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024B1 -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024B1
KR102416024B1 KR1020200097205A KR20200097205A KR102416024B1 KR 102416024 B1 KR102416024 B1 KR 102416024B1 KR 1020200097205 A KR1020200097205 A KR 1020200097205A KR 20200097205 A KR20200097205 A KR 20200097205A KR 102416024 B1 KR102416024 B1 KR 102416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device body
screw
bol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112A (ko
Inventor
용 석 장
Original Assignee
용 석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석 장 filed Critical 용 석 장
Priority to KR1020200097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0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3Extruder machine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5Flow dividers, e.g. breaker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스크류를 통해 노즐 측으로 압송되어 노즐과 압출스크류의 사이에 위치한 반죽물을 보다 많은 물리적 압력으로 비벼주고 뒤집어주면서 치대어 반죽물의 안쪽과 바깥쪽이 모두 균일하게 더 오래 반죽될 수 있도록 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스크류 하우징과 노즐 사이의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후단부 외곽에 스크류 하우징에 볼트 체결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중앙부에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유입구의 전방측으로 연이어 동일한 직경으로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구는 선단 외곽을 따라 출구 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조립공을 갖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의 출구 전방측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외곽 둘레를 따라 수평의 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저지턱은 스크류 하우징 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장치몸체의 조립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볼트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볼트 관통홀과 체결공의 사이에 링 형태의 스페이서가 구비되고, 고정볼트가 상기 볼트 관통홀과 스페이서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공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장치몸체의 전방측 고정되는 차단판;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The dough a property of matter control device of screw noodle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스크류를 통해 노즐 측으로 압송되어 노즐과 압출스크류의 사이에 위치한 반죽물을 보다 많은 물리적 압력으로 비벼주고 뒤집어주면서 치대어 반죽물의 안쪽과 바깥쪽이 모두 균일하게 더 오래 반죽될 수 있도록 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제면기는 각종 곡류와 수분을 적정량 혼합하여 반죽하고, 그 반죽을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노즐을 통해 압출되게 하여 제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스크류 제면기는 투입된 반죽을 압출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선단부 노즐 측으로 강제 압송시켜 제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스크류 제면기의 일 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제면기 본체(200)가 베이스(100)에 의하여 하부가 지지되고, 상기 제면기 본체(200)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압출스크류(211)가 내장된 스크류 하우징(2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 하우징(210)은 상부측에 호퍼(200a)를 갖고, 스크류 하우징(210)의 선단부에는 다수의 압출공(220a)을 갖는 노즐(220)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220)과 스크류 하우징(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케이싱(230)에 의해 서로 플랜지 결합되어 있으나, 상기 케이싱(230) 없이 노즐(220)이 직접 스크류 하우징(210)에 체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크류 제면기는, 먼저 반죽물이 호퍼(200a)를 통해 스크류 하우징(210)의 내부에 투입되고, 투입된 반죽물은 압출스크류(211)의 회전에 의해 노즐(220) 측으로 압송되며, 압송된 반죽물은 노즐(220a)의 압출공(220a)을 통해 압출됨으로써 제면이 이루어진다.
한편, 면의 식감은 반죽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반죽이 충분히 이루어지면 면의 식감이 찰지고 쫀듯하고, 반죽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푸석거리고 끊어지게 됨으로써 면의 식감이 떨어진다. 이러한 면의 식감은 반죽물의 물성에 의해 결정되고, 반죽물의 물성은 물리적 압력, 예컨대 충분히 비벼주고 치대어주는 정도에 따라 반죽물을 끈기있게 찰지고 쫀듯한 식감을 갖게 하거나 끈기가 적어 퍽퍽한 식감을 갖게 한다.
밀가루의 경우 면이 찰지고 쫀듯한 식감을 갖도록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글루텐(gluten)이다. 글루텐은 물과 함께 반죽을 하면 밀가루 중의 전분 입자와 연결되어 그물모양의 구조로 글루텐 막을 형성한다. 이 막은 효모의 발효에 의하여 생성된 탄산가스나 수중기의 유출을 방지하여 주는 동시에 반죽에 가소성(plasticity)을 부여한다. 소맥분은 글루텐의 함량에 따라 그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을 강력분, 가장 적은 것을 박력분, 그 중간인 것을 중력분이라고 한다. 강력분은 35%이상, 박력분은 19~25% 함유하고 있다. 밀가루는 약 0.55%이다.
글루텐을 50~70%의 에틸알코올과 섞으면 녹는 성분과 녹지 않는 성분이 있는데, 전자를 글리아딘(gliadin), 후자를 글루테닌(glutenin)이라 한다. 글루텐의 끈기는 가스를 보유하는 힘이 있으며, 빵이 부푸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면이 잘 늘어나는 것은 모두 글루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글루테닌은 글루텐에 견고성을 주는데 대하여 글루아딘은 점착성과 연한 성질을 부여한다. 밀가루 중의 글루텐 함량과 글루테닌:글루아딘의 함량비는 제품의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즉 반죽할 때 많이 비벼주고 치대어주는 물리적 압력을 많이 가하면 글루아딘의 함량비가 높아져 반죽의 점착성과 연한 성질이 증가하는 물성 변화로 보다 찰지고 쫀듯한 식감을 갖도록 하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현재 스크류 제면기의 구조에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물이 압출스크류(211)에 의해 노즐(220) 측으로 압송될 때, 반죽물의 외측면은 스크류 하우징(210)의 내벽에 치대어지면서 압송되는데 반면에, 압출스크류(211)에 인접한 반죽물의 안쪽은 스크류 하우징(210)의 내벽에 치대어지지 못하고 상기 압출스크류(211)가 반죽물을 안고 돌아가는 현상으로 반죽물의 안쪽과 바깥쪽이 균일하게 반죽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반죽의 점착성과 연한 성질을 높이는 물성 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보다 찰지고 쫀듯한 식감을 갖는 면의 제조에 제한성을 갖는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5454호(2005.09.29.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출스크류를 통해 노즐 측으로 압송되어 노즐과 압출스크류의 사이에 위치한 반죽물을 보다 많은 물리적 압력으로 비벼주고 뒤집어주면서 치대어 반죽물의 안쪽과 바깥쪽이 모두 균일하게 더 오래 반죽될 수 있도록 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 가압장치의 한 형태는, 스크류 하우징과 노즐 사이의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후단부 외곽에 스크류 하우징에 볼트 체결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중앙부에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유입구의 전방측으로 연이어 동일한 직경으로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구는 선단 외곽을 따라 출구 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조립공을 갖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의 출구 전방측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외곽 둘레를 따라 수평의 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저지턱은 스크류 하우징 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장치몸체의 조립공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볼트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볼트 관통홀과 체결공의 사이에 링 형태의 스페이서가 구비되고, 고정볼트가 상기 볼트 관통홀과 스페이서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공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장치몸체의 전방측 고정되는 차단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류 하우징과 노즐 사이로 압송된 반죽물이 장치몸체의 경사유입구에 의해 1차 물리적 압력을 받고, 차단판의 벽에 부딪혀 2차 물리적 압력을 받으며, 스페이서에 의해 3차 물리적 압력을 받고, 차단판의 저지턱에 의해 4차 물리적 압력을 받으면서 진행방향이 역전되며, 다시 장치몸체와 케이싱 사이의 내벽에 부딪혀 노즐 측으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5차에 걸친 물리적 압력을 받게 됨으로써 반죽물이 보다 찰지고 쫀듯한 식감을 갖는 물성으로 변화되고, 이로 인해 면의 식감에 따른 질적 향상과 기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류 제면기의 일 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노즐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노즐 측 내부 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를 나타낸 스크류 제면기의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를 나타낸 스크류 제면기의 부분 확대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류 하우징(210)의 선단과 노즐(220) 사이의 케이싱(230) 내부에 위치하고, 장치몸체(1)와 차단판(2)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몸체(1)는 후단부 외곽에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1)에 의해 장치몸체(1)가 스크류 하우징(210)에 플랜지 결합될 수 있게 하고, 후방측 중앙부에 경사유입구(12)가 형성되어 스크류 하우징(210)을 통해 압송된 반죽물이 장치몸체(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경사유입구(12)는 후방측은 넓고 전방측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깔대기 형태로 경사유입구(12)를 통과하는 반죽물은 노즐(220) 측으로 압송되면서 점차 압력을 받은 후, 경사유입구(12)의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출구(13)를 통해 압축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출구(13)는 선단부에 복수개의 조립공(14)을 가지며, 장치몸체(1)의 전방측에는 수직의 차단판(2)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2)은 출구(13)의 조립공(14)에 대응되는 볼트 관통홀(22)과, 차단판(2)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저지턱(21)을 갖는데, 이때 상기 저지턱(21)은 스크류 하우징(210) 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2)의 볼트 관통홀(22)과, 출구(13)의 조립공(14) 사이에 링 형태의 스페이서(23)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23)는 차단판(2)의 볼트 관통홀(22)에 삽입된 후 출구(13)의 조립공(1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24)에 의해 상기 차단판(2)과 함께 장치몸체(1)에 결합 및 조립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압출스크류(211)에 의해 반죽물이 스크류 하우징(210)의 선단부를 통해 장치몸체(1)의 경사유입구(12) 측으로 압송되고, 경사유입구(12) 측으로 이동한 반죽물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상기 경사유입구(12)를 통과하는 동안 압축되어 1차 물리적 압력을 받는다.
경사유입구(12)를 통과한 반죽물은 출구(13)를 통해 압축된 상태로 배출되고, 배출된 반죽물은 차단판(2)의 내측에 부딪히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2차 물리적 압력을 받는다. 이렇게 차단판(2)에 부딪힌 반죽물은 상기 차단판(2)의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 밖에 없는데, 이때 반죽물이 갈라지면서 반죽물의 안쪽이 차단판(2)에 비벼지고 치대어져 반죽된다.
또한, 차단판(2)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반죽물은 다시 스페이서(23)에 부딪히면서 3차 물리적 압력을 받고 갈라지면서 반죽되고, 스페이서(23)를 통과한 반죽물은 또다시 차단판(2)의 저지턱(21)에 부딪혀 4차 물리적 압력을 받는다. 이때 반죽물은 저지턱(21)의 안내를 받고 역방향, 즉 스크류 하우징(210) 측으로 진행하면서 반죽된 후 장치몸체(1)의 밀착돌부(15)와 케이싱(230)의 내벽에 부딪혀 5차 물리적 압력을 받는다.
그런 다음, 다시 반죽물의 진행방향이 노즐(220) 측으로 바뀌어 상기 노즐(220) 측으로 압송되고, 노즐(220) 측으로 압송된 반죽물은 노즐(220)의 압출공(220a)을 통해 압출됨으로써 반죽물이 5차에 걸친 물리적 압력에 의해 내.외측이 균일하게 충분히 반죽되고, 이러한 반죽물의 물성 변화는 보다 찰지고 쫀득한 식감을 갖는 면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장치몸체(1)와 차단판(2)의 사이에, 상기 장치몸체(1)의 출구(13)를 통해 나오는 반죽물의 배출량을 조절해줄 수 있도록 하는 반죽물 배출량 조절부(3)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반죽물 배출량 조절부(3)는 차단판(2)의 외측면 중앙부에 구비된 너트(31)와, 상기 너트(31)와 동일축 선상으로 차단판(2)에 관통 형성된 볼트 삽입공(32)과, 상기 볼트 삽입공(32)을 관통하여 너트(31)에 체결되는 조절볼트(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죽물 배출량 조절부(3)는 조절볼트(33)가 회전조작에 의해서 장치몸체(1)의 출구(13)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출구(13)와 조절볼트(33) 간의 공간이 많아져 배출량이 증가하고, 반대로 조절볼트(33)가 회전조작에 의해 장치몸체(1)의 출구(13)에 가까워지면, 상기 출구(13)와 조절볼트(33) 간의 공간이 좁아져 배출량이 감소됨으로써 노즐(220) 측으로 압송되는 반죽량의 배출량을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와 함께 출구(13)를 통해 배출된 반죽물이 조절볼트(22)의 헤드에 부딪히고 갈라져 반죽됨으로써 반죽물은 상기한 5차 물리적 압력과 함께 총 6차에 걸친 물리적 압력을 받게 되어 보다 찰지고 쫀듯한 식감의 물성으로 변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스크류 하우징과 노즐 사이로 압송된 반죽물이 장치몸체의 경사유입구에 의해 1차 물리적 압력을 받고, 차단판의 벽에 부딪혀 2차 물리적 압력을 받으며, 스페이서에 의해 3차 물리적 압력을 받고, 차단판의 저지턱에 의해 4차 물리적 압력을 받으면서 진행방향이 역전되며, 다시 장치몸체와 케이싱 사이의 내벽에 부딪혀 노즐 측으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5차에 걸친 물리적 압력을 받게 됨으로써 반죽물이 보다 찰지고 쫀듯한 식감을 갖는 물성으로 변화되고, 이로 인해 면의 식감에 따른 질적 향상과 기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장치몸체
11: 플랜지 12: 경사유입구
13: 출구 14: 조립공
15: 밀착돌부
2: 차단판
21: 저지턱 22: 볼트 관통홀
23: 스페이서(spacer) 24: 고정볼트
3: 반죽물 배출량 조절부
31: 너트 32: 볼트 삽입공
33: 조절볼트

Claims (4)

  1. 스크류 하우징(210)과 노즐(220) 사이의 케이싱(230) 내부에 위치하고, 후단부 외곽에 스크류 하우징(210)에 볼트 체결되는 플랜지(11)를 가지며, 중앙부에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유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유입구(12)의 전방측으로 연이어 동일한 직경으로 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출구(13)는 선단 외곽을 따라 출구(13) 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조립공(14)을 갖는 장치몸체(1)와;
    상기 장치몸체(1)의 출구(13) 전방측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외곽 둘레를 따라 수평의 저지턱(21)이 형성되며, 상기 저지턱(21)은 스크류 하우징(210) 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장치몸체(1)의 조립공(14)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볼트 관통홀(22)을 가지며, 상기 볼트 관통홀(22)과 체결공(14)의 사이에 링 형태의 스페이서(23)가 구비되고, 고정볼트(24)가 상기 볼트 관통홀(22)과 스페이서(23)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공(14)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장치몸체(1)의 전방측 고정되는 차단판(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몸체(1)는 플랜지(11)의 전방측 외곽에 케이싱(230)의 내측에 맞대어지는 밀착돌부(15)를 가지며, 상기 밀착돌부(15)는 상기 케이싱(230)의 경사면(230a) 시작점에 선단이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몸체(1)와 차단판(2)의 사이에, 상기 장치몸체(1)의 출구(13)를 통해 나오는 반죽물의 배출량을 조절해줄 수 있도록 하는 반죽물 배출량 조절부(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물 배출량 조절부(3)는, 상기 차단판(2)의 외측면 중앙부에 너트(31)가 구비되고, 상기 너트(31)와 동일축 선상으로 차단판(2)에 볼트 삽입공(3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볼트 삽입공(32)을 관통하여 너트(31)에 조절볼트(33)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KR1020200097205A 2020-08-04 2020-08-04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KR102416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205A KR102416024B1 (ko) 2020-08-04 2020-08-04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205A KR102416024B1 (ko) 2020-08-04 2020-08-04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112A KR20220017112A (ko) 2022-02-11
KR102416024B1 true KR102416024B1 (ko) 2022-06-30

Family

ID=8026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205A KR102416024B1 (ko) 2020-08-04 2020-08-04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024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7083A (en) 1977-03-16 1980-08-12 Diepal Corporation Extrusion head
US4623495A (en) 1983-04-22 1986-11-18 Les Cables De Ly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ber cable
US6258396B1 (en) 1999-04-30 2001-07-10 Nestec S.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panded cereal
JP2005269931A (ja) 2004-03-23 2005-10-06 Kobird Co Ltd ツイスト食品成形装置
JP3927861B2 (ja) 2002-05-23 2007-06-13 明治製菓株式会社 食品材料の押出成型装置
KR101005872B1 (ko) 2010-09-17 2011-01-06 주식회사 승진기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장치
JP5826923B2 (ja) 2011-06-14 2015-12-02 ヨンギ キム 搾汁機
KR101584746B1 (ko) 2015-08-11 2016-01-21 이규복 곡물국수용 제면장치
KR101749689B1 (ko) 2017-02-16 2017-06-23 백장미 곡물국수 제조장치
KR200488816Y1 (ko) 2018-02-22 2019-03-21 용 석 장 원단 반죽기
JP2020090022A (ja) 2018-12-05 2020-06-11 Toyo Tire株式会社 ブレーカープレート及び押出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170A (ko) * 1991-07-11 1993-02-22 김동진 번호판겸 조명 전자 장치
KR20050095454A (ko) 2004-03-26 2005-09-29 용 석 장 스크류식 제면기의 구동장치
KR20060014499A (ko) * 2004-08-11 2006-02-16 이창현 자동 수위 조절장치
KR101355966B1 (ko) * 2011-10-05 2014-01-29 이경은 무 점성 곡물용 제면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7083A (en) 1977-03-16 1980-08-12 Diepal Corporation Extrusion head
US4623495A (en) 1983-04-22 1986-11-18 Les Cables De Ly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ber cable
US6258396B1 (en) 1999-04-30 2001-07-10 Nestec S.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panded cereal
JP3927861B2 (ja) 2002-05-23 2007-06-13 明治製菓株式会社 食品材料の押出成型装置
JP2005269931A (ja) 2004-03-23 2005-10-06 Kobird Co Ltd ツイスト食品成形装置
KR101005872B1 (ko) 2010-09-17 2011-01-06 주식회사 승진기계 발포시트 성형용 압출장치
JP5826923B2 (ja) 2011-06-14 2015-12-02 ヨンギ キム 搾汁機
KR101584746B1 (ko) 2015-08-11 2016-01-21 이규복 곡물국수용 제면장치
KR101749689B1 (ko) 2017-02-16 2017-06-23 백장미 곡물국수 제조장치
KR200488816Y1 (ko) 2018-02-22 2019-03-21 용 석 장 원단 반죽기
JP2020090022A (ja) 2018-12-05 2020-06-11 Toyo Tire株式会社 ブレーカープレート及び押出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112A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0765B2 (ja) 膨化スナック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8158179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n expanded food product
KR102416024B1 (ko)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CA2341236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asa flour
JPH07231751A (ja) 円筒中空状スナック製造用の型ノズル装置
KR20160024480A (ko) 국수 제조기용 압출장치
WO2015068838A1 (ja) 破砕・爆砕装置、製粉方法、穀物粉、食品及び接着剤
KR20090010423A (ko) 곡물 반죽기
KR20130036907A (ko) 무 점성 곡물용 제면 장치
JPH07313091A (ja) ゴマ粒入りポテトチップス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ゴマ粒入りポテトチップス用ペレットの製造装置
US20040022917A1 (en) Device and method for dough production
US5271728A (en) Apparatus with detachable teeth for pressing out raw materials
CN113102000B (zh) 一种精米生产设备及生产方法
JP2010154817A (ja) 膨化ライ麦及びパンの製造法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WO2011052012A1 (ja) 押出式製麺機
JP5815201B2 (ja) 押出式製麺機
WO2000042870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ate pour une extrudeuse
JP3752192B2 (ja) 押出式製麺機のフランジ付き目皿
KR102386356B1 (ko) 팥죽 새알심 성형장치
KR20180076274A (ko) 콩을 이용한 인조육 및 그의 제조방법
JP2988907B1 (ja) 多加水麺用麺帯機
JP6762675B2 (ja) エクストルーダー処理したα化デュラム小麦粒を使用した焼き菓子の製造方法
KR100511631B1 (ko) 압출기의 컷팅장치
JPS6156051A (ja) 麺類の製造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