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056B1 -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및 보일러 연소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및 보일러 연소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056B1
KR102422056B1 KR1020197033888A KR20197033888A KR102422056B1 KR 102422056 B1 KR102422056 B1 KR 102422056B1 KR 1020197033888 A KR1020197033888 A KR 1020197033888A KR 20197033888 A KR20197033888 A KR 20197033888A KR 102422056 B1 KR102422056 B1 KR 102422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boiler
correction
reference curve
main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383A (ko
Inventor
유지 오카무라
카주키 마수하라
카주노리 타니구치
토루 야마시타
노부히로 카시마
히로아키 니시야마
켄이치로 수토
Original Assignee
엔와이케이 트레이딩 코퍼레이션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와이케이 트레이딩 코퍼레이션,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와이케이 트레이딩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2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22B35/18Applications of computers to steam boile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피드백 보정후의 부하 요구량을 보정하는 연료 보정계수를 출력하는 보일러 연소 제어 시스템이다. 피드백 보정의 전후의 부하 요구량의 비율과 부하 요구량과 연료 투입량과의 관계의 초기값을 규정한 초기값 및 미세조정 함수를 바탕으로 연료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연료 보정 계수 연산부와, 초기값 및 미세조정 함수를 보정하는 기준 곡선 보정 계수를 출력하는 기준 곡선 보정부를 가진다. 기준 곡선 보정부는 측정 주증기 압력과 설정 주증기 압력의 편차를 산출하는 편차 판정부와, 편차의 변동과 관련된 주기를 얻는 주기 판정부와, 진폭을 얻는 진폭 판정부와, 기준 곡선 보정계수를 기준 곡선 보정함수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출력하는 기준 곡선 보정계수 출력부와, 주기와 진폭의 조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킨 경우에 기준 곡선 보정함수를 보정하는 기준 곡선 보정 판정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및 보일러 연소제어 방법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소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일러의부하 요구량에 기초하여 보일러에 대한 연료 투입량을 결정하는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및 보일러 연소제어 방법에 적용하기에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보일러 설비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경우, 보일러(火爐, 버너)에 연료(고체 연료, 액체 연료, 또는 기체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시키고, 그 열을 열교환기로 흡수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열 에너지를 얻는다. 발생된 증기는, 예를 들어, 증기 터빈에 공급함으로써 열에너지에서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어 발전기에 의한 발전 등에 이용된다. 보일러에 대한 연료 투입량은 부하 요구량[예를 들어, 발전요구량(MWD, Mega Watt Demand)이며, 아래에서는 부하 요구량(MWD)이라고 기재할 수 있음]과, 보일러에 대한 연료 투입량[아래에서는 보일러 입력 요구량(BID, Boiler Input Demand)이라고 기재할 수 있음) 사이의 관계식인 연료 함수(FX)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보일러 설비와 관련된 제반 인자, 예를 들어, 연료 성상(性狀)이나 발열량, 버너 오염, 슛 블로워(Soot blower), 기수 온도(氣水溫度) 등에 의한 영향에 의하여 보일러의 운전 상태, 특히 주증기 압력(主蒸氣 壓力)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연료 함수(FX)에 의하여 구한 연료 투입량과 관련된 연료를 보일러에 공급하고, 발생된 주증기 압력을 측정하고, 이것과 미리 설정된 주증기 압력과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비례적분미분(PID: 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제어에 의하여 피드백 보정량을 구하고, 이를 부하 요구량에 가산하여 보일러에 대한 연료 투입량을 보정하는 제어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이에 관련된 기술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 4522326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피드백 보정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값의 비율 또는 차이를 순차적으로 갱신하면서 복수 값을 기억하고, 기억된 복수의 값으로부터 연료 보정 계수를 구하고, 이 보정 계수에 의하여 피드백 보정후의 값을 보정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반 인자의 영향에 의한 보일러의 열효율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정한 연료 투입량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791269호공보(특허문헌 2)에는, 복수 종류연료의 혼합연소 보일러에 있어서, 피드백 보정후의 값을 보정하기 위한 연료 보정계수를 3요소로 세분화하는 것으로부터 연료의 단위 열량의 차이 및 혼소율(混燒率)의 변화에 따른 보일러 열효율의 차이에 대응하여 보일러에 대한 연료 투입량을 보정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JP 4522326 B JP 4791269 B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등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반 인자의 영향에 의한 보일러의 열효율의 변화에 대응하여 피드백 보정 전후의 부하 요구량 (MWD)의 값(또는 다른 제어 값)을 수시로 비교 계측함으로써 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피드백 보정후의 값을 더 보정하여 최적화하기 위한 보정 계수의 값을 자기 학습에 의하여 얻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으로, 부하 요구량(MWD)과 이에 대응하는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과의 관계를 함수(곡선)로서 규정한 연료 함수(FX)는 보일러의 특성을 반영하여 설정되는 것으로서, 종래 기술에서는 과거의 실측 데이터의 축적 등에 기초하여 미리 산출한 고정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보일러의 특성에 기초한 주증기 압력의 거동은 개개의 보일러에서 상이하며, 또한 하나의 보일러에 있어서도 보일러 설비의 갱신 등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다. 즉, 주증기 압력의 실제 거동과 연료 함수(FX)에서 상정하고 있는 바람직한 값(최적 값)의 사이에 극히 근소하지만 괴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괴리는 연료 투입량의 최적 값과의 괴리가 되어 보일러의 연소 제어 프로세스를 불안정화하고 결과적으로 에너지의 손실을 발생시킨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증기 압력의 거동에서의 연료 함수(FX)가 상정하는 최적 값으로부터의 괴리를 검지하고 연료 함수(FX)를 자율적·자기완결적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및 보일러 연소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신규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은 부하 요구량에 대한 소정의 연료 함수를 기초로 산출된 보일러의 연료 투입량의 연료를 상기 보일러에 공급하고, 측정된 상기 보일러의 주증기 압력인 측정 증기압과 미리 설정된 상기 보일러의 주증기 압력인 설정 주증기 압력을 기초로 하여 피드백 보정량을 구하고, 상기 피드백 보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요구량 또는 상기 연료 투입량을 보정하는 플랜트(plant)에 대해서, 상기 피드백 보정 후의 상기 부하 요구량 또는 상기 연료 투입량을 보정하는 연료 보정계수를 출력하는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피드백 보정 전후의 상기 부하 요구량의 비율과, 상기 보일러에 대해서 상기 부하 요구량과 상기 연료 투입량과의 관계의 초기 값을 규정한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연료 보정계수 연산부와, 상기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를 보정하는 기준 곡선 보정계수를 출력하는 기준 곡선 보정부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준곡선 보정부는 상기 측정 주증기 압력과 상기 설정 주증기 압력과의 편차를 산출하는 편차 판정부와 상기 편차의 변동에 관련된 주기를 얻고 기록하는 주기 판정부와 상기 편차의 변동에 관련된 진폭을 얻고 기록하는 진폭 판정부와 상기 기준곡선 보정 계수를 소정의 기준곡선 보정함수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출력하는 기준곡선 보정계수 출력부와, 상기 주기와 상기 진폭의 조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느냐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보일러에 대한 제어 상태를 기초로 상기 기준곡선 보정함수를 보정하는 기준곡선 연료함수 보정 판정부를 갖는다.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를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주증기 압력의 거동에 있어서 연료 함수(FX)가 상정하는 최적 값으로부터의 괴리를 검지하고, 연료 함수(FX)를 자율적·자기완결적으로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기준 곡선 보정부의 구성예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의 보정을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4] 주증기 압력의 거동의 예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어느 한 도면에서 부호를 붙여 설명한 부위에 대해서 다른 도면의 설명 시에 다시 도시하지는 않지만 동일한 부호를 붙여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1)
상술한 바와 같이, 보일러 설비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경우, 보일러 증기 요구량[부하 요구량(MWD)]에 대응하는 연료(예를 들어, 석탄이나 바이오매스 연료 등) 투입량[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은 연료 함수(FX)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이때, 부하 요구량(MWD)은 보일러의 주증기 압력을 소망하는 설정 주증기 압력에 가깝게 할 수 있는 피드백 보정을 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반해, 상기의 특허문헌 1, 2 등에 기재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한 층 더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피드백 보정을 실행하기 전후의 부하 요구량(MWD)의 비율, 즉 주증기 압력의 피드백 보정의 조작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에 기초하여 연료보정 계수를 자기 학습에 의하여 구하고, 그 연료보정 계수에 의하여 부하 요구량(MWD)[또는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을 추가 보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보정은 실질적으로는 연료 함수(FX)를 보정하는 것과 등가(等)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관련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은 상기의 종래 기술에 대해 더욱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 학습의 기초·기점이 되는 기준 곡선을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에 의하여 보정하는 것이다.
이 기준 곡선은 대상이 되는 보일러에 대해 규정된 부하 요구량(MWD)과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과의 관계의 초기 값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 기준 곡선은 연료 함수(FX)와 마찬가지로 과거의 실측 데이터의 축적에 기초하여 미리 산출한 고정 값으로서 설정되어 있었다. 이 경우, 보일러의 설비 갱신이나 그 외의 상태의 변화에 따라서는 주증기 압력의 거동이 연료보정계수에 의한 보정후의 연료 함수(FX)에서 상정하고 있는 최적 값으로부터 근소하게 괴리되어 보일러의 연소제어 프로세스가 불안정해져서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보일러 연료제어 시스템에서는 보일러의 주증기 압력의 거동·상태 변화를 과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시 분석·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의 기준 곡선을 조정함으로써 연료 함수(FX)에 생기는 근소한 차이를 보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처리를 자기완결형의 처리 루프에 의하여 자율적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실시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관련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플랜트에 있어서의 보일러(2)에 대한 연료 투입량이 최적이 되도록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를 이용하여 기준 곡선을 조정하는 것으로 연료보정 계수(K)를 결정하고, 제어 정보로서 보일러(2)에 대한 연료 투입 등을 하는, 미리 설치된 회로(回路) 등에 출력하는[즉, 연료 함수(FX)를 실질적으로 보정함으로써 보일러(2)의 연소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각 기능과 관련된 처리를 실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회로나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하드웨어에 의하여 실장(實裝)된 장치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는, 범용적인 서버 기기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상에 구축된 가상 서버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도시하지 않은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에 의한 HDD(Hard Disk Drive: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의 기록장치로부터 메모리상에 전개되는 OS(Operating System: 운영체계) 등의 미들웨어나 그곳에서 가동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각 기능과 관련된 처리를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하드웨어에 의한 실장과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장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전체를 하나의 케이스에 실장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 기능을 다른 케이스에 실장하고, 이들 케이스 사이를 통신 케이블 등에 의하여 서로 접속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의 실장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플랜트의 환경 등에 따라 적당히 유연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장된 뺄셈 부(11), 기준 곡선 보정 부(12), 곱셈부(13)및 연료 보정계수 연산부(14) 등 각 부분을 갖는다. 또한, 메모리나 HDD등에 기록된 파일이나 테이블로서 실장된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등의 데이터를 갖는다.
플랜트에서, 연료 투입량[도면에서는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일러(2)로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된 주증기(主蒸)는, 예를 들어, 증기 터빈(3)에 공급되어 도시하지 않은 발전기에 의한 발전 등에 이용된다. 발전기에서의 출력에 대응하는 보일러(2)의 부하 요구량(MWD)(입력 증기 요구량)은, 예를 들어, 보일러(2)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 패널 등에 의하여 입력됨과 동시에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에도 입력된다.
한편, 예를 들어, 보일러(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압력계에 의하여 보일러(2)에서 발생한 주증기의 압력이 측정되고, 측정값이 발신기(PX)에 입력된다. 주증기 압력 발신기(PX)로부터 발신된 측정 주증기 압력(PV)은 PID 제어부(4)에 입력되고, PID 제어부(4)에서 본래 있어야 할 주증기 압력인 설정 주증기 압력(SV)과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이 때, 예를 들어, 보일러(2)의 상태(버너의 오염 등), 연료 성상, 기타 제반 인자가 유지되는 조건에서 얻을 수 있는 연료 함수(FX)를 이용하여 연료 투입량을 결정하고 있는 것이라면, 측정 주증기 압력(PV)과 설정 주증기 압력(SV)과의 차이는 거의 생기지 않으며, 연료 함수(FX)에 의하여 소망의 부하(발전기 출력)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보일러(2)의 상태 변화나, 연료 성상, 기타 제반 인자의 변화에 따라 측정 주증기 압력(PV)과 설정 주증기 압력(SV)의 사이에 압력 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PID 제어부(4)에서는 측정 주증기 압력(PV)과 설정 주증기 압력(SV)의 사이의 압력차를 검지하는 경우, 공지의 PID 제어방법에 의하여 피드백 보정량, 즉 연료 부족(또는 과잉)에 의하여 발생한 주증기 압력의 편차(오차량)를 산출하고 이를 덧셈 부(5)에 보낸다. 덧셈 부(5)에서는 PID 제어부(4)에서 보낸 피드백 보정량을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에도 입력되는 부하 요구량(MWD)에 가산하는 것으로서 피드백 보정후의 부하 요구량(MWD')[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을 출력한다[PID 제어부(4) 및 덧셈 부(5)를 피드백 제어부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의 보일러 연료제어 시스템(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2등의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보일러(2)의 효율 등의 특성의 변화에 따른 최적 값으로부터의 괴리에 따라 피드백 제어부[PID제어부(4) 및 덧셈 부(5)]에 의한 피드백 보정의 조작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즉 피드백 보정의 전후 지시 값인 부하 요구량(MWD)과 부하 요구량(MWD')[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의 비율을 뺄셈 부(11)에 의하여 구한다. 그리고, 이를 입력으로 하여, 연료보정 계수 연산부(14)에 의하여 연료보정 계수(K)를 자기 학습에 의하여 산출하고, 출력한다.
출력된 연료보정 계수(K)는 곱셈 부(6)에 의하여 부하 요구량(MWD')[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에 가산된다. 이러한 보정후의 부하 요구량(MWD")[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을 입력으로 하여 연료 투입량 연산부(7)가 연료 함수(FX)에 의하여 이것을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으로 변환한다. 이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에 기초하여 보일러(2)에 연료투입이 제어된다.
덧붙여,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의 연료보정 계수 연산부(14)에 있어서의 연료보정 계수(K)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등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방법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재차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특허문헌 1, 2 등에 기재되어 있듯이,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을 포함한 플랜트 각 부분의 접속 관계나 처리 순서 등은, 도 1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같은 사상의 범위내에서 각종 변형의 구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예에서는 연료보정 계수(K)를 피드백 보정후의 부하 요구량(MWD')에 가산하여 보정하고 있는데, 연료 투입량 연산부(7)에 의하여 요구된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에 가산하여 보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연료 함수(FX)를 직접 보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보정 계수(K)의 결정에 있어서는, 기준 곡선을 기점으로 자기 학습이 이루어지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기준 곡선에 미리 설정된 고정 값이 이용되었다. 이 경우, 보일러(2)의 효율 등의 특성의 변화에 따라 이 기준 곡선에 대해서도 최적 값에서 약간의 괴리가 생겨서 보일러(2)의 연소제어 프로세스가 불안정해져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곡선 보정부(12)에 의하여 보일러(2)의 측정 주증기 압력(PV)과 본래 있어야 할 설정 값인 설정 주증기 압력(SV)과의 비교 계측을 항상 실행하여 보일러(2)의 주증기 압력 거동의 변화를 분석·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준 곡선 보정계수(KP)를 설정한다. 그리고, 이를 곱셈 부(13)에 의하여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에 합산함으로써,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에 규정된 기준 곡선의 초기 값을 실시간으로 보정한다.
도 4는 주증기 압력의 거동의 예에 대한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단의 도면은 각각 시간 경과에 따르는 측정 주증기 압력(PV)의 변동의 예를 곡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아울러 설정 주증기 압력(SV)에 대해서도 직선으로 나타내었다. 상단의 도면은 보정[연료보정 계수(K)에 의한 보정 및 PID 제어에 의한 적분보정]의 정도를 강하게 설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측정 주증기 압력(PV)이 설정 주증기 압력(SV)을 넘어서 크게 변동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중단의 도면은 보정의 정도가 최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측정 주증기 압력(PV)은 설정 주증기 압력(SV)의 부근에서 변동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한 편, 하단의 도면은 보정의 정도를 약하게 설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측정 주증기 압력(PV)은 작은 변동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 설정 주증기 압력(SV)을 넘어서 크게 천천히 변동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에서는 주증기 압력의 거동을 설정 주증기 압력(SV)을 기준으로 한 측정 주증기 압력(PV)의 진동, 즉 설정 주증기 압력(SV)을 중심으로 한 진폭과 주기[측정 주증기 압력(PV)이 설정 주증기 압력(SV)과 교차하는 타이밍의 간격]에 의하여 파악한다. 주증기 압력[측정 주증기 압력(PV)]이 최적의 상태란 기본적으로 중단의 도면에 나타내듯이 진폭이 작고 또한 주기가 짧은 상태를 가리킨다. 덧붙여 주기가 긴 상태란, 하단의 도면에 나타내듯이 측정 주증기 압력(PV)이 설정 주증기 압력(SV)으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보일러(2)의 상태나 연료 성상, 기타 제반 인자가 유지되는 조건으로 얻을 수 있는 연료 함수(FX)를 이용하여 연료 투입량을 결정하는 것이라면, 측정 주증기 압력(PV)과 설정 주증기 압력(SV)과의 차이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실제로는 도 4의 중단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 주증기 압력(PV)은 설정 주증기 압력(SV)을 중심으로 작은 진폭으로 진동하는 형태가 된다. 그러나, 보일러(2)의 상태 변화나, 연료 성상, 기타 제반 인자의 변화에 따라 측정 주증기 압력(PV)과 설정 주증기 압력(SV)과의 사이에 압력차(편차)가 생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편차를 계측하여 측정 주증기 압력(PV)이 최적인 상태, 즉 진폭 및 주기의 값이 작은 상태가 된 타이밍을 검지하고, 그 때의 상태에 기초하여 연료 함수(FX)에 대한 보정계수[본 실시예에서는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에 대한 연료함수 보정계수(KP)]를 산출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준곡선 보정부(12)의 구성예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준곡선 보정부(12)는, 예를 들어, 그의 구성으로서 한 층 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장된 편차 판정부(121), 주기 판정부(122), 진폭 판정부(123), 기준 곡선 보정 판정부(124), 및 기준곡선 보정계수 출력부(125) 등의 각 부분을 가진다. 또한, 메모리나 HDD등에 기록된 파일이나 테이블로서 실장된 주기 이력(126), 진폭 이력(127), 최적 값 정보(128)및 기준곡선 보정 함수(VFX) 등의 각 데이터를 갖는다.
기준곡선 보정부(12)에 입력된 측정 주증기 압력(PV) 및 설정 주증기 압력(SV)은 편차 판정부(121)에 입력되어 그 차이 값(편차)이 산출된다. 산출된 차이 값은 주기 판정부(122) 및 진폭 판정부(123)에 각각 입력되어 측정 주증기 압력(PV)의 거동을 특징짓는 정보로서 그 변동의 주기 및 진폭을 각각 산출한다. 덧붙여, 위에서 말했듯이, 측정 주증기 압력(PV)의 거동은 일정하지 않고, 시시각각 변화한다. 따라서 주기 및 진폭은 긴 시간(예를 들어 30분간)의 이동평균으로서 산출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산출한 주기 및 진폭의 정보는 각각 주기 이력(126) 및 진폭 이력(127)으로서 메모리나 HDD 등에 기록해 둔다.
산출된 주기 및 진폭 값은 기준 곡선 보정 판정부(124)에 입력된다. 기준 곡선 보정 판정부(124)에서는 주기 및 진폭의 값이 최적 값(이에 준하는 일정 범위의 적절한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최적 값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최적 값 정보(128)로서 메모리나 HDD 등에 기록해 둔다. 그리고, 주기 및 진폭이 최적인 상태라고 판정되는 경우에, 최적의 상태에서 벗어날 때까지 가변 함수로서 설정된 기준 곡선 보정함수(VFX)의 값을 이동시킨다.
이 기준 곡선 보정함수(VFX)에 기초하여, 기준 곡선 보정계수 출력부(125)는 부하 요구량(MWD)에 대응하는 기준 곡선 보정계수(KP)를 얻어 출력한다. 이 기준 곡선 보정계수(KP)는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에 대해 곱셈됨으로써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를 보정한다.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의 보정 처리>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초기 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의 보정을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기준 곡선 보정부(12)의 기준 곡선 보정 판정부(124)에 있어서 기준 곡선 보정함수(VFX)를 설정하는 부분까지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후에는, 기준 곡선 보정부(12)의 기준 곡선 보정계수 출력부(125)가 설정된 기준 곡선 보정함수(VFX)에 기초하여 부하 요구량(MWD)에 대응하는 기준 곡선 보정계수(KP)를 얻어 출력한다.
기준 곡선 보정부(12)에서는 우선 편차 판정부(121)가 설정 주증기 압력(SV)을 얻는다(S01). 설정 주증기 압력(SV)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수로서 시스템 내부에 미리 설정해 두어도 되고 보일러(2) 등으로부터의 외부 입력으로서 얻어도 된다. 그 후, 주증기 압력 발신기(PX)로부터 발신되는 측정 주증기 압력(PV)을 얻는다(S02). 상기 처리 순서는 하나의 예이며, 반대의 순서로 실행해도 되고 병행적으로 해도 된다. 설정 주증기 압력(SV)과 측정 주증기 압력(PV)을 얻으면, 이들 사이의 차이를 구하는 편차 처리를 한다(S03). 편차 판정부(121)는 산출한 차이 값의 정보를 주기 판정부(122) 및 진폭 판정부(123)에 각각 입력함과 동시에 단계(S01)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주기 판정부(122)에서는 편차 판정부(121)에서 얻은 주증기 압력의 차이 값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주증기 압력(SV)을 기준으로 한 측정 주증기 압력(PV)의 변동의 주기를 계측한다(S11).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등에 축적한 과거의 차이 값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차이 값의 부합이 반전되는 타이밍을 파악하고, 그 시간 간격을 주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 주증기 압력(PV)의 거동은 일정하지 않고 시시각각 변화한다. 따라서, 주기는 과거의 긴 시간(예를 들어 30분간)의 이력에 기초한 이동 평균으로서 산출한다. 그 후, 계측한 주기가 정상인지 아닌지(마이너스 등의 이상 값이 아닌지)를 판정한다(S12). 정상이 아닌(이상 값인) 경우(S12:N)는, 단계(S11)로 돌아와 주기 계측의 처리를 계속한다.
또한, 진폭 판정부(123)에서도 마찬가지로, 편차 판정부(121)로부터 취득한 주증기 압력의 차이 값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주증기 압력(SV)을 기준으로 한 측정 주증기 압력(PV)의 변동의 진폭을 계측한다(S21). 예를 들면, 차이 값의 절대값을 진폭으로서 파악한다. 진폭에 대해서도, 과거의 장시간(예를 들어 30분간)의 이력 정보의 이동 평균으로서 산출한다. 그 후, 계측한 진폭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2)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S22:N)는, 단계(S21)로 돌아와 진폭 계측의 처리를 계속한다.
주기 및 진폭의 값이 모두 정상인 경우(S12:Y, S22:Y)는, 산출된 주기 및 진폭의 값이 기준곡 선 보정 판정부(124)에 입력 된다. 기준곡선 보정 판정부(124)에서는 과거의 일정 시간 범위내(예를 들어 5분간)에서의 주기의 천이(遷移)를 얻고(S31), 각 주기가 소정의 범위내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2). 소정의 범위내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S32:N)에는,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또는 기준 곡선 보정함수(VFX)에 대한 보정처리를 이미 하고 있는 경우는 이를 종료한다(S38). 이에 따라, 후단의 기준 곡선 보정계수 출력부(125)는 이 시점에서의 기준 곡선 보정함수(VFX)에 기초하여 기준 곡선 보정계수(KP)를 취득하여 출력하게 된다.
한편, 과거의 일정 시간 범위내의 주기가 소정의 범위안에 있는 경우(S32:Y)에는, 계측한 주기 및 진폭이 각각 과거 변동의 이력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최소값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33). 지금까지의 최소값의 정보는, 예를 들어,최적값 정보(128)에 기록해 두도록 해도 좋다. 덧붙여, 주기에 대해서는 단계 (S32)에 있어서의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 것에 더하여, 최소값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주기 및 진폭의 적어도 한 쪽이 최소값이 아닌 경우(S33:N)에는, 아무 것도 하지 않고 혹시 기준곡선 보정함수(VFX)에 대한 보정처리를 이미 하고 있는 경우는 이를 종료한다(S38).
한편, 계측한 주기 및 진폭이 모두 최소값일 경우(S33:N)에는, 최적 값 정보(128)에서 지금까지의 최적 값과 관련된 주기 및 진폭정보를 얻고(S34), 이것과의 비교에 있어서 계측한 주기 및 진폭의 조합이 최적 값이라고 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S35). 어느 것이 최적 값인가의 판정 방법은, 예를 들어, 진폭 값이 소정의 범위내에 들어 있는 것에 더하여, 주기가 보다 작은 것이 최적이라고 하는 등 적당한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계측한 주기 및 진폭의 조합이 최적 값이 아닌 경우(S35:N)에는, 아무 것도 하지 않거나 혹은 기준곡선 보정함수(VFX)에 대한 보정처리를 이미 하고 있는 경우는 이를 종료한다(S38).
한편, 계측한 주기 및 진폭의 조합이 최적 값인 경우(S35:Y)는, 이 조합에 의한 최적 값 정보(128)의 내용을 갱신하고(S36). 기준 곡선 보정함수(VFX)에 대한 보정처리를 시작한다(S37). 기준 곡선 보정함수(VFX)는 부하 요구량(MWD)과 초기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에 대한 보정계수인 기준곡선 보정계수(KP)와의 대응관계의 곡선을 규정하는 가변 함수로서 설정되어 있으며, 이 곡선을 소정량 이동시킴으로써 보정한다. 이 보정은, 예를 들어, 계측된 주기 및 진폭이 최적의 상태에서 벗어날 때까지 계속한다. 덧붙여, 이러한 보정수법은 하나의 예이며, 예를 들면, 계측한 주기 및 진폭의 조합이 최적 값일 때의 제어상태에 있어서의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등의 다른 지표를 이용하여 기준 곡선 보정함수(VFX)[또는 초기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를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에 의하면, 측정 주증기 압력(PV)의 변동의 설정 주증기 압력(SV)에 대한 편차를 주기 및 진폭으로서 측정하고, 그 긴 시간의 천이에 기초하여 주기 및 진폭이 최적인 상태인 타이밍을 특정한다. 그리고, 주기 및 진폭이 최적일 때의 상태에 기초하여 연료 함수(FX)[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초기값 및 미세조정 함수(FXAI)]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곡선 보정계수(KP)를 출력한다. 즉, 실질적으로는 연료 함수(FX)에 생성되는 근소한 엇갈림을 자율적·자기완결적으로 실시간으로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임계압 관류 보일러나 초초임계압 관류 보일러에 적용가능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초임계압 관류 보일러나 초초임계압 관류 보일러에서의 연료 투입량이나 급수량은 주증기 압력 및 물-연료 비율(水燃比)에 의존한다. 물-연료 비율이란 보일러에 대한 급수량과 연료의 중량비로 규정되는 값이다. 이 물-연료 비율은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외부에 설치된 물-연료 비율 마스터로 제어된다. 물-연료 비율 마스터는 열량(주증기 압력)에 따른 적분 처리를 하면서 연료 투입량을 조정하고 있지만, 종래에는 연료 투입량을 적절히 제어할 수 없어서 연소를 안정시킬 수 없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초임계압 관류 보일러나 초초임계압 관류 보일러에서 연료 투입량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201) 이외의 구성은 도 1에서 급수 마스터(208),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 및 덧셈 부(210)가 추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는 보일러(2)에 공급되는 물(액체)과 연료의 중량비로 규정되는 물-연료 비율이 소정의 값(또는 소정의 범위 이내)이 되도록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 BID')[부하 요구량(MWD')]이나 급수량을 조정한다. 이들 제어에 의하여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는 급수량, 파이프내의 유체 온도 및 파이프의 표면온도를 제어한다.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는 도시하지 않은 압력계에 의하여 측정된 주증기 압력(PV)의 측정값이나 급수량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물-연료 비율 마스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물-연료 비율 마스터 신호를 출력한다. 물-연료 비율 마스터 신호는 연료 투입량의 증감에 관한 신호이며, 연료 부족의 경우에는 연료 투입량을 증가시키는 플러스 신호가 되며, 연료 과잉의 경우에는 연료 투입량을 감소시키는 마이너스 신호가 된다.
급수 마스터(208)는 부하 요구량(MWD), 물-연료 비율의 설정 값 등에 기초하여 보일러(2)에 대한 급수량을 조정한다. 덧셈부(210)는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로부터 출력되는 물-연료 비율 마스터 신호에 기초하여 연료 투입량 연산부(7)에서 출력되는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물-연료 비율의 설정 값에 기초하여 보일러(2) 주변의 각 부분에 의하여 급수량이나 연료 투입량이 조정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더욱이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201)에 있어서도 연료 투입량을 제어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201)은 도 1의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1)에 덧셈 부(215)가 추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덧셈 부(215)는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와 접속되어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로부터 출력되는 물-연료 비율 마스터 신호에 기초하여 덧셈 부(5)에서 출력되는 피드백 조정후의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부하 요구량(MWD')]의 값을 조정한다.
덧셈 부(215)는 물-연료 비율 마스터 신호가 플러스 신호이면 보일러 입력 지시값(BID)'에 소정의 값을 덧셈하는 신호처리를 하고, 물-연료 비율 마스터 신호가 마이너스 신호이면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에서 소정의 값을 뺄샘하는 신호처리를 한다. 그리고, 덧셈 부(215)는 신호처리후의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부하 요구량(MWD')]을 뺄셈 부(11)에 출력한다.
뺄셈 부(11)는 부하 요구량(MWD)과 신호처리후의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과의 비율을 산출하여 연료 보정계수 연산부(14)에 출력한다. 연료 보정계수 연산부(14)는 뺄셈 부(11)에서 출력된 비율을 입력으로 하여 신호처리후의 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에 기초한 연료보정 계수(K)를 자기 학습에 의하여 산출하고 출력한다. 덧붙여, 기준 곡선 보정부(12) 및 곱셈 부(13)에 있어서의 처리는, 실시예 1과 같다.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의 제어에 기초한 연료 보정 계수(K)는 곱셈 부(6)에 의하여 부하 요구량(MWD')[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에 곱셈된다. 이 보정후의 부하 요구량(MWD")[보일러 입력 지시 값 (BID")]을 입력으로 하여 연료 투입량 연산부(7)는 연료 함수(FX)에 의하여 이것을 보일러 입력 지시값(BID)으로 변환하고, 덧셈 부(210)에 출력한다. 덧셈 부(210)에 있어서의 처리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효과에 덧붙여 아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료 보정계수 연산부(14)는 피드백 보정전의 부하 요구량(MWD)과 물-연료 비율에 기초하여 조정된 피드백 보정후의 부하 요구량(MWD')[보일러 입력 지시 값(BID')]과의 비율에 기초하여 연료 보정 계수(K)를 산출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의 제어에 기초한 적절한 연료 보정 계수(K)를 산출할 수 있으며, 초임계압 관류 보일러나 초초임계압 관류 보일러에서도 연료 투입량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등이 제공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의 영향을 계산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 입력 지시값(BID)에 대한 물-연료 비율 마스터(209)에 의한 제어의 웨이트(weight of control)를 산출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하여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위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으로,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갖추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서,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구성, 기능, 처리부, 처리 수단 등은, 그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예를 들면, 집적회로로 설계하는 등에 의하여 하드웨어로 실현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각 구성, 기능 등은, 프로세서가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해석하여 실행하는 것으로서 소프트웨어로 실현해도 좋다. 각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파일 등의 정보는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의 기록장치, 또는 IC카드, SD카드, DVD 등의 기록 매체에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도면에서, 제어선(制御線)이나 정보선은 설명상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반드시 실장상의 모든 제어선이나 정보선을 나타내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실제로는 거의 모든 구성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아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보일러의 부하 요구량에 기초하여 보일러에 대한 연료 투입량을결정하는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및 보일러 연소제어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1,201...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2...보일러, 3...증기 터빈, 4...PID제어부, 5...덧셈 부, 6...곱셈 부, 7...연료 투입량 연산부, 11...뺄셈 부, 12...기준 곡선 보정부, 13...곱셈 부, 14...연료 보정계수 연산부,
121...편차 판정부, 122...주기 판정부, 123...진폭 판정부, 124...기준 곡선 보정 판정부, 125...기준곡선 보정계수 출력부, 126...주기 이력, 127...진폭 이력, 128...최적값 정보, 215..덧셈 부,
SV...설정 주증기 압력, PV...측정 주증기 압력, PX...주증기 압력 발신기, MWD, MWD', MWD"...부하 요구량, BID, BID', BID"...보일러 입력 지시 값, K...연료 보정 계수, KP...기준 곡선 보정계수, FX...연료 함수 FXAI..초기값 및 미세조정 함수, VFX...기준 곡선 보정 함수

Claims (7)

  1. 부하 요구량에 대하여 소정의 연료함수를 바탕으로 산출된 보일러의 연료 투입량의 연료를 상기 보일러에 공급하고, 측정된 상기 보일러의 주증기 압력인 측정 주증기 압력과, 미리 설정된 상기 보일러의 주증기 압력인 설정 주증기 압력을 바탕으로 피드백 보정량을 구하며, 상기 피드백 보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요구량 또는 상기 연료 투입량을 보정하는 플랜트에 대해서, 상기 피드백 보정후의 상기 부하 요구량 또는 상기 연료 투입량을 보정하는 연료 보정계수를 출력하는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피드백 보정의 전후의 상기 부하 요구량의 비율 및 상기 보일러 에 대해 상기 부하 요구량과 상기 연료 투입량과의 관계의 초기값을 규정한 초기값 및 미세조정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연료 보정계수 연산부와,
    상기 초기값 및 미세조정 함수를 보정하는 기준 곡선 보정계수를 출력하는기준 곡선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준 곡선 보정부가,
    상기 측정 주증기 압력과 상기 설정 주증기 압력의 편차를 산출하는 편차 판정부와,
    상기 편차의 변동과 관련된 주기를 얻어 기록하는 주기 판정부와,
    상기 편차의 변동과 관련된 진폭을 얻어 기록하는 진폭 판정부와,
    상기 기준 곡선 보정계수를 소정의 기준 곡선 보정함수에 기초하여 산출해 출력하는 기준 곡선 보정계수 출력부와,
    상기 주기와 상기 진폭의 조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 상기 보일러에 대한 제어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곡선 보정함수를 보정하는 기준 곡선 보정 판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재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조건이 상기 진폭이 소정의 범위 안에 있고 상기 주기가 과거의 일정한 시간 범위의 이력에 있어서 가장 작은 것인,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재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주기 판정부 및 상기 진폭 판정부가 각각 상기 주기 및 상기 진폭을과거의 일정 시간에 있어서의 이동 평균에 의하여 얻는,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재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기준 곡선 보정함수가 가변함수로서 설정되며,
    상기 기준 곡선 보정판정부가 상기 기준 곡선 보정함수를 상기 주기와 상기 진폭의 조합이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동안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보정하는,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재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연료 보정계수 연산부가 상기 피드백 보정전의 상기 부하 요구량과 상기 보일러에 공급되는 물과 연료의 중량 대비로 규정되는 물-연료 비율에 기초하여 조정된 상기 피드백 보정후의 상기 부하 요구량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일러 연료제어 시스템.
  6. 부하 요구량에 대한 소정의 연료함수를 바탕으로 산출된 보일러의 연료 투입량의 연료를 상기 보일러에 공급하고, 측정된 상기 보일러의 주증기 압력인 측정 주증기 압력과, 미리 설정된 상기 보일러의 주증기 압력인 설정 주증기 압력을 바탕으로 피드백 보정량을 구하며, 상기 피드백 보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요구량 또는 상기 연료 투입량을 보정하는 플랜트에 대해서, 상기 피드백 보정후의 상기 부하 요구량 또는 상기 연료 투입량을 보정하는 연료 보정 계수를 출력하는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에서의 보일러 연소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피드백 보정의 전후의 상기 부하 요구량의 비율 및 상기 보일러 에 대해 상기 부하 요구량과 상기 연료 투입량과의 관계의 초기값을 규정한 초기값 및 미세조정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연료 보정계수 연산 과정과,
    상기 초기값 및 미세조정 함수를 보정하는 기준 곡선 보정계수를 출력하는기준 곡선 보정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준 곡선 보정 과정이,
    상기 측정 주증기 압력과 상기 설정 주증기 압력의 편차를 산출하는 편차 판정 과정과,
    상기 편차의 변동과 관련된 주기를 얻어 기록하는 주기 판정 과정과,
    상기 편차의 변동과 관련된 진폭을 얻어 기록하는 진폭 판정 과정과,
    상기 기준 곡선 보정계수를 소정의 기준 곡선 보정함수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출력하는 기준 곡선 보정계수 출력 과정과,
    상기 주기와 상기 진폭의 조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조건을 충족시킨 경우에 상기 보일러에 대한 제어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곡선 보정함수를 보정하는 기준 곡선 보정판정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일러 연소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기재된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연료 보정계수 연산 과정 전에, 상기 보일러에 공급되는 물과 연료의 중량비로 규정되는 물-연료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보정후의 상기 부하 요구량을 조정하여, 상기 피드백 보정전의 상기 부하 요구량과 조정한 후의 상기 피드백 보정후의 상기 부하 요구량과의 비율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료 보정계수 연산 과정에서는 조정한 후의 상기 피드백 보정후의 상기 부하 요구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일러 연소 제어방법.
KR1020197033888A 2017-05-16 2018-05-16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및 보일러 연소제어 방법 KR102422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7/018399 2017-05-16
PCT/JP2017/018399 WO2018211598A1 (ja) 2017-05-16 2017-05-16 ボイラ燃焼制御システム、およびボイラ燃焼制御方法
PCT/JP2018/018877 WO2018212224A1 (ja) 2017-05-16 2018-05-16 ボイラ燃焼制御システム、およびボイラ燃焼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383A KR20200029383A (ko) 2020-03-18
KR102422056B1 true KR102422056B1 (ko) 2022-07-18

Family

ID=6427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888A KR102422056B1 (ko) 2017-05-16 2018-05-16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및 보일러 연소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894503B2 (ko)
KR (1) KR102422056B1 (ko)
CN (1) CN110832250B (ko)
AU (1) AU2018270018B2 (ko)
MY (1) MY197403A (ko)
TW (1) TWI672469B (ko)
WO (2) WO2018211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9515A (zh) * 2019-12-06 2020-05-29 华北电力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自适应性的深度调峰负荷速率优化方法及装置
WO2022054193A1 (ja) * 2020-09-10 2022-03-17 郵船商事株式会社 ボイラ燃焼制御システム、およびボイラ燃焼制御方法
WO2022208846A1 (ja) * 2021-04-01 2022-10-06 郵船商事株式会社 超臨界圧貫流ボイラおよび超々臨界圧貫流ボイラ向けボイラ燃焼制御システム、およびボイラ燃焼制御方法
CN113311772B (zh) * 2021-06-07 2022-10-25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火电机组协调控制系统中燃料热值自校正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875A (ja) 2004-12-22 2006-08-03 Nippon Steel Corp ボイラー燃料投入量の決定方法
JP2013155898A (ja) 2012-01-27 2013-08-1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蒸気圧力制御方法
JP2015135219A (ja) 2014-01-20 2015-07-27 中国電力株式会社 ボイラー燃料投入量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2767A (en) * 1978-05-24 1979-12-01 Hitachi Ltd Process accomodation control method
JP2002023806A (ja) * 2000-07-12 2002-01-25 Hitachi Ltd プロセスの制御装置
JP4791269B2 (ja) * 2006-06-27 2011-10-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ボイラ燃料投入量の決定方法、ボイラ燃料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135653B2 (en) * 2007-11-20 2012-03-13 Hitachi, Ltd. Power plant control device which uses a model, a learning signal, a correction signal, and a manipulation signal
JP5108644B2 (ja) * 2008-06-16 2012-12-26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ボイラ制御装置ならびにボイラ制御方法
JP5251356B2 (ja) * 2008-08-21 2013-07-31 三浦工業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燃焼制御方法及びボイラシステム
CN101799170B (zh) * 2010-03-18 2012-02-08 华北电力大学 燃煤锅炉燃料发热量实时校正方法
JP5772644B2 (ja) * 2012-02-10 2015-09-0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蒸気圧力制御方法
JP5736330B2 (ja) * 2012-03-01 2015-06-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蒸気圧力制御方法
JP5970368B2 (ja) * 2012-12-27 2016-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ボイラ制御装置
JP5534065B1 (ja) * 2013-02-28 2014-06-25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875A (ja) 2004-12-22 2006-08-03 Nippon Steel Corp ボイラー燃料投入量の決定方法
JP2013155898A (ja) 2012-01-27 2013-08-1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蒸気圧力制御方法
JP2015135219A (ja) 2014-01-20 2015-07-27 中国電力株式会社 ボイラー燃料投入量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32250B (zh) 2021-07-09
MY197403A (en) 2023-06-16
AU2018270018B2 (en) 2023-04-06
WO2018212224A1 (ja) 2018-11-22
JP6894503B2 (ja) 2021-06-30
WO2018211598A1 (ja) 2018-11-22
JPWO2018212224A1 (ja) 2020-05-21
AU2018270018A1 (en) 2019-12-12
TWI672469B (zh) 2019-09-21
CN110832250A (zh) 2020-02-21
TW201901083A (zh) 2019-01-01
KR20200029383A (ko)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056B1 (ko) 보일러 연소제어 시스템 및 보일러 연소제어 방법
WO2015129498A1 (ja) 燃料制御装置、燃焼器、ガスタービ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557511A (zh) 一种电站锅炉主蒸汽温度全程控制方法
CN109737378A (zh) 变负荷工况下超临界直流炉给水修正量的全程控制方法
JP4522326B2 (ja) ボイラー燃料投入量の決定方法
JP5833851B2 (ja) グリッド周波数レート制限システム
KR102469420B1 (ko) 연료 삭감율 출력 시스템, 연료 삭감율 출력 방법 및 연료 삭감율 출력 프로그램
JP5002658B2 (ja) ボイラー燃料投入量の決定方法
US20210286324A1 (en) Compensator, control system, compensation method, and program
CN112576326B (zh) 一种火电机组滑压优化运行控制方法、装置及设备
WO2022208846A1 (ja) 超臨界圧貫流ボイラおよび超々臨界圧貫流ボイラ向けボイラ燃焼制御システム、およびボイラ燃焼制御方法
JP6067289B2 (ja) 電力系統の縮約モデル作成装置、作成方法及び作成プログラム
US201403097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steam for a steam power plant
WO2022054193A1 (ja) ボイラ燃焼制御システム、およびボイラ燃焼制御方法
JP3293680B2 (ja) 火力発電用ボイラの離散時間モデル規範形適応蒸気温度制御装置
RU2757521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топлива для парового котла
CA2931891C (en) Estimating system parameters from sensor measurements
CN111752203A (zh) 变负荷空气分级动态控制系统及方法
CN113515040A (zh) 火力发电单元机组自适应煤种变化的协调控制系统及方法
KR100729092B1 (ko) 압력용기 수위제어 프로그램의 평가 방법
CN1103022C (zh) 引入等效相对热值的协调控制系统
JP6130777B2 (ja) バルブ異常検出装置および方法
JP2022156440A (ja) ボイ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