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214B1 - 안내 렌즈 삽입기 - Google Patents

안내 렌즈 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214B1
KR102431214B1 KR1020187036366A KR20187036366A KR102431214B1 KR 102431214 B1 KR102431214 B1 KR 102431214B1 KR 1020187036366 A KR1020187036366 A KR 1020187036366A KR 20187036366 A KR20187036366 A KR 20187036366A KR 102431214 B1 KR102431214 B1 KR 10243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ocular lens
accessory member
inserter
nozzle
inser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236A (ko
Inventor
요시타카 와타나베
샤오샤오 장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1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pushable plu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a two-stage plunger, e.g. rotatable and pushable or rotatable at different spe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8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a separate cartridge or other lens setting part for storage of a lens, e.g. preloadable for sh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25Dosing
    • A61M5/31528Dosing by means of rotational movements, e.g. screw-thread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3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filiform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Abstract

안내 렌즈를 안내에 삽입하기 위한 안내 렌즈 삽입기로서, 삽입기 본체 (5) 와, 삽입기 본체 (5) 의 선단부에 장착됨과 함께, 노즐부 (7b) 를 갖는 삽입통 (7) 과, 노즐부 (7b) 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배치되는 돌출면을 갖는 부속 부재 (16) 를 구비한다. 부속 부재 (16) 는, 슬리브부 (16a) 와 계착부 (16b) 를 갖고, 삽입통 (7)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안내 렌즈 삽입기{INTRAOCULAR LENS INJECTOR}
본 발명은 안내 (眼內) 렌즈를 안구의 내부 (안내) 에 삽입할 때에 사용되는 안내 렌즈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 수술에 있어서는, 초음파 유화술에 의한 혼탁한 수정체의 제거, 및 수정체 제거 후의 안내에 대한 매식 (埋植) 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인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성 (軟性) 의 안내 렌즈를, 안내 렌즈 삽입기를 사용하여 안내에 삽입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안내 렌즈 삽입기에 관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삽입기 본체에 삽입통을 형성함과 함께, 삽입통에 노즐부를 형성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실제 수술시에는, 삽입통의 노즐부를 안구의 절개창 (切開創) 에 꽂아넣고, 이 상태에서 안내 렌즈 삽입기의 로드에 의해 안내 렌즈를 노즐부로부터 방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 에는, 안내 렌즈의 삽입에 사용하는 카트리지의 구성으로서, 노즐부의 외면에 둘레 가장자리 돌기를 형성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에서는, 안구의 절개창에 노즐부를 삽입할 때에 둘레 가장자리 돌기가 안구의 표면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노즐부가 절개창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77845호 일본 특허공보 제4685897호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기술에는, 각각에 상이한 장점이 있다.
즉,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노즐부의 외면에 둘레 가장자리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안구의 절개창에 노즐부를 깊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안구의 절개창에 노즐부를 깊게 삽입하는 경우에는, 얕게 삽입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확실하게 안내 렌즈를 수정체낭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렌즈 삽입기로 안내에 삽입한 안내 렌즈를 수정체낭에 수용하기 위해서 핀셋 등으로 조작하는 수고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노즐부의 외면에 둘레 가장자리 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구의 절개창에 노즐부를 얕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안구의 절개창에 노즐을 얕게 삽입하는 경우에는, 깊게 삽입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작은 절개창을 통해서 안내 렌즈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절개창의 사이즈를 작게 하여 수술 후의 폐쇄성을 양호하게 하는, Wound-assisted 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Wound-assisted 법은, 절개창의 터널 부분을 안내 렌즈의 삽입 경로에 사용함으로써, 안내 렌즈의 빠져나감에 필요한 절개창의 사이즈를 축소 가능하게 하는 수술법이다.
이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기술에는, 각각에 상이한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백내장 수술을 실시할 때에 안내 렌즈 삽입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주로 안과의 등의 시술자) 중에는, 안구의 절개창에 대하여 노즐부를 깊게 삽입하는 손기술을 선호하는 사용자와 얕게 삽입하는 손기술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의 손기술의 선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둘레 가장자리 돌기 등이 형성된 노즐부를 구비하는 것과, 둘레 가장자리 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노즐부를 구비하는 것의 양방을 갖추어 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안내 렌즈 삽입술의 손기술의 차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안내 렌즈 삽입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1 양태)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안내 렌즈를 안내에 삽입하기 위한 안내 렌즈 삽입기로서,
노즐부를 갖는 중공체와,
상기 노즐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배치되는 돌출면을 갖는 부속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부속 부재는, 상기 중공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2 양태)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기 부속 부재는, 상기 중공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상기 제 1 양태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3 양태)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부속 부재는, 상기 중공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4 양태)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상기 부속 부재는, 상기 중공체에 장착된 상태인 채로, 상기 중공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제 3 양태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5 양태)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상기 부속 부재에는, 상기 중공체에 계착 (係着) 되는 계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체에는, 상기 계착부에 대응하여 피계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1 ∼ 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6 양태)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상기 계착부는, 상기 피계착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중공체에 대하여 상기 부속 부재를 임시 고정시키는 로크 기구를 갖는
상기 제 5 양태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7 양태)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상기 계착부는, 복수의 걸어맞춤 구멍이 형성된 설편 (舌片) 을 포함하고,
상기 피계착부는,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구멍 중 어느 것에 걸어맞춰지는 걸림 클로를 포함하는
상기 제 5 양태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8 양태)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상기 부속 부재는, 상기 노즐부를 안구의 절개창에 삽입할 때의 삽입량을 상기 돌출면에 의해 제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제 1 ∼ 제 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9 양태)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상기 부속 부재에 관찰창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1 ∼ 제 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10 양태)
본 발명의 제 10 양태는,
상기 돌출면은, 상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찰창은, 상기 돌출면의 절결 부분까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9 양태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11 양태)
본 발명의 제 11 양태는,
상기 돌출면이 연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1 ∼ 제 1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12 양태)
본 발명의 제 12 양태는,
상기 노즐부에는, 상기 중공체의 축 방향을 따라 절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속 부재에는, 상기 노즐부의 외주면이고, 또한, 상기 절입부가 형성된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노즐부의 외주 직경을 축소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1 ∼ 제 1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제 13 양태)
본 발명의 제 13 양태는,
상기 중공체는, 렌즈 설치부를 갖고,
상기 렌즈 설치부에 안내 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 1 ∼ 제 1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렌즈 삽입술의 손기술의 차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A) 에 있어서의 E1-E1 단면도이다.
도 3 은, 삽입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는 삽입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B) 는 (A) 에 있어서의 F1-F1 단면도, (C) 는 (B) 에 있어서의 F2 부 확대도이다.
도 5(A) 는 회전 규제부를 연 상태의 삽입기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 는 (A) 에 있어서의 G 화살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은, 삽입기 본체의 선단 (先端) 부분의 구조 및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삽입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도 8 은, 도 7(B) 에 있어서의 H-H 단면도이다.
도 9 는, 부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부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삼면도로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후면도이다.
도 11 은, 부속 부재를 삽입통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도 12 는, 부속 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바람직한 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축 방향에서 본 단면도, (B) 는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A) ∼ (C) 는 각각 부속 부재의 장착 및 분해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는, 도 2 에 있어서의 E5 부 확대도이다.
도 15 는, 도 2 에 있어서의 E2-E2 단면도이다.
도 16(A) 는 도 2 에 있어서의 E3-E3 단면도이고, (B) 는 도 2 에 있어서의 E4-E4 단면도이다.
도 17 은, 부속 부재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 은, 노즐 부재의 돌출량을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에 있어서 삽입통에 부속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삽입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D) 는 후면도이다.
도 23 은, 부속 부재를 삽입통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도 24(A) 는 도 23 에 있어서의 J2-J2 단면도, (B) 는 도 23 에 있어서의 J1-J1 단면도, (C) 는 (B) 에 있어서의 K 부 확대도이다.
도 25(A) 는 후방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림 구멍을 걸어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 는 중앙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림 구멍을 걸어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C) 는 전방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림 구멍을 걸어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A) 는 본 실시형태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A) 에 있어서의 M-M 단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삽입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A) 는 삽입기 본체에 형성되는 회전 규제부를 연 상태, (B) 는 회전 규제부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삽입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도 30(A)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삽입통을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 는 비스듬한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를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A) 는 삽입통에 장착하기 전의 부속 부재, (B) 는 삽입통에 장착한 후의 부속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도 3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도 33 은, 도 32(B) 에 있어서의 N 화살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의 종단면도로서, 계착부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의 장착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 1) 이다.
도 3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의 장착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 2) 이다.
도 37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통에 부속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면이다.
도 3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통에 장착한 부속 부재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면이다.
도 39(A) ∼ (D)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런저와 회전 규제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안내 렌즈 삽입기의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A) 에 있어서의 E1-E1 단면도이다.
안내 렌즈 삽입기 (1) 는, 안내 렌즈를 안내에 삽입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내 렌즈의 일례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나 연성 아크릴 등의 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피스 타입의 안내 렌즈 (4) (도 6 을 참조) 로서, 광학적 기능을 하는 원형의 광학부 (4a) 와, 이 광학부 (4a) 의 외주부의 2 개 지점으로부터 만곡하여 외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지지부 (4b) 를 갖는 안내 렌즈 (4) 를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각 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나 동작의 방향 등을 설명함에 있어서, X 축 방향의 일방을 X1 방향, 동 (同) 타방을 X2 방향, Y 축 방향의 일방을 Y1 방향, 동 타방을 Y2 방향, Z 축 방향의 일방을 Z1 방향, 동 타방을 Z2 방향, X1 방향을 선단측 (전방), X2 방향을 후단측 (후방), Y1 방향을 좌측 (좌방), Y2 방향을 우측 (우방), Z1 방향을 상측 (상방), Z2 방향을 하측 (하방) 이라고 정의한다. 이 중, X 축 방향 (X1 방향 및 X2 방향) 은,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길이 방향에 상당하고, Y 축 방향 (Y1 방향 및 Y2 방향) 은,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폭 방향에 상당하고, Z 축 방향 (Z1 방향 및 Z2 방향) 은,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높이 방향에 상당한다.
안내 렌즈 삽입기 (1) 는, 삽입기 본체 (5) 와, 슬라이더 (6) 와, 삽입통 (7) 과, 회전 부재 (8) 와, 플런저 (9) 와, 로드 (10) (도 2(C) 참조), 부속 부재 (16) 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구성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수지의 성형품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삽입기 본체 (5) 및 삽입통 (7) 은, 각각 중공 구조를 이루고, 서로 연결됨으로써 중공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슬라이더 (6) 는, 삽입기 본체 (5) 에 장착되어 있다. 삽입통 (7) 은, 삽입기 본체 (5) 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 부재 (8) 는, 삽입기 본체 (5) 의 후단부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플런저 (9) 는, 삽입기 본체 (5) 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 (9) 의 일부는 회전 부재 (8) 를 개재하여 삽입기 본체 (5) 의 내부에 배치되고, 플런저 (9) 의 타부는 회전 부재 (8)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로드 (10) 는, 삽입기 본체 (5) 및 삽입통 (7) 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부속 부재 (16) 는, 소정의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중공체에 부속되어 형성되는 부재이다.
(삽입기 본체)
도 3 은 삽입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4(A) 는 삽입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B) 는 (A) 에 있어서의 F1-F1 단면도, (C) 는 (B) 에 있어서의 F2 부 확대도이다.
삽입기 본체 (5) 는, 전체적으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기 본체 (5) 의 선단부에는 렌즈 설치부 (11) 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렌즈 (4) 는 이 렌즈 설치부 (11) 에 설치된다. 렌즈 설치부 (11) 는, 삽입기 본체 (5) 의 하측의 외주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기 본체 (5) 의 선단측의 외주부에는, 삽입통 연결부 (5a) 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기 본체 (5) 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슬릿 (12) 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 (12) 은 삽입기 본체 (5) 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슬릿 (12) 은, 삽입기 본체 (5) 에 슬라이더 (6) 를 장착하는 경우에, 이 슬라이더 (6) 를 삽입기 본체 (5) 의 축 방향 (중심축 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삽입기 본체 (5) 의 후단은 원형으로 개구하고, 이 개구를 통해서 삽입기 본체 (5) 의 내부에 플런저 (9) 와 로드 (10) 를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삽입기 본체 (5) 의 후단부와 그 근방에는, 회전 규제부 (13) 와, 플랜지부 (14) 와, 회전 지지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규제부 (13) 는, 삽입기 본체 (5) 에 삽입되는 플런저 (9) 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상기 도 4(A) ∼ (C) 는 회전 규제부를 닫은 상태의 삽입기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반해, 도 5(A) 는 회전 규제부를 연 상태의 삽입기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 는 (A) 에 있어서의 G 화살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회전 규제부 (13) 는, 플랜지부 (14) 보다 약간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 규제부 (13) 는, 삽입기 본체 (5) 의 외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 외벽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추지부 (13a) 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 규제부 (13) 에는, 1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13b) 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슬라이딩 가이드 (13b) 의 사이에 오목 형상의 가이드 홈 (13c) 이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13b) 는, 회전 규제부 (13) 를 닫은 상태로 했을 때에 삽입기 본체 (5) 의 통 내에 배치되고, 회전 규제부 (13) 를 연 상태로 했을 때에 삽입기 본체 (5) 의 통 외에 배치된다. 회전 규제부 (13) 의 닫힘 상태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요철의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된다. 또, 그 요철의 끼워맞춤에 의한 유지력에 저항하여 추지부 (13a) 를 중심으로 회전 규제부 (13) 를 회전시키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규제부 (13) 가 열린 상태가 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13b) 의 선단면은 빠짐 방지부 (13d) (도 4(C) 참조) 로 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 (13d) 는, 플런저 (9) 가 삽입기 본체 (5) 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플랜지부 (14) 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푸쉬 방식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가락 (통상적으로는 집게 손가락과 중지) 을 걸기 위한 부분이 된다. 회전 지지부 (15) 는, 플랜지부 (14) 보다 약간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 지지부 (15) 는, 링 형상으로 돌출한 단 부착 구조의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렌즈 설치부 (11)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부 (11a) 와, 렌즈 받이부 (11b) 와, 렌즈 가이드부 (11c) 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받이부 (11b) 는, 안내 렌즈 (4) 를 하방으로부터 받아 지지하는 것이다. 안내 렌즈 (4) 는, 일방의 지지부 (4b) 를 전방, 타방의 지지부 (4b) 를 후방에 배치한 상태로 렌즈 설치부 (11) 에 설치된다. 안내 렌즈 삽입기 (1) 는, 미리 안내 렌즈 (4) 가 삽입기 본체 (5) 의 렌즈 설치부 (11) 에 설치되는 프리로드 타입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내 렌즈 (4) 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구성 요소의 하나가 된다. 단,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프리로드 타입일 필요는 없다.
저면부 (11a) 의 폭 방향의 중앙부는, 조금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렌즈 받이부 (11b) 는, 렌즈 설치부 (11) 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렌즈 받이부 (11b) 는, 저면부 (11a) 보다 한 단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안내 렌즈 (4) 를 렌즈 받이부 (11b) 에 얹어 지지했을 때에, 안내 렌즈 (4) 의 광학부 (4a) 를 저면부 (11a) 에 접촉시키지 않고, 저면부 (11a) 로부터 들뜬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서이다. 렌즈 가이드부 (11c) 는, 렌즈 받이부 (11b) 와 마찬가지로 렌즈 설치부 (11) 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렌즈 가이드부 (11c) 는, 렌즈 받이부 (11b) 에 지지된 안내 렌즈 (4) 의 광학부 (4a) 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렌즈 가이드부 (11c) 는, 렌즈 받이부 (11b) 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렌즈 가이드부 (11c) 의 상단부에는, 삽입기 본체 (5) 의 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경사면 (11d) 과 규제부 (11e)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 (11d) 은, 렌즈 설치부 (11) 에 안내 렌즈 (4) 를 받아들이기 쉽도록 밖열림 형상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 (11d) 은, 삽입기 본체 (5) 의 축 방향에 있어서 규제부 (11e) 보다 렌즈 설치부 (11) 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 (11e) 는, 렌즈 설치부 (11) 의 폭 방향의 중심측으로 밀어내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 (11e) 는, 렌즈 받이부 (11b) 에 지지된 안내 렌즈 (4) 의 상하 방향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슬라이더)
슬라이더 (6) 는, 도 1, 도 2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누름부 (6a) 와, 1 쌍의 날개부 (6b) 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렌즈 누름부 (6a) 는, 슬라이더 (6) 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1 쌍의 날개부 (6b) 는, 슬라이더 (6) 의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렌즈 누름부 (6a) 는, 슬라이더 (6) 를 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설치부 (11) 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 렌즈 (4) 의 광학부 (4a) 의 상방으로 진출하여 배치된다.
1 쌍의 날개부 (6b) 는, 삽입기 본체 (5) 의 외벽 부분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1 쌍의 날개부 (6b) 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사용함에 있어서, 슬라이더 (6) 를 삽입기 본체 (5) 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 (통상적으로는 집게 손가락과 엄지) 이 닿는 부분이 된다. 사용자란, 수술을 실시하는 안과의 등의 시술자나, 시술자를 보조하는 간호사 등을 말한다. 각각의 날개부 (6b) 의 외측의 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나, 슬라이더 (6) 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 (본 형태예에서는 삼각형 화살표)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날개부 (6b) 의 외측의 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기 쉬워지도록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이 만곡 부분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
도 7 은 삽입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또, 도 8 은 도 7(B) 에 있어서의 H-H 단면도이다.
삽입통 (7) 은, 렌즈 설치부 (11) 에 설치된 안내 렌즈 (4) 를 안내에 삽입할 때에, 안내 렌즈 (4) 를 작게 접어 안내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삽입통 (7) 은, 삽입통 (7) 의 내부를 이동하는 안내 렌즈 (4) 의 모습을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 (7) 은, 중공의 삽입통 본체 (7a) 와, 가는 관 형상의 노즐부 (7b) 를 갖고 있다. 삽입통 (7) 은, 삽입기 본체 (5) 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그 때, 삽입기 본체 (5) 의 렌즈 설치부 (11) 는, 거기에 설치된 안내 렌즈 (4) 와 함께, 삽입통 (7) 의 삽입통 본체 (7a) 내에 수용하여 배치된다. 삽입통 본체 (7a) 의 상면에는 주입공 (7c) 이 형성되어 있다. 주입공 (7c) 은, 점탄성 물질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나트륨 등) 을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주입공 (7c) 으로부터 주입되는 점탄성 물질은, 렌즈 설치부 (11) 에 설치되는 안내 렌즈 (4) 에 공급된다.
한편, 삽입통 본체 (7a) 의 후단부는 개구하고 있고, 이 개구부의 주위에 걸림부 (7d) 와 쐐기부 (7e) 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 (7d) 는 상하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쐐기부 (7e) 는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걸림부 (7d) 는, 삽입기 본체 (5) 의 선단부에 삽입통 (7) 을 장착할 때에, 삽입기 본체 (5) 의 삽입통 연결부 (5a) 에 걸리는 부분이 된다. 쐐기부 (7e) 는, 삽입기 본체 (5) 에 삽입통 (7) 을 장착하는 경우에, 삽입기 본체 (5) 의 슬릿 (12) 의 입구 부분에 꽂아넣어지는 부분이 된다.
삽입통 본체 (7a) 는,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서 제 1 부분 (7f) 과 제 2 부분 (7g) 으로 나뉘어진다. 제 1 부분 (7f) 은, 삽입기 본체 (5) 의 렌즈 설치부 (11) 를 수용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것으로, 제 2 부분 (7g) 보다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분 (7g) 은, 제 1 부분 (7f)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삽입통 본체 (7a) 의 내부 공간은, 로드 (10) 로 안내 렌즈 (4) 를 밀어냈을 때에, 안내 렌즈 (4) 를 작게 접기 위해서, 제 1 부분 (7f) 으로부터 제 2 부분 (7g) 에 걸쳐 서서히 좁아져 있다.
삽입통 본체 (7a) 의 제 2 부분 (7g) 에는, 제 1 돌기 (7h) 와, 제 2 돌기 (7i) 와, 제 3 돌기 (7j)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3 개의 돌기 (7h, 7i, 7j) 는,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계착 (係着) 시키기 위해서, 후술하는 계착부 (16b) 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피계착부를 구성한다. 제 1 돌기 (7h) 는, 제 2 부분 (7g) 의 일방 (좌측) 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돌기 (7i) 는, 제 1 돌기 (7h) 의 후방에 인접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돌기 (7i) 는, 제 1 돌기 (7h) 보다 작은 돌출량으로, 제 2 돌기 (7i) 의 일방 (좌측) 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제 3 돌기 (7j) 는, 제 2 부분 (7g) 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돌기 (7j) 는, 제 1 돌기 (7h) 보다 후방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 (7b) 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사용하여 안내 렌즈 (4) 를 안내에 삽입할 때에, 안구의 절개창에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노즐부 (7b) 는, 삽입통 (7) 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 (7b) 는, 삽입통 본체 (7a) 의 제 2 부분 (7g) 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 (7b) 는,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서 보아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 (7b) 의 외주 직경은, 노즐부 (7b) 의 전체 길이 (Ln) 에 걸쳐서 거의 같은 치수로 되어 있다. 노즐부 (7b) 의 선단부는,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비스듬한 단면에서 개구하고 있고, 이 개구를 통해서 안내 렌즈 (4) 가 외부에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노즐부 (7b) 의 하측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절입부 (7k) 가 형성되어 있다. 절입부 (7k) 는, 삽입통 (7)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절입부 (7k) 는, 바람직하게는 도면 예와 같이 V 자형으로 형성하면 된다.
(부속 부재)
도 9 는 부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10 은 부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삼면도로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후면도이다.
부속 부재 (16) 는, 상기 서술한 부가 기능의 일례로서, 노즐부 (7b) 를 안구의 절개창에 삽입할 때에, 노즐부 (7b) 의 삽입량을 제한하는 기능 (이하,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 이라고도 한다.) 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은, 부속 부재 (16) 가 갖는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을 이용하여 실현 (상세한 내용은 후술) 된다.
부속 부재 (16) 는, 삽입통 (7) 과는 별개의 부재로서, 삽입통 (7)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삽입통 (7) 에 대한 부속 부재 (16) 의 이동의 방향이나 형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이동의 방향에 관해서는,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 삽입통 (7) 의 축 방향과 교차 (직교를 포함한다) 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삽입통 (7) 의 축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 삽입통 (7) 의 축 방향과 교차 (직교를 포함한다) 하는 축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 등이 생각되며, 이동의 형태에 관해서는, 직선 이동, 회전 이동, 비틂 이동, 개폐 (요동) 이동, 신축 이동 등이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통 (7) 에 대한 부속 부재 (16) 의 이동에 의해, 삽입통 (7) 에 대하여 부속 부재 (16) 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술하는 「착탈 가능」 이란,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하거나,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내거나 하는 것이 가능」 이라는 의미이다. 본 실시형태의 안내 렌즈 삽입기 (1) 에 있어서, 부속 부재 (16) 는, 삽입통 (7) 에 장착한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와, 삽입통 (7) 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있지만, 어느 경우도 부속 부재 (16) 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가 된다. 또, 부속 부재 (16) 가 제공하는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로 하고, 그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낸 상태로 하지만, 후자의 경우, 즉 안내 렌즈 삽입술에서 부속 부재 (16) 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부속 부재 (16) 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인 것에 변함은 없다.
부속 부재 (16) 는, 슬리브부 (16a) 와, 계착부 (16b) 를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부 (16a) 에는, 삽입통 (7) 의 노즐부 (7b) 를 끼워넣기 가능한 관통공 (16c)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16c) 은, 슬리브부 (16a) 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은, 슬리브부 (16a) 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은,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에 장착했을 때에, 노즐부 (7b) 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직경이 커지는 방향) 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부터,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은 「돌출면」 에 상당하는 부분이 된다.
단, 돌출면의 형태는,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과 같이 원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환상 (環狀) 의 평면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발휘하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돌출면은, 원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1 개 지점, 바람직하게는 180 도 피치로 2 개 지점, 혹은 3 개 지점 이상으로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원둘레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돌출면은, 곡면이어도 된다.
계착부 (16b) 는,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에 장착하는 경우에, 삽입통 (7) 에 계착되는 부분이 된다. 계착부 (16b) 는, 삽입통 (7) 에 대하여 부속 부재 (16) 를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삽입통 (7) 에 계착 가능하고 또한 그 계착 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계착부 (16b) 는, 삽입통 (7) 의 삽입통 본체 (7a) (제 2 부분 (7g)) 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사다리꼴 원추형의 외벽을 부분적으로 절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계착부 (16b) 에는, 후크부 (16e) 와, 스토퍼부 (16f) 와, 관찰창 (16g)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후크부 (16e) 및 스토퍼부 (16f) 는,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위치 결정하여 임시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후크부 (16e) 는, 삽입통 (7) 의 제 1 돌기 (7h) 에 걸리는 부분이 된다. 후크부 (16e) 의 내주측에는 반원형으로 움푹 패인 패임부 (16h) 가 형성되어 있다. 패임부 (16h) 는, 삽입통 (7) 의 제 2 돌기 (7i) 에 대하여 삽입통 (7) 의 축 회전 방향으로부터 끼워맞춤 이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축 회전 방향」 이란, 어느 부재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스토퍼부 (16f) 는, 삽입통 (7) 의 제 1 돌기 (7h) 에 대하여 삽입통 (7) 의 축 회전 방향으로부터 부딪히기 가능하고, 또한, 삽입통 (7) 의 제 3 돌기 (7j) 에 대하여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부터 부딪히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관찰창 (16g) 은, 계착부 (16b) 의 상부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V 자형으로 절결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관찰창 (16g) 은,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삽입통 (7) 의 내부를 이동하는 안내 렌즈 (4) 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부속 부재 (16) 의 재료는, 예를 들어, 금속, 세라믹, 수지 등,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삽입통 (7) 의 내부를 이동하는 안내 렌즈의 모습을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인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 부속 부재 (16) 의 돌출면은, 안내 렌즈를 안내에 삽입할 때에 각막에 직접 접촉하고, 이에 따라 각막에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그 하중을 경감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의 연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은 부속 부재를 삽입통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슬리브부 (16a) 의 관통공 (16c) 에 노즐부 (7b) 가 끼워넣어진다. 이 때,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은, 노즐부 (7b) 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 대하여 노즐부 (7b) 의 단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그 경우, 슬리브부 (16a) 의 관통공 (16c) 의 내경은, 거기에 끼워넣어지는 노즐부 (7b) 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도록, 슬리브부 (16a) 의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노즐부 (7b) 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크게 설정해도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예로서, 도 12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부 (16a) 의 관통공 (16c) 의 일부에 테이퍼부 (16i) 를 형성해도 된다. 테이퍼부 (16i) 는, 슬리브부 (16a) 의 선단측에 있어서, 관통공 (16c) 의 직경이 슬리브부 (16a) 의 선단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 (16i) 에 있어서의 관통공 (16c) 의 최소 직경은, 노즐부 (7b) 의 외주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테이퍼부 (16i) 가, 노즐부 (7b) 의 외주면이고, 또한, 절입부 (7k) 가 형성된 부분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슬리브부 (16a) 의 선단측에 있어서, 슬리브부 (16a) 의 외주 직경은, 테이퍼부 (16i) 와의 접촉에 의해 축소된다.
한편, 계착부 (16b) 의 후크부 (16e) 는 제 1 돌기 (7h) 에 걸린다. 이 때, 패임부 (16h) 는 제 2 돌기 (7i) 에 끼워맞춰진 상태가 된다 (도 12 (A) 참조). 또, 계착부 (16b) 의 스토퍼부 (16f) 는, 삽입통 (7) 의 제 3 돌기 (7j) 에 근접 또는 맞닿은 상태가 된다. 그 때, 삽입통 (7) 에 대한 부속 부재 (16) 의 위치 결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삽입통 (7) 의 축 회전 방향에 있어서는, 패임부 (16h) 가 삽입통 (7) 의 제 2 돌기 (7i) 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후크부 (16e) 가 삽입통 (7) 의 제 1 돌기 (7h) 에 걸림으로써, 부속 부재 (16) 의 위치가 정해진다. 또,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 있어서는, 스토퍼부 (16f) 가 제 3 돌기 (7j) 에 부딪힘으로써, 부속 부재 (16) 의 위치가 정해진다.
여기서,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의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킨 후,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삽입통 (7) 에 대한 부속 부재 (16) 의 계착 상태를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속 부재 (16) 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착부 (16b) 의 스토퍼부 (16f) 를 삽입통 본체 (7a) 의 제 1 돌기 (7h) 에 접촉 또는 근접시킨다. 이에 따라, 계착부 (16b) 의 후크부 (16e) 가 삽입통 (7) 의 제 1 돌기 (7h) 로부터 빠짐과 함께, 후크부 (16e) 내측의 패임부 (16h) (도 10, 도 12 참조) 가 제 2 돌기 (7i) 로부터 이탈한다. 다음으로, 도 1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통 (7) 의 축 방향을 따라 부속 부재 (16) 를 화살표 방향으로 인발한다. 이에 따라,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낼 수 있다.
한편,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 순서, 즉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의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삽입통 (7) 에 대하여 부속 부재 (16) 를 계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13(C) 에 있어서 부속 부재 (16) 를 화살표와는 반대 방향으로부터 삽입통 (7) 에 끼워넣음으로써,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착부 (16b) 의 스토퍼부 (16f) 를 삽입통 (7) 의 제 3 돌기 (7j) 에 접촉 또는 근접시킨다. 다음으로,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낼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계착부 (16b) 의 후크부 (16e) 를 삽입통 (7) 의 제 1 돌기 (7h) 에 걸음과 함께, 패임부 (16h) 를 제 2 돌기 (7i) 에 끼워맞춤시킨다. 이에 따라,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 대한 부속 부재 (16) 의 이동이, 제 1 돌기 (7h) 와 후크부 (16e) 의 걸어맞춤 (접촉), 및, 제 3 돌기 (7j) 와 스토퍼부 (16f) 의 걸어맞춤 (접촉) 에 의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 부속 부재 (16) 를 움직일 수는 없다. 바꿔 말하면,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 있어서, 부속 부재 (16) 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또, 부속 부재 (16) 의 계착부 (16b) 와 삽입통 (7) 의 계착부 (7h, 7i, 7j) 의 계착 상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 부속 부재 (16) 를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삽입통 (7) 에 장착한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의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해제되는 경우는 없다.
(회전 부재)
회전 부재 (8)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기 본체 (5) 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 장착 상태에 있어서, 회전 부재 (8) 는, 삽입기 본체 (5) 와 동축에 배치됨과 함께, 삽입기 본체 (5) 의 축 회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회전 부재 (8) 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 (8) 의 선단과 후단은, 각각 원형으로 개구하고 있다. 회전 부재 (8) 의 외주면에는, 상기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조부 (8a) 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조부 (8a) 는, 회전 부재 (8) 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 (8) 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스크루 방식으로 사용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부분이 된다. 그 때, 회전 부재 (8) 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조부 (8a) 가 형성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돌조부 (8a) 에 걸리기 때문에 회전 부재 (8) 를 회전 조작하기 쉬워진다.
회전 부재 (8) 의 내주면에는, 제 1 나사부 (8b)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나사부 (8b) 는,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 부재 (8) 의 선단부에는 2 개의 창부 (8c) 가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창부 (8c) 는, 원둘레 방향으로 180 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창부 (8c) 는, 삽입기 본체 (5) 와 회전 부재 (8) 가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부재 (8) 의 선단 내주부에는, 1 쌍의 걸림 클로 (8d)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걸림 클로 (8d) 는, 삽입기 본체 (5) 의 후단부에 회전 부재 (8) 를 연결할 때에, 삽입기 본체 (5) 의 회전 지지부 (15) 에 걸리는 것이다. 각각의 걸림 클로 (8d) 는, 창부 (8c) 에 인접하여 회전 부재 (8) 의 선단측의 개구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 (8) 는, 1 쌍의 걸림 클로 (8d) 를 회전 지지부 (15) 에 걸은 상태로, 삽입기 본체 (5) 의 축 회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1 쌍의 걸림 클로 (8d) 는, 삽입기 본체 (5) 의 플랜지부 (14) 와 회전 지지부 (15) 의 사이에 끼워넣어져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부재 (8) 는, 삽입기 본체 (5) 의 축 회전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지만, 삽입기 본체 (5) 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
(플런저)
플런저 (9) 는, 삽입기 본체 (5) 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 (9) 는, 삽입기 본체 (5) 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 (9) 는, 봉상 (棒狀) 의 플런저 축 (9a) 을 갖고 있다. 플런저 (9) 의 선단부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재 장착부 (9b) 로 되어 있다. 도 15 는 도 2 에 있어서의 E2-E2 단면도이다. 시일재 장착부 (9b) 는, 삽입기 본체 (5) 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2 개의 원판부로 구성되고, 이들 2 개의 원판부의 사이에 시일재 (17) 가 장착되어 있다. 시일재 (17) 로는, 예를 들어 O 링을 사용할 수 있다. 시일재 (17) 는, 플런저 (9) 를 삽입기 본체 (5) 의 축 방향 (전방) 으로 이동시킬 때에, 삽입기 본체 (5) 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적당한 슬라이딩 저항을 발생시킨다.
플런저 축 (9a) 의 종단면 형상은, 도 16(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십자형으로 되어 있다. 도 16(A) 는 도 2 에 있어서의 E3-E3 단면도이고, 도 16(B) 는 도 2 에 있어서의 E4-E4 단면도이다. 플런저 축 (9a) 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제 2 나사부 (9c)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나사부 (9c) 는, 회전 부재 (8) 의 제 1 나사부 (8b) 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 때문에, 제 2 나사부 (9c) 는, 제 1 나사부 (8b) 와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나사부 (9c) 는, 회전 부재 (8) 의 제 1 나사부 (8b) 와 항상 맞물리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부재 (8) 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 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플런저 (9) 가 삽입기 본체 (5) 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런저 (9) 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푸쉬 방식으로 사용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밀어넣기 조작되는 부분이 된다. 여기서, 플런저 (9) 의 제 2 나사부 (9c) 와 이것에 대응하는 회전 부재 (8) 의 제 1 나사부 (8b) 는, 나사홈과 나사산의 관계로 맞물림과 함께, 그 맞물림 부분에 있어서, 제 1 나사부 (8b) 와 제 2 나사부 (9c)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 축 (도면의 상하 방향) 에 대하여 소정의 테이퍼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들 나사부 (8b, 9c) 의 테이퍼 각도를 적당한 각도로 조정 (설정) 하면, 플런저 (9) 를 밀어넣기 조작할 때에, 거의 저항을 느끼는 일 없이 회전 부재 (8) 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플런저 (9) 를 밀어넣기 조작했을 때에 회전 부재 (8) 의 제 1 나사부 (8b) 에 접촉하는 제 2 나사부 (9c) 의 후방의 테이퍼 각도 (θ) 가 5° 이상 15° 이하이면,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플런저 (9) 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나사부 (8b, 9c) 끼리가 걸리는 일 없이 회전 부재 (8) 가 공전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플런저 (9) 를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필요한 하중을 효율적으로 회전 부재 (8) 에 주기 위해서는, 플런저 (9) 에 있어서의 나사부 (9c) 의 홈 폭 (Y 축 방향의 치수) 을 1.0 ㎜ 이상 4.0 ㎜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나사 피치에 관해서는, 설정된 안내 렌즈의 방출 하중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 (9) 의 선단측은, 시일재 장착부 (9b) 를 포함하여, 삽입기 본체 (5) 의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되고, 플런저 (9) 의 후단측은, 회전 부재 (8) 보다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배치된다. 사용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회전 부재 (8) 의 후단 위치를 기준으로 한 플런저 (9) 의 돌출 치수 (Lp) (도 2(B) 참조) 가, 삽입통 (7) 의 선단으로부터 안내 렌즈 (4) 를 밀어내기 위해서 필요한 로드 (10) 의 이동 치수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 전의 초기 상태란,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사용함에 있어서, 안내 렌즈 (4) 를 로드 (10) 로 밀어내기 위한 조작을 실시하기 전의 상태를 한다. 본 실시형태의 안내 렌즈 삽입기 (1) 는,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 및, 플런저 (9) 의 밀어넣기 조작 중, 어느 쪽의 조작으로도 로드 (10) 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 전의 초기 상태는,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도, 플런저 (9) 의 밀어넣기 조작도 실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사용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플런저 축 (9a) 의 돌출 치수 (Lp) 가 거의 최대 또는 그것에 가까운 치수가 되도록, 플런저 (9) 가 크게 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플런저 (9) 의 시일재 장착부 (9b) 가 삽입기 본체 (5) 의 회전 규제부 (13) 에 근접 또는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 때, 플런저 (9) 의 시일재 장착부 (9b) 는, 회전 규제부 (13) 의 빠짐 방지부 (13d) 에 대향한다. 이 때문에, 사용 전의 초기 상태로부터 플런저 (9) 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시일재 장착부 (9b) 가 빠짐 방지부 (13d) 에 부딪힌다. 이에 따라, 삽입기 본체 (5) 로부터의 플런저 (9) 의 빠짐이 저지된다.
또, 플런저 (9) 의 선단측을 로드 (10) 와 함께 삽입기 본체 (5) 의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규제부 (13) 를 연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회전 규제부 (13) 와의 간섭을 피해 플런저 (9) 의 선단측을 시일재 (17) 가 부착된 삽입기 본체 (5) 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또, 그 상태로부터 플런저 (9) 의 플런저 축 (9a) 에 끼워맞추도록 회전 규제부 (13) 를 닫으면, 도 16(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 축 (9a) 의 일부 (제 2 나사부 (9c)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 가 슬라이딩 가이드 (13b) 의 가이드 홈 (13c) 에 끼워넣어진다. 이 때, 가이드 홈 (13c) 의 상대향하는 2 개의 면은, 도 1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 축 (9a) 의 일부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플런저 (9) 는, 삽입기 본체 (5) 의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단, 삽입기 본체 (5) 의 축 회전 방향에 대한 플런저 (9) 의 회전은, 회전 규제부 (13) 에 의해 규제된다.
(로드)
로드 (10) 는, 렌즈 설치부 (11) 에 설치된 안내 렌즈 (4) 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안내 렌즈 (4) 를 삽입통 (7) 의 선단부 (노즐부 (7b) 의 개구) 로부터 방출시키는 것이다. 로드 (10) 는, 가늘고 긴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드 (10) 는, 플런저 (9) 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플런저 (9) 와 일체로 중공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안내 렌즈 삽입기의 사용 방법>
다음으로,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삽입통 (7) 의 주입공 (7c) 에 점탄성 물질을 주입한다. 이에 따라, 삽입기 본체 (5) 의 렌즈 설치부 (11) 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 렌즈 (4) 에 점탄성 물질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슬라이더 (6) 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 (6) 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 맞닿음부 (도시하지 않음) 가 안내 렌즈 (4) 에 맞닿고, 그대로 안내 렌즈 (4) 를 밀어낸다. 그렇게 하면, 안내 렌즈 (4) 가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 (6) 의 이동에 의해 안내 렌즈 (4) 를 변형시키면, 그 후의 조작으로 로드 (10) 에 의해 안내 렌즈 (4) 를 밀어낼 때에, 안내 렌즈 (4) 를 원하는 형상으로 접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푸쉬 방식 또는 스크루 방식으로 조작함으로써, 플런저 (9) 와 함께 로드 (10) 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삽입통 (7) 의 노즐부 (7b) 로부터 안내 렌즈 (4) 를 방출시킨다. 이 때, 로드 (10) 는 전방으로의 이동 중에 안내 렌즈 (4) 에 접촉하고, 그대로 안내 렌즈 (4) 를 밀어낸다. 그렇게 하면, 안내 렌즈 (4) 는, 소정의 형상으로 접어지면서 삽입통 (7) 내를 이동하고, 노즐부 (7b) 선단의 개구로부터 방출된다. 따라서, 안구의 절개창에 삽입통 (7) 의 노즐부 (7b) 를 삽입한 상태로 안내 렌즈 (4) 를 방출시킴으로써, 안내 렌즈 (4) 를 작게 접은 상태로 안내에 삽입할 수 있다. 또, 안내 삽입 후에는 안내 렌즈 (4)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안내 렌즈 (4) 를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 (1) 가 발휘하는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안내 렌즈 삽입기 (1) 는, 2 개의 상이한 조작 방식, 즉 스크루 방식과 푸쉬 방식의 양방에 대응할 수 있다. 스크루 방식은,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에 의해 안내 렌즈 (4) 를 밀어내는 방식이며, 푸쉬 방식은, 플런저 (9) 의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안내 렌즈 (4) 를 밀어내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사용함에 있어서, 스크루 방식을 선호하는 사용자는,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에 의해 안내 렌즈 (4) 를 밀어낼 수 있고, 푸쉬 방식을 선호하는 사용자는, 플런저 (9) 의 밀어넣기 조작에 의해 안내 렌즈 (4) 를 밀어낼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조작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크루 방식)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스크루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회전 부재 (8) 를 회전 조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삽입기 본체 (5) 를 편방의 손으로 지탱하면서, 다른 편방의 손으로 회전 부재 (8) 를 회전시킨다. 이 때, 사용 전의 초기 상태를 포함하여, 회전 부재 (8) 의 제 1 나사부 (8b) 와 플런저 (9) 의 제 2 나사부 (9c) 는 항상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부재 (8) 를 소정의 방향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후단측에서 보아 시계회전 방향) 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부재 (8) 의 회전에 따라서 플런저 (9) 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것과 함께 로드 (10) 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 삽입기 본체 (5) 의 축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플런저 (9) 의 회전은 회전 규제부 (13) 에 의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9) 와 로드 (10) 는, 삽입기 본체 (5) 의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일 없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삽입기 본체 (5) 의 렌즈 설치부 (11) 에 설치된 안내 렌즈 (4) 는, 로드 (10) 의 이동에 의해 노즐부 (7b) 의 선단으로부터 밀려나온다.
(푸쉬 방식)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푸쉬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플런저 (9) 를 밀어넣기 조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삽입기 본체 (5) 의 플랜지부 (14) 에 집게 손가락과 중지를 걸은 상태로 엄지를 플런저 (9) 의 후단부에 꽉 댄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플런저 (9) 를 전방으로 밀어넣는다. 그렇게 하면, 플런저 (9) 에 가해진 압입력이, 제 1 나사부 (8b) 와 제 2 나사부 (9c) 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 부재 (8) 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이 때문에, 플런저 (9) 를 전방으로 밀어넣으면, 플런저 (9) 가 로드 (10) 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함과 함께, 플런저 (9) 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 부재 (8) 가 회전한다. 또, 삽입기 본체 (5) 의 축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플런저 (9) 의 회전은 회전 규제부 (13) 에 의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9) 와 로드 (10) 는, 삽입기 본체 (5) 의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일 없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삽입기 본체 (5) 의 렌즈 설치부 (11) 에 설치된 안내 렌즈 (4) 는, 로드 (10) 의 이동에 의해 노즐부 (7b) 의 선단으로부터 밀려나온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안내 렌즈 삽입기 (1) 는, 스크루 방식 및 푸쉬 방식 중 어느 조작 방식에도 대응 가능하다. 따라서,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에 따라, 혹은 그 이외의 이유, 사정 등에 따라, 어느 일방의 조작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 개의 안내 렌즈 삽입기 (1) 로, 안내 렌즈 삽입술의 손기술의 차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크루 방식을 선호하는 사용자와 푸쉬 방식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양방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회전 부재 (8) 의 제 1 나사부 (8b) 와 플런저 (9) 의 제 2 나사부 (9c) 는, 사용 전의 초기 상태를 포함하여, 항상 맞물린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루 방식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만으로 안내 렌즈 (4) 를 밀어낼 수 있다. 또, 푸쉬 방식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조작의 개시부터 종료까지 제 1 나사부 (8b) 와 제 2 나사부 (9c) 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플런저 (9) 의 밀어넣기 조작 도중에 진동 등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부속 부재의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
본 실시형태의 안내 렌즈 삽입기 (1) 는, 부속 부재 (16) 가 제공하는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거나, 그 이용을 회피하거나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삽입통 (7) 에 대하여 부속 부재 (16) 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에 따라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에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의 이용을 피할 수 있다. 이하,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부속 부재 (16) 가 제공하는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삽입통 (7) 의 노즐부 (7b) 가 부속 부재 (16) 의 슬리브부 (16a) 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인 상태가 된다.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은, 백내장 수술시에,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구의 각막 (50) 의 주변부에 절개창 (50a) 을 형성하고, 이 절개창 (50a) 에 삽입통 (7) 의 노즐부 (7b) 를 삽입할 때에,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이, 각막 (50) 의 외표면 (50b) 에 접촉함으로써 발휘된다. 그 때,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은, 각막 (50) 의 외표면 (50b) 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노즐부 (7b) 의 삽입을 억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고, 이 스토퍼 기능에 의해 노즐부 (7b) 의 삽입량이 제한된다.
여기서, Wound-assisted 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을 기준으로 한 노즐부 (7b) 의 돌출량 (최대치) (L1) 이 1.0 ㎜ 이상 1.2 ㎜ 이하가 되도록, 삽입통 (7) 과 부속 부재 (16) 의 상대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막 (50) 의 절개창 (50a) 에 대한 노즐부 (7b) 의 삽입량을, 상기 돌출량 (L1) 상당으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각막 (50) 의 절개창 (50a) 에 노즐부 (7b) 를 얕게 삽입한 상태로 노즐부 (7b) 의 선단으로부터 안내 렌즈 (4) 를 방출시킬 수 있다. 또,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 대한 부속 부재 (16) 의 이동이, 제 1 돌기 (7h) 와 후크부 (16e) 의 걸어맞춤, 및, 제 3 돌기 (7j) 와 스토퍼부 (16f) 의 걸어맞춤에 의해 규제된다. 이 때문에, 노즐부 (7b) 의 선단으로부터 안내 렌즈 (4) 를 방출시킨 후에는, 각막 (50) 의 절개창 (50a) 으로부터 노즐부 (7b) 를 인발함과 동시에, 부속 부재 (16) 의 선단면 (16d) 을 각막 (50) 의 외표면 (50b) 으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또,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삽입통 (7) 과 부속 부재 (16) 가 일체로 조합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 때문에, 부속 부재 (16) 의 계착부 (16b) 와 삽입통 (7) 의 계착부 (7h, 7i, 7j) 는 항상 계착 상태로 유지되고, 계착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는 없다.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한편, 부속 부재 (16) 가 제공하는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낸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삽입통 (7) 의 노즐부 (7b) 는, 부속 부재 (16) 의 슬리브부 (16a) 로 덮이는 일 없이, 노즐부 (7b) 전체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각막 (50) 의 절개창 (50a) 에 삽입통 (7) 의 노즐부 (7b) 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깊게 노즐부 (7b) 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각막 (50) 의 절개창 (50a) 에 노즐부 (7b) 를 깊게 삽입한 상태로 노즐부 (7b) 의 선단으로부터 안내 렌즈 (4) 를 방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안내 렌즈 삽입기 (1) 는,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하여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내어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의 이용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에 따라, 혹은 그 이외의 이유, 사정 등에 따라,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거나, 그 이용을 회피하거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구의 절개창 (50a) 에 대하여 노즐부 (7b) 를 깊게 삽입하는 손기술을 선호하는 사용자와 얕게 삽입하는 손기술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있어도, 각각의 사용자의 손기술의 선호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슬리브부 (16a) 의 사이즈 (특히 길이) 가 상이한 복수의 부속 부재 (16) 를 준비해 두면,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 어느 사이즈의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에 장착하는가에 의해,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을 기준으로 한 노즐부 (7b) 의 돌출량을 변경 (증감)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7 에 나타내는 노즐부 (7b) 의 돌출량 (L1) 보다 큰 돌출량 (예를 들어, 5.0 ㎜ 이상 6.5 ㎜ 이하) 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것에 적합한 사이즈의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에 장착함으로써, 노즐부 (7b) 의 돌출량 (최대치) (L2) 을, 상기 돌출량 (L1)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막 (50) 의 절개창 (50a) 에 노즐부 (7b) 를 삽입할 때의 삽입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안내 렌즈 삽입기 (1) 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조작 방식을 스크루 방식과 푸쉬 방식에서 선택 가능하게 되는 효과 (이하, 「제 1 효과」 라고 한다.) 와,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할지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되는 효과 (이하, 「제 2 효과」 라고 한다.) 를 발휘하는 것이다. 단, 제 1 효과와 제 2 효과는, 각각 상이한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즉, 제 1 효과는, 상기 서술한 삽입기 본체 (5) 와, 회전 부재 (8) 와, 플런저 (9) 와, 로드 (10) 를 구비한 구성 (이하, 「제 1 구성」 이라고 한다.) 에 의해 얻어지고, 제 2 효과는, 상기 서술한 삽입통 (7) 과, 부속 부재 (16) 를 구비한 구성 (이하, 「제 2 구성」 이라고 한다.) 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제 1 효과는, 제 2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어도 얻어지고, 제 2 효과는, 제 1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어도 얻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속 부재 (16) 의 관통공 (16c) 에 테이퍼부 (16i) 를 형성하고, 이 테이퍼부 (16i) 를 노즐부 (7b) 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노즐부 (7b) 의 외주 직경을 축소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구에 형성하는 절개창의 사이즈를 작게 해도, 이 절개창에 노즐부 (7b) 의 선단부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안내 렌즈 (4) 를 소정의 형상으로 접은 상태로 노즐부 (7b) 를 통과시키는 경우, 노즐부 (7b) 는 내측으로부터 안내 렌즈 (4) 에 밀려 변형된다. 이 때, 노즐부 (7b) 에 절입부 (7k) 를 형성해 두면, 노즐부 (7b) 가 안내 렌즈 (4) 에 밀려 변형되어도, 노즐부 (7b) 에 균열 등의 대미지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또, 노즐부 (7b) 의 변형량은, 안내 렌즈 (4) 의 방출에 필요한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이 때문에, 보다 작은 절개창으로부터 안내 렌즈 (4) 를 삽입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속 부재 (16) 에 관찰창 (16g) 이 형성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로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삽입통 (7) 의 내부를 이동하는 안내 렌즈 (4) 의 상태를, 관찰창 (16g) 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사용자는, 부속 부재 (16) 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로드 (10) 에 의해 밀려나오는 안내 렌즈 (4) 의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에 있어서 삽입통에 부속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삽입통과 부속 부재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삽입통)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삽입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삽입통 (7)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피계착부의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 개의 돌기 (7h, 7i, 7j) 에 의해 피계착부를 구성했지만,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개의 걸림 클로 (7m) 에 의해 피계착부를 구성하고 있다. 걸림 클로 (7m) 는, 삽입통 본체 (7a) 의 제 2 부분 (7g) 의 양측면으로부터 하면에 걸쳐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 클로 (7m) 는, 제 2 부분 (7g) 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부속 부재)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저면도, (D) 는 후면도이다.
부속 부재 (16)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슬리브부 (16a) 및 계착부 (16b) 를 구비하고 있지만, 계착부 (16b) 의 구성은 상이하다. 즉, 계착부 (16b) 에는, 관찰창 (16g) 에 더하여 설편 (舌片) (16j) 이 일체로 형성되고, 후크부 (16e) 나 스토퍼부 (16f) 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설편 (16j) 은, 계착부 (16b) 의 하부로부터 부속 부재 (16) 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설편 (16j) 은, 3 개의 걸어맞춤 구멍 (16k) 을 갖는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3 개의 걸어맞춤 구멍 (16k) 을 각각 16k-1, 16k-2, 16k-3 과 같은 식별 부호에 의해 구별한다. 3 개의 걸어맞춤 구멍 (16k-1, 16k-2, 16k-3) 은, 부속 부재 (16) 의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서로 이웃하도록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 3 개의 걸어맞춤 구멍 (16k-1, 16k-2, 16k-3) 은, 부속 부재 (16)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부속 부재 (16) 는, 3 개의 걸어맞춤 구멍 (16k-1, 16k-2, 16k-3) 중 어느 것에 삽입통 (7) 의 걸림 클로 (7m) 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삽입통 (7) 에 계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3 은 부속 부재를 삽입통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또, 도 24(A) 는 도 23 에 있어서의 J2-J2 단면도, (B) 는 도 23 에 있어서의 J1-J1 단면도, (C) 는 (B) 에 있어서의 K 부 확대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슬리브부 (16a) 의 관통공 (16c) 에 노즐부 (7b) 가 끼워넣어진다. 또, 삽입통 (7) 에 형성된 걸림 클로 (7m) 는, 부속 부재 (16) 의 설편 (16j) 에 형성된 3 개의 걸어맞춤 구멍 (16k-1, 16k-2, 16k-3) 중, 중앙의 걸어맞춤 구멍 (16k-2) 에 걸어맞춰져 있다. 이 때,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은, 노즐부 (7b) 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 대하여 노즐부 (7b) 의 단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3 개의 걸어맞춤 구멍 (16k-1, 16k-2, 16k-3) 중 어느 하나에 걸림 클로 (7m) 를 걸어맞춤시킨다. 그 경우, 어느 걸어맞춤 구멍 (16k) 에 걸림 클로 (7m) 를 걸어맞춤시키는가에 의해, 슬리브부 (16a) 의 선단면 (16d) 을 기준으로 한 노즐부 (7b) 의 돌출량이 바뀐다. 도 25(A) 는 후방의 걸어맞춤 구멍 (16k-3) 에 걸림 구멍 (7m) 을 걸어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서 부속 부재 (16) 가 상대적으로 전방 근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노즐부 (7b) 의 돌출량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이에 반해, 도 25(B) 는 중앙의 걸어맞춤 구멍 (16k-2) 에 걸림 구멍 (7m) 을 걸어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도 25(A) 의 상태에 비해 노즐부 (7b) 의 돌출량이 커진다. 도 25(C) 는 전방의 걸어맞춤 구멍 (16k-1) 에 걸림 구멍 (7m) 을 걸어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서 부속 부재 (16) 가 상대적으로 후방 근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도 25(B) 의 상태에 비해 노즐부 (7b) 의 돌출량이 커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 부속 부재 (16) 를 적절히 이동시켜 설편 (16j) 중 어느 걸어맞춤 구멍 (16k) 에 걸림편 (7m) 을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노즐부 (7b) 의 돌출량을 대중소의 3 단계로 변경 (조정) 할 수 있다. 또, 부속 부재 (16) 의 설편 (16j) 에 더욱 많은 걸어맞춤 구멍 (16k) 을 형성하면, 보다 다단계로 노즐부 (7b) 의 돌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 삽입통 (7) 의 걸림편 (7m) 이 중앙의 걸어맞춤 구멍 (16k-2) 에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에서,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 압압 (押壓) 하면, 그 압압력을 받아 부속 부재 (16) 의 설편 (16j) 이 탄성 변형 (휨 변형) 하고, 이에 따라 걸림편 (7m) 이 옆의 걸어맞춤 구멍 (16k-1 또는 16k-3) 에 걸어맞춰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로, 노즐부 (7b) 의 돌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통 (7) 에 대하여 부속 부재 (16) 를 착탈하지 않아도, 노즐부 (7b) 의 돌출량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내는 수고나, 떼어낸 부속 부재 (16) 를 트레이 등에 두거나 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삽입통 (7) 으로부터 떼어낸 부속 부재 (16) 를 사용자의 부주의로 낙하하거나 분실하거나 할 우려도 없다.
또,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걸림편 (7m) 과 설편 (16j) 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여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빼냄으로써, 노즐부 (7b) 전체를 노출시킬 수 있다. 혹은,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로, 부속 부재 (16) 를 소정량만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노즐부 (7b) 전체가 노출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걸림편 (7m) 과 걸어맞춤 구멍 (16k) 의 걸어맞춤에 의해 부속 부재 (16) 가 삽입통 (7) 에 계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내지 않아도,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이용할지 여부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부속 부재 (16) 는 삽입통 (7) 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7(A) 는 본 실시형태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A) 에 있어서의 M-M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내 렌즈 삽입기 (1)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회전 규제부 (13) 의 위치와 구조, 플런저 (9) 의 일부의 구조와, 삽입통 (7) 의 구조와, 부속 부재 (16) 의 구조가 상이하다.
(회전 규제부의 위치와 구조)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삽입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A) 는 삽입기 본체에 형성되는 회전 규제부를 연 상태, (B) 는 회전 규제부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규제부 (13) 는, 삽입기 본체 (5) 의 축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 (14) 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는, 삽입기 본체 (5) 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기 본체 (5) 의 후단부에 회전 부재 (8) 를 장착하면, 회전 규제부 (13) 는 회전 부재 (8) 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 27(C) 참조). 이 때문에, 회전 규제부 (13) 전체가 회전 부재 (8) 에 의해 차폐된다. 회전 규제부 (13) 의 기능이나 구조 등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회전 규제부 (13) 를 삽입기 본체 (5) 의 후단부에 형성하고, 거기에 장착되는 회전 부재 (8) 에 의해 회전 규제부 (13) 를 차폐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삽입기 본체 (5) 의 길이를 짧게 하고,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조립한 후에는, 회전 부재 (8) 의 내측에 회전 규제부 (13) 가 숨기 때문에, 회전 규제부 (13) 를 열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시술자 등이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분해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 (14) 의 전방에 회전 규제부 (13) 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삽입기 본체 (5) 의 외주면에 보강 리브 (18) 를 형성하여 플랜지부 (14) 를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쉬 방식의 조작으로 플랜지부 (14) 에 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플랜지부 (14)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규제부 (13) 의 전부가 회전 부재 (8) 에 의해 차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규제부 (13) 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 부재 (8) 에 의해 차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시술자 등이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분해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제 3 실시형태에서 채용하고 있는 회전 규제부 (13) 의 위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규제부 (13) 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후크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후크 기구는, 예를 들어 도 3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규제부 (13) 에 형성된 제 1 후크 폴 (13e) 과, 삽입기 본체 (5) 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후크 폴 (19) 을 구비한다. 도 39(A) ∼ (D) 는 모두 삽입기 본체 (5) 의 후방으로부터 회전 규제부 (13) 를 보았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후크 폴 (13e) 은, 회전 규제부 (13) 에 있어서, 추지부 (13a) 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추지부 (13a) 는, 회전 규제부 (13) 와 삽입기 본체 (5) 를 연결함과 함께, 회전 규제부 (13) 를 회전 가능 (개폐 가능) 하게 지지한다. 제 2 후크 폴 (19) 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추지부 (13a) 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후크 기구에 있어서는, 회전 규제부 (13) 를 연 상태에서 닫고자 하면, 회전 규제부 (13) 의 제 1 후크 폴 (13e) 이 삽입기 본체 (5) 의 제 2 후크 폴 (19) 에 걸려 맞물려진다. 이 때, 삽입기 본체 (5)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제 1 후크 폴 (13e) 은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제 2 후크 폴 (19) 은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된다. 또, 플런저 (9) 는, 회전 규제부 (13) 의 한쌍의 슬라이딩 가이드 (13b)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13c) 에 끼워넣어진다. 이 때문에,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스크루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회전 부재 (8) 를 회전 조작한 경우에는, 삽입기 본체 (5) 의 축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플런저 (9) 의 회전이 회전 규제부 (13) 에 의해 규제된다.
또, 회전 부재 (8) 의 제 1 나사부 (8b) 와 플런저 (9) 의 제 2 나사부 (9c) 는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플런저 (9) 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회전 부재 (8) 를 회전 조작하면, 회전 부재 (8) 의 회전에 의해 플런저 (9) 에 회전력 (Fr) 이 가해진다. 플런저 (9) 에 회전력 (Fr) 이 가해지면, 회전 규제부 (13) 가 플런저 (9) 에 의해 밀린다. 그 결과, 회전 규제부 (13) 의 제 1 후크 폴 (13e) 이 제 2 후크 폴 (19) 에 가압된다. 따라서, 제 1 후크 폴 (13e) 과 제 2 후크 폴 (19) 을 걸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 중에 제 1 후크 폴 (13e) 과 제 2 후크 폴 (19) 이 빠질 우려가 없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어 도 3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규제부 (13) 의 추지부 (13a) 와 제 1 후크 폴 (13e) 의 위치 관계를 좌우 반전하고, 이것에 맞추어 삽입기 본체 (5) 에 제 2 후크 폴 (19) 을 형성한 경우에는,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 중에 제 1 후크 폴 (13e) 과 제 2 후크 폴 (19) 이 빠질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에 의해 플런저 (9) 에 회전력 (Fr) 이 가해지면, 삽입기 본체 (5) (회전 규제부 (13) 를 포함한다) 를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력 (Fr) 에 밀려 회전 규제부 (13) 가 변형하거나 변위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제 1 후크 폴 (13e) 이 외측으로 변위하여 제 2 후크 폴 (19) 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도 3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에 의해 플런저 (9) 에 가해지는 회전력 (Fr) 이, 제 1 후크 폴 (13e) 을 제 2 후크 폴 (19) 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성으로 한 편이 바람직하다.
또, 도 39(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규제부 (13) 의 제 1 후크 폴 (13e) 을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함과 함께, 삽입기 본체 (5) 의 제 2 후크 폴 (19) 을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에 의해 플런저 (9) 에 가해지는 회전력 (Fr) 이, 제 1 후크 폴 (13e) 을 제 2 후크 폴 (19) 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가해진다. 이 때문에, 회전 부재 (8) 의 회전 조작 중에 제 1 후크 폴 (13e) 과 제 2 후크 폴 (19) 이 빠질 우려가 없다. 덧붙여서, 도 39(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규제부 (13) 의 추지부 (13a) 와 제 1 후크 폴 (13e) 의 위치 관계를 좌우 반전하고, 이것에 맞추어 삽입기 본체 (5) 에 제 2 후크 폴 (19) 을 형성한 경우에는, 플런저 (9) 에 가해지는 회전력 (Fr) 에 밀려 회전 규제부 (13) 가 변형하거나 변위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제 1 후크 폴 (13e) 이 외측으로 밀려나와 제 2 후크 폴 (19) 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39(C) 에 나타내는 구성을 채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9(A) ∼ (D) 에 나타내는 후크 기구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도 적용 가능하고, 그 경우에도 상기 도 39(A) 또는 (C) 에 나타내는 구성을 채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플런저의 일부의 구조)
플런저 (9) 의 후단부에는 압압판부 (9d) 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판부 (9d) 는, 푸쉬 방식으로 조작할 때에 시술자의 엄지를 꽉 대기 위한 부분으로, 플런저 축 (9a) 보다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압판부 (9d) 에 있어서, 시술자의 엄지가 꽉 대어지는 면에는, 미끄럼 방지용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 (9) 의 후단부에 압압판부 (9d) 를 형성한 경우에는, 푸쉬 방식에 의한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보다 넓은 면에서 플런저 (9) 의 후단부가 엄지에 접촉하기 때문에, 플런저 (9) 를 밀어넣을 때에 엄지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된다. 따라서, 엄지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 (9) 의 후단부에 압압판부 (9d) 를 형성하는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통의 구성)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삽입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또, 도 30(A)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삽입통을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 는 비스듬한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삽입통 (7) 은, 중공의 삽입통 본체 (7a) 와, 가는 관 형상의 노즐부 (7b) 를 갖고, 삽입통 본체 (7a) 의 상면에 주입공 (7c) 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 본체 (7a) 는, 제 1 부분 (7f) 과 제 2 부분 (7g) 으로 나뉘어진다. 또, 삽입통 본체 (7a) 의 후단부는 개구하고, 이 개구부의 주위에 걸림부 (7d) 와 쐐기부 (7e) 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 (7b) 에는 절입부 (7k) 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점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삽입통 본체 (7a) 의 제 1 부분 (7f) 의 하면측에는 피계착부 (71) 가 형성되어 있다. 피계착부 (71) 에는, 2 개의 소돌기 (71a, 71b) 와, 오목홈 (71c) 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소돌기 (71b) 는, 소돌기 (71a) 와 오목홈 (71c)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소돌기 (71a) 는, 슬로프 (71d) 를 갖는다. 슬로프 (71d) 는, 삽입통 (7) 의 선단측을 향하여 소돌기 (71a) 의 돌출량이 서서히 커지는 경사를 갖는다.
삽입통 본체 (7a) 의 제 2 부분 (7g) 의 양측에는, 좌우 1 쌍의 가이드 리브 (72)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가이드 리브 (72) 는,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할 때에, 삽입통 (7) 의 축 회전 방향에 있어서, 삽입통 (7) 과 부속 부재 (16) 를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 기능을 한다. 1 쌍의 가이드 리브 (72) 는, 삽입통 본체 (7a) (제 2 부분 (7g)) 의 양측으로부터 날개 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속 부재의 구성)
도 3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를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A) 는 삽입통에 장착하기 전의 부속 부재, (B) 는 삽입통에 장착한 후의 부속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부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또, 도 33 은 도 32(B) 에 있어서의 N 화살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32 는, 삽입통에 장착하기 전의 부속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부속 부재 (16)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노즐 삽입량 제한 기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부속 부재 (16) 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수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수지이다. 부속 부재 (16) 는, 수지의 일체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속 부재 (16) 는, 삽입통 (7) 과는 별개의 부재로서, 삽입통 (7)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삽입통 (7) 에 대한 부속 부재 (16) 의 이동 가능 방향은,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후에는,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낼 수는 없지만,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인 채로,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
부속 부재 (16) 의 선단부에는, 돌출면으로서의 선단면 (161) 이 형성되어 있다. 부속 부재 (16) 의 돌출면은, 안내 렌즈를 안내에 삽입할 때에 각막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이 때문에, 각막에 할 수 있는 한 대미지를 주지 않도록, 부속 부재 (16) 의 본체 부분 (돌출면의 부분을 제외한다) 을 경성 (硬性) 수지로 형성하고, 돌출면의 부분은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의 연성 수지로 형성해도 된다. 돌출면으로서의 선단면 (161) 은, 원환의 상부를 절결한 형상 (C 자형) 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속 부재 (16) 의 상부에는 관찰창 (162) 이 형성되어 있다. 부속 부재 (16) 의 저부에는 빠짐 구멍 (163) 이 형성되어 있다. 관찰창 (162) 은,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삽입통 (7) 의 내부를 이동하는 안내 렌즈 (4) 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관찰창 (162) 의 폭은, 삽입통 (7) 의 폭의 변화에 대응하여, 부속 부재 (16) 의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좁아져 있다. 관찰창 (162) 의 선단측은 닫는 일 없이 개방되고, 선단면 (161) 의 절결 부분까지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삽입통 (7) 의 삽입통 본체 (7a) 로부터 노즐부 (7b) 에 이르는 부분 전체를 관찰창 (162) 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통 (7) 의 노즐부 (7b) 를 통해서 안내 렌즈 (4) 를 밀어내는 경우에, 삽입통 (7) 의 내부를 이동하는 안내 렌즈 (4) 의 상태를, 부속 부재 (16) 에 방해받는 일 없이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속 부재 (16) 의 양측에는, 좌우 1 쌍의 측판부 (164) 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측판부 (164) 의 내면에는,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홈 (164a) 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 홈 (164a) 은, 삽입통 (7) 의 가이드 리브 (72) 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 34 는 계착부 (167) 를 닫은 상태의 부속 부재 (16) 의 종단면도면이다. 각각의 측판부 (164) 의 외면에는 파지부 (165) 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 (165) 는, 시술자 등이 부속 부재 (16) 를 취급할 때에, 집게 손가락과 엄지로 부속 부재 (16) 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부속 부재 (16) 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 (165) 는, 시술자 등이 부속 부재 (16) 를 파지하기 쉽도록 요철 구조로 되어 있다.
부속 부재 (16) 의 후부에는, 가교부 (166) 와 계착부 (167) 가 형성되어 있다. 가교부 (166) 는, 1 쌍의 측판부 (164) 의 사이에 건너지르도록 부속 부재 (16) 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가교부 (166) 의 일부는,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했을 때에 주입공 (7c) 을 막지 않도록, 파형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가교부 (166) 는, 이음부 (168) 로 계착부 (167) 와 연결되어 있다. 이음부 (168) 는, 좌우 방향의 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음부 (168) 는, 적당한 가요성을 갖도록 얇게 형성되어 있다. 계착부 (167) 는, 이음부 (168) 의 가요성을 이용하여, 이음부 (168) 를 중심 (지점 (支點)) 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3 은 계착부 (167) 를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로부터 도 중 2 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계착부 (167) 를 회전시킴으로써, 계착부 (167) 를 닫을 수 있다.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계착부 (167) 를 닫도록 회전시킴으로써, 계착부 (167) 를 피계착부 (71) 에 계착시킬 수 있다.
가교부 (166) 에는, 결합용 폴 (169) 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용 폴 (169) 은, 좌우 방향에서 이음부 (168) 의 반대측에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계착부 (167) 에는, 결합용 폴 (169) 에 대응하여 결합용 구멍 (170) 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용 폴 (169) 과 결합용 구멍 (170) 은, 이음부 (168) 와 반대측에서 가교부 (166) 와 계착부 (167) 를 접속함으로써, 가교부 (166) 와 계착부 (167) 를 환상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음부 (168) 를 중심으로 계착부 (167) 를 닫도록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용 폴 (169) 과 결합용 구멍 (170) 을 상호 끼워맞춤시켜 접속한다. 이에 따라, 가교부 (166) 와 계착부 (167) 를 환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하는 경우, 가교부 (166) 는 삽입통 본체 (7a) (제 1 부분 (7f)) 의 상측에 배치되고, 계착부 (167) 는 삽입통 본체 (7a) 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삽입통 본체 (7a) 는, 가교부 (166) 와 계착부 (167) 에 의해 둘러싸인다. 또, 가교부 (166) 와 계착부 (167) 를 결합한 상태에서는, 그들의 내주면이 삽입통 본체 (7a) 의 외주면에 대응한 형상이 된다.
계착부 (167) 에는, 고정편 (171) 과, 고정편 (171) 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동편 (172) 을 갖는다. 가동편 (172) 은, 고정편 (171) 과의 사이에 구멍 (173) 을 형성하고 있다. 가동편 (172) 은, 고정편 (171) 과 가동편 (172) 의 접속 부분을 고정단,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를 자유단으로 하여 휠 수 있는 성질 (이하, 「판 스프링성」 이라고 한다.) 을 갖는다. 고정편 (171) 및 가동편 (172) 은, 삽입통 (7) 의 피계착부 (71) 를 구성하는 소돌기 (71a, 71b) 및 오목홈 (71c) 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이다.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는, 소돌기 (71a) 의 슬로프 (71d) 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소돌기 (71a) 를 타고넘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가 슬로프 (71d) 를 따라 소돌기 (71a) 를 타고넘음으로써 부속 부재 (16) 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노즐부 (7b) 의 돌출량이 변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속 부재 (16) 의 하부에는, 1 쌍의 측판부 (164) 의 사이에 건너지르도록 연결 바 (174) 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바 (174) 는, 계착부 (167) 를 닫은 경우에,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부속 부재 (16) 의 축 방향에 있어서는, 연결 바 (174) 의 전방에 빠짐 구멍 (163) 이 형성되어 있다.
(부속 부재의 장착 순서)
다음으로,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하는 경우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부속 부재 (16) 의 장착은,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제조 공정 (조립 공정) 에서 실시된다.
먼저,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착부 (167) 를 연 상태의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의 노즐부 (7b) 의 전방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부속 부재 (16) 와 삽입통 (7) 을 상대적으로 가까이 함으로써,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통 (7) 의 외측에 부속 부재 (16) 를 씌운다. 이 때,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의 후단부까지 꽂아넣도록 한다. 그렇게 하면, 부속 부재 (16) 의 선단면 (161) 으로부터 노즐부 (7b) 가 소정량만 돌출한 상태가 된다. 또,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에 꽂아넣는 경우에는, 삽입통 (7) 에 형성된 1 쌍의 가이드 리브 (72) 를, 이것에 대응하여 부속 부재 (16) 에 형성된 1 쌍의 슬릿 홈 (164a) 에 끼워맞춤시킨다. 이에 따라, 삽입통 (7) 의 축 회전 방향에서 삽입통 (7) 과 부속 부재 (16) 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부속 부재 (16) 의 이음부 (168) 를 중심으로 계착부 (167) 를 닫도록 회전시킴으로써, 계착부 (167) 의 결합용 구멍 (170) 과 가교부 (166) 의 결합용 폴 (169) 을 상호 끼워맞춤시켜 접속한다. 이에 따라, 가교부 (166) 와 계착부 (167) 가 환상으로 결합된다.
이상의 순서로 의해,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할 수 있다.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에 장착한 후에는, 삽입통 (7) 으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떼어낼 수는 없다. 즉, 본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속 부재 (16) 가 삽입통 (7) 으로부터 떼어내기 불가로 되어 있다. 단, 부속 부재 (16) 는, 삽입통 (7)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속 부재 (16) 를 삽입통 (7) 에 장착하면, 삽입통 (7) 의 소돌기 (71a), 소돌기 (71b), 오목홈 (71c) 과, 부속 부재 (16) 의 고정편 (171), 가동편 (172), 연결 바 (174) 의 위치 관계는, 도 37 과 같이 된다. 즉,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소돌기 (71a) 는,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와 연결 바 (174) 의 사이에 배치되고, 소돌기 (71b) 는,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와 고정편 (171) 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는, 소돌기 (71a) 의 슬로프 (71d) 에 서로 이웃하는 소돌기 (71b) 의 전면 (前面) 에 접촉 (또는 근접) 하여 배치되고, 연결 바 (174) 는, 소돌기 (71a) 의 전체면에 접촉 (또는 근접) 하여 배치된다.
그 상태로부터 부속 부재 (16) 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부속 부재 (16) 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1 쌍의 파지부 (165) 를 시술자 등이 2 개의 손가락 (통상적으로는 집게 손가락과 엄지) 으로 파지한다. 다음으로, 1 쌍의 파지부 (165) 를 손가락으로 파지하면서, 부속 부재 (16) 에 P 방향의 힘을 가한다. 그렇게 하면, 부속 부재 (16) 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편 (172) 이, 삽입통 (7) 의 소돌기 (71a) 의 슬로프 (71d) 에 접촉하면서, 가동편 (172) 자체가 갖는 판 스프링성에 의해 변형된다. 그리고,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가 슬로프 (71d) 를 따라 이동하고, 소돌기 (71a) 의 돌출단부를 타고넘은 시점에서, 가동편 (172) 이 자체의 판 스프링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삽입통 (7) 의 소돌기 (71a), 소돌기 (71b), 오목홈 (71c) 과, 부속 부재 (16) 의 고정편 (171), 가동편 (172), 연결 바 (174) 의 위치 관계는, 도 38 과 같이 된다. 즉, 삽입통 (7)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소돌기 (71a) 는,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와 고정편 (171) 의 사이에 배치되고, 소돌기 (71b) 도,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와 고정편 (171) 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는, 소돌기 (71a) 의 전면에 접촉 (또는 근접) 하여 배치되고, 고정편 (171) 은, 소돌기 (71b) 의 후면에 접촉 (또는 근접) 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인 채로,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 부속 부재 (16) 를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삽입통 (7) 에 부속 부재 (16) 를 장착한 상태로, 노즐부 (7b) 의 돌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구의 절개창에 대하여 노즐부 (7b) 를 깊게 삽입하는 손기술을 선호하는 시술자는, 도 37 에 나타내는 상태로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사용하고, 노즐부 (7b) 를 얕게 삽입하는 손기술을 선호하는 시술자는, 도 38 에 나타내는 상태로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백내장 수술을 실시하는 시술자는 선호하는 손기술에 맞추어 안내 렌즈 삽입기 (1) 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통 (7) 의 축 방향으로 부속 부재 (16) 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노즐부 (7b) 의 돌출량을 2 단계로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 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통 (7) 에 장착된 부속 부재 (16) 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가동편 (172) 의 선단부 (172a) 와 소돌기 (71a) 의 접촉에 의해, 부속 부재 (16) 를 이동 전의 위치 (후방) 로 되돌릴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속 부재 (16) 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변형예 등>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구성 요건이나 그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한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나 개량을 더한 형태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런저 (9) 와 로드 (10) 를 별도 부재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들을 일체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속 부재 (16) 의 일부를 절결한 상태에서 관찰창 (16g) 을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속 부재 (16) 의 일부에 적당한 크기로 구멍 (도시하지 않음) 을 뚫고, 이 구멍을 관찰창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기 본체 (5) 와 삽입통 (7) 을 상호 조립하여 중공체를 구성했지만, 중공체는 일체 구조 (수지의 일체 성형품 등) 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내 렌즈 삽입기 (1) 의 구성 요소의 하나에 슬라이더 (6) 를 포함시키도록 했지만, 이 슬라이더 (6) 는, 안내 렌즈 (4) 를 원하는 형상으로 접기 위한 보조적인 부재로서, 안내 렌즈 (4) 를 안내에 삽입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삽입기 본체 (5) 에 있어서의 렌즈 설치부 (11) 의 구조나 로드 (10) 의 선단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로드 (10) 로 안내 렌즈 (4) 를 밀어내는 것만으로 원하는 형상으로 접을 수 있으면, 슬라이더 (6) 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1 : 안내 렌즈 삽입기
4 : 안내 렌즈
5 : 삽입기 본체
7 : 삽입통
7b : 노즐부
7k : 절입부
7m : 걸림 클로
8 : 회전 부재
8b : 제 1 나사부
9 : 플런저
9c : 제 2 나사부
10 : 로드
11 : 렌즈 설치부
13 : 회전 규제부
13d : 빠짐 방지부
16 : 부속 부재
16a : 선단면
16b : 계착부
16g : 관찰창
16i : 테이퍼부
16j : 설편
16k : 걸어맞춤 구멍

Claims (13)

  1. 안내 (眼內) 렌즈를 안내에 삽입하기 위한 안내 렌즈 삽입기로서,
    안구의 절개창으로 삽입되고, 단부 개구를 가지는 단부 및 외주면을 규정하는 노즐부를 갖는 중공체와,
    단부를 규정하고, 단부에서 돌출면을 갖는 부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속 부재가 상기 중공체에 고정되는 계착 상태 및 상기 부속 부재가 상기 중공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계착 해제 상태를 상기 부속 부재가 가지도록, 상기 부속 부재 및 상기 중공체는 각각 구성되고,
    상기 부속 부재의 단부에서의 상기 돌출면은 상기 노즐부의 단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부속 부재가 상기 계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노즐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안내 렌즈 삽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재는, 상기 중공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안내 렌즈 삽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재는, 상기 중공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안내 렌즈 삽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재는, 상기 중공체에 장착된 상태인 채로, 상기 중공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안내 렌즈 삽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재에는, 상기 중공체에 계착 (係着) 되는 계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체에는, 상기 계착부에 대응하여 피계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안내 렌즈 삽입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착부는, 상기 피계착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중공체에 대하여 상기 부속 부재를 임시 고정시키는 로크 기구를 갖는, 안내 렌즈 삽입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착부는, 복수의 걸어맞춤 구멍이 형성된 설편 (舌片) 을 포함하고,
    상기 피계착부는,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구멍 중 어느 것에 걸어맞춰지는 걸림 클로를 포함하는, 안내 렌즈 삽입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재는, 상기 노즐부를 안구의 절개창 (切開創) 에 삽입할 때의 삽입량을 상기 돌출면에 의해 제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안내 렌즈 삽입기.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재에 관찰창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 렌즈 삽입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은, 상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찰창은, 상기 돌출면의 절결 부분까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안내 렌즈 삽입기.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이 연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안내 렌즈 삽입기.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는, 상기 중공체의 축 방향을 따라 절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속 부재에는, 상기 노즐부의 외주면이고, 또한, 상기 절입부가 형성된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노즐부의 외주 직경을 축소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안내 렌즈 삽입기.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는, 렌즈 설치부를 갖고,
    상기 렌즈 설치부에 안내 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안내 렌즈 삽입기.
KR1020187036366A 2016-06-28 2017-06-28 안내 렌즈 삽입기 KR102431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7294 2016-06-28
JPJP-P-2016-127294 2016-06-28
PCT/JP2017/023748 WO2018003853A1 (ja) 2016-06-28 2017-06-28 眼内レンズ挿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236A KR20190021236A (ko) 2019-03-05
KR102431214B1 true KR102431214B1 (ko) 2022-08-09

Family

ID=6078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366A KR102431214B1 (ko) 2016-06-28 2017-06-28 안내 렌즈 삽입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90192284A1 (ko)
EP (1) EP3476374A4 (ko)
JP (2) JP6998303B2 (ko)
KR (1) KR102431214B1 (ko)
CN (1) CN109414345B (ko)
AU (1) AU2017288641B2 (ko)
BR (1) BR112018077090B1 (ko)
SG (1) SG11201811635VA (ko)
WO (1) WO2018003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61005B1 (en) 2007-05-30 2016-12-28 Hoya Corporation Intraocular lens inserting tool
JP5254669B2 (ja) 2008-06-05 2013-08-07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及びカートリッジ
US10849738B2 (en) 2015-09-16 2020-12-01 Hoya Corporation Intraocular lens injector
JP6646987B2 (ja) 2015-09-16 2020-02-14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SG11201811530UA (en) 2016-06-28 2019-01-30 Hoya Corp Intraocular lens injector
CN109998472B (zh) * 2019-05-13 2021-05-28 重庆欣光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房角观察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4119A1 (de) 1995-11-27 1997-05-28 Wolfram Dr Wehner Implantationswerkzeug zum Implantieren einer faltbaren, flexiblen Intraokularlinse
JP2007307168A (ja) 2006-05-18 2007-11-29 Canon Star Kk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
WO2012086797A1 (ja) * 2010-12-22 2012-06-28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US20140200588A1 (en) * 2010-08-24 2014-07-17 Abbott Medical Optics Inc. Protective cap for an insertion device and other insertion device features
JP2015177845A (ja) 2014-03-19 2015-10-08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および眼内レンズ挿入装置
US20160000556A1 (en) 2013-02-21 2016-01-07 Singapore Health Services Pte Ltd Device for single handled injection of an intraocular len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130A (en) * 1986-11-07 1990-04-24 Nestle S.A. Tool for inserting compressible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and method
US5616148A (en) * 1992-09-30 1997-04-01 Staar Surgical Company, Inc. Transverse hinged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apparatus
US6605093B1 (en) * 1997-10-24 2003-08-12 Tekia, Inc. Device and method for use with an ophthalmologic insertor apparatus
EP1857076B1 (en) * 2006-05-18 2010-07-21 STAAR Japan Inc. Insertion device for intraocular lens
JP5160812B2 (ja) * 2006-05-18 2013-03-13 スター・ジャパン株式会社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
US9149619B2 (en) * 2006-09-22 2015-10-06 Lenstec Barbad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shipping and injecting ocular devices
CN101677855A (zh) * 2007-06-06 2010-03-24 视达日本有限公司 眼内透镜的插入装置和内装有眼内透镜的插入装置
US20080312661A1 (en) 2007-06-12 2008-12-18 Downer David A Lens Injector Lumen Tip for Wound Assisted Delivery
JP5507282B2 (ja) * 2010-02-05 2014-05-28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CN202236706U (zh) * 2011-08-01 2012-05-30 陆晶 肌肉注射深浅度控制器
EP2868295B1 (en) * 2012-06-29 2020-10-21 Kowa Company, Ltd. 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and positioning member provided in 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JP6540048B2 (ja) 2015-01-28 2019-07-1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CN204601363U (zh) * 2015-04-20 2015-09-02 江苏安特尔医疗科技有限公司 旋转式一次性内窥镜注射针
US10172706B2 (en) * 2015-10-31 2019-01-08 Novartis Ag Intraocular lens inser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4119A1 (de) 1995-11-27 1997-05-28 Wolfram Dr Wehner Implantationswerkzeug zum Implantieren einer faltbaren, flexiblen Intraokularlinse
JP2007307168A (ja) 2006-05-18 2007-11-29 Canon Star Kk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
US20140200588A1 (en) * 2010-08-24 2014-07-17 Abbott Medical Optics Inc. Protective cap for an insertion device and other insertion device features
WO2012086797A1 (ja) * 2010-12-22 2012-06-28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US20160000556A1 (en) 2013-02-21 2016-01-07 Singapore Health Services Pte Ltd Device for single handled injection of an intraocular lens
JP2015177845A (ja) 2014-03-19 2015-10-08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および眼内レンズ挿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6374A4 (en) 2020-03-11
EP3476374A1 (en) 2019-05-01
JP7179946B2 (ja) 2022-11-29
JPWO2018003853A1 (ja) 2019-04-18
JP6998303B2 (ja) 2022-01-18
BR112018077090B1 (pt) 2023-10-31
CN109414345A (zh) 2019-03-01
AU2017288641B2 (en) 2022-06-09
US20190192284A1 (en) 2019-06-27
BR112018077090A2 (pt) 2019-04-02
SG11201811635VA (en) 2019-01-30
KR20190021236A (ko) 2019-03-05
AU2017288641A1 (en) 2019-01-17
JP2022009961A (ja) 2022-01-14
WO2018003853A1 (ja) 2018-01-04
CN109414345B (zh)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211B1 (ko) 안내 렌즈 삽입기
KR102431214B1 (ko) 안내 렌즈 삽입기
US10517717B2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and cartridge
CN107920890B (zh) 眼内透镜插入器具
EP0930860B1 (en) Spring biased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apparatus
US8470032B2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JP6379421B2 (ja) 眼内レンズ用インジェクタ
EP3351212B1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JP7162443B2 (ja) 容器付き眼内リング挿入器
JP5545606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及び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