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592B1 -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592B1
KR102246592B1 KR1020180166324A KR20180166324A KR102246592B1 KR 102246592 B1 KR102246592 B1 KR 102246592B1 KR 1020180166324 A KR1020180166324 A KR 1020180166324A KR 20180166324 A KR20180166324 A KR 20180166324A KR 102246592 B1 KR102246592 B1 KR 102246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nel
vibration
coupled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121A (ko
Inventor
노상선
Original Assignee
(주)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셈텍 filed Critical (주)셈텍
Priority to KR102018016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5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목재데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결합부에 패널의 흔들림이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 및 텐션 기능을 추가하여, 목재데크 자체의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하며, 지진 또는 다양한 외부 진동 등에도 안정성을 대폭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NON-WELDING DECK ROAD SYSTEM WITH ANTI-VIB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강변, 공원내의 차도를 따라 설치되는 보도나 산책로 및 경사로 등에는 자연친화적이며 시각적으로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가운데 보행시 충격흡수 기능이 좋은 목재데크가 사용되고 있다.
목재데크는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장선을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데크를 조립식으로 끼워 맞춘 후 못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목재데크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타측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각각의 목재데크가 연속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목재데크는 목재의 길이방향 즉, 목재의 결방향으로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됨에 따라, 결합 과정에서 결합돌기가 부러지거나 결함홈이 갈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114986호(등록일: 2012. 02. 03일)에는 '목재데크의 결합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목재데크의 레프트 끼움홈과 라이트 끼움홈에 결합부재의 레프트 끼움구와 라이트 끼움구가 끼워진 상태에서, 노치면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해 나사를 장선에 결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데크를 고정하므로, 고정수단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 바닥재의 중간 부분이 뒤틀려 변형될 뿐만 아니라, 지진에 대비한 방진 및 완충기능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아 강한 외부 진동 등에는 전혀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데크(이하, 패널이라 함)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결합부에 패널의 흔들림이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 및 텐션 기능을 추가하여, 목재데크 자체의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하며, 지진 또는 다양한 외부 진동 등에도 안정성을 대폭 확보할 수 있는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반에 고정설치되는 기둥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되, 양측에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한쌍의 외측날개가 형성된 브라켓결합부와, 상기 브라켓결합부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둥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측에 방진패드가 구비된 브라켓지지부 및 상기 브라켓결합부와 상기 브라켓지지부의 사이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외부브라켓; 및 상기 기둥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세로프레임에 결합되면서, 상기 외부브라켓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방진패드에 지지되는 승하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결합부에 패널의 흔들림이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 및 텐션 기능을 추가하여, 목재데크 자체의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하며, 지진 또는 다양한 외부 진동 등에도 안정성을 대폭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의 외부브라켓, 승하강브라켓, 회전브라켓, 패널고정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외부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승하강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외부브라켓과 승하강브라켓의 구조에 의해 외부 진동이 상쇄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회전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패널고정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널고정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의 방진 및 완충기능을 테스트한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의 외부브라켓, 승하강브라켓, 회전브라켓, 패널고정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외부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승하강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외부브라켓과 승하강브라켓의 구조에 의해 외부 진동이 상쇄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회전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패널고정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패널고정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의 방진 및 완충기능을 테스트한 시험성적서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10)은 지반에 고정설치되는 기둥(10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되, 양측에 기둥(101)에 결합되는 한쌍의 외측날개(201)가 형성된 브라켓결합부(203)와, 브라켓결합부(203)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기둥(10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측에 방진패드(205)가 구비된 브라켓지지부(207) 및 브라켓결합부(203)와 브라켓지지부(207)의 사이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리브(209)를 포함하는 외부브라켓(211); 및 기둥(101)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세로프레임(103)에 결합되면서, 외부브라켓의(211)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방진패드(105)에 지지되는 승하강브라켓(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브라켓(211)은 브라켓결합부(203)와 브라켓지지부(207) 및 지지리브(209)를 포함한다.
브라켓결합부(203)는 양측에 기둥(101)의 외측에 체결수단(215)을 통해 결합되는 한쌍의 외측날개(201)가 형성되며, 상부면에 승하강브라켓(213)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통홀(301)이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지지부(207)는 브라켓결합부(203)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데, 이러한 브라켓지지부(207)에는 승하강브라켓(213)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방진패드(205)가 구비된다.
여기서, 방진패드(205)는 승하강브라켓(213)이 외부브라켓(211)의 내측에서 승하강될 때 압축 및 팽창되면서 진동 및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방진패드(205)의 내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패드(205)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외부에서 승하강브라켓(213)을 통해 전달된 후 방진패드(205)를 통해 1차 흡수되고 남은 잔여 진동 및 충격을 2차로 흡수하는 방진스프링(501)이 구비된다.
아울러, 방진패드(205)에는 압축 및 팽창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진동 및 충격이 흡수되도록, 높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완충홀(204)이 형성된다.
이어서, 지지리브(209)는 브라켓결합부(203)와 브라켓지지부(207)의 사이에서 연장형성되어 브라켓결합부(203)와 브라켓지지부(207)를 상호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리브(209)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리브(209)는브라켓결합(209)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브라켓지지부(207)의 측면으로 연장되되, 하부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브라켓결합부(203)와 브라켓지지부(207)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리브(209)가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브라켓결합부(203)로부터 브라켓지지부(207)가 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리브(209)에 의해 걸림되는 현상 없이 외부브라켓(211)을 기둥(101)에 삽입할 수 있으며, 지지리브(209)의 상단이 기둥(101)의 내측면에 지지됨에 따라 외부브라켓(211)을 기둥(101)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승하강브라켓(213)은 기둥(101)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세로프레임(103)에 결합되면서, 외부브라켓의(211)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방진패드(105)를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승하강브라켓(21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하강브라켓(213)은 양측에 외부브라켓(2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한쌍의 내측날개(401)가 높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내측날개(401)에 결합된 패드지지부(403)가 방진패드(205)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결합브라켓(217); 및 결합브라켓(217)의 상부면에 고정결합되는 하부면(405)과, 하부면(405)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절곡되는 양측면(407) 및 각각의 양측면(407)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절곡면(409)을 포함하여 세로프레임(103)의 외측에 삽입결합되는 고정브라켓(219);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브라켓(217)은 관통홀(301)로 삽입되되, 양측에 외측날개(201)와 브라켓지지부(207)의 사이에서 승하강되는 한쌍의 내측날개(401)가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내측날개(401)는 높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체결수단(215)이 관통결합되는 장홀(411)이 형성된다.
즉, 결합브라켓(21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브라켓(211)의 내측에 삽입되며 장홀(411)로 관통되는 체결수단(215)을 통해 외부브라켓(211) 및 기둥(101)에 결합되는데, 이때, 수직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외부브라켓(211)의 내측에서 체결수단(215)을 중심으로 승하강된다.
이처럼, 결합브라켓(217)이 외부브라켓(211)의 내측에서 체결수단(215)을 중심으로 승하강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결합브라켓(217)이 체결수단(215)을 중심으로 승하강되면서 내측날개(401)의 내측에 형성된 패드지지부(403)가 방진패드(205)에 지지되고, 방진패드(205)와 방진스프링(501)이 압축 또는 팽창되면서 패널(107)로부터 전해지는 수직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어서, 고정브라켓(219)은 결합브라켓(217)의 상부면에 고정결합되는 하부면(405)과, 하부면(405)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세로프레임(103)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양측면(407) 및 각각의 양측면(407)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세로프레임(103)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절곡면(409)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세로프레임(103)과 가로프레임(105)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브라켓(221)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회전브라켓(221)은 하부고정브라켓(601)과 상부회전브라켓(603)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고정브라켓(601)은 상부면(605)과, 상부면(605)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양측면(607)과, 양측면(607)의 각각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하부면(609)을 포함하여, 세로프레임(103)의 외측에 삽입된다.
또한, 상부회전브라켓(603)은 하부고정브라켓(601)의 상부면(605)에 회전축(606)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면(611)과, 하부면(611)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양측면(613)과, 양측면(613)의 각각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상부절곡면(615)을 포함하여, 가로프레임(105)의 외측에 삽입된다.
이처럼, 회전브라켓(221)이 세로프레임(103)의 외측에 삽입되는 하부고정브라켓(601)과, 하부고정브라켓(60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가로프레임(105)의 외측에 삽입되는 상부회전브라켓(603)을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세로프레임(103)으로부터 가로프레임(105)을 회전시켜 다양한 경로에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7츨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세로프레임(103)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가로프레임(105)에 결합되면서, 가로프레임(105)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패널(107)을 상호 연결 및 고정시키는 패널고정브라켓(223);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패널고정브라켓(223)은 가로프레임(105)의 외측에 삽입결합되는 패널결합부(701); 패널결합부(701)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며 패널(107)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703)에 끼워지는 패널고정부(705); 및 패널결합부(701)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에 패널결합부(701)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리브(707);를 포함한다.
패널결합부(701)는 하부면(702)에 돌출형성되며, 가로프레임(105)의 하부면과 밀착되어 마찰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가로프레임(105)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마찰돌기(712)를 포함한다.
또한, 패널결합부(701)는 가로프레임(105)의 외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러한 패널결합부(701)의 상측에는, 대략 'W' 형상으로 돌출되며 가로프레임(105)의 상부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패널(107)을 통해 상부에서 전해지는 진동 및 충력을 흡수하는 완충돌기(709); 및 패널(107)로부터 충격 및 진동이 전해지는 경우 완충돌기(709)가 높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되도록 완충돌기(709)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완충공간(710);을 포함한다.
이처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돌기(709) 상부에 완충공간(710)이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패널(107)로부터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가로프레임(105)에 밀착된 완충돌기(709)가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완충돌기(709)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예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져, 패널(107)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이어서, 패널고정부(705)는 패널결합부(701)의 상부에서 측단면이 대략 'T'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인접한 복수의 패널(107)을 상호 연결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패널고정부(705)는 패널결합부(701)의 상부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 단부에 탄성접촉판(711)이 형성되는 패널이격부(713)와, 패널이격부(713)의 상부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홈(703)에 끼워지는 패널걸림부(715)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접촉판(711)은 인접한 패널(107)의 각각의 대향면에 접촉되어 인접한 패널(107)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며, 패널(107)로부터 발생하는 전후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한다.
그리고, 패널걸림부(715)는 인접한 패널(107)의 각각의 걸림홈(703)에 삽입되는데, 이러한 패널걸림부(715)는 걸림홈(70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패널이격부(711)의 상측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형성된다.
이어서, 고정리브(707)는 패널결합부(701)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에 패널결합부(701)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패널결합부(701)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리브(707)는 패널결합부(701)의 양측면에 패널결합부(701)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동시에, 패널결합부(7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패널결합부(701)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지진방재연구센터에서 본 발명의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스시스템(10)과 대응되는 설비의 방진 및 완충기능을 테스트한 시험성적서를 통해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테스트의 의뢰기관, 용도, 시료명, 시험방법, 시험대상설비, 등을 나타낸 시험성적서이다.
도 11은 본 테스트의 허용기준 및 시험절차를 나타낸 시험성적서이다.
도 12는 테스트 후 공진검색 결과를, 도 13은 테스트 후 진동대 가진 데이터 및 시험응답스펙트럼을, 도 14는 테스트 후 진동대 각 축 방향 상호상관관계 함수를 나타낸 시험성적서이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은 본 테스트를 하기 위한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스시스템(10)에 대응되는 설비 구조를 나타낸 시험성적서이다.
그리고, 도 18은 본 테스트 전, 본 발명과 대응되는 설비의 촬영사진이 포함된 시험성적서이며, 도 19는 본 테스트 후, 본 발명과 대응되는 설비의 촬영사진이 포함된 시험성적서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스시스템(10)에 대응되는 설비에, 단축으로 0.49m/s2 의 진폭으로(1.0 ~ 50.0)Hz 까지 2oct / min. 의 속도로 sine sweep 파형을 인가한 경우, 공진검색 결과 수치와, 진동대 가진 데이터 및 시험응답스펙트럼 수치와, 진동대 각 축 방향 상호상관관계 함수가 허용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스시스템(10)에 대응되는 설비에, 단축으로 0.49m/s2 의 진폭으로(1.0 ~ 50.0)Hz 까지 2oct / min. 의 속도로 sine sweep 파형을 인가한 경우, 본 발명과 대응되는 설비에 어떠한 파손도 일어나지 않은 것을 알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목재데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결합부에 패널의 흔들림이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 및 텐션 기능을 추가하여, 목재데크 자체의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하며, 지진 또는 다양한 외부 진동 등에도 안정성을 대폭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101 : 기둥 103 : 세로프레임
105 : 가로프레임 107 : 패널
201 : 외측날개 203 : 브라켓결합부
204 : 완충홀 205 : 방진패드
207 : 브라켓지지부 209 : 지지리브
211 : 외부브라켓 213 : 승하강브라켓
215 : 체결수단 217 : 결합브라켓
219 : 고정브라켓 221 : 회전브라켓
223 : 패널고정브라켓 301 : 관통홀
401 : 내측날개 403 : 패드지지부
405 : 하부면 407 : 양측면
409 : 절곡면 411 : 장홀
501 : 방진스프링 601 : 하부고정브라켓
603 : 상부회전브라켓 605 : 상부면
606 : 회전축 607 : 양측면
609 : 하부면 611 : 하부면
613 : 양측면 615 : 상부절곡면
701 : 패널결합부 702 : 하부면
703 : 걸림홈 705 : 패널고정부
707 : 고정리브 709 : 완충돌기
710 : 완충공간 711 : 탄성접촉판
712 : 마찰돌기 713 : 패널이격부
715 : 패널걸림부

Claims (5)

  1. 지반에 고정설치되는 기둥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되, 양측에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한쌍의 외측날개가 형성된 브라켓결합부와, 상기 브라켓결합부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둥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측에 방진패드가 구비된 브라켓지지부 및 상기 브라켓결합부와 상기 브라켓지지부의 사이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외부브라켓;
    상기 기둥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세로프레임에 결합되면서, 상기 외부브라켓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방진패드에 지지되는 승하강브라켓; 및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가로프레임에 결합되면서,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패널을 상호 연결 및 고정시키는 패널고정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패널고정브라켓은, 상기 가로프레임의 외측에 삽입결합되는 패널결합부; 상기 패널결합부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지는 패널고정부; 및 상기 패널결합부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이상에 상기 패널결합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결합부는,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부면과 밀착되어 마찰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상기 가로프레임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마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결합부는, 상측에 W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을 통해 상부에서 전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돌기; 및 상기 패널로부터 충격 및 진동이 전해지는 경우 상기 완충돌기가 높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완충돌기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완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돌기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고정부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상부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 단부에 탄성접촉판이 형성되는 패널이격부; 및 상기 패널이격부의 상부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패널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걸림부는 상기 걸림홈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패널이격부의 상측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형성되고,
    상기 방진패드는, 압축 및 팽창되면서 진동 및 충격이 흡수되도록 높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완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브라켓결합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지지부의 측면으로 연장되되, 하부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브라켓은,
    양측에 상기 외부브라켓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한쌍의 내측날개가 높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내측날개에 결합된 패드지지부가 상기 방진패드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결합브라켓; 및
    상기 결합브라켓의 상부면에 고정결합되는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절곡되는 양측면 및 각각의 상기 양측면의 단부에서 폭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면을 포함하여 상기 세로프레임의 외측에 삽입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KR1020180166324A 2018-12-20 2018-12-20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KR102246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24A KR102246592B1 (ko) 2018-12-20 2018-12-20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24A KR102246592B1 (ko) 2018-12-20 2018-12-20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21A KR20200077121A (ko) 2020-06-30
KR102246592B1 true KR102246592B1 (ko) 2021-04-30

Family

ID=7112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324A KR102246592B1 (ko) 2018-12-20 2018-12-20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010B1 (ko) 2023-03-13 2023-07-07 주식회사 누리텍 시공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시스템 데크로드 및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708B1 (ko) * 2021-12-01 2022-10-21 김우정 쏠림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형 데크로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509B2 (ja) * 1991-12-10 2000-10-10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無人搬送車における伸縮式移載テーブル
KR101704701B1 (ko) * 2016-11-14 2017-02-08 (주)셈텍 지진 대비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갖는 무용접 목재 데크
KR101816697B1 (ko) * 2017-05-30 2018-01-11 주식회사 이도산업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509U (ja) * 2003-03-17 2003-09-26 真野工業株式会社 梁受け補強金具2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509B2 (ja) * 1991-12-10 2000-10-10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無人搬送車における伸縮式移載テーブル
KR101704701B1 (ko) * 2016-11-14 2017-02-08 (주)셈텍 지진 대비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갖는 무용접 목재 데크
KR101816697B1 (ko) * 2017-05-30 2018-01-11 주식회사 이도산업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010B1 (ko) 2023-03-13 2023-07-07 주식회사 누리텍 시공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시스템 데크로드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21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ngid et al. SEISMIC BEHAVIOUR OF BASE-ISOLATED BUILDINGS: A STATE-OF-THE ART REVIEW.
JP5625019B2 (ja) 床構造
KR101321224B1 (ko) 전단벽형 제진장치
KR102246592B1 (ko) 방진완충기능을 갖는 무용접 무피스 데크로드시스템
KR101372087B1 (ko)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EP3749809B1 (en) Anti-seismic device
KR101019060B1 (ko) 상하 철골프레임이 구비된 지진에너지 감쇠장치
KR101344813B1 (ko) 기둥-보 접합구조물 및 접합방법
KR101017686B1 (ko)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KR101388416B1 (ko) 브레이스형 댐퍼
KR101827200B1 (ko) 상부의 단절된 구간에 에너지 소산수단이 설치된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존 건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1814903B1 (ko) 힌지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KR102069168B1 (ko) 고감쇠 고무와 강재를 이용한 이중감쇠 내진구조체
KR100966039B1 (ko)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8074131A1 (ja) 制震装置
KR20080057517A (ko) 슬래브 내진구조
JP2011157728A (ja) ダンパ及びダンパを用いた木構造
JP2020100947A (ja) 床構造
JP2006070494A (ja) 床構造
JP6027061B2 (ja) 床構造および床パネル
Ribakov et al. Experimental methods for selecting base isolation parameters for public buildings
KR101654772B1 (ko) 패널존 보강과 탄성력을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2175987B1 (ko) 진동 흡수형 직벽 구조물
JP4030447B2 (ja) 免震装置付きユニット式建物
KR20210020380A (ko) 면진장치가 구비된 데크로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