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835B1 -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 Google Patents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835B1
KR102417835B1 KR1020220045105A KR20220045105A KR102417835B1 KR 102417835 B1 KR102417835 B1 KR 102417835B1 KR 1020220045105 A KR1020220045105 A KR 1020220045105A KR 20220045105 A KR20220045105 A KR 20220045105A KR 102417835 B1 KR102417835 B1 KR 10241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rtain
loading device
unit
curtain unit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기
장일복
한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비지트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비지트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비지트럭스
Priority to KR102022004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3/2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with charging pistons, plates, or the like
    • B65F3/2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with charging pistons, plates, or the like with radially shiftable charging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a rotary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7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쓰레기를 적재장치의 쓰레기 투입구에 투입할 때 분진이나 악취가 적재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쓰레기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쓰레기 투입구에 투입되는 쓰레기를 상기 적재함(10)에 적재하는 적재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의 후방 상부에, 쓰레기 투입시 분진과 악취가 적재장치의 적재장치(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커튼 유닛(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GARBAGE COLLECTING VEHICLE HAVING AIR CURTAIN IN GARBAGE 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쓰레기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적재장치의 투입구에 쓰레기를 투입할 때 분진이나 악취가 적재장치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쓰레기 수거차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에 구비되어 쓰레기를 일시적으로 적재하는 적재함(10)과, 상기 쓰레기 적재함(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쓰레기를 압축하면서 적재함(10)으로 밀어넣는 적재장치(20)(이를 '압축팩커'라 부르기도 한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적재장치(20)는, 적재함(10)의 후면 상부 양쪽에 구비되는 한 쌍의 리프트 실린더(21)와, 상기 리프트 실린더(21)와 연결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제2 회전판(22)과, 상기 제2 회전판(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판(23)과, 상기 제2 회전판(22)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10)의 후면에는 네 모서리를 따라 후방 프레임(12)이 구비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12)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적재장치(20)는, 상기 경사진 후방 프레임(12)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고정장치(28)에 의해 후방 프레임(12)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시에는 상기 적재장치(20)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리프트 실린더(21)는, 일단이 제1 힌지(21a)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힌지(22a)에 의해 제2 회전판(22)과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리프트 실린더(21)는 제1 힌지(21a)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회전판(22)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판(22)은, 일단이 제2 힌지(22a)에 연결되고, 몸체 부분이 제3 힌지(22b)와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2 회전판(22)은 상기 제3 힌지(22b)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판(23)은, 적재장치(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4 힌지(23a)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한다.
상기 제1 회전판(23)에 의해, 쓰레기 투입구(25)에 투입되는 쓰레기를 끌어올려 적재함(10)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판(23)은, 유압모터(26)에 연결되는 벨트 및 풀리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적재장치(20)의 하부 양쪽에는, 유압모터(26) 및 동력전달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구동장치 커버(27)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에서 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쓰레기를 쓰레기 투입구(25)에 투입하면, 상기 제1 회전판(23)이 회전하면서 쓰레기를 적재함(10) 하부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일시 정지한다.
이어서 상기 제2 회전판(22)이 회전하면서, 제1 회전판(23) 위에 올려진 쓰레기를 적재함(10)의 하부로 밀어넣는다.
상기 제2 회전판(22)이, 도 1에서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쓰레기를 적재함(10)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제1 회전판(23)은 다시 회전을 시작하여 다음 쓰레기를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제1 회전판(22)은, 도 1에서 오른쪽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대기하고 있다가, 다음의 쓰레기가 적재함(10)의 하부 위치로 이동되면 이를 적재함(10)으로 밀어넣는다.
위와 같은 과정을 계속 반복해 나가면, 쓰레기를 적재함(10)에 연속적으로 적재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작업자가 쓰레기를 쓰레기 투입구(25)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분진이나 악취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여름철과 같은 경우에는 쓰레기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 및 4와 같이 쓰레기통 자체를 들어올려 쓰레기를 비우는 수거차량이 사용되기도 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쓰레기통(A)을 적재장치(20)에 고정시킨 후, 이를 들어올려 그 내부의 쓰레기가 쓰레기 투입구(25)에 낙하되도록 하고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쓰레기 투입구(25)의 하부 단부에 구비되는 쓰레기통 리프트(31)와, 상기 리프트(31)에서 돌출되어 쓰레기통(A)의 양 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포크(23)와, 상기 쓰레기통 리프트(31)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32)와, 들어올려진 쓰레기통(A)의 뚜껑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안내레일(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의 쓰레기 수거차량에서 쓰레기를 수거할 경우, 상기 포크(23)를 양쪽으로 벌려 쓰레기통(A)의 양 측면에 구비된 돌기에 걸고, 유압 실린더(32)를 신장시킨다.
그러면 쓰레기통(A)이 들어올려지면서 리프트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쓰레기통(A)의 뚜껑에 구비된 돌기가 안내레일(34)에 걸리면서 뚜껑이 열려 쓰레기가 투입구(25)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쓰레기 투입구(25)로 투입된 쓰레기는, 전술한 과정을 거쳐 적재함(10)에 적재된다.
상기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에 의하면, 작업자가 쓰레기통(A)을 수동으로 비우지 않아도 되므로 수거작업이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쓰레기 수거차량에서도, 쓰레기 수거시 분진이나 악취가 발생하는 현상은 피할 수가 없다.
한편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40)의 후방 공간을 가리기 위해 천막 소재의 롤 스크린 유닛(40)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롤 스크린 유닛(40)은 쓰레기 수거차량의 운행시 적재장치(20)의 후방 공간을 가릴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쓰레기 수거시 분진이나 악취의 발생을 막을 수는 없다.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을 감은 후에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338853호(2021. 12. 13.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2223555호(2021. 03. 05.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2029815호(2019. 10. 08.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2029817호(2019. 10. 08.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쓰레기를 적재장치의 쓰레기 투입구에 투입할 때 분진이나 악취가 적재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쓰레기 수거 작업시 분진이나 악취가 작업자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쓰레기 수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은, 쓰레기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후방에 구비되어 쓰레기 투입구에 투입되는 쓰레기를 상기 적재함에 적재하는 적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의 후방 상부에, 쓰레기 투입시 분진과 악취가 적재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커튼 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은,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어 팬과, 공기를 적재장치의 하부를 향해 분사하는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은, 상기 에어커튼 유닛에 롤 스크린 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 스크린 유닛은, 롤이 내장되는 본체부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롤에 자동으로 감기는 천막 소재의 스크린과,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재장치의 양측 후방 프레임 내부에 상기 스크린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스크린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과 롤 스크린 유닛은, 각기 제조되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과 롤 스크린 유닛은,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과 롤 스크린 유닛은 적재장치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의 안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과 롤 스크린 유닛은 적재장치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의 바깥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과 롤 스크린 유닛은 적재장치의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을 따라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의 안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과 롤 스크린 유닛은 적재장치의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을 따라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의 바깥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센서에서 스크린이 모두 감긴 것을 감지하면, 에어커튼 유닛의 구동모터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적재장치의 하부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고, 스크린이 하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구동모터가 자동으로 정지되어 에어 분사를 자동으로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은, 상기 에어커튼 유닛의 바깥쪽에 적재장치의 후방을 덮기 위한 도어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장치는, 적재장치의 오픈된 후방을 덮는 도어본체와, 링크기구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 실린더와, 상기 도어본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감지센서가 도어본체의 개방을 감지하면 에어커튼 유닛의 구동모터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적재장치의 하부를 향해 에어를 자동으로 분사하고, 도어본체의 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모터가 자동으로 정지되어 에어 분사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쓰레기를 적재장치의 쓰레기 투입구에 투입할 때 분진이나 악취가 적재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쓰레기 수거 작업시 분진이나 악취가 작업자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쓰레기 수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 스크린 또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에어 분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에어커튼 유닛의 운용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에서 작업자가 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쓰레기통 회동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쓰레기통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측면도 및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에어커튼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식 에어커튼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유닛과 롤 스크린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유닛과 롤 스크린 장착상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유닛과 롤 스크린 장착상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일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은, 쓰레기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쓰레기 투입구에 투입되는 쓰레기를 상기 적재함(10)에 적재하는 적재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의 후방 상부에, 쓰레기 투입시 분진과 악취가 적재장치(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커튼 유닛(5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50a)와, 구동모터(50b)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어 팬(50d)과, 공기를 적재장치(20)의 하부를 향해 분사하는 토출구(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은, 적재장치(20)의 후방에 수직으로 장착될 수 있고, 경사지게 구비되는 적재장치의 후방 프레임(12)을 따라 경사지게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작업자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 투입구(25)에 쓰레기를 직접 투입하거나, 도 3 및 4에서와 같이 쓰레기통(A)을 자동으로 비울 경우, 에어커튼 유닛(50)의 구동모터(50c)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에어가 적재장치(20)의 하부를 향해 분사되어, 쓰레기 수거작업시 각종 분진이나 먼지, 악취가 적재장치(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거작업시 작업자가 분진이나 악취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2 실시예>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에 롤 스크린 유닛(40)을 더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이 내장되는 본체부(40b)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롤에 자동으로 감기는 천막 소재의 스크린(40c)과,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접촉센서(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은, 스크린(40c)을 손으로 잡고 아래로 내리면 풀어지고, 이를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다시 롤에 감기게 된다.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장치(20)의 하부 양쪽에는, 밑으로 당겨진 스크린(40c)을 고정하기 위한 스크린 고정부재(도시 생략)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40c)을 끌어내려 상기 스크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면, 적재장치(20)의 후방 공간을 덮을 수가 있다.
이로써 쓰레기 투입시 더렵혀진 적재장치(20)의 후방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개선시킬 수가 있다.
또한 쓰레기 수거작업을 마치고 차량을 운행할 때, 쓰레기 투입구에 잔류하던 쓰레기가 외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제조되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이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적재장치(20)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의 안쪽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적재장치(20)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의 바깥쪽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적재장치(20)의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12)을 따라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의 안쪽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적재장치(20)의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12)을 따라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의 바깥쪽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용 효과를 도 7,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을 정차시키고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때에는, 적재장치(20)의 후방을 덮고 있던 스크린(40c)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롤의 탄성력에 의해 스크린(40c)이 자동으로 상승하면서 본체부(40b) 내부에 구비된 롤에 감기게 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40c)이 모두 감겨 롤 스크린 유닛(40)의 본체부(40b) 양측에 설치된 접촉센서(40d)에 접촉하면, 에어커튼 유닛(50)의 구동모터(50c)가 자동으로 작동된다.
그러면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 토출구(5b)를 통해 적재장치(20)의 하부를 향해 자동으로 분사된다.
이로써 쓰레기 수거작업시, 분진이나 악취가 적재장치(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쓰레기 수거작업이 완료되면, 롤에 감겨져 있던 스크린(40c)을 아래로 끌어내린다,
그러면 스크린(40c)과 접촉센서(40d)와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에어커튼 유닛(50)의 구동모터(50c)의 작동이 자동으로 정지된다.
이어서 스크린(40c)을 끝까지 내려 적재장치(20)의 스크린 고정장치(도시 생략)에 고정시킨 후 다음 수거장소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쓰레기 수거작업시 분진이나 악취가 적재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이동시에는 적재장치의 오픈된 공간을 스크린으로 가려 잔류 쓰레기가 도로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3 실시예>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2 실시예에서 롤 스크린 유닛 대신에 도어장치(60)를 설치하여 적재장치의 후방 공간을 덮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어장치(60)는, 에어커튼 유닛(40)의 바깥쪽에 설치되며,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장치(20)의 오픈된 후방을 덮는 도어본체(61)와, 링크기구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61)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 실린더(62)와, 상기 도어본체(61)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센서(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용 효과를 도 13 및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을 정차시키고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경우에는, 도어 구동 실린더(62)를 작동시켜 도어본체(61)가 상부를 향해 들려지도록 한다.
이어서 도어 감지센서(63)가 도어본체(61)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며, 에어커튼 유닛(50)의 구동모터(50c)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적재장치(20)의 하부를 향해 에어를 자동으로 분사한다.
쓰레기 수거작업이 완료되면, 도어 구동 실린더(62)를 작동시켜 도어본체(61)가 적재장치(20)의 후방 공간을 덮도록 한다.
그러면 도어 감지센서(63)가 이를 감지하여 에어커튼 유닛(50)의 구동모터(50c)를 자동으로 정지시켜 에어 분사를 중지시킨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아니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적재함 12: 후방 프레임(Frame)
20: 적재장치 21: 리프트 실린더(Lift Cylinder)
21a: 제1 힌지(Hinge) 22: 제2 회전판
22a: 제2 힌지 22b: 제3 힌지
23: 제1 회전판 23a: 제4 힌지
24: 지지부재 25: 쓰레기 투입구
31: 쓰레기통 리프트(Lift) 32: 유압 실린더
33: 포크(Fork) 34: 안내 레일(Rail)
40: 롤 스크린 유닛(Roll Screen Unit)
40a: 스크린 안내홈 40b: 본체부
40c: 스크린(Screen) 40d: 접촉센서
50: 에어커튼 유닛(Air Curtain Unit)
50a: 흡입구 50b: 토출구
50c: 구동모터 50d: 블로어 팬(Blower Fan)
60: 도어장치 61: 도어본체
62: 구동 실린더 63: 도어 감지센서
A: 쓰레기통

Claims (14)

  1. 쓰레기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쓰레기 투입구에 투입되는 쓰레기를 상기 적재함(10)에 적재하는 적재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의 후방 상부에, 쓰레기 투입시 분진과 악취가 적재장치(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커튼 유닛(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은,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50a)와,
    구동모터(50b)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어 팬(50d)과,
    공기를 적재장치(20)의 하부를 향해 분사하는 토출구(5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에 롤 스크린 유닛(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적재장치(20)의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12)을 따라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의 안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은,
    롤이 내장되는 본체부(40b)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롤에 자동으로 감기는 천막 소재의 스크린(40c)과,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접촉센서(40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재장치(20)의 양측 후방 프레임(12) 내부에 상기 스크린(40c)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스크린 안내홈(40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각기 제조되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적재장치(20)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의 안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적재장치(20)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의 바깥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과 롤 스크린 유닛(40)은 적재장치(20)의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12)을 따라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은 상기 롤 스크린 유닛(40)의 바깥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11. 청구항 7, 8,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센서(40d)에서 스크린(40c)이 모두 감긴 것을 감지하면, 에어커튼 유닛(50)의 구동모터(50c)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적재장치(20)의 하부를 향해 에어를 자동으로 분사하고,
    상기 스크린(40c)이 하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구동모터(50c)의 작동이 중지되어 에어 분사를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유닛(50)의 바깥쪽에, 적재장치(20)의 후방을 덮기 위한 도어장치(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어장치(60)는,
    적재장치(20)의 오픈된 후방을 덮는 도어본체(61)와,
    링크기구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61)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 실린더(62)와,
    상기 도어본체(61)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센서(6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감지센서(63)가 도어본체(61)의 개방을 감지하면, 에어커튼 유닛(50)의 구동모터(50c)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적재장치(20)의 하부를 향해 에어를 자동으로 분사하고,
    도어본체(61)의 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모터(50c)의 작동이 중지되어 에어 분사를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220045105A 2022-04-12 2022-04-12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417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105A KR102417835B1 (ko) 2022-04-12 2022-04-12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105A KR102417835B1 (ko) 2022-04-12 2022-04-12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835B1 true KR102417835B1 (ko) 2022-07-06

Family

ID=8240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105A KR102417835B1 (ko) 2022-04-12 2022-04-12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83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21B1 (ko) * 2009-04-22 2009-10-16 주식회사 태하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습식 필터세척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20180028174A (ko) * 2016-09-08 2018-03-16 김대규 냄새 제거장치를 갖는 청소차량
KR101901973B1 (ko) * 2017-03-24 2018-10-02 유영산업주식회사 이중덮개구조로 된 환경폐기물 운송차량 적재함 덮개장치
KR102029817B1 (ko) 2019-04-24 2019-10-08 장종기 압축팩커 하강 안전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29815B1 (ko) 2019-04-24 2019-10-08 장종기 협착사고 방지 압축팩커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223555B1 (ko) 2020-10-12 2021-03-05 장종기 압축팩커에 승강버킷과 도어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338853B1 (ko) 2021-06-17 2021-12-13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회전식 버킷과 쓰레기 이송 및 압축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21B1 (ko) * 2009-04-22 2009-10-16 주식회사 태하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습식 필터세척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20180028174A (ko) * 2016-09-08 2018-03-16 김대규 냄새 제거장치를 갖는 청소차량
KR101901973B1 (ko) * 2017-03-24 2018-10-02 유영산업주식회사 이중덮개구조로 된 환경폐기물 운송차량 적재함 덮개장치
KR102029817B1 (ko) 2019-04-24 2019-10-08 장종기 압축팩커 하강 안전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29815B1 (ko) 2019-04-24 2019-10-08 장종기 협착사고 방지 압축팩커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223555B1 (ko) 2020-10-12 2021-03-05 장종기 압축팩커에 승강버킷과 도어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338853B1 (ko) 2021-06-17 2021-12-13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회전식 버킷과 쓰레기 이송 및 압축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7048B1 (en) Suction system for urban wastes and for recyclable materials
KR101668005B1 (ko) 전동식 셔터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223555B1 (ko) 압축팩커에 승강버킷과 도어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0689875B1 (ko)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JP6116262B2 (ja) ゴミの縦搬送装置
KR102417835B1 (ko) 적재장치에 에어커튼 유닛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200407980Y1 (ko)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투입부 구조
JPH08244906A (ja) ごみ貯留装置
US4926531A (en) Apparatus for giving protection from draft and dust at a winding machine
KR100998289B1 (ko) 친환경 대형폐기물 수거차량
KR102417840B1 (ko) 적재장치에 작업자 탑승 캐빈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JP3430355B2 (ja) シ−トシャッタ−
KR100956433B1 (ko) 커버를 구비한 직물 권취 장치
KR100328395B1 (ko) 자동도어 장치
KR102607763B1 (ko) 세척과 건조 장소가 분리된 세차시스템
JP2538366Y2 (ja) 塵芥収集車の吸入ホース格納装置
JP2522475Y2 (ja) 路面掻きほぐし装置後部の廃材漏れ止め機構
KR100859998B1 (ko) 친환경 음식물 수거 운반차
KR102607769B1 (ko) 회전 및 좌우 이동노즐이 적용된 세차시스템
CN213385032U (zh) 一种打包机的除尘装置
JP3530921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3232182B2 (ja) 反転投入装置を備えたゴミ回収車
JP3995308B2 (ja) 塵芥収集車
JPH06219503A (ja) ゴミ容器反転装置
JP3771181B2 (ja) 塵芥貯留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