5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평균 반사율은 높을수록 좋으나, 현실적으로는 95% 정도가 상한이다. 반사율이 50% 미만인 경우, 필름 자체 및 태양전지 내부 소재의 빛에 의한 열화가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산가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1~50 eq/ton의 범위이고, 이로써 태양전지용 부재로서 고도의 내가수분해성이 얻어진다. 상기 산가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2 eq/ton 이상이 바람직하고, 3 eq/ton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40 eq/ton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eq/to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생산성의 관점에서 산가는 1 eq/ton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산가가 50 eq/ton보다 큰 경우, 반대로 필름의 내가수분해성이 저하되어 조기 열화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30~380 ㎛로 한다. 35 ㎛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3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동시에 경량화와 박막화되기 쉽다. 이에 대해 필름의 두께가 380 ㎛보다 큰 경우는 경량화와 박막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한편 30 ㎛보다 작은 경우는 전기 절연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옥외에서의 장기 사용에 견딜 수 있는 높은 내가수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가수분해성의 평가 지표로서 촉진 가수분해 시험(121℃, 100%RH, 0.03 ㎫, 48시간 처리) 후의 필름의 파단 신도 유지율을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광 조사하에서도 광분해와 열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옥외에서의 장기 사용에 견딜 수 있는 우수한 내광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광성의 평가 지표로서 촉진 광열화 시험(63℃, 50%RH, UV 조사 강도 mW/㎠, 100시간 조사) 후의 필름의 파단 신도 유지율을 35%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은 옥외에서 사용되는 태양전지의 이면 봉지 시트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상기 촉진 광열화 시험 후의 컬러 b*값의 변화는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다. 컬러 b*값의 변화가 12보다 큰 경우는 경년 변화에 의해 외관이 나빠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미세한 기포를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필름 전체의 겉보기 밀도는 1.3 g/㎤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g/㎤ 이상이다. 겉보기 밀도가 1.3 g/㎤ 미만인 경우, 필름 중에 공동이 생기기 때문에 내가수분해성이 떨어진다. 한편 겉보기 밀도가 1.5 g/㎤를 초과하면 필름 중 무기 미립자의 양이 많아져 내가수분해성이 떨어진다. 겉보기 밀도는 1.5 g/㎤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g/㎤ 이하이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50℃, 30분에서의 열수축률은 길이방향에서 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가열 가공 시나 적층 상태에서의 컬의 발생 등이 억제된다. 이에 대해 열수축률이 0.2% 미만이면 가공 시에 필름이 휘는 경우가 있다. 한편 3.0%보다 큰 경우는 가공 시의 수축이 커서 빨래판 형상의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150℃에서의 열수축률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연신 조건을 제어하는 방법, 또는 열고정 공정에 있어서 세로 완화 처리 및 가로 완화 처리를 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횡의 배향 균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름 두께를 50 ㎛로 환산했을 때의 MOR값(MORC-C)이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1.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필름 종횡의 배향 균형이 조정되어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이 유지되기 쉽다. 또한 적층 시 컬의 발생이 억제되고 밀착성도 향상된다. MOR-C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연신 공정에 있어서 종횡의 연신 배율의 비를 제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추가로 다른 층과 적층하여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을 갖는 쪽과는 반대쪽 필름 표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대쪽 필름 표면의 3차원 표면 조도(SRa)는 0.1 ㎛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광성 및 내가수분해성으로 대표되는 환경 내구성, 백색도 및 광반사성을 모두 겸비하고 있고, 또한 우수한 전기 절연성도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의 내구층(내가수분해층), 백색층 및 절연층을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에 사용함으로써 경량화와 박막화에 대응할 수 있다.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나 플렉시블 전자부재 첩합재(貼合材)의 기재 필름(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필름은 높은 환경 내구성이 요구되는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란, 태양전지 모듈의 충전제층에 접하는 쪽 면 및/또는 태양전지 모듈의 최외면에 사용함으로써 태양전지 안쪽의 태양전지 모듈을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독 또는 2장 이상을 첩합하여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배리어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수증기 배리어성 필름이나 알루미늄박 등의 수증기 배리어층을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증기 배리어층의 적층 형태로서는 접착층을 매개로 적층하는 구조, 직접 적층하는 구조, 샌드위치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증기 배리어성 필름으로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코트 필름, 산화규소 증착 필름, 산화알루미늄 증착 필름, 알루미늄 증착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
본 발명에서 말하는 태양전지 모듈이란, 태양광, 실내광 등의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말하고, 상기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에 인접한 충전제층 및 충전제층에 매설된 태양전지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제층에 사용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EVA나 PVB 등의 올레핀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은 표면 보호 시트, 고광선 투과재 등을 포함해도 되고, 용도에 따라 플렉시블 성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출원은 2015년 3월 2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5-05768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다. 2015년 3월 2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5-057684호의 명세서 전체 내용이 본 출원에 참고를 위해 원용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후기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실시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측정·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무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
전술한 방법으로 무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을 산출하였다.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IV)>
폴리에스테르를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의 6/4(질량비) 혼합 용매에 용해하여 온도 30℃에서 고유 점도를 측정하였다. 미립자 함유 마스터배치 및 필름의 경우는 원심분리에 의해 고형분을 제거한 후, 고유 점도를 측정하였다.
<디에틸렌글리콜(DEG)의 함유량>
폴리에스테르 0.1 g을 메탄올 2 ㎖ 중에 250℃에서 가열 분해시킨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였다.
<산가>
필름 또는 원료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는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시료의 조제
필름 또는 원료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분쇄하고 70℃에서 24시간 진공건조를 행한 후, 저울을 사용하여 0.20 g±0.0005 g의 범위로 무게를 달아 그때의 질량을 W(g)로 하였다. 시험관에 벤질알코올 10 ㎖와 무게를 단 시료를 첨가하고, 시험관을 205℃로 가열한 벤질알코올 배쓰에 침지하여, 유리막대로 교반하면서 시료를 용해시켜, 용해 시간을 3분간, 5분간, 7분간으로 했을 때의 샘플을 각각 A, B, C로 하였다. 이어서 새로 시험관을 준비하여 벤질알코올만을 넣고, 동일한 절차로 처리하여, 용해 시간을 3분간, 5분간, 7분간으로 했을 때의 샘플을 각각 a, b, c로 하였다.
(2) 적정
사전에 팩터(NF)를 알고 있는 0.04 mol/L의 수산화칼륨 용액(에탄올 용액)을 사용해서 적정하였다. 지시약인 페놀레드가 황녹색에서 담홍색으로 변화된 지점을 종점으로 하여 수산화칼륨 용액의 적정량을 구하였다. 샘플 A, B, C의 적정량을 XA, XB, XC(㎖)로 하고, 샘플 a, b, c의 적정량을 Xa, Xb, Xc(㎖)로 하였다.
(3) 산가의 산출
각 용해 시간에 대한 적정량 XA, XB, XC로부터 최소 제곱법에 의해 용해 시간 0분에서의 적정량 V(㎖)를 구하였다. 동일하게 Xa, Xb, Xc로부터 용해 시간 0분에서의 적정량 VO(㎖)를 구하였다. 이어서 다음 식에 따라 산가(eq/ton)를 구하였다.
Figure 112017097427742-pct00001
<필름의 겉보기 밀도>
필름의 겉보기 밀도는 JIS K 7222 「발포 플라스틱 및 고무-겉보기 밀도의 측정」에 준거해서 측정하였다. 단, 표기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얻어진 겉보기 밀도의 단위를 g/㎤로 환산하였다.
<필름의 백색도>
필름의 백색도는 JIS L 1015-1981-B법으로 닛폰 덴쇼쿠 공업사 제조의 Z-1001DP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필름의 평균 반사율>
분광광도계(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제작소 제조, 자기 분광광도계 「UV-3150」)에 적분구를 장착하고, 표준 백색판(Sphere Optics사 제조, 백색 표준판 「ZRS-99-010-W」)의 반사율을 100%로 해서 교정하여 분광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파장 400~800 nm의 영역에서 1 nm 간격으로 행하여 그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측정에 있어서는 무반사의 검정 대지(臺紙)를 시료 필름 배면에 배치하고, A층 측으로부터 빛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촉진 광열화 시험>
내광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이 슈퍼 UV 테스터(이와사키 전기사 제조, SUV-W151)를 사용하여, 필름의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 측에 63℃, 50%RH, 조사 강도 100 mW/㎠로 100시간의 연속 UV 조사 처리를 행하였다.
<촉진 가수분해 시험>
내가수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JIS C 60068-2-66으로 규격화되어 있는 HAST(Highly Accelerated temperature humidity Stress Test)를 행하였다. 상세하게는 시료 필름을 70 ㎜×190 ㎜로 커트하고, 지그를 사용하여 각각이 접촉하지 않는 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하였다. 다음으로 에스펙사 제조의 EHS-221을 사용하여 121℃, 100%RH, 0.03 ㎫, 48시간 처리를 행하였다.
<파단 신도 유지율>
내광성 및 내가수분해성의 평가는 파단 신도 유지율로 행하였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촉진 광열화 시험 및 촉진 가수분해 시험 각각의 처리 전후의 파단 신도를 JIS C 2318-1997 5.3.31(인장 강도 및 신장률)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하기 식에 따라 파단 신도 유지율(%)을 산출하였다.
Figure 112017097427742-pct00002
내광성은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여 ○ 또는 ◎를 내광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촉진 광열화 시험 후의 신도 유지율이 35% 미만인 것을 ×, 35% 이상 60% 미만인 것을 ○, 60% 이상인 것을 ◎로 하였다.
내가수분해성은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여 ○ 또는 ◎를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촉진 가수분해 시험 후의 신도 유지율이 60% 미만인 것을 ×, 60% 이상 80% 미만인 것을 ○, 80% 이상인 것을 ◎로 하였다.
<컬러 b*값의 변화>
시료 필름을 40 ㎜×40 ㎜로 커트하고, X=94.19, Y=92.22, Z=110.58의 표준 백판을 사용하여, 컬러 b*값 색차계(닛폰 덴쇼쿠 공업사 제조, ZE-2000)로 촉진 광열화 시험 전후의 시료 필름의 컬러 b*값을 JIS K 7105-1981 5.3.5(a)에 준거해서 측정하였다. 하기 식에 따라 컬러 b*값의 변화를 구하였다.
Figure 112017097427742-pct00003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기준으로 컬러 b*값의 변화를 측정했을 때 ○ 또는 ◎를 외관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컬러 b*값의 변화가 12보다 높은 것을 ×, 5~12인 것을 ○, 5 미만인 것을 ◎로 하였다.
<길이방향의 150℃에서의 열수축률(HS150)>
시료 필름을 10 ㎜×250 ㎜로 커트하고, 장변을 측정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춰 200 ㎜ 간격으로 표시를 하여, 5 g의 일정 장력하에서 표시의 간격 A를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시료 필름을 무하중으로 150℃ 분위기의 오븐 중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오븐에서 꺼내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그 후, 5 g의 일정 장력하에서 표시의 간격 B를 구하고, 하기 식에 의해 열수축률(%)을 구하였다. 또한 상기 열수축률은 시료 필름의 폭방향으로 3등분한 위치에서 측정하고, 3점의 평균값을 소수점 아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까지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Figure 112017097427742-pct00004
<표면 강도>
5 ㎝×20 ㎝로 잘라낸 시료 필름을 폴리에스테르 양면 점착 테이프 A를 사용하여,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 측이 바깥쪽이 되도록 평판 유리에 전면 접착하였다. 시료 필름의 표면에 폭 24 ㎜의 점착 테이프 B(니치반사 제조, 셀로테이프(등록상표))를 길이 35 ㎜에 걸쳐 첩부(貼付)하고 1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점착 테이프 B를 유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한번에 떼어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 측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점착 테이프 B의 박리부 면적의 50% 이상에서 시료 필름 표면이 벗겨진 것을 「박리」로 하고, 5회 이상의 반복에서 「박리」 빈도가 반수 미만인 경우를 「○」(표면 강도가 우수함), 반수 이상인 경우를 「×」(표면 강도가 떨어짐)로 평가하였다.
<전사자국 은폐성>
필름을 100 ㎜×100 ㎜, 아래의 EVA 시트를 70 ㎜×90 ㎜로 각각 잘라낸 것을 준비하고, 필름/EVA 시트/유리의 구성으로 포개어 적층물을 제작하였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어느 필름도 B층이 EVA 시트에 대향하도록 설치하였으나, 실시예 9만 A층의 한쪽 면이 EVA 시트에 대향하도록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물의 양면에 엠보스 시트를 배치하고, 후기하는 샘플 제작 조건으로 상기 적층물을 가열 압착하여 필름에 요철이 전사된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샘플면에 대해 광원(형광등)을 빛의 입사각이 45도가 되도록 배치하여, 육안으로 표면 요철의 보이기 어려움을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아래와 같고, △ 또는 ○를 전사자국 은폐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전사자국이 보이지 않음
△:전사자국이 약간 보임
×:전사자국이 명료하게 보임
(샘플의 제작 조건)
장치:진공 라미네이터(엔·피·씨사 제조, LM-30×30형)
엠보스 시트:진공 라미네이터 부속품(엔·피·씨사 제조, 유리직물 시트)
가압:1기압
EVA 시트:산빅사 제조, 울트라펄(등록상표) PV(0.4 ㎜)
라미네이트 공정:100℃(진공 5분, 진공 가압 5분)
큐어 공정:열처리 150℃(상압 45분)
<무기 미립자 집중 함유층(A층)의 돌기 분포의 반치폭 측정>
전술한 방법으로 A층의 돌기 분포의 반치폭(㎚)을 측정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펠릿의 제조>
(1) PET 수지 펠릿(PET-I)의 제조
에스테르 반응관을 승온시켜 2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테레프탈산 86.4 질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64.4 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넣고,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을 0.017 질량부 및 트리에틸아민을 0.16 질량부 첨가하였다. 이어서 가압 승온을 행하여 게이지압 3.5 kgf/㎠(343 kPa)·240℃의 조건에서 가압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였다. 그 후, 에스테르 반응관 내를 상압으로 되돌리고, 초산마그네슘 사수화물 0.071 질량부, 이어서 인산트리메틸 0.014 질량부를 첨가하였다. 추가로 15분에 걸쳐 260℃로 승온시키고, 인산트리메틸 0.012 질량부, 이어서 초산나트륨 0.0036 질량부를 첨가하였다. 15분 후,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 반응관에 이송하고, 감압하 260℃에서 280℃로 서서히 승온시켜 285℃에서 중축합 반응을 행하였다.
중축합 반응 종료 후, 95% 커트 직경이 5 ㎛인 나슬론(등록상표)제 필터로 여과 처리를 행하여, 노즐로부터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고, 사전에 여과 처리(공경:1 ㎛ 이하)를 행한 냉각수를 사용하여 냉각, 고화시켜, 펠릿 형상으로 커트하였다. 얻어진 PET 수지 펠릿(PET-I)의 고유 점도는 0.62 ㎗/g이고, 산가는 15.1 eq/ton이며, 불활성 입자 및 내부 석출 입자는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았다.
(2) PET 수지 펠릿 II(PET-II)의 제조
PET 수지 펠릿 I(PET-I)을 사전에 160℃에서 예비 결정화시킨 후, 온도 220℃의 질소 분위기하에서 고상 중합하여, 고유 점도 0.71 ㎗/g, 산가 11 eq/ton의 PET 수지 펠릿 II(PET-II)를 얻었다.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의 제조>
(1)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SiO2 MB-I)의 제조
상기 PET 수지 펠릿 I의 제조 시에 평균 입경 2.7 ㎛(전자현미경법으로 구한 값)의 SiO2 입자를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20,000 ppm의 비율로 첨가하여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SiO2 MB-I)을 얻었다. 상기 펠릿 I의 고유 점도는 0.62 ㎗/g, 산가는 17 eq/ton이었다.
(2)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I(SiO2 MB-II)의 제조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SiO2 MB-I)을 사전에 160℃에서 예비 결정화시킨 후, 온도 220℃의 질소 분위기하에서 고상 중합하여 고유 점도 0.71 ㎗/g, 산가 11 eq/ton의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I(SiO2 MB-II)를 얻었다. 상기 펠릿 II의 고유 점도는 0.71 ㎗/g, 산가는 11 eq/ton이었다.
(3)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II(SiO2 MB-III)의 제조
상기 PET 수지 펠릿 I의 제조 시에 평균 입경 6.5 ㎛(전자현미경법으로 구한 값)의 SiO2 입자를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20,000 ppm의 비율로 첨가하여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을 사전에 160℃에서 예비 결정화시킨 후, 온도 220℃의 질소 분위기하에서 고상 중합하여 표 1에 나타내는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II(SiO2 MB-III)를 얻었다. 상기 펠릿 III의 고유 점도 및 산가도 상기 펠릿 II와 동일하였다.
(4)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V(SiO2 MB-IV)의 제조
상기 PET 수지 펠릿 I의 제조 시에 평균 입경 1.7 ㎛(전자현미경법으로 구한 값)의 SiO2 입자를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20,000 ppm의 비율로 첨가하여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을 사전에 160℃에서 예비 결정화시킨 후, 온도 220℃의 질소 분위기하에서 고상 중합하여 표 1에 나타내는 SiO2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V(SiO2 MB-IV)를 얻었다. 상기 펠릿 IV의 고유 점도 및 산가도 상기 펠릿 II와 동일하였다.
<산화티탄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의 제조>
(1) 산화티탄 미립자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TiO2 MB-I)의 제조
원료로서 사전에 120℃에서 8시간, 10-3 torr(약 0.133 ㎩)하에서 건조한 PET 수지 펠릿 I(PET-I) 50 질량%에, 평균 입경 0.3 ㎛(전자현미경법으로 구한 값)의 루틸형 이산화티탄 50 질량%를 혼합한 것을 벤트식 이축 압출기에 공급하여, 혼련하고 탈기하면서 275℃에서 압출하여 루틸형 이산화티탄 미립자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TiO2 MB-I)을 얻었다. 이 펠릿 I의 고유 점도는 0.45 ㎗/g, 산가는 42.2 eq/ton이었다.
(2) 산화티탄 미립자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 II(TiO2 MB-II)의 제조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펠릿을 사용하여 회전형 진공 중합장치에서 0.5 ㎜Hg의 감압하 220℃에서 고상 중합을 행하여, 고유 점도 0.71 ㎗/g, 산가 23.5 eq/ton의 마스터배치 펠릿 II(TiO2 MB-II)를 얻었다.
<제올라이트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의 제조>
원료로서 사전에 120℃에서 8시간, 10-3 torr(약 0.133 ㎩)하에서 건조한 PET 수지 펠릿 I(PET-I) 90 질량%에, 평균 입경 2.4 ㎛(전자현미경법으로 구한 값)의 제올라이트 10 질량%를 혼합한 것을 벤트식 이축 압출기에 공급하여, 혼련하고 탈기하면서 275℃에서 압출하여 얻어진 펠릿을 사용하여 회전형 진공 중합장치에서 0.5 ㎜Hg의 감압하 220℃에서 고상 중합을 행하여, 고유 점도 0.71 ㎗/g, 산가 23.5 eq/ton의 제올라이트 함유 마스터배치 펠릿(제올라이트 MB)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종 마스터배치 펠릿의 입경, 고유 점도 및 산가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중 TiO2 MB-II 항목 및 SiO2 MB-II 항목에 있어서, 괄호 안에 기재된 수치는 A층 중 무기 미립자 I 및 무기 미립자 II의 농도를 각각 나타낸다.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하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6의 필름을 아래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필름의 원료 조성을 상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1
PET-II를 44 질량%, TiO2 MB-II를 36 질량%, SiO2 MB-II를 20 질량% 혼합한 미립자 집중 함유층(A층)의 원료와, PET-II를 97 질량%, TiO2 MB-II를 3 질량% 혼합한 다른 층(B층)의 원료를 각각의 압출기에 투입하여 285℃에서 혼합한 후, 용융하고, 계속해서 피드블록을 사용하여 A층/B층이 되도록 용융 상태에서 접합하였다. 이때 A층과 B층의 토출량 비율은 기어펌프를 사용해서 제어하였다. 이어서 T-다이를 사용하여 30℃로 조절된 냉각 드럼 상으로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가열 롤을 사용하여 75℃로 균일 가열하고, 비접촉 히터로 100℃로 가열하여 3.3배의 롤 연신(종연신)을 행하였다. 얻어진 일축 연신 필름을 텐터에 유도하고, 140℃로 가열하여 4.0배로 횡연신하고, 폭을 고정하여 215℃에서 5초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추가로 210℃에서 폭방향으로 4% 완화시킴으로써, 두께 50 ㎛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롤을 얻었다.
실시예 2~7
A층, B층의 원료 조성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롤을 얻었다.
실시예 8
필름의 총 두께를 38 ㎛로 변경하고, A층, B층의 원료 조성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롤을 얻었다.
실시예 9
층 구성을 A층, B층, A층 순의 적층 구조로 변경하고, A층, B층의 원료 조성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롤을 얻었다.
비교예 1~6
A층, B층의 조성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롤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6에서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99996378-pct00010
Figure 112020099996378-pct00011
Figure 112020099996378-pct00012
Figure 112017097427742-pct00008
Figure 112017097427742-pct00009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양호한 백색도, 광반사성, 환경 내구성을 갖는 동시에 전사자국 은폐성도 겸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환경 내구성이 우수하고, 저렴하며 경량의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백색도가 50 이상, 파장 400~800 ㎚의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50~95%, 산가가 1~50 eq/ton, 두께가 30~380 ㎛인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은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10~38 질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A를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으로 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A의 표면에 있어서 돌기 높이에 대한 돌기 개수 밀도를 플로팅한 돌기 분포의 반치폭이 200~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A보다도 무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B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A가 태양광에 직접 접하는 쪽의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에 배치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A가 2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층이고,
    상기 2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 중 적어도 2종의 무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의 차가 1.7 ㎛ 이상인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A가 평균 입경이 0.1 ㎛~1.7 ㎛인 무기 미립자 I 및 평균 입경이 1.8 ㎛~7.0 ㎛인 무기 미립자 II를 함유하고, 상기 무기 미립자 I과 상기 무기 미립자 II의 평균 입경의 차가 1.7 ㎛ 이상인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A가 루틸형을 주체로 하는 이산화티탄을 적어도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A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B는 황산바륨을 포함하지 않는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A의 두께는 상기 무기 미립자 II의 평균 입경보다도 두꺼운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겉보기 밀도가 1.3 g/㎤ 이상인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10. 제9항에 기재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에 인접한 충전제층 및 충전제층에 매설된 태양전지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20177028597A 2015-03-20 2016-03-15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를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KR102434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7684 2015-03-20
JPJP-P-2015-057684 2015-03-20
PCT/JP2016/058090 WO2016152638A1 (ja) 2015-03-20 2016-03-15 太陽電池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裏面封止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773A KR20170128773A (ko) 2017-11-23
KR102434140B1 true KR102434140B1 (ko) 2022-08-18

Family

ID=5697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597A KR102434140B1 (ko) 2015-03-20 2016-03-15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를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75943B2 (ko)
EP (1) EP3273488B1 (ko)
JP (1) JP6708206B2 (ko)
KR (1) KR102434140B1 (ko)
CN (1) CN107408595B (ko)
TW (1) TWI684523B (ko)
WO (1) WO2016152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7379B1 (en) * 2012-03-14 2020-02-26 Toyobo Co., Ltd. Sealing sheet for back surfac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9878A (ja) * 2008-10-22 2010-05-06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および太陽電池用
WO2013051661A1 (ja) * 2011-10-07 2013-04-11 東洋紡株式会社 太陽電池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裏面封止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3923A1 (de) * 1983-04-16 1984-10-18 Hoechst Ag, 6230 Frankfurt Polyesterrohstoff, daraus hergestellte formkoerper, vorzugsweise eine folie, sowie verwendung der formkoerper
US4568646A (en) * 1983-04-25 1986-02-04 American Cyanamid Company Preparation of antibiotic LL-D05139β from cultures of Glycomyces harbinensis, gen. nov., sp. nov.
EP0261430B1 (en) * 1986-08-27 1999-11-24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H01247428A (ja) * 1988-03-30 1989-10-03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5051292A (en) * 1989-02-01 1991-09-24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film of polyethylene-2,6-naphthalate
JPH0768370B2 (ja) * 1989-02-16 1995-07-26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057893B2 (ja) * 1992-04-28 2000-07-04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H11261085A (ja) 1998-03-10 1999-09-2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
JP3434701B2 (ja) * 1998-04-06 2003-08-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分離シート、光学シート積層体、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表示装置
JP2000114565A (ja) 1998-09-30 2000-04-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34771A (ja) 2000-10-23 2002-05-10 Toppa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
JP2004247390A (ja) 2003-02-12 2004-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ル用裏面保護シ−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太陽電池モジュ−ル
JP2006270025A (ja) 2005-02-22 2006-10-05 Toray Ind Inc 太陽電池用熱可塑性樹脂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
JP2007156132A (ja) * 2005-12-06 2007-06-21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5204375B2 (ja) 2006-01-06 2013-06-05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保護膜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208179A (ja) 2006-02-06 2007-08-16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太陽電池裏面保護膜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および太陽電池裏面保護膜
US7872092B2 (en) * 2006-03-14 2011-01-18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resin sheet for photovoltaic batteries, laminate formed by using the same, photovoltaic battery backside protection sheet, and module
JP4849026B2 (ja) * 2006-09-12 2011-12-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85270A (ja) 2006-09-29 2008-04-10 Toray Ind Inc 太陽電池裏面封止用フィルム
US8216704B2 (en) * 2007-06-13 2012-07-10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film
JP2009015962A (ja) * 2007-07-04 2009-01-22 Fujifilm Corp 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EP2415599B1 (en) * 2009-03-31 2016-07-13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protection of solar cell undersides
EP2484716B1 (en) * 2009-09-29 2018-02-21 Toyobo Co., Ltd. Polyester film for solar cells
JP4947194B2 (ja) * 2009-09-30 2012-06-06 東洋紡績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保護膜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1118305A1 (ja) * 2010-03-23 2011-09-29 東レ株式会社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光反射板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KR101482472B1 (ko) * 2010-07-14 2015-01-14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태양전지 이면 봉지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US9140831B2 (en) * 2010-09-16 2015-09-22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optical membe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3120313A (ja) 2011-12-08 2013-06-17 Toray Ind Inc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2827379B1 (en) * 2012-03-14 2020-02-26 Toyobo Co., Ltd. Sealing sheet for back surfac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KR101353432B1 (ko) * 2012-06-04 2014-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전지 모듈
JP2015057814A (ja) * 2013-05-31 2015-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9878A (ja) * 2008-10-22 2010-05-06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および太陽電池用
WO2013051661A1 (ja) * 2011-10-07 2013-04-11 東洋紡株式会社 太陽電池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裏面封止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8595B (zh) 2020-03-10
CN107408595A (zh) 2017-11-28
EP3273488A4 (en) 2018-10-31
WO2016152638A1 (ja) 2016-09-29
KR20170128773A (ko) 2017-11-23
TW201704024A (zh) 2017-02-01
JP6708206B2 (ja) 2020-06-10
EP3273488B1 (en) 2021-05-05
US20180062013A1 (en) 2018-03-01
TWI684523B (zh) 2020-02-11
US10475943B2 (en) 2019-11-12
EP3273488A1 (en) 2018-01-24
JPWO2016152638A1 (ja)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6987B2 (en) Sealing sheet for back surface of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JP5835667B2 (ja) 太陽電池裏面封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3024902A1 (ja)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288068B1 (ja) 太陽電池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裏面封止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200079788A (ko) 박막 태양광모듈의 전면 유리 대체용 복합 플라스틱 필름
KR102434140B1 (ko) 태양전지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를 사용한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JP5793390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014616B2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139036A (ja) 太陽電池用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シート
JP2012064927A (ja) 太陽電池用易接着性黒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シート
KR20120026586A (ko) 조면화된 백 라이트 유닛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 필름
KR20120054575A (ko) 적층체형 백 라이트 유닛용 반사 시트
JP201713513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
JP2012218153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