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079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079B1
KR102421079B1 KR1020150187256A KR20150187256A KR102421079B1 KR 102421079 B1 KR102421079 B1 KR 102421079B1 KR 1020150187256 A KR1020150187256 A KR 1020150187256A KR 20150187256 A KR20150187256 A KR 20150187256A KR 102421079 B1 KR102421079 B1 KR 10242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source
beam pattern
incid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401A (ko
Inventor
한효진
장주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0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41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of complex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차량의 외부로 빔 패턴을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이며,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상기 렌즈 내부로 입사된 빛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입사면과 상기 출사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평면 영역과 곡면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로 조명 또는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에는 로우빔, 하이빔, 턴 시그널, 포지션 램프들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DRL(daytime running light)이 추가되는 경향이다. 그리고,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 램프에는, 미등, 브레이크, 후진등, 턴 시그널 램프들이 설치된다.
특히 로우빔 램프는 야간 주행이나 악천후 상황에서 점등되어 차량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 램프이다. 하지만, 대항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하기 위해 소정의 컷-오프 라인의 하부로 빔 패턴이 조사될 것이 강제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램프 모듈을 보다 밀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보다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차량의 외부로 빔 패턴을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이며,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상기 렌즈 내부로 입사된 빛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입사면과 상기 출사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평면 영역과 곡면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평면 영역은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곡면 영역은 상기 평면 영역과 상기 입사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 영역에서 반사된 후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된 빛이 형성하는 빔 패턴은 상기 평면 영역에서 반사된 후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된 빛이 형성하는 빔 패턴보다 폭이 좁을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상기 로우빔 패턴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와이드 빔 패턴을 출사하는 제1 렌즈 및 상기 와이드 빔 패턴 보다 작은 폭을 갖는 미드 빔 패턴을 출사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측면 중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곡면 영역의 비율은 상기 제1 렌즈의 측면 중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곡면 영역의 비율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출사면은,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1 출사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사면의 상단부보다 큰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출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사면은, 상기 제1 출사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사면의 하단부와 단차를 형성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3 출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출사면은 상기 제1 출사면보다 작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은,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연결하는 상부 측면 및 상기 제3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연결하는 하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측면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 영역은 상기 상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은 중앙부로부터 입사면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중 하부 영역은 하부로 갈수록 외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만곡한 제2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사면은, 상기 광원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입사면 및 상기 제1 입사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향 출사되는 빛이 입사되는 제2 입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상기 출사면을 향해 만곡하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렌즈의 광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광원은 상기 제1 광원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로우빔 패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은 SBL(static bendig light) 패턴, DBL(dynamic bending light) 패턴, 코너링 빔 패턴, 주간 주행 빔 패턴 및 포지션 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복수의 램프 모듈을 보다 밀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보다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발광 유닛 및 쉴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렌즈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렌즈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렌즈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출사되는 로우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렌즈가 서로 다른 빔 패턴을 출사하도록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렌즈에 의해 출사되는 서로 다른 2개의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렌즈 모듈(20)과 제2 렌즈 모듈(30)을 포함한다.
제1 렌즈 모듈(20)은 제1 렌즈(210), 제1 발광 유닛(230) 및 제1 쉴드(220)를 포함하고, 제2 렌즈 모듈(30)은 제2 렌즈(310), 제2 발광 유닛(330) 및 제2 쉴드(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로우빔 패턴 중 일부 패턴을 차량의 전방에 조사하는 램프로서, 제1 렌즈 모듈(20)은 로우빔 패턴 중 근거리에 조사되는 와이드 빔 패턴을 조사하고, 제2 렌즈 모듈(30)은 로우빔 패턴 중 원거리와 근거리 사이에 조사되는 미드 빔 패턴을 조사한다. 일반적을 와이드 빔 패턴은 로우빔 패턴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도록 출사되고, 미드 빔 패턴은 와이드 빔 패턴과 일부가 중첩되며 와이드 빔 패턴보다는 작은 폭을 갖도록 출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210) 및 제2 렌즈(310)는 높이나 길이에 비해 폭이 좁고 출사면(211, 212, 311, 312, 313)은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D자 형상을 갖는다.
일반적인 렌즈가 전방에서 출사면을 바라봤을 때 원형으로 보이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210) 및 제2 렌즈(310)는 전방에서 출사면을 바라봤을 때, 높이(세로 길이)가 폭(가로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된 사각형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원형 타입의 렌즈에 비해 복수의 램프 모듈(20, 30)을 보다 밀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보다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제1 렌즈(210) 및 제2 렌즈(3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렌즈 모듈(20)의 제1 발광 유닛(230) 및 제1 쉴드(220)와 제2 렌즈 모듈(30)의 제2 발광 유닛(330) 및 제2 쉴드(320)는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렌즈 모듈(20)의 제1 발광 유닛(230) 및 제1 쉴드(2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제2 렌즈 모듈(30)의 제2 발광 유닛(330) 및 제2 쉴드(3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발광 유닛 및 쉴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 유닛(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32)이 포함된다.
광원(232)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 제1 발광 유닛(230)은 반도체 발광 소자인 광원(232)을 구동하기 위한 기판(2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231)에는 커넥터(23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232)과 커넥터(233)는 기판(231) 상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커넥터(233)는 외부의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복수의 광원(232)이 발광되기 위한 전력 및 복수의 광원(232)을 점등/소등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쉴드(220)는 광원(232)과 제1 렌즈(210) 사이에 구비된다. 제1 쉴드(220)는 광원(232)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일부를 차단하여 로우빔 패턴(L, 도 8 참고)의 컷-오프 라인(C1, 도 6 참고)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제1 쉴드(220)의 상단에는 로우빔 패턴(L)의 컷-오프 라인(C1)과 대응하는 경계 라인(221)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로우빔 패턴(L)의 컷-오프 라인(C1 ~ C3)과 대응하는 경계 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광원(232)으로부터 출사되어 제1 쉴드(22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빛은 제1 렌즈(210)로 입사되고 제1 렌즈(210)를 통과하여 로우빔 패턴의 와이드 빔 패턴(W, 도 8 참고)을 형성하게 된다.
제2 렌즈 모듈(30)의 경우, 광원(332)으로부터 출사되어 제2 쉴드(32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빛은 제2 렌즈(310)로 입사되고 제2 렌즈(310)를 통과하여 로우빔 패턴의 미드 빔 패턴(M1, M2, 도 8 참고)을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렌즈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210)의 입사면(215)은 후면에 형성된다. 입사면(215)은 제1 입사면(215b) 및 제2 입사면(215a)을 포함한다.
제1 입사면(215b)은 제1 렌즈(210)의 후면 중앙부에 위치한다. 발광 유닛(230)의 광원(232)과 제1 쉴드(220)의 경계 라인(221)은 제1 입사면(215b)에 인접하도록 제1 렌즈(21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입사면(215a)은 제1 입사면(215b)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광원(232)으로부터 상향 출사되는 빛이 입사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사면(215a)은 전방을 향해 만곡하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사면(215a)이 전방을 향해 만곡하게 함몰 형성됨에 따라 제1 렌즈 모듈(20)에 의해 출사되는 와이드 빔 패턴(W, 도 8 참고) 중 적어도 일부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입사면(215a)이 편평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렌즈 모듈(20)에 의해 출사되는 와이드 빔 패턴이 T자 형상으로 중앙 하단이 하방으로 쳐지는 빔 패턴으로 출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사면(215a)의 상부에는 제1 렌즈(210)를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지지단(21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사면(215b)의 하부에는 제1 렌즈(210)를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제2 지지단(21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210)의 전면에는 출사면(211, 212)이 형성된다. 제1 렌즈(210)의 출사면은 제1 출사면(211)과 제2 출사면(2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출사면(211)은 출사면의 절반 이상의 영역에 형성된다. 제1 출사면(211)은 실린더 렌즈와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출사면(212)은 제1 출사면(211)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2 출사면(212)은 제1 출사면(211)의 상단부보다 큰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출사면(212)이 제1 출사면(211)의 상단부보다 큰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 렌즈 모듈(20)에 의해 출사되는 와이드 빔 패턴(W, 도 8 참고) 중 적어도 일부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출사면(212)이 형성되지 않고, 제1 출사면(211)이 곡률을 유지하며 출사면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경우, 제1 출사면(211)의 상부에서 출사되는 빛은 하방으로 지나치게 굴절되어 제1 렌즈 모듈(20)에 의해 출사되는 와이드 빔 패턴이 T자 형상으로 중앙 하단이 하방으로 쳐지는 빔 패턴으로 출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210)의 측면은 상부 측면(214a, 214b) 및 하부 측면(214d)을 포함한다.
상부 측면(214a, 214b)은 평면 영역(214a)과 곡면 영역(214b)을 포함한다.
곡면 영역(214b)은 입사면(215)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평면 영역(214a)은 곡면 영역(214b)과 출사면(211, 212)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곡면 영역(214b)은 대략 포물면으로 형성되어, 입사면(215)을 통해 제1 렌즈(210)의 내부로 진행한 빛 중 곡면 영역(214b)에서 반사된 빛이 출사면(211, 212)을 향해 대략 직진하도록 한다.
평면 영역(214a) 역시 제1 렌즈(210)의 내부로 진행한 빛 중 평면 영역(214a)에서 반사된 빛이 출사면(211, 212)을 향하도록 반사하지만, 평면 영역(214a)에서 반사된 빛은 입사된 각도와 대략 같은 크기의 반사 각도로 반사된다. 따라서, 좌측의 평면 영역(214a)에서 반사된 빛은 대부분 우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진행하고, 우측의 평면 영역(214a)에서 반사된 빛은 대부분 좌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진행한다.
그 결과, 평면 영역(214a)에서 반사되어 출사되는 빔 패턴은 곡면 영역(214b)에서 반사되어 출사되는 빔 패턴보다 넓은 폭의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곡면 영역(214b)에서 반사되어 출사되는 빔 패턴은 와이드 빔 패턴(W, 도 8 참고)의 중앙 영역 또는 중앙 상부 영역에 조사되며 해당 영역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측면은 하부로 갈수록 외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만곡한 제2 곡면 영역(214d)을 포함한다. 제2 곡면 영역(214d)은 제1 렌즈(210)의 오목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곡면 영역(214d)의 형상은 제1 렌즈(210)의 출사면(211)을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의 좌측 및 우측 영역을 아래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제1 렌즈(210)의 출사면(211)의 하부 영역과 같이 전체적으로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강하는 반구 형상의 출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은 좌측 및 우측 영역이 중앙 영역에 비해 위에 형성된 대략 'U'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210)의 제2 곡면 영역(214d)은 하부로 갈수록 외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만곡한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제1 렌즈(210)의 출사면(211)을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에서 좌우 끝단이 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측면은 역시 평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측면의 평면 영역은 제1 출사면(211)과 제2 곡면 영역(214d)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은 입사면(215)을 통해 제1 렌즈(210) 내부로 진행한 광원(232)의 빛을 전반사하는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 크롬 등의 금속 물질로 증착, 코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210)의 측면에는 중앙부로부터 입사면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리세스부(214c)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214c)는 측면에서 반사되어 진행하는 빛이 로우빔 패턴(L)의 컷-오프 라인(C1 ~ C3)의 상부로 진행하거나 요구되는 와이드 빔 패턴(W)보다 하방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리세스부(214c)는 측면으로 진행하는 빛 중 일부를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켜 제1 렌즈 모듈(20)에 의해 출사되는 와이드 빔 패턴(W)이 의도하는 형상을 갖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렌즈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렌즈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2 렌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10)의 입사면(315)은 제1 렌즈(210)의 입사면(215)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즉, 제2 렌즈(310)의 입사면(315) 역시 후면에 형성되며, 입사면(315)은 제1 입사면(315b) 및 제2 입사면(315a)을 포함한다. 제1 입사면(315b) 및 제2 입사면(315a)의 형상 및 기능은 전술한 제1 렌즈(210)의 제1 입사면(215b) 및 제2 입사면(215a)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2 렌즈(310) 역시 제2 입사면(315a)의 상부에는 제2 렌즈(310)를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지지단(317)이 형성되고, 제1 입사면(315a)의 하부에는 제2 렌즈(310)를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제3 지지단(31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10)의 전면에는 출사면(311, 312, 313)이 형성된다. 제2 렌즈(310)의 출사면은 제1 출사면(311), 제2 출사면(312) 및 제3 출사면(3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렌즈(310)의 출사면은 상부 영역에 제1 출사면(311)과 제2 출사면(312)이 형성되고, 하부 영역에 제3 출사면(3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출사면(311)은 실린더 렌즈와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출사면(312)은 제1 출사면(311)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2 출사면(312)은 제1 출사면(311)의 상단부보다 큰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310)의 제2 출사면(312)은 전술한 제1 렌즈(210)의 제2 출사면(212)과 형상 및 기능이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출사면(313) 역시 실린더 렌즈와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제1 출사면(311)에 비해 작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출사면(313)은 제1 출사면(311)의 하단부와 단차를 형성하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10)의 측면은 제1 출사면(311)과 입사면(315)을 연결하는 상부 측면(314a, 314b)과 제3 출사면(313)과 입사면(315)을 연결하는 하부 측면(314c)을 포함한다.
상부 측면(314a, 314b)은 평면 영역(314a)과 곡면 영역(314b)을 포함한다. 곡면 영역(314b)은 입사면(315)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평면 영역(314a)은 곡면 영역(314b)과 제1 출사면(311)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평면 영역(314a)과 곡면 영역(314b)의 기능에 대해서는 제1 렌즈(21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210)와 제2 렌즈(310)는 평면 영역(214a, 314a)과 곡면 영역(214b, 314b)의 비율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렌즈(210)의 평면 영역(214a)의 길이(d1)는 제2 렌즈(310)의 평면 영역(314a)의 길이(d3)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1 렌즈(210)의 곡면 영역(214b)의 길이(d2)는 제2 렌즈(310)의 곡면 영역(314b)의 길이(d4)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렌즈(310)의 측면 중 곡면 영역(314b)의 비율은 제1 렌즈(210)의 측면 중 곡면 영역(214b)의 비율 보다 크게 된다. 또는, 제2 렌즈(310)의 평면 영역(314a)에 대한 곡면 영역(314b)의 비율은 제1 렌즈(210)의 평면 영역(214a)에 대한 곡면 영역(214b)의 비율 보다 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 모듈(20)은 로우빔 패턴(L) 중 와이드 빔 패턴(W)을 조사하고, 제2 렌즈 모듈(30)은 제1 렌즈 모듈(20)에 의해 조사되는 와이드 빔 패턴(W) 보다 폭이 작은 로우빔 패턴(L) 중 미드 빔 패턴(M1, M2)을 조사한다.
따라서, 제2 렌즈(310)는 반사되는 빛을 대략 출사면을 향해 직진하도록 반사하는 곡면 영역(314b)의 비율이 제1 렌즈(210)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제1 렌즈 모듈(20)에 의해 출사되는 빔 패턴보다 폭이 작은 미드 빔 패턴(M1, M2)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제2 렌즈(310)의 하부 측면(314c)은 곡면 영역으로만 형성되거나 평면 영역을 포함하더라도 상부 측면(314a, 314b)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측면(314c)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측면(314a, 314b)과 단차를 형성하며 제2 렌즈(31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측면(314c)의 곡면 영역 비율이 상부 측면(314a, 314b) 보다 높고, 제3 출사면(313)은 제1 출사면(311) 보다 작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3 출사면(313)을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M1)은 제1 출사면(311)을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M2)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출사되는 로우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 모듈(20)은 로우빔 패턴(L) 중 와이드 빔 패턴(W)을 조사하고, 제2 렌즈 모듈(30)은 제1 렌즈 모듈(20)에 의해 조사되는 와이드 빔 패턴(W) 보다 폭이 작은 로우빔 패턴(L) 중 미드 빔 패턴(M1, M2)을 조사한다.
미드 빔 패턴(M1, M2)은 제2 렌즈(310)의 제3 출사면(313)을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M1)과 제1 출사면(311)을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M2)으로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렌즈가 서로 다른 빔 패턴을 출사하도록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렌즈에 의해 출사되는 서로 다른 2개의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렌즈(210)의 입사부(215)에는 제1 광원(232)과 제2 광원(234)이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 광원(232)은 제1 렌즈(210)의 광축(A) 상에 위치하고, 제2 광원(234)은 제1 광원(232)의 하부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210)는 제1 광원(232)에서 출사된 빛이 컷-오프 라인(C1)을 형성하는 와이드 빔 패턴(W)으로 조사하도록 형성되므로, 광축(A)의 하부에 위치한 제2 광원(234)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제1 렌즈(210)를 통과하며 일부가 컷-오프 라인의 상부로 조사되는 빔 패턴(D)을 형성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원(234)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컷-오프 라인(C1)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D)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광원(234)에서 출사된 빛은 DRL(daytime running light) 패턴, 즉 주간 주행 빔 패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2 광원(234)을 디밍(dimming) 제어하여 제2 광원(234)에서 출사된 빛을 포지션 빔 패턴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광원(234)에서 출사된 빛을 SBL(static bendig light) 패턴, DBL(dynamic bending light) 패턴, 코너링 빔 패턴, 하이빔 패턴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광원(232)과 제2 광원(234)는 각각 독립적으로 점등/소등되도록 제어되어 각 광원에 의해 출사되는 빔 패턴이 독립적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렌즈(210)를 이용해 서로 다른 빔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제1 렌즈 모듈(20)에 제1 광원(232)과 제2 광원(234)이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제2 광원(234)은 제2 렌즈 모듈(30)에 구비되어 제2 렌즈(310)에 의해 서로 다른 빔 패턴이 출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제1 렌즈 모듈
30: 제2 렌즈 모듈
210: 제1 렌즈
211. 311: 제1 출사면
212, 312: 제2 출사면
214a, 314a: 평면 영역
214b, 314b: 곡면 영역
214c: 리세스부
214d: 제2 곡면 영역
215, 315: 입사면
215a, 315a: 제2 입사면
215b, 315b: 제1 입사면
217, 317: 제1 지지단
218, 318: 제2 지지단
220: 제1 쉴드
230: 제1 발광 유닛
231, 331: 기판
232, 332: 광원
233, 333: 커넥터
234: 제2 광원
310: 제2 렌즈
313: 제3 출사면
314c: 하부 측면
320: 제2 쉴드
330: 제2 발광 유닛

Claims (16)

  1.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차량의 외부로 빔 패턴을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상기 렌즈 내부로 입사된 빛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입사면과 상기 출사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평면 영역과 곡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평면 영역은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곡면 영역은 상기 평면 영역과 상기 입사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영역에서 반사된 후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된 빛이 형성하는 빔 패턴은 상기 평면 영역에서 반사된 후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된 빛이 형성하는 빔 패턴보다 폭이 좁은,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로우빔 패턴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와이드 빔 패턴을 출사하는 제1 렌즈 및 상기 와이드 빔 패턴 보다 작은 폭을 갖는 미드 빔 패턴을 출사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측면 중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곡면 영역의 비율은 상기 제1 렌즈의 측면 중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곡면 영역의 비율보다 큰,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1 출사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사면의 상단부보다 큰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출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상기 제1 출사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사면의 하단부와 단차를 형성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3 출사면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출사면은 상기 제1 출사면보다 작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기 제1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연결하는 상부 측면 및 상기 제3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연결하는 하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측면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영역은 상기 상부 측면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중앙부로부터 입사면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은,
    상기 광원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입사면 및
    상기 제1 입사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향 출사되는 빛이 입사되는 제2 입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상기 출사면을 향해 만곡하게 함몰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렌즈의 광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광원은 상기 제1 광원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로우빔 패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은 SBL(static bendig light) 패턴, DBL(dynamic bending light) 패턴, 코너링 빔 패턴, 주간 주행 빔 패턴 및 포지션 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되는, 차량용 램프.
  16.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차량의 외부로 빔 패턴을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을 통해 상기 렌즈 내부로 입사된 빛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입사면과 상기 출사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평면 영역과 곡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중 하부 영역은 하부로 갈수록 외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만곡한 제2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50187256A 2015-12-28 2015-12-28 차량용 램프 KR10242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56A KR102421079B1 (ko) 2015-12-28 2015-12-28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56A KR102421079B1 (ko) 2015-12-28 2015-12-28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401A KR20170077401A (ko) 2017-07-06
KR102421079B1 true KR102421079B1 (ko) 2022-07-18

Family

ID=5935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256A KR102421079B1 (ko) 2015-12-28 2015-12-28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0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7351A (ja) 2002-07-15 2004-02-12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09238469A (ja) 2008-03-26 2009-10-15 Stanley Electric Co Ltd 灯具用投影レンズ、車両用光学ユニット、及び、車両用灯具
JP2015176745A (ja) 2014-03-14 2015-10-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レンズ体及び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1325B2 (ja) * 1992-06-19 2002-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灯具装置
US5365412A (en) * 1993-01-07 1994-11-15 Ford Motor Company Low profile illumin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7351A (ja) 2002-07-15 2004-02-12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09238469A (ja) 2008-03-26 2009-10-15 Stanley Electric Co Ltd 灯具用投影レンズ、車両用光学ユニット、及び、車両用灯具
JP2015176745A (ja) 2014-03-14 2015-10-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レンズ体及び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401A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9311B (zh) 车辆用灯具
US7178960B2 (en) Vehicular illumination lamp
EP2620697B1 (en) Vehicle lighting unit with projection lens and led
EP2993392A1 (en) Lens member and vehicle lighting unit
JP2004342574A (ja) 車両用灯具
KR102289755B1 (ko)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JP7364409B2 (ja) 車両用ランプ
JP5381351B2 (ja) 車両用灯具
KR101794065B1 (ko)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101987286B1 (ko) 차량용 램프
EP3789665B1 (en) Headlight
KR20150051672A (ko) 차량용 램프
KR102421079B1 (ko) 차량용 램프
KR102522911B1 (ko) 차량용 램프
KR102160529B1 (ko) 차량용 램프
KR102405441B1 (ko) 차량용 램프
KR20220043782A (ko) 차량용 램프
JP5501780B2 (ja) 光学ユニット
KR102340502B1 (ko) 차량용 램프
KR101979572B1 (ko) 차량용 램프
KR20200079823A (ko) 차량용 램프
KR102002028B1 (ko) 차량용 램프
US20230341101A1 (en) Lamp for vehicle
KR101937972B1 (ko) 차량용 램프
KR20230150526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