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659B1 - 구조적 구성요소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구조적 구성요소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5659B1 KR102425659B1 KR1020207014304A KR20207014304A KR102425659B1 KR 102425659 B1 KR102425659 B1 KR 102425659B1 KR 1020207014304 A KR1020207014304 A KR 1020207014304A KR 20207014304 A KR20207014304 A KR 20207014304A KR 102425659 B1 KR102425659 B1 KR 1024256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 glass cover
- intermediate frame
- touch control
- structural compon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0 laminat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14—Adhesive fo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구조적 구성요소 및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구조적 구성요소는 중간 프레임, 유리 커버 및 터치 컨트롤 필름을 포함한다. 유리 커버와 터치 컨트롤 필름은 적층 방식으로 배치된다. 터치 컨트롤 필름은 중간 프레임 쪽을 향한 유리 커버의 표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컨트롤 필름의 측부 에지와 유리 커버의 측부 에지가 완전히 중첩되지는 않는다. 중간 프레임 쪽을 향한 유리 커버의 표면은 터치 컨트롤 필름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노출된 영역은 제 1 접합 영역이다. 중간 프레임 쪽을 향한 터치 컨트롤 필름의 표면이 제 2 접합 영역이다. 제 1 접합 영역은 제 1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프레임에 접착식으로 연결되고, 제 2 접합 영역은 제 2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프레임에 접착식으로 연결된다. 제 1 접착제의 접합력은 제 2 접착제의 접합력보다 더 크다. 상술한 실시예 방안에서, 유리 커버는 제 1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합되며, 터치 컨트롤 필름은 제 2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합된다. 제 1 접착제는 유리 커버의 에지에 접합되며, 제 1 접착제의 접합력은 제 2 접착제의 접합력보다 더 크다. 따라서, 유리 커버와 중간 프레임 사이의 접합력이 향상되며, 나아가 사용 중인 구조적 구성요소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이동 단말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component)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터치 컨트롤 액정 디스플레이는 통상 2가지 방식으로 설계되는데, 첫 번째는 터치 컨트롤 기능이 디스플레이에서 구현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터치 컨트롤 금속 와이어를 박막에 통합한 후, 박막을 디스플레이에 부착하는 것이다.
두 번째 설계의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가 이동 단말기의 하우징에 접합될 때, 접착제 분배를 통해 수행되는 접합은 터치 컨트롤 금속 와이어가 끊어지고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가 분리 및 수리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접합을 위해 접착 테이프가 사용된다. 그러나, 스크린 대 본체 비율이 높은 디스플레이의 설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순수한 접착 테이프 방안은 터치 컨트롤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한 접합력을 충족할 수 없으며, 터치 컨트롤 액정 디스플레이는 신뢰성이 떨어진다.
본 출원은 이동 단말기의 하우징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고 이동 단말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조적 구성요소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 1 태양에 따르면, 구조적 구성요소가 제공된다. 구조적 구성요소는 중간 프레임, 유리 커버 및 터치 컨트롤 필름을 포함한다. 유리 커버 및 터치 컨트롤 필름은 적층 방식으로 배치되며, 터치 컨트롤 필름은 중간 프레임 쪽을 향한 유리 커버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터치 컨트롤 필름의 측부 에지(side edge)와 유리 커버의 측부 에지가 완전히 중첩되지는 않는다. 중간 프레임 쪽을 향한 유리 커버의 표면은 터치 컨트롤 필름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유리 커버의 노출된 영역은 제 1 접합 영역이다. 중간 프레임 쪽을 향한 터치 컨트롤 필름의 표면이 제 2 접합 영역이다.
제 1 접합 영역은 제 1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프레임에 접착식으로 연결되고, 제 2 접합 영역은 제 2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프레임에 접착식으로 연결되며, 제 1 접착제의 접합력은 제 2 접착제의 접합력보다 더 크다.
상술한 실시예 방안에서, 유리 커버는 제 1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합되며, 터치 컨트롤 필름은 제 2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합된다. 제 1 접착제는 유리 커버의 에지에 접합되며, 제 1 접착제의 접합력은 제 2 접착제의 접합력보다 더 크다. 따라서, 유리 커버와 중간 프레임 사이의 접합력이 향상되며, 나아가 사용 중인 구조적 구성요소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제 1 접합 영역은 터치 컨트롤 필름 둘레에 배치된다. 제 1 접착제가 유리 커버의 에지 둘레에 배치되기 때문에,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제 1 접착제는 중간 프레임 상에 분배되며, 양호한 접합 효과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돌기 구조체가 중간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돌기 구조체는 제 1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접합 영역에 접착식으로 연결된다. 돌기 구조체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프레임과 유리 커버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어, 제 1 접합 영역이 제 1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중간 프레임에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접착제 분배 중에 제 1 접착제가 디스플레이의 외측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 오버플로우 홈(adhesive overflow groove)이 돌기 구조체 상에 배치된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돌기 구조체 및 중간 프레임은 일체로 통합된다. 이에 의해 중간 프레임의 제조가 용이해지고, 유리 커버와 중간 프레임 간의 연결 강도가 향상된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제 2 접착제는 발포 접착제(foam adhesive)이며, 양호한 접합 효과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구조적 구성요소는 중간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유리 커버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한다. 지지 돌기가 유리 커버를 지지하기 때문에, 유리 커버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지지 돌기는 돌기 구조체 상에 배치되며,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 사이에 있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지지 돌기 및 중간 프레임은 일체로 통합된다. 이에 의해 구성요소들 사이의 접속이 감소되며, 유리 커버를 지지하는 안정성이 향상된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구조적 구성요소는 터치 컨트롤 필름과 함께 적층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제 2 접착제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에 위치한다.
제 2 태양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고,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 방안에서, 유리 커버는 제 1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합되고, 터치 컨트롤 필름은 제 2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합된다. 제 1 접착제는 유리 커버의 에지에 접합되고, 제 1 접착제의 접합력은 제 2 접착제의 접합력보다 더 크다. 따라서, 유리 커버와 중간 프레임 사이의 접합력이 향상되며, 나아가 사용 중인 구조적 구성요소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디스플레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유리 커버 및 중간 프레임의 조립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유리 커버 및 중간 프레임의 조립의 개략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커버 및 중간 프레임의 조립의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유리 커버 및 중간 프레임의 조립의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유리 커버 및 중간 프레임의 조립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디스플레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유리 커버 및 중간 프레임의 조립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유리 커버 및 중간 프레임의 조립의 개략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커버 및 중간 프레임의 조립의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유리 커버 및 중간 프레임의 조립의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유리 커버 및 중간 프레임의 조립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추가로 상세히 기술한다. 당연히, 기술된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단지 일부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초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얻어진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의 접합 신뢰성이 불충분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적 구성요소가 제공된다. 구조적 구성요소는 이동 단말기 내에 있으며, 이동 단말기는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인, 예컨대 휴대 전화, 태블릿 또는 노트북과 같은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는 중간 프레임(2) 및 디스플레이(1)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구조적 구성요소는 디스플레이(1)와 중간 프레임(2)의 접합 방식을 개선하여, 디스플레이(1)가 중간 프레임(2)에 연결될 때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구조적 구성요소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의 디스플레이(1)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디스플레이(1)는 적층되어 있는 유리 커버(11)와 터치 컨트롤 필름(12)을 포함하고, 터치 컨트롤 필름(12)은 중간 프레임(2) 쪽을 향한 유리 커버(11)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는 종래 기술의 디스플레이(1)에 속하는 가요성 회로 기판(13) 및 박막 트랜지스터(14)와 같은 구조도 포함한다. 여기에는 세부사항을 기술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인 배치 중에, 터치 컨트롤 필름(12)의 측부 에지와 유리 커버(11)의 측부 에지가 완전히 중첩되지는 않는다. 또한, 유리 커버(11)가 위치되어 있는 평면 상에서의 터치 컨트롤 필름(12)의 수직 투영(vertical projection)은 유리 커버(11)가 위치되어 있는 평면 상에서의 유리 커버(11)의 수직 투영 내에 있다.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2는 터치 컨트롤 필름(12)의 측부 에지와 유리 커버(11)의 측부 에지가 완전히 중첩되지는 않는 적층 방식을 도시한다. 이 적층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중간 프레임(2) 쪽을 향한 유리 커버(11)의 표면은 터치 컨트롤 필름(12)으로부터 외측으로는 노출되어 있다. 유리 커버(11)의 노출된 영역이 제 1 접합 영역(111)이고, 제 1 접합 영역(111)은 중간 프레임(2)에 연결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중간 프레임(2) 쪽을 향한 터치 컨트롤 필름(12)의 표면이 제 2 접합 영역(121)이며, 제 2 접합 영역(121)도 또한 중간 프레임(2)에 연결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접합 영역(111)과 제 2 접합 영역(121)이 배치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제 1 접합 영역(111)이 터치 컨트롤 필름(12) 둘레에 배치되어 있어서, 제 1 접합 영역(111)이 중간 프레임(2)에 접합될 때 유리 커버(11)의 모든 에지 영역이 중간 프레임(2)에 접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리 커버(11)와 중간 프레임(2) 사이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특정 배치 방안에서, 제 1 접합 영역(111)의 부분들의 폭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터치 컨트롤 필름(12)의 상이한 측부들에 있는 제 1 접합 영역(111)의 폭이 동일하여, 유리 커버(11)의 에지의 접합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당연히, 제품 요건으로 인해, 제 1 접합 영역(111)의 부분들의 폭은 선택적으로 상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 1 접합 영역(111)이 중간 프레임(2)에 접합될 때 유리 커버(11)가 중간 프레임(2)에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1)와 중간 프레임(2) 사이의 접합에 대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인 접합 중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합 영역(111)은 제 1 접착제(3)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프레임(2)에 접착식으로 연결되고, 제 2 접합 영역(121)은 제 2 접착제(4)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프레임(2)에 접착식으로 연결된다. 제 1 접착제(3)의 접합력이 제 2 접착제(4)의 접합력보다 더 크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로부터는, 유리 커버(11)가 제 1 접착제(3)를 사용하여 접합되며 터치 컨트롤 필름(12)이 제 2 접착제(4)를 사용하여 접합될 때, 유리 커버(11)의 에지가 제 1 접착제(3)를 사용하여 접합되며 제 1 접착제(3)의 접합력이 제 2 접착제(4)의 접합력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리 커버(11)와 중간 프레임(2) 사이의 접합력이 향상된다. 디스플레이(1)와 중간 프레임(2)을 접합하기 위해 단지 접착 테이프만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방안과 비교하면,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디스플레이(1)가 중간 프레임(2)에 접합될 때, 디스플레이(1)의 에지의 접합 강도가 향상되어, 사용 중인 구조적 구성요소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가 중간 프레임(2)에 접합될 때, 제 1 접착제(3)가 중간 프레임(2) 상에 분배된다. 환언하면, 종래 기술의 접착제 분배 방식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접착제가 제 1 접착제(3)로서 사용된다. 제 2 접착제(4)는 발포 접착제이다. 통상적인 접착제가 제 1 접착제(3)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그 접착제는 유리 커버(11)가 중간 프레임(2)에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비교적 강한 접합력을 가져야만 한다. 발포 접착제는 양호한 접합 효과를 가지면서, 대면적 접합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1)가 제거될 때, 발포 접착제는 터치 컨트롤 필름(12) 상의 터치 컨트롤 와이어를 손상시키지 않아서, 디스플레이(1)의 분리시의 디스플레이(1)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접착제가 제 1 접착제(3)로서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 분배 중에 축적된 접착제의 높이가 유리 커버(11)와 중간 프레임(2)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도록, 유리 커버(11)와 중간 프레임(2) 사이의 간격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리 커버(11)가 배치될 때, 제 1 접합 영역(111)과 제 1 접착제(3)를 위한 충분한 접합 영역이 있을 수 있다.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중간 프레임(2) 상에 돌기 구조체(21)가 배치된다. 돌기 구조체(21)는 제 1 접합 영역(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접합 중에, 돌기 구조체(21)는 제 1 접착제(3)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접합 영역(111)에 접착식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돌기 구조체(21)와 중간 프레임(2)이 일체형 구조인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중간 프레임(2)이 제조될 때, 돌기 구조체(21)는 사출 성형을 통해 직접 얻어지므로, 중간 프레임(2)을 유리 커버(11)에 연결할 때에는, 오직 돌기 구조체(21)와 유리 커버(11) 사이의 접합 강도만 확보하면 된다. 그러나, 중간 프레임(2)과 돌기 구조체(21)가 별개의 구조인 경우, 유리 커버(11)와 돌기 구조체(21) 간의 연결 강도 및 돌기 구조체(21)와 중간 프레임(2) 간의 연결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체형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커버(11)와 중간 프레임(2) 사이의 접합 안정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착제(3)가 접착제 분배 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 유리 커버(11)가 돌기 구조체(21)에 접합될 때에 제 1 접착제(3)가 구조적 구성요소로 흘러넘치는 것을 막기 위해,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중간 프레임(2) 상에 접착제 오버플로우 홈(22)이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오버플로우 홈(22)은 돌기 구조체(21) 상에 배치된다. 접착제 오버플로우 홈(22)은 돌기 구조체(21) 상에서 제 1 접착제(3)가 배치된 영역의 외측(중간 프레임의 측벽에 가까운 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 1 접착제(3)가 흐를 때, 제 1 접착제(3)는 접착제 오버플로우 홈(22) 내로 직접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제 1 접착제(3)가 구조적 구성요소로 흘러넘치는 경우가 감소하며, 접합 합격률이 증가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조적 구성요소에서, 디스플레이(1)의 접합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제 2 접착제(4)의 두께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접착제(3)의 두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접착제(3)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커버(11)가 돌기 구조체(21)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유리 커버(11)와 돌기 구조체(21) 사이의 간격을 제어한다. 개선된 방안에서, 디스플레이(1)의 접합 안정성을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증간 프레임(2) 상에 지지 돌기(23)가 배치된다. 지지 돌기(23)는 중간 프레임(2) 상에 배치되고, 지지 돌기(23)는 디스플레이(1)가 설치될 때 디스플레이(1)의 배면을 밀어붙여서 디스플레이(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돌기(23)는 돌기 구조체(21) 상에 배치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지지 돌기(23)를 배치하는 경우, 지지 돌기(23)와 중간 프레임(2)이 일체형 구조일 수 있고, 또는 지지 돌기(23)와 중간 프레임(2)이 별개의 구조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 방안에서, 지지 돌기(23)와 중간 프레임(2)은 일체형 구조로서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지지 돌기(23), 돌기 구조체(21) 및 중간 프레임(2)은 일체 사출 성형(integrated injection molding)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를 지지하는 경우, 지지 돌기(23)는 유리 커버(11)의 제 1 접합 영역(111)을 밀어붙인다. 이러한 경우, 지지 돌기(23)는 제 1 접착제(3)와 제 2 접착제(4) 사이에 있다. 접착제 분배 중에, 제 1 접착제(3)는 제 1 접착제(3)의 흐름이 제한되고 제 1 접착제(3)가 쉽게 축적되도록 지지 돌기(23) 및 돌기 구조체(21)에 의해 형성되는 협각 영역(included angle area) 내에 축적된다. 따라서, 비교적 적은 양의 제 1 접착제(3)를 사용하여 유리 커버(11)를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구조적 구성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돌기 구조체(21) 및 지지 돌기(23)를 포함하는 중간 프레임(2)이 일 예로서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구조적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절차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2 접착제(4)가 중간 프레임(2)에 접합되며, 제 2 접착제(4)가 접합되는 위치는 디스플레이(1)가 중간 프레임(2)에 배치될 때의 제 2 접합 영역(121)의 위치에 대응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착제(3)가 접착제 분배 방식으로 중간 프레임(2)의 돌기 구조체(21) 상에 배치되고, 제 1 접착제(3)는 제 1 접합 영역(111)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가 중간 프레임(2)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제 1 접합 영역(111)은 제 1 접착제(3)에 접착식으로 연결되고, 제 2 접합 영역(121)은 제 2 접착제(4)에 접착식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1)가 설치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의 터치 컨트롤 필름(12)은 제 2 접착제(4)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프레임(2)에 연결되며, 유리 커버(11)의 에지는 제 1 접착제(3)를 사용함으로써 중간 프레임(2)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와 중간 프레임(2)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이 확보되며, 디스플레이(1)의 설치 후의 디스플레이(1)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구조적 구성요소에는 디스플레이(1)의 상이한 영역들을 개별적으로 접합하기 위해 상이한 접합 강도를 갖는 두 가지 유형의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와 중간 프레임(2) 간의 연결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1)를 분리할 때의 디스플레이(1)의 안전성도 확보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구조적 구성요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1)의 상이한 영역들을 개별적으로 접합하기 위해 상이한 접합 강도를 갖는 두 가지 유형의 접착제가 사용되는 임의의 방안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 및 도 9는 특정 변형 구조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제 1 접착제(3) 및 제 2 접착제(4) 모두가 제 1 접합 영역(111)에 접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터치 컨트롤 필름(12)은 중간 프레임(2)에 접합되지 않는다. 이 구조에서는, 디스플레이(1)를 설치할 때, 디스플레이(1)와 중간 프레임(2) 간의 연결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를 분리할 때의 터치 컨트롤 필름(12)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구조적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는 휴대 전화, 태블릿 또는 노트북과 같은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이다. 상술한 구조적 구성요소가 이동 단말기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 구조적 구성요소에서는, 제 1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커버가 접합되며 제 2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터치 컨트롤 필름이 접합된다. 제 1 접착제는 유리 커버의 에지에 접합되고, 제 1 접착제의 접합력은 제 2 접착제의 접합력보다 더 크다. 따라서, 유리 커버와 중간 프레임 간의 접합력이 향상되고, 사용 중인 이동 단말기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술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고안되는 임의의 변형예 또는 대체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종속될 것이다.
Claims (11)
-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component)에 있어서,
중간 프레임, 유리 커버 및 터치 컨트롤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커버 및 상기 터치 컨트롤 필름은 적층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터치 컨트롤 필름은 상기 중간 프레임 쪽을 향한 상기 유리 커버의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컨트롤 필름의 측부 에지(side edge)와 상기 유리 커버의 측부 에지는 완전히 중첩되지는 않고, 상기 중간 프레임 쪽을 향한 상기 유리 커버의 상기 표면은 상기 터치 컨트롤 필름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유리 커버의 노출된 영역은 제 1 접합 영역이며, 상기 중간 프레임 쪽을 향한 상기 터치 컨트롤 필름의 표면은 제 2 접합 영역이고,
상기 제 1 접합 영역은 제 1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중간 프레임에 접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접합 영역은 제 2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중간 프레임에 접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접착제의 접합력은 상기 제 2 접착제의 접합력보다 더 큰
구조적 구성요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합 영역은 상기 터치 컨트롤 필름 둘레에 배치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는 상기 중간 프레임 상에 분배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 상에 돌기 구조체가 배치되고, 상기 돌기 구조체는 상기 제 1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 1 접합 영역에 접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구조체 상에 접착제 오버플로우 홈(adhesive overflow groove)이 배치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구조체 및 상기 중간 프레임은 일체로 통합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제는 발포 접착제(foam adhesive)인
구조적 구성요소.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리 커버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구조적 구성요소.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돌기 구조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접착제와 상기 제 2 접착제 사이에 있는
구조적 구성요소.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 및 상기 중간 프레임은 일체로 통합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7/114000 WO2019104660A1 (zh) | 2017-11-30 | 2017-11-30 | 一种结构组件及移动终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1760A KR20200071760A (ko) | 2020-06-19 |
KR102425659B1 true KR102425659B1 (ko) | 2022-07-27 |
Family
ID=6666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4304A KR102425659B1 (ko) | 2017-11-30 | 2017-11-30 | 구조적 구성요소 및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1463569B2 (ko) |
EP (1) | EP3693830B1 (ko) |
JP (1) | JP7143412B2 (ko) |
KR (1) | KR102425659B1 (ko) |
CN (1) | CN110832430B (ko) |
AU (1) | AU2017441729B2 (ko) |
PH (1) | PH12020550541A1 (ko) |
WO (1) | WO20191046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552107B2 (ja) | 2020-07-08 | 2024-09-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
CN113891586A (zh) * | 2021-05-17 | 2022-01-04 | 荣耀终端有限公司 | 一种oled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显示终端 |
JP7450835B2 (ja) * | 2022-01-21 | 2024-03-15 | 三菱電機株式会社 | 表示装置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40800A (ja) | 2001-10-29 | 2003-05-16 | Nec Yonezawa Ltd | 携帯用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
KR101345888B1 (ko) * | 2010-04-27 | 2013-12-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30000211A (ko) * | 2011-06-22 | 2013-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기판 가공 방법 |
KR101893922B1 (ko) * | 2011-09-02 | 2018-08-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표시 장치 |
KR101507503B1 (ko) * | 2012-05-29 | 2015-03-3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513901B1 (ko) * | 2013-04-19 | 2015-04-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TWI522857B (zh) | 2013-10-11 | 2016-02-21 |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 觸控顯示面板、觸控顯示裝置及顯示裝置 |
JP2017513969A (ja) | 2014-03-13 | 2017-06-01 | アベリー・デニソン・コーポレイションAvery Dennison Corporation | 衝撃吸収膨脹接着剤及びそれからなる物品 |
JP2015230401A (ja) | 2014-06-05 | 2015-12-21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CN104156073B (zh) * | 2014-08-29 | 2017-12-22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 |
CN106155195A (zh) * | 2015-04-21 | 2016-11-23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移动设备的屏幕模组和移动设备 |
CN106155194A (zh) | 2015-04-21 | 2016-11-23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移动设备 |
CN105044991B (zh) * | 2015-08-18 | 2018-05-29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液晶显示面板 |
CN204925436U (zh) * | 2015-08-19 | 2015-12-30 |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 偏光片及具有该偏光片的触控显示装置 |
CN105045347B (zh) | 2015-08-31 | 2018-09-04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终端前盖组件及移动终端 |
JP2017062376A (ja) * | 2015-09-25 | 2017-03-30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粘着テープおよび電子装置 |
JP6706053B2 (ja) * | 2015-12-04 | 2020-06-03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CN205353978U (zh) | 2015-12-09 | 2016-06-29 | 深圳市骏达光电股份有限公司 | 一种触控显示屏及便携式电子产品 |
CN105549251A (zh) * | 2016-03-15 | 2016-05-04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触控式液晶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
EP3293617B1 (en) * | 2016-06-16 | 2020-01-29 |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 Touch sensor, touch detection apparatus and detection method, and touch control device |
EP3293606B1 (en) * | 2016-09-09 | 2020-12-30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CN206061370U (zh) * | 2016-10-10 | 2017-03-29 |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面板固定结构组件及电子终端 |
CN206224339U (zh) * | 2016-12-01 | 2017-06-06 | 北京橙鑫数据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终端设备的无边框壳体结构 |
US20180292701A1 (en) * | 2017-04-05 | 2018-10-11 | HKC Corporation Limited | Liquid crystal display |
TWI689239B (zh) * | 2017-09-01 | 2020-03-21 |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 |
-
2017
- 2017-11-30 KR KR1020207014304A patent/KR1024256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1-30 AU AU2017441729A patent/AU2017441729B2/en active Active
- 2017-11-30 EP EP17933537.7A patent/EP3693830B1/en active Active
- 2017-11-30 WO PCT/CN2017/114000 patent/WO2019104660A1/zh unknown
- 2017-11-30 CN CN201780091981.7A patent/CN110832430B/zh active Active
- 2017-11-30 US US16/768,494 patent/US11463569B2/en active Active
- 2017-11-30 JP JP2020529612A patent/JP7143412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4-30 PH PH12020550541A patent/PH12020550541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04660A1 (zh) | 2019-06-06 |
JP2021504846A (ja) | 2021-02-15 |
EP3693830A1 (en) | 2020-08-12 |
EP3693830A4 (en) | 2020-10-21 |
KR20200071760A (ko) | 2020-06-19 |
EP3693830B1 (en) | 2022-12-28 |
AU2017441729B2 (en) | 2021-05-27 |
US11463569B2 (en) | 2022-10-04 |
JP7143412B2 (ja) | 2022-09-28 |
CN110832430B (zh) | 2022-12-30 |
PH12020550541A1 (en) | 2021-03-22 |
AU2017441729A1 (en) | 2020-05-21 |
US20200374379A1 (en) | 2020-11-26 |
CN110832430A (zh) | 2020-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42564B2 (en) | Touch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terminal equipment | |
KR102425659B1 (ko) | 구조적 구성요소 및 이동 단말기 | |
US10416509B2 (en) |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 |
EP3291515A1 (en) | Fingerprint modul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 |
CN105572943A (zh) | 显示装置 | |
WO2018126569A1 (zh) | 一种移动终端的框架结构以及包括该框架结构的移动终端 | |
US9983426B2 (en)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display module | |
US11307442B2 (en)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 |
US20170151756A1 (en) | Adhesive Bonded Structure of Support Component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 |
US11882751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10684409B2 (en) |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CN113471258B (zh) | 显示装置 | |
CN110782780B (zh) | 胶带结构及使用其的显示面板和显示装置 | |
KR101955137B1 (ko) | 디스플레이 | |
CN112102726A (zh) | 显示模组和显示装置 | |
JP4470529B2 (ja) | 表示装置 | |
US20130273360A1 (en) | Dual substrate device and dual substrate bonding method | |
CN108848208B (zh) | 移动终端 | |
KR10172173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CN205726029U (zh) | 一种摄像头与pcb板的连接结构及终端 | |
WO2017117992A1 (zh) | 胶框及其制造方法、背光模组、显示装置及其组装方法 | |
CN211123542U (zh) | 显示组件及电子设备 | |
CN114299825A (zh) | 显示模组及电子设备 | |
WO2023019534A1 (zh) | 一种触控设备的组合结构及可穿戴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