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852B1 -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 및 도어 스톱 - Google Patents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 및 도어 스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852B1
KR102430852B1 KR1020150132989A KR20150132989A KR102430852B1 KR 102430852 B1 KR102430852 B1 KR 102430852B1 KR 1020150132989 A KR1020150132989 A KR 1020150132989A KR 20150132989 A KR20150132989 A KR 20150132989A KR 102430852 B1 KR102430852 B1 KR 10243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ath
door
catch position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720A (ko
Inventor
노리아키 오나에
Original Assignee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with special means for release, e.g. automatic release by further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과제] 문이 열려 유지된 캐치감이나 문이 어긋난 릴리스감이 조작자에게 확실히 전달되는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도어 스톱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핀 출입구(11)로부터 제1 캐치 위치(12)의 입구까지의 오름 경사인 제1로(1)와, 제1 캐치 위치(12)로부터 핀 최종 캐치 위치(14)까지의 제2로(2)와, 핀 최종 캐치 위치(14)로부터 제2 캐치 위치(13)의 입구까지의 오름 경사인 제3로(3)와, 제2 캐치 위치(13)로부터 핀 출입구(11)까지의 제4로(4)를 가지고, 제1로(1)와 제2로(2)는 문의 캐치 공정에 있어서의 길이고, 제3로(3)와 제4로(4)는 문의 릴리스 공정에 있어서의 길이며, 제1로(1) 내지 제4로(4)의 각각은 평면에서 봤을 때 만곡 형상이고 또한 양 측벽을 가지는 평면에서 봤을 때가 하트형의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10) 및 이것을 구비하는 도어 스톱.

Description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 및 도어 스톱{FLOOR SIDE MEMBER FOR DOORSTOP AND DOORSTOP}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조작으로 도어측 부재의 핀(스트라이크 핀)을 캐치 및 릴리스할 때, 캐치감과 릴리스감이 조작자에게 확실히 전달되는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도어 스톱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옥의 각 방에 설치되는 도어를 열 때, 벽면으로의 격돌을 방지함과 더불어, 열림 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바닥 장착 도어 스톱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는, 격돌을 피하는 벽의 앞쪽 바닥의 면에 도어와 대향하는 면에 완충재를 부설함과 더불어 링 형상의 걸림 도구를 설치한 바닥 장착 도어 스톱과, 도어의 대략 선단부에 부설되는 상기 걸림 도구가 놓이는 후크 형상의 걸어맞춤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근년, 개량된 여러 가지 형태의 도어 스톱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일본국 특허 공개 2000-45606호 공보에는, 바닥에 고정하는 도어 스톱 본체와, 도어에 고정하여, 상기 도어 스톱 본체의 상단부와 유지 가능하게 형성한 걸림체로 구성하고, 도어 스톱 본체, 걸림체 중 어느 한쪽에 유지력 조정 수단을 배치한 도어 스톱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의 일본국 특허 공개 2000-248808호 공보에는, 탄성 재료제의 도어 스톱부에, 문에 설치된 자착(磁着)부를 자착하는 마그넷 혹은 자성 재료제의 문 가유지부를 걸어맞추고 병렬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스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도어 스톱은 모두 도어의 열림 조작만으로 도어 스톱 본체와 걸림체가 가고정 또는 유지되는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5-344315호 공보에는, 도어측에 장착되는 스트라이크 핀이 도어의 열림 조작에 의해 끼워 넣어지고, 도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스트라이크 핀이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중앙에 가지고, 측면 중 적어도 스트라이크 핀의 궤도면이 내측에 오름 구배가 되는 경사면인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와, 자연 상태에 있어서 자중 또는 탄발력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가압되고,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도어측 부재인 스트라이크 핀을 구비하는 도어 스톱이 개시되어 있다. 이 도어 스톱은, 조작성, 의장성, 시공성, 안전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고 하는 것이다. 종래의 도어 스톱은, 문을 미는(여는) 것으로 도어가 캐치되고, 문을 당기는(닫는) 것으로 문이 릴리스된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0-45606호 공보(특허 청구 범위, 도 1, 도 2) 일본국 특허 공개 2000-248808호 공보(특허 청구 범위, 도 1) 일본국 특허 공개 2005-344315호 공보(특허 청구 범위, 도 1)
그러나, 문을 미는(여는) 것의 1공정이나 문을 당기는(닫는) 것의 1공정만으로는, 문이 열려 유지된 캐치감이나 문이 어긋난 릴리스감이 조작자에게 확실히 전달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이 열려 유지된 캐치감이나 문이 어긋난 릴리스감이 조작자에게 확실히 전달되는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도어 스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문측의 핀을 캐치하는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로서, 핀 출입구로부터 핀 최종 캐치 위치보다 핀 출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캐치 위치의 입구까지의 오름 경사인 제1로와, 상기 제1 캐치 위치로부터 상기 핀 최종 캐치 위치까지의 제2로와, 상기 핀 최종 캐치 위치로부터 상기 핀 최종 캐치 위치보다 핀 출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캐치 위치의 입구까지의 오름 경사인 제3로와, 제2 캐치 위치로부터 핀 출입구까지의 제4로를 가지고, 상기 제1로 및 상기 제2로와, 상기 제3로 및 상기 제4로는, 상기 핀 출입구의 중심과 상기 핀 최종 캐치 위치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로와 상기 제2로는 문의 캐치 공정에 있어서의 핀이 통과하는 길이고, 상기 제3로와 상기 제4로는 문의 릴리스 공정에 있어서의 핀이 통과하는 길이며, 상기 제1로 내지 상기 제4로의 각각은 평면에서 봤을 때 만곡 형상이고 또한 양 측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높이가 1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핀 최종 캐치 위치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로 내지 상기 제4로로 형성되는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이 하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와, 수평 방향에 있어서 회동함과 더불어, 탄발력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가압되고,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핀을 가지는 도어측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핀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축과, 주축의 선단으로부터 굴곡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선단으로부터 굴곡 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선단 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 스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도어측 부재에는, 상기 핀을 지지하는 고정측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핀의 상부에는, 상기 핀 출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용의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의 핀측 걸림부를 형성한 핀측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측 지지부에는, 상기 핀측 걸림부와 걸리는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의 고정측 걸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 스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을 여는 캐치 공정은, 문을 미는 조작과 당기는 조작의 2공정을 거쳐 핀은 핀 최종 캐치 위치에 캐치된다. 또, 문을 당기는 릴리스 공정은, 문을 미는 조작과 당기는 조작의 2공정을 거쳐 핀은 핀 최종 캐치 위치로부터 릴리스되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로 인해, 문이 열려 유지된 캐치감이나 문이 어긋난 릴리스감이 조작자에게 확실히 전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를 구성하는 범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어측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도어측 부재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도어측 부재를 구성하는 핀측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핀측 가이드 부재와 고정측 케이스의 걸림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도어측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어 스톱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캐치 공정에 있어서, 선단 핀이 핀 출입구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캐치 공정에 있어서, 선단 핀이 제1 캐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캐치 공정에 있어서, 선단 핀이 캐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릴리스 공정에 있어서, 선단 핀이 제2 캐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릴리스 공정에 있어서, 선단 핀이 완전히 릴리스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이하, 간단히 「바닥측 부재」라고 말한다)를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 중, 「오름」및 「평면 시점」은 바닥면에 바닥측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방향 또는 위치를 말한다. 바닥측 부재(10)는, 문측의 핀(스트라이크 핀)을 캐치하는 것으로서, 수지제의 범퍼(10A)와, 범퍼 유지대(10B)로 이루어진다. 범퍼 유지대(10B)는, 높이가 10mm 이하인 편평의 대략 반원뿔 형상체의 표면부에, 범퍼 형상이 도려내진 것이다. 범퍼 유지대(10B)의 범퍼 수용부(19a)의 저부(19b)에는, 범퍼 유지대(10B)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범퍼 수용부(19a)를 형성하는 둘레벽의 일부는 절결되어 핀 출입구(19c)로 되어 있다. 범퍼(10A)를 범퍼 유지대(10B)의 범퍼 수용부(19a)에 서로의 핀 출입구(19c, 11)가 일치하도록 끼워넣으면, 범퍼(10A)와 범퍼 유지대(10B)의 각각의 천면이 하나의 면이 된다.
범퍼(10A)는,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이 하트형이며, 선단 핀(223)이 통과하는, 제1로(1), 제2로(2), 제3로(3) 및 제4로(4)를 가진다. 제1로(1)는, 핀 출입구(11)로부터 제1 캐치 위치(12)의 입구까지의 오름 경사인 선단 핀(223)이 통과하는 통로이다. 제1 캐치 위치(12)는, 핀 최종 캐치 위치(14)보다 반대 핀출입구측에 위치한다. 핀 출입구(11)는, 범퍼(10A)의 도어측 부재(20)에 있어서의 선단 핀(223)의 정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외주벽(15)을 선단 핀(223)의 폭 치수보다 조금 큰 폭 치수로 절결한 것이며, 또한 저판부의 두께를 극력 얇게 한 부분이다. 이것에 의해, 선단 핀(223)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핀 출입구(11)와 제1로(1)의 경계(501)는, 거의 단차를 가지지 않는 것이다(도 2 및 도 3).
제1로(1)는, 본 예에서는, 평면에서 봤을 때가 시계 회전의 약간 만곡 형상(호 형상)이다. 제1로(1)를 오름 경사로 함으로써, 제1 캐치 위치(12)를 얕거나 깊은 구멍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1로(1)는, 로폭이 선단 핀(223)의 직경보다 약간 크며, 또한 길의 양측에 가이드벽인 양 측벽(111, 112)을 가지고 있다. 또, 선단 핀(223)은 주축(22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다. 이에 의해, 도어를 밀어넣는 조작만으로, 선단 핀(223)은 제1로(1)를 통과한다. 제1 캐치 위치(12)는 핀 최종 캐치 위치(14)보다 약간 내측(핀 출입구(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캐치 공정에 있어서의 되돌림 공정(문을 당기는 조작)의 실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2로(2)는, 제1 캐치 위치(12)로부터 핀 최종 캐치 위치(14)까지의 선단 핀(223)이 통과하는 통로이다. 핀 최종 캐치 위치(14)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전후방향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선단 핀(223)이 수용되는 개소이다. 또, 선단 핀(223)은 도어를 닫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핀 최종 캐치 위치(14)에 들어가기 때문에, 핀 최종 캐치 위치(14)의 핀 출입구측에는, 스토퍼벽(16)을 형성하고 있다. 스토퍼벽(16)은, 핀 최종 캐치 위치(14)의 핀 출입구측의 둘레 절반을 둘러싸는 형상이다. 이것에 의해, 선단 핀(223)은 도어를 강하게 당겨도, 어긋날 일은 없다. 핀 최종 캐치 위치(14)의 깊이는, 제1 캐치 위치(12)보다 깊다. 이로 인해, 제2로(2)를 통과한 선단 핀(223)은, 핀 최종 캐치 위치(14)에 떨어뜨려진다. 제2로(2)는, 로폭이 선단 핀(223)의 직경보다 약간 크며, 또한 가이드벽인 양 측벽(113, 114)을 가지고 있다. 측벽(113)은 제2로(2)가 제1로(1)보다 깊기 때문에, 제1로(1)의 단면이 벽이 되는 것이다. 또, 측벽(114)은 범퍼(10A)의 외벽이다. 또, 선단 핀(223)은, 주축(22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다. 이것에 의해, 도어를 닫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선단 핀(223)은 양 측벽(113, 114)에 가이드되어 제2로(2)를 통과한다. 제2로(2)는, 본 예에서는 평면에서 봤을 때가 시계 회전의 약간의 만곡 형상(호 형상)이며, 조금의 오름 경사나 구배가 거의 없는 것이다. 또, 제2로(2)는 제1로(1)보다 길이는 짧다. 이에 의해, 캐치 공정에 있어서의 도어를 미는 조작보다 문을 당기는 조작이 짧아져, 조작자에게 미는 조작과 당기는 조작의 차이를 인식시킬 수 있다. 제1로(1) 및 제2로(2)는, 도 4 중, 핀 출입구(11)의 중심과 핀 최종 캐치 위치(14)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경계로서 하방측에 위치하고, 문의 캐치 공정에 있어서의 핀이 통과하는 길이 된다.
제3로(3)는, 핀 최종 캐치 위치(14)로부터 제2 캐치 위치(13)의 입구까지의 오름 경사인 선단 핀(223)이 통과하는 통로이다. 제2 캐치 위치(13)는 핀 최종 캐치 위치(14)보다 반대 핀출입구측에 위치한다. 제3로(3)는, 본 예에서는, 평면에서 봤을 때가 시계 회전의 약간의 만곡 형상(호 형상)이다. 제3로(3)를 약간의 오름 경사로 함으로써, 제2 캐치 위치(13)를 얕거나 깊은 구멍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3로(3)에 있어서의 오름 경사 구배는, 제1로(1)의 경사 구배와 같으면 된다. 제3로(3)는, 로폭이 선단 핀(223)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또한 가이드벽인 양 측벽(115, 116)을 가지고 있다. 측벽(115)은 범퍼(10A)의 외벽이며, 측벽(116)은, 스토퍼벽(116)이다. 이것에 의해, 릴리스 공정에 있어서, 도어를 미는 조작만으로, 선단 핀(223)은 양 측벽(115, 116)에 가이드되어 제3로(3)를 통과한다. 또, 제3로(3)는 제4로(4)보다 길이는 짧다. 이것에 의해, 릴리스 공정에 있어서의 문을 당기는 조작보다 도어를 미는 조작이 짧아져, 조작자에게 당기는 조작과 미는 조작의 차이를 인식시킬 수 있다. 또, 제2 캐치 위치(13)는 핀 최종 캐치 위치(14)보다 약간 내측(핀 출입구(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어, 릴리스 공정에 있어서의 되돌림 공정(도어를 닫는 방향으로 당기는 조작)의 실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핀 최종 캐치 위치(14)와 제3로(3)의 경계(502)는, 거의 단차를 가지지 않는 것이다(도 2 및 도 3).
제4로(4)는, 제2 캐치 위치(13)로부터 핀 출입구(11)까지의 선단 핀(223)이 통과하는 통로이다. 본 예에서는, 평면에서 봤을 때가 시계 회전의 아주 약간의 만곡 형상(호 형상)이며, 약간의 오름 경사나 구배가 거의 없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핀 출입구(11)를 제4로(4)에 대해, 구멍으로 할 수 있다. 제4로(4)는, 제1로(1)와 대략 같은 길이이고, 로폭이 선단 핀(223)의 직경보다 약간 크며, 또한 가이드벽인 양 측벽(117, 118)을 가지고 있다. 측벽(117)은, 스토퍼벽(116)이며, 측벽(118)은 범퍼(10A)의 외벽이다. 이것에 의해, 문을 당기는 조작만으로, 선단 핀(223)은 양 측벽(117, 118)에 가이드되어 제4로(4)를 통과한다. 핀 출입구(11)는 제4로(4)로부터 들어가 있다. 즉, 제4로(4)의 최종단은, 핀 출입구(11)의 벽(44)으로 되어 있다(도 1 참조). 이로 인해, 선단 핀(223)이 캐치 공정의 도어 밀어넣음 공정에 있어서, 제4로(4)에 진입할 일은 없다. 제3로(3) 및 제4로(4)는, 핀 출입구(11)의 중심과 핀 최종 캐치 위치(14)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경계로 하여 제1로(1) 및 제2로(2)와는 반대측(도 4 중, 상방측)에 위치하고, 문의 릴리스 공정에 있어서의 핀이 통과하는 길이 된다. 즉, 제1로(1) 및 제2로(2)와, 제3로(3) 및 제4로(4)는, 핀 출입구(11)의 중심과 핀 최종 캐치 위치(14)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도어 스톱(50)은, 바닥측 부재(10)와 도어측 부재(20)를 구비한다. 도어측 부재(20)를 도 5~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어측 부재(20)는, 선단 핀(223)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 회동함과 더불어, 탄발력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가압되고,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핀(22)을 가진다. 핀(22)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축(221)과, 주축(221)의 선단으로부터 굴곡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222)와, 아암부(222)의 선단으로부터 굴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선단 핀(223)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주축(221)과 선단 핀부(223)의 위치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편심시킴으로써, 주축(221)을 중심으로, 선단 핀부(223)를 수평 방향에 있어서 회동시킬 수 있다. 또, 선단 핀(223)의 선단을 바닥에 접촉시키지 않고, 핀 출입구(11)의 저면에 접촉하는 설정을 하면, 도어를 열면 선단 핀(223)의 선단이 핀 출입구(11)에 들어가고, 이후, 도어의 밀고 당기기 조작에 의해, 선단 핀(223)은 제1로(1)~제4로(4)의 저면을 누르면서, 하트형 형상을 그리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어측 부재(20)는, 핀(22)과, 핀(22)을 하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 부재(24)와, 핀(22)을 지지하는 고정측 지지부(20A)와, 선단 핀(223) 이외의 고정측 지지부(20A)를 덮어 가리는 케이스(20B)를 가진다. 고정측 지지부(20A)는, 내부에 핀(22) 관계의 구성 부품을 수용하는 원통부(211)와, 원통부(211)의 상단을 막는 중앙에 개구(215)를 가지는 상부 플랜지(212)와, 원통부(211)의 하단을 막는 중앙에 개구를 가지는 하부 플랜지(213)와 도어면에 고정되는 등판부(214)를 가진다. 상부 플랜지(212)의 개구(215)는, 코일 스프링(24)의 상단을 세우는 스토퍼 나사(23)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잘려져 있으며, 하부 플랜지(213)의 개구(216)는, 핀(22)의 주축(221)이 통과하는 개구로 되어 있다.
고정측 지지부(20A)는, 도어면에 고정되는 부재이며, 원통부(211)의 하방 내주면이고, 또한 바닥측 부재(10)측의 중앙에는, 핀측 걸림부(261)와 걸리는 산형 형상의 돌기(볼록 형상)(219)가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또, 고정측 지지부(20A)의 원통부(211)의 하방 내주면이고, 반바닥측 부재(10)측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스토퍼부(217)가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산형 형상의 돌기(219)는, 핀측의 산형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의 절결부(216)와 걸리는 것이며, 예를 들어, 릴리스 공정의 마지막에 있어서, 선단 핀(223)이 핀 출입구(111)를 나온 후, 핀(22)에 약간의 흔들림이 발생하나, 돌기의 산의 편을 형성하는 면과 절결한 산의 편을 형성하는 면이 맞닿고, 또한, 핀(22)이 하방으로 스프링 탄성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핀(22)의 흔들림이 시정되어, 핀(22)이 정면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판 형상의 스토퍼부(217)는, 핀(22)이 회동하면,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반원통부의 측단면(262)이 부딪힘으로써,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본 예서는, 선단 핀(223)은, 주축(221)을 중심으로 180°정도 회동하고, 그 이상은 회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선단 핀(223)의 회동을 바닥측 부재(10)측의 180°로 억제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캐치 공정의 초기에 있어서, 핀 선단(223)이 핀 출입구(11)에 들어가기 전에 아이의 다리 등의 장애물에 의해 핀 선단(223)이 중심보다 90° 회동했다고 하더라도, 그 상태로, 바닥측 부재(10)에 얹혀가면 된다. 그때, 선단 핀(223)이 핀 출입구(11)를 경유하지 않고, 제1로(1) 또는 제3로(3)에 얹혀 들어가더라도, 그 이후의 조작으로 문을 밀거나 또는 되돌리면, 그대로, 선단 핀(223)은 최종 캐치 위치(14)에 들어가거나, 또는 핀 출입구(11)로 돌아오게 된다.
고정측 지지부(20A)에는, 핀(22) 및 핀측 가이드 부재(26)가 하방으로 스프링 탄성가압되고, 또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핀(22)과 핀측 가이드 부재(26)는, 나사(25)로 일체화되어 있다. 핀(22)과 핀측 가이드 부재(26)를 일체화한 이유는, 핀(22)의 최소 길이가, 상부 플랜지(212)의 개구(215) 및 하부 플랜지(213)의 개구(216)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최소 길이가, 하부 플랜지(213)의 개구(216)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일체화한 후는 고정측 지지부(20A) 내에 장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핀측 가이드 부재(26)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구조이며, 원통 부재(26A)의 하방이고 또한 후방측이 절결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원통 부재(26A)의 하방은, 원주 방향의 180°정도가 부분 원통체가 되어, 둘레 방향의 단면(262)을 형성하고 있다. 이 단면(262)은, 핀(22)이 주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고정측 지지부(20A)의 스토퍼부(217)에 맞닿음으로써, 핀(22)이 너무 흔들리는(너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원통 부재(26A)의 상부에는, 나사 구멍(263)이 형성된 단척 원통 돌기(26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단척 원통 돌기(26B)는 감긴 스프링(24)의 일단을 지지한다. 부호 27은 O링이다.
고정측 지지부(20A)에, 핀(22)류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핀(22)을, 고정측 지지부(20A)의 하방에 위치시키고, 주축(221)을 하부 플랜지(213)의 개구(216)로부터 넣는다. 다음에, 핀측 가이드 부재(26)를, 고정측 지지부(20A)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상부 플랜지(212)의 개구(215)로부터 떨어뜨린다. 또한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최대 외경은, 상부 플랜지(212)의 개구(215)의 직경보다 작다. 핀(22)과 핀측 가이드 부재(26)는, 핀(22)의 위치 결정 걸림부(225)와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위치 결정 걸림부(263)를 걸어 일체화시킨다. 이어서, 나사(25)를 상부 플랜지(212)의 개구(215)로부터 넣어,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나사 구멍(263) 및 핀(22)의 나사 구멍(224)에 도달할 때까지 비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고정측 지지부(20A) 내에 있어서, 핀(22)과 핀측 가이드 부재(26)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핀(22)과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일체화물은, 고정측 지지부(20A) 내에 있어서 자연 낙하하여,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하단(264)이 고정측 지지부(20A)의 하부 플랜지(213)의 상면에 부딪히고, 하부 플랜지(213) 위에 실리게 된다. 그리고, 고정측 지지부(20A)의 산형 형상의 돌기(219)에,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핀측 걸림부(261)를 걸리게 하면, 선단 핀(223)이 바닥측 부재(10)의 핀 출입구(11)에 대응하는 위치(준비 위치)에 온다. 이어서, 감긴 스프링(24)을 상부 플랜지(212)의 개구(215)로부터 넣어, 스토퍼 나사(23)로 고정해둔다. 이것에 의해, 핀(22)과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일체화물은, 하방으로 스프링 탄성가압됨과 더불어, 선단 핀(223)에 횡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소정의 각도까지는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 고정측 지지부(20A)에, 핀(22)류를 장착한 후, 커버(20B)를 장착하고, 이어서, 고정측 지지부(20A)를 도어면에 장착하면, 도어측 부재(20)의 장착이 종료된다(도 9).
다음에, 도어 스톱(5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스톱(50)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핀(22)이 바닥측 부재(10)에 걸리는, 문을 열어 유지하는 캐치 공정과, 바닥측 부재(10)에 캐치된 핀(22)의 걸림을 해제하고, 문을 닫는 릴리스 공정을 구비하다. 다음에, 캐치 공정을 도 10~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도 13에 있어서, 도 1~도 9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상이한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캐치 공정은, 먼저 문을 여는 조작으로 개시한다(도 10). 이때, 선단 핀(223)이 핀 출입구(11)를 향해 나아가게 된다. 이때, 핀(22)에 약간의 외력이 작용해 선단 핀(223)이 약간 흔들려도, 고정측 지지부(20A)의 산형 형상의 돌기(219)와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핀측 걸림부(261)의 걸림이 복원하여, 원래의 걸림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선단 핀(22)은 핀 출입구(11)에 들어간다(도 11).
이어서, 또한 문(91)은 바닥측 부재(10)측으로 밀린다. 이때, 선단 핀(223)은, 최종단의 벽(44)이 존재하는 제4로(4)에는 나아가지 않고, 제1로(1)를 나아간다. 제1로(1)는, 통로의 양측이 가이드벽(111, 112)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선단 핀(223)이 주축(22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것, 또한 오름 구배여도 핀(22)은, 스프링(24)의 스프링 탄성가압에 저항하여 상승할 수 있는 것 등에 의해, 제1로(1)를 원활히 나아가, 제1 캐치 위치(12)에 도달한다(도 12). 이때, 제1 캐치 위치(12)는 제1로(1)에 대해 구멍으로 되어 있고, 또한 스프링 탄성가압에 의해, 철컥이라고 하는 소리 또는 감촉이 조작자에게 전달된다. 이어서, 문(91)을 닫는 방향으로 당긴다. 제1 캐치 위치(12)로부터 제2로(2)는, 거의 단차는 없으며, 문(91)을 당김으로써, 선단 핀(22)은, 제2로(2)에 나아간다. 제2로(2)는, 통로의 양측이 가이드벽(113, 114)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선단 핀(223)이 주축(22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제2로(2)를 원활히 나아가, 최종 캐치 위치(14)에 도달한다(도 13). 이때, 최종 캐치 위치(14)는 제2로(2)에 대해 구멍으로 되어 있고, 또한 스프링 탄성가압에 의해, 철컥이라고 하는 소리 또는 감촉이 조작자에게 전달된다. 이와 같이, 캐치 공정은, 문을 미는 조작과 당기는 조작의 양방을 행하고 종료한다.
다음에, 릴리스 공정을 도 14~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도 15에 있어서, 도 10~도 13과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상이한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릴리스 공정은, 선단 핀(223)이 최종 캐치 위치(14)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부터 개시한다. 먼저 문(91)을 민다. 이때, 최종 캐치 위치(14)로부터 제3로(3)에 걸쳐서는 거의 단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 제2로(2)의 최종단은 벽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핀(223)은, 제2로(2)에는 나아가지 않고, 제3로(3)를 나아간다. 제3로(3)는, 통로의 양측이 가이드벽(115, 116)으로 되어 있고, 또한 선단 핀(223)이 주축(22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로우며, 제3로(3)를 원활히 나아가, 제2 캐치 위치(13)에 도달한다(도 14). 이때, 제2 캐치 위치(13)는 제3로(3)에 대해 구멍으로 되어 있고, 또한 스프링 탄성가압에 의해, 철컥이라는 하는 소리 또는 감촉이 조작자에게 전달된다. 이어서, 문(91)을 당기는 조작을 행한다. 제3로(3)의 최종단은 벽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핀(223)은, 제3로(3)에는 나아가지 않고, 제4로(4)를 나아간다. 또, 제2 캐치 위치(13)로부터 제4로(4)는, 거의 단차는 없으며, 문(91)을 당김으로써, 선단 핀(22)은, 제4로(4)에 나아간다. 제4로(4)는, 통로의 양측이 가이드벽(117, 118)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선단 핀(223)이 주축(22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선단 핀(223)은, 제4로(4)를 원활히 나아가, 핀 출입구(11)에 도달하고, 마지막에는 핀 출입구(11)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온다(도 15). 이와 같이, 릴리스 공정은, 캐치 공정과 마찬가지로, 문(91)을 미는 조작과 당기는 조작의 양방을 행하고 종료한다.
다음에, 도어 스톱(50)의 다른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선단 핀(223)이 핀 출입구(11)에 들어가기 전에 장애물에 부딪히고, 핀측 가이드 부재(26)가 고정측 지지부(20A)의 스토퍼부(217)에 부딪혀, 선단 핀(223)이 크게(예를 들어, 정위치로부터 90°) 편심한 경우, 그대로 캐치 공정에 들어갈 수도 있다. 즉, 선단 핀(223)을 바닥측 부재(10)의 범퍼 유지대(10B)의 외벽에 충돌시키도록 밀어넣는다. 이때, 핀(2)은, 고정측 지지부(20A)의 스토퍼부(217)가 있기 때문에, 그 이상으로는 회동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선단 핀(223)은, 범퍼 유지대(10B)의 외벽을 타고 넘어 제1로(1) 또는 제4로(4)에 들어간다. 이어서, 문(91)을 밀거나 또는 당기는 조작을 행하면, 선단 핀(223)은, 핀 출입구(11) 또는 최종 캐치 위치(14)에 들어가, 캐치 공정을 끝내거나 또는 릴리스 공정을 끝낸다. 또한 본 예에서는 범퍼 유지대(10B)가, 이러한 외벽을 타고 넘는 조작을 상정하여, 전방부의 외벽의 경사를 후방부의 외벽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닥측 부재 및 도어 스톱은, 상기 실시의 형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을 채택할 수 있다. 도어측 부재(20)에 있어서, 핀(22)과 핀측 가이드 부재(26)는 상기와 같이, 다른 부재를 나사 고정으로 일체화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처음부터 일체인 것이어도 된다. 그때, 고정측 지지부(20A) 내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측 지지부(20A)의 상방 플랜지(212)의 개구(215)를 크게 하면 된다. 또, 도어측 부재(20)에 있어서, 핀측 가이드 부재(26)의 핀측 걸림부(261)나 고정측 지지부(20A)의 스토퍼부(217)는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선단 핀(223)은 주축(221)을 중심으로 360° 회동하거나, 선단 핀(223)의 약간의 흔들림을 자동 복원할 수 없기는 하지만, 선단 핀(223)의 위치는 수동으로 수정하면 된다. 이러한 변형예여도, 실시의 형태예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 원통 부재(26A)의 하방은, 원주 방향의 180° 정도가 부분 원통체로 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주 방향의 120°~180° 미만의 부분 원통체여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문을 여는 캐치 공정 및 문을 닫는 릴리스 공정은, 모두, 문을 미는 조작과 당기는 조작을 행하고, 또한 그때마다 선단 핀이 제1 캐치 위치, 제2 캐치 위치 또는 최종 캐치 위치에 철컥 끼워지기 때문에, 문이 열려 유지된 캐치감이나 문이 어긋난 릴리스감이 조작자에게 확실히 전달된다.
1: 제1로 2: 제2로
3: 제3로 4: 제4로
10A: 수지제의 범퍼 10B: 범퍼 유지대
11: 범퍼의 핀 출입구 14: 핀 최종 캐치 위치
15: 외주벽 19a: 범퍼 수용부
19c: 범퍼 유지대의 핀 출입구 20: 도어측 부재
20A: 고정측 지지 부재 22: 핀
26: 핀측 가이드 부재 91: 문
111, 112: 제1로의 양벽 113, 114: 제2로의 양벽
115, 116: 제3로의 양벽 117, 118: 제4로의 양벽
219: 고정측 걸림부 221: 핀 주축
223: 선단 핀 261: 핀측 걸림부

Claims (7)

  1. 문측의 핀을 캐치하는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로서,
    핀 출입구로부터 핀 최종 캐치 위치보다 핀 출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캐치 위치의 입구까지의 오름 경사인 제1로와,
    상기 제1 캐치 위치로부터 상기 핀 최종 캐치 위치까지의 제2로와,
    상기 핀 최종 캐치 위치로부터 상기 핀 최종 캐치 위치보다 핀 출입구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캐치 위치의 입구까지의 오름 경사인 제3로와,
    제2 캐치 위치로부터 핀 출입구까지의 제4로를 가지고,
    상기 제1로 및 상기 제2로와, 상기 제3로 및 상기 제4로는, 상기 핀 출입구의 중심과 상기 핀 최종 캐치 위치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로와 상기 제2로는 문의 캐치 공정에 있어서의 핀이 통과하는 길이고,
    상기 제3로와 상기 제4로는 문의 릴리스 공정에 있어서의 핀이 통과하는 길이며,
    상기 제1로 내지 상기 제4로의 각각은 평면에서 봤을 때 만곡 형상이고 또한 양 측벽을 가지는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와,
    수평 방향에 있어서 회동함과 더불어, 탄발력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가압되고,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핀을 가지는 도어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핀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축과, 주축의 선단으로부터 굴곡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선단으로부터 굴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선단 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측 부재에는, 상기 핀을 지지하는 고정측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핀의 상부에는, 상기 핀 출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용의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의 핀측 걸림부를 형성한 핀측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측 지지부에는, 상기 핀측 걸림부와 걸리는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의 고정측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핀측 가이드 부재의 상기 핀측 걸림부가 상기 고정측 걸림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선단 핀부가 상기 바닥측 부재의 상기 핀 출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의 높이가 1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톱.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핀 최종 캐치 위치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톱.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로 내지 상기 제4로로 형성되는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이 하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톱.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핀측 걸림부의 볼록 형상이, 산형 형상의 돌기이고, 상기 고정측 걸림부의 오목 형상이, 상기 산형 형상의 돌기에 대응하는 절결부이거나, 또는 상기 고정측 걸림부의 볼록 형상이, 산형 형상의 돌기이고, 상기 핀측 걸림부의 오목 형상이, 상기 산형 형상의 돌기에 대응하는 절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톱.
  6. 삭제
  7. 삭제
KR1020150132989A 2014-10-21 2015-09-21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 및 도어 스톱 KR102430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4661 2014-10-21
JP2014214661 2014-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720A KR20160046720A (ko) 2016-04-29
KR102430852B1 true KR102430852B1 (ko) 2022-08-09

Family

ID=5576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989A KR102430852B1 (ko) 2014-10-21 2015-09-21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 및 도어 스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11515B2 (ko)
KR (1) KR102430852B1 (ko)
CN (1) CN105525811B (ko)
TW (1) TWI6784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4557B2 (ja) * 2014-04-01 2016-05-11 株式会社ベスト 係止部材、戸当たり、及びロッド係止機構
DE102017011267A1 (de) * 2017-12-07 2019-06-13 Thorsten Russ Sicherungsvorrichtung für eine Tü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4144A (ja) * 2013-03-01 2014-10-09 Mitsubishi Steel Mfg Co Ltd 戸当たり及びロッド係止機構及びロッド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336A (ja) * 1997-03-11 1998-09-22 Osaka Kanagu Kk 戸当り
JP2000045606A (ja) 1998-07-29 2000-02-15 Osaka Kanagu Kk 戸当たり
JP2000248808A (ja) 1999-02-26 2000-09-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戸当たり装置
JP3814517B2 (ja) * 2001-11-01 2006-08-30 株式会社ニフコ オルタネート式ロック装置
JP4261423B2 (ja) 2004-06-01 2009-04-30 河淳株式会社 戸当り
JP5096935B2 (ja) * 2008-01-15 2012-12-12 株式会社中西エンジニアリング 戸当り
JP5382422B2 (ja) * 2009-02-26 2014-01-08 株式会社ユニオン ドア保持部材及びドア保持装置
CN102182372A (zh) * 2011-03-22 2011-09-14 太田益大 门挡
JP6078318B2 (ja) * 2012-09-14 2017-02-08 株式会社ベスト 戸当り
TWM479971U (zh) * 2013-12-18 2014-06-11 Ming-Hsing Tien 伸縮柱定位式門擋裝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4144A (ja) * 2013-03-01 2014-10-09 Mitsubishi Steel Mfg Co Ltd 戸当たり及びロッド係止機構及びロッ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21135A (zh) 2016-06-16
CN105525811A (zh) 2016-04-27
CN105525811B (zh) 2018-06-29
KR20160046720A (ko) 2016-04-29
JP2016079797A (ja) 2016-05-16
JP6611515B2 (ja) 2019-11-27
TWI678457B (zh) 201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8918B2 (ja) ドアラッチシステム
US9885445B2 (en) Locking-unlocking structure for guiding forward lifting of lifting body by repeating pushing action
KR102430852B1 (ko) 도어 스톱용 바닥측 부재 및 도어 스톱
US9388620B2 (en) Door stopper and rod locking mechanism
JP5955600B2 (ja) 耐震安全装置
JP5258778B2 (ja) 耐震ラッチ構造
JP2011169036A (ja) インサイド操作装置
JP5339265B2 (ja) 引出のロック装置
JP2013019223A (ja) ラッチ装置
JP5914557B2 (ja) 係止部材、戸当たり、及びロッド係止機構
JP5789324B2 (ja) セーフティロック装置
JPH10252336A (ja) 戸当り
KR20150108145A (ko) 디지털 도어락
JP2860295B1 (ja) 地震時ロック機能を有する収納ボックスとこの収納ボックスに用いる地震時ロック装置
KR100900692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068187B1 (ko) 도어 고정 장치
KR101163471B1 (ko)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JP2007224497A (ja) ドア
JP6591380B2 (ja) リフターケース、引戸の振止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引戸
JP4546185B2 (ja) 遊技機用施錠装置
JP2010101075A (ja) 戸当り
JP2005330741A (ja) ドア
JP6027322B2 (ja) 戸の施錠装置
KR20160014257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JP3114897U (ja) パチンコ遊技機の部材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