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816Y1 - 원단 반죽기 - Google Patents

원단 반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816Y1
KR200488816Y1 KR2020180000793U KR20180000793U KR200488816Y1 KR 200488816 Y1 KR200488816 Y1 KR 200488816Y1 KR 2020180000793 U KR2020180000793 U KR 2020180000793U KR 20180000793 U KR20180000793 U KR 20180000793U KR 200488816 Y1 KR200488816 Y1 KR 200488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crew
rod
cen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석 장
Original Assignee
용 석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석 장 filed Critical 용 석 장
Priority to KR2020180000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8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21C1/065Worm or screw mixers, e.g. with consecutive mix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21C1/1415Shafts; Hea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4Discharg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20Extruding machines with 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류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이 없고, 스크류에 의해 노즐을 통해 압출되어 나오는 반죽이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노즐의 전방측 중심에 구비되는 센터봉을 노즐의 내측에서 지지하지 않고 노즐의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에 노즐의 내측에서 센터봉을 지지함에 따라 발생될 수 밖에 없었던 반죽의 갈라짐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원단 반죽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몸체의 상부측 투입호퍼와 일체로 연결된 실린더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한쌍의 스크류가 설치되고, 스크류의 끝단에는 한쌍의 스크류가 맞닿아 돌아갈 수 있도록한 기어와, 이 기어 후방에는 스크류를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하는 감속수단이 풀리에 의하여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전방측에 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노즐은 반죽물을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전방측 중심에 센터봉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봉과 이격되게 노즐의 전방 내측에 안내링이 구비되어 상기 센터봉과 안내링의 사이에 환형의 토출공이 형성되도록 한 원단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센터봉과 동일축선 상으로 상기 센터봉의 외측에 일체로 지지봉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은 노즐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고 수평의 연결대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된 제2 지지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에 의해 지지봉의 외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원단 반죽기{Fbric kneader}
본 고안은 원단 반죽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이 없고, 스크류에 의해 노즐을 통해 압출되어 나오는 반죽이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노즐의 전방측 중심에 센터봉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센터봉을 노즐의 내측에서 지지하지 않고 노즐의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게 하여 기존에 노즐의 내측에서 센터봉을 지지함에 따라 발생될 수 밖에 없었던 반죽의 갈라짐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원단 반죽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죽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30)상측에는 투입호퍼(12)와 일체로 연결된 실린더(10)내부에 나사산(16)을 갖는 한쌍의 스크류(14)가 설치되고, 스크류(14)의 끝단에는 한쌍의 스크류(14)가 맞닿아 돌아갈 수 있도록한 기어와, 이 기어 후방에는 스크류(14)를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하는 감속수단(24)이 풀리(26)에 의하여 모터(28)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의 전방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2)이 장착되고, 상기 노즐(22)과 스크류(14)의 사이에는 스크류(14)의 회전축(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링체(21a)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스크류(14)의 회전축(18)이 삽입되는 센터링(21b)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링(21b)은 복수개의 포스트(21c)에 의해 링체(21a)에 일체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원단 반죽기는 노즐(22)을 통해 반죽물이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전방측 중심에 센터봉(22a)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봉(22a)과 이격되게 노즐(22)의 전방 내측에 안내링(22b)이 구비되어 상기 센터봉(22a)과 안내링(22b)의 사이에 환형의 토출공(22c)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22)의 전방 상측에는 칼날(40)이 구비되어 칼날(40)이 노즐(22)을 통해 토출되는 튜브 형태의 반죽물의 상측을 절개함으로써 절개된 반죽이 펼쳐지면서 원단형태의 반죽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반죽물은 링체(21a)의 내부를 통해 노즐(22) 측으로 압출될 때, 반죽물이 링체(21a)와 센터링(21b)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포스트(21c)에 의해 그 개수만큼 갈라진 상태로 노즐(22)의 토출공(32)을 통해 크랙을 갖는 튜브 형태로 토출됨으로써 반죽 불량 및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은 스크류(14)를 안정적으로 양단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류(14)는 이미 모터(28)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고 있어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을 구비하지 않아도 직진도의 유지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노즐(22)의 센터봉(22a)은 안내링(22b)의 중심 공간에 떠 있는 형태가 되어 반드시 지지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이 없는 상태에서 노즐(22)의 내측에 센터봉(22a)과 노즐(22)의 내측을 연결하는 서포터(22d)가 구비되어 상기 서포터(22d)에 의해 노즐(22)의 전방측 센터봉(22a)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 또한 스크류(14)에 의해 압출되어 나오는 반죽물이 상기 서포터(22d)에 의해 갈라질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크랙을 갖는 튜브 형태로 노즐(22)의 토출공(32)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반죽 불량 및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0139108호(1999.03.20.공고.) "반죽기용 실린더"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크류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이 없고, 스크류에 의해 노즐을 통해 압출되어 나오는 반죽이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노즐의 전방측 중심에 센터봉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센터봉을 노즐의 내측에서 지지하지 않고 노즐의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게 하여 기존에 노즐의 내측에서 센터봉을 지지함에 따라 발생될 수 밖에 없었던 반죽의 갈라짐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원단 반죽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크류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이 구비되고, 스크류에 의해 노즐을 통해 압출되어 나오는 반죽이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노즐의 전방측 중심에 센터봉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봉은 노즐의 외측에서 지지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을 통과하면서 갈라진 반죽물을 다시 재반죽 및 혼합하여 크랙이 없는 튜브 형태의 반죽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원단 반죽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원단 반죽기의 한 형태는, 몸체의 상부측 투입호퍼와 일체로 연결된 실린더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한쌍의 스크류가 설치되고, 스크류의 끝단에는 한쌍의 스크류가 맞닿아 돌아갈 수 있도록한 기어와, 이 기어 후방에는 스크류를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하는 감속수단이 풀리에 의하여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전방측에 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노즐은 반죽물을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전방측 중심에 센터봉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봉과 이격되게 노즐의 전방 내측에 안내링이 구비되어 상기 센터봉과 안내링의 사이에 환형의 토출공이 형성되도록 한 원단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센터봉과 동일축선 상으로 상기 센터봉의 외측에 일체로 지지봉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은 노즐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고 수평의 연결대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된 제2 지지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에 의해 지지봉의 외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원단 반죽기의 다른 형태는, 몸체의 상부측 투입호퍼와 일체로 연결된 실린더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한쌍의 스크류가 설치되고, 스크류의 끝단에는 한쌍의 스크류가 맞닿아 돌아갈 수 있도록한 기어와, 이 기어 후방에는 스크류를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하는 감속수단이 풀리에 의하여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전방측에 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노즐과 스크류의 사이에는 스크류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은 원형의 링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스크류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안내링이 구비되며, 상기 안내링은 복수개의 포스트에 의해 링체에 일체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즐은 반죽물이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전방측 중심에 센터봉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봉과 이격되게 노즐의 전방 내측에 안내링이 구비되어 상기 센터봉과 안내링의 사이에 환형의 토출공이 형성된 원단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센터봉과 동일축선 상으로 상기 센터봉의 외측에 일체로 지지봉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은 노즐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지대가 설치되며, 노즐의 외측에 상기 제1 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고 수평의 연결대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된 제2 지지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에 의해 지지봉의 외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와 센터봉의 사이에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을 통과하여 갈라진 반죽물을 다시 재반죽 및 혼합하는 재반죽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반죽수단은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의 센터링을 관통한 스크류의 회전축 상에 상기 회전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착홀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에 수직봉 형태의 젓개를 억지끼움식으로 상.하로 대칭을 이루게 삽입 및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크류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이 없는 원반 반죽기에 있어서, 반죽물을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노즐의 중심에 구비된 센터봉과 동일축선 상으로 지지봉이 센터봉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은 노즐의 상측에 설치된 제1 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제1 지지대에 연결된 제2 지지대에 의해 지지봉의 외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을 통해 튜브 형태로 토출되는 반죽물에 대한 갈라짐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반죽의 정확성 및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스크류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을 갖는 원반 반죽기에 있어서, 반죽물을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노즐의 중심에 구비되는 센터봉과 동일축선 상으로 지지봉이 센터봉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은 노즐의 상측에 설치된 제1 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제1 지지대에 연결된 제2 지지대에 의해 지지봉의 외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을 관통한 스크류의 회전축 상에 재반죽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을 통과하면서 갈라진 반죽물을 다시 재반죽 및 혼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갈라지기 전의 초기 반죽 상태로 회복할 수 있게 되어 노즐을 통해 크랙이 없는 튜브 형태의 반죽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반죽기의 일 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원반 반죽기에 적용되는 도 1의 노즐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의 정면도.
도 4는 종래 원반 반죽기의 노즐 부분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노즐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노즐 부분의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반죽기는 몸체(30)의 상부측 투입호퍼(12)와 일체로 연결된 실린더(10)내부에 나사산(16)을 갖는 한쌍의 스크류(14)가 설치되고, 스크류(14)의 끝단에는 한쌍의 스크류(14)가 맞닿아 돌아갈 수 있도록한 기어와, 이 기어 후방에는 스크류(14)를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하는 감속수단(24)이 풀리(26)에 의하여 모터(28)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10)의 전방측에 노즐(22)이 장착된다. 그리고 원단 반죽기의 경우에는 노즐(22)의 전방측 중심에 센터봉(22a)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봉(22a)과 이격되게 노즐(22)의 전방 내측에 안내링(22b)이 고정 및 설치되며, 상기 센터봉(22a)과 안내링(22b) 사이의 환형의 토출공(22c)을 스크류(14)에 의해 압출된 반죽물이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도 1 및 2 참조.)
이러한 원단 반죽기에 있어, 본 고안은 스크류(14)의 회전축(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이 없어 기존에 스크류(14)에 의해 압출된 반죽물이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의 포스트(21c)에 의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노즐(22)의 센터봉(22a)을 노즐(22)의 외측에서 지지하여 노즐(22)의 내측에 반죽물을 갈라지게 하는 구조물이나 수단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기존에 노즐(22)의 내측에 센터봉(22a)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나 수단에 의해 발생될 수 밖에 없었던 반죽의 갈라짐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22)의 센터봉(22a)과 동일축선 상으로 상기 센터봉(22a)의 외측에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봉(11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110)의 외측 단부를 후술되어질 제2 지지대(11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22)의 내측에 상기 노즐(22)의 센터봉(22a)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나 수단을 완전히 배제한 것이다. 상기 제2 지지대(113)는 노즐(22)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대(111)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수평의 연결대(112)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111)에 상단부가 연결 및 지지되고, 하단부는 지지봉(110)의 외측 단부에 연결 및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봉(110)과 제2 지지대(113)가 베어링(미도시됨)으로 연결 및 결합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크류(14)와 노즐(22) 사이에 스크류(14)의 회전축(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이나 별도의 센터봉 지지수단이 없기 반죽물이 스크류(14)에서 노즐(22) 측으로 압출될 때 갈라짐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노즐(22) 측으로 압출된 반죽물은 노즐(22)의 센터봉(22a)과 안내링(22b) 사이의 토출공(22c)을 통해 튜브 형태로 토출되고 튜브 형태의 반죽물은 노즐(22)의 전방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 칼날(40)에 의해 절개되어 펼쳐지면서 크랙이 없는 질 높은 원단 형태의 반죽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노즐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스크류(14)의 회전축(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이 존재하는 경우, 반죽물이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을 통과하면서 갈라진 상태로 노즐(22) 측으로 압출될 때, 노즐(22)의 통해 토출되기 전에 다시 갈라진 반죽물을 초기 갈라지지 않는 반죽물로 회복시키는데 있다.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은 원형의 링체(21a)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스크류(14)의 회전축(18)이 삽입되는 센터링(21b)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링(21b)은 복수개의 포스트(21c)에 의해 링체(21a)에 일체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반죽물은 링체(21a)의 내부를 통해 노즐(22) 측으로 압출되도록 구성(도 1 내지 도 3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반죽물이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을 통과하면 상기 포스트(21c)에 의해 갈라짐 현상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노즐(22)의 센터봉(22a)을 노즐(22)의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의 센터링(21b)을 관통한 스크류(14)의 회전축(18) 상에 재반죽수단(W)을 구비하여 상기 재반죽수단(W)에 의해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을 통과하면서 갈라진 반죽물을 다시 재반죽 및 혼합하여 갈라지기 전의 초기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노즐(22)의 센터봉(22a)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노즐(22)의 센터봉(22a)과 동일축선 상으로 상기 센터봉(22a)의 외측에 일체로 지지봉(1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110)은 노즐(22)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지대(111)가 설치되며, 노즐(22)의 외측에 상기 제1 지지대(111)와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고 수평의 연결대(112)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111)와 연결된 제2 지지대(113)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113)에 의해 지지봉(110)의 외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재반죽수단(W)은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의 센터링(21b)을 관통한 스크류(14)의 회전축(18) 상에 상기 회전축(18)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착홀(W1)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W1)에 수직봉 형태의 젓개(W2)를 억지끼움식으로 상.하로 대칭을 이루게 삽입 및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스크류(14)의 회전에 의해서 호퍼(12)를 통해 실린더(10)의 내부로 투입된 반죽물이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의 링체(21a)와 센터링(21b)의 사이를 통해 압출되는데, 이때 반죽물은 링체(21a)와 센터링(21b)의 사이를 연결하는 포스트(21c)의 개수만큼 갈라지면서 압출된다. 그리고 압출된 갈라진 반죽물은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의 센터링(21b)을 관통한 회전축(18) 상에 구비된 재반죽수단(W)에 의해서 다시 재반죽, 즉 혼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재반죽수단(W)은 젓개(W2)가 스크류(14)의 회전축(18)과 함께 회전하면서 갈라진 반죽물을 휘저어 혼합함으로써 재반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재반죽이 이루어짐에 따라 갈라진 반죽물은 다시 갈라지지 않은 초기 반죽 상태로 노즐(22) 측으로 압출되고, 압출된 반죽물은 노즐(22)의 센터봉(22a)과 안내링(22b) 상의 토출공(22c)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튜브 형태의 반죽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튜브 형태의 반죽물은 노즐(22)의 전방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 칼날(40)에 의해 절개되어 펼쳐지면서 이 역시 질 높은 원단 형태의 반죽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스크류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이 없는 원반 반죽기에 있어서, 반죽물을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노즐의 중심에 구비된 센터봉과 동일축선 상으로 지지봉이 센터봉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은 노즐의 상측에 설치된 제1 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제1 지지대에 연결된 제2 지지대에 의해 지지봉의 외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을 통해 튜브 형태로 토출되는 반죽물에 대한 갈라짐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반죽의 정확성 및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스크류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을 갖는 원반 반죽기에 있어서, 반죽물을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노즐의 중심에 구비되는 센터봉과 동일축선 상으로 지지봉이 센터봉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은 노즐의 상측에 설치된 제1 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제1 지지대에 연결된 제2 지지대에 의해 지지봉의 외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을 관통한 스크류의 회전축 상에 재반죽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을 통과하면서 갈라진 반죽물을 다시 재반죽 및 혼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갈라지기 전의 초기 반죽 상태로 회복할 수 있게 되어 노즐을 통해 크랙이 없는 튜브 형태의 반죽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원단 반죽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실린더 14: 스크류
16: 나사산 18: 회전축
21: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 21a: 링체
21b: 센터링 21c: 포스트
22: 노즐 22a: 센터봉
22b: 안내링 22c: 토출공
110: 지지봉 111: 제1 지지대
112: 연결대 113: 제2 지지대
W: 재반죽수단 W1: 장착홀
W2: 젓개

Claims (3)

  1. 몸체(30)의 상부측 투입호퍼(12)와 일체로 연결된 실린더(10)내부에 나사산(16)을 갖는 한쌍의 스크류(14)가 설치되고, 스크류(14)의 끝단에는 한쌍의 스크류(14)가 맞닿아 돌아갈 수 있도록한 기어와, 이 기어 후방에는 스크류(14)를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하는 감속수단(24)이 풀리(26)에 의하여 모터(28)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10)의 전방측에 노즐(22)이 장착되고, 상기 노즐(22)은 반죽물을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전방측 중심에 센터봉(22a)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봉(22a)과 이격되게 노즐(22)의 전방 내측에 안내링(22b)이 구비되어 상기 센터봉(22a)과 안내링(22b)의 사이에 환형의 토출공(22c)이 형성되도록 한 원단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22)의 센터봉(22a)과 동일축선 상으로 상기 센터봉(22a)의 외측에 일체로 지지봉(1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110)은 노즐(22)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1 지지대(111) 및, 상기 제1 지지대(111)와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고 수평의 연결대(112)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111)와 연결된 제2 지지대(113)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113)에 의해 지지봉(110)의 외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원단 반죽기.
  2. 몸체(30)의 상부측 투입호퍼(12)와 일체로 연결된 실린더(10)내부에 나사산(16)을 갖는 한쌍의 스크류(14)가 설치되고, 스크류(14)의 끝단에는 한쌍의 스크류(14)가 맞닿아 돌아갈 수 있도록한 기어와, 이 기어 후방에는 스크류(14)를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하는 감속수단(24)이 풀리(26)에 의하여 모터(28)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10)의 전방측에 노즐(22)이 장착되고, 상기 노즐(22)과 스크류(14)의 사이에는 스크류(14)의 회전축(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은 원형의 링체(21a)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스크류(14)의 회전축(18)이 삽입되는 센터링(21b)이 구비되며, 상기 센터링(21b)은 복수개의 포스트(21c)에 의해 링체(21a)에 일체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즐(22)은 반죽물이 튜브 형태로 토출될 수 있게 전방측 중심에 센터봉(22a)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봉(22a)과 이격되게 노즐(22)의 전방 내측에 안내링(22b)이 구비되어 상기 센터봉(22a)과 안내링(22b)의 사이에 환형의 토출공(22c)이 형성된 원단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22)의 센터봉(22a)과 동일축선 상으로 상기 센터봉(22a)의 외측에 일체로 지지봉(1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110)은 노즐(22)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지대(111)가 설치되며, 노즐(22)의 외측에 상기 제1 지지대(111)와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고 수평의 연결대(112)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111)와 연결된 제2 지지대(113)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113)에 의해 지지봉(110)의 외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스크류(14)와 센터봉(22a)의 사이에 상기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을 통과하여 갈라진 반죽물을 다시 재반죽 및 혼합하는 재반죽수단(W)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원단 반죽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죽수단(W)은 스크류 지지용 구조물(21)의 센터링(21b)을 관통한 스크류(14)의 회전축(18) 상에 상기 회전축(18)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착홀(W1)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W1)에 수직봉 형태의 젓개(W2)를 억지끼움식으로 상.하로 대칭을 이루게 삽입 및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원단 반죽기.

KR2020180000793U 2018-02-22 2018-02-22 원단 반죽기 KR200488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93U KR200488816Y1 (ko) 2018-02-22 2018-02-22 원단 반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93U KR200488816Y1 (ko) 2018-02-22 2018-02-22 원단 반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816Y1 true KR200488816Y1 (ko) 2019-03-21

Family

ID=6589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793U KR200488816Y1 (ko) 2018-02-22 2018-02-22 원단 반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8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112A (ko) * 2020-08-04 2022-02-11 용 석 장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112A (ko) * 2020-08-04 2022-02-11 용 석 장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KR102416024B1 (ko) 2020-08-04 2022-06-30 용 석 장 스크류 제면기의 반죽물 물성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9724B (zh) 用于搅拌熔融玻璃的装置
JP5091337B2 (ja) 斜円筒型混合機
KR200488816Y1 (ko) 원단 반죽기
CN205216725U (zh) 一种新型食品搅拌机
CN116272546B (zh) 一种饲料预混合装置
CN205340616U (zh) 一种生物有机肥生产用双轴搅拌机
CN211358459U (zh) 搅拌桶装置
CN117380035A (zh) 一种高粘弹沥青改性剂混合系统
JP4359473B2 (ja) 撹拌具及び撹拌具付撹拌装置
CN204746314U (zh) 用于反应罐搅拌的设备
CN102553474B (zh) 一种搅拌剪切工具
US2432326A (en) Pellet mill
DE19923378A1 (de) Vorrichtung zum Homogenisieren fließfähiger Stoffe
CN107335363B (zh) 一种搅拌机叶片组件
CN216469887U (zh) 破拱装置
CN213529149U (zh) 一种能够多级筛分的辛烷双氟硼酸盐生产用离心机
US780926A (en) Churn.
CN205627720U (zh) 一种锥形双螺旋物料混合装置
CN209076459U (zh) 一种膏状物混合机
US3410535A (en) Mixing device
CN221015774U (zh) 一种用于搅拌机的可伸展式桨叶
CN212942731U (zh) 一种新型高粘度物料混合机
CN206064291U (zh) 贵金属提取料的三维运动混合机
CN216964592U (zh) 捷流式乳化机
CN218404207U (zh) 一种血球破膜均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