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526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526A
KR20230150526A KR1020220050018A KR20220050018A KR20230150526A KR 20230150526 A KR20230150526 A KR 20230150526A KR 1020220050018 A KR1020220050018 A KR 1020220050018A KR 20220050018 A KR20220050018 A KR 20220050018A KR 20230150526 A KR20230150526 A KR 20230150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pattern
focal line
lens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태
박기범
최성원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526A/ko
Priority to US18/304,453 priority patent/US20230341101A1/en
Publication of KR2023015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4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 F21S41/335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with continuity at the junction between adjacent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절곡된 초점 라인을 구비하여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켜 상기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초점 라인 및 제2 초점 라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된 초점 라인을 구비하여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를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헤드 램프는 야간과 같이 주변 환경이 어두운 상황에서 차량을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 램프는 실드 부재의 구동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헤드 램프가 하나의 램프 모듈로 제공되기도 하고,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와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가 각각 별개의 램프 모듈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헤드 램프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 유발을 예방하도록 평상 시에는 주로 로우 빔 패턴을 유지하고, 고속 주행 시 또는 주변 밝기가 어두운 곳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게 된다.
로우 빔 패턴은 대향 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함과 동시에 근거리 전방의 시야를 충분히 제공하기 위하여 컷 오프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컷 오프 라인에 의해 대향 차량의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로 광이 조사되고, 전방으로는 상대적으로 긴 거리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컷 오프 라인이 명확하게 형성되지 않은 경우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발생시키거나 전방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명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2470호 (2016.02.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절곡된 초점 라인을 구비하여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켜 상기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초점 라인 및 제2 초점 라인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초점 라인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초점 라인은 상기 제1 초점 라인에서 상측 경사 방향 또는 하측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리플렉터에서 상기 렌즈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상기 제1 초점 라인 및 제2 초점 라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빔 패턴은, 스프레드 패턴, 및 상기 스프레드 패턴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드 패턴에 중첩되는 스팟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스프레드 패턴의 형성을 위한 제1 광원, 및 상기 스팟 패턴의 형성을 위한 제2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는, 상기 제1 광원의 광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광원의 광을 반사시키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제1 초점 라인에 대응하는 자세를 갖고,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2 초점 라인에 대응하는 자세를 갖는다.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1 초점 라인을 제외하고, 상기 제2 초점 라인만을 통과하도록 광을 반사시킨다.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1 초점 라인 및 상기 제2 초점 라인을 모두 통과하도록 광을 반사시킨다.
상기 제1 빔 패턴의 상측 경계에는 컷 오프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컷 오프 라인은 경계 라인 및 경사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2 초점 라인을 통과한 광은 상기 경사 라인의 형성에 이용된다.
상기 렌즈의 광 출사면은 전체 영역에 걸쳐 연속적인 곡률을 갖고, 상기 렌즈의 광 입사면은, 상기 제1 초점 라인의 형성을 위한 광을 입사받는 제1 입사면, 및 상기 제2 초점 라인의 형성을 위한 광을 입사받는 제2 입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사면 및 제2 입사면의 경계에서 상기 제1 입사면의 곡률과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은 불연속적이다.
상기 렌즈의 광 출사면은 전체 영역에 걸쳐 불연속적인 곡률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초점 라인을 형성하는 제1 렌즈 파트, 및 상기 제2 초점 라인을 형성하는 제2 렌즈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사면은 상기 제1 렌즈 파트에서 광이 입사되는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상기 제2 렌즈 파트에서 광이 입사되는 면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의 바닥에 대한 상기 제1 입사면의 정점의 높이는 상기 제2 렌즈 파트와의 거리에 무관하게 균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렌즈의 바닥에 대한 상기 제2 입사면의 정점의 높이는 상기 제1 렌즈 파트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상기 차량용 램프는 상기 제1 빔 패턴과는 상이한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빔 패턴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하이 빔 패턴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절곡된 초점 라인을 구비하여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기 때문에 컷 오프 라인이 명확하게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차량의 전방에서 바라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1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2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빔 패턴 형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빔 패턴 형성부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리플렉터와 초점 라인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렌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렌즈의 초점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렌즈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제1 렌즈 파트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렌즈 파트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차량의 전방에서 바라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제1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제2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0)는 차량(2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20)이 야간이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차량용 램프(10)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는 헤드 램프에 한정되지 않고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등과 같이 차량(20)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차량용 램프(10)는 차량 전방의 근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제1 빔 패턴(LP)(도 2 참조)을 형성하고,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제2 빔 패턴(HP)(도 2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빔 패턴(LP)은 로우 빔 패턴을 포함하고, 제2 빔 패턴(HP)은 하이 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00)는 광을 조사하여 제1 빔 패턴(LP)을 형성하고, 제2 빔 패턴 형성부(200)는 광을 조사하여 제1 빔 패턴(LP)과는 상이한 제2 빔 패턴(HP)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20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빔 패턴(LP)은 차량(20)의 근거리 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고, 제2 빔 패턴(HP)은 차량(20)의 원거리 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빔 패턴(LP)은 스프레드 패턴(SD) 및 스팟 패턴(ST)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레드 패턴(SD)은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로 형성되고, 스팟 패턴(ST)은 스프레드 패턴(SD)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레드 패턴(SD)에 스팟 패턴(ST)이 중첩될 수 있다. 스프레드 패턴(SD)에 스팟 패턴(ST)이 중첩된 영역은 광이 집중된 영역으로서, 이하 이를 집중 광 영역이라 하고, 집중 광 영역 이외에 스프레드 패턴(SD) 만으로 형성된 영역을 확산 광 영역이라 한다. 집중 광 영역은 스프레드 패턴(SD)과 스팟 패턴(ST)이 중첩되어 형성되고, 확산 광 영역은 스프레드 패턴(SD)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집중 광 영역은 확산 광 영역에 비하여 높은 밝기를 나타낼 수 있다.
집중 광 영역은 운전자의 관심이 집중되는 근거리 전방 영역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으로서, 집중 광 영역에 의해 차량(20)의 근거리 전방 시야가 보다 원활하게 확보될 수 있다.
제1 빔 패턴(LP)의 상측 경계에는 컷 오프 라인(BL1, BL2, SL)이 형성될 수 있다.
컷 오프 라인(BL1, BL2, SL)은 경계 라인(BL1, BL2) 및 경사 라인(SL)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 라인(BL1, BL2)은 제1 경계 라인(BL1) 및 제2 경계 라인(B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계 라인(BL1) 및 제2 경계 라인(BL2)은 제1 빔 패턴(LP)의 상측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계 라인(BL1) 및 제2 경계 라인(BL2)은 지면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 라인(SL)은 제1 경계 라인(BL1) 및 제2 경계 라인(BL2)의 길이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경계 라인(BL1) 및 제2 경계 라인(BL2)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경계 라인(BL1) 및 제2 경계 라인(BL2)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제1 경계 라인(BL1)에 비하여 제2 경계 라인(BL2)이 높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컷 오프 라인은 경계 라인만을 포함하고, 경사 라인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경계 라인이 제1 빔 패턴(LP)의 상측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컷 오프 라인(BL1, BL2, SL)이 경계 라인(BL1, BL2) 및 경사 라인(SL)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빔 패턴(HP)은 원거리 전방 영역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을 나타낸다.
제2 빔 패턴 형성부(200)에 의해 제2 빔 패턴(HP)이 형성되는 경우 차량(20)의 원거리 전방 시야가 보다 원활하게 확보될 수 있다.
도 4는 제1 빔 패턴 형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빔 패턴 형성부(100)는 광원부(110), 리플렉터(120), 실드(130) 및 렌즈(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부(110)는 제1 빔 패턴(LP)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110)는 복수의 광원(111, 11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1, 112)은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또는 벌브타입의 광원 중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1, 112)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제1 빔 패턴(LP)이 형성될 수 있다.
리플렉터(120)는 광원부(110)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리플렉터(120)는 복수의 광원(111, 112)에 대응하는 복수의 반사부(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광원(111, 112)에서 조사된 광은 해당 광원(111, 112)에 대응하는 반사부(121, 122)에 의해 반사될 수 있는 것이다.
렌즈(140)는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켜 제1 빔 패턴(LP)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140)를 투과하여 차량(20)의 전방으로 조사된 광이 제1 빔 패턴(LP)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빔 패턴(LP)은 차량(20)의 근거리 전방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으로서 컷 오프 라인(BL1, BL2, SL)을 포함할 수 있다. 컷 오프 라인(BL1, BL2, SL)의 형성을 위하여 리플렉터(120)의 광 조사 경로 상에는 실드(130)가 배치될 수 있다. 실드(130)는 리플렉터(120)에서 렌즈(140)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실드(13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광이 렌즈(140)를 투과함으로써 컷 오프 라인(BL1, BL2, SL)이 포함된 제1 빔 패턴(LP)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140)는 절곡된 초점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140)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초점 라인(FL1) 및 제2 초점 라인(FL2)을 제공할 수 있다(도 8 참조). 제1 초점 라인(FL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초점 라인(FL2)은 제1 초점 라인(FL1)에서 상측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초점 라인(FL2)은 제1 초점 라인(FL1)에서 하측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제2 초점 라인(FL2)이 제1 초점 라인(FL1)에서 상측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초점 라인은 렌즈(140)에 의해 형성되는 초점이 라인의 형태로 길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00)에 구비된 렌즈(140)가 일측으로 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렌즈(140)에 의해 형성되는 초점도 라인의 형태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드(130)는 제1 초점 라인(FL1) 및 제2 초점 라인(FL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드(130)는 리플렉터(120)에서 렌즈(140)로 조사되는 광의 방향에 대체로 평행한 플레이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렌즈(140)에 인접한 실드(130)의 경계(이하, 초점 경계라 한다)에 렌즈(140)의 초점 라인(FL)이 형성될 수 있다. 실드(130)의 초점 경계와 렌즈(140)의 초점 라인(FL)은 일치할 수 있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초점 경계와 초점 라인(FL)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초점 경계에 인접하여 초점 라인(FL)이 형성될 수 있다. 초점 경계와 초점 라인(FL)이 일치하거나 인접함에 따라 제1 빔 패턴(LP)의 컷 오프 라인(BL1, BL2, SL)이 명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초점 경계와 초점 라인(FL)이 일치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드(130)는 제1 실드 파트(131) 및 제2 실드 파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드 파트(131)의 초점 경계에 제1 초점 라인(FL1)이 형성되고, 제2 실드 파트(132)의 초점 경계에 제2 초점 라인(FL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초점 라인(FL2)은 제1 초점 라인(FL1)의 말단에서 상측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실드 파트(132)는 제1 실드 파트(131)의 말단에서 상측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초점 라인(FL1)으로 조사된 광은 컷 오프 라인(BL1, BL2, SL) 중 제1 경계 라인(BL1) 및 제2 경계 라인(BL2)의 형성에 이용되고, 제2 초점 라인(FL2)으로 조사된 광은 컷 오프 라인(BL1, BL2, SL) 중 경사 라인(SL)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실드 파트(131) 및 제2 실드 파트(132)가 제1 초점 라인(FL1) 및 제2 초점 라인(FL2)의 형상에 맞게 배치됨에 따라 실드(130)를 통과하여 렌즈(140)로 입사된 광은 제1 빔 패턴(LP)의 경계 라인(BL1, BL2) 및 경사 라인(SL)을 명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제1 빔 패턴 형성부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빔 패턴 형성부(100)는 제1 빔 패턴(LP)의 형성을 위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11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 112)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1, 112)에서 조사된 광은 리플렉터(120)의 반사부(121, 122)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140)로 조사될 수 있다.
리플렉터(120)와 렌즈(140)의 사이에는 실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실드(130)는 리플렉터(120)에서 렌즈(140)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렌즈(140)의 초점 라인(FL)은 실드(130)의 초점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리플렉터(120)에서 출사된 광은 초점 경계의 형상에 맞게 차단되어 렌즈(140)로 조사될 수 있다. 이에, 제1 빔 패턴(LP)은 초점 경계에 대응하는 형상의 경계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빔 패턴(LP)은 스프레드 패턴(SD) 및 스팟 패턴(ST)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1, 112) 중 일부는 스프레드 패턴(SD)의 형성에 이용되고, 나머지는 스팟 패턴(ST)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스프레드 패턴(SD)의 형성에 이용되는 광원(111)을 제1 광원이라 하고, 스팟 패턴(ST)의 형성에 이용되는 광원(112)을 제2 광원이라 한다. 또한, 리플렉터(120)의 반사부(121, 122) 중 제1 광원(111)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121)를 제1 반사부라 하고, 제2 광원(112)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122)를 제2 반사부라 한다.
제1 반사부(121)는 제1 초점 라인(FL1)을 통과하도록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반사부(121)에 의해 반사되어 제1 초점 라인(FL1)을 통과하고, 렌즈(140)를 투과한 광은 스프레드 패턴(SD)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22)는 제2 초점 라인(FL2)을 통과하도록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사부(122)는 제1 초점 라인(FL1)을 제외하고, 제2 초점 라인(FL2)만을 통과하도록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예 따르면 제2 반사부(122)는 제1 초점 라인(FL1) 및 제2 초점 라인(FL2)을 모두 통과하도록 광을 반사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반사부(122)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제1 초점 라인(FL1) 및 제2 초점 라인(FL2)이 만나는 지점(P)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반사부(122)에 의해 반사되어 제2 초점 라인(FL2)을 통과하거나, 제1 초점 라인(FL1) 및 제2 초점 라인(FL2)을 통과하고, 렌즈(140)를 투과한 광은 스팟 패턴(ST)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반사부(122)에 의해 반사되어 제2 초점 라인(FL2)을 통과한 광은 전술한 컷 오프 라인의 경사 라인(SL)의 형성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리플렉터와 초점 라인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플렉터(120)에 포함된 복수의 반사부(121, 122)는 초점 라인(FL)에 대응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다.
리플렉터(120)는 복수의 반사부(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사부(121, 122) 중 제1 반사부(121)는 스프레드 패턴(SD)의 형성에 이용되고, 제2 반사부(122)는 스팟 패턴(ST)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1)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1)가 하나인 경우 제1 반사부(121)는 제1 초점 라인(FL1)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반사부(121)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제1 반사부(121)는 제1 초점 라인(FL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부(121)는 제1 초점 라인(FL1)에 대응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플렉터(12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1 반사부(121)의 하측 라인은 제1 초점 라인(FL1)에 평행할 수 있다. 이하, 제1 반사부(121)가 복수 개인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반사부(122)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22)는 제2 초점 라인(FL2)에 대응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플렉터(12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2 반사부(122)의 하측 라인은 제2 초점 라인(FL2)에 평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반사부(122)는 제1 초점 라인(FL1)에 대응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플렉터(12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2 반사부(122)의 하측 라인은 제1 초점 라인(FL1)에 평행할 수 있다.
도 7은 렌즈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렌즈의 초점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렌즈(140)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연속된 하나의 광 출사면(14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렌즈(140)의 광 출사면(143)은 전체 영역에 걸쳐 불연속되는 경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빔 패턴 형성부(100)는 외부에서 바라볼 때 렌즈(140)의 광 출사면(143)에 대응하는 형상의 면으로 관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140)의 광 출사면(143)은 불연속적인 경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광 출사면(143)은 불연속적인 경계를 기준으로 복수의 면이 관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렌즈(140)의 초점 라인(FL)은 제1 초점 라인(FL1) 및 제2 초점 라인(F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초점 라인(FL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초점 라인(FL2)은 제1 초점 라인(FL1)에서 상측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초점 라인(FL1) 및 제2 초점 라인(FL2)은 실드(130)의 초점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초점 라인(FL1)은 경계 라인(BL1, BL2) 의 형성에 이용되고, 제2 초점 라인(FL2)은 경사 라인(SL)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초점 라인(FL1) 및 제2 초점 라인(FL2)의 형성을 위하여 렌즈(140)는 고유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1을 통하여 렌즈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렌즈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렌즈의 후면도이고, 도 11은 제1 렌즈 파트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제2 렌즈 파트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렌즈(140)는 제1 렌즈 파트(141) 및 제2 렌즈 파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파트(141)는 제1 초점 라인(FL1)을 형성하고, 제2 렌즈 파트(142)는 제2 초점 라인(FL2)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140)는 광 입사면(144a, 144b) 및 광 출사면(143)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입사면(144a, 144b)은 리플렉터(120)에서 조사된 광을 입사받고, 광 출사면(143)은 광 입사면(144a, 144b)으로 입사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광 출사면(143)은 전체 영역에 걸쳐 연속적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광 출사면(143)은 전체 영역에 걸쳐 불연속되는 경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곡률이 연속적이라는 것은 인접한 영역의 곡률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급격하게 변경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140)의 광 출사면(143)은 불연속적인 곡률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렌즈(140)의 광 출사면(143)이 전체 영역에 걸쳐 연속적인 곡률을 가진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 입사면(144a, 144b)은 제1 입사면(144a) 및 제2 입사면(14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사면(144a)은 제1 초점 라인(FL1)의 형성을 위한 광을 입사 받고, 제2 입사면(144b)은 제2 초점 라인(FL2)의 형성을 위한 광을 입사 받을 수 있다. 제1 입사면(144a)은 제1 렌즈 파트(141)에서 광이 입사되는 면을 포함하고, 제2 입사면(144b)은 제2 렌즈 파트(142)에서 광이 입사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사면(144a) 및 제2 입사면(144b)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입사면(144a) 및 제2 입사면(144b)의 사이에는 경계(B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사면(144a) 및 제2 입사면(144b)의 경계(BD)에서 제1 입사면(144a)의 곡률과 제2 입사면(144b)의 곡률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사면(144a) 및 제2 입사면(144b)의 경계(BD)에서 양측의 곡률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점 라인(FL1)과 제2 초점 라인(FL2)은 그 접합 지점에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사면(144a) 및 제2 입사면(144b)은 각 영역에서 연속적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사면(144a) 및 제2 입사면(144b)은 불연속적인 곡률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점 라인(FL1)은 가로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게 형성된 반면, 제2 초점 라인(FL2)은 제1 초점 라인(FL1)의 말단에서 상측 경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렌즈(140)의 바닥에 대한 제1 입사면(144a)의 정점(A1~A5)의 높이는 제2 렌즈 파트(142)와의 거리에 무관하게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40)의 바닥에 대한 제1 렌즈 파트(141)의 길이 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 제1 입사면(144a)의 정점(A1~A5)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점 라인(FL1)은 렌즈(140)의 길이 방향으로 대체로 평행한 직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렌즈(140)의 바닥에 대한 제2 입사면(144b)의 정점(B1~B5)의 높이는 제1 렌즈 파트(141)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렌즈(140)의 바닥에 대한 제2 렌즈 파트(142)의 길이 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 제2 입사면(144b)의 정점(B1~B5)의 높이는 제1 렌즈 파트(141)와의 거리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렌즈(140)의 바닥에 대한 제2 입사면(144b)의 정점(B1~B5)의 높이는 제1 렌즈 파트(141)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렌즈 파트(141)에 가장 가까운 제2 입사면(144b)에서의 정점 B5의 높이에 비하여 제1 렌즈 파트(141)에서 가장 먼 제2 입사면(144b)에서의 정점 B1의 높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렌즈(140)의 바닥에 대한 제2 입사면(144b)의 정점(B1~B5)의 높이가 제1 렌즈 파트(141)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함에 따라 제2 초점 라인(FL2)은 렌즈(14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140)에 의한 초점 라인(FL)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초점 라인(FL1) 및 제2 초점 라인(FL2)을 포함함에 따라 제1 빔 패턴(LP)의 경계 라인(BL1, BL2) 및 경사 라인(SL)이 보다 뚜렷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용 램프 20: 차량
100: 제1 빔 패턴 형성부 110: 광원부
111: 제1 광원 112: 제2 광원
120: 리플렉터 121: 제1 반사부
122: 제2 반사부 130: 실드
131: 제1 실드 파트 132: 제2 실드 파트
140: 렌즈 141: 제1 렌즈 파트
142: 제2 렌즈 파트 200: 제2 빔 패턴 형성부

Claims (14)

  1.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빔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을 투과시켜 상기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초점 라인 및 제2 초점 라인을 제공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점 라인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초점 라인은 상기 제1 초점 라인에서 상측 경사 방향 또는 하측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는 상기 리플렉터에서 상기 렌즈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상기 제1 초점 라인 및 제2 초점 라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차량용 램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은,
    스프레드 패턴; 및
    상기 스프레드 패턴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드 패턴에 중첩되는 스팟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스프레드 패턴의 형성을 위한 제1 광원; 및
    상기 스팟 패턴의 형성을 위한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부는,
    상기 제1 광원의 광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광원의 광을 반사시키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제1 초점 라인에 대응하는 자세를 갖고,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2 초점 라인에 대응하는 자세를 갖는 차량용 램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1 초점 라인을 제외하고, 상기 제2 초점 라인만을 통과하도록 광을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는 상기 제1 초점 라인 및 상기 제2 초점 라인을 모두 통과하도록 광을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의 상측 경계에는 컷 오프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컷 오프 라인은 경계 라인 및 경사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2 초점 라인을 통과한 광은 상기 경사 라인의 형성에 이용되는 차량용 램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 출사면은 전체 영역에 걸쳐 연속적인 곡률을 갖고,
    상기 렌즈의 광 입사면은,
    상기 제1 초점 라인의 형성을 위한 광을 입사받는 제1 입사면; 및
    상기 제2 초점 라인의 형성을 위한 광을 입사받는 제2 입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사면 및 제2 입사면의 경계에서 상기 제1 입사면의 곡률과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은 불연속적인 차량용 램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 출사면은 불연속적인 곡률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초점 라인을 형성하는 제1 렌즈 파트; 및
    상기 제2 초점 라인을 형성하는 제2 렌즈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사면은 상기 제1 렌즈 파트에서 광이 입사되는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상기 제2 렌즈 파트에서 광이 입사되는 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바닥에 대한 상기 제1 입사면의 정점의 높이는 상기 제2 렌즈 파트와의 거리에 무관하게 균일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바닥에 대한 상기 제2 입사면의 정점의 높이는 상기 제1 렌즈 파트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차량용 램프.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과는 상이한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빔 패턴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하이 빔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220050018A 2022-04-22 2022-04-22 차량용 램프 KR20230150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018A KR20230150526A (ko) 2022-04-22 2022-04-22 차량용 램프
US18/304,453 US20230341101A1 (en) 2022-04-22 2023-04-21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018A KR20230150526A (ko) 2022-04-22 2022-04-22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526A true KR20230150526A (ko) 2023-10-31

Family

ID=8854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018A KR20230150526A (ko) 2022-04-22 2022-04-22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5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470A (ko) 2014-07-24 2016-02-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470A (ko) 2014-07-24 2016-02-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817B1 (ko) 차량용 전조등
EP2620697B1 (en) Vehicle lighting unit with projection lens and led
JP5831788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US10156333B2 (en) Lamp for vehicle
KR102289755B1 (ko)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KR102405443B1 (ko) 차량용 램프
KR102405441B1 (ko) 차량용 램프
JP4234074B2 (ja) 車両用照明灯具
KR20230150526A (ko) 차량용 램프
KR102522911B1 (ko) 차량용 램프
KR102529889B1 (ko) 차량용 램프
KR102446505B1 (ko) 차량용 램프
KR102475706B1 (ko) 차량용 램프
KR102439168B1 (ko) 차량용 램프
KR20210128244A (ko)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US20230341101A1 (en) Lamp for vehicle
KR20230150528A (ko) 차량용 램프
KR102298960B1 (ko) 차량용 램프
WO2023063137A1 (ja) 車両用灯具
KR102673137B1 (ko) 차량용 램프
CN218787513U (zh) 灯具模块及包括该灯具模块的车辆用灯具
KR102250659B1 (ko)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
JP3966017B2 (ja) 車両用灯具
CN210424859U (zh) 车辆用灯具
KR20230046418A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