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686B1 -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686B1
KR101017686B1 KR1020100103681A KR20100103681A KR101017686B1 KR 101017686 B1 KR101017686 B1 KR 101017686B1 KR 1020100103681 A KR1020100103681 A KR 1020100103681A KR 20100103681 A KR20100103681 A KR 20100103681A KR 101017686 B1 KR101017686 B1 KR 10101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onry wall
seismic
tension member
seismic reinforceme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근
Original Assignee
오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근 filed Critical 오영근
Priority to KR102010010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콘크리트 주요 구조부 사이에 끼인 조적식 칸막이벽체가 지진발생시 전도, 탈락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비구조부재에 대한 내진보강공법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또 다른 전제 조건으로 경제성, 환경성, 미관성, 시공성을 함께 고려하였고, 학교 교실의 철거부위를 최소화 하여 짧은 공사기간으로, 학생 수업환경에 변화가 없도록 하였고 건식공법으로 겨울방학 기간 중에도 공사가 가능 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은, 콘크리트 건축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돌 조적 벽체(3)의 일면 이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하부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건축물의 천정부와 바닥부에 고정되어 상기 건축물의 천정부(1)와 바닥부(2)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벽돌 조적 벽체를 수평 전단력으로부터 보호하는 하나 이상의 긴장재(10)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면접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벽돌 조적 벽체를 지지하는 보강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REINFORCING STRUCTURE FOR MASONRY WALL,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의 조적에 의한 벽체가 지진 발생시 수평 전단력에 의해 붕괴되지 않도록 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지진재해대책법 제14조에 의거 우리나라 학교의 기존시설에 대한 내진보강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적용되는 방법은 주요 구조부의 보강을 통해 시설물을 안정화 시키고 지진발생시 붕괴를 방지하여 인명 피해를 예방하는데 그 목표치를 상정해 놓고 있다.
그러나 지진발생시 인명피해 원인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건물붕괴로 인한 직접 적인 피해(40%)보다는 비구조 부재 파괴로 인한 2차적 피해(60%)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주요 구조 부재의 내진성능 향상과 동시에 비구조 부재의 보강도 함께 병행 되어야만 실질적 내진보강이 이루어졌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된 기존 학교시설의 경우 단변방향의 교실과 교실사이의 칸막이 벽은 벽돌로 쌓여 있고, 이는 4변 콘크리트 구조체에 끼어 있는 형상으로 조적 벽체 특성상 수평력에 의한 전단력이 매우 취약하다. 특히 상부 콘크리트 보와 맞닿는 부위는 벽돌이 접착몰탈 없이 얹혀 있거나 빈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붕괴 전도 되어 인명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원인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강공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진피해에 따른 성능수준을 보면 건물의 인명안전성능수준은, 중요 구조부 와 비구조부의 피해가 발생하며, 주요 구조부의 휨 강성은 손상이 되나 붕괴 여력은 남아 있고, 비구조부재는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여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학교시설내진설계 기준 고시 15쪽 참조) 이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추진되는 내진보강 사업은 주요 구조부재는 붕괴방지를 위해 내진보강을 하도록 되어 있으나, 비구조부재는 내진보강 범위에 권장사항으로 만 포함되어있다.(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13호 : 학교시설내진설계 기준 고시 제7장 2009.4.30).
또한 현재 개발된 내진보강 공법도 주요구조부의 구조보강 공법만 있고, 비 구조부재에 대한 내진 보강 공법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맞춰 지진재해대책법에 의해 국가재난대비책에 중요시설인 기존학교의 내진보강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추진되는 내진보강은 건물붕괴방지를 위한 주요구조부의 보강에만 치우쳐 있고 비 주요구조부에 대한 내진 보강은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실질적 재난대비 정책목적에 부응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비 구조부재에 대한 내진 보강공법은 기존벽체의 단면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1. 단면증가로 건물의 자중이 늘어난다.
2. 시공이 복잡하여 짧은 방학기간 중 공사완료가 어렵다.
3. 과도한 공사비로 한정된 예산상 선택이 어렵다.
위와 같은 문제점 등으로 결과적으로 비 구조부재에 대한 내진보강이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콘크리트 주요 구조부 사이에 끼인 조적식 칸막이벽체가 지진발생시 전도, 탈락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비구조부재에 대한 내진보강공법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또 다른 전제 조건으로 경제성, 환경성, 미관성, 시공성을 함께 고려하였고, 학교 교실의 철거부위를 최소화 하여 짧은 공사기간으로, 학생 수업환경에 변화가 없도록 하였고 건식공법으로 겨울방학 기간 중에도 공사가 가능 하도록 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하부 고정수단을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천정부와 바닥부에 고정되며 상기 건축물의 천정부와 바닥부를 상기 건축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상기 벽돌 조적 벽체측으로 긴장시켜 상기 건축물과 벽돌 조적 벽체를 일체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긴장재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면접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벽돌 조적 벽체를 지지하는 보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긴장재는 상기 보강판을 상하로 관통하거나, 상기 보강판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장재는 상부와 하부 중 일측 이상은 턴버클을 통해 긴장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에 의하면, 기존 건축물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하부를 지지기반으로 하는 긴장재의 긴장력과 보강판에 의해 조적식 벽체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하부 보(천정부와 바닥부) 등의 지지를 받게 되어 지진이 발생되어도 전도 붕괴하지 않고, 붕괴가 일어나더라도 벽돌이나 파편의 비산을 막아 인명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특히 지진재해대책법 및 국가재난대비책으로 추진되는 기존학교시설의 내진보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기타 유사한 구조의 일반건축물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내진 보강 구조물이 조적 벽체의 일부분에 시공되어 공사기간이 짧아 방학기간 중 준공이 가능하며, 건식으로 겨울철 공사도 가능하다. 특히 공사비가 단면증설 공법의 50% 범위를 초과 하지 않아 주어진 예산에서 무리 없이 적용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주요 구조부 보강과 함께 비 구조부재의 보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궁극적으로 기존 학교시설의 내진보강사업 목적이 달성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과 천정부의 고정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과 바닥부의 고정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의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에 의한 시공 상태 횡단면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100)은, 콘크리트 건축물(이하 '건축물'이라 칭함) 예를 들어 학교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교실로 구획하기 위하여 벽돌을 조적하여 시공하는 조적식 벽체(이하 '벽체'라 칭함)를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지진시 수평 전단력이 가해지더라도 벽체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긴장재와 보강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벽체의 일면 이상에 설치된다. 내진 보강 구조물(100)은 조적식 벽체(3)에 상하 종방향, 좌우 횡방향 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하 종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긴장재(10)는 예를 들어 PC 긴장재로서, 양측이 각각 건축물의 상하부 보(천정부(1), 바닥부(2))에 고정되며 긴장력에 의해 천정부(1)와 바닥부(2)를 벽체(3)측으로 긴장하여 벽체(3)가 벽돌들간의 조적력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천정부(1)와 바닥부(2)의 지지를 받도록 함으로써 벽체(3)를 견고하게 한다.
보강판(20)은 벽체(3)에 고정되어 벽체(3)의 파괴를 막고 일부 파괴가 발생하더라도 파편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의 보강판(20)은 강화 플라스틱, 철재,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등으로서 장력을 갖는 다양한 소재의 사용이 가능하고, 벽체(3)의 높이에 맞는 크기로 이루어지되, 벽체(3)의 높이 변화와 취급(보관, 운반 등)을 감안하여 다수의 단위 판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단위 판재의 연결구조는 통상적인 판재 연결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조를 생략한다.
긴장재(10)와 보강판(20)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시공성과 효율을 감안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긴장재(10)는 보강판(20)에 관통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긴장재(10)는 하나의 보강판(20)에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2개가 설치되고, 도면과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가 설치된 것을 예시한다.
보강판(20)에는 설치 상태 기준 상하로 관통하는 2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긴장재(10)는 상하 양측이 각각 보강판(20)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구멍에 관통된 후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된다.
긴장재(10)와 보강판(20) 조립체는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구체적으로 긴장재(1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상부 고정수단과 하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상부 고정수단은, 상기 건축물의 천정부(1)에 매설되며 외주면에 나사선(30a)이 형성된 상부 앵커(30), 상부 앵커(30)에 끼워지며 긴장재(10)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대(31), 상부 앵커(30)의 나사선(31)에 나사 체결되어 연결대(31)를 고정하는 너트(32)로 구성된다. 너트(32)의 체결정도에 따라 연결대(31)의 위치가 달라져 긴장재(10)를 긴장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연결대(31)의 위치 조절을 통해 긴장재(10)의 긴장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너트(32)를 조작하여 연결대(31)를 상승시킴으로써 2개의 긴장재(10)를 동시에 긴장시킬 수 있다.
연결대(31)는 위치 조절가능하지 않도록 상부 앵커(3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고정수단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동일한 형식으로 도면부호(하부 앵커(40), 연결대(41), 너트(42))를 부여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상부 고정수단과 상하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단, 긴장재(10)를 긴장시키기 위하여 턴버클(43)이 적용될 수 있다.
턴버클(43)은 긴장재(10)의 하단부와 연결대(41) 사이에 설치되며 긴장재(10)를 긴장시킨다.
즉, 하부 고정수단의 경우 너트(42)의 조작을 통해 연결대(41)를 하강시켜 2개의 긴장재(10)를 동시에 긴장시킬 수 있고, 턴버클(43)을 통해 각각의 긴장재(10)를 긴장시킬 수 있다.
턴버클(43)은 하부 고정수단에만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부 고정수단에도 턴버클의 적용이 가능하며, 상하부 고정수단 모두 턴버클의 적용도 가능하다.
긴장재(10,20)의 상부와 하부 모두 연결대(31,41)를 통해 긴장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부 고정수단 중 어느 일측만 연결대(31,41)가 긴장재(10)를 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긴장재(10)의 상부와 연결대(31)의 연결구조, 턴버클(43)과 연결대(41)의 연결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보강판(20)은 긴장재(10)(긴장재(10)는 상하부 고정수단을 통해 천정부(1)와 바닥부(2)에 고정)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고, 더불어 앵커(21)를 통해 벽체(3)에 고정될 수도 있다. 앵커(21)는 보강판(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앵커(21)는 보강판(20)을 관통하면서 벽체(3)에 매설되어 보강판(20)을 벽체(3)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앵커(21)의 설치시 보강판(20)의 파손을 막고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고정판(22)이 덧대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는 긴장재(10)가 보강판(20)을 관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긴장재가 상하로 구분되어 상기 보강판의 내부에 관통되지 않으면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긴장재와 하부 긴장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인 상하부 고정수단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5에서처럼, 이와 같은 구성의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100)은 벽체(3)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어 벽체(3)의 모든 부분을 보강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의 보강 방법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은 다음과 같다.
(S10) 내진보강홈 형성.
벽체(3)의 일면 이상(도면에는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내진보강홈(3a)을 형성한다. 내진보강홈(3a)은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10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제원 및 간격은 내진 보강 구조물(100)의 크기와 벽체(3)의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미 건축되어 있는 벽체(3)에 대해서는 커팅 등을 통해 내진보강홈(3a)을 형성하지만, 벽체(3)의 초기 건축시에는 내진보강홈(3a)이 형성되도록 벽돌을 조적한다.
내진보강홈(3a)은 벽체(3)의 단면에 변화를 주지 않기 위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내진보강홈(3a)을 형성하지 않고, 내진 보강 구조물(100)을 벽체(3)의 면에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앵커(21)를 벽체(3)를 관통시켜 맞은 편 쪽에 고정판(22)을 덧대어 시공할 수도 있다.
(S20) 상하부 고정수단 설치.
내진보강홈(3a)에 내진 보강 구조물(100)의 긴장재(10)와 보강판(20)의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하부 고정수단을 설치하며, 구체적으로 상부 앵커(30)와 하부 앵커(40)를 각각 천정부(1)와 바닥부(2)에 설치하고, 연결대(31,41)를 상하부 앵커(30,40)에 끼워 너트(32,42)로 고정하며, 연결대(31,41)에 턴버클(34)을 연결한다. 전술한 상하부 앵커(30,40), 연결대(31,41), 너트(32,42), 턴버클(43)은 먼저 조립되어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다.
(S30) 긴장재와 보강판 조립체 설치.
긴장재(10)와 보강판(20)은 조립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다르게는 긴장재(10)를 보강판(20)에 관통 고정한 상태에서 상하 단부를 각각 상하부 고정수단에 고정(상부는 연결대(31)에, 하부는 턴버클(43))할 수도 있다.
긴장재(10)의 상하부를 상하부 고정수단에 연결할 때에는 연결작업이 용이하도록 연결대(31,41)와 턴버클(43)의 위치를 여유 있게 한다. 긴장재(10)의 연결이 완료되면 먼저 너트(32,42)를 조작하여 긴장재(10)를 긴장시킨다. 너트(32,42)를 조작하면 연결대(31,41)가 각각 긴장방향(상승, 하강)으로 이동되어 긴장재(10)가 긴장된다. 또한, 2개의 긴장재(10)가 동시에 긴장되어 긴장재(10)에 편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연결대(31,41)의 이동에 따란 긴장은 큰 폭의 긴장작업이라 할 수 있으며, 이어서, 턴버클(43)을 조작하여 각각의 긴장재(10)를 긴장시킨다. 이때는 2개의 긴장재(10)가 미세하게 긴장되어 턴버클(43)을 각각 조작하여도 편하중이 발생되지는 않는다.
(S40) 마감.
내진 보강 구조물(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벽체(3)를 마감한다. 마감은 접착 - 표면 보강 - 마감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벽체(3)의 표면 및 내진보강홈(3a)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210)을 형성하고, 접착층(210) 표면에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표면강화제를 도포하여 보강층(220)을 형성하며, 보강층(220) 표면에 마감재(내화 몰탈 등)를 도포하거나 벽지를 부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외부 마감층(230)을 형성한다(도 7참고). 보강층(220)과 마감층(230)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내진 보강 구조물(100)의 설치로 완료될 수도 있으며, 페인트 등으로만 마감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벽체(3) 따르면, 긴장재(10)의 긴장력에 의해 상하부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천정부(1)와 바닥부(2)) 사이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지진 발생시 벽돌의 흔들림을 막아 수평 하중에 대응하여 붕괴를 막을 수 있고, 또한, 보강판(20)이 벽체(3)의 진동을 흡수하여 벽체(3)의 붕괴를 막을 수 있으면서 아울러, 벽체(3)가 붕괴되더라도 벽돌 파편 등이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내진 보강 구조물(100)을 상하로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내진 보강 구조물(100)은 좌우 횡방향으로도 설치 가능하며(전술한 상하부 고정수단 등을 좌우에 배치하여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공 조건 등에 따라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존 학교 시설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모든 건축물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1 : 천정부, 2 : 바닥부
3 : 벽체,
10 : 긴장재, 20 : 보강판
30, 40 : 상부 앵커, 하부 앵커, 31,41 : 연결대
32,42 : 너트, 43 : 턴버클

Claims (11)

  1. 콘크리트 건축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돌 조적 벽체(3)의 일면 이상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며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 또는 상기 벽돌 조적 벽체(3)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긴장재(10)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면접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벽돌 조적 벽체를 지지하는 보강판(20)을 포함하며, 상기 긴장재는 상기 보강판에 관통 또는 상기 보강판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보강판과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은, 상기 긴장재가 상기 보강판 내부에 상하부가 돌출되도록 관통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은, 상기 긴장재가 상하로 구분되어 상기 보강판의 내부에 관통되지 않으면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의 천정부와 바닥부 또는 벽돌 조적 벽체에 매설되는 상하부 앵커(30,40), 상기 긴장재의 상하부와 상기 상하부 앵커 중 일측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의 긴장력이 조절 가능하도록 한 턴버클(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는 상기 보강판에 2개 이상이 적용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건축물의 천정부와 바닥부에 매설되면서 외주면에 나사선(30a,40a)이 형성된 상하부 앵커(30,40), 상기 상하부 앵커가 끼워지는 연결대(31,41), 상기 상하부 앵커의 나사선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연결대를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너트(32,42), 상기 연결대와 상기 긴장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의 긴장력이 조절 가능하도록 한 턴버클(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일면에 덧대어지면서 앵커(21)를 통해 상기 보강판을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판(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7. 벽돌 조적 벽체에 접하는 보강판(20) 및 상기 보강판에 관통 고정되거나 상기 보강판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긴장재(10)로 이루어진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100)을 콘크리트 건축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돌 조적 벽체의 일면 이상에 시공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의 상하 천정부와 바닥부 또는 좌우 벽체 또는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각각 앵커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100)을 상기 벽돌 조적 벽체에 설치하되, 상기 조적식 벽체 보강 구조물의 긴장재의 상하 또는 좌우 양측 단부를 각각 상기 제1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고정수단의 앵커(30,40)에 연결하고, 상기 보강판을 상기 벽돌 조적식 벽체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는 상기 건축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돌 조적 벽체의 일면 이상에 하나 이상의 내진보강홈(3a)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내진 보강 구조물을 상기 내진보강홈의 내부에 상기 벽돌 조적 벽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의 긴장재의 양측 중 일측 이상을 턴버클을 매개로 하여 상기 고정수단에 연결하고, 상기 턴버클에 의해 상기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고정수단의 앵커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연결대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대에 상기 긴장재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대의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내진보강홈과 상기 벽돌 조적 벽체의 표면을 마감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벽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210)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표면강화제를 도포하여 보강층(220)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층의 표면에 마감층(2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KR1020100103681A 2010-10-22 2010-10-22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KR10101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681A KR101017686B1 (ko) 2010-10-22 2010-10-22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681A KR101017686B1 (ko) 2010-10-22 2010-10-22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686B1 true KR101017686B1 (ko) 2011-02-28

Family

ID=4377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681A KR101017686B1 (ko) 2010-10-22 2010-10-22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6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6964A (zh) * 2012-11-04 2013-02-20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高延性混凝土嵌入式构造柱的施工方法
CN103089021A (zh) * 2011-11-08 2013-05-08 上海美创建筑加固工程有限公司 砌体结构抗震加固圈梁制造方法
KR101341170B1 (ko) * 2012-03-28 2013-12-13 오영근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CN107700700A (zh) * 2017-11-01 2018-02-16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预应力砌体窗间墙及加固方法
KR20200049080A (ko) * 2018-10-31 2020-05-08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적조 건물의 내진 보강용 고정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내진 보강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938A (ja) * 1995-08-30 1997-03-11 Shimizu Corp 既存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方法
KR100989218B1 (ko) * 2010-08-10 2010-10-20 이정우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938A (ja) * 1995-08-30 1997-03-11 Shimizu Corp 既存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方法
KR100989218B1 (ko) * 2010-08-10 2010-10-20 이정우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021A (zh) * 2011-11-08 2013-05-08 上海美创建筑加固工程有限公司 砌体结构抗震加固圈梁制造方法
KR101341170B1 (ko) * 2012-03-28 2013-12-13 오영근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CN102936964A (zh) * 2012-11-04 2013-02-20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高延性混凝土嵌入式构造柱的施工方法
CN107700700A (zh) * 2017-11-01 2018-02-16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预应力砌体窗间墙及加固方法
KR20200049080A (ko) * 2018-10-31 2020-05-08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적조 건물의 내진 보강용 고정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내진 보강 공법
KR102157288B1 (ko) * 2018-10-31 2020-09-17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적조 건물의 내진 보강용 고정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내진 보강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zza et al. Displacement-based seismic design of hysteretic damped braces for retrofitting in-elevation irregular rc framed structures
KR101017686B1 (ko) 조적식 벽체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EP3040497B1 (en) Antiseismic masonry infill
Yamin et al. Seismic behavior and rehabilitation alternatives for adobe and rammed earth buildings
CA2542039A1 (en) Composite floor system with fully-embedded studs
KR20180010833A (ko) 헌치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내진 보강 접합부
US20180363317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and Control Damage to a Shear Wall Panel Subject to a Loading Event
EP3347535B1 (en) Building system with a load-resisting fram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or steel integrated with wooden infill panels
KR101341170B1 (ko) 조적식 벽체용 쐐기식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JP2019196634A (ja) 木枠架構補強材
KR101027378B1 (ko) 블록과 강선을 이용한 내진벽 및 시공방법
CN114165093A (zh) 一种装配式的减震结构及可恢复功能的剪力墙
US20210108434A1 (en) Reinforced building wall using compression rod
JP4500981B2 (ja) 床構造の構築方法及び床構造
JP2010047926A (ja) 既存建物の補強構造
JP3725831B2 (ja) 建物における制振装置
KR101921864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조립체
Aliaari Development of seismic infill wall isolator subframe (SIWIS) system
JP2008274622A (ja) 建築物の中間階免震機構
Kabeyasawa Seismic evaluation and economical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JP201903529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制振及び耐震補強構造
JP200401915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制震構造
JP2006022572A (ja) 既存建物の外フレーム式の耐震補強構造
JP7270412B2 (ja) 組積造建物の補強構造
KR101240282B1 (ko) 기둥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