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351B1 -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351B1
KR102430351B1 KR1020200124892A KR20200124892A KR102430351B1 KR 102430351 B1 KR102430351 B1 KR 102430351B1 KR 1020200124892 A KR1020200124892 A KR 1020200124892A KR 20200124892 A KR20200124892 A KR 20200124892A KR 102430351 B1 KR102430351 B1 KR 10243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bridge
hole
buffer
coupl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174A (ko
Inventor
정찬욱
Original Assignee
(주)신화
주식회사 가나
(주)호남엠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 주식회사 가나, (주)호남엠엔씨 filed Critical (주)신화
Publication of KR2021008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에 대한 것으로, 인도교에 가해지는 하중 및 외부 진동 등에 의한 공진 등과 같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량 및 도로의 경계 부위에 구비되고 시멘트재질 또는 석재로 이루어진 기초부(2)에 결합되는 연결부(1);와 상기 연결부(1)에 일측에 결합되는 인도교(3);로 구성되고, 기초부(2)에 인도교(3)의 일측을 연결부(1)를 이용하여 결속체결하고, 상기 인도교의 체결된 부분 하단방향에 위치하는 단부가 기초부(2)의 측면에 접하며 지지되는 구조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A SIDEWALK BRIDGE WITH SHOCK ABSORBING AND REDUCING VIBRATION FUN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에 대한 것으로, 인도교에 가해지는 하중 및 외부 진동 등에 의한 공진 등과 같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교는 도로 또는 교량과 같은 통행시설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보행자 또는 자전거와 같은 소형 이동수단을 위해 도로 또는 교량의 옆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인도교의 경우 여러가지 설치방법을 적용하고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도로 또는 교량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난간이나, 경계석 등과 같은 시설물에 일부분을 부착하여 확장하는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인도교를 난간 또는 경계석 등에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시멘트 재질의 난간 또는 경계석에 종측 또는 횡측으로 천공한 후, 체결봉 등을 내삽한 후 체결봉과 천공된 홀의 사이에 난간 또는 경계석과 동일한 재질의 시멘트 또는 케미컬충진제를 충진시키고 경화시켜 체결봉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된 후, 일부분이 돌출된 체결봉의 양측에서 결합부재 및 인도교의 일측단부를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체결방법은 인도교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충진된 시멘트 부분이 체결봉과 이탈되며, 파손되고, 이로 인하여 인도교가 붕괴되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고, 그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8641호(내진수단이 구비되는 확장 이도 및 이의 시공방법, 이하에서 '선행기술'이라 함)에서 주변 지형보다 높게 조성된 차량주행로 측면 경사면(S) 상부 또는 교량(B) 측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캔틸레버 브래킷(11)과, 어느 하나의 캔틸레버 브래킷(11)의 전단을 인접되는 캔틸레버 브래킷(11)의 후단과 연결시키되 캔틸레버 브래킷(11) 사이마다 단절구간이 형성되는 와이어(121,122) 및, 와이어(121,122)의 단절 구간을 연결시키는 와이어 링크(13)로 이루어지는 수평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10)의 상면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고정되는 각형각관(31)과, 각형각관(31)을 수평 프레임(10)부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32)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프레임(30)과, 상부 프레임(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데크(34) 및, 데크(34)의 가장자리 상부에 설치되는 안전 펜스(40)로 구성되어, 지진 상황에서 상기 캔틸레버 브래킷(11)에 발생되는 진동을 와이어가 흡수하고, 와이어 링크(13)가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공진을 단절시켜 줌으로써 지진의 진동을 경감시키는 내진 수단이 구비되는 확장 인도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외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통하여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외부환경이 열악한 시공장소의 특성에 따라 부식 또는 파손 등이 발생하여 진동을 저감시키기 부족한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가 높으며, 외측에 진동저감을 위한 복수개의 와이어가 돌출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미관상의 문제점 및 와이어의 진동을 저감시켜줄 수 있도록 한 탄성실린더의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진동을 저감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도교의 설치를 위한 결합부분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으로 확장형 인도를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결합고정 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외부충격 또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인도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8641호 (2018.05.17.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부위의 외부노출을 최소화 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간단한 구조로 충격흡수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량 및 도로의 경계 부위에 구비되고 시멘트재질 또는 석재로 이루어진 기초부(2)에 결합되는 연결부(1);와 상기 연결부(1)에 일측에 결합되는 인도교(3);로 구성되고, 기초부(2)에 인도교(3)의 일측을 연결부(1)를 이용하여 결속체결하고, 상기 인도교의 체결된 부분 하단방향에 위치하는 단부가 기초부(2)의 측면에 접하며 지지되는 구조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는 인도교(3)의 일측 단부가 접하며 지지되는 연결플레이트(10);와 기초부(2)에 형성되는 관통홀(2a)에 내삽되고, 결합앙카(30)를 내삽할 수 있는 중공(21)이 형성되는 완충연결관(20); 및 상기 완충연결관(20)의 중공(21)에 내삽되고, 인도교(3)를 기초부(2)에 체결하고 결합해주는 결합앙카(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완충연결관(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홈과, 상기 홈 사이에 돌기가 형성되어 외주면의 단면형상이 기어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의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초부(2)에 형성되는 관통홀(2a)은 완충연결관(20)의 돌기를 기준한 직경과 동일 또는 미세한 차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완충연결관(20)이 관통홀(2a)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2a)과 완충연결관(20)의 사이에는 충진제(40)를 주입하여 결합하게 되며, 인도교(3)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결합앙카(30)와 완충연결관(20)의 접촉면에서 진동에너지 및 충격에너지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초부(2)에 인도교(3)의 일측을 연결부(1)를 이용하여 결속체결하고, 상기 인도교의 체결된 부분 하단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는 결합부재(60)를 이용하여 결속체결하거나, 연결부(1)를 이용하여 결속체결하여 기초부(2)와 인도교(3)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자 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를 제공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외부노출을 최소화 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간단한 구조로 충격흡수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도교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을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의 다른 실시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도교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도교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부분을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의 다른 실시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도교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교량 및 도로의 경계 부위에 구비되고 시멘트재질 또는 석재로 이루어진 기초부(2)에 결합되는 연결부(1)와 상기 연결부(1)에 일측에 결합되는인도교(3)로 구성되고, 기초부(2)에 인도교(3)의 일측을 연결부(1)를 이용하여 결속체결하고, 상기 인도교의 체결된 부분 하단방향에 위치하는 단부가 기초부(2)의 측면에 접하며 지지되는 구조로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1)는 인도교(3)의 일측 단부가 접하며 지지되는 연결플레이트(10)와 완충연결관(20) 및 결합앙카(3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0)는 일측면이 인도교(3)의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관형태의 지지프레임(3a)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면은 기초부(2)의 일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10)는 지지프레임(3a)과 접하는 면을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고정하게 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0)는 판재 형상을 가지며 기초부(2)의 측면에 밀착되어 구비되되, 후술되는 기초부(2)의 관통홀(2a)에 대응되는 곳이 위치하도록 한다.
연결플레이트(10)의 타측면에는 기초부(2)에 형성되는 관통홀(2a)에 내삽되고, 결합앙카(30)를 외삽하는 완충연결관(20)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연결관(20)은 기초부(2)에 형성되는 관통홀(2a)의 입구보다 내측에 위치하거나, 입구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10)는 관형태로 형성되는 인도교(3)의 지지프레임(3a)에 개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각편형태로 적용되거나, 일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평면형상이 'H'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판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각편형태의 연결플레이트는 인도교(3)의 지지프레임(3a)에 각각 체결되거나,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되고, 판형태의 연결플레이트는 각각의 지지프레임을 일체로 체결하거나 결속해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판형태의 연결플레이트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판(1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형태로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완충연결관(20)은 결합앙카(30)을 외삽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관 형상을 유지하며,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홈과 돌기를 형성되도록 한다.(도 3a 참조)
이는 완충연결관(20)을 관통홀(2a)에 내삽하고 관통홀(2a)과 완충연결관(20)의 사이에 접착성분을 가지는 케미컬앙카 또는 시멘트 등과 같은 충진제(40)를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완충연결관(20)의 외경과 동일 또는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관통홀(2a)과의 사이공간에 충진제(40)가 보다 잘 인입되고,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합앙카(3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등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완충연결관(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홈과, 상기 홈사이에 형성되는 돌기로 외주면의 단면형상이 기어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반 원형의 관보다 외주면의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완충연결관(20)과 관통홀(2a)의 내부에 인입되는 충진제간의 접합면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충진제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관통홀(2a)에 충진제(40)를 인입할 때, 홈을 따라 인입되도록 하여 충진효과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내삽되어 내부에 위치하는 결합앙카(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 등을 외부로 분산시킬 때, 분산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각각의 단위면적이 전달하는 진동 및 충격이 단순한 원형관에 비해 비교적 적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완충연결관(20)은 결합앙카(30)과 동일한 재질 또는 이형재질로 형성되는데, 통상의 금속재질의 결합앙카(30)와 동일한 금속재질 또는 이형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화학적인 성질이 다른 강화플라스틱, 강화고무 등도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연결관(20)이 결합앙카(30)와 기초부(2)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이 결합앙카(30)로 전달되어 올 경우 완충연결관(20)과 결합앙카(30)의 접촉면을 통과하는 진동에너지 및 충격에너지가 감소하게 되어 진동 및 충격을 저감할 수 있으며, 기초부(2)에 전해지는 진동에너지 및 충격에너지를 감소시켜 기초부(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진동 및 충격을 저감시키게 되어, 인도교(3)가 공진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완충연결관(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과 돌기는 다양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시된 통상의 삼각형태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앙카(30)와 완충연결관(20)의 중공에 발생되는 미세한 공간에도 충진제(40)가 더 인입되어 결합앙카(30)와 완충연결관(20)의 결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완충연결관(2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관통홀(2a)의 입구와 동일한 위치 또는 입구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내측에 내삽되어 위치하는 결합앙카(30)를 연결플레이트(10)와 체결하여 기초부(2)와 인도교(3)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앙카(30)는 통상의 봉형태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나사를 이용한 체결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앙카(30)는 연결플레이트(10)와 체결될 때, 일측 단부를 연결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 용접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결합하거나, 연결플레이트(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홀(10a)에 내삽하고 나사를 체결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도2a 및 도 2b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는 연결부(2)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홀(2a)을 형성한 후, 완충연결관(20)을 내삽하고, 관통홀(2a)과 완충연결관(20)의 사이 빈공간에 충진제(40)를 충진하여 결속한 후, 완충연결관(20)의 중공에 결합앙카(30)를 내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앙카(30)를 내삽한 후, 일측면은 나사를 체결하여 결속한 후, 타측은 인도교(3)의 일측과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도교(3)와 체결되는 일측은 상측에 위치하고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지지프레임(3a)을 체결하게 되며, 상기 지지프레임(3a)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프레임은 인도교(3)의 하중에 의해, 기초부(2)의 측면과 접촉되고 지지되도록 하게 된다.
이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시 인도교(3)의 하단부가 기초부(2)의 측면에 지지되고 있는 형태로 제공됨으로 직접적인 충격이나 진동을 기초부(2)에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인도교(3)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의 경우 단순히 기초부(2)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수개의 지지프레임을 연속설치하여 인도교(3)를 연장할 때에는 설치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부 지지프레임에 판 형상의 하단브라켓(50)이 추가로 구비되어 하단부 지지프레임과 결합고정되며, 하단브라켓(50)의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체결홀(51)을 양측단에 각각 형성하도록 하여, 기초부(2)와 별도의 결합부재(60)를 통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부재(60)로는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는 세트앙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과 같이 인도교(3) 하측에는 하단브라켓(50) 및 결합부재(60)를 통해 인도교(2)에 설치고정될 수 있으나 보행자가 많거나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는 인도교(3)에는 도 4와 같이 인도교(3)의 말단 상단측의 지지프레임과 하단측의 지지프레임에 대응되는 기초부(2)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홀(2a)을 시공하고, 각각의 관통홀(2a)에 앞서 설명한 완충연결관(20)을 각각 내삽하고, 충진제(40)를 시공한 후 결합앙카(30)를 시공한 후 인도교(3)의 상단측 지지프레임과 하단측 지지프레임을 체결하여 결합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된 구성 및 구조를 갖는 연결 구조체(1)는 도 5와 같은 순서로 기초부(2)에 설치되어 인도교(3)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1) 연결프레임 연결단계(S10)
연결프레임 연결단계(S10)는 연결프레임(10)과 결합될 인도교(3)의 말단 지지프레임(3a)을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연결프레임(10)의 일면과 인도교(3)의 말단 관형상의 지지프레임(3a)은 용접 등을 통해 영구적으로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완충연결관(20) 및 결합앙카(30)와 결합될 인도교의 말단에 위치한 지지프레임(3a)의 단부에만 연결프레임(10)을 결합하도록 하며, 인도교(3)와 연결된 연결프레임(10)을 기초부(2)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2) 관통홀 형성단계(S20)
관통홀 형성단계(S20)는 인도교(3) 말단과 맞닿을 기초부(1)의 일측면에 완충연결관(20)이 내삽될 관통홀(2a)을 형성하는 단계로, 관통홀(2a)과 인도교(3) 말단 지지프레임(3a)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관통홀(2a)을 형성한다.
이때, 관통홀(2a)은 인도교(3) 말단 상측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기초부(2)를 관통형성될 수 있도록 하거나 말단 상하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설치자의 의도에 따라 연결부(1)의 설치 위치에 따라 관통홀(2a)을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기초부(2)에 형성하도록 한다.
3) 완충연결관 내삽단계(S30)
완충연결관 내삽단계(S30)는 기초부(2)의 관통홀(2a)에 완충연결관(20)이 내삽되는 단계로, 이때, 완충연결관(20)은 관통홀(2a)에 내삽되면서 연결프레임(10)의 타면과 밀착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a)은 완충연결관(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기를 기준으로 한 직경과 동일 또는 미세한 차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완충연결관(20)이 관통홀(2a)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4) 충진제 주입단계(S40)
완충연결관(20)이 관통홀(2a)에 결합된 상태에서 관통홀(2a)과 완충연결관(20)의 외측사이의 틈새에 주입될 수 있고, 완충연결관(20) 중앙의 앙카결을 위한 중공(21)에도 추가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충진제(40)는 완충연결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충진제(40)의 주입시 발생될 수 있는 내부기포 등을 방지하며 보다 용이하게 충진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5) 결합앙카 결합단계(S50)
충진제(40)가 관통홀(2a)과 완충연결관(20)의 사이에 충진하고 충진제(40)가 경화된 후 결합앙카(30)를 완충연결관(20)의 중공(21)에 내삽하여 결합하거나, 충진제(40)를 완충연결관(20)의 중공(21)에 주입한 후 결합앙카(30)를 완충연결관(20)에 내삽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연결부 2 : 기초부
2a: 관통홀 3: 인도교
3a: 지지프레임
10: 연결프레임 20: 완충연결관
21: 중공 30: 결합앙카
40: 충진제 50: 하단브라켓
51: 체결홀 60: 결합부재

Claims (7)

  1. 교량 및 도로의 경계 부위에 구비되고 시멘트재질 또는 석재로 이루어진 기초부(2)에 결합되는 연결부(1);와
    상기 연결부(1)에 일측에 결합되는 인도교(3);로 구성되고,
    상기 기초부(2)에 상기 인도교(3)의 일측을 연결부(1)를 이용하여 결속체결하고, 상기 인도교의 체결된 부분 하단방향에 위치하는 단부가 상기 기초부(2)의 측면에 접하며 지지되는 구조로 완성되고,
    상기 연결부(1)는 일측면이 인도교(3)의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관형태의 지지프레임(3a)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면은 기초부(2)의 관통홀(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도교(3)의 지지프레임(3a)에 개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각편 형태이거나, 지지프레임(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함몰된 평면이 'H'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3a)과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10)와,
    상기 기초부(2)는 관통홀(2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홀(2a)에 완충연결관(20)이 내삽되고, 상기 완충연결관(20)은 중공(21)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 내부로 결합앙카(30)가 내삽되어, 상기 결합앙카가 상기 인도교(3)를 상기 기초부(2)에 체결하게 구성되고,
    상기 완충연결관(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홈과 상기 복수개의 홈 사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게 하여, 외주면의 단면형상은 기어형상이 됨에 따라, 외주면의 단면적이 넓어져서 상기 기초부(2)에 접촉되는 면적을 크게 하여 상기 인도교(3)에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게 하고,
    상기 결합앙카(30)는 연결플레이트(10)와 체결될 때, 일측 단부를 연결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 용접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결합하거나, 연결플레이트(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홀(10a)에 내삽하고 나사를 체결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초부(2)는 관통홀(2a)이 완충연결관(20)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개 돌기의 외면을 연결한 가상의 직경과 동일 내지 미세한 차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완충연결관(20)이 관통홀(2a)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2a)과 완충연결관(20)이 결합된 공간에는 충진재(40)를 주입하여, 인도교(3)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결합앙카(30)와 기어 형상의 완충연결관(20)의 접촉면에서 진동에너지 및 충격에너지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2)에 인도교(3)의 일측을 연결부(1)를 이용하여 결속체결하고, 상기 인도교의 체결된 부분 하단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는 결합부재(60)를 이용하여 결속체결하거나, 연결부(1)를 이용하여 결속체결하여 기초부(2)와 인도교(3)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20200124892A 2019-12-20 2020-09-25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2430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1401 2019-12-20
KR1020190171401 2019-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174A KR20210080174A (ko) 2021-06-30
KR102430351B1 true KR102430351B1 (ko) 2022-08-08

Family

ID=7660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892A KR102430351B1 (ko) 2019-12-20 2020-09-25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012B1 (ko) * 2023-06-22 2023-11-23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613A (ja) * 1999-03-03 2000-09-12 Tsuzuki Co Ltd バルコニーの構造と該バルコニーの取付工法
JP2003041583A (ja) * 2001-07-31 2003-02-13 Nkk Corp 鋼管杭、その接続構造及びこの鋼管杭を用いたアースアンカー
KR101346344B1 (ko) * 2013-07-11 2013-12-31 (주) 청명토목이엔지 콘크리트 내부에 긴장재 고정 정착부를 구비한 비부착식 psc i 빔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9115B2 (ja) * 1995-08-24 1999-11-15 鹿島建設株式会社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施工法
JP3113980B2 (ja) * 1998-05-15 2000-12-04 広島化成株式会社 落橋防止用連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落橋防止 方法
KR20150025031A (ko) * 2013-08-28 2015-03-10 서은숙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KR101858641B1 (ko) 2017-07-28 2018-05-17 케이지포장건설(주) 내진수단이 구비되는 확장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613A (ja) * 1999-03-03 2000-09-12 Tsuzuki Co Ltd バルコニーの構造と該バルコニーの取付工法
JP2003041583A (ja) * 2001-07-31 2003-02-13 Nkk Corp 鋼管杭、その接続構造及びこの鋼管杭を用いたアースアンカー
KR101346344B1 (ko) * 2013-07-11 2013-12-31 (주) 청명토목이엔지 콘크리트 내부에 긴장재 고정 정착부를 구비한 비부착식 psc i 빔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174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1716C2 (ru) Дорожное направляющее сооружение
KR101383208B1 (ko) 인도 및 자전거 교량과 그 시공방법
KR102086303B1 (ko) 체결력이 향상된 연결브라켓을 갖는 데크로드
RU2413814C2 (ru) Дорожное направляющее сооружение
KR102430351B1 (ko)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0736202B1 (ko) 강관파일 힌지결합형 두부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704701B1 (ko) 지진 대비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갖는 무용접 목재 데크
KR100694805B1 (ko) 다공성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분절형 다공성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0804094B1 (ko) 탄력 볼라드
KR100804095B1 (ko) 슬림 타입 탄력 볼라드
JP2004324265A (ja) 橋梁の落橋防止装置及び移動制限装置並びに落橋防止工法
KR101447722B1 (ko) 저형고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756517B1 (ko) 중공합성교각
JP2010090630A (ja) 補強部材接合構造
KR100620778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설치구조
KR101298581B1 (ko) 섬유보강 복합소재 데크 튜브 간의 스냅-핏과 접착 혼합 조립에 의한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102057323B1 (ko)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KR100952895B1 (ko) 도로확장용 블록구조물과 시공방법
KR101259247B1 (ko) 댐핑형 구조물
KR101060358B1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20080109303A (ko) 차량규제용 탄력봉
KR100995872B1 (ko) 원터치 연결형 도로용 가드레일
KR102555736B1 (ko)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9138108A (ja) 連結構造および軽量盛土構造物
KR102439580B1 (ko) 다기능 데크로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