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900B1 - 대차, 이것에 사용되는 대차 본체 및 조작 도구 - Google Patents

대차, 이것에 사용되는 대차 본체 및 조작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900B1
KR102429900B1 KR1020207018973A KR20207018973A KR102429900B1 KR 102429900 B1 KR102429900 B1 KR 102429900B1 KR 1020207018973 A KR1020207018973 A KR 1020207018973A KR 20207018973 A KR20207018973 A KR 20207018973A KR 102429900 B1 KR102429900 B1 KR 10242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ogie
lifter
wheels
operation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326A (ko
Inventor
하지메 이즈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이즈카 테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이즈카 테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이즈카 테코쇼
Publication of KR2020008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onvertible from a one-axled vehicle to a two-axle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having a prop or stand for maintain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0Detachable wheels
    • B62B2205/104Detachable wheel units, e.g.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Abstract

[과제] 적재물의 이동과 아울러, 적재물의 보관, 보존에도 적합하고, 또한, 정리도 용이한 대차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리프터부(32)의 연결부(33)가 짐받이부(11)의 피연결부(15)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조작 장대부(31)의 자세 및 조작 도구(30)의 위치가 조작되고, 조작 장대부(31)의 경동 조작에 의해 리프터부(32)의 연결부(33)가 짐받이부(11)의 피연결부(15)에 걸리고, 조작에 의해 조작 장대부(31)에 작용하는 경동 모멘트가 제1 및 제2의 차바퀴(35)를 지점으로 하여서 연결부(33)가 걸리는 피연결부(15)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으로서 작용하면서, 제1 및 제2의 차바퀴(35)가 피연결부(15)의 하방위치를 향해서 이동 함에 의해, 짐받이부(11)의 지지부(12)가 바닥면FL로부터 부상하여, 연결이 완료한다.

Description

대차, 이것에 사용되는 대차 본체 및 조작 도구
본 발명은, 중량물등을 이동, 보유, 보관해두기 위한 대차에 관한 것이다.
중량물을 운반하는 종래의 대차로서는, 짐받이부의 하면에 복수의 자재 캐스터가 설치됨과 아울러, 짐받이부의 일측부에 손잡이(조작 도구)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2015-107665호 공보
예를 들면, 공작 기계로 가공되는 금속재료나 가공후의 워크는, 비교적 중량이 무겁고, 대차에의 적재나 대차로부터의 싣기와 내리기가 빈번히 필요하다면, 공정수도 증대하고, 작업자의 부담도 크다.
따라서, 가능한 한 물품의 대차에의 적재나 대차로부터의 싣기와 내리기를 줄일 필요가 있다.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물품을 대차에 적재한 뒤는, 가능한 한 해당 물품을 대차 위에서 보관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그렇지만, 종래의 대차는, 외력이 작용하면 쉽게 이동해버리기 때문에, 스토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대차에서는, 작업자가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대차를 정리할 때에, 손잡이가 방해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예의된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적재물의 이동과 아울러, 적재물의 보관, 보존에도 적합하고, 또한, 정리도 쉬운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에 관련되는 대차는,
대차 본체와, 해당 대차 본체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 도구를 갖고,
상기 대차 본체는, 이동 대상물을 지탱하는 짐받이부와,
상기 짐받이부의 하면측에 설치된 복수의 차바퀴와,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단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차바퀴와 협동해서 상기 짐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조작 도구는, 조작 장대부와,
상기 조작 장대부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짐받이부와 연결가능하게 형성된 리프터부를, 갖고,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조작 장대부의 양측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의 차바퀴를 갖고,
상기 조작 장대부가 상기 대차 본체에 연결될 때는,
상기 리프터부의 일부가 상기 짐받이부의 일부에 걸리고,
상기 조작 장대부에 작용하는 경동(傾動) 모멘트가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를 지점으로 하여서 상기 짐받이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힘으로서 작용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가 상기 짐받이부측을 향해서 이동함에 의해, 상기 대차 본체의 지지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하고,
상기 리프터부와 상기 대차 본체와의 연결이 완료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차바퀴 및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가 협동해서 상기 짐받이부를 지지하고,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조작 도구가 상기 대차 본체로부터 떼어내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 장대부를 기립시킨 자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와 협동해서 상기 조작 장대부를 지지하는 조작 장대 지지부를 더 갖고, 상기 조작 장대 지지부는, 상기 조작 장대부에 대하여 상기 조작 도구를 조작하는 작업자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에 관련되는 대차는, 대차 본체와, 해당 대차 본체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 도구를, 갖고,
상기 대차 본체는, 이동 대상물을 지탱하는 짐받이부와,
상기 짐받이부를 지지하고, 공통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해당 공통 축선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차바퀴와,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단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차바퀴와 협동해서 상기 짐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조작 도구는, 조작 장대부와,
상기 조작 장대부의 하단측에 설치된 리프터부를, 갖고,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조작 장대부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대부의 길이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의 차바퀴와,
상기 짐받이부에 설치된 피연결부와 연결가능한 연결부를, 갖고,
상기 조작 장대부가 상기 대차본체에 연결될 때는, 상기 리프터부의 연결부가 상기 짐받이부의 피연결부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조작 장대부의 자세 및 조작 도구의 위치가 조작되고,
계속해서, 상기 조작 장대부의 경동 조작에 의해 상기 리프터부의 연결부가 상기 짐받이부의 피연결부에 걸리고,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 장대부에 작용하는 경동 모멘트가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를 지점으로 하여서 상기 연결부가 걸리는 상기 피연결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힘으로서 작용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가 상기 피연결부의 하방위치를 향해서 이동함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하고,
상기 피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이 완료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차바퀴 및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가 협동해서 상기 짐받이부를 지지한다.
적합하게는, 상기 조작 장대 지지부는, 상기 리프터부와 상기 짐받이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적어도 선단부가 상기 짐받이부의 하면과 바닥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더욱 적합하게는,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짐받이부에 설치된 피연결부와 연결가능한 연결부를 갖고, 상기 조작 도구는, 상기 자립상태에서, 상기 리프터부의 연결부를 상기 짐받이부의 피연결부의 하방 위치에 배치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짐받이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짐받이부의 하면과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장대부의 경동을 더 규제하고, 또한, 상기 짐받이부와 상기 리프터부와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때의 상기 조작 장대부의 경동 동작을 허용하는 규제부를 더 가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작 도구는, 상기 구성의 대차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대차 본체는, 상기 구성의 대차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차 본체에 바닥면에 설치가능한 지지부를 구비했으므로, 적재물의 보관, 보존에도 적합한 대차가 제공된다. 덧붙여, 대차 본체와 조작 도구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대차 본체의 정리도 쉬워진다. 더욱,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에 의한 적재물의 도괴의 가능성도 대폭 완화할 수 있다.
[도1a]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대차의 단면도이며, 도1b의 1A-1A에 따른 단면도.
[도1b] 도1a의 대차의 측면도.
[도2] 대차 본체의 투시도.
[도3] 조작 도구의 외관 사시도.
[도4] 대차 본체와 조작 도구를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a] 짐받이부의 피걸어맞춤부와 조작 도구의 리프터부의 연결부가,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5b] 짐받이부의 피걸어맞춤부의 하방으로 조작 도구의 리프터부의 연결부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5c] 짐받이부의 피걸어맞춤부에 리프터부의 연결부가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5d] 짐받이부의 지지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5e] 보조 도구의 차바퀴가 짐받이부의 피걸어맞춤부의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5f] 짐받이부의 피걸어맞춤부와 리프터부의 연결부와의 연결이 완료하고, 보조 도구의 차바퀴에 하중이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6a] 대차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대차 본체와 조작 도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6b] 대차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킬 때의 대차 본체와 조작 도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1a∼도3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대차의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중, L1, L2는 바닥면FL에 평행한 수평면내에 있어서 대차(1)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고, M1, M2는 해당 수평면내에 있어서 대차(1)의 길이 방향 L1, L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방향을 나타낸다.
대차(1)는, 대차 본체(10)와, 대차 본체(10)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 도구(30)로 구성된다.
대차 본체(10)는, 도2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짐받이부(11)와, 짐받이부(11)의 하면(11b)의 길이 방향의 L1측의 단부에 설치된 2개의 차바퀴(13A, 13B)와, 짐받이부(11)의 하면(11b)의 길이 방향의 L2측의 단부에 설치된 2개의 지지부(12A, 12B)와, 피연결부(15)를 가진다.
짐받이부(11)는, 운반해야 할 물품이 적재되지만, 금속재료등으로 형성된 판재이여도 좋고, 프레임 부재를 조합시킨 것이어도 좋다. 또한, 판재나 프레임이외에도, 금속제의 그물 바구니를 짐받이부로서 채용하고, 그 하면에 차바퀴(캐스터)를 설치한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량물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물품의 운반, 보유도 가능해진다.
차바퀴(13A, 13B)는, 짐받이부(11)의 하면(11b)의 횡방향M1, M2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축선K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차바퀴(13A, 13B)의 방향은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12A, 12B)는, 강재등으로 형성되어, 짐받이부(11)의 하면(11b)의 차바퀴(13A, 13B)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이며, 횡방향M1, M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2A, 12B)는, 하단면(12b)이 바닥면FL에 접촉한다. 지지부(12A, 12B)가 바닥면FL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2개의 지지부(12A, 12B)와 2개의 차바퀴(13A, 13B)는 협동해서 짐받이부(11)를 거의 수평으로 보유함과 아울러, 짐받이(11)로부터의 하중을 지탱한다. 지지부(12A, 12B)의 하단면(12b)이 바닥면FL에 접촉하고 있는 것에 의해, 짐받이부(11)에 적재되는 물건의 중량이 클수록, 하단면(12b)과 바닥면FL과의 마찰력이 커지고, 대차 본체(10)가 바닥면FL 위를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피연결부(15)는, 2개의 지지부(12A, 12B)의 사이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되고, 금속제의 원통부재로 이루어져, 관통구멍(15a)을 가짐과 아울러, 원환형의 하단면(15b)이 후술하는 조작 도구(30)의 연결부(33)와 걸어맞춘다. 피연결부(15)는, 용접에 의해, 짐받이(11)의 하면(11b)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 도구(30)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조작 장대부(31)와, 조작 장대부(31)의 하단부측에 설치된 리프터부(32)를 갖는다.
조작 장대부(31)의 상단부에는, 대차(1)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31a)가 조작 장대부(3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리프터부(32)는, 조작 장대부(3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 장대부(31)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부(33)와, 이 연결부(33)로부터 조작 장대부(31)의 축선S1에 대략 직교하는 축선T1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축(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차바퀴(35A, 35B)와, 연결부(33)로부터 돌출해서 형성되는 2개의 암부(36A, 36B)(이하, 암부(36)라고도 말한다.)를, 갖는다.
연결부(33)의 상단면(33a)에, 원주형의 돌출부(34)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34)는, 대차 본체(10)의 피연결부(15)를 구성하는 원통부재의 관통구멍(15a)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조작 도구(30)의 조작 장대(31)는, 차바퀴(35A, 35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지가 없으면 기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그렇지만, 도4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36)가 바닥면FL에 접촉해서 조작 장대(31)의 경동을 규제함으로써, 조작 장대(31)는, 약간 경사진 상태에서 기립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대차 본체(10)와 조작 도구(30)와의 연결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대차 본체(10)와 조작 도구(3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도구(30)를 리프터부(32)의 연결부(33)가 짐받이부(11)의 피연결부(15)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조작 장대부(31)의 자세(경사) 및 조작 도구(30)의 위치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면FL에 설치된 짐받이부(11)에 대하여,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도구(30)를 접근시켜 간다. 이때, 연결부(33)의 돌출부(34)가 피걸어맞춤부(15)의 하단면(15b)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조작 장대(31)의 경사를 조정한다. 또한,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장대(31)가 차바퀴(35)와 암(36)에 의해 지탱되어진 상태에서는, 연결부(33)의 돌출부(34)가 피걸어맞춤부(15)의 하단면(15b)보다도 하방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음에,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도구(30)를 대차 본체(10)에 가깝게 하고, 연결부(33)의 돌출부(34)가 피걸어맞춤부(15)의 관통구멍(15a)의 바로 아래에 오도록 조작한다. 그리고, 도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장대(31)를 경동 방향A1에 경사시켜 간다. 경동 방향A1은, 도4나 도5a에 나타낸 조작 장대(31)가 경사진 방향과는 역방향이다. 조작 장대(31)를 경동 방향A1에 경사시키면, 연결부(33)의 돌출부(34)의 위치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돌출부(34)의 일부가 피걸어맞춤부(15)의 관통구멍(15a)내에 밀치고 들어가고, 돌출부(34)가 관통구멍(15a)의 내주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연결부(33)의 상단면(33a)이 피걸어맞춤부(15)의 하단면(15b)에 접촉한다. 다시 말해, 연결부(33)가 피걸어맞춤부(15)에 걸린다.
조작 장대(31)를 경동 방향A1에 경사시키면, 도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 장대부(31)에 작용하는 경동 모멘트가 차바퀴(37)를 지점으로 하여서 연결부(33)의 상단면(33a)이 걸리는 피연결부(15)의 하단면(15b)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것과 동시에, 지점으로서의 차바퀴(35)는, 관통구멍(15a)의 하방위치를 향하는 방향B1으로 이동해간다. 이 「지레작용」에 의해, 대차 본체(10)의 지지부(12)의 하단면(12b)는, 바닥면FL로부터 상승하고, 바닥면FL과 지지부(12)의 하단면(12b)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이 형성된다.
조작 장대(31)를 경동 방향A1으로 더욱 경사시켜 가면, 도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바퀴(35)가 관통구멍(15a)의 하방위치에 더욱 가깝게 가고, 차바퀴(35)가 지탱하는 짐받이부(11)의 하중이 증대해 간다. 조작 장대(31)에 작용하는 경동 방향A1과는 역방향의 모멘트도 급격히 감소해 가서, 조작자는 조작 장대(31)로부터 반력을 거의 느끼지 않게 된다.
도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바퀴(35)가 관통구멍(15a)의 하방위치에 도달하면, 연결부(33)의 상단면(33a)에 피연결부(15)의 하단면(15b)이 전면적으로 접촉하고, 차바퀴(35)가 차바퀴(13)와 협동해서 짐받이부(11)의 하중을 지탱한다. 이에 따라, 조작 장대(31)에는, 경동 방향A1과는 역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때, 암부(26)가 짐받이부(11)의 바닥면(11b)에 접촉하고, 조작 장대(31)의 경동 방향A1에의 새로운 경사가 규제된다. 이 결과, 대차(1)는, 도1a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연결부(33)는, 피연결부(15)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지지부(12)의 하단면(12b)과 바닥면FL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짐받이부(11)도 조금 경사지지만, 이 경사는, 적재된 짐에 영향 없는 범위의 경사다.
대차 본체(10)와 조작 도구(30)가 서로 연결된 대차(1)에 있어서는,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장대(31)를 대차 본체(10)의 길이 방향L1, L2에 따른 방향으로 유지하면서, 조작 도구를 밀거나 또는 끌어 당기는 것으로, 곧장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대차(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시 말해, 대차의 이동 방향을 우방향이나 좌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장대(31)를 길이 방향L1, L2에 대하여 한쪽으로 구부린다. 연결부(33)는, 피연결부(1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므로, 간단히 이동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대차 본체(10)와 조작 도구(3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5a∼도5f와는 반대의 순서로 조작 도구(30)를 조작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특히 짐 붕괴에 관해서는, 짐받이부로서 그물 바구니를 사용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복수대의 대차 본체(10)의 각각에 대하여 조작 도구(30)를 준비해도 좋지만, 복수대의 대차 본체(10)에 대하여 1대의 조작 도구(30)를 공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연결부(15)를 원통부재로 형성하고, 연결부(33)를 원주형부재로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부(33)측을 원통부재로 형성하고, 피연결부(15)측을 돌출형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피연결부, 연결부의 구조는 여러 가지로 변경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12A, 12B)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소나 형상이나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짐받이부의 형태에 대해서 여러 가지의 형태를 예시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봉강의 운반등, 공장의 자재운반에 관계되는 모든 적재물에 따라서 구성가능하다.
1 대차
10 대차 본체
11 짐받이부
12A, 12B 지지부
13, 13A, 13B 차바퀴
15 피걸어맞춤부
15a 관통구멍
15b 하단면
30 조작도구
30a 손잡이부
31 조작 장대부
32 리프터부
33 연결부
33a 상단면
34 돌출부
35, 35A, 35B 차바퀴
37 차축
K1, S1, T1 축선
FL 바닥면

Claims (8)

  1. 대차 본체와, 해당 대차 본체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 도구를 갖고,
    상기 대차 본체는, 이동 대상물을 지탱하는 짐받이부와,
    상기 짐받이부의 하면측에 설치된 복수의 차바퀴와,
    바닥면에 접촉하는 하단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차바퀴와 협동해서 상기 짐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조작 도구는, 조작 장대부와,
    상기 조작 장대부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짐받이부와 연결가능하게 형성된 리프터부를, 갖고,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조작 장대부의 양측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의 차바퀴를 갖고,
    상기 조작 장대부가 상기 대차 본체에 연결될 때는,
    상기 리프터부의 일부가 상기 짐받이부의 일부에 걸리고,
    상기 조작 장대부에 작용하는 경동 모멘트가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를 지점으로 하여서 상기 짐받이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힘으로서 작용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가 상기 짐받이부측을 향해서 이동함에 의해, 상기 대차 본체의 지지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부상하고,
    상기 리프터부와 상기 대차 본체와의 연결이 완료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차바퀴 및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가 협동해서 상기 짐받이부를 지지하고,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조작 도구가 상기 대차 본체로부터 떼어내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 장대부를 기립시킨 자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의 차바퀴와 협동해서 상기 조작 장대부를 지지하는 조작 장대 지지부를 더 갖고,
    상기 조작 장대 지지부는, 상기 조작 장대부에 대하여 상기 조작 도구를 조작하는 작업자의 측과는 반대측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대 지지부는, 상기 리프터부와 상기 짐받이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적어도 선단부가 상기 짐받이부의 하면과 바닥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대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짐받이부에 설치된 피연결부와 연결가능한 연결부를 갖고,
    상기 조작 도구는, 상기 자립상태에서, 상기 리프터부의 연결부를 상기 짐받이부의 피연결부의 하방 위치에 배치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대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짐받이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짐받이부의 하면과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장대부의 경동을 더 규제하고, 또한, 상기 짐받이부와 상기 리프터부와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때의 상기 조작 장대부의 경동 동작을 허용하는 규제부를 더 가지는, 대차.
  5. 청구항 1에 기재된 대차에 사용되는, 조작 도구.
  6. 청구항 1에 기재된 대차에 사용되는, 대차 본체.
  7. 삭제
  8. 삭제
KR1020207018973A 2017-12-06 2017-12-13 대차, 이것에 사용되는 대차 본체 및 조작 도구 KR102429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3980A JP6352518B1 (ja) 2017-12-06 2017-12-06 台車、これに使用される台車本体および操作具
JPJP-P-2017-233980 2017-12-06
PCT/JP2017/044771 WO2019111418A1 (ja) 2017-12-06 2017-12-13 台車、これに使用される台車本体および操作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326A KR20200089326A (ko) 2020-07-24
KR102429900B1 true KR102429900B1 (ko) 2022-08-05

Family

ID=6277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973A KR102429900B1 (ko) 2017-12-06 2017-12-13 대차, 이것에 사용되는 대차 본체 및 조작 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52518B1 (ko)
KR (1) KR102429900B1 (ko)
CN (1) CN111491846A (ko)
TW (1) TWI737866B (ko)
WO (1) WO2019111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2714B1 (ja) * 2020-10-13 2021-01-27 正年 吉村 設置台及び台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067A (ja) 2004-10-13 2006-04-27 Seiko Epson Corp 台車用ハンド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2767U (ko) * 1980-04-16 1981-11-16
JPS60433Y2 (ja) * 1981-04-14 1985-01-08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タイルユニツト
JPS5937170U (ja) * 1982-08-31 1984-03-08 ナシヨ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搬送具
CN2299779Y (zh) * 1996-11-28 1998-12-09 青岛泰发集团公司 椅背式货仓车
JPH1134880A (ja) * 1997-07-17 1999-02-09 Kisho:Kk 容器用台車のハンドル体
DE202004020216U1 (de) * 2004-12-28 2005-04-21 Ritsch, Ingolf Handbetriebene Transportkarre
JP6102706B2 (ja) * 2013-12-03 2017-03-2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台車
CN205205670U (zh) * 2015-11-12 2016-05-04 山东恒堃机械有限公司 一种移动模架多功能小车
CN205499015U (zh) * 2016-02-25 2016-08-24 湖州市菱湖天意制带有限公司 一种桶布料搬运小车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067A (ja) 2004-10-13 2006-04-27 Seiko Epson Corp 台車用ハン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91846A (zh) 2020-08-04
KR20200089326A (ko) 2020-07-24
WO2019111418A1 (ja) 2019-06-13
JP6352518B1 (ja) 2018-07-04
TWI737866B (zh) 2021-09-01
JP2019099029A (ja) 2019-06-24
TW201924999A (zh)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3822B2 (ja) 吊り台車
CA3009156C (en) Cart and dolly handle with stacking position
JP3927220B1 (ja) 台車
JP6664003B2 (ja) 台車
KR102429900B1 (ko) 대차, 이것에 사용되는 대차 본체 및 조작 도구
JP6810412B2 (ja) ローダ
US2240355A (en) Truck
JP6162201B2 (ja) フォークカバー
JP6994249B2 (ja) 台車、これに使用される台車本体および操作具
JPH01308398A (ja) 四方操縦システムを有する運搬車両
JP2010195069A (ja) 荷物運搬台車
TWM597766U (zh) 用於提升和降低重物的設備
JP3210654U (ja) スタッキング型台車
KR20090000250U (ko) 무게 중심 축을 개량한 수직 적재식 손수레
JP4952512B2 (ja) 搬送台車
JP2009067186A (ja) 荷体昇降機構付台車
JP2013151180A (ja) 移動パレットを備えた輸送機器
JP2001106488A (ja) ローダ
JP4618513B2 (ja) ピッキング式の物品収納設備
KR101048642B1 (ko) 운반대차의 적재 지그
KR101341802B1 (ko) 이동 운반용 파렛트
JP3164261U (ja) ラック台車
JP3041440U (ja) 重量物運搬用台車
JP3114012U (ja) ボックスパレット傾転式台車
JPH082888A (ja) 運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