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30296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30296A
KR20240130296A KR1020230023375A KR20230023375A KR20240130296A KR 20240130296 A KR20240130296 A KR 20240130296A KR 1020230023375 A KR1020230023375 A KR 1020230023375A KR 20230023375 A KR20230023375 A KR 20230023375A KR 20240130296 A KR20240130296 A KR 20240130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light source
vehicle 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현
박용석
서창덕
최병동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30296A/ko
Publication of KR2024013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30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5Lens surfaces, e.g. coatings or surfac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라도 전체적으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안내하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광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광을 투과시켜 상기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는,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1 광원; 및 제2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1 입사 모듈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2 입사 모듈을 포함하는 입사부; 상기 입사부로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출사되는 출사부; 및 상기 입사부로 입사되는 광이 상기 출사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라도 전체적으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및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 중에서 헤드 램프는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로우 빔 패턴과 하이 빔 패턴이 모두 형성되는 경우에는 헤드 램프가 전체적으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는 반면, 로우 빔 패턴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가 소등되어 헤드 램프의 일부에서만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불완전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외관 디자인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램프 중 일부 램프가 소등되는 경우라도 복수의 램프에서 전체적으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외관 디자인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6698호 (2008.01.21.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라도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안내하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광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광을 투과시켜 상기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는,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1 광원; 및 제2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1 입사 모듈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2 입사 모듈을 포함하는 입사부; 상기 입사부로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출사되는 출사부; 및 상기 입사부로 입사되는 광이 상기 출사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사 모듈은, 상기 출사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측방으로 상기 제1 입사 모듈에 비하여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사 모듈은, 상기 출사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면; 상기 중심면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 광원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으로 입사되는 광이 상기 출사부를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전달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입사되어 상기 출사부로 진행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제1 빔 패턴의 일측 경계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목부는, 일측이 상기 출사부의 후측 초점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전달부의 표면까지 연장되는 제1 후방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전달부의 표면까지 연장되는 제1 전방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사 모듈로 입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후방 연장부와 상기 제1 전방 연장부를 투과하여 상기 출사부를 통해 출사되어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 연장부를 투과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전방 연장부로 반사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전단이 상기 출사부의 후측 초점 또는 후측 초점 부근에 위치하고, 후단이 전단에 비하여 상기 출사부의 중심축과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1 후방 연장부, 및 상기 제1 전방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에 광의 확산을 위한 확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상기 전달부의 상면과 하면 중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되는 반대측면에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오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 중 상기 제1 입사 모듈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출사부로 진행하도록 광의 경로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목부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전달부의 표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후방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전달부의 표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방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후방 연장부로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전방 연장부를 투과하여 상기 출사부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제1 입사 모듈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출사부로 진행하도록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 상기 제2 후방 연장부, 및 상기 제2 전방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에 광의 확산을 위한 확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출사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출사면은, 복수의 파셋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셋 각각의 크기, 형성 각도, 곡률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빔 패턴의 배광 특성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출사부는, 상기 입사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렌즈부는, 상기 출사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출사부는, 상기 입사면에 비하여 더 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도 점등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외관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램프 중 일부가 소등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광학계를 추가하지 않고도 복수의 램프 전체적으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오목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 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오목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0), 광 가이드부(2000) 및 렌즈부(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야간 주행 시 차량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 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그 램프, 백업 램프, 포지션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과 같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컷 오프 라인을 기준으로 하측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차량 전방 근거리에 대한 넓은 시야 범위가 확보되도록 하는 로우 빔 패턴이나, 차량 전방 원거리에 긴 시야 거리가 확보되도록 하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하이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함께 설치될 수 있고, 하이 빔 패턴 형성 시에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함께 점등되어 차량 전방에 대한 넓은 시야 범위와 긴 시야 거리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광원부(1000)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0, 1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0, 1200)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0, 1200)은 LED 뿐만 아니라 LD(Laser Diode)나 벌브(Bulb)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광원의 종류에 따라 형광체, 미러, 프리즘, 리플렉터 등과 같은 광학 요소가 추가로 사용될 수도 있다.
광원부(1000)는 제1 광원(1100)과 제2 광원(1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원(1100)은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고, 제2 광원(1200)은 제2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빔 패턴은 하이 빔 패턴이고, 제2 빔 패턴은 서브 로우 빔 패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하이 빔 패턴 형성 시에는 제1 광원(1100) 및 제2 광원(1200)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고, 로우 빔 패턴 형성 시에는 제2 광원(1200)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모두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서브 로우 빔 패턴은 하이 빔 패턴보다 낮은 밝기를 가지도록 하여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로우 빔 패턴 형성 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소등되어 불완전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광원(1100)은 차량 전방 원거리에 대한 충분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광을 집광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 가이드부(2000)의 중심축(C) 또는 중심축(C) 부근에 광축이 위치하게 되며, 제2 광원(1200)은 제1 광원(1100)에 비하여 중심축(C)을 기준으로 측방으로 더 큰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1200)은 제1 광원(1100)에 비하여 낮은 밝기의 광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이 빔 패턴에 비하여 낮은 밝기의 서브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게 되어 서브 로우 빔 패턴에 의해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광 가이드부(2000)의 중심축(C)은 상하 방향으로 출사부(2300)의 중심을 지나되 전후 방향에 나란한 축선을 의미하고, 제1 광원(1100)의 광축은 제1 광원(1100)의 발광면의 중심을 수직하게 지나는 축선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광도를 향상시켜 충분한 밝기의 제1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광원(1100)의 광축과 광 가이드부(2000)의 중심축(C)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빔 패턴에서 요구되는 배광 특성, 즉 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위치, 크기, 형상, 밝기 등에 따라 제1 광원(1100)의 광축과 광 가이드부(2000)의 중심축(C)은 서로 일치하거나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광원(1200)이 제1 광원(1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에 따라 제2 광원(1200)은 제1 광원(1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광 가이드부(2000)는 광원부(1000)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원부(10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출사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 가이드부(2000)가 광원부(1000)의 전방에 위치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에 따라 전방이 실제로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0)는 입사부(2100), 전달부(2200) 및 출사부(2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사부(2100), 전달부(2200) 및 출사부(230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입사부(2100), 전달부(2200) 및 출사부(2300)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 수가 감소되고 전체적인 조립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입사부(2100)는 광원부(1000)로부터 광이 입사되도록 하고, 전달부(2200)는 입사부(2100)로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출사부(2300)를 통해 출사되도록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입사부(2100)는 제1 입사 모듈(2110)과 제2 입사 모듈(2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사 모듈(2110)은 광 가이드부(2000)의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면(2111), 중심면(2111)의 테두리로부터 제1 광원(110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면(2112), 및 돌출면(2112)으로 입사되는 광이 전방으로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면(21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면(2113)은 돌출면(2112)의 돌출단에 연결되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갈수록 상하 방향으로 광 가이드부(2000)의 중심축(C)과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면(2112)으로 입사되는 광이 전방으로 진행하도록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입사 모듈(2110)이 중심면(2111), 돌출면(2112) 및 반사면(2113)을 포함하는 것은 제1 입사 모듈(2110)의 전체적인 크기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제1 광원(11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손실 없이 제1 입사 모듈(2110)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입사 모듈(2110)에서 돌출면(2112)과 반사면(2113)이 생략되는 경우 제1 광원(11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손실 없이 입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심면(2111)이 제1 광원(1100)의 광 조사 범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가 커질 필요가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면(2112)과 반사면(2113)에 의해 제1 입사 모듈(2110)의 전체적인 크기가 줄어들 수 있으면서도 제1 광원(11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손실 없이 입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입사 모듈(2120)은 제2 광원(12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되, 로우 빔 패턴 형성 시에는 서브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제2 입사 모듈(2120)이 제1 입사 모듈(2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되, 주간 주행 램프나 포지션 램프의 용도로 함께 사용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제2 입사 모듈(2120)이 제1 입사 모듈(2110)의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광 가이드부(2000)는 전달부(220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달부(220)의 상면에 제1 오목부(2210)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오목부(2210)가 전달부(2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하이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때 하이 빔 패턴의 하측 경계선이 법규를 만족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오목부(2210)는 제1 연결부(2211), 제1 후방 연장부(2212), 제1 전방 연장부(2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211)는 광 가이드부(2000)의 중심축(C)에 가까운 일측이 출사부(2300)의 후측 초점(F) 또는 후측 초점(F) 부근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후방 연장부(2212)는 제1 연결부(2211)의 후단으로부터 전달부(2200)의 상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전방 연장부(2213)는 제1 연결부(2211)의 전단으로부터 전달부(2300)의 상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2211)의 전단이 출사부(2300)의 후측 초점(F) 또는 후측 초점(F) 부근에 위치하고, 후단이 전단에 비하여 출사부(2300)의 중심축(C)과 상측으로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연결부(211)는 전단, 후단, 또는 그 사이의 일 지점이 출사부(2300)의 후측 초점(F) 또는 후측 초점(F)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오목부(2210)는 제1 연결부(2211)에서 광 가이드부(2000)의 중심축(C)에 가장 가깝에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하측 경계선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2210)는 제2 광원(1200) 점등 시 제2 광원(1200)으로부터 제2 입사 모듈(1200)로 입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후방 연장부(2212)와 제1 전방 연장부(2213)를 투과하여 출사부(2300)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제1 광원(1100)이 소등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광학계를 추가하지 않고도 제2 광원(1200)에 의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2211)는 제1 후방 연장부(2212)를 투과하는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전방 연장부(2213)로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전방 연장부(2213) 중 적어도 일부에는 광의 확산을 위한 확산부(2214)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확산부(2214)는 제1 연결부(2211), 제1 후방 연장부(2212), 제1 전방 연장부(2213)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확산부는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패턴을 가지도록 표면 처리되거나 부식 처리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광원(11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L11, L12, L13)은 제1 입사 모듈(2110)로 입사되고, 제1 입사 모듈(2110)로 입사되는 광 중 일부의 광(L11, L12)은 출사부(2300)의 후측 초점(F) 또는 후측 초점(F) 부근에 집광되어 출사부(2300)로 진행하고, 다른 일부의 광(L13)은 제1 오목부(2210)에 의해 차단되어 일측 경계선이 법규를 만족하는 위치를 가지는 제1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오목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광원(1200)으로부터 발생되어 제2 입사 모듈(2120)로 입사되는 광(L14)은 제1 후방 연장부(2212)와 제1 전방 연장부(2213)을 투과하여 출사부(2300)로 진행하여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는 제1 후방 연장부(2212)를 투과하는 광(L14)이 제1 연결부(2211)에 의해 제1 전방 연장부(2213)으로 반사되어 진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후방 연장부(2212)를 투과하는 광(L14) 중 일부는 제1 연결부(2211)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직접 제1 전방 연장부(2213)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오목부(2210)가 전달부(2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로우 빔 패턴의 상측 경계선이 법규를 만족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제1 오목부(2210)가 전달부(2200)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제2 광원(1200)도 제1 광원(11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출사부(2300)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출사부(2300)를 통해 출사되는 광은 광 가이드부(20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렌즈부(3000)를 투과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배광 특성을 만족하는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렌즈부(3000)는 광 가이드부(2000)로부터 입사면(3100)으로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3200)을 통해 출사되도록 하게 된다.
렌즈부(3000)는 입사면(3100)의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렌즈부(3000)의 입사면(3100)으로 입사되는 광이 손실 없이 출사면(3200)을 통해 출사되도록 집광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사부(2300)가 입사면(3100)에 비하여 더 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광 가이드부(2000)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 렌즈부(3000)를 통해 입사되지 못하는 광에 의한 광 손실이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출사부(2300)의 집광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렌즈부(3000)는 출사면(3200)이 복수의 파셋(3210)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파셋(3210) 각각의 크기, 형성 각도, 곡률 등을 조정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요구되는 배광 특성을 만족하는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광원(12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제2 입사 모듈(2120)을 통해 입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광원(1200)의 광 조사 범위에 따라 제2 광원(12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는 제1 입사 모듈(2110)로 입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광원(1200)으로부터 제1 입사 모듈(2110)로 입사되는 광은 제2 빔 패턴을 형성하지 못하여 광 손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제2 광원(1200)으로부터 제1 입사 모듈(2110)로 입사되는 광이 출사부(2300)로 출사되도록 하여 광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0), 광 가이드부(2000) 및 렌즈부(30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그 역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달부(2200)의 상면에는 제1 오목부(2210)가 형성되고, 전달부(2200)의 하면에는 제2 오목부(2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오목부(22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빔 패턴의 일측 경계선이 법규를 만족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출사부(2300)로 향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제2 오목부(2220)는 제2 광원(1200)에서 발생되는 광 중 제1 입사 모듈(2110)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조정하여 출사부(2300)로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광 손실이 줄어들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오목부(2220)는 제2 연결부(2221), 제2 연결부(2221)의 후단으로부터 전달부(2200)의 하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후방 연장부(2222), 제2 연결부(2221)의 전단으로부터 전달부(2200)의 하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방 연장부(22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2221), 제2 후방 연장부(2222), 및 제2 전방 연장부(2223)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1 오목부(2210)와 유사하게 광의 확산을 위한 확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2221)는 제1 연결부(2211)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연결부(2211)와 제2 연결부(2221)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제1 광원(1100)으로부터 제1 입사 모듈(2110)로 입사되는 광 중 제1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출사부(2300)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오목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광원(12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 중 제1 입사 모듈(2110)을 통해 입사되는 광(L15, L16) 중 일부의 광(L15)은 제2 후방 연장부(2222)와 제2 전방 연장부(2223)를 투과하여 출사부(2300)를 향하도록 진행할 수 있으며, 다른 일부의 광(L16)은 제2 연결부(2221)에 의해 반사되어 출사부(2300)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연결부(2221)가 출사부(2300)로 광을 반사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연결부(2221)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제2 연결부(2221)를 투과하여 제2 전방 연장부(2223)로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달부(2200)의 상면에 제1 빔 패턴의 일측 경계선이 법규를 만족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제1 오목부(2210)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1 오목부(2210)와 더불어 제1 광원(1100)의 소등 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 광원(120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가 출사부(2300)로 진행하도록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제2 오목부(2220)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하이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오목부(2210)가 전달부(22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2 오목부(2220)가 전달부(22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제1 광원(1100)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일측 경계선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1 오목부(2210)를 통해 제1 광원(1100)의 소등 시에도 제2 광원(1200)의 광이 출사되도록 함으로써 완전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전달부(2200)에서 제1 오목부(2210)가 형성되는 반대측면에 제2 오목부(2220)를 형성함으로써 제2 광원(1200)으로부터 입사되어 제1 오목부(2210)를 벗어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출사부(2300)로 진행하도록 광의 경로가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광 손실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광원부
1100: 제1 광원
1200: 제2 광원
2000: 광 가이드부
2100: 입사부
2110: 제1 입사 모듈
2120: 제2 입사 모듈
2200: 전달부
2210: 제1 오목부
2211: 제1 연결부
2212: 제1 후방 연장부
2213: 제1 전방 연장부
2220: 제2 오목부
2221: 제2 연결부
2222: 제2 후방 연장부
2223: 제2 전방 연장부
2300: 출사부
3000: 렌즈부
3100: 입사면
3200: 출사면

Claims (18)

  1.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안내하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광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광을 투과시켜 상기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는,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1 광원; 및
    제2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1 입사 모듈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제2 입사 모듈을 포함하는 입사부;
    상기 입사부로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출사되는 출사부; 및
    상기 입사부로 입사되는 광이 상기 출사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 모듈은,
    상기 출사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측방으로 상기 제1 입사 모듈에 비하여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 모듈은,
    상기 출사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면;
    상기 중심면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 광원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으로 입사되는 광이 상기 출사부를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는,
    상기 전달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입사되어 상기 출사부로 진행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제1 빔 패턴의 일측 경계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일측이 상기 출사부의 후측 초점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전달부의 표면까지 연장되는 제1 후방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전달부의 표면까지 연장되는 제1 전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 모듈로 입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후방 연장부와 상기 제1 전방 연장부를 투과하여 상기 출사부를 통해 출사되어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연장부를 투과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전방 연장부로 반사되는 차량용 램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전단이 상기 출사부의 후측 초점 또는 후측 초점 부근에 위치하고, 후단이 전단에 비하여 상기 출사부의 중심축과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1 후방 연장부, 및 상기 제1 전방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에 광의 확산을 위한 확산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상기 전달부의 상면과 하면 중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되는 반대측면에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 중 상기 제1 입사 모듈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출사부로 진행하도록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전달부의 표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후방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전달부의 표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방 연장부로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전방 연장부를 투과하여 상기 출사부로 진행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제1 입사 모듈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출사부로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 상기 제2 후방 연장부, 및 상기 제2 전방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에 광의 확산을 위한 확산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출사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출사면은,
    복수의 파셋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셋 각각의 크기, 형성 각도, 곡률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빔 패턴의 배광 특성이 조정되는 차량용 램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부는,
    상기 입사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렌즈부는,
    상기 출사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출사부는,
    상기 입사면에 비하여 더 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230023375A 2023-02-22 2023-02-22 차량용 램프 KR20240130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375A KR20240130296A (ko) 2023-02-22 2023-02-22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375A KR20240130296A (ko) 2023-02-22 2023-02-22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0296A true KR20240130296A (ko) 2024-08-29

Family

ID=9258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375A KR20240130296A (ko) 2023-02-22 2023-02-22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302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98B1 (ko) 2001-12-10 2008-01-21 젠텍스 코포레이션 조명, 전조등, 제어가능한 전조등, 및 차량용 외부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전방 조명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98B1 (ko) 2001-12-10 2008-01-21 젠텍스 코포레이션 조명, 전조등, 제어가능한 전조등, 및 차량용 외부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전방 조명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8860B1 (en) Automotive lamp
CN114110526A (zh) 车辆用灯具
KR20220089401A (ko) 차량용 램프
KR102405441B1 (ko) 차량용 램프
KR102006319B1 (ko) 차량용 조명 기구
US12194911B2 (en) Vehicle lamp
KR102724567B1 (ko) 차량용 램프
US11808428B2 (en) Lamp module and lamp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30383920A1 (en) Vehicle lamp
KR102446505B1 (ko) 차량용 램프
CN114321828B (zh) 车辆用灯具
KR20240130296A (ko) 차량용 램프
KR102673137B1 (ko) 차량용 램프
KR20230046405A (ko)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US12025286B2 (en) Lamp for vehicle
KR20220032243A (ko) 차량용 램프
KR20210064667A (ko) 차량용 램프
US20250035280A1 (en) Vehicle lamp
KR20240155642A (ko) 차량용 램프
US11885473B2 (en) Vehicle lamp having a light source unit with chip laterally spaced from optical axis of optical unit and a reflector central ax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US20250067411A1 (en) Vehicle lamp
KR20240171719A (ko) 차량용 램프
KR20240138171A (ko)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240093078A (ko) 차량용 램프
KR20240171307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