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91B1 -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491B1
KR102421491B1 KR1020210052997A KR20210052997A KR102421491B1 KR 102421491 B1 KR102421491 B1 KR 102421491B1 KR 1020210052997 A KR1020210052997 A KR 1020210052997A KR 20210052997 A KR20210052997 A KR 20210052997A KR 102421491 B1 KR102421491 B1 KR 10242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veyor
frame
uni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첸
Priority to KR102021005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2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 B65G19/24Attachment of impellers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86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부, 승하강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 또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고 차량의 전진을 방지하는 턱을 구성하는 스토퍼부,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승하강 구동하는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의 승하강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 또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고 상기 차량의 바퀴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량을 전진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한 피회전장치; 및 상기 피회전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차량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벨트에 체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직선 왕복운동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A device that automatically moves a vehicle unattended}
본 발명은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자동이동 이동시키는 기술은 대표적으로 무인세차기기 등에서 적용된다.
종래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3945 호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연속형 자동 세차장치는 세차기본체와, 피세정차량을 세차기본체 내를 경유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한다. 피세정차량은 세차기본체의 전방에서 컨베이어장치에 구비된 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어 세차기본체 내부로 진입된다. 견인롤러는 피세정차량의 바퀴 뒷편에 배치되고, 컨베이어장치가 회동할 때 피세정차량의 바퀴를 가압하여 밀어주게 된다. 세차 수행시, 피세정차량의 브레이크는 해제된 상태에서 피세정차량은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견인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연속형 자동 세차장치는, 세차기본체의 내부 저면이 세차기본체의 출구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우에 피세정차량이 밀려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선행하는 피세정차량과의 추돌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 다른 예로,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398965 호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하는 피세정차량이 앞쪽으로 과도하게 밀리지 않도록 하여 선행하는 피세정차량과의 추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세차장치의 차량 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여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하는 피세정차량이 앞쪽으로 과도하게 밀리지 않도록 하여 선행하는 피세정차량과의 추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컨베이어 측의 구성의 복잡한 연결 관계를 가지고 있어 잦은 파손의 문제가 있으며, 바퀴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와 컨베이어 사이의 이탈 파손에 따라 컨베이어 전체가 망가지게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3945 호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398965 호
본 발명은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소정의 거리만큼 차량을 자동으로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경로 상에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차량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차량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부, 승하강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 또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고 차량의 전진을 방지하는 턱을 구성하는 스토퍼부,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승하강 구동하는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의 승하강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 또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고 상기 차량의 바퀴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량을 전진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한 피회전장치; 및 상기 피회전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차량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벨트에 체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직선 왕복운동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뒷바퀴 중 어느 하나의 바퀴의 이동을 상기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의 사이의 영역에서 가이드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승하강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는 돌출 또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컨베이어수납프레임 및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수납프레임은, 소정의 폭으로 서로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며 내부가 빈 사각 프레임 바 형상의 제1 및 제2 수용바;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설치된 풀리수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를 서로 고정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 각각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용바홀이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풀리수용부에 설치되는 풀리; 상기 풀리에 설치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에서 회전운동하는 컨베이어벨트; 및 외부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풀리에 결합된 풀리축;를 포함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 각각의 설치되어 복수개의 수용바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 각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이동가이드부에 체결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가이드부를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가압부는 가압부고정축, 상기 가압부고정축의 양측을 고정하는 한쌍의 체결부 및 상기 가압부고정축에 설치된 회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승하강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바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면 위로 돌출 또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회동바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면 위로 돌출되어 소정의 거리로 전진하여 상기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면 상기 회동바는 전진 및 상기 바퀴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전진시키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가압부에 설치된 플레이트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플레이트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면과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회동바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면 위로 돌출되면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소정의 거리만큼 차량을 자동으로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경로 상에 방행하지 않으면서도 차량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차량을 일정 거리만큼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하는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부와 스토퍼부의 사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부와 스토퍼부를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수납프레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와 가압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c는 컨베이어부의 가압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체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제2 체결부의 분해사이도이다.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컨베이어부와 가압부 그리고 이동가이드부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프레임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차량가이드부와 컨베이어부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컨베이터부와 스토퍼부가 프레임부 상에서 하강 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다른 실시예에 다른 컨베이터부와 스토퍼부가 프레임부 상에서 하강 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스토퍼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와 플레이트 고정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구성 중 회전장치에 대한 사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회전장치에 의해 프레임부가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주차 타워 시스템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8은 세차 시스템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부와 스토퍼부의 사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부와 스토퍼부를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a는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수납프레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와 가압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c는 컨베이어부의 가압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제1 체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제2 체결부의 분해사이도이며,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컨베이어부와 가압부 그리고 이동가이드부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프레임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차량가이드부와 컨베이어부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컨베이터부와 스토퍼부가 프레임부 상에서 하강 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8a 및 도 8b는 다른 실시예에 다른 컨베이터부와 스토퍼부가 프레임부 상에서 하강 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9a 및 도 9b는 스토퍼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컨베이어부(100), 스토퍼부(200) 및 프레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100)는 프레임부(300)의 중심(C)을 지나는 서로 수직한 가상의 X, Y 축에서 Y축(도 1c 참조)의 좌측 영역에 프레임부(300)의 세로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부(200)는 X축의 상부 영역에 프레임부(300)의 가로 길이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컨베이어부(100)는 컨베이어수납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수납프레임(110)은 제1 수용바(111a)와 제2 수용바(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용바(111a, 111b)는 제1 폭으로 서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의 제1 폭은 차량의 타이어의 단면폭 보다는 큰 폭이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용바(111a, 111b) 각각은 이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이 비어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수용바(111a, 111b) 각각은 내부가 빈 사각 프레임 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용바(111a, 111b) 각각의 상부 영역에는 이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용바홀(111h)이 형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수납프레임(110)은 한쌍의 제1 풀리수용부(112a) 및 한쌍의 제2 풀리수용부(1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바(111a)의 일측과 제2 수용바(111b) 일측 각각에는 제1 풀리수용부(112a)가 한쌍 설치되고, 제1 수용바(111a)의 타측과 제2 수용바(111b)의 타측 각각에는 제2 풀리수용부(112b) 한쌍이 설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수납프레임(110)은 제1 내지 제3 고정바(113a, 113b, 11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고정바(113a, 113b, 113c) 각각은 제1 및 제2 수용바(111a, 111b) 사이에서 이들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고정바(113a, 113b, 113c)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고정바(113a, 113b, 113c) 각각은 제1 및 제2 수용바(111a, 111b)가 제1 폭으로 유지되도록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컨베이어수납프레임(110)이 제1 내지 제3 고정바(113a, 113b, 113c)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수의 고정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컨베이어수납프레임(110)은 거치바(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바(114)는 제2 수용바(111b)의 타측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더 참조하면, 컨베이어부(100)는 컨베이어수납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컨베이어(120) 및 이동가이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부(100)에는 가압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120)는 한쌍의 제1 풀리(121a), 한쌍의 제2 풀리(121b),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벨트(124a)는 제1 수용바(111a) 상에 위치하고, 제2 컨베이어벨트(124b)는 제2 수용바(111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쌍의 제1 풀리(121a)는 제1 풀리축(122a)에 연결되어 제1 풀리수용부(112a) 상에 수납되어 설치되고, 한쌍의 제2 풀리(121b)는 제 2풀리축(122b)에 연결되어 제2 풀리수용부(112b)상에 수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풀리축(122a)은 한쌍의 제1 풀리(121a)을 고정된 위치가 되도록 하고 이들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이 된다.
제2 풀리축(122b)은 한쌍의 제2 풀리(121b)가 고정된 위치가 되도록 하고 컨베이어수납프레임(110)의 거치바(114)에 설치된 제1 동력제공장치(123)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한쌍의 제2 풀리(121b)들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이 된다.
한쌍의 제2 풀리(121b)의 회전에 따라 한쌍의 제2 풀리(121b)에 연결된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가 한쌍의 제2 풀리(121b)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에 연결된 제1 풀리(121a)가 제1 풀리축(122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컨베이어벨트(124a)는 제1 수용바(111a)의 내부 공간과 상부면을 사이에 두고 제1 수용바(111a)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제2 컨베이어벨트(124b)는 제2 수용바(111b)의 내부 공간과 상부면을 사이에 두고 제2 수용바(111b)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동가이드부(130) 제1 및 제2 이동가이드부(131a, 13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이동가이드부(131a)는 제1 컨베이어벨트(124a)의 상측 제1 컨베이어벨트(124a)와 하측 제1 컨베이어벨트(124a)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컨베이어벨트(12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제1 수용부(111a)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제1 이동가이드부(131a)에는 제1 이동가이드부(131a)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이동가이드부 홀(131h)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가이드부 홀(131h)는 제1 수용부(111a)의 복수개의 수용바홀(111h)과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가이드부(131a)는 제1 수용부(111a)의 상부면에 위치하면 복수개의 수용바홀(111h)들 각각은 복수의 이동가이드부 홀(131h)과 서로 일대일 대응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수용바홀(111h)을 통해 체결수단(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제1 이동가이드부(131a)와 제1 수용부(111a)가 서로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이동가이드부(131b)는 제2 컨베이어벨트(124b)의 상측 제2 컨베이어벨트(124b)와 하측 제2 컨베이어벨트(124b)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컨베이어벨트(124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제2 수용부(111b)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제2 이동가이드부(131b)에는 제2 이동가이드부(131b)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이동가이드부 홀(131h)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가이드부 홀(131h)는 제2 수용부(111b)의 복수개의 수용바홀(111h)과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가이드부(131b)는 제2 수용부(111b)의 상부면에 위치하면 복수개의 수용바홀(111h)들 각각은 복수의 이동가이드부 홀(131h)과 서로 일대일 대응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수용바홀(111h)을 통해 체결수단(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제2 이동가이드부(131b)와 제2 수용부(111b)가 서로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가압부(140)는 한쌍의 제1 및 제2 체결부(141a, 141b), 가압부고정축(148) 및 회동바(149)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제1 및 제2 체결부(141a, 141b) 각각은 가압부고정축(148)을 양측에서 고정하고, 가압부고정축(148)에는 회동바(149)가 축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회동바(149)는 가압부고정축(148)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회동바(149)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 차량이 프레임부(300)에 위치한 경우, 차량의 바퀴의 회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41a)는 제1 이동가이드부(131a)와 제1 컨베이어벨트(124a)에 체결되고, 제2 체결부(141b)는 제2 이동가이드부(131b)와 제2 컨베이어벨트(124b)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의 회전에 따라 제1 체결부(141a)는 제1 이동가이드부(131a)를 따라 제2 체결부(141b)는 제2 이동가이드부(131b)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회동바(149)는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를 더 참조하면, 제1 체결부(141a)는 제1 플레이부(142a), 제1 고정축체결부(143a), 제1 벨트체결부(144a), 제1 벨트고정플레이트(145a), 제1 가이드체결부(14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부(142a)는 상측 제1 컨베이어벨트(124a)와 제1 이동가이드부(13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축체결부(143a)는 제1 플레이부(142a)와 수직하게 제1 플레이부(142a)에 설치되어 가압부고정축(148)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벨트체결부(144a)는 제1 플레이부(142a)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제1 벨트체결부(144a)와 제1 플레이부(142a) 사이에는 상측 제1 컨베이어벨트(124a)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벨트고정플레이트(145a)는 제1 벨트체결부(144a)와 제1 플레이부(142a) 사이에 삽입되어 제1 벨트체결부(144a)와 제1 플레이부(142a) 사이에 위치한 상측 제1 컨베이어벨트(124a)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벨트고정플레이트(145a)의 상부면에는 컨베이어벨트체결돌출부(145p)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체결부(146a)는 제1 플레이부(142a)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제1 가이드체결부(146a) 하측에 위치한 제1 이동가이드부(131a)에 체결되어 제1 이동가이드부(131a)를 따라 직선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체결부(146a)의 하측에는 제1 이동가이드부(131a)가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홈(146g)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부(142b)는 상측 제2 컨베이어벨트(124b)와 제2 이동가이드부(13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축체결부(143b)는 제2 플레이부(142b)와 수직하게 제2 플레이부(142b)에 설치되어 가압부고정축(148)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벨트체결부(144b)는 제2 플레이부(142b)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제2 벨트체결부(144b)와 제2 플레이부(142b) 사이에는 상측 제2 컨베이어벨트(124b)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벨트고정플레이트(145b)는 제2 벨트체결부(144b)와 제2 플레이부(142b) 사이에 삽입되어 제2 벨트체결부(144b)와 제2 플레이부(142b) 사이에 위치한 상측 제2 컨베이어벨트(124b)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벨트고정플레이트(145b)의 상부면에는 컨베이어벨트체결돌출부(145p)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체결부(146b)는 제2 플레이부(142b)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제2 가이드체결부(146b) 하측에 위치한 제2 이동가이드부(131b)에 체결되어 제2 이동가이드부(131b)를 따라 직선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체결부(146b)의 하측에는 제2 이동가이드부(131b)가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홈(146g)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 각각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인 제1 영역에는 컨베이어벨트돌출부(124p)가 형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돌출부(124p)와 암수결합할 수 있도록 한쌍의 제1 풀리(121a), 한쌍의 제2 풀리(121b) 각각의 외주면에는 컨베이어벨트돌출부(124p) 대응하는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돌출부(124p)와 한쌍의 제1 풀리(121a), 한쌍의 제2 풀리(121b) 각각의 외주면 상의 돌출부가 암수결합함으로써 제1 및 제2 풀리(121a, 121b)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서 점선원으로 표시된 부분인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 각각의 내측면 중 일부 영역인 제2 영역에는 전술한바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벨트돌출부(124p)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에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돌출부(124p)는 도 3b에 도시된 컨베이어벨트체결돌출부(145p)와 암수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벨트고정플레이트(145a, 145b)는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가압부(140)가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서로 이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은 서로 하나로 연결된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5a를 참조하면, 프레임부(300)에는 제1 및 제2 개구부(310, 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310)는 제1-1 개구부(311h)와 제1-2 개구부(312h)로 구성된다. 제1 개구부(310)를 통해 스토퍼부(2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프레임부(300)의 상부면 위로 상승 또는 프레임부(300)의 상부면 아래로 하강할 수 있다.
제2 개구부(320)는 제2-1 개구부(321h), 제2-1 개구부(322h) 및 제2-3 개구부(323h)로 구성될 수 있다.
제2-1 개구부(321h)는 제1컨베이어벨트(124a)를 따라 이와 대응하여 형성된 개구부이고, 제2-2 개구부(322h)는 제2 컨베이어벨트(124b)를 따라 이와 대응하여 형성된 개구부이다. 그리고, 제2-1 개구부(321h) 및 제2-1 개구부(322h)는 서로 평행한 개구부이다. 제2-1 개구부(321h) 및 제2-1 개구부(322h) 사이에는 프레임부(300)의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 및 제2 프레임플레이트(302)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1 개구부(321h) 및 제2-1 개구부(322h) 사이의 서로 이격된 폭은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 및 제2 프레임플레이트(302) 사이의 서로 이격된 폭 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3 개구부(323h)는 제2-1 개구부(321h) 및 제2-1 개구부(322h)는 서로 수직한 위치로 구성된다. 제2-1 개구부(321h), 제2-1 개구부(322h) 및 제2-3 개구부(323h)는 하나로 연결되어 하나의 제2 개구부(32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는 제2-3 개구부(323h)를 중심으로 제1 개구부(310)와 가까이에 위치하고 제2 프레임플레이트(302)는 제2-3 개구부(323h)를 중심으로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보다 제1 개구부(310)와 먼거리에 위치한다.
또한, 제1-1 개구부(311h) 및 제2-3 개구부(323h) 사이의 서로 수직 폭은 일반적인 차량의 축거(軸距, wheel base) 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축거란 자동차의 앞바퀴 중심과 뒷바퀴 중심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도 2a,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컨베이어수납프레임(110)은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량가이드부(115a)는 제1 수용바(111a)의 상부 영역에서 제1 수용바(111a)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차량가이드부(115b)는 제2 수용바(111b)의 상부 영역에서 제2 수용바(111b)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140)의 제1 고정축체결부(143a)는 제1 차량가이드부(115a)의 내측면을 따라 가압부(140)의 제2 고정축체결부(143b)는 제2 차량가이드부(115b)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는 프레임부(300)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는 제1 및 제2 수용바(111a, 111b)에 각각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제1 고정축체결부(143a)와 제2 고정축체결부(143b) 사이에는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가 위치한다. 그리고, 도 7a에서와 같이 회동바(149)는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의 상부면을 따라 왕복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도 7b 및 도 8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149)는 이동하여 제2-3 개구부(323h)에 위치하면 컨베이어부(100)는 하강 동작하여 회동바(149)와 함께 프레임부(3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도 8b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 각각은 제1 및 제2 수용바(111a, 111b) 각각에 고정되므로 컨베이어부(100)의 하강과 함께 하강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는 제2-1 개구부(321h), 제2-1 개구부(322h)를 통해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b에서와 같이 회동바(149)는 이동하여 제2-3 개구부(323h)에 위치하면 컨베이어부(100)는 하강 동작하여 회동바(149)와 함께 프레임부(3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도 7c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 각각은 프레임부(300)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를 제외한 컨베이어부(100)만이 하강 이동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스토퍼부(200)는 승하강 구동하여 제1 개구부(310)를 통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 또는 프레임부(300)에 삽입되고 차량의 전진을 방지하는 턱을 구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스토퍼부(200)는 스토퍼턱부(210)와 제2 동력제공장치(230) 그리고 제1 및 제2 승하강장치(241, 24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턱부(210)는 제1 및 제2 스토퍼턱부(211, 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토퍼턱부(211, 212)의 각각의 중심점 사이의 폭은 일반적인 차량의 윤거(輪距, tread)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윤거란 일반적인 차량에서 좌우 타이어가 지면에 닿았을 때 각 타이어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제1 스토퍼턱부(211)는 제1 승하강장치(241)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스토퍼턱부(212)는 제2 승하강장치(242)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동력제공장치(230)는 제1 및 제2 승하강장치(241, 242)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승하강장치(241, 242)의 승하강 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승하강장치(241, 242)의 승하강 운동에 따라 제1 및 제2 스토퍼턱부(211, 212) 각각은 도 7a, 도 7c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310)를 통해 프레임부(300)의 상부면 위로 돌출되거나 프레임부(3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컨베이어부(100)가 하강하면 가압부(140)는 제2-3 개구부(323h)를 통해 프레임부(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은 프레임부(300)의 상부면 중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 사이의 영역을 따라 소정의 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은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에 의해 가이드되어 프레임부(300) 상부면 위로 돌출된 스토퍼부(200)에 의해 전진이 중단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는 차량의 바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차량이 스토퍼부(200)에 의해 이동을 멈추면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물리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하차를 요청할 수 있다.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 완료를 감지하면, 컨베이어부(100)는 상승하여 가압부(140)가 프레임부(300) 상부면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컨베이어부(100)의 상승과 함께 스토퍼부(200)는 하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컨베이어부(100)의 상승에 따른 가압부(140)의 상승이 완료되면 스토퍼부(200)가 하강할 수도 있다.
그 후, 컨베이어부(100)는 구동하여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는 회전하게 되고,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에 결합된 가압부(140)는 차량의 뒷바퀴를 향해 이동하여 뒷바퀴와 밀착될 수 있다. 그 후, 가압부(140)는 스토퍼부(200)를 향하여 전진하면서 차량의 뒷바퀴 중 하나(도시된 예에 따르면 우측 뒷바퀴)를 전방으로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압부(140)의 회동바(149)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바퀴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바퀴와 회동바(149)는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회동바(149)의 회전에 따라 회동바(149)의 회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바퀴는 회전하면서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부(140)는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차량의 앞바퀴가 스토퍼부(200)를 지나간 것으로 감지하면 스토퍼부(2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가압부(140)가 소정의 거리로 이동한 후에 스토퍼부(2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140)의 이동에 따라 차량이 전방으로 자동으로 이동한 후 차량의 뒷바퀴가 돌출된 스토퍼턱부(210)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멈출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턱부(210)와 뒷바퀴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스토퍼부(200)는 하강 동작하여 스토퍼턱부(210)가 프레임부(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140)는 전방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차량의 뒷바퀴를 가압하여 차량이 소정의 거리만큼 추가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와 플레이트 고정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가압부(140)에 설치된 플레이트고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고정부(160)는 한쌍의 가압부 체결부(163), 한쌍의 가압부 체결부(163)에 설치된 플레이트고정부축(162) 및 플레이트고정부축(162)에 설치된 플레이트고정롤러(161)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가압부 체결부(163) 각각의 일측은 가압부(140)의 제1 및 제2 플레이부(142a, 142b)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 체결부(163) 각각의 타측은 플레이트고정부축(162)에 연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고정부축(162)의 좌우 폭은 제1 및 제2 플레이부(142a, 142b) 사이의 이격된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플레이트고정롤러(161)는 회동바(149)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고정롤러(161)와 회동바(149)는 지면을 기준으로 서로 평행하게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고정롤러(161)는 회동바(149)보다 스토퍼부(200)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140)의 위치에 따라서 플레이트고정롤러(161)와 회동바(149) 사이에는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가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회동바(149)가 프레임부(300)의 상부면에 위치한 경우, 플레이트고정롤러(161)와 회동바(149) 사이에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고정롤러(161)는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40)가 프레임부(300)의 상부면 상에서 이동할 때 플레이트고정롤러(161)는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의 하부면 접촉한 상태로 가압부(14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고정롤러(161)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플레이트고정롤러(161)는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1d에서와 같이 가압부(140)의 회동바(149)가 제2-3 개구부(323h)에 위치하면, 컨베이어부(100)는 도 11e에서와 같이 하강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f에서와 같이 회동바(149)는 스토퍼부(200)를 향하여 소정의 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회동바(149)가 이동함에 따라 회동바(149)는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를 지지할 수 있다. 회동바(149)가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를 지지한 상태에서, 차량을 프레임부(300) 상으로 기준라인(RL)까지 이동할 수 있다. 회동바(149)가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를 지지하고 있으므려 차량의 하중에 의해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가 아래로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자동 차량 이동 장치(10)는 차량이 기준라인(RL)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하면, 가압부(140)를 후진시켜 회동바(149)가 제2-3 개구부(323h)에 위치하도록 한다. 회동바(149)가 제2-3 개구부(323h)에 위치하면 컨베이어부(100)는 상승하여 회동바(149)가 프레임부(300)의 상부면 상에 노출되도록 한다. 그 후, 가압부(140)를 전진시켜 회동바(149)와 차량의 바퀴가 서로 접촉하도록 한다. 자동 차량 이동 장치(10)는 회동바(149)와 차량의 바퀴의 접촉이 감지되면 회동바(149)를 전신시키면서 회동바(149)를 회전시켜 차량이 전방의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한다. 이 때, 도 11g에서와 같이 플레이트고정롤러(161)는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의 하부면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므로 차량의 하중에 의해 제1 프레임플레이트(301)가 아래로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구성 중 회전장치에 대한 사이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회전장치에 의해 프레임부가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회전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부(100), 스토퍼부(200) 및 프레임부(300)는 피회전장치(11)로 정의할 수 있다.
회전장치(400)는 피회전장치(11)와 결합하여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피회전장치(11)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피회전장치(11)의 프레임부(300)는 전체적으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 될 수 있다.
회전장치(400)는 바디부(410), 복수의 롤러지지부(420), 중앙지지대(430) 및 회전력제공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410)는 전체적으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 될 수 있다.
바디부(410)는 가장자리 영역이 하나의 원형 테두리 형태를 가지는 방사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410)는 프레임부(300)의 전체적인 형상과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디부(410)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롤러지지부(420)가 설치될 수 있다.
바디부(410)의 중심 영역에는 중앙지지대(430)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지지부(420)와 중앙지지대(430)는 프레임부(300)와 바디부(410)가 일정 거리의 높이의 이격을 유지시킨다.
중앙지지대(430)의 상부 영역은 프레임부(300)의 하부면의 중심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중앙지지대(430)는 바디부(410)와 프레임부(300) 각각에 대한 결합을 유지하면서도 바디부(410)가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부(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롤러지지부(420)는 프레임부(300)의 가장자리 하부 영역을 지지하고 프레임부(3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복수의 롤러지지부(420) 각각은 롤러지지체(421)와 롤러(422)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지지체(421)는 바디부(41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롤러(422)는 롤러지지체(421)에 설치되고 롤러지지체(421)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롤러(422)는 프레임부(300)의 하측면의 가장자리 일 영역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프레임부(30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력제공부(440)는 프레임부(300)의 측면에 마찰력을 통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프레임부(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력제공부(440)는 모터연결부(441)와 롤러시스템(442)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시스템(442)는 모터연결부(441)에 연결된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내장된 롤러를 회전시킨다. 롤러는 프레임부(300)의 측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마찰력에 따라 프레임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300)의 위치를 고정시킬 때는 롤러는 회전하지 않게 되어 프레임부(300)가 외력 등에 의해 원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a, 도 4b, 도 5 및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컨베이어부(100)가 하강하면 가압부(140)는 제2-3 개구부(323h)를 통해 프레임부(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은 프레임부(300)의 상부면 중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 사이의 영역을 따라 소정의 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은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에 의해 가이드되어 프레임부(300) 상부면 위로 돌출된 스토퍼부(200)에 의해 전진이 중단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115a, 115b)는 차량의 바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차량이 스토퍼부(200)에 의해 이동을 멈추면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물리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하차를 요청할 수 있다.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 완료를 감지하면, 컨베이어부(100)는 상승하여 가압부(140)가 프레임부(300) 상부면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컨베이어부(100)의 상승과 함께 스토퍼부(200)는 하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컨베이어부(100)의 상승에 따른 가압부(140)의 상승이 완료되면 스토퍼부(200)가 하강할 수도 있다.
그 후, 컨베이어부(100)는 구동하여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는 회전하게 되고,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에 결합된 가압부(140)는 차량의 뒷바퀴를 향해 이동하여 뒷바퀴와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부(200)와 가압부(140)에 의해서 차량은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 후, 회전장치(400)는 피회전장치(11)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소정의 각도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10)의 설치 장소 및 설치 목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회전장치(400)는 피회전장치(11)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차량이 설정된 위치가 되면, 가압부(140)는 스토퍼부(200)를 향하여 전진하면서 차량의 뒷바퀴 중 하나(도시된 예에 따르면 우측 뒷바퀴)를 전방으로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압부(140)의 회동바(149)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벨트(124a, 124b)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바퀴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바퀴와 회동바(149)는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회동바(149)의 회전에 따라 회동바(149)의 회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바퀴는 회전하면서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부(140)는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차량의 앞바퀴가 스토퍼부(200)를 지나간 것으로 감지하면 스토퍼부(2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10)는 가압부(140)가 소정의 거리로 이동한 후에 스토퍼부(2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140)의 이동에 따라 차량이 전방으로 자동으로 이동한 후 차량의 뒷바퀴가 돌출된 스토퍼턱부(210)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멈출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턱부(210)와 뒷바퀴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스토퍼부(200)는 하강 동작하여 스토퍼턱부(210)가 프레임부(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140)는 전방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차량의 뒷바퀴를 가압하여 차량이 소정의 거리만큼 추가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30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객체 검출용 센서(5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객체 검출용 센서(500)는 프레임부(300)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의 일부 영역은 차량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장치(400)는 구동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객체 검출용 센서(50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프레임부(300)의 회전 동작 개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객체 검출용 센서(500)에 의해 프레임부(300) 상에 차량을 제외한 다른 객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회전장치(400)는 피회전장치(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객체가 검출되면 실시예에 따른 장치(10)는 프레임부(300) 상에서 객체가 검출되었다는 청각적, 시각적, 물리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주차 타워 시스템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장치(10)는 주차 타워 시스템(12)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장치(10)는 주차 타워 시스템(12)의 차량 입구 측(14)의 지면에 매설될 수 있다.
피회전장치(11)는 진입하는 차량과 컨베이어부(100)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초기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피회전장치(11) 상에 위치하면 회전하여(예시적으로 90도 회전) 컨베이어부(100)와 주차 타워 시스템(12)의 차량 가이드 레일(13)이 서로 동일 선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10)는 차량의 바퀴를 가압하여 차량이 차량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이동하여 차량 가이드 레일(13) 상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켜 편리하게 주차 타워 시스템(12) 내부로 차량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도 18은 세차 시스템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장치(10)는 세차 시스템(15)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다른 장치(10)는 세차 시스템(12)의 입구 측의 지면에 매설될 수 있다.
장치(10)의 피회전장치(11)는 진입하는 진입하는 차량과 컨베이어부(100)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초기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피회전장치(11) 상에 위치하면 회전하여 컨베이어부(100)와 세차 시스템(12) 내부의 지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차량 가이드 레일(16)과 서로 동일 선상이 될 수 있다. 그 후, 장치(10)는 차량의 바퀴를 밀어 차량이 차량 가이드 레일(16) 상이 위치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가 주차 타워 시스템(12)에 적용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이고, 주유소, 공간이 협소한 주차장, 차량 검사소 등과 같은 곳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부, 승하강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 또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고 차량의 전진을 방지하는 턱을 구성하는 스토퍼부,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승하강 구동하는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의 승하강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 또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고 상기 차량의 바퀴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량을 전진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한 피회전장치; 및
    상기 피회전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부 상에 위치한 상기 차량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벨트에 체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직선 왕복운동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뒷바퀴 중 어느 하나의 바퀴의 이동을 상기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의 사이의 영역에서 가이드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승하강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차량가이드부는 돌출 또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컨베이어수납프레임 및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수납프레임은,
    소정의 폭으로 서로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며 내부가 빈 사각 프레임 바 형상의 제1 및 제2 수용바;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설치된 풀리수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를 서로 고정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 각각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용바홀이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풀리수용부에 설치되는 풀리;
    상기 풀리에 설치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에서 회전운동하는 컨베이어벨트; 및
    외부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풀리에 결합된 풀리축;를 포함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 각각의 설치되어 복수개의 수용바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수용바 각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이동가이드부에 체결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가이드부를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가압부고정축, 상기 가압부고정축의 양측을 고정하는 한쌍의 체결부 및 상기 가압부고정축에 설치된 회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승하강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바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면 위로 돌출 또는 상기 프레임부에 삽입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면 위로 돌출되어 소정의 거리로 전진하여 상기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면
    상기 회동바는 전진 및 상기 바퀴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전진시키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의 하부면을 지지하고 상기 가압부에 설치된 플레이트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플레이트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면과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회동바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면 위로 돌출되면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무인으로 차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KR1020210052997A 2021-04-23 2021-04-23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KR102421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997A KR102421491B1 (ko) 2021-04-23 2021-04-23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997A KR102421491B1 (ko) 2021-04-23 2021-04-23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491B1 true KR102421491B1 (ko) 2022-07-15

Family

ID=8240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997A KR102421491B1 (ko) 2021-04-23 2021-04-23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4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945Y1 (ko) 2002-11-12 2003-02-12 동양기전 주식회사 세차장치
JP2011152885A (ja) * 2010-01-28 2011-08-11 E-1 Technology Llc 車両回転装置
KR101160408B1 (ko) * 2010-04-02 2012-06-26 한림기계 주식회사 터널 세차기의 타이어 휠 보호용 컨베이어 이송장치
KR101398965B1 (ko) 2012-11-23 2014-05-27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세차장치의 차량 밀림 방지 장치
CN211970845U (zh) * 2020-01-23 2020-11-20 北京富来盈洗车设备有限公司 平板式输送机链板带清洗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945Y1 (ko) 2002-11-12 2003-02-12 동양기전 주식회사 세차장치
JP2011152885A (ja) * 2010-01-28 2011-08-11 E-1 Technology Llc 車両回転装置
KR101160408B1 (ko) * 2010-04-02 2012-06-26 한림기계 주식회사 터널 세차기의 타이어 휠 보호용 컨베이어 이송장치
KR101398965B1 (ko) 2012-11-23 2014-05-27 동양기전 주식회사 자동세차장치의 차량 밀림 방지 장치
CN211970845U (zh) * 2020-01-23 2020-11-20 北京富来盈洗车设备有限公司 平板式输送机链板带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50029B (zh) 车辆检测装置
US8342223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itting or removing a motor vehicle tyre
KR102463268B1 (ko) 물품 반송 설비, 및 물품 반송차
CN207260700U (zh) 梳齿agv搬运器
KR920703948A (ko) 3차원적 차량 주차체계용 구동 매카니즘
KR920006960B1 (ko) 회전테이블장치
KR102421491B1 (ko)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장치
US4715287A (en) Vehicle conveyor and wheel engaging dolly
JPH11171010A (ja) 無人運搬車
CN212903108U (zh) 一种车辆底盘检测装置及车辆底盘自动检测结构
KR102085370B1 (ko) 차량 이송장치
CN212539649U (zh) Adas高级驾驶辅助系统标定工站
KR102247027B1 (ko) 무인으로 차량을 자동 이동시키는 장치
KR20040083666A (ko) 도서 무인반납시스템
JPH05170054A (ja) 洗車機における車種判別装置
CN212130087U (zh) 滚动循环式立体车库
JP2769674B2 (ja) 機械式駐車装置用走行台車
CN212317604U (zh) 一种平面移动类立体车库
CN219914871U (zh) 车辆检测装置
CN218058029U (zh) 一种无牵引电梯安装平台用锁紧装置
CN210294564U (zh) 一种牛角电容器换向检测装置
KR102597562B1 (ko) Oht 반송차의 이중커브구간 운행방법
KR102515943B1 (ko) 회전식 주차 플랫폼
KR102132616B1 (ko) 수직 순환식 주차설비용 구동장치
CN111877823A (zh) 一种平面移动类立体车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