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736B1 -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736B1
KR102555736B1 KR1020230047245A KR20230047245A KR102555736B1 KR 102555736 B1 KR102555736 B1 KR 102555736B1 KR 1020230047245 A KR1020230047245 A KR 1020230047245A KR 20230047245 A KR20230047245 A KR 20230047245A KR 102555736 B1 KR102555736 B1 KR 102555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vibration
bracket
metal plate
pl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하
Priority to KR102023004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판형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접합부로 켄틸레버부를 설치함으로써 확장형 인도교의 장기안정성을 확보하고, 사용 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Expandable Footbridge With Metal-plate Spring For Improved Long-Term Stability, Vibration Red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판형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접합부로 켄틸레버부를 설치함으로써 확장형 인도교의 장기안정성을 확보하고, 사용 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교량이나 도로는 차량의 이동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반면 최근 레저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걷기운동과 자전거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져, 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기존의 교량이나 도로의 취부에 확장형 인도교가 설치되고 있다.
확장형 인도교는 일반적으로 켄틸레버형 구조가 많이 적용되어 있다. 켄틸레버형 구조는 거더의 단부를 교량 혹은 도로의 취부에 접합시키고, 거더의 상측에 데크를 설치하는 구조에 해당하고, 일반적으로 이중거더로 이루어진다.
확장형 인도교는 구조적 특성상 사용자의 보행 혹은 자전거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에 취약한 문제가 있어, 일반적으로 이러한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종래에는 교량 혹은 도로의 취부에 접합되는 거더의 단부영역에 스프링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동을 저감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스프링을 이용하는 구조로 인하여 확장형 인도교의 폭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는 반면, 높이방향의 진동을 흡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폭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더라도 결국 확장형 인도교가 전체적으로 높이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은 방지할 수 없어, 보행자의 보행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판형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접합부로 켄틸레버부를 설치함으로써 확장형 인도교의 장기안정성을 확보하고, 사용 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켄틸레버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로서, 상기 켄틸레버부는, 일면이 교량 측면에 결합되고, 양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방진접합부;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하부가 상기 방진접합부측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스프링; 및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교량 측면에 결합되는 접합면, 및 상기 접합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I자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강재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강재브라켓의 상부에 보행을 위한 확장데크부가 위치하고, 상기 확장데크부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켄틸레버부는 상기 진동을 상기 강재브라켓의 접합면을 통해 상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하고, 상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된 진동을 상기 금속판스프링의 하부측을 통해 흡수하는, 확장형 인도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켄틸레버부는,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금속판스프링과 강재브라켓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강재브라켓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켄틸레버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전체적으로 흡수하여, 상기 강재브라켓으로부터 상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진접합부는,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부본체; 상기 접합부본체의 일측 플랜지면으로부터 상기 접합부본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부는 제1폭을 갖도록 연장되고, 하부는 상기 제1폭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제2폭을 갖도록 연장되는 제1접합부측면; 상기 접합부본체의 타측 플랜지면으로부터 상기 접합부본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부는 제3폭을 갖도록 연장되고, 하부는 상기 제3폭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제4폭을 갖도록 연장되는 제2접합부측면; 및 상기 제1접합부측면 및 제2접합부측면 각각의 하측 플랜지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합부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본체, 제1접합부측면, 제2접합부측면, 및 접합부하면에 의하여 하부에 거치가 가능한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금속판스프링은,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판; 상기 제1판으로부터 켄틸레버부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판; 상기 제2판으로부터 켄틸레버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되, 상부를 향해 경사배치되는 제3판; 및 상기 제3판으로부터 상기 제1판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판 및 제2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4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판, 제3판, 및 제4판은 상기 제1판의 하측에서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상기 금속판스프링은 상기 켄틸레버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상기 강재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1판으로 전달받은 후에, 상기 제2판, 제3판, 및 제4판으로 연속적으로 전달하여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재브라켓은,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제1브라켓접합면;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으로부터 켄틸레버부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접합면;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1브라켓지지면; 일단이 상기 제2브라켓접합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길이 대비 짧은 제2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2브라켓지지면;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과 제2브라켓지지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제2브라켓지지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의 타단까지 높이가 점차 감소되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3브라켓지지면; 및 상기 제2브라켓접합면과 상기 제2브라켓지지면을 서로 연결하는 제4브라켓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 제2브라켓지지면, 및 제3브라켓지지면은 전체적으로 I자 단면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재브라켓은, 상기 확장데크부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을 통해 상기 제2브라켓지지면, 제3브라켓지지면, 및 제4브라켓지지면으로 연속적으로 전달한 후에,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 및 제2브라켓접합면을 통해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진접합부는 제1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판스프링은 제2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재브라켓은 제3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켄틸레버부는, 앙카머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앙카본체가 상기 제1결합홀, 제2결합홀, 및 제3결합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방진접합부, 금속판스프링, 및 강재브라켓을 전체적으로 교량 측면에 결합시키는 케미컬앙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켄틸레버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확장형 인도교가 시공되는 교량 및 도로의 취부면을 정리하는 취부면정리단계; 상기 취부면에 케미컬앙카를 설치하는 케미컬앙카설치단계;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금속판스프링을 결합하는 금속판스프링결합단계; 상기 금속판스프링이 결합된 상기 방진접합부를 상기 취부면에 설치하는 방진접합부설치단계;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강재브라켓을 설치하는 강재브라켓설치단계; 상기 강재브라켓의 상측으로 난간받침부 및 장선을 설치하는 난간받침부및장선설치단계; 상기 강재브라켓의 상측으로 확장데크부를 설치하는 확장데크부설치단계; 및 상기 난간받침부의 상측으로 난간부를 설치하는 난간부설치단계;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판형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접합부로 켄틸레버부를 설치함으로써 확장형 인도교의 장기안정성을 확보하고, 사용 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확장형 인도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결합되는 방진접합부의 내측에 하부가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금속판스프링과 결합된 강재브라켓을 통해 데크에서 발생한 충격 및 진동을 전달받는 경우 금속판스프링의 하부가 눌리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어, 확장형 인도교의 진동저감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켄틸레버부를 통해 사용 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함에 따라, 확장형 인도교의 장기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판스프링의 특수한 하부 형상을 통해 켄틸레버부의 폭방향으로의 진동 뿐만 아니라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확장형 인도교가 높이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판스프링과 강재브라켓의 사이에 고무패드를 설치함으로써, 강재브라켓으로부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양을 저감하여 금속판스프링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확장형 인도교의 진동저감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진접합부의 하부에 거치가 가능한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금속판스프링과 강재브라켓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켄틸레버부가 부분적으로 단일의 I빔의 형상을 가지는 강재브라켓을 포함함으로써, 확장형 인도교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진접합부, 금속판스프링, 및 강재브라켓을 케이컬앙카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확장형 인도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미컬앙카에 압축응력이 가해진 스프링을 끼움으로써, 켄틸레버부의 폭방향으로의 진동을 보조적으로 저감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인도교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인도교의 하부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인도교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켄틸레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접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스프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스프링, 강재브라켓, 및 고무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앙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인도교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켄틸레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앙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스프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종래에는 교량 혹은 도로의 취부에 켄틸레버형 구조의 확장형 인도교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취부측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사용 중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확장형 인도교의 높이방향의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확장형 인도교가 전체적으로 상하로 요동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어 보행자의 보행성과 안정성에 있어서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특수한 형상을 가지는 판형의 스프링을 설치한 확장형 인도교(1)를 제공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확장형 인도교(1)로서, 기본적으로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켄틸레버부(1000)가 설치되고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상측에 확장데크부(200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취부에 결합되는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단부에 금속재질의 판스프링을 설치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은 일반적인 사각판의 형상이 아니라, 하부가 다단으로 절곡되는 특수한 형상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조와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의 확장형 인도교(1)는 확장데크부(20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저감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폭방향으로의 진동 뿐만 아니라 높이방향으로의 진동까지도 저감할 수 있어 보행자의 보행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진동저감성이 개선됨에 따라 확장형 인도교(1)의 장기안정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판형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접합부로 켄틸레버부(1000)를 설치함으로써 확장형 인도교(1)의 장기안정성을 확보하고, 사용 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확장형 인도교(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인도교(1)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인도교(1)의 하부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인도교(1)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형 인도교(1)는 일단이 교량 취부에 결합되는 켄틸레버부(1000),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보행하거나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인도의 역할을 하는 확장데크부(2000), 및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타단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난간부(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켄틸레버부(1000)는 확장형 인도교(1) 구조의 핵심으로, 전체적인 뼈대의 역할을 하고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특수한 형상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판스프링을 기반으로 충격흡수성, 진동저감성, 장기안정성, 및 보행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켄틸레버부(10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켄틸레버부(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는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사시도를, 도 4(b)는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단면도를, 도 4(c)는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켄틸레버부(1000)는, 일면이 교량 측면에 결합되고, 양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방진접합부(1100);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하부가 상기 방진접합부(1100)측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스프링(1200); 및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교량 측면에 결합되는 접합면, 및 상기 접합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I자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강재브라켓(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켄틸레버부(1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형 인도교(1)의 전체적인 뼈대의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일단이 교량 및 도로의 취부, 즉 측면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켄틸레버부(1000)는 방진접합부(1100)가 교량 및 도로의 측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켄틸레버부(1000)는 방진접합부(1100)의 내측에 금속판스프링(1200) 및 강재브라켓(1300)을 연속적으로 안착시킨 후에, 후술하는 케미컬앙카(1400)를 이용하여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후면이 교량 및 도로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내측은 도 4를 기준으로 왼쪽 내측면에 해당하고,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후면은 도 4를 기준으로 오른쪽 외측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보행자의 보행 혹은 자전거로 인하여 확장데크부(2000)에 충격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충격 및 진동이 상기 강재브라켓(1300)의 상측면을 통해 상기 켄틸레버부(1000)로 전달되고, 상기 켄틸레버부(1000)로 전달된 충격 및 진동은 상기 강재브라켓(1300) 전체적으로 확산되어 상기 강재브라켓(1300)의 후면을 통해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으로 전달되어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하부측을 통해 흡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재브라켓(1300)의 후면은 도 4를 기준으로 오른쪽 외측면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재브라켓(1300)의 상부에 보행을 위한 확장데크부(2000)가 위치하고, 상기 확장데크부(2000)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켄틸레버부(1000)는 상기 진동을 상기 강재브라켓(1300)의 접합면을 통해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으로 전달하고,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으로 전달된 진동을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하부측을 통해 흡수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접합부(1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사시도를, 도 5(b)는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진접합부(1100)는,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부본체(1110); 상기 접합부본체(1110)의 일측 플랜지면으로부터 상기 접합부본체(11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부는 제1폭을 갖도록 연장되고, 하부는 상기 제1폭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제2폭을 갖도록 연장되는 제1접합부측면(1120); 상기 접합부본체(1110)의 타측 플랜지면으로부터 상기 접합부본체(11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부는 제3폭을 갖도록 연장되고, 하부는 상기 제3폭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제4폭을 갖도록 연장되는 제2접합부측면(1130); 및 상기 제1접합부측면(1120) 및 제2접합부측면(1130) 각각의 하측 플랜지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합부하면(11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진접합부(1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접합부본체(1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접합부측면(1120) 및 제2접합부측면(1130)이 돌출되되, 상기 제1접합부측면의 상부(1121) 및 제2접합부측면의 상부(1131) 대비 상기 제1접합부측면의 하부(1122) 및 제2접합부측면의 하부(1132)의 폭이 더 넓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본체(1110)의 하부에 접합부하면(1140)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진접합부(1100)는, 상기 접합부본체(1110), 제1접합부측면(1120), 제2접합부측면(1130), 및 접합부하면(1140)에 의하여 하부에 거치가 가능한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하부에 거치가 가능한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금속판스프링(1200)과 강재브라켓(13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진접합부(1100)는 제1결합홀(1111)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진접합부(1100)는 상기 접합부본체(1110)에 형성된 복수의 제1결합홀(1111)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결합홀(1111)의 일부는 상기 제1접합부측면의 상부(1121) 및 제2접합부측면의 상부(1131)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1결합홀(1111)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접합부측면의 하부(1122) 및 제2접합부측면의 하부(1132)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홀(1111)은 내측으로 후술하는 케미컬앙카(1400)가 삽입되어 상기 방진접합부(1100)가 교량의 측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스프링(1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는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사시도를, 도 6(b)는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은,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판(1210); 상기 제1판(1210)으로부터 켄틸레버부(10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판(1220); 상기 제2판(1220)으로부터 켄틸레버부(100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되, 상부를 향해 경사배치되는 제3판(1230); 및 상기 제3판(1230)으로부터 상기 제1판(1210)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판(1210) 및 제2판(122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4판(1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판(1210)은,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1판(12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판(1220)이 강재브라켓(13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회전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2판(1220)을 전체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2판(1220)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거나 진동을 저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판(1220)은,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판(1220)은 상기 제1판(1210)의 하단부로부터 켄틸레버부(10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 도 6(b)를 기준으로 상부 대비 하부가 왼쪽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도 6(b)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강재브라켓(1300)이 위치하고 오른쪽에는 방진접합부(1100)가 위치하고 있어, 상기 제2판(1220)은 상기 강재브라켓(1300)으로부터 충격 및 진동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강재브라켓(1300)으로부터 충격 및 진동을 전달받는 경우에, 상기 제2판(1220)은 상기 제1판(1210)으로부터의 절곡선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판(1220)은 상기 강재브라켓(1300)으로부터 충격 및 진동을 전달받는 경우에, 후측으로 눌릴 수 있다.
상기 제3판(1230)은, 상기 제2판(1220)과 제4판(1240)의 사이에서 상기 강재브라켓(1300)으로부터 전달된 충격 및 진동의 일부를 흡수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3판(1230)은 상기 제2판(1220)의 회전이동에 상응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판(1220)의 회전이동에 의한 하중을 상기 제4판(12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4판(1240)은,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최종적으로 대응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4판(1240)은 상기 제2판(1220)이 회전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3판(1230)에 의하여 켄틸레버부(100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이동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판(1240)은 상기 제2판(1220)이 회전이동 하는 경우에, 켄틸레버부(100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이동하되,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내측면을 따라 가이딩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4판(1240)은 상하이동시 상단 플랜지면이 상기 제2판(1220)의 내측면을 따라 가이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2판(1220), 제3판(1230), 및 제4판(1240)은 상기 제1판(1210)의 하측에서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결합되는 방진접합부(1100)의 내측에 하부가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스프링(1200)을 설치함으로써, 금속판스프링(1200)과 결합된 강재브라켓(1300)을 통해 데크에서 발생한 충격 및 진동을 전달받는 경우 금속판스프링(1200)의 하부가 눌리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어, 확장형 인도교(1)의 진동저감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구조는 켄틸레버부(1000)의 폭방향으로의 진동 뿐만 아니라 켄틸레버부(1000)의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한다.
예를들어,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이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폭방향으로의 진동을 전달받는 경우에, 상기 제2판(1220)이 상기 제1판(1210)으로부터의 절곡선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 하고, 상기 제4판(1240)이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제2판(1220), 제3판(1230), 및 제4판(1240)의 이동을 전체적으로 상기 제1판(1210)이 지지함으로써,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이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폭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이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전달받는 경우에, 상기 제2판(1220)이 상기 제1판(1210)으로부터의 절곡선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 하고, 상기 제4판(1240)이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제2판(1220), 제3판(1230), 및 제4판(1240)의 이동을 전체적으로 상기 제1판(1210)이 지지함으로써,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이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특수한 하부 형상을 통해 켄틸레버부(1000)의 폭방향으로의 진동 뿐만 아니라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확장형 인도교(1)가 높이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켄틸레버부(1000)를 통해 사용 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함에 따라, 확장형 인도교(1)의 장기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은 제2결합홀(1250)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은 상기 제1판(1210) 및 제2판(1220)에 형성된 복수의 제2결합홀(1250)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2결합홀(1250)의 일부는 상기 제1판(1210)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2결합홀(125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2판(122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판(1210)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제2결합홀(1250)의 일부 각각은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제1접합부측면의 상부(1121) 및 제2접합부측면의 상부(1131)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결합홀(1111)의 일부 각각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판(1220)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제2결합홀(1250)의 다른 일부 각각은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제1접합부측면의 하부(1122) 및 제2접합부측면의 하부(1132)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결합홀(1111)의 다른 일부 각각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홀(1250)은 내측으로 후술하는 케미컬앙카(1400)가 삽입되어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이 교량의 측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브라켓(1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는 상기 강재브라켓(1300)의 사시도를, 도 7(b)는 상기 방진접합 강재브라켓(1300)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강재브라켓(1300)은,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제1브라켓접합면(1310);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1310)으로부터 켄틸레버부(10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접합면(1320);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131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13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1브라켓지지면(1330); 일단이 상기 제2브라켓접합면(13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1330)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길이 대비 짧은 제2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2브라켓지지면(1340);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1330)과 제2브라켓지지면(1340)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제2브라켓지지면(134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1330)의 타단까지 높이가 점차 감소되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3브라켓지지면(1350); 및 상기 제2브라켓접합면(1320)과 상기 제2브라켓지지면(1340)을 서로 연결하는 제4브라켓지지면(13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1330), 제2브라켓지지면(1340), 및 제3브라켓지지면(1350)은 전체적으로 I자 단면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강재브라켓(1300)은, 상기 확장데크부(20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1330)을 통해 상기 제2브라켓지지면(1340), 제3브라켓지지면(1350), 및 제4브라켓지지면(1360)으로 연속적으로 전달한 후에,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1310) 및 제2브라켓접합면(1320)을 통해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종래 확장형 인도교(1)가 안정성 이슈로 인하여 이중거더의 형태로 설치되어 설치비가 높고 부재 자체의 하중증가로 인한 안정성 저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켄틸레버부(1000)가 부분적으로 단일의 I빔의 형상을 가지는 강재브라켓(1300)을 포함함으로써,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브라켓지지면(1340)이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1330) 대비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어, 상기 강재브라켓(1300)은 일부 단면이 T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강재브라켓(1300)은 전체적으로 I자형태의 단면과 T자형태의 단면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재브라켓(1300)은 제3결합홀(1370)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재브라켓(1300)은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1310) 및 제2브라켓접합면(1320)에 형성된 복수의 제3결합홀(1370)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3결합홀(1370)의 일부는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1310)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3결합홀(137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2브라켓접합면(132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1310)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제3결합홀(1370)의 일부 각각은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제1접합부측면의 상부(1121) 및 제2접합부측면의 상부(1131)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결합홀(1111)의 일부 각각, 및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제1판(1210)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결합홀(1250)의 일부 각각에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접합면(1320)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제3결합홀(1370)의 다른 일부 각각은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제1접합부측면의 하부(1122) 및 제2접합부측면의 하부(1132)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결합홀(1111)의 다른 일부 각각, 및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제2판(1220)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결합홀(1250)의 다른 일부 각각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결합홀(1370)은 내측으로 후술하는 케미컬앙카(1400)가 삽입되어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이 교량의 측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재브라켓(1300)은 취부측에 위치하는 제1브라켓접합면(1310) 및 제2브라켓접합면(1320)에 의하여 하부가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종래 켄틸레버의 취부측 접합면이 절곡되지 않은 일자형의 접합면 대비 우수한 진동저감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스프링(1200), 강재브라켓(1300), 및 고무패드(16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켄틸레버부(1000)는, 상기 방진접합부(1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과 강재브라켓(13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패드(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패드(1600)는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과 강재브라켓(13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 상기 강재브라켓(1300)의 제1브라켓접합면(1310) 및 제2브라켓접합면(1320)과 함께 전체적으로 방진접합부(11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1600)는 상기 강재브라켓(1300)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전체적으로 흡수하여, 상기 강재브라켓(1300)으로부터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금속판스프링(1200)과 강재브라켓(1300)의 사이에 고무패드(1600)를 설치함으로써, 강재브라켓(1300)으로부터 금속판스프링(12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양을 저감하여 금속판스프링(120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확장형 인도교(1)의 진동저감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앙카(1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켄틸레버부(1000)는, 앙카머리(14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앙카본체(1420)가 상기 제1결합홀(1111), 제2결합홀(1250), 및 제3결합홀(1370)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방진접합부(1100), 금속판스프링(1200), 및 강재브라켓(1300)을 전체적으로 교량 측면에 결합시키는 케미컬앙카(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미컬앙카(1400)는 충격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크고 동하중 및 진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는 구성으로, 공지된 케미컬앙카(1400)와 상응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상기 케미컬앙카(1400)는 상기 방진접합부(1100), 금속판스프링(1200), 및 강재브라켓(1300)을 교량 및 도로의 측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방진접합부(1100), 금속판스프링(1200), 및 강재브라켓(1300)을 케이컬앙카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확장형 인도교(1)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인도교(1)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켄틸레버부(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앙카(1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한편 상기 케미컬앙카(1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응력이 가해진 스프링이 끼워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미컬앙카(1400)는, 중심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의 내측으로 상기 앙카본체(1420)를 수용하면서 일면이 상기 앙카머리(1410)에 고정되는 제1스프링지지부(1431), 중심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의 내측으로 상기 앙카본체(1420)를 수용하는 제2스프링지지부(1432), 및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1431)와 제2스프링지지부(1432)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1433)를 포함하는 압축스프링부(1430);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스프링부(1430)는 상기 케미컬앙카(1400)를 내측으로 수용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기 케미컬앙카(1400)의 앙카머리(1410)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확장형 인도교(1)에 켄틸레버부(1000)의 폭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케미컬앙카(1400)는 전술한 금속판스프링(1200)과 함께 상기 켄틸레버부(1000)의 폭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미컬앙카(1400)에 압축응력이 가해진 스프링을 끼움으로써, 켄틸레버부(1000)의 폭방향으로의 진동을 보조적으로 저감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스프링(1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강부재(1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은 상기 제2판(1220)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단(1261); 상기 고정단(1261)으로부터 상기 제4판(1240)측으로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U자형상을 이루는 보강단(1262); 및 상기 보강단(1262)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단(1261)에 평행하도록 상기 보강단(126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단(1263);을 포함하는 보강부재(1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단(1261)이 고정되는 상기 제2판(1220)의 일면은 방진접합부(1100)측 면에 해당하고, 도 11을 기준으로 후면에 해당한다. 상기 고정단(1261)은 상기 제2판(1220)의 일면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이 강재브라켓(1300)을 통해 충격 및 진동을 전달받아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제2판(1220)이 회전이동 하는 경우에, 상기 보강부재(1260)는 상기 지지단(1263)이 상기 제2판(122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보강단(1262)을 통해 상기 제2판(1220)과 제4판(1240)의 사이에 외측방향으로의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260)에 의하여 힘이 가해지는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은 강재브라켓(1300)으로부터 전달된 충격흡수량 및 진동흡수량이 상기 보강부재(1260)가 포함되지 않은 금속판스프링(1200) 대비 증가한다. 상기 지지단(1263)은 상기 제2판(1220)과 제3판(1230)이 연결되는 지점까지 하측으로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하부 내측공간에 상기 보강부재(1260)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진동저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126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판(1220)의 폭 대비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보강부재(1260)에 의한 금속판스프링(1200)의 진동저감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1260)는 상기 금속판스프링(1200)의 재질에 상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보강부재(1260)는 상기 강재브라켓(1300)으로부터 충격 및 진동을 전달받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거동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1260)는 전체적으로 기설정된 두께를 갖는 판형부재에 해당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켄틸레버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은, 상기 확장형 인도교가 시공되는 교량 및 도로의 취부면을 정리하는 취부면정리단계(S10); 상기 취부면에 케미컬앙카를 설치하는 케미컬앙카설치단계(S20);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금속판스프링을 결합하는 금속판스프링결합단계(S30); 상기 금속판스프링이 결합된 상기 방진접합부를 상기 취부면에 설치하는 방진접합부설치단계(S40);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강재브라켓을 설치하는 강재브라켓설치단계(S50); 상기 강재브라켓의 상측으로 난간받침부 및 장선을 설치하는 난간받침부및장선설치단계(S60); 상기 강재브라켓의 상측으로 확장데크부를 설치하는 확장데크부설치단계(S70); 및 상기 난간받침부의 상측으로 난간부를 설치하는 난간부설치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의 확장형 인도교를 도로 및 교량의 취부에 시공할 수 있어,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판형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접합부로 켄틸레버부를 설치함으로써 확장형 인도교의 장기안정성을 확보하고, 사용 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확장형 인도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 및 도로의 취부에 결합되는 방진접합부의 내측에 하부가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금속판스프링과 결합된 강재브라켓을 통해 데크에서 발생한 충격 및 진동을 전달받는 경우 금속판스프링의 하부가 눌리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어, 확장형 인도교의 진동저감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켄틸레버부를 통해 사용 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함에 따라, 확장형 인도교의 장기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판스프링의 특수한 하부 형상을 통해 켄틸레버부의 폭방향으로의 진동 뿐만 아니라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확장형 인도교가 높이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판스프링과 강재브라켓의 사이에 고무패드를 설치함으로써, 강재브라켓으로부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양을 저감하여 금속판스프링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확장형 인도교의 진동저감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진접합부의 하부에 거치가 가능한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금속판스프링과 강재브라켓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켄틸레버부가 전체적으로 단일의 I빔의 형상을 가지는 강재브라켓을 포함함으로써, 확장형 인도교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진접합부, 금속판스프링, 및 강재브라켓을 케이컬앙카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확장형 인도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미컬앙카에 압축응력이 가해진 스프링을 끼움으로써, 켄틸레버부의 폭방향으로의 진동을 보조적으로 저감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확장형 인도교
1000: 켄틸레버부
1100: 방진접합부
1110: 접합부본체 1111: 제1결합홀
1120: 제1접합부측면 1121: 제1접합부측면의 상부
1122: 제1접합부측면의 하부
1130: 제2접합부측면 1131: 제2접합부측면의 상부
1132: 제2접합부측면의 하부
1140: 접합부하면
1200: 금속판스프링
1210: 제1판 1220: 제2판
1230: 제3판 1240: 제4판
1250: 제2결합홀 1260: 보강부재
1261: 고정단 1262: 보강단
1263: 지지단
1300: 강재브라켓
1310: 제1브라켓접합면 1320: 제2브라켓접합면
1330: 제1브라켓지지면 1340: 제2브라켓지지면
1350: 제3브라켓지지면 1360: 제4브라켓지지면
1370: 제3결합홀
1400: 케미컬앙카
1410: 앙카머리 1420: 앙카본체
1430: 압축스프링부
1431: 제1스프링지지부 1432: 제2스프링지지부
1433: 스프링부재
1500: 난간받침부
1600: 고무패드
2000: 확장데크부
2100: 구조용각관 2200: 목재데크
2300: 앵글부재
3000: 난간부

Claims (8)

  1. 켄틸레버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로서,
    상기 켄틸레버부는,
    일면이 교량 측면에 결합되고, 양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방진접합부;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하부가 상기 방진접합부측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스프링; 및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교량 측면에 결합되는 접합면, 및 상기 접합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I자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강재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강재브라켓의 상부에 보행을 위한 확장데크부가 위치하고,
    상기 확장데크부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켄틸레버부는 상기 진동을 상기 강재브라켓의 접합면을 통해 상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하고, 상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된 진동을 상기 금속판스프링의 하부측을 통해 흡수하고,
    상기 금속판스프링은,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판;
    상기 제1판으로부터 켄틸레버부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판;
    상기 제2판으로부터 켄틸레버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되, 상부를 향해 경사배치되는 제3판; 및
    상기 제3판으로부터 상기 제1판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판 및 제2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4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판, 제3판, 및 제4판은 상기 제1판의 하측에서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상기 금속판스프링은 상기 켄틸레버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상기 강재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1판으로 전달받은 후에, 상기 제2판, 제3판, 및 제4판으로 연속적으로 전달하여 흡수하는, 확장형 인도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켄틸레버부는,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금속판스프링과 강재브라켓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강재브라켓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켄틸레버부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의 진동을 전체적으로 흡수하여, 상기 강재브라켓으로부터 상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양을 저감시키는, 확장형 인도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접합부는,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부본체;
    상기 접합부본체의 일측 플랜지면으로부터 상기 접합부본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부는 제1폭을 갖도록 연장되고, 하부는 상기 제1폭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제2폭을 갖도록 연장되는 제1접합부측면;
    상기 접합부본체의 타측 플랜지면으로부터 상기 접합부본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부는 제3폭을 갖도록 연장되고, 하부는 상기 제3폭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제4폭을 갖도록 연장되는 제2접합부측면; 및
    상기 제1접합부측면 및 제2접합부측면 각각의 하측 플랜지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합부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본체, 제1접합부측면, 제2접합부측면, 및 접합부하면에 의하여 하부에 거치가 가능한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확장형 인도교.
  4. 삭제
  5. 켄틸레버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로서,
    상기 켄틸레버부는,
    일면이 교량 측면에 결합되고, 양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방진접합부;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하부가 상기 방진접합부측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어 상측이 개방된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스프링; 및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교량 측면에 결합되는 접합면, 및 상기 접합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I자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강재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강재브라켓의 상부에 보행을 위한 확장데크부가 위치하고,
    상기 확장데크부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켄틸레버부는 상기 진동을 상기 강재브라켓의 접합면을 통해 상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하고, 상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된 진동을 상기 금속판스프링의 하부측을 통해 흡수하고,
    상기 강재브라켓은,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제1브라켓접합면;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으로부터 켄틸레버부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접합면;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1브라켓지지면;
    일단이 상기 제2브라켓접합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길이 대비 짧은 제2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2브라켓지지면;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과 제2브라켓지지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제2브라켓지지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의 타단까지 높이가 점차 감소되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3브라켓지지면; 및
    상기 제2브라켓접합면과 상기 제2브라켓지지면을 서로 연결하는 제4브라켓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 제2브라켓지지면, 및 제3브라켓지지면은 전체적으로 I자 단면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확장형 인도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강재브라켓은,
    상기 확장데크부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제1브라켓지지면을 통해 상기 제2브라켓지지면, 제3브라켓지지면, 및 제4브라켓지지면으로 연속적으로 전달한 후에, 상기 제1브라켓접합면 및 제2브라켓접합면을 통해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금속판스프링으로 전달하는, 확장형 인도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접합부는 제1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판스프링은 제2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재브라켓은 제3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켄틸레버부는,
    앙카머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앙카본체가 상기 제1결합홀, 제2결합홀, 및 제3결합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방진접합부, 금속판스프링, 및 강재브라켓을 전체적으로 교량 측면에 결합시키는 케미컬앙카;를 더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
  8. 청구항 1에 따른 켄틸레버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확장형 인도교가 시공되는 교량 및 도로의 취부면을 정리하는 취부면정리단계;
    상기 취부면에 케미컬앙카를 설치하는 케미컬앙카설치단계;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금속판스프링을 결합하는 금속판스프링결합단계;
    상기 금속판스프링이 결합된 상기 방진접합부를 상기 취부면에 설치하는 방진접합부설치단계;
    상기 방진접합부의 수용공간에 강재브라켓을 설치하는 강재브라켓설치단계;
    상기 강재브라켓의 상측으로 난간받침부 및 장선을 설치하는 난간받침부및장선설치단계;
    상기 강재브라켓의 상측으로 확장데크부를 설치하는 확장데크부설치단계; 및
    상기 난간받침부의 상측으로 난간부를 설치하는 난간부설치단계;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
KR1020230047245A 2023-04-11 2023-04-11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5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245A KR102555736B1 (ko) 2023-04-11 2023-04-11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245A KR102555736B1 (ko) 2023-04-11 2023-04-11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736B1 true KR102555736B1 (ko) 2023-07-14

Family

ID=8715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245A KR102555736B1 (ko) 2023-04-11 2023-04-11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7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1351A (en) * 1976-08-10 1978-02-27 Koyo Seiko Co Ltd Temperature responsive fan clutch
JPH10245821A (ja) * 1997-03-05 1998-09-14 Nippon Katan Kk 防音壁用の防音パネル固定部材
JP3126276U (ja) * 2006-08-08 2006-10-19 株式会社カナイ I型ビーム取付け金物
KR101271446B1 (ko) * 2011-09-01 2013-06-10 주식회사 한국로드산업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20200090524A (ko) * 2019-01-21 2020-07-29 구자혁 내진설계에 적합한 철골 기둥 및 보의 결합 구조물
KR102280057B1 (ko) * 2020-01-29 2021-07-21 (주)셈텍 진동 완충 기능을 구비한 캔틸레버 시스템
KR102322249B1 (ko) * 2020-12-28 2021-11-05 주식회사 하성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1351A (en) * 1976-08-10 1978-02-27 Koyo Seiko Co Ltd Temperature responsive fan clutch
JPH10245821A (ja) * 1997-03-05 1998-09-14 Nippon Katan Kk 防音壁用の防音パネル固定部材
JP3126276U (ja) * 2006-08-08 2006-10-19 株式会社カナイ I型ビーム取付け金物
KR101271446B1 (ko) * 2011-09-01 2013-06-10 주식회사 한국로드산업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20200090524A (ko) * 2019-01-21 2020-07-29 구자혁 내진설계에 적합한 철골 기둥 및 보의 결합 구조물
KR102280057B1 (ko) * 2020-01-29 2021-07-21 (주)셈텍 진동 완충 기능을 구비한 캔틸레버 시스템
KR102322249B1 (ko) * 2020-12-28 2021-11-05 주식회사 하성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26276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114B1 (ko) 안전성 향상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0955706B1 (ko) 탄 소성판이 병렬로 다수 세팅된 수평형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KR101699464B1 (ko) 방진완충기능을 구비한 캔틸레버 시스템
JP2008088641A (ja) 建築物又は建造物の補強部材
JP4545920B2 (ja) 橋梁における免震構造系
KR101935522B1 (ko) 진동 완충형 구조물
CN101672004B (zh) 用于悬索桥的形状记忆合金减振辅助索装置
KR101019060B1 (ko) 상하 철골프레임이 구비된 지진에너지 감쇠장치
KR101199684B1 (ko) 점성댐퍼와 이력댐퍼의 복합감쇠기
KR102555736B1 (ko) 금속판스프링 구조를 갖는 진동저감성 및 장기내구성이 향상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00701B1 (ko) 장대지간형 트러스 방음터널 및 그 시공공법
KR100965236B1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JP4191687B2 (ja) 制震ダンパー接続具、制震ダンパー、及び建造物の制震構造
KR101388416B1 (ko) 브레이스형 댐퍼
JP5011487B2 (ja) 斜材の支持装置
KR102246592B1 (ko)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KR102555737B1 (ko) 인장로드가 구비된 프리스트레스 고내구성 확장형 인도교
JPH11153194A (ja) 弾塑性・粘弾性ダンパーを一体化した制振部材
JP2005187185A (ja) タワークレーンのマスト水平支持装置
KR100955708B1 (ko) 탄소성판이 병렬로 다수 세팅된 구조물용 댐퍼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부재
HU190312B (en) Apparatus for decreasing the seismic loads arising on tower-like constructions of high centre of gravity for preventing the turning-over of building wedge provided with flexible members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wall structure
KR20210080174A (ko)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1918552B1 (ko) 마찰댐퍼를 활용한 내진 보강용 제진장치
CN112031197A (zh) 一种新型减震耗能器装置
EP1234075A1 (en) Support for supporting rail of rail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