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023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4023B1 KR102424023B1 KR1020167018613A KR20167018613A KR102424023B1 KR 102424023 B1 KR102424023 B1 KR 102424023B1 KR 1020167018613 A KR1020167018613 A KR 1020167018613A KR 20167018613 A KR20167018613 A KR 20167018613A KR 102424023 B1 KR102424023 B1 KR 1024240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brush
- skid
- slip
- convex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3—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가 사용 가능함과 아울러,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행할 때, 유아의 목적의 치아에 대하여 면밀하게 브러시를 닿게 하는 것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헤드부(19) 및 핸들체(23)를 포함하고, X방향으로 연장하는 핸들체(11)와, 헤드부(19)의 일면(19a)에 식설된 브러시부(13)와, 헤드부(19)의 타면(19b)측에 배치된 제 1 미끄럼 방지부(16)와, 핸들부(23)에 배치되고 핸들부(23)를 유지하는 손가락이 접촉하는 제 2 미끄럼 방지부(31)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가 사용함과 아울러,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에 사용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5월 2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4-10491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의 어린이용 칫솔은, 단지 어른용 칫솔을 소형화한 것뿐이었다. 그 때문에 유아가 칫솔질의 감촉을 체험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어른이 유아의 치아의 마무리 칫솔질을 할 때, 핸들체의 조작만으로는 목적의 치아에 대하여, 면밀하게 브러시를 닿게 하는 것이 곤란했다.
유아의 치아는 작고, 또한 주위의 잇몸이 상처받기 쉽다. 이 때문에, 어른이 유아의 치아의 마무리 칫솔질을 하는 경우, 브러시부가 설치된 일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헤드부의 타면에 손가락을 꽉 누르고, 착실하게 목적 부위를 칫솔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헤드부의 타면에 손가락을 꽉 누르고, 치아를 닦는 것이 가능한 칫솔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칫솔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휴대용 칫솔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식모판의 전면에 다수의 모(毛)를 심어 붙인 브러시부와, 식모판의 배면에 설치된 신축 가능한 손가락 쌕(sack)을 구비한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칫솔질용의 브러시체와, 상기 브러시체를 식설(植設)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방에 설치된 2편의 유지편을 구비한 간이형의 칫솔이고, 유지편을 상대향상으로 형성하고, 유지편 사이에 삽입한 손가락에 칫솔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한 휴대용 칫솔(이하, 단지 「칫솔」이라고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칫솔은 유아가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칫솔은 아니다. 또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칫솔은 핸들체가 없으므로, 유아에 칫솔질의 감촉을 체험시킬 수 없다.
또한, 유아는 손의 동작이 미발달했기 때문에,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칫솔을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유아가 사용 가능함과 아울러,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유아의 목적의 치아에 대하여, 면밀하게 브러시를 닿게 하는 것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은 헤드부 및 핸들부를 포함하고,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핸들체와, 상기 헤드부의 일면에 식설된 브러시부와, 상기 헤드부의 타면측에 배치된 제 1 미끄럼 방지부와, 상기 핸들부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부를 유지하는 손가락이 접촉되는 제 2 미끄럼 방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2개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는 적어도 1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는 적어도 1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 중, 상기 제 1 및 제 2 미끄럼 방지부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기재가 경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 또는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재를 피복하고, 또한 상기 경질 수지보다도 무른 연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질 수지층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복수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는 일단이 상기 헤드부와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부와 접속된 네크(neck)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네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핸들부 및 상기 네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칫솔에 의하면, 유아가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유아의 목적의 치아에 대하여, 면밀하게 브러시부를 닿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시되는 각 부의 크기나 두께나 치수 등은 실제의 칫솔의 치수관계와는 다른 경우가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X방향은 핸들체(11)의 연장 방향(제 1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Z방향은 브러시부(13)를 구성하는 모속(毛束)(21)의 높이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Y방향은 X방향, 및 도 1에 나타내는 Z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제 2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은 유아가 사용함과 아울러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에 사용하는 칫솔이며, 핸들체(11)와, 브러시부(13)와, 제 1 미끄럼 방지부(16)와, 1쌍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를 갖는다.
핸들체(11)는 헤드부(19)와, 네크부(22)와, 핸들부(23)를 갖는다.
헤드부(19)는 X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헤드부(19)의 형상은 Y방향의 폭보다도 X방향의 폭쪽이 폭이 넓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드부(19)의 X방향의 폭은 13mm 이상 22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19)의 Y방향의 폭은 8mm 이상 11mm 이하가 바람직하다.
헤드부(19)는 일면(19a)(전면)과, 상기 일면(19a)의 반대측에 배치된 타면(19b)(배면)을 갖는다. 헤드부(19)의 일면(19a)측에는 브러시부(13)을 구성하는 복수의 모속(21)을 식설하기 위한 복수의 식설 구멍(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형성되어 있다.
네크부(22)는 X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일단이 헤드부(19)와 접속되고, 타단이 핸들부(23)와 접속되어 있다. 네크부(22)는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네크부(22)의 X방향의 길이는 33mm 이상 54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네크부(22)의 Y방향의 폭은 4.0mm 이상 5.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핸들부(23)는 유아가 자기의 치아를 닦을 때에 손으로 쥐는 부분이다. 핸들부(23)는 X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Y방향에 있어서의 핸들부(23)의 폭은 Y방향에 있어서의 네크부(22)의 폭보다도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부(23)의 X방향의 길이는 85mm 이상 10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부(23)의 Y방향의 폭은 11mm 이상 16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핸들부(23)의 Y방향의 폭이란 핸들부(23)의 Y방향의 길이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상기 구성, 즉, 헤드부(19)와 네크부(22)와 핸들부(23)를 갖는 핸들체(11)는 일체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부재이다. 핸들체(11)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ABS 수지, PCT 수지와 같은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브러시부(13)는 복수의 모속(21)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모속(21)은 각각 헤드부(19)에 형성된 식설 구멍(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배치되어 있다. 모속(21)은 복수의 용모(用毛)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모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구체적으로는 6-12나일론, 6-10나일론 등), 폴리에스테르(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구체적으로는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모의 모선(毛先)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선을 둥글게 한 형상, 모선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 스패츌러 형상, 구상, 끝이 갈라진 형상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용모의 모길이는 예를 들면, 6mm 이상 9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용모의 모길이란 헤드부의 일면(19a)로부터 용모의 모선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선택된 용모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구강내의 사용성이나 사용감의 점으로부터 용모의 모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감이나 칫솔질감, 청소 효과,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다른 복수 개의 용모를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제 1 미끄럼 방지부(16)는 헤드부(19)의 타면(19b)측에 배치된 1개의 오목부(16A)이다. 오목부(16A)는 헤드부(19)의 타면(19b)으로부터 제 1 미끄럼 방지부(16)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헤드부(19)의 두께를 얇게(부분적으로 두께를 얇게)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16A)는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어른의 검지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오목부(16A)는 어른의 검지를 통해서 유아의 목적의 치아(바꿔 말하면, 마무리 닦기를 하는 치아)에 브러시부(13)를 밀어 닿게 하고, 상기 치아의 마무리 닦기를 행할 때에 어른의 검지가 오목부(16A)로부터 어긋나지 않는 깊이(D1)로 되어 있다.
헤드부(19)의 타면(19b)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오목부(16A)의 깊이(D1)는 예를 들면 0.5mm 이상 2.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한 오목부(16A)를 헤드부(19)의 타면(19b)측에 배치함으로써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하는 어른의 검지가 헤드부(19)의 타면(19b)측에서 어긋나는 것을 억제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마무리 닦고자 하는 유아의 치아에 대하여 면밀하게 브러시부(13)를 구성하는 모속(21)을 닿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6A)가 형성된 부분의 헤드부(19)의 두께는 얇게 되기 때문에, Z방향에 있어서, 마무리 닦기를 하는 어른의 검지와 브러시부(13)의 거리는 가깝게 된다. 이것에 의해, 유아의 치아에 대한 모속(21)의 선단이 닿는 상태를 어른이 민감하게 느끼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목적으로 하는 하는 유아의 치아의 마무리 닦기를 양호한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2개(1쌍)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는 네크부(22) 중 Y방향(제 2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는 네크부(22)부를 유지하는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분이다.
1쌍(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는 네크부(22)의 Y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설치된 2개의 오목부(17A)이다.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1쌍(2개)의 오목부(17A) 중, 일방의 오목부(17A)에 엄지를 접촉시키고, 타방의 오목부(17A)에 중지를 접촉시켜서, 엄지과 중지로 (2개의 손가락으로) 핸들체(11)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네크부(22)에 Y방향의 양 단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를 설치함으로써, 오목부(16A)에 배치된 검지로 헤드부(19)를 확실히 압박할 수 있다.
Y방향에 있어서의 1쌍(2개)의 오목부(17A)의 깊이(D2)는 검지의 선단에 힘을 주어 헤드부(19)를 압박시켰을 때, 1쌍의 오목부(17A)로부터 엄지 및 중지가 어긋나지 않는 정도의 깊이이면 된다. 오목부(17A)의 깊이(D2)는 예를 들면, 0.5mm 이상 3.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X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6A)와 오목부(17A)의 거리(A)는 예를 들면 0mm 이상 4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용이하게 어른의 검지, 엄지 및 중지를 제 1 및 제 2 오목부(16A, 17A)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X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6A)와 오목부(17A)의 거리(A)가 0mm인 경우란 예를 들면 X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6A)의 일방의 단을 헤드부(19)와 네크부(22)의 경계까지 연장시킴과 아울러, X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6A)의 일방의 단을 헤드부(19)와 네크부(22)의 경계까지 연장시킨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오목부(16A, 17A)는 Y방향에 있어서, 그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시켜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칫솔에 의하면, 헤드부(19)의 타면(19b)측에 배치된 제 1 미끄럼 방지부(16)인 오목부(16A)와 네크부(22) 중 핸들체(11)의 연장 방향(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Y방향으로 배치된 1쌍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인 2개의 오목부(17A)를 가짐으로써 유아가 사용 가능함과 아울러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오목부(17A)에 엄지과 중지를 배치하여 네크부(22)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16A)에 배치되는 검지의 선단부에 의해, 헤드부(19)를 확실히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마무리로 닦고 싶은 유아의 치아에 대하여, 면밀하게 모속(21)(브러시부(13))을 닿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6A)가 형성된 부분의 헤드부(19)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Z방향에 있어서, 오목부(16A)에 배치된 어른의 검지와 브러시부(13)의 거리는 가깝게 된다. 이것에 의해, 유아의 치아에 대한 모속(21)의 선단이 닿는 상태를 어른이 민감하게 느끼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목적으로 하는 유아의 치아의 마무리 닦기를 양호한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X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Y방향으로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2개의 오목부(17A))를 배치시킨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2개의 오목부(17A))는 어른의 중지 및 엄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X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바꿔 말하면, Y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거리(B)는 X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6A)의 길이와, X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31A)의 길이와, X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6A)와 오목부(17A)의 간격을 합계한 값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형태의 칫솔(30)은 제 1 실시형태의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2개의 오목부(17A))를 변경하여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31)로서, 2개의 오목부(31A)를 갖는 것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2개의 오목부(31A)는 핸들부(23) 중 네크부(22)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핸들부(23)의 어깨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오목부(31A)는 핸들부(23)의 네크부(22)측을 선단으로 하면, 5mm 이상 15mm 이하의 범위이도록 형성되고, 2개의 오목부(31A)는 Y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2개의 오목부(31A) 중, 일방의 오목부(31A)에 어른의 엄지를 접촉시키고, 타방의 오목부(31A)에 어른의 중지를 접촉시켜서, 엄지와 중지로(2개의 손가락으로) 핸들부(23)를 유지한다.
도 4에 나타내는 거리(B)는 예를 들면, 25mm 이상 8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도 4에 나타내는 거리(B)를 25mm 이상 80mm 이하로 함으로써 용이하게 어른의 검지, 엄지 및 중지를 제 1 및 제 2 오목부(16A, 31A)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제 2 실시형태의 칫솔(30)은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칫솔(30)을 구성하는 네크부(22)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17)를 형성해도 된다.
이렇게, 네크부(22)에 배치된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2개의 오목부(17A))와, 핸들부(32)에 배치된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31)(2개의 오목부(31A))를 가짐으로써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어른은 자기가 핸들체(11)를 유지하기 쉬운 쪽의 1쌍의 제 2 오목부(구체적으로는 1쌍(2개)의 오목부(17A) 또는 1쌍(2개)의 오목부(31A))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목적으로 하는 유아의 치아의 마무리 닦기를 양호한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3 실시형태의 칫솔(50)은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을 구성하는 제 1 미끄럼 방지 부재(16)(오목부(16A)) 및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2개의 오목부(17A))를 변경하여 제 1 미끄럼 방지 부재(51) 및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52)를 갖는 것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제 1 미끄럼 방지 부재(51)는 2개의 오목부(51A)로 구성되어 있는 것 이외는 제 1 미끄럼 방지 부재(16)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52)는 2개의 제 2 오목부(52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외는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17)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오목부(51A)로 구성된 제 1 미끄럼 방지 부재(51)와 2개의 제 2 오목부(52A)로 구성된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52)를 갖는 제 4 실시형태의 칫솔(50)은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제 1 미끄럼 방지 부재(51)를 2개의 오목부(51A)로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3개 이상의 오목부로 제 1 미끄럼 방지 부재(51)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52)를 2개의 제 2 오목부(52A)로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3개 이상의 오목부로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52)를 구성해도 된다. 이들의 구성을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칫솔(50)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51)와, 도 1∼도 4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17, 31)(오목부(17A, 31A))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시켜도 된다.
또는 제 3 실시형태의 칫솔(50)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52)와, 도 1∼도 4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6)(오목부(16A))를 조합시켜도 된다.
이들의 구성을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4 실시형태의 칫솔(60)은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을 구성하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6) 및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17)를 변경하여 제 1 미끄럼 방지부(61) 및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62)(X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62))를 갖는 것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제 1 미끄럼 방지부(61)는 경질 수지로 구성된 헤드부(19)의 타면(19b)측에 배치된 오목부(16A)와 제 1 연질 수지층(64)을 갖는다.
제 1 연질 수지층(64)은 오목부(16A)를 매입하지 않는 두께로, 오목부(16A)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연질 수지층(64)의 표면이 헤드부(19)의 타면(19b)의 표면과 면일하게 구성되거나 또는 연질 수지층(64)이 헤드부(19)의 타면(19b)의 표면보다도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연질 수지층(64)의 두께는 0.5mm 이상 1.0mm 이하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제 1 연질 수지층(64)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헤드부(19)를 구성하는 수지(경질 수지)보다도 무른 연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연질 수지층(64)을 구성하는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JIS K 6253 쇼어A의 경도가 90 이하로 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질 수지로 구성된 헤드부(19)의 타면(19b)측에 배치된 오목부(16A)와, 오목부(16A)를 매입하지 않는 두께로 오목부(16A)를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헤드부(19)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보다도 무른 연질 수지로 구성된 제 1 연질 수지층(64)으로 구성된 제 1 미끄럼 방지부(61)를 가짐으로써,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검지의 선단부와 제 1 연질 수지층(64) 사이의 마찰에 의해, 검지의 선단부가 미끄러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마무리로 닦고 싶은 유아의 치아에 대하여 면밀하게 브러시부(13)(모속(21)))를 닿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질 수지층(64)이 쿠션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오목부(16A)만으로 제 1 미끄럼 방지부(16)(도 1 및 도 2 참조)를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검지가 아프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쌍의 제 2 미끄럼 방지부(62)는 경질 수지로 구성된 네크부(22)에 배치된 1쌍의 오목부(17A)와 제 2 연질 수지층(65)을 갖는다.
제 2 연질 수지층(65)은 오목부(17A)를 매입하지 않는 두께로, 오목부(17A)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연질 수지층(65)의 표면이 네크부(22)의 표면과 면일하게 구성되거나 또는 연질 수지층(65)이 네크부(22)의 표면보다도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연질 수지층(65)의 두께는 0.5mm 이상 1.0mm 이하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제 2 연질 수지층(65)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네크부(22)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보다도 무른 연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연질 수지층(65)을 구성하는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경도가 A90 이하라고 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질 수지로 구성된 네크부(22)에 배치된 1쌍의 오목부(17A)와, 오목부(17A)를 매입하지 않는 두께로 오목부(17A)를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네크부(22)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보다도 무른 연질 수지로 구성된 제 2 연질 수지층(65)으로 구성된 제 2 미끄럼 방지부(62)를 가짐으로써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엄지 및 중지와 제 2 연질 수지층(65)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엄지 및 중지가 미끄러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마무리로 닦고 싶은 유아의 치아에 대하여 면밀하게 브러시부(13)(모속(21))를 닿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연질 수지층(65)이 쿠션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오목부(17A)만으로 제 2 미끄럼 방지부(17)(도 1 및 도 2 참조)를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엄지 및 중지가 아프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한 제 4 실시형태의 칫솔(60)은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2 연질 수지층(65)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오목부(31A)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61)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17)(오목부(17A)),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31)(오목부(31A)),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52)(복수의 오목부(52A)) 중 적어도 1개를 조합시켜도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62)와, 도 1∼도 4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6)(오목부(16A)),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51)(복수의 오목부(51A)) 중 적어도 1개를 조합시켜도 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5 실시형태의 칫솔(70)은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을 구성하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6) 및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17)를 변경하여 제 1 미끄럼 방지부(71) 및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72)를 갖는 것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제 1 미끄럼 방지부(71)는 헤드부(19)의 타면(19b)측에 배치된 볼록부(71A)이다. 볼록부(71A)는 헤드부(19)의 타면(19b)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볼록부(71A)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경도가 A90 이하로 하는 연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헤드부(19)의 타면(19b)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Z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71A)의 높이(H1)는 예를 들면 0.3mm 이상 1.5mm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록부(71A)의 높이란 헤드부(19)의 타면(19b)의 표면으로부터 볼록부(71A)의 표면까지의 길이 중, 최대값을 의미한다.
1쌍(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 부재(72)는 Y방향에 있어서, 네크부(22)를 통하여 대향하도록 네크부(22)의 측면에 설치된 2개의 볼록부(72A)로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72A)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경도가 A90 이하로 하는 연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네크부(22)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Y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72A)의 높이는 예를 들면 0.5mm 이상 1.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록부(72A)의 높이란 네크부(22)의 표면으로부터 볼록부(72A)의 표면까지의 길이 중, 최대값을 의미한다.
상기 구성으로 한 제 5 실시형태의 칫솔(70)은 제 4 실시형태의 칫솔(6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볼록부(72A)는 핸들부(23)의 어깨부에 배치되어도 된다(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그 때, 핸들부(23)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Y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72A)의 높이는 예를 들면, 0.5mm 이상 1.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록부(72A)의 높이란 핸들부(23)의 표면으로부터 볼록부(72A)의 표면까지의 길이 중, 최대값을 의미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71)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17)(오목부(17A)),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31)(오목부(31A)),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52)(복수의 오목부(52A)),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62)(오목부(17A) 및 제 2 연질 수지층(65)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중 적어도 1개를 조합시켜도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72)와, 도 1∼도 4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6)(오목부(16A)),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51)(복수의 오목부(51A)),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61)(오목부(16A) 및 제 1 연질 수지층(64)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중 적어도 1개를 조합시켜도 된다.
(제 6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6 실시형태의 칫솔(100)은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을 구성하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6)를 변경하여 제 1 미끄럼 방지부(101)를 갖는 것 이외는 칫솔(10)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제 1 미끄럼 방지부(101)는 헤드부(19)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타면(19b)에 설치된 볼록부(101A)이다. 볼록부(101A)는 도 11에 있어서, 타면(19b)의 상방(Z방향)에 돌출하고 있다. 볼록부(101A)는 만곡한 상태에서 Y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101A)는 연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101A)를 구성하는 연질 수지로서는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볼록부(71A)(도 9 및 도 10 참조)를 구성하는 연질 수지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볼록부(101A)에는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검지의 선단(바꿔 말하면, 검지의 선단부의 선단)이 배치된다.
볼록부(101A)의 선단의 형상은 Y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라운드 형상(둥근 형상)으로 하면 된다. 이렇게, 볼록부(101A)의 선단의 형상을 라운드 형상으로 함으로써 유아가 자기의 치아를 닦을 경우에 있어서, 볼록부(101A)의 선단이 유아의 볼의 내측에 접촉했을 때, 유아의 볼의 내측이 상처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볼록부(101A)의 높이(H2)는 예를 들면, 0.3mm 이상 1.5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록부(101A)의 높이(H2)란 헤드부(19)의 타면(19b)의 표면으로부터 볼록부(101A)의 표면까지의 길이 중, 최대값을 의미한다.
제 6 실시형태의 칫솔(100)에 의하면, 헤드부(19)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타면(19b)에, 제 1 미끄럼 방지부(101)로서 볼록부(101A)를 배치함으로써 어른이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할 때, 검지의 선단이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9)의 선단측에 볼록부(101A)를 배치함으로써 유아의 치아 중, 특히, 앞니의 마무리 닦기를 양호한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한 칫솔(100)은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서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01)를 1개의 볼록부(101A)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헤드부(19)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타면(19b)에 복수의 볼록부(101A)를 배치시키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101A)로 제 1 미끄럼 방지부(101)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도, 제 6 실시형태의 칫솔(10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볼록부(101A)의 형상의 일례로서, 만곡 형상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볼록부(101A)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볼록부(101A)의 형상은 Z방향으로부터 보아서 Y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직선 형상으로 하여도 되고, Y방향으로 연장하는 정현파 형상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미끄럼 방지부(101)는 예를 들면, Y방향으로 배치된 도트 형상의 복수의 볼록부로 구성해도 된다(즉, 볼록부(101A)의 형상을 도트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101)가 Y방향으로 배치된 도트 형상의 복수의 볼록부로 구성된 경우, 상기 미끄럼 방지부(101)의 X방향에 대한 굵기는 0.5mm 이상 1.5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01)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17)(오목부(17A)),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31)(오목부(31A)),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52)(복수의 오목부(52A)),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62)(오목부(17A) 및 제 2 연질 수지층(65)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72)(볼록부(72A)) 중 적어도 1개를 조합시켜도 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17)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51)(복수의 오목부(51A)),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61)(오목부(16A) 및 제 1 연질 수지층(64)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71)(볼록부(71A)) 중 적어도 1개를 조합시켜도 된다.
다음에 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고, 제 6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칫솔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6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칫솔(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은 제 6 실시형태의 칫솔(100)의 구성에 제 1 미끄럼 방지부(101)와 같은 구성으로 한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를 더 갖는 것 이외는 칫솔(100)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는 헤드부(19)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타면(19b)에 설치되어 있고, 타면(19b)의 상방(Z방향)에 돌출하고 있다.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는 연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는 연질 수지로서는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볼록부(71A)(도 9 및 도 10 참조)를 구성하는 연질 수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는 어른이 유아의 어금니의 마무리 닦기를 할 때, 검지의 선단이 접촉하는 부분이다.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의 선단의 형상은 라운드 형상(둥근 형상)으로 하면 좋다.
이렇게,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의 선단의 형상을 라운드 형상으로 함으로써 유아가 자기의 치아를 닦을 경우에 있어서,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의 선단이 유아의 볼의 내측에 접촉했을 때, 유아의 볼의 내측이 상처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의 높이는 예를 들면, 0.3mm 이상 1.5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의 높이란 헤드부(19)의 타면(19b)의 표면으로부터 다른 제 1 미끄럼 방지부의 표면까지의 길이 중, 최대값을 의미한다.
또한, 헤드부(19)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타면(19b)에 복수의 제 1 볼록부(101A)(도 11 및 도 12 참조)를 배치시키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101A)로 제 1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도, 제 6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칫솔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7 실시형태의 칫솔(120)은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을 구성하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6) 및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7)를 변경하여 제 1 미끄럼 방지부(121) 및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22)를 갖는 것 이외는 칫솔(10)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제 1 미끄럼 방지부(121)는 헤드부(19)의 타면(19b)에 배치된 복수의 볼록부(121A)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볼록부(121A)는 도 13에 있어서, 타면(19b)의 상방(Z방향)에 돌출하고 있다. 헤드부(19)의 타면(19b)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볼록부(121A)의 높이는 예를 들면, 0.3mm 이상 1.5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볼록부(121A)의 높이란 헤드부(19)의 타면(19b)의 표면으로부터 제 1 볼록부(121A)의 표면까지의 길이 중, 최대값을 의미한다.
볼록부(121A)는 만곡한 상태에서 Y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121A)의 선단의 형상은 예를 들면, 라운드 형상(둥근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볼록부(121A)는 X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0.5mm 이상 1.5mm 이하의 간격이 바람직하다.
볼록부(121A)는 연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121A)를 구성하는 연질 수지로서는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볼록부(71A)(도 9 및 도 10 참조)를 구성하는 연질 수지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122)는 핸들부(23)의 어깨부의 양 측면에, 상기 어깨부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미끄럼 방지부(122)는 핸들부(23)의 어깨부의 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볼록부(122A)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122A)는 핸들부(23)의 어깨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0.5mm 이상 1.5mm 이하의 간격이 바람직하다. 볼록부(122A)는 핸들부(23)의 어깨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핸들부(23)의 어깨부의 측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볼록부(122A)의 높이는 예를 들면, 볼록부(121A)의 높이와 동일한 값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볼록부(121A)의 높이란 헤드부(19)의 타면(19b)의 표면으로부터 볼록부(121A)의 표면까지의 길이 중, 최대값을 의미한다.
볼록부(122A)를 구성하는 연질 수지로서는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볼록부(72A)(도 9 및 도 10 참조)를 구성하는 연질 수지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21)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17)(오목부(17A)),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31)(오목부(31A)),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52)(복수의 오목부(52A)),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62)(오목부(17A) 및 제 2 연질 수지층(65)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72)(볼록부(72A)) 중 적어도 1개를 조합시켜도 된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122)와, 도 1∼도 4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6)(오목부(16A)),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51)(복수의 오목부(51A)),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61)(오목부(16A) 및 제 1 연질 수지층(64)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71)(볼록부(71A)),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01)(볼록부(101A) 중 적어도 1개를 조합시켜도 된다.
(제 8 실시형태)
도 15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칫솔(30)과 동일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 8 실시형태의 칫솔(140)은 제 2 실시형태의 칫솔(30)을 구성하는 핸들체(11)를 변경하여 핸들체(141)를 갖는 것 이외는 칫솔(30)과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핸들체(14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네크부(22)를 갖고 있지 않고, 헤드부(19)와, 어깨부에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31)(오목부(31A))가 설치된 핸들부(23)를 갖는다.
제 2 미끄럼 방지부(31)(오목부(31A))가 설치된 측의 핸들부(23)의 단부는 헤드부(19)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제 8 실시형태의 칫솔(140)은 먼저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칫솔(3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네크부(22)를 갖는 경우, 및 네크부(22)를 갖지 않고 있는 경우 중 어느 쪽의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제 8 실시형태의 칫솔(140)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51)(복수의 오목부(51A)),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61)(오목부(16A) 및 제 1 연질 수지층(64)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71)(볼록부(71A)),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01)(볼록부(101A)),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제 1 미끄럼 방지부(121)(복수의 볼록부(121A)) 중 적어도 1개를 적용해도 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제 8 실시형태의 칫솔(140)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52)(복수의 오목부(52A)),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62)(오목부(17A) 및 제 2 연질 수지층(65)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72)(볼록부(72A)),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제 2 미끄럼 방지부(122)(복수의 볼록부(122A)) 중 적어도 1개를 적용해도 된다.
(제 9 실시형태)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제 8 실시형태의 칫솔(140)과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칫솔의 배면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도 17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 9 실시형태의 칫솔(150)은 제 8 실시형태의 칫솔(140)을 구성하는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31) 중 하나를 구성 요소로부터 제외한 것 이외는, 칫솔(140)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제 9 실시형태의 칫솔(150)은 1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31)에 핸들부(23)를 유지하는 손가락 중 1개를 배치함으로써 유지하는 손가락의 1개가 제 2 미끄럼 방지부(31)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 가능해지므로 제 1 실시형태의 칫솔(1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 8에서는 일례로서, 지면의 하측에 1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31)를 배치시킨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도 18에 있어서, 지면의 상측에만 1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31)를 배치시켜도 된다. 이 경우,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칫솔(15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 있어서, 각종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2개의 제 2 미끄럼 방지부(72)를 핸들부(23)에 배치시켜도 된다. 이 경우, 제 5 실시형태의 칫솔(7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1 미끄럼 방지부(16, 51, 61, 71, 101, 121)는 필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합해도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2 미끄럼 방지부(17, 31, 52, 62, 72, 122)는 필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합해도 된다.
또한, 제 1 미끄럼 방지부(16, 51, 61, 71, 101, 121)와 제 2 미끄럼 방지부(17, 31, 52, 62, 72, 122)의 조합도 자유롭게 조합해도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2 미끄럼 방지부(17, 31, 52, 62, 72, 122)의 설치 위치는 도 1∼도 18에 나타내는 설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미끄럼 방지부(17, 31, 52, 62, 72, 122)는 필요에 따라서, 최적인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1 미끄럼 방지부(16, 51, 61, 71, 101, 121) 및 제 2 미끄럼 방지부(17, 31, 52, 62, 72, 122)는 X방향으로 복수배치시켜도 좋다.
또한, 제 1 내지 제 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1 미끄럼 방지부(16, 51, 61, 71, 101, 121)는 헤드부(19) 및 네크부(2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면 된다.
제 1 내지 제 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2 미끄럼 방지부(17, 31, 52, 62, 72, 122)는 핸들부(23) 및 네크부(2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면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유아 및 유아의 칫솔질의 마무리를 하는 어른이 사용하는 칫솔에 이용 가능하다.
10, 30, 50, 60, 70, 100, 110, 120, 140, 150 : 칫솔
11, 141 : 핸들체 13 : 브러시부
16, 51, 61, 71, 101, 121 : 제 1 미끄럼 방지부
16A, 17A, 31A, 51A, 52A : 오목부
17, 31, 52, 62, 72, 122 : 제 2 미끄럼 방지부 19 : 헤드부
19a : 일면 19b : 타면
21 : 모속 22 : 네크부
23 : 핸들부 64 : 제 1 연질 수지층
65 : 제 2 연질 수지층
71A, 72A, 101A, 121A, 122A : 볼록부 D1, D2 : 깊이
H1, H2 : 높이
11, 141 : 핸들체 13 : 브러시부
16, 51, 61, 71, 101, 121 : 제 1 미끄럼 방지부
16A, 17A, 31A, 51A, 52A : 오목부
17, 31, 52, 62, 72, 122 : 제 2 미끄럼 방지부 19 : 헤드부
19a : 일면 19b : 타면
21 : 모속 22 : 네크부
23 : 핸들부 64 : 제 1 연질 수지층
65 : 제 2 연질 수지층
71A, 72A, 101A, 121A, 122A : 볼록부 D1, D2 : 깊이
H1, H2 : 높이
Claims (8)
- 헤드부, 핸들부 및 일단이 상기 헤드부와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부와 접속된 네크부를 포함하고,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핸들체와,
상기 헤드부의 일면에 식설된 브러시부와,
상기 헤드부의 타면측에 배치된 제 1 미끄럼 방지부와,
상기 네크부에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양단에서 한쌍이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미끄럼 방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핸들부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 1 방향에서,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와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의 근접단 사이의 거리가 0mm 이상 4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2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 중, 상기 제 1 및 제 2 미끄럼 방지부의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기재가 경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미끄럼 방지부 또는 상기 제 2 미끄럼 방지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재를 피복하고, 또한 상기 경질 수지보다 무른 연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질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104915 | 2014-05-21 | ||
JP2014104915 | 2014-05-21 | ||
PCT/JP2015/061999 WO2015178146A1 (ja) | 2014-05-21 | 2015-04-20 | 歯ブラ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2186A KR20170012186A (ko) | 2017-02-02 |
KR102424023B1 true KR102424023B1 (ko) | 2022-07-22 |
Family
ID=5455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8613A KR102424023B1 (ko) | 2014-05-21 | 2015-04-20 | 칫솔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607849B2 (ko) |
KR (1) | KR102424023B1 (ko) |
CN (1) | CN106455800A (ko) |
WO (1) | WO201517814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2027B1 (ko) * | 2017-10-23 | 2019-10-14 | 하지영 | 파지가 용이한 세정 칫솔 |
JPWO2020044417A1 (ja) * | 2018-08-28 | 2021-08-10 | 株式会社グリーンエッセンス | 子供用歯ブラシ及び子供用歯ブラシの製造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0665B2 (ja) * | 1992-07-17 | 2001-01-31 |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 積層蓋材 |
CN101472502A (zh) | 2004-08-18 | 2009-07-01 | 路普斯有限责任公司 | 牙刷及其制造和使用方法 |
JP2010259655A (ja) * | 2009-05-08 | 2010-11-18 | Kao Corp | 歯ブラシ |
CN203220069U (zh) | 2013-02-05 | 2013-10-02 | 好来化工(中山)有限公司 | 一种牙刷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Z220681A (en) * | 1986-06-26 | 1989-12-21 | Johnson & Johnson Prod Inc | Toothbrush: handle has barrel-shaped grip portion |
JPH0965930A (ja) | 1995-08-30 | 1997-03-11 | Max:Kk | 歯ブラシ |
JP2000125937A (ja) * | 1998-10-21 | 2000-05-09 | Lion Corp | 歯ブラシ |
JP2000197522A (ja) | 1998-12-28 | 2000-07-18 | Sumiko Watanabe | 携帯用歯ブラシ |
US7836539B2 (en) * | 2002-08-09 | 2010-11-23 | Colgate-Palmolive Company | Oral care implement |
JP3130665U (ja) * | 2007-01-22 | 2007-04-05 | 株式会社歯愛メディカル | 歯ブラシ |
-
2015
- 2015-04-20 CN CN201580019984.0A patent/CN106455800A/zh active Pending
- 2015-04-20 KR KR1020167018613A patent/KR10242402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4-20 JP JP2016521005A patent/JP6607849B2/ja active Active
- 2015-04-20 WO PCT/JP2015/061999 patent/WO201517814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0665B2 (ja) * | 1992-07-17 | 2001-01-31 |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 積層蓋材 |
CN101472502A (zh) | 2004-08-18 | 2009-07-01 | 路普斯有限责任公司 | 牙刷及其制造和使用方法 |
JP2010259655A (ja) * | 2009-05-08 | 2010-11-18 | Kao Corp | 歯ブラシ |
CN203220069U (zh) | 2013-02-05 | 2013-10-02 | 好来化工(中山)有限公司 | 一种牙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607849B2 (ja) | 2019-11-20 |
KR20170012186A (ko) | 2017-02-02 |
CN106455800A (zh) | 2017-02-22 |
WO2015178146A1 (ja) | 2015-11-26 |
JPWO2015178146A1 (ja) | 2017-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31534B2 (en) | Toothbrush | |
TWI539912B (zh) | 牙刷 | |
CN110169647B (zh) | 牙刷 | |
EP1864590A1 (en) | Toothbrush with gum cushions on the sides of the head | |
TWI766856B (zh) | 牙刷 | |
KR102424023B1 (ko) | 칫솔 | |
KR20100024408A (ko) | 칫솔 | |
TWI603718B (zh) | Between the teeth brush | |
CN111031850B (zh) | 牙刷 | |
JP5048360B2 (ja) | 歯ブラシ | |
JP6970491B2 (ja) | 歯ブラシ | |
JP5785819B2 (ja) | 歯ブラシ | |
JP2008188133A (ja) | 歯ブラシ | |
CN111093430B (zh) | 牙刷 | |
JP6452220B2 (ja) | 歯ブラシ | |
CN114025643A (zh) | 牙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