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257A -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257A
KR20160014257A KR1020140096243A KR20140096243A KR20160014257A KR 20160014257 A KR20160014257 A KR 20160014257A KR 1020140096243 A KR1020140096243 A KR 1020140096243A KR 20140096243 A KR20140096243 A KR 20140096243A KR 20160014257 A KR20160014257 A KR 20160014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ecker
checker arm
cab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후상
조수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4257A/ko
Publication of KR2016001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체커암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의 열림각도 및 열림량과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에서 도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도어 체커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어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체커암의 굴곡면에 밀착된 상태로 도어의 열림각도를 규제하도록 된 하우징; 일단부가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 사이에 요입부가 형성된 굴곡면을 가지는 체커암; 사용자가 개폐되는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해 조작하게 되는 조작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요입부에 결합되어 체커암을 록(lock) 또는 록 해제하여 도어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체커암 록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커암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의 열림각도 및 열림량과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에서 도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도어 체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차체에서 소정 각도까지 열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차체와 도어 사이에는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 힌지와 도어 체커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힌지는 차체와 도어 사이에서 자중으로 인한 도어 처짐을 방지하면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어가 회전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도어 개폐 기능을 담당하고, 도어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도어 체커로 규제하고 있는데, 상기 도어 체커는 차체와 도어 사이에서 도어 개폐시의 절도감을 제공하면서 도어가 정해진 각도만큼 열려 있도록 하는 홀드 기능과 완전히 열렸을 때 멈추게 하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한다.
자동차의 도어는 도어 체커의 홀드 기능에 의해 최대가 아닌 중간 정도로 열려 있는 상태에서 승객의 승하차 등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어 체커가 도어의 열림정도 및 각도를 규제하므로 도어가 임의로 더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 체커는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최대 열림각도)에서 더 이상 열리지 않게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면서도 도어의 개폐시에 바람이나 경사진 도로에서의 자중으로 인해 도어가 원하지 않게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닫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상기 도어 체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굴곡면(11)이 형성된 체커암(10)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슬라이더가 내장되어 슬라이더를 통해 체커암(10)의 굴곡면(11)에 밀착된 상태로 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하우징(12)과, 체커암(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2)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의 최대 열림위치를 설정하는 스토퍼(14)를 포함한다.
이때, 체커암(10)의 타단부는 힌지브라켓(15)과 힌지핀(16)을 이용하여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체커암(10)이 도어 패널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2)의 삽입부(13)를 통해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시에 슬라이더가 체커암(10)의 상부와 하부를 따라 슬라이드 되는 것과 더불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굴곡면(11)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상의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의 형상은 도어를 크게 2단 또는 3단으로 멈출 수 있도록 설계하는데(열림각도를 2단 또는 3단으로 제어함), 사용자에 따라 열림량에 대한 최적화가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불만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임의의 위치에서 도어를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것은 물론 자기 차량의 도어 끝 부분이 옆에 주차된 차량의 도어를 찍어 손상시키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체커암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의 열림각도 및 열림량과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도어 체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체커암의 굴곡면에 밀착된 상태로 도어의 열림각도를 규제하도록 된 하우징; 일단부가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 사이에 요입부가 형성된 굴곡면을 가지는 체커암; 사용자가 개폐되는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해 조작하게 되는 조작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요입부에 결합되어 체커암을 록(lock) 또는 록 해제하여 도어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체커암 록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체커암 록 기구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서 이동상태에 따라 체커암의 요입부에 결합 또는 이격되어 체커암을 록 또는 록 해제하는 체커암 스토퍼; 상기 체커암 스토퍼를 브라켓에서 탄성 지지하면서 체커암 스토퍼를 체커암 록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조작수단과 체커암 스토퍼 사이에 연결되고 조작수단을 통한 체커암 록 해제 조작시 체커암 스토퍼를 당겨주어 체커암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수단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누름 조작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결합되어 누름 조작시 케이블을 당겨주도록 된 푸쉬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당김 조작만으로 사용자 손에 의해 눌리도록 사용자 손이 넣어지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안쪽 부분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브라켓 내측으로 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체커암 스토퍼에 결합된 케이블의 단부 주변으로 장착되어 일단부가 브라켓 내측면에, 타단부가 체커암 스토퍼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도어 체커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길 때 푸쉬버튼이 눌러지면서 체커암 록 기구가 체커암 록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푸쉬버튼의 누름이 해제될 때 체커암 록 기구가 체커암을 록 시켜 도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도어 개폐시 푸쉬버튼의 누름 해제를 통해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멈추도록 할 수 있는바, 원하는 위치에서 도어를 고정하는데 편리함이 있고, 도어 끝 부분이 옆에 주차된 차량의 도어를 찍어 손상시키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커암에 반복 형성되는 돌출부와 요입부를 짧은 간격으로 다수 개를 설치할 경우 사용자가 도어 고정 위치 및 열림각도를 더욱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서 체커암 록 기구에 의해 체커암이 구속(lock)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당김시에 푸쉬버튼이 눌러지면서 케이블이 당겨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푸쉬버튼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체커암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의 열림각도 및 열림량과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도어 체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서 체커암 록 기구에 의해 체커암이 구속(lock)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당김시에 푸쉬버튼이 눌러지면서 케이블이 당겨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푸쉬버튼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어 체커 장치는 종래의 도어 체커가 가지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들, 즉 체커암(10), 하우징(12), 스토퍼(14), 힌지브라켓(15) 및 힌지핀(16) 등을 포함하며, 이와 더불어 사용자가 개폐되는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해 조작하게 되는 조작수단(22)과, 사용자에 의한 조작수단(22)의 조작상태에 따라 체커암(10)을 록(lock) 또는 록 해제(unlock)하여 도어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체커암 록 기구(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스토퍼(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4임)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스토퍼는 체커암(10)에서 힌지브라켓(15)이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체커암(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부(11a)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1a)와 상기 돌출부(11a) 사이의 요입부(11b)가 반복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굴곡면(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2)에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 지지된 슬라이더(미도시)가 내장되어, 상기 하우징(12)이 슬라이더를 통해 체커암(10)의 굴곡면(11)에 밀착된 상태로 도어와 함께 이동한다.
또한, 체커암(10)의 일단부에는 하우징(12)의 이동을 제한하여 도어의 최대 열림위치를 설정하는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때, 체커암(10)의 타단부는 힌지브라켓(15)과 힌지핀(16)을 이용하여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체커암(10)이 도어 패널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2)의 삽입부(13)를 통과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시에 슬라이더가 체커암(10)의 굴곡면(11)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것과 더불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굴곡면(11)의 요입부(11b)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체커암(10)에는, 종래와 같이 도어의 열림각도를 2단 또는 3단으로만 제어하기 위한 굴곡면 형상과 달리, 보다 많은 단수로 열림각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돌출부(11a)와 요입부(11b)가 종래의 체커암(10)에 비해 더 많은 수로 형성된다.
즉, 기본적으로 돌출부(11a)와 요입부(11b)가 반복 형성되어 있는 체커암(10)의 굴곡면(11)에 의해 도어의 열림각도가 다단으로 제어되도록 하되, 후술하는 체커암 록 기구(24)가 많은 수의 요입부(11b) 중 어느 하나의 요입부 위치에서 체커암(10)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고정 위치가 보다 세밀화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수단(22)은 운전자나 승객 등의 사용자가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조작하게 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이 넣어지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20)의 안쪽 부분 면에 누름 조작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푸쉬버튼(push button)(22)이 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도어를 열거나 닫기 위해 아웃사이드 핸들(20)을 당기는 순간 안쪽의 푸쉬버튼(22)을 자연스럽게 눌러줄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쉬버튼(22)에는 케이블(23)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이 케이블(23)은 핸들(20) 내부를 통해 도어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23)의 타단부가 체커암 록 기구(24)에 연결된다.
상기 푸쉬버튼(22)에 일단부가 조립되는 케이블(23)은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21)의 내부를 따라 핸들 커버 외측으로 연장되어 도어 내부를 통해 체커암(10)측에 위치된 체커암 록 기구(24)까지 길게 연장된다.
이때, 아웃사이드 핸들(20)에 설치되는 푸쉬버튼(22), 및 푸쉬버튼(22)에 결합되는 케이블(23) 간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푸쉬버튼(22)은 누름 조작시 케이블(23)을 당겨줄 수 있도록 설치되고, 케이블(23)은 푸쉬버튼(22)의 누름 조작시에 일정량이 당겨질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도 6의 (a)는 푸쉬버튼(22)의 누름 조작 전 상태를, (b)는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20)을 당길 때 푸쉬버튼(22)이 누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도어 체커 장치가 적용된 경우, 사용자는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아웃사이드 핸들(20)을 당겨야 할 뿐만 아니라 푸쉬버튼(22)을 눌러 체커암 록 기구(24)에 의한 체커암(10)의 록(lock) 상태를 해제해 주어야만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푸쉬버튼(22)이 도 6의 (b)와 같이 누름 조작되었을 때 케이블(23)이 당겨지고, 케이블(23)이 당겨짐에 따라 도어측에 고정된 체커암 록 기구(24)가 차체측에 고정된 체커암(10)의 록 상태를 해제하며, 이에 도어가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체커암 록 기구(24)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25), 상기 브라켓(25) 내측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후 이동된 상태에 따라 체커암(10)의 요입부(11b)에 결합 또는 이격되어 체커암(10)을 록(lock) 또는 록 해제(unlock)하는 체커암 스토퍼(26), 상기 체커암 스토퍼(26)를 브라켓(25) 내측에서 탄성 지지하면서 체커암 스토퍼(26)를 체커암 록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7), 조작수단(푸쉬버튼)(22)과 체커암 스토퍼(26) 사이에 연결되고 조작수단(22)을 통한 체커암 록 해제 조작시에 체커암 스토퍼(26)를 당겨주어 체커암(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케이블(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25)은 도어 패널 내측에 미도시된 고정수단 내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내측에 결합된 스토퍼(14)를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25)의 통공을 통해 브라켓(25) 내측으로 삽입된 케이블(23)의 단부가 체커암 스토퍼(26)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체커암 스토퍼(26)와 브라켓(25) 사이에는 체커암 스토퍼(26)를 탄성 지지하면서 탄성 복원력을 체커암 스토퍼(26)의 록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탄성부재(27)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7)는 브라켓(25) 내측에서 통공을 통해 삽입된 케이블(23)의 단부 주변으로 장착되는 코일스프링(27)이 될 수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27)의 일단부는 브라켓(25) 내측면에, 그 타단부는 체커암 스토퍼(26)에 지지된다.
이에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는 푸쉬버튼(22)의 누름 조작에 의해 케이블(23)이 당겨질 경우 브라켓(25) 내 체커암 스토퍼(26)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체커암 스토퍼(26)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체커암(10)의 요입부(11b)로부터 이격되는바, 결국 체커암(10)은 록 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 체커암 스토퍼(26)가 코일스프링(27)을 압축하면서 후방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체커암(10)의 록 해제 상태에서는 체커암(10)이 체커암 스토퍼(26)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도어측에 고정된 하우징(12)에 대해 체커암(10)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작동 가능 상태가 된다.
체커암(10)이 상기한 작동 가능 상태일 경우 도어의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 즉 도어가 회전되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면, 푸쉬버튼(22)의 누름 조작상태가 해제되어 케이블(23)에 의한 당김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 즉 코일스프링(2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체커암 스토퍼(26)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방으로 이동한 체커암 스토퍼(26)가 체커암(10)의 요입부(11b) 내측으로 밀착 결합되면서 체커암(10)을 록 시키게 된다.
이러한 체커암 록 상태에서는 체커암(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된 상태가 되므로 도어가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되어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체커 장치에서 케이블(23)의 경로 설정 및 안내를 위한 케이블 지지수단이 도어 패널 내측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케이블 지지수단은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나, 도 4에서 케이블(23)을 브라켓(25)쪽으로 안내하는 하나의 케이블 지지수단만을 도시하였다.
즉, 푸쉬버튼(22)의 누름 조작시 체커암 스토퍼(26)로 연결된 케이블(23)이 원활히 당겨질 수 있도록, 그리고 케이블이 체커암 스토퍼를 체커암(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케이블의 경로가 설정되어야 함은 물론 케이블의 당김/해제시 케이블의 이동이 안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케이블(23)의 경로 설정 및 안내를 위한 케이블 지지수단이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야 하며, 일 예로서, 도어 패널 내측에 케이블 경로를 따라 롤러(도 4에서 도면부호 28 참조)를 설치한 뒤, 롤러(28)에 케이블(23)을 지지시켜, 롤러에 의해 케이블의 경로 설정 및 롤러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의 이동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도어 체커 장치가 적용될 경우, 사용자가 도어를 열거나 닫기 위해 아웃사이드 핸들(20)을 당기는 순간 안쪽의 푸쉬버튼(22)을 누르게 되고, 푸쉬버튼(22)이 누름 조작되어 케이블(23)이 당겨지면 체커암 스토퍼(26)가 체커암(10)으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체커암 록 기구(24)에 의한 체커암 록 상태가 해제되면서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20)을 놓으면서 푸쉬버튼(22)의 누름을 해제하는 순간, 케이블(23) 및 이를 통해 체커암 스토퍼(26)에 작용하던 당김력이 해제되면서, 체커암 스토퍼(26)가 탄성부재(코일스프링)(2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전방 이동되고, 이에 체커암 스토퍼(26)가 요입부(11b)에 결합되면서 체커암(10)은 다시 록 상태가 된다.
이에 사용자가 푸쉬버튼(22)의 누름을 해제한 위치에서 도어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아웃사이드 핸들로부터 손을 떼는 것만으로 도어를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임의의 위치에서 도어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좁은 주차공간에서 도어를 열 때 옆 차량의 도어를 손상시키는 일은 방지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체커암 11 : 굴곡면
11a : 돌출부 11b : 요입부
12 : 하우징 13 : 삽입부
14 : 스토퍼 15 : 힌지브라켓
16 : 힌지핀 20 :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21 : 아웃사이드 핸들 커버 22 : 조작수단(푸쉬버튼)
23 : 케이블 24 : 체커암 록 기구
25 : 브라켓 26 : 체커암 스토퍼
27 : 탄성부재(코일스프링)

Claims (5)

  1. 도어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체커암의 굴곡면에 밀착된 상태로 도어의 열림각도를 규제하도록 된 하우징;
    일단부가 차체에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 사이에 요입부가 형성된 굴곡면을 가지는 체커암;
    사용자가 개폐되는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해 조작하게 되는 조작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요입부에 결합되어 체커암을 록(lock) 또는 록 해제하여 도어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체커암 록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 록 기구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서 이동상태에 따라 체커암의 요입부에 결합 또는 이격되어 체커암을 록 또는 록 해제하는 체커암 스토퍼;
    상기 체커암 스토퍼를 브라켓에서 탄성 지지하면서 체커암 스토퍼를 체커암 록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조작수단과 체커암 스토퍼 사이에 연결되고 조작수단을 통한 체커암 록 해제 조작시 체커암 스토퍼를 당겨주어 체커암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누름 조작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결합되어 누름 조작시 케이블을 당겨주도록 된 푸쉬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당김 조작만으로 사용자 손에 의해 눌리도록 사용자 손이 넣어지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안쪽 부분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브라켓 내측으로 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체커암 스토퍼에 결합된 케이블의 단부 주변으로 장착되어 일단부가 브라켓 내측면에, 타단부가 체커암 스토퍼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20140096243A 2014-07-29 2014-07-29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20160014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243A KR20160014257A (ko) 2014-07-29 2014-07-29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243A KR20160014257A (ko) 2014-07-29 2014-07-29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257A true KR20160014257A (ko) 2016-02-11

Family

ID=5535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243A KR20160014257A (ko) 2014-07-29 2014-07-29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42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4948A (zh) * 2016-03-29 2017-10-10 福特全球技术公司 自动关闭车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4948A (zh) * 2016-03-29 2017-10-10 福特全球技术公司 自动关闭车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0005B2 (en) Vehicle door handle comprising an inertial mass
US8245447B2 (en) Slide door assembly with safety device
EP3118400B1 (en) Vehicle door handle
KR10183647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EP3309005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KR10115430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KR102602955B1 (ko) 차량용 연료 도어 장치
KR20160014257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1703151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콘솔 노브 연동의 슬라이딩 암레스트 시스템
EP3748110B1 (en) Inside handle device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CN112840093B (zh) 车辆用车门的操作杆装置
JP6975698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JP2010047969A (ja) スライドドアの停止装置
KR101163471B1 (ko)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US20190390489A1 (en) Integrated Door Latch Assembly of Sliding Door
KR101371257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2291235B1 (ko) 차량용 스트랩 핸들 일체형 인사이드 핸들 구조
KR100384601B1 (ko)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장치
KR102422970B1 (ko) 테일게이트용 비상 개방장치
US8820573B2 (en) Mechanism to hold cover open or closed
JPS609086Y2 (ja) パツシプシ−トベルト装置
JP2008155681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7069636A (ja) 収納装置
KR10192388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