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234B1 -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234B1
KR102424234B1 KR1020220018799A KR20220018799A KR102424234B1 KR 102424234 B1 KR102424234 B1 KR 102424234B1 KR 1020220018799 A KR1020220018799 A KR 1020220018799A KR 20220018799 A KR20220018799 A KR 20220018799A KR 102424234 B1 KR102424234 B1 KR 10242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pace
microwave oven
accommodated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춘길
서현희
Original Assignee
서춘길
주식회사 에스앤케이바이오텍
서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춘길, 주식회사 에스앤케이바이오텍, 서현희 filed Critical 서춘길
Priority to KR102022008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이 감소한 저당밥을 조리하기 위한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아웃본체와, 아웃본체와 끼움 결합되는 인본체를 포함하되, 아웃본체에만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과, 음식물에 대응되는 쌀물이 혼합 수용되기도 하고, 인본체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수용하고 아웃본체에 음식물에 대응되는 쌀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용 저당밥솥{LOW SUGAR RICE COOKER FOR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이 감소한 저당밥을 조리하기 위한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먹는 음식물 영양소 중 탄수화물은 작은 알갱이로 소화되어 장에서 흡수된다. 그리고 사용하고 남은 영양소 일부는 비상에너지로 간이나 근육에 저장되고, 나머지는 우리 몸에 지방의 형태로 축적된다. 이렇게 저장된 체지방은 우리 몸을 보호하고 에너지가 부족할 경우 영양의 공급원이 되기도 하지만, 산업이 발전하고 서구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스턴트음식 문화가 발전하였고, 당 종류 및 탄수화물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종 성인병 질환 환자는 해마다 약 22%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 중 탄수화물에 대하여는 1일 평균섭취량을 314.5g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대부분 초과하여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식품의 당 지수는 체지방축적, 허리둘레, 혈중지질농도, 혈압 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비만, 대사증후군, 심혈관계질환,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건강문제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인간이 섭취하는 영양소 중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에너지비율이 1일 70% 이상이면 질병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2010년에 55%~70%로 설정했던 탄수화물 에너지 상한비율을 65%로 하향 조정 되었고, 2015년에는 55%~65%로 재설정하기에 이르렀다. 고혈압, 대사증후군, 당뇨병을 가진 사람들은 정상인에 비해 탄수화물을 통한 에너지 섭취비율이 높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사실이기 때문에 본 특허에서는 전자렌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극초단파, 전자파)를 이용하여 취사에 적합한 용기 및 모양을 설계하고, 밥에 포함된 탄수화물의 수치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전자렌지의 원리는 주파수 스펙트럼 중 마이크로파를 이용한다. 동작 원리는 내부 고압 트랜스에서 발생된 고압은 마그네트론을 동작 시켜서 초고주파를 만들고, 초고주파는 관을 통하여 전자렌지 안으로 유입되어 반사와 회절 현상을 거듭하면서 음식물에 투과된다. 추가로 전자렌지의 음식물 회전판에 의해 마이크로파는 여러 방향으로 음식물에 쪼여 주면 음식물 안에 있는 물 분자는 마이크로파의 에너지를 흡수해 격렬하게 회전 운동을 하면서 온도가 올라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음식물의 대부분을 이루는 물 분자는 극성을 띠고 있고, 그에 따라 수소 이온 쪽은 상대적으로 양전하를 산소 이온 쪽은 음전하를 띠고 있고, 이렇게 분자가 극성을 띠면 분자의 한 극이 또 다른 분자의 반대극과 결합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파가 결합된 분자에 쏘여지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결합이므로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이 변함에 따라 극성을 띤 물 분자도 전기장의 방향에 나란하게 배열하려고 회전하다 보면, 다른 분자와의 결합이 끊어지게 되고 순간 분자가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그 결합이 끊어진 분자들이 잠시 후 다시 결합하면서 에너지를 내놓게 되는데, 이 에너지가 내부 에너지가 되어 음식물을 익히게 된다. 이런 과정이 전기장의 진동 방향을 따라 계속 반복되므로 음식물에 골고루 열이 공급되는 것이며, 마이크로파는 유리, 도자기, 플라스틱 등의 용기에 반사가 되지 않고 흡수가 되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지 않고, 내부 음식물만 익히게 되는 원리이다.
전자렌지로 밥을 지을 때, 마이크로파는 용기를 통과되기 때문에 용기에는 열이 발생되지 않고, 쌀과 물만 가열하는데 쌀의 고형분에는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팩틴 분자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은 수소결합에 의하여 전분 입자속에서 미셀 (micell)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전분에 마이크로파를 가열하면 열 에너지에 의하여 전분의 미셀 구조가 물이 침투해 팽창하게 된다. 한층 더 가열을 계속하면, 미셀 구조는 파괴되고 전분 입자들이 콜로이드 용액이 형성되면서 점도가 상승한다. 이런 현상을 호화(糊化)라고 하며, 밥을 짖는 과정에서 물이 부풀어 올라 물이 넘치는 현상을 말한다.
한편, 호화 현상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호화된 전분 분자들이 교질 용액을 냉각시키면서 시간이 흐르면 아밀로오스 분자들이 서서히 가라앉아 재결정화 되면서 전분의 특성을 잃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노화(老化)라고 하며, 보통 밥의 뜸을 들이는 상태나 열이 식어서 굳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로 밥 짖는 과정에서 호화 현상이 이루어지고, 물 (당질과 전분성분)이 열에 의하여 팽창되어 수분과 수증기로 변환되면서 압력에 의하여 압력이 약한 밖으로 뛰쳐 나가려는 과정이 약 3분~5분간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탄수화물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끓어 부풀어 오르는 물이 다시 밥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이것을 분류, 저장할 수 있는 그릇이 필요하다.
호화 현상은 밥을 짖는 과정에서는 약 3분~5분 사이에 이루어지다가 그 이후에는 끓어오르던 기포가 사라지고 노화 과정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호화가 발생하는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물(녹말성분 및 당질)을 얼마나 빠르게 효과적으로 내부 트레이에 담을 수 있느냐가 특허의 관점이고, 밥에서 물이 분리되는 양에 따라서 탄수화물 저감 수치에 영향을 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부 제10-2193331호의 경우, 재료는 도자기로 구성되어 있고, 도자기 특성상 섬세한 부분을 만들지 못하는 단점 때문에 상부 출구가 수직방향으로 중앙부에 한 개가 위치해 있고, 거치대 주변에는 조그만 당물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재료가 토기로 되어 있어서 물이 끓기 시작하여 호화 현상으로 진행되는 동안 열전달이 늦어진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저당밥 취사도구는 분출구가 중앙부에 한 개이고, 분출구의 직경이 너무 넓어서 물을 밖으로 빨아 내려는 압력이 약해서 밥과 물을 신속히 분리시키기에는 결함이 있고, 당물을 신속히 담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탄수화물 저감에 미미한 효과만 있을 뿐이다. 또한, 저당밥 취사도구의 기능면이나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시중에서 판매되는 저당밥솥과 비슷한 성능은 기대하기 어렵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부 제10-2193331호 (발명의 명칭 :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2020. 12. 22.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3925호 (발명의 명칭 :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장치, 2021. 04. 2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이 감소한 저당밥을 조리하기 위한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과, 상기 음식물에 대응되는 쌀물이 혼합 수용되는 아웃본체; 및 상기 아웃본체와 끼움 결합되는 인본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아웃본체는, 상기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의 바닥에 지지되는 아웃바닥; 및 상기 음식물과 상기 쌀물이 수용됨은 물론 상기 인본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아웃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아웃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인본체는, 상기 인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아웃바닥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인바닥; 이너액화물이 수용되는 이너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아웃측벽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인측벽; 및 상기 아웃측벽의 상단에 적층 지지되도록 상기 인측벽의 상단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인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인측벽에는, 상기 인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다수의 본체경사연통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이너액화물은, 상기 전자렌지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투과되어 상기 음식물과 혼합된 쌀물을 증기로 변환시킨 다음, 상기 수용공간에서 변환된 증기가 상기 본체경사연통부를 거쳐 상기 이너공간에 전달될 때,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대응되는 쌀물이 수용되는 아웃본체; 및 상기 아웃본체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인본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아웃본체는, 상기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의 바닥에 지지되는 아웃바닥; 및 상기 쌀물이 수용됨은 물론 상기 인본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아웃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아웃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인본체는, 상기 인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아웃바닥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인바닥;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이너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인측벽; 및 상기 아웃측벽의 상단에 적층 지지되도록 상기 인측벽의 상단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인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인바닥과 상기 인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음식물의 통과를 억제 또는 방지하되, 상기 쌀물과, 상기 수용공간 또는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와,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이너액화물은 통과되는 본체바닥연통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증기는, 상기 전자렌지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투과되어 상기 쌀물을 가열할 때, 상기 쌀물의 변환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이너액화물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변환된 증기가 상기 본체바닥연통부를 거쳐 상기 이너공간에 전달되거나 상기 이너공간에서 상기 쌀물의 변환에 의해 증기가 생성될 때,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상기 이너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인바닥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인본체에 끼움 결합되는 인캡; 및 상기 이너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인바닥 또는 상기 인캡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아웃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웃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캡은, 상기 인바닥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하는 압력조절홀부가 관통 형성되는 캡바닥; 및 상기 인측벽과 접촉 또는 밀착되도록 상기 캡바닥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캡측벽;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캡에는, 상기 압력조절홀부를 통과한 증기가 액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캡액화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캡바닥과 상기 캡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캡공간;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캡바닥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압력조절홀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하강되거나 하향 경사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아웃캡은, 상기 인바닥 또는 상기 인캡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 또는 상기 인캡에 형성된 캡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하는 용기연통부와, 상기 용기연통부를 통과한 증기의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용기액화물이 수용되는 용기공간이 포함되는 당물용기; 상기 아웃본체의 상단부 개폐를 위해 상기 당물용기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마감커버; 상기 아웃본체의 상단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마감커버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밀착커버; 및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밀착커버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웃본체와의 걸림 결합을 통해 상기 아웃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밀착커버를 밀착시키는 걸림날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커버는, 상기 용기공간의 부피에 대응하여 상기 당물용기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패널부; 및 상기 돌출패널부의 하단부와 상기 밀착커버를 연결시키는 커버패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날개는, 상기 밀착커버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브라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본체와의 걸림 결합을 위해 상기 날개브라켓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부; 및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날개브라켓부에 돌출 형성되는 날개조작부; 중 적어도 걸림후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상호 마주보는 상기 아웃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아웃캡 중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아웃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아웃캡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밀착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 따르면,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이 감소한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특히, 전자렌지의 평균온도인 1000W를 기준으로 6분 내지 8분 정도의 짧은 시간 내에 간편하게 저당밥을 만들 수 있고,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이 감소한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아웃본체와 아웃캡과 인본체와 인캡 중 적어도 아웃본체는 재질 한정을 통해 마이크로파가 반사 현상이나 회전 현상없이 투과되어 열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안정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음식물에 포함된 전분입자가 수소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열에 의하여 전분입자가 팽창되어 기포로 발생하는 전분 내 물입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시간이 아주 짧은 시간인 점을 감안할 때, 시중에서 판매되는 저당밥솥과 같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일반 밥솥에 비하여 저당밥을 조리하는 시간을 절약하며, 탄수화물을 약 30% 내지 50%까지 저감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열에 의한 물의 운동 및 성질을 응용하여 물의 압력을 최대화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재료의 열 전도율을 향상시키고, 저당밥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호화 작용으로 음식물에 포함된 당물을 충분히 신속하게 분리하여 탄수화물이 저감된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면서 아웃본체의 크기만 변경시키면 1인용 내지 10인용의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고, 안전성을 고려한 측면에서 아웃본체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되지만 마이크로파에 의한 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쌀물의 변환에 따라 뜨거워진 증기는 아웃본체의 외측으로 분출되도록 설계되었으며, 증기의 배출 과정에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구 설계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전과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고, 저당밥솥의 탈부착과 세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실시예에 따른 아웃본체와 인본체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용공간에 음식물과 쌀물을 모두 투입하더라도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실시예에 따른 아웃본체와 인본체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용공간에 쌀물을 투입하고, 이너공간에 음식물을 분리하여 투입하더라도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은 증기 배출 방식을 통해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의 액화 및 수용공간 또는 이너공간에 수용되는 증기의 배출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본체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수용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수용공간에서 인본체의 삽입량을 제한하며, 수용공간과 이너공간의 연통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캡의 결합 관계를 통해 이너공간에 수용되는 증기가 전자렌지의 조리공간 또는 인캡의 캡공간 또는 아웃캡의 용기공간으로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캡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이너공간을 안정되게 유지시킴은 물론 수용공간의 이너공간의 연통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인본체와 인캡 사이로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본체와 인캡 사이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이너공간에서 인캡의 삽입량을 제한하고, 본체경사연통부가 이너공간에 안정되게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공간의 결합 관계를 통해 캡액화물을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바닥의 구조를 통해 캡액화물을 이너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캡의 결합 관계를 통해 이너공간 또는 캡공간에 수용되는 증기가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으로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캡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으로 배출되는 증기의 액화에 따라 생성되는 용기액화물을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고, 아웃본체와 아웃캡 사이를 밀폐시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물용기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에서 생성되는 용기액화물을 수용을 원활하게 하고, 용기액화물이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으로 전달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커버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용기공간의 부피를 확장시킬 수 있고, 용기액화물의 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착커버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아웃본체의 상단부에서 밀착커버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수용공간에 삽입된 인본체의 삽입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날개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아웃본체로부터 아웃캡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웃본체의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아웃본체에 아웃캡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며, 전자렌지의 이용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착탄성부재의 결합 관계를 통해 아웃본체와 아웃캡 사이의 밀폐 안정성을 확보하고, 아웃본체와 아웃캡 사이의 밀폐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본체와 인본체와 인캡과 아웃캡 중 적어도 아웃본체가 마이크로파를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쌀물의 증기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인본체와 인캡과 아웃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이크로파를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아웃본체의 내부에서 증기의 액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서 아웃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서 인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서 인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서 아웃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서 인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전자렌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취사에 적합한 용기 및 모양을 설계하고 조리된 저당밥에서 탄수화물의 수치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으로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아웃본체(10)와, 인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아웃본체(10)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과 쌀물을 혼합 수용한 다음,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저당밥을 제조할 수 있다.
아웃본체(10)는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웃본체(10)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과, 음식물에 대응되는 쌀물이 혼합 수용된다.
아웃본체(10)는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의 바닥에 지지되는 아웃바닥(11)과, 음식물과 쌀물이 수용됨은 물론 인본체(2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아웃바닥(1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아웃측벽(1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본체(10)는 아웃측벽(12)의 상단에서 측면부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아웃날개(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웃바닥(11)의 하부에는 받침부(111)가 구비되어 전자렌지의 조리공간 바닥에서 아웃본체(10)의 직립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아웃바닥(11)의 열이 조리공간의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아웃측벽(12)은 아웃바닥(11)에서 상부로 길게 형성되어 아웃바닥(11)의 상부로 충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아웃날개(13)는 아웃측벽(12)의 상단에서 측면부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날개링부(131)를 포함하고, 인본체(20)에 구비된 인날개(26)가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링 형상의 지지턱(132)과, 아웃캡(40)에 구비되는 걸림날개(44)의 걸림후크부(442)가 걸림 결합되도록 날개링부(131)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걸림링부(133)와, 아웃캡(40)에 구비되는 밀착커버(43) 또는 밀착탄성부재(45)가 밀착되도록 날개링부(131)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링부(1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본체(20)는 아웃본체와 끼움 결합된다. 인본체(20)는 수용공간에 삽입되도록 아웃본체(10)의 상단부에 적층 결합된다.
인본체(20)는 인본체(20)가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아웃바닥(11)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인바닥(21)과, 이너액화물이 수용되는 이너공간을 형성하도록 인바닥(2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인측벽(22)과, 아웃측벽(12)의 상단에 적층 지지되도록 인측벽(22)의 상단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인날개(26)를 포함할 수 있다.
인측벽(22)은 아웃측벽(12)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인측벽(22)은 인바닥(2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이너수직부(23)와, 이너수직부(23)에서 외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이너경사부(24)와, 이너경사부(24)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이너연장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너경사부(24)를 통해 인캡(30)의 삽입량을 제한할 수 있고, 이너연장부(25)에는 인캡(30)의 캡측벽(32)이 접촉 또는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인측벽(22)에서 이너경사부(24)에는 인바닥(21)으로부터 이격되어 다수의 본체경사연통부(221)가 관통 형성된다. 본체경사연통부(221)는 인캡(30)이 삽입되더라도 인캡(30)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날개(26)는 아웃날개(13)의 지지턱(132)에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이너액화물은 전자렌지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수용공간으로 투과되어 음식물과 혼합된 쌀물을 증기로 변환시킨 다음, 수용공간에서 변환된 증기가 본체경사연통부(221)를 거쳐 이너공간에 전달될 때,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생성된다. 이너액화물은 이너공간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인캡(30)과 아웃캡(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캡(30)은 이너공간을 개폐하되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 가능하다. 인캡(30)은 인바닥(21)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인본체(20)에 끼움 결합된다.
인캡(30)은 인바닥(21)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하는 압력조절홀부(311)가 관통 형성되는 캡바닥(31)과, 인측벽(22)과 접촉 또는 밀착되도록 캡바닥(31)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캡측벽(3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캡(30)에는 압력조절홀부(311)를 통과한 증기가 액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캡액화물이 수용되도록 캡바닥(31)과 캡측벽(32)에 의해 형성되는 캡공간이 구비되도록 한다.
캡바닥(31)은 가장자리로부터 압력조절홀부(311)를 향해 단계적으로 하강되거나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캡액화물이 압력조절홀부(311)로 배출 가능하도록 한다.
인캡(30)에는, 캡바닥(31)과 캡측벽(32)을 연결하는 보강날개부(321)가 구비되어 인측벽(22)과의 접촉 또는 밀착을 안정화시키는 한편, 인캡(30)의 변형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아웃캡(40)은 이너공간을 개폐하되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 가능하다. 아웃캡(40)은 인바닥(21) 또는 인캡(3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아웃본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웃캡(40)은 인바닥(21) 또는 인캡(30)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당물용기(41)와, 아웃본체(10)의 상단부 개폐를 위해 당물용기(41)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마감커버(42)와, 아웃본체(10)의 상단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마감커버(42)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밀착커버(43)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밀착커버(43)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아웃본체(10)에 구비된 아웃날개(13)와의 걸림 결합을 통해 아웃본체(10)의 상단부와 밀착커버(43)를 밀착시키는 걸림날개(44)를 포함할 수 있다.
당물용기(41)에는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 또는 인캡(30)에 형성된 캡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하는 용기연통부(411)와, 용기연통부(411)를 통과한 증기의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용기액화물이 수용되는 용기공간이 포함된다.
마감커버(42)는 용기공간의 부피에 대응하여 당물용기(41)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패널부(422)와, 돌출패널부(422)의 하단부와 밀착커버(43)를 연결시키는 커버패널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커버(43)에는 아웃본체(10)에 구비된 아웃날개(13)의 밀착링부(135)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파지날개(432)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파지날개(432) 사이에는 밀착링부(135)가 끼움 결합되는 밀착홈부(431)가 형성된다. 다른 표현으로, 밀착커버(43)에는 아웃본체(10)에 구비된 아웃날개(13)의 밀착링부(135)가 끼움 결합되도록 밀착홈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커버(43)에는 밀착홈부(431)가 노출되도록 한 쌍의 파지날개(432)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날개(44)는 밀착커버(43)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브라켓부(44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날개(44)는 아웃본체(10)에 구비된 아웃날개(13)와의 걸림 결합을 위해 날개브라켓부(441)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부(442)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날개브라켓부(441)에 돌출 형성되는 날개조작부(443) 중 적어도 걸림후크부(4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상호 마주보는 아웃본체(10)의 상단부인 밀착링부(135)와 아웃캡(40)인 밀착커버(43)의 밀착홈부(431) 중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도록 아웃본체(10)의 상단부인 밀착링부(135)와 아웃캡(40)인 밀착커버(43)의 밀착홈부(431)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밀착탄성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밀착탄성부재(45)는 밀착홈부(431)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과 음식물의 양에 대응하는 쌀물을 수용공간에 투입하고, 인본체(20)와 인캡(30)과 아웃캡(40) 중 적어도 인본체(20)를 아웃본체(10)의 상단부에 적층 결합한 다음, 전자렌지에 저당밥솥을 배치하고, 전자렌지를 동작시킨다.
전자렌지의 동작에 따라 마이크로파는 수용공간으로 투과되므로, 수용공간에서 음식물과 혼합된 쌀물은 증기로 변환된다. 변환된 증기는 본체경사연통부(221)를 통과하여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이너액화물을 생성하고, 이너액화물은 이너공간에 수용된다. 이너공간의 잔류 증기는 본체경사연통부(221)를 통과하여 다시 수용공간으로 전달되거나 압력조절홀부(311)를 통과할 수 있다.
이너공간의 잔류 증기 중 압력조절홀부(311)를 통과한 증기는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캡액화물을 생성하고, 캡액화물은 캡공간에 수용되지만, 압력조절홀부(311)를 거쳐 이너공간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캡액화물과 이너공간의 잔류 증기는 모두 압력조절홀부(311)를 통과하므로, 캡액화물과 이너공간의 잔류 증기 사이의 작용으로 압력조절홀부(311)가 선택적으로 밀폐되므로, 수용공간의 압력을 증가시켜 저당밥이 설 익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압력조절홀부(311)를 통과한 증기는 용기연통부(411)를 통과하여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용기액화물을 생성하고, 용기액화물은 용기공간에 수용된다. 용기공간에 수용된 용기액화물은 캡공간 또는 이너공간과 연동되어 캡공간 또는 이너공간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추므로, 캡공간 또는 이너공간에 수용되는 증기의 액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전자렌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취사에 적합한 용기 및 모양을 설계하고 조리된 저당밥에서 탄수화물의 수치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으로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아웃본체(10)와, 인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아웃본체(10)에 쌀물을 수용하고, 인본체(20)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수용한 다음,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저당밥을 제조할 수 있다.
아웃본체(10)는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웃본체(10)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대응되는 쌀물이 수용된다.
아웃본체(10)는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의 바닥에 지지되는 아웃바닥(11)과, 쌀물이 수용됨은 물론 인본체(2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아웃바닥(1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아웃측벽(1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본체(10)는 아웃측벽(12)의 상단에서 측면부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아웃날개(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웃바닥(11)의 하부에는 받침부(111)가 구비되어 전자렌지의 조리공간 바닥에서 아웃본체(10)의 직립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아웃바닥(11)의 열이 조리공간의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아웃측벽(12)은 아웃바닥(11)에서 상부로 길게 형성되어 아웃바닥(11)의 상부로 충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아웃날개(13)는 아웃측벽(12)의 상단에서 측면부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날개링부(131)를 포함하고, 인본체(20)에 구비된 인날개(26)가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링 형상의 지지턱(132)과, 아웃캡(40)에 구비되는 걸림날개(44)의 걸림후크부(442)가 걸림 결합되도록 날개링부(131)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걸림링부(133)와, 아웃캡(40)에 구비되는 밀착커버(43) 또는 밀착탄성부재(45)가 밀착되도록 날개링부(131)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링부(1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본체(20)는 아웃본체와 끼움 결합된다. 인본체(20)는 수용공간에 삽입되도록 아웃본체(10)의 상단부에 적층 결합된다. 인본체(20)에는 음식물이 수용된다.
인본체(20)는 인본체(20)가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아웃바닥(11)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인바닥(21)과, 음식물이 수용되는 이너공간을 형성하도록 인바닥(2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인측벽(22)과, 아웃측벽(12)의 상단에 적층 지지되도록 인측벽(22)의 상단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인날개(26)를 포함할 수 있다.
인측벽(22)은 아웃측벽(12)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인측벽(22)은 인바닥(2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이너수직부(23)와, 이너수직부(23)에서 외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이너경사부(24)와, 이너경사부(24)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이너연장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너경사부(24)를 통해 인캡(30)의 삽입량을 제한할 수 있고, 이너연장부(25)에는 인캡(30)의 캡측벽(32)이 접촉 또는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인바닥(21)과 인측벽(22)의 이너수직부(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음식물의 통과를 억제 또는 방지하되, 쌀물과, 수용공간 또는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와, 이너공간에 수용된 이너액화물은 통과되는 본체바닥연통부(21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체바닥연통부(211)는 인캡(30)이 삽입되더라도 인캡(30)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날개(26)는 아웃날개(13)의 지지턱(132)에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증기는 전자렌지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수용공간으로 투과되어 쌀물을 가열할 때, 쌀물의 변환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이너액화물은 수용공간에서 변환된 증기가 본체바닥연통부(211)를 거쳐 이너공간에 전달되거나 이너공간에서 쌀물의 변환에 의해 증기가 생성될 때,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생성된다. 이너액화물은 이너공간에 수용되지만, 본체바닥연통부(211)를 통해 수용공간의 바닥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아웃본체(10)와, 인본체(20)를 포함하고, 인캡(30)과 아웃캡(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인캡(30)과 아웃캡(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인캡(30)과 아웃캡(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은 상호 마주보는 아웃본체(10)의 상단부인 밀착링부(135)와 아웃캡(40)인 밀착커버(43)의 밀착홈부(431) 중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도록 아웃본체(10)의 상단부인 밀착링부(135)와 아웃캡(40)인 밀착커버(43)의 밀착홈부(431)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밀착탄성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밀착탄성부재(45)는 밀착홈부(431)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은 이너공간에 투입하고, 음식물의 양에 대응하는 쌀물은 수용공간에 투입하고, 인본체(20)와 인캡(30)과 아웃캡(40) 중 적어도 인본체(20)를 아웃본체(10)의 상단부에 적층 결합한 다음, 전자렌지에 저당밥솥을 배치하고, 전자렌지를 동작시킨다.
수용공간의 쌀물 중 일부는 본체바닥연통부(211)를 통해 이너공간으로 유입되므로, 이너공간에서는 음식물과 쌀물이 혼합 수용될 수 있다.
전자렌지의 동작에 따라 마이크로파는 수용공간으로 투과되므로, 수용공간의 에서 쌀물은 증기로 변환된다. 변환된 증기는 본체바닥연통부(211)를 통과하여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이너액화물을 생성하고, 이너액화물은 이너공간에 수용된다. 여기서, 이너공간에 수용된 이너액화물은 본체바닥연통부(211)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너공간의 잔류 증기는 본체바닥연통부(211)를 통과하여 다시 수용공간으로 전달되거나 압력조절홀부(311)를 통과할 수 있다.
이너공간의 잔류 증기 중 압력조절홀부(311)를 통과한 증기는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캡액화물을 생성하고, 캡액화물은 캡공간에 수용되지만, 압력조절홀부(311)를 거쳐 이너공간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캡액화물과 이너공간의 잔류 증기는 모두 압력조절홀부(311)를 통과하므로, 캡액화물과 이너공간의 잔류 증기 사이의 작용으로 압력조절홀부(311)가 선택적으로 밀폐되므로, 수용공간의 압력을 증가시켜 저당밥이 설 익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압력조절홀부(311)를 통과한 증기는 용기연통부(411)를 통과하여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용기액화물을 생성하고, 용기액화물은 용기공간에 수용된다. 용기공간에 수용된 용기액화물은 캡공간 또는 이너공간과 연동되어 캡공간 또는 이너공간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추므로, 캡공간 또는 이너공간에 수용되는 증기의 액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서 전자렌지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파는 저당밥솥을 투과하여 내부 음식물만을 조리해야 하므로, 아웃본체(10)와 인본체(20)와 아웃캡(40)과 인캡(30) 중 적어도 아웃본체(10)는 전자렌지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되는 플라스틱류, 실리콘류, 유리류, 종이류 및 둘 이상의 조합재료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본체(20)와 아웃캡(40)과 인캡(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저당밥솥 내부에서 증기가 신속하게 액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의 각 부품은 평단면을 기준으로 원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타원 형태이거나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다각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전자렌지용 저당밥솥에 따르면,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이 감소한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특히, 전자렌지의 평균온도인 1000W를 기준으로 6분 내지 8분 정도의 짧은 시간 내에 간편하게 저당밥을 만들 수 있고,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이 감소한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아웃본체(10)와 아웃캡(40)과 인본체(20)와 인캡(30) 중 적어도 아웃본체(10)는 재질 한정을 통해 마이크로파가 반사 현상이나 회전 현상없이 투과되어 열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안정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음식물에 포함된 전분입자가 수소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열에 의하여 전분입자가 팽창되어 기포로 발생하는 전분 내 물입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시간이 아주 짧은 시간인 점을 감안할 때, 시중에서 판매되는 저당밥솥과 같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일반 밥솥에 비하여 저당밥을 조리하는 시간을 절약하며, 탄수화물을 약 30% 내지 50%까지 저감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열에 의한 물의 운동 및 성질을 응용하여 물의 압력을 최대화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내부재료의 열 전도율을 향상시키고, 저당밥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호화 작용으로 음식물에 포함된 당물을 충분히 신속하게 분리하여 탄수화물이 저감된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렌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면서 아웃본체(10)의 크기만 변경시키면 1인용 내지 10인용의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고, 안전성을 고려한 측면에서 아웃본체(10)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되지만 마이크로파에 의한 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쌀물의 변환에 따라 뜨거워진 증기는 아웃본체(10)의 외측으로 분출되도록 설계되었으며, 증기의 배출 과정에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구 설계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전과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고, 저당밥솥의 탈부착과 세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아웃본체(10)와 인본체(2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용공간에 음식물과 쌀물을 모두 투입하더라도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아웃본체(10)와 인본체(2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용공간에 쌀물을 투입하고, 이너공간에 음식물을 분리하여 투입하더라도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저당밥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또한, 증기 배출 방식을 통해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의 액화 및 수용공간 또는 이너공간에 수용되는 증기의 배출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본체(2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수용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수용공간에서 인본체(20)의 삽입량을 제한하며, 수용공간과 이너공간의 연통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인캡(3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이너공간에 수용되는 증기가 전자렌지의 조리공간 또는 인캡(30)의 캡공간 또는 아웃캡(40)의 용기공간으로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인캡(3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이너공간을 안정되게 유지시킴은 물론 수용공간의 이너공간의 연통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인본체(20)와 인캡(30) 사이로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본체(20)와 인캡(30) 사이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이너공간에서 인캡(30)의 삽입량을 제한하고, 본체경사연통부(221)가 이너공간에 안정되게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캡공간의 결합 관계를 통해 캡액화물을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캡바닥(31)의 구조를 통해 캡액화물을 이너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아웃캡(4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이너공간 또는 캡공간에 수용되는 증기가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으로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아웃캡(4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으로 배출되는 증기의 액화에 따라 생성되는 용기액화물을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고, 아웃본체(10)와 아웃캡(40) 사이를 밀폐시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물용기(41)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에서 생성되는 용기액화물을 수용을 원활하게 하고, 용기액화물이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으로 전달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마감커버(42)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용기공간의 부피를 확장시킬 수 있고, 용기액화물의 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밀착커버(43)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아웃본체(10)의 상단부에서 밀착커버(43)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수용공간에 삽입된 인본체(20)의 삽입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날개(44)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아웃본체(10)로부터 아웃캡(4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웃본체(10)의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아웃본체(10)에 아웃캡(40)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며, 전자렌지의 이용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밀착탄성부재(45)의 결합 관계를 통해 아웃본체(10)와 아웃캡(40) 사이의 밀폐 안정성을 확보하고, 아웃본체(10)와 아웃캡(40) 사이의 밀폐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아웃본체(10)와 인본체(20)와 인캡(30)과 아웃캡(40) 중 적어도 아웃본체(10)가 마이크로파를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쌀물의 증기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인본체(20)와 인캡(30)과 아웃캡(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이크로파를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아웃본체(10)의 내부에서 증기의 액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아웃본체 11: 아웃바닥 111: 받침부
12: 아웃측벽 13: 아웃날개 131: 날개링부
132: 지지턱 133: 걸림링부 135: 밀착링부
20: 인본체 21: 인바닥 211: 본체바닥연통부
22: 인측벽 221: 본체경사연통부 23: 이너수직부
24: 이너경사부 25: 이너연장부 26: 인날개
30: 인캡 31: 캡바닥 311: 압력조절홀부
32: 캡측벽 321: 보강날개부 40: 아웃캡
41: 당물용기 411: 용기연통부 42: 마감커버
421: 커버패널부 422: 돌출패널부 43: 밀착커버
431: 밀착홈부 432: 파지날개 44: 걸림날개
441: 날개브라켓부 442: 걸림후크부 443: 날개조작부
45: 밀착탄성부재

Claims (8)

  1. 삭제
  2. 전자렌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대응되는 쌀물이 수용되는 아웃본체;
    상기 아웃본체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인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본체는,
    상기 전자렌지의 조리공간의 바닥에 지지되는 아웃바닥; 및
    상기 쌀물이 수용됨은 물론 상기 인본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아웃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아웃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인본체는,
    상기 인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아웃바닥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인바닥;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이너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바닥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인측벽; 및
    상기 아웃측벽의 상단에 적층 지지되도록 상기 인측벽의 상단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인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인바닥과 상기 인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음식물의 통과를 억제 또는 방지하되, 상기 쌀물과, 상기 수용공간 또는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와,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이너액화물은 통과되는 본체바닥연통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증기는,
    상기 전자렌지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투과되어 상기 쌀물을 가열할 때, 상기 쌀물의 변환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이너액화물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변환된 증기가 상기 본체바닥연통부를 거쳐 상기 이너공간에 전달되거나 상기 이너공간에서 상기 쌀물의 변환에 의해 증기가 생성될 때,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생성되며,
    상기 이너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인바닥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인본체에 끼움 결합되는 인캡; 및
    상기 이너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인바닥 또는 상기 인캡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아웃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웃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캡은,
    상기 인바닥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하는 압력조절홀부가 관통 형성되는 캡바닥; 및
    상기 인측벽과 접촉 또는 밀착되도록 상기 캡바닥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캡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캡은,
    상기 인바닥 또는 상기 인캡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너공간에 수용된 증기 또는 상기 인캡에 형성된 캡공간에 수용된 증기의 일부가 통과하는 용기연통부와, 상기 용기연통부를 통과한 증기의 일부가 액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용기액화물이 수용되는 용기공간이 포함되는 당물용기;
    상기 아웃본체의 상단부 개폐를 위해 상기 당물용기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마감커버;
    상기 아웃본체의 상단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마감커버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밀착커버; 및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밀착커버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웃본체와의 걸림 결합을 통해 상기 아웃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밀착커버를 밀착시키는 걸림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는,
    상기 용기공간의 부피에 대응하여 상기 당물용기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패널부; 및
    상기 돌출패널부의 하단부와 상기 밀착커버를 연결시키는 커버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날개는,
    상기 밀착커버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브라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본체와의 걸림 결합을 위해 상기 날개브라켓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부; 및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날개브라켓부에 돌출 형성되는 날개조작부; 중 적어도 걸림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8. 제2항에 있어서,
    상호 마주보는 상기 아웃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아웃캡 중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아웃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아웃캡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밀착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KR1020220018799A 2022-01-12 2022-02-14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KR10242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29A KR102667256B1 (ko) 2022-01-12 2022-07-19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725 2022-01-12
KR20220004725 2022-01-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829A Division KR102667256B1 (ko) 2022-01-12 2022-07-19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234B1 true KR102424234B1 (ko) 2022-07-25

Family

ID=8260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799A KR102424234B1 (ko) 2022-01-12 2022-02-14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015B1 (ko) * 2022-11-28 2023-04-06 루나커머스 주식회사 저당밥 취사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923A (ja) * 2004-02-06 2005-11-10 Yoshio Oyama 電子レンジ用炊飯システム
US20130112683A1 (en) * 2010-07-15 2013-05-09 Breville Pty Limited Multi Cooker
JP2017189628A (ja) * 2017-06-02 2017-10-19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調理鍋用蒸し具、及び、蒸し具を用いる炊飯器
KR102087162B1 (ko) * 2019-09-27 2020-03-10 구정오 저당밥 취사장치
KR102193331B1 (ko) 2020-07-28 2020-12-22 주식회사 더원스테이스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3925B1 (ko) 2019-12-11 2021-04-23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923A (ja) * 2004-02-06 2005-11-10 Yoshio Oyama 電子レンジ用炊飯システム
US20130112683A1 (en) * 2010-07-15 2013-05-09 Breville Pty Limited Multi Cooker
JP2017189628A (ja) * 2017-06-02 2017-10-19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調理鍋用蒸し具、及び、蒸し具を用いる炊飯器
KR102087162B1 (ko) * 2019-09-27 2020-03-10 구정오 저당밥 취사장치
KR102243925B1 (ko) 2019-12-11 2021-04-23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장치
KR102193331B1 (ko) 2020-07-28 2020-12-22 주식회사 더원스테이스 전기밥솥용 저당밥 취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015B1 (ko) * 2022-11-28 2023-04-06 루나커머스 주식회사 저당밥 취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066A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234B1 (ko)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CA2721885C (en) Multi-component food packaging for microwave oven
CN106030212B (zh) 具备烹调容器的加热烹调器
US7025055B2 (en) Tray for selectably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EP3406165A1 (en) Energy-saving safety pot having no steam outlet
US20220175190A1 (en) Cooking vessel having stirring function
WO2007112455A2 (en) Tray for selectably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AU2007243145A1 (en) Pouch for steaming vegetables
JP3040350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麺類の製造方法
KR102667256B1 (ko) 전자렌지용 저당밥솥
CN210697141U (zh) 一种旋转式炒菜机
US20070221197A1 (en) Self-heating package for pre-cooked foods
CN208709531U (zh) 一种锅盖及无水烹饪器具
CN205994260U (zh) 一种能收纳电源线的电饭煲
KR102424235B1 (ko) 저당밥 취사도구
US10667336B2 (en) Food cooking system
WO2006101483A1 (en) Tray for selectably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CN108175273A (zh) 节能型煮蛋器
CN213605777U (zh) 一种内锅装置及烹饪器具
CN213640538U (zh) 一种压力低糖饭烹饪器具
CN209863301U (zh) 一种旋转式加热的炒菜机
CN208973343U (zh) 锅具组件及烹饪设备
CA2538446A1 (en) Self-heating package for pre-cooked foods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200259355Y1 (ko) 전자레인지용 1회용 편의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