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073B1 -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 Google Patents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073B1
KR102429073B1 KR1020160016416A KR20160016416A KR102429073B1 KR 102429073 B1 KR102429073 B1 KR 102429073B1 KR 1020160016416 A KR1020160016416 A KR 1020160016416A KR 20160016416 A KR20160016416 A KR 20160016416A KR 102429073 B1 KR102429073 B1 KR 102429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opening pattern
sheet
elastic par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992A (ko
Inventor
최정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1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073B1/ko
Priority to CN201780010750.9A priority patent/CN108602301B/zh
Priority to PCT/KR2017/001282 priority patent/WO2017138725A1/ko
Publication of KR2017009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992A/ko
Priority to HK18114009.0A priority patent/HK1254910A1/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Landscapes

  • Cosme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공간을 형성하며, 화장료 흡수 및 전달을 조절하는 밸브구조를 가지는 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Cosmetic applicator having controlled absorbing property and releasing property}
본 발명은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도구는 화장료를 피부, 특히 얼굴 피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화장도구는 화장료를 적절한 양으로 흡수한 후 피부에 적절한 양으로 전달하는 특성이 중요하다. 화장 후에 화장료가 화장도구에 남아있게 되면 위생상 및 외관상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발포폼 재질의 화장도구를 사용하면 촉감과 흡수는 우수하나, 피부로 전달되지 않고 기공에 일부 화장료가 잔존하는 문제가 있다. 화장료 잔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장료를 흡수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사용감이 떨어지고 화장 효과가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등록 제3,487,915호(2003년 10월 31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도구에 있어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공간을 형성하며, 화장료 흡수 및 전달을 조절하는 밸브구조를 가지는 시트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밸브구조는, 외부로부터 상기 화장료 공간으로 화장료가 흡수되는 경우와 상기 화장료 공간으로부터 화장료가 외부로 전달되는 경우 개구율이 다를 수 있다.
상기 밸브구조는 화장료 흡수 시의 개구율이 상기 화장료 전달 시의 개구율의 1.5 내지 10배일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제1개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시트와; 상기 제1시트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위치하며 제2개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2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개구패턴과 상기 제2개구패턴이 상기 밸브구조를 형성하며, 화장료 흡수 시에는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가 이격되며, 화장료 전달 시에는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패턴은, 상기 제1개구패턴과 대응하지 않으며 제1개구율을 가지는 제1서브개구패턴과; 상기 제1개구패턴과 대응하며 상기 제1개구율보다 작은 제2개구율을 가지는 제2서브개구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개구패턴은 절개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는, 상기 제1개구패턴과 상기 제2개구패턴의 정렬을 위해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상기 탄성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개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패턴은 화장료 전달 시 보다 화장료 흡수 시 더 많이 개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개구패턴은 절개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화장료 공간에 위치하는 화장료를 실질적으로 흡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탄성본체와; 상기 탄성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고 있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도구에 있어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공간을 형성하는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에는 화장료 전달성보다 화장료 흡수성이 큰 물리적 밸브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물리적 밸브구조는 상기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패턴은 제1개구율로 화장료를 흡수하며, 상기 제1개구율보다 작은 제2개구율로 화장료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도구에 있어서, 상기 화장도구에는 외부의 액상 화장료가 흡수되어 위치하는 화장료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화장료 흡수 및 전달 동작 시에, 1회 흡수 동작에 의한 흡수량이 1회 전달 동작에 의한 전달량보다 많도록 흡수량과 전달량을 물리적으로 조절하는 밸브구조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3은 도 2의 D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A에 대응하는 부분의 시트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화장료의 흡수와 전달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접합 영역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화장료의 흡수와 전달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장도구로서 퍼프를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를 흡수 및 전달하는 모든 화장도구에 적용된다. 또한 저점도 화장료(예를 들어, 액상 화장료)를 예시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말상, 고상 및 혼합상의 화장료에 모두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3은 도 2의 D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A에 대응하는 부분의 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화장도구(1)는 퍼프라고도 불리며 본체(10)와 손잡이띠(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전체적으로는 납작하고 둥근 형상이며 탄성을 가지고 있다.
손잡이띠(20)는 본체(10)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천 재질 및/또는 탄성이 있는 수지 재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는 탄성부(110), 제1시트(120) 및 제2시트(130)를 포함한다.
탄성부(110)는 화장료를 흡수하지 않는 재질, 예를 들어 NBR 고무 재질 등으로 만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부(110)는 2층 이상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110)가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적어도 한 층은, 특히 화장료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층은 화장료를 흡수하는 탄성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시트(120, 130)는 탄성부(110)의 양면 중 손잡이띠(20)와 마주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 즉 화장료 및 피부를 향하는 면에 마련되어 있다. 시트(120, 130)는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제1시트(120)와, 제1시트(120) 및 탄성부(110) 사이에 위치하는 제2시트(130)를 포함한다. 시트(120, 13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트(120, 130)는 탄성부(110)의 일면을 덮고 있으며, 둘레(B, C)를 따라 탄성부(110)에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탄성부(110)과 제2시트(130) 사이에는 화장료가 위치할 수 있는 화장료 공간이 형성된다.
제1시트(120)에는 도 3 및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개구패턴(121)이 형성되어 있다. 제1개구패턴(121)은 원형의 개구가 격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시트(130)에는 도 3 및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개구패턴(131, 13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서브개구패턴(131)은 사각형의 개구가 격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서브개구패턴(132)은 십자형의 절개부로 마련되어 있으며 인접한 제1서브개구패턴(13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개구패턴(121)과 제2개구패턴(131, 132)의 배치관계를 도 4의 (c)를 통해 살펴보면, 제2서브개구패턴(132)은 제1개구패턴(121)에 대응한다. 즉, 제1시트(120)와 제2시트(130)를 밀착시키면 제2서브개구패턴(132)과 제1개구패턴(121)의 위치가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제1서브개구패턴(131)은 제1개구패턴(121)에 대응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는 밸브구조를 통해 화장료의 흡수와 전달이 조절된다. 이를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밸브구조는 시트(120, 130) 간의 위치관계, 제1개구패턴(121) 및 제2개구패턴(131, 132)의 대응여부 등에 의해 형성되며, 흡수와 전달 시에 서로 다른 물리적 밸브구조가 형성된다.
도 5의 (a)는 화장료 흡수 시의 밸브구조를 설명한 것이다. 사용자가 화장도구(1)를 화장료에 가압하면 화장료가 밸브구조를 통해 화장료 공간으로 흡수된다.
흡수 시에는 하부로부터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시트(120, 130)는 서로 이격된다. 이에 의해 제1개구패턴(121) 및 제1서브개구패턴(131)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어, 이 유로를 따라 화장료가 화장료 공간으로 흡수된다. 흡수 시에는 제2서브개구패턴(132)을 통해서도 일부 화장료가 화장료 공간으로 흡수될 수도 있으나 제2서브개구패턴(132)의 개구 정도가 제1서브개구패턴(131)의 개구 정도보다 작기 때문에 그 양은 크지 않다.
도 5의 (b)는 화장료 전달 시의 밸브구조를 설명한 것이다. 사용자가 화장료 공간에 화장료가 있는 상태에서 화장도구(1)를 사용자 피부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시트(120, 130)는 서로 밀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서로 대응하지 않는 제1개구패턴(121) 및 제1서브개구패턴(131) 사이에는 유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반면, 가압력이 제1개구패턴(121)에 대응하는 제2서브개구패턴(132)에 집중되어 절개부가 오픈되면서 제2서브개구패턴(132)과 제1개구패턴(121)을 통해 화장료가 외부로 전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 밸브구조를 이용하여 흡수성과 전달성을 조절할 수 있다. 흡수 시의 밸브구조는 제1개구패턴(121) 및 제1서브개구패턴(131)으로 형성되고, 전달 시의 밸브구조는 제1개구패턴(121) 및 제2서브개구패턴(132)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제2서브개구패턴(132)는 절개부가 변형되면서 화장료가 통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서브개구패턴(131)보다 개구율이 작게 된다. 이에 의해 화장료 흡수성보다 화장료 전달성이 크도록 조절된다. 여기서 얘기하는 흡수성 및 전달성은 통상의 사용자가 화장도구(1)를 사용할 경우 1회 흡수 및 1회 전달 동작에서의 흡수량 및 전달량을 기준으로 한다.
1회 동작시의 흡수량은 1회 동작시의 전달량의 1.5배 내지 10배 또는 2배 내지 6배일 수 있다. 또한 흡수량 및 전달량은 밸브구조의 경로 및/또는 개구율과 관련되며, 흡수 시 제1서브개구패턴(131)의 개구율은 전달 시 제2서브개구패턴(132)의 개구율보다 1.5 배 내지 10배 또는 2배 내지 6배 클 수 있다. 개구율은, 예를 들어, 통상 사용자의 흡수 및 동작 배출 시, 화장료 유동방향에서의 개별 서브개구패턴(131, 132)의 최대 열린 면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는 개구율은, 예를 들어, 통상 사용자의 흡수 및 동작 배출 시의 화장료 유량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적은 회수의 동작을, 예를 들어 1-2회 정도, 통해 충분한 양의 화장료를 화장도구(1)에 흡수할 수 있으며, 적절한 회수의 동작에, 예를 들어, 2회 내지 20회, 걸쳐 화장료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흡수량과 전달량의 절대량 및 상대량은 개구패턴(121, 131, 132)의 밀도(즉, 단위면적 당 개구패턴의 개수), 개구정도(절개부의 경우 절개 길이 등), 형태 등을 변경하여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서브개구패턴(132)은 절개부가 아닌 개구율이 작은 개구패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서는 탄성부(110)가 탄성 본체(111)와 커버부(112)로 이루어져 있다. 탄성 본체(111)는 폴리우레탄폼과 같은 다공성 재질 또는 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커버부(112)는 필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본체(111)의 재질은 구체적으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및 합성수지 등일 수 있으며, 특히 발포폼일 수 있다. 발포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또는 네오프렌 재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시트(120)와 제2시트(130)가 접합 영역(E)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접합 영역(E)에 의해 개구패턴(121, 131, 132)의 정렬이 용이해진다. 접합 영역(E)은 도 8의 (a)와 같이 점 형태로 산점되어 있거나 또는 도 8의 (b)와 같이 선일 수 있다. 접합 영역이 점으로 이루어진 경우 점의 배치 형태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배치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으며, 접합 영역이 선으로 이루어진 경우 도 8의 (b)와 달리 격자형태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접합 영역은 면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접합 영역이 점, 선 및 면 형태가 복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한 제4실시예에서는 둘레뿐 아니라 일정영역(F)에서 탄성부(110), 제1시트(12) 및 제2시트(130)가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서도 접합 영역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따른 경우에는, 일부 영역에서 접합된 시트(120, 130)를 먼저 제조한 후, 접합된 시트(120, 130)와 탄성부(110)를 접합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화장료의 흡수와 전달을 나타낸 것이다.
제5실시예에서는 밸브구조가 단일의 시트(140)를 통해 구현된다. 시트(140)에는 탄성부(110)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1)는 산점 형태로 분포되어 있으며 최상부에는 개구패턴(142)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패턴(142)은 절개부로 형성되어 있다.
화장료 흡수 시에는 도 12의 (a)와 같이 돌출부(141) 하부로부터 화장료가 화장료 공간으로 흡수된다. 이 때 화장료의 가압에 의해 개구패턴(142)이 벌어지게 되어 밸브구조를 형성한다.
화장료 전달 시에는 도 12의 (b)와 같이 돌출부(141) 상부에 위치한 화장료가 외부로 전달된다. 이 때 화장료의 가압에 의해 개구패턴(142)이 벌어지게 되어 밸브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5실시예에 있어서, 개구패턴(142)이 형성된 돌출부(141)는 화장료 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 방향으로 가압력이 가해지는 흡수의 경우에 돌출 반대 방향으로 가압력이 가해지는 전달의 경우에 비해 개구패턴(142)이 더 많이 개구된다. 이에 의해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흡수성이 전달성보다 크게 되며, 돌출부(141)의 돌출정도, 돌출형태 등과 개구패턴(142)의 형상 등을 조절하여 전달량과 흡수량의 절대량과 상대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인 밸브구조를 통하여 전달량과 흡수량의 절대량과 상대량을 조절할 수 있다. 물리적 밸브구조는 흡수 시와 전달 시의 유로 및/또는 개구정도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에 있어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공간을 형성하며, 화장료 흡수 및 전달을 조절하는 밸브구조를 가지는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제1개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시트와;
    상기 제1시트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위치하며 제2개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2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개구패턴과 상기 제2개구패턴이 상기 밸브구조를 형성하며,
    화장료 흡수 시에는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가 이격되며,
    화장료 전달 시에는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가 밀착되고,
    상기 제2개구패턴은,
    상기 제1개구패턴과 대응하지 않으며 제1개구율을 가지는 제1서브개구패턴과;
    상기 제1개구패턴과 대응하며 상기 제1개구율보다 작은 제2개구율을 가지는 제2서브개구패턴을 포함하는,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조는,
    외부로부터 상기 화장료 공간으로 화장료가 흡수되는 경우와 상기 화장료 공간으로부터 화장료가 외부로 전달되는 경우 개구율이 다른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조는 화장료 흡수 시의 개구율이 상기 화장료 전달 시의 개구율의 1.5 내지 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개구패턴은 절개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는,
    상기 제1개구패턴과 상기 제2개구패턴의 정렬을 위해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8.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탄성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개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패턴은 화장료 전달 시 보다 화장료 흡수 시 더 많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패턴은 절개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10.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화장료 공간에 위치하는 화장료를 실질적으로 흡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본체와;
    상기 탄성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고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12.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에 있어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공간을 형성하는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에는 화장료 전달성보다 화장료 흡수성이 큰 물리적 밸브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는,
    제1개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시트와;
    상기 제1시트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위치하며 제2개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2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개구패턴과 상기 제2개구패턴이 상기 밸브구조를 형성하며,
    화장료 흡수 시에는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가 이격되며,
    화장료 전달 시에는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가 밀착되고,
    상기 제2개구패턴은,
    상기 제1개구패턴과 대응하지 않으며 제1개구율을 가지는 제1서브개구패턴과;
    상기 제1개구패턴과 대응하며 상기 제1개구율보다 작은 제2개구율을 가지는 제2서브개구패턴을 포함하는,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16416A 2016-02-12 2016-02-12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KR10242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16A KR102429073B1 (ko) 2016-02-12 2016-02-12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CN201780010750.9A CN108602301B (zh) 2016-02-12 2017-02-06 吸收性与传递性得到调节的化妆工具
PCT/KR2017/001282 WO2017138725A1 (ko) 2016-02-12 2017-02-06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HK18114009.0A HK1254910A1 (zh) 2016-02-12 2018-11-02 吸收性與傳遞性得到調節的化妝工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16A KR102429073B1 (ko) 2016-02-12 2016-02-12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992A KR20170094992A (ko) 2017-08-22
KR102429073B1 true KR102429073B1 (ko) 2022-08-04

Family

ID=5956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416A KR102429073B1 (ko) 2016-02-12 2016-02-12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429073B1 (ko)
CN (1) CN108602301B (ko)
HK (1) HK1254910A1 (ko)
WO (1) WO2017138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271B1 (ko) * 2016-02-12 2022-07-18 (주)아모레퍼시픽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5912A1 (ja) * 2006-03-15 2006-09-14 Shiseido Co., Ltd. 美容用具
JP2008259636A (ja) * 2007-04-11 2008-10-30 Kemikosu Creations Kk 粉末化粧料容器
KR101380587B1 (ko) * 2013-07-25 2014-04-01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유동성 화장료를 위한 탄성 토출마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7915B2 (ja) 1994-07-19 2004-01-1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連通気泡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3054381B2 (ja) * 1997-05-19 2000-06-19 東京パフ株式会社 化粧用塗布具の製造方法及び化粧用塗布具
JP2949284B1 (ja) * 1998-06-30 1999-09-13 ジェクス株式会社 パウダーパフ及びパウダーパフ体
KR200190839Y1 (ko) * 2000-01-10 2000-08-01 이종칠 휴대용 가루분 팩
KR200255106Y1 (ko) * 2001-06-15 2001-12-13 노병후 화장용 퍼프
FR2853820B1 (fr) * 2003-04-15 2006-05-26 Oreal Applicateur destine a etre fixe sur un doigt
JP2005118433A (ja) * 2003-10-20 2005-05-12 Shiseido Co Ltd 化粧用パフ
KR200456829Y1 (ko) * 2009-05-21 2011-11-23 (주)아모레퍼시픽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저장부가 설치된 퍼프
KR101510750B1 (ko) * 2013-08-16 2015-04-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가이드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5912A1 (ja) * 2006-03-15 2006-09-14 Shiseido Co., Ltd. 美容用具
JP2008259636A (ja) * 2007-04-11 2008-10-30 Kemikosu Creations Kk 粉末化粧料容器
KR101380587B1 (ko) * 2013-07-25 2014-04-01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유동성 화장료를 위한 탄성 토출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02301B (zh) 2020-08-25
CN108602301A (zh) 2018-09-28
HK1254910A1 (zh) 2019-08-02
KR20170094992A (ko) 2017-08-22
WO2017138725A1 (ko)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681B1 (ko) 화장용 퍼프
JP2018064742A (ja) 化粧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ング/注出組立体
KR102429073B1 (ko) 흡수성과 전달성이 조절된 화장도구
EP3415309B1 (en) Cosmetic tool with improved transferring performance
KR102552056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20180094322A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169055B1 (ko)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TWI713717B (zh) 可維持已改變形狀的化妝品敷塗器
TWI719135B (zh) 化妝品施用器
JP3696063B2 (ja) 衛生用品の表面材
KR101852174B1 (ko) 퍼프 제조 방법
KR102430792B1 (ko) 화장도구
KR102499658B1 (ko) 하니컴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20230097583A (ko)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KR102371261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200497630Y1 (ko) 아이스팩 내장형 쿨링퍼프
KR20230097579A (ko) 액상 화장용 퍼프
KR20190051280A (ko) 화장용 퍼프
KR102340030B1 (ko)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JP3078159U (ja) 化粧用具
KR20180037680A (ko) 배출홀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