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886B1 -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886B1
KR102424886B1 KR1020210020117A KR20210020117A KR102424886B1 KR 102424886 B1 KR102424886 B1 KR 102424886B1 KR 1020210020117 A KR1020210020117 A KR 1020210020117A KR 20210020117 A KR20210020117 A KR 20210020117A KR 102424886 B1 KR102424886 B1 KR 10242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d
vertical
opening
pi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광명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광명특장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광명특장
Priority to KR1020210020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12Conjoint motion of lids, flaps, and shutters on vehicle and on receptacle; Operation of closures on vehicle conjointly with tipping of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63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discharging means
    • B65F2003/0279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discharging means the discharging means mount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힌지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도어를 갖는 암롤박스의 제2도어의 외측면 상부에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부 걸이봉과, 제1도어에 일단이 접합되어 제2도어의 외측면 일부 영역을 커버하는 위치를 향해 연장되며 제1도어에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연장 브라켓과, 연장브라켓의 타단에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링과, 지지링의 관통홀을 통해 수직상으로 연장되며 지지링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회동봉과, 수직회동봉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직회동봉의 회동에 의해 상부 걸이봉에 걸려 제1도어가 제2도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잠금모드와, 상부 걸이봉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제1도어가 제2도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상부 호형 회동걸쇠와, 수직회동봉에 돌출되게 연장된 작동편과, 작동편에 힌지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과, 수직부분으로부터 수직 회동봉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분을 갖는 작동링크와, 일단에 수평부분이 내부에 구속상태로 수용되어 회전을 허용하게 수용되며 제1도어의 외측면에서 수평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조작봉과, 메인 조작봉을 제1도어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1고정부를 구비하는 메인 개폐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arm roll box}
본 발명은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힌지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도어의 개폐에 대한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롤박스는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적재함의 일종으로서, 차량에 탈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암롤박스는 국내 특허 등록 제10-1867922호 등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암롤박스의 후단에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적재물을 배출하는 양문형 도어 구조의 경우 종래에는 도어를 후방 중간에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 후방 개폐구조의 경우 도어 개폐조작 과정에서 수용된 적재물의 배출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도어가 개방되고, 이 과정에서 후방에서 도어를 개폐조작하던 작업자에게 적재물이 쏟아져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의 개폐작업시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는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으며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후단에 각각 힌지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도어를 갖는 암롤박스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의 외측면 상부에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부 걸이봉과; 상기 제1도어에 일단이 접합되어 상기 제2도어의 외측면 일부 영역을 커버하는 위치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도어에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연장 브라켓과, 상기 연장브라켓의 타단에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관통홀을 통해 수직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링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회동봉과, 상기 수직회동봉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회동봉의 회동에 의해 상기 상부 걸이봉에 걸려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2도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잠금모드와, 상기 상부 걸이봉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2도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상부 호형 회동걸쇠와, 상기 수직회동봉에 돌출되게 연장된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에 힌지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과, 상기 수직부분으로부터 상기 수직 회동봉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분을 갖는 작동링크와, 일단에 상기 수평부분이 내부에 구속상태로 수용되어 회전을 허용하게 수용되며 상기 제1도어의 외측면에서 수평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조작봉과, 상기 메인 조작봉을 상기 제1도어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1고정부를 구비하는 메인 개폐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메인 조작봉에 수직상으로 연장된 메인 레버와; 상기 메인 레버가 진입될 수 있게 삽입구를 갖되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메인 레버가 진입되면 억지 벌림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1 및 제2끼움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도어에 장착된 끼움안내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도어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체결홀이 상호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체결편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의 하단이 접촉되는 상기 본체의 후방 하단턱부분에 수평상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체결편의 체결홀에 삽입 및 분리되는 보조 조작봉과; 상기 보조 조작봉을 상기 본체의 하단턱부분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2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어의 외측면에 각각 삽입홀이 경사지게 배치 되게 장착된 메인 걸이구와; 상기 메인 걸이구의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되 'ㄱ'자 형태로 절곡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일단과 상기 제1 및 제2도어와의 사이에 결합된 연결줄과; 상기 제1 및 제2도어가 상기 본체로부터 개방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도어가 폐쇄되는 위치로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고정봉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된 사이드 걸이구;를 더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후방 하단턱에 상기 상부 걸이봉과 수직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부 걸이봉과; 상기 수직회동봉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회동봉의 회동에 의해 상기 하부 걸이봉에 입출되어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지원하도록 상기 상부 호형 회동걸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호형 회동걸쇠와; 상기 수직 회동봉에 접합되어 상기 제2도어의 가장자리에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 테두리부분의 내측면에 상기 수직 회동봉의 회동에 의해 밀착되는 위치로 진입 또는 진입 해제되면서 상기 제2도어의 폐쇄상태에서의 폐쇄저지력을 보강하는 폐쇄보조 지지편;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시 적재물이 배출되는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서 작업자가 개폐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록박스의 제1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암롤박스의 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압록박스의 제1 및 제2도어를 개방하도록 잠금이 해재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록박스의 제1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암롤박스의 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100)는 암롤박스 본체(10)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도어(110)(1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암롤박스의 본체(10)는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12)을 갖으며 후방이 제1 및 제2도어(110)(120)에 의해 개방되게 형성된 개구부(14)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도어(110)(120)는 본체(10)의 개구부(14)를 개폐할 수 있게 본체(10)의 후단에 각각 힌지(30)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도어(110)는 본체(10) 후단 일측인 좌측에서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장착된 힌지(30)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2도어(120)도 본체(10) 후단 타측인 우측에서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장착된 힌지(30)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도어(110)(120)는 본체(10)와 마찬가지로 형성하고자 하는 크기에 대응되게 판형 금속 판재로 된 베이스부분(112)(122)에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태로 돌출되게 결합된 수직 테두리부분(114)(12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어 개폐장치(100)는 상부 걸이봉(131), 하부 걸이봉(132), 메인 개폐부(140), 서브 개폐부(160)를 구비한다.
상부 걸이봉(131)은 제2도어(120)의 외측면에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걸이봉(131)은 후술되는 상부 호형 회동걸쇠(141)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도록 수직 테두리부분(124)으로부터 베이스부분(122)을 향하여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인입홈(125) 내에 베이스부분(122)에 대해 이격되게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하부 걸이봉(132)은 제1 및 제2 도어(110)(120)의 하단이 일부 중첩상태로 접촉되는 본체(10)의 후방 하단턱부분(15)에 상부 걸이봉(131)과 수직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 걸이봉(132)은 제1 및 제2 도어(110)(120)가 간섭되지 않는 하단턱부분(15)에 돌출되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장착가이드편(134)에 수직상으로 지지되어 하단턱부분(15)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메인 개폐부(140)는 상부 걸이봉(131) 및 하부걸이봉(132)에 대한 제1도어(11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본체(10)의 후방으로부터 벗어난 측면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인 개폐부(140)는 연장 브라켓(145)과, 지지링(147)과, 수직회동봉(148)과, 상부 호형 회동걸쇠(141)와, 하부 호형 회동걸쇠(142)와, 작동편(151)과, 작동링크(152)와, 메인 조작봉(153)과, 제1고정부(155)를 구비한다.
연장 브라켓(145)은 제1도어(110)의 제2도어(120)와 인접되는 수직 테두리부분(114)에 일단이 접합되어 제2도어(120)의 일부 영역을 커버하는 위치를 향하여 연장되어 타단에 후술되는 지지링(147)이 접합된 부분이다. 연장 브라켓(145)은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2개가 제1도어(110)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링(147)은 연장브라켓(145)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며 수직 회동봉(148)이 회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수직상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 회동봉(148)은 수직상으로 이격된 두 개의 지지링(147)의 관통홀을 통해 수직상으로 연장되며 지지링(147)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호형 회동걸쇠(141)와 하부 호형 회동걸쇠(142)는 수직회동봉(148)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회동봉(148)의 회동에 의해 상부 걸이봉(131) 및 하부걸이봉(132)에 걸려 제1도어(110)가 제2도어(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잠금모드와, 상부 걸이봉(131) 및 하부걸이봉(132)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제1도어(110)가 제2도어(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C"자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작동편(151)은 수직회동봉(148)의 회동 조작을 지원하도록 수직회동봉(148)의 중간높이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후술되는 작동링크(152)가 힌지결합될 수 있게 중앙에 수직상으로 관통된 힌지홀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링크(152)는 작동편(151)의 힌지홀에 구속되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152a)과, 수직부분(152a)으로부터 수직 회동봉(148)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분(152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인 조작봉(153)은 일단에 수평부분(152b)이 내부에 구속상태로 수용되어 회전을 허용하게 수용되며 제1도어(110)의 외측면에서 수평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54는 제1도어(110)의 외측면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어 메인 조작봉(153)이 수용되어 진퇴를 안내하는 진퇴가이드홀이 형성된 진퇴 안내가이드편이다. 메인 조작봉(153)은 본체(10)의 후방을 벗어난 측면에서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게 제1도어(110)의 본체(10) 측면과 인접하는 가장자리까지 종단이 연장되게 형성한다.
제1고정부(155)는 메인 조작봉(153)을 제1도어(12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고정부(155)는 메인 조작봉(153)의 종단 부근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원형봉 형상의 메인 레버(156)와, 메인 레버(156)가 진입될 수 있게 삽입구를 갖되 삽입구를 통해 메인 레버(156)가 진입되면 벌림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1 및 제2끼움편(157a)(157b)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도어(110)에 장착된 끼움안내구(157)로 형성되어 있다.
폐쇄보조지지편(158)은 수직 회동봉(148)에 접합되어 제2도어(120)의 가장자리에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 테두리부분(124)의 베이스부분(122)과 단차지게 절곡된 내측면에 수직 회동봉(148)의 회동에 의해 밀착되는 위치로 진입 또는 진입 해제되면서 제2도어(120)의 폐쇄상태에서의 폐쇄저지력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폐쇄보조 지지편(158)은 상부 호형 회동걸쇠(141)가 상부 걸이봉(131)의 내외측을 모두 감싸게 배치된 잠금상태에서 수직 테두리부분(124)의 내측면과 나란하게 베이스부분(122)을 향하도록 판형으로 연장된 측면 저지보강판부분(158a)이 수직회동봉(148)의 대응되는 위치에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폐쇄보조 지지편(158)은 지지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베이스부분(122)에 대해서도 대향되게 배치되며 측면 저지보강판부분(158a)의 양단에서 수평상으로 각각 연장된 베이스 저지보강판부분(158b)을 갖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2도어(120)에 대한 제1도어(110)의 잠금해제시 끼움안내구(157)에 삽입된 메인 레버(156)를 끼움안내부(157)로부터 분리되게 회동시킨 다음 메인 조작봉(153)을 제2도어(120)로부터 멀어지는 본체(10)의 측면으로 이동시키면 수직 회동봉(148)이 지지링(147) 내에서 회동되고, 이 과정에서 상부 호형 회동걸쇠(141)와 하부 호형 회동걸쇠(142)가 상부 걸이봉(131) 및 하부걸이봉(132)에 대해 후방 회동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게 회동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서브 개폐부(160)는 메인 개폐부(140)와 독립되게 제1 및 제2도어(110)(120)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서브 개폐부(160)는 제1 및 제2 체결편(161)(162)과, 보조 조작봉(163)과, 제2고정부(165)를 구비한다.
제1체결편(161)은 제1도어(110)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보조 조작봉(163)이 입출될 수 있는 체결홀(16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체결편(162)은 제1도어(120)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보조 조작봉(163)이 입출될 수 있는 체결홀(162a)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조작봉(163)은 제1 및 제2 도어(110(120)의 하단이 접촉되는 본체(10)의 후방 하단턱부분(15)에 수평상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및 제2체결편(161)(162)의 체결홀(161a)(162a)에 삽입 및 분리되게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 164는 하단턱부분(15)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어 보조 조작봉(163)이 수용되어 진퇴를 안내하는 진퇴가이드홀이 형성된 진퇴 안내가이드편이다.
제2고정부(165)는 제1고정부(155)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조 조작봉(163)을 본체(10)의 하단턱부분(15)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제2고정부(165)는 보조 조작봉(163)의 본체(10)의 측면에 인접한 종단 부근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된 원형봉 형상의 보조 레버(166)와, 보조 레버(167)가 진입될 수 있게 삽입구를 갖되 삽입구를 통해 보조 레버(166)가 진입되면 벌림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1 및 제2끼움편(167a)(167b)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단턱부분(15)에 장착된 끼움안내구(167)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서브 개폐부(160)는 제2도어(120)에 대한 제1도어(110)의 잠금해제시 보조 레버(156)를 끼움안내부(157)로부터 분리되게 회동시킨 다음 보조 조작봉(163)을 제2도어(120)로부터 멀어지는 본체(10)의 측면으로 이동시키면 제1 및 제2 체결편(161)(162)에 삽입된 보조 조작봉(163)이 분리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도어(110)(120)가 개방된 상태의 유지를 지속시키기 위한 요소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 걸이구(181)는 제1 및 제2 도어(110(120)의 외측면에 각각 삽입홀이 경사지게 배치 되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봉(183)은 메인 걸이구(181)의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되 'ㄱ'자 형태로 절곡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연결줄(185)은 고정봉(183)의 일단과 제1 및 제2도어(110(120)와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고, 도시된 예에서는 쇠사슬이 적용되어 있다.
사이드 걸이구(187)은 제1 및 제2도어(110(120)가 본체(10)로부터 개방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도어(110)(120)가 폐쇄되는 위치로 회전을 차단하도록 고정봉(183)을 메인 걸이구(181)로부터 분리하여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되어 본체(10)의 측면(11)에 장착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시 적재물이 배출되는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서 작업자가 2차에 걸쳐 안정적으로 개폐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0: 본체 15: 하단턱부분
131: 상부 걸이봉 132: 하부 걸이봉
140: 메인 개폐부 160: 서브 개폐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으며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후단에 각각 힌지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도어를 갖는 암롤박스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의 외측면 상부에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부 걸이봉과;
    상기 제1도어에 일단이 접합되어 상기 제2도어의 외측면 일부 영역을 커버하는 위치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도어에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연장 브라켓과, 상기 연장브라켓의 타단에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관통홀을 통해 수직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링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회동봉과, 상기 수직회동봉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회동봉의 회동에 의해 상기 상부 걸이봉에 걸려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2도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잠금모드와, 상기 상부 걸이봉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2도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상부 호형 회동걸쇠와, 상기 수직회동봉에 돌출되게 연장된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에 힌지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과, 상기 수직부분으로부터 상기 수직 회동봉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분을 갖는 작동링크와, 일단에 상기 수평부분이 내부에 구속상태로 수용되어 회전을 허용하게 수용되며 상기 제1도어의 외측면에서 수평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조작봉과, 상기 메인 조작봉을 상기 제1도어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1고정부를 구비하는 메인 개폐부와;
    상기 제1 및 제2도어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체결홀이 상호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체결편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의 하단이 접촉되는 상기 본체의 후방 하단턱부분에 수평상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체결편의 체결홀에 삽입 및 분리되는 보조 조작봉과;
    상기 보조 조작봉을 상기 본체의 하단턱부분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2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의 외측면에 각각 삽입홀이 경사지게 배치 되게 장착된 메인 걸이구와;
    상기 메인 걸이구의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되 'ㄱ'자 형태로 절곡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일단과 상기 제1 및 제2도어와의 사이에 결합된 연결줄과;
    상기 제1 및 제2도어가 상기 본체로부터 개방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도어가 폐쇄되는 위치로 회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고정봉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된 사이드 걸이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 하단턱에 상기 상부 걸이봉과 수직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부 걸이봉과;
    상기 수직회동봉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회동봉의 회동에 의해 상기 하부 걸이봉에 입출되어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지원하도록 상기 상부 호형 회동걸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호형 회동걸쇠와;
    상기 수직 회동봉에 접합되어 상기 제2도어의 가장자리에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 테두리부분의 내측면에 상기 수직 회동봉의 회동에 의해 밀착되는 위치로 진입 또는 진입 해제되면서 상기 제2도어의 폐쇄상태에서의 폐쇄저지력을 보강하는 폐쇄보조 지지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KR1020210020117A 2021-02-15 2021-02-15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KR10242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117A KR102424886B1 (ko) 2021-02-15 2021-02-15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117A KR102424886B1 (ko) 2021-02-15 2021-02-15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886B1 true KR102424886B1 (ko) 2022-07-25

Family

ID=8260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117A KR102424886B1 (ko) 2021-02-15 2021-02-15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8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13421A1 (de) * 2000-11-14 2002-06-12 Rewald Containerwechselsysteme GmbH Spann- und Schliesseinrichtung zum Verriegeln von an Containerseitenwänden schwenkbar gelagerten Flügeltüren an aufnehmbaren Containern
KR101082509B1 (ko) * 2011-06-27 2011-11-17 김상현 안전장치를 구비한 암롤 트럭 적재함용 개폐문 잠금 장치
KR101480087B1 (ko) * 2014-06-11 2015-01-12 (주)동양특장 개선된 압축용 도어를 구비한 암롤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13421A1 (de) * 2000-11-14 2002-06-12 Rewald Containerwechselsysteme GmbH Spann- und Schliesseinrichtung zum Verriegeln von an Containerseitenwänden schwenkbar gelagerten Flügeltüren an aufnehmbaren Containern
KR101082509B1 (ko) * 2011-06-27 2011-11-17 김상현 안전장치를 구비한 암롤 트럭 적재함용 개폐문 잠금 장치
KR101480087B1 (ko) * 2014-06-11 2015-01-12 (주)동양특장 개선된 압축용 도어를 구비한 암롤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838B2 (en) Locking mechanism
KR100884440B1 (ko) 보안용 도어 및 프레임 구조물
US6907830B2 (en) Multipoint lock assembly
KR101116439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천장 장치
EP2324180B1 (en) Security box
KR102355651B1 (ko) 피봇팅 도어
EP3095627A1 (en) Vehicle door structure
JP4777136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102424886B1 (ko) 양문형 암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KR20190043256A (ko) 차량용 루프박스의 잠금장치
US6616199B1 (en) Two stage latch for heavy duty engine cover
IT9048099A1 (it) Dispositivo di bloccaggio per elementi di chiusura per veicoli.
KR20130004169U (ko)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US6017068A (en) Gate latch
EP3647166A1 (en) Trailer with double hinge tailgate
JPH11100864A (ja) 旋回作業機のドア構造
KR101786705B1 (ko) 차량의 대향 개폐형 도어구조
JP6639305B2 (ja) 車両用開閉治具
JPH0644730Y2 (ja) 側部全開式貨物自動車におけるl型屋根のロック装置
US3995398A (en) Operating mechanism for double sliding doors
KR100933360B1 (ko) 현금수송용 금고가 장착된 차량
JP2021161821A (ja) ヘッドガード装置
GB2105776A (en) A door latching arrangement of a vehicle
JP3750493B2 (ja) 箱型荷室の開閉構造
JPH03162393A (ja) エレベータ乗場戸の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