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915B1 -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 - Google Patents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915B1
KR102418915B1 KR1020200164604A KR20200164604A KR102418915B1 KR 102418915 B1 KR102418915 B1 KR 102418915B1 KR 1020200164604 A KR1020200164604 A KR 1020200164604A KR 20200164604 A KR20200164604 A KR 20200164604A KR 102418915 B1 KR102418915 B1 KR 10241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heated steam
convection
steam
cooking spa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5953A (ko
Inventor
정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코청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코청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코청하
Priority to KR102020016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9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GSUPERHEATING OF STEAM
    • F22G1/00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 F22G1/16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by using a separate heat source independent from heat supply of the steam boiler, e.g. by electricity, by auxiliary combustion of fuel oil
    • F22G1/165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by using a separate heat source independent from heat supply of the steam boiler, e.g. by electricity, by auxiliary combustion of fuel oil by 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과열 증기를 대류방식으로 순환 가능하게 하여 조리공간에 과열증기를 확산시키고 온도차를 최소로 하여 구이원물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코일히터로 한번 사용한 과열증기를 재가열할 수 있는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서 과열증기를 대류팬에 의해 확산 순환하게 하여 조리공간 전체에 가열증기가 분포하도록 하여 구이원물이 고르게 익어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과열증기는 대류 순환시킴으로 과열증기 분사 압력이 낮아도 되므로 급수 펌프가 필요없고 과열증기를 재가열 사용하므로 물소비량이 적고 전기 용량을 낮출 수 있어 소형점포에서도 전기 승압 공사 없이 사용 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Convection superheated steam cooker}
본 발명은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과열 증기를 분사하여 대류방식으로 공급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리공간에 과열증기를 확산시키고 열효율 상승 및 구이원물의 수율을 보장해 주는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 조리기는 열선, 히터 등을 이용한 대류와 복사열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리기는 구이원물의 표면이 타고 표면 수분은 금방 증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조리시간이 긴 단점이 있어왔다.
종래에는 구이원물에 물을 공급하여 히터에 의해 스팀을 생성하는 조리기가 있으나 증발잠열에 의해 열손실로 인하여 조리가 더디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여 스팀을 직접분사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7389호 "과열증기 조리기"를 개발한 바 있으며 고온의 과열증기 구이원료와 직접 접촉시키면 과열증기는 분자 상태라 구이제품 내부까지 증가가 침투되어 구이제품과의 온도차와 스팀응축잠열에 의해 내부 수분이나 육즙을 최대한 보전하면서 신속하게 조리가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그러나 조리기 내부에 구이원료가 담긴 오븐팬 각각이 선반 상,하부에 과열증기 분사파이프가 설치되어 직접 구이원료에 분사하도록 되어 있어 과열증기 분사 파이프 설치로 조리공간이 작아져서 그 선반 밖에 선반을 설치할 수 없어 한번에 많은 양의 조리가 어려웠다.
또한 과열증기 직접분사 방식은 높은 스팀 압력을 필요로 하고 스팀을 1회 분출하고 조리기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물 소비량이 많아 급수펌프장치를 추가하여 부피도 커지게 되고, 과열증기발생장치 전기히터 용량도 커야하기 때문에 전기소비량이 19kw로 많으므로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소형 점포에는 대용량의 전기가 없어 승압을 해야하고 추가공사가 필요했다. 그리고 스팀을 직접분사하는 방식은 과열증기에 가까운 구이원물 부분은 빠르게 익으나 스팀에 멀리 있는 구이원물 부분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게 공급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지않는 단점도 있어왔다.
KR 10-1977389 B1 "과열증기 조리기"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열증기를 분사하되 대류방식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조리공간 전체로 확산되게 하고 구이원물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대류순환에 의해 적은 양의 과열증기로 구이제품과 충분한 열교환을 시키도록 하여 기존의 직접 분사 과열증기 조리기에 비해 전기소비량을 종래의 절반인 9kw까지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게다가, 과열증기를 급수펌프 없이 시상수 압력으로 보일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물을 가열화여 포화증기를 만드는 보일러와,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과열증기발생장치와 상기 과열증기발생장치에 연결되어 과열증기를 분사하는 노즐로 구성되는 가열기; 상기 본체에서 상기 과열증기발생기 배출측에 설치되고 송풍되어 상기 과열증기를 상기 조리공간에 확산시키는 대류팬;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일러측에는 디프렌셜스위치와 스팀안전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과열증기발생장치에는 과열증기를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스팀전자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내부에 전기코일히터가 설치되어 상기 대류팬으로 대류순환시킨 과열증기가 구이원물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면 재가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과열증기발생장치를 통해 생성된 과열증기는 대류방식으로 분사되어 공급 가능하여 조리공간 전체에 확산되게 하고 오랫동안 열기를 머무르게 하며 구이원물 전체에 골고루 가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고기의 경우 육즙 함유량을 높이고, 영양소 파괴가 적어 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과열증기가 대류 순환이 되어 과열증기 재사용에 의한 물 소비량과 전기효율을 높여 종래의 직접 분사 방식에서 19kw 전기 소비량을 9kw까지 에너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과열증기를 직접분사 시키지 않고 대류 순환시키므로 분사압력이 낮아도 스팀압력을 낮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급수펌프가 필요없이 시상수 압력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전기용량이 작은 소형점포에서 전기승압 공사가 필요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측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의 내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측을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는 크게 본체(100), 과열기(200)의 보일러(220), 과열증기발생장치(240) 및 대류팬(30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열증기를 조리공간에 대류방식으로 순환 공급할 수 있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먼저, 본체(100)는 챔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출입문(110)이 형성되어 열고 닫을 수 있다. 내부에는 구이원물을 담을 수 있는 그릴팬을 안착시키는 거치대(120)가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120)는 일정간격으로 다단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과열증기를 생성시켜 조리공간에 공급되게 하는 과열기(200)를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과열기(200)는 물을 공급받아 전기히터로 1차 가열에 의해 약 포화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220)와, 보일러(220)에서 연결되어 전기히터로 2차 가열에 의해 120℃ 내지 450℃로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과열증기발생장치(240)와, 과열증기발생장치(240)에 연결되어 과열증기를 분사하는 노즐(260, 도3)로 구성된다. 게다가 과열증기발생장치(240)는 조리할 때 과열증기가 공급되고 조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과열증기 공급이 차단되어야 하므로 스팀전자변(27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보일러(220)와 과열증기발생장치(240)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보일러(220)측에는 디프렌셜스위치(210)와 스팀안전밸브(230)가 설치되고, 보일러(220)에서 발생된 포화증기는 스팀스트레나(250)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보일러(220)는 과열증기를 구이원료에 직접 분사하지 않고 대류팬으로 조리공간에서 대류시키므로 높은 압력이 필요 없어 별도의 급수펌프 없이 수도관과 연결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 있어 보일러(220)를 소형화 할 수 도 있다.
물론, 구이원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온도의 스팀을 제공하도록 본체(100)에는 디스플레이로 표시 또는 버튼조작에 의해 과열증기발생장치(240)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가 포함되게 구성되어 과열증기발생장치(240)에 가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에서 과열증기발생장치(240)의 배출측인 노즐(260)에 인접하게 대류팬(300)이 설치되어 노즐(260)에서 분사되는 과열증기를 송풍에 의해 조리공간에 곳곳으로 확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대류팬(300)에 의해 과열증기를 조리공간 전체에 확산시키도록 송풍되기 때문에 과열증기발생장치(240)에서 발생된 과열증기는 조리공간 내부에서 대류방식으로 이동하여 구이원물에 전체적으로 가열 가능하게 하고 또한 대류순환에 의해 가열증기가 머무는 시간이 1회 분사방식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되어 열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조리공간 내에 과열증기 분사 파이프가 없으므로 공간이 넓어 다단의 선반 설치가 가능하다. 즉 조리공간을 극대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전기코일히터(400)는 고내에 분사되어 대류 순환하고 있는 과열증기가 구이원물에 의하여 온도가 낮아진 것을 다시 재가열 하는 역할을 하며 과열증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전기코일히터(400)는 일정온도 이하인 경우 재가열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적정 온도를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내부에 통풍공이 형성된 격벽(140)이 형성되고, 격벽(140)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과열기(200)와 대류팬(300)이 설치되는 기기설치공간이 형성되게 구획되게 된다. 그리고 격벽(140)에는 과열증기가 송풍되는 송풍구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과열증기를 분사하고 대류방식으로 조리공간에 공급하므로 종래의 증발방식에 의한 스팀을 생성하는 것보다 열효율이 높으며 또한 송풍팬에 의해 과열증기를 대류방식에 의해 조리공간 곳곳에 퍼지게 하고 오랫동안 머물게 하여 구이원물의 수율을 높이고 전기소모량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생성된 과열증기를 조리공간에 바로 공급 가능하게 분사하므로 조리공간의 온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습도를 맞춰줄 수 있으며 짧은 시간에 구이원물을 건조하지 않게 하여 조리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의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본체
200: 과열기
210: 디프렌셜스위치
220: 보일러
230: 스팀안전밸브
240: 과열증기발생장치
250: 스팀스트레나
260: 노즐
270: 스팀전자변
300: 대류팬
400: 전기코일히터

Claims (2)

  1.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물을 가열화여 포화증기를 만드는 보일러(220)와,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과열증기발생장치(240)와 상기 과열증기발생장치에 연결되어 과열증기를 분사하는 노즐(260)로 구성되는 가열기(200);
    상기 본체에서 상기 과열증기발생장치 배출측에 설치되고 송풍되어 상기 과열증기를 상기 조리공간에 확산시키는 대류팬(3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일러(220)측에는 디프렌셜스위치(210)와 스팀안전밸브(230)가 설치되고,
    상기 과열증기발생장치(240)에는 과열증기를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스팀전자변(2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전기코일히터(400)가 설치되어 상기 대류팬으로 대류순환시킨 과열증기가 구이원물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면 재가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
KR1020200164604A 2020-11-30 2020-11-30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 KR10241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604A KR102418915B1 (ko) 2020-11-30 2020-11-30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604A KR102418915B1 (ko) 2020-11-30 2020-11-30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953A KR20220075953A (ko) 2022-06-08
KR102418915B1 true KR102418915B1 (ko) 2022-07-08

Family

ID=8198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604A KR102418915B1 (ko) 2020-11-30 2020-11-30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9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795B1 (ko) * 2005-04-25 200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1202097B1 (ko) * 2008-06-26 2012-11-1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증기 발생 장치 및 가열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869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참코청하 과열증기 조리기
KR102103008B1 (ko) * 2018-04-20 2020-04-22 주식회사 참코청하 과열증기를 이용한 밀폐형 패류 자숙기
KR101977389B1 (ko) 2018-07-27 2019-05-13 (주)참코청하 과열증기 조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795B1 (ko) * 2005-04-25 200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1202097B1 (ko) * 2008-06-26 2012-11-1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증기 발생 장치 및 가열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953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993B1 (ko) 전열 증기 취사기
KR101815702B1 (ko) 컨베이어식 과열증기 조리장치
JP4620732B2 (ja) 過熱蒸気発生装置、過熱蒸気を用いた食品製造方法および加熱方法
KR101977389B1 (ko) 과열증기 조리기
US8946604B2 (en) Cooking oven with at least one convection heating device
CN102686130A (zh) 用于蒸食物的设备
KR101628621B1 (ko)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JP2004358236A (ja) 気体水による加熱方法及びその装置
JP4013971B2 (ja) 過熱蒸気を利用した加熱調理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2418915B1 (ko) 대류식 과열 증기 조리기
CN111096662A (zh) 一种蒸烤箱以及基于蒸烤箱的烹饪方法
EP2312220B1 (en) two step steam generating process in a steam-baking oven, and oven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KR20180062869A (ko) 과열증기 조리기
JP4179252B2 (ja) 組込式誘導加熱調理器
JP2010200888A (ja) 加熱調理器
JP7208716B2 (ja) 加熱調理器
JP2011120828A (ja) グリル装置
JP5189219B1 (ja) 過熱蒸気を用いた過熱蒸気装置および加熱処理方法
KR100411939B1 (ko) 스팀오븐용 조리실 구조
JP2018132267A (ja) 加熱調理装置
JP2006102066A (ja) 加熱調理装置
KR102537581B1 (ko) 중탕조리기
US1659064A (en) Steam cooker
KR20140139242A (ko) 보조열원을 구비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JP2013050298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