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064B1 - 광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광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064B1
KR102415064B1 KR1020150191121A KR20150191121A KR102415064B1 KR 102415064 B1 KR102415064 B1 KR 102415064B1 KR 1020150191121 A KR1020150191121 A KR 1020150191121A KR 20150191121 A KR20150191121 A KR 20150191121A KR 102415064 B1 KR102415064 B1 KR 102415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ink
blade
straight
rotar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991A (ko
Inventor
미야카와 마사에
김남일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064B1/ko
Priority to EP16207048.6A priority patent/EP3187931B1/en
Priority to US15/393,925 priority patent/US10025161B2/en
Priority to CN201611255865.8A priority patent/CN106932895B/zh
Publication of KR2017007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02B26/02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mprising movable attenuating elements, e.g. neutral density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81Analogue circuits
    • G03B7/085Analogue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광량 조절 장치는 통공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링크와, 링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링크의 회전중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며 통공을 폐쇄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와, 통공을 폐쇄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의 직선적인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링크에 연결된 제1 회전날개와, 통공을 폐쇄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의 직선적인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링크에 연결된 제2 회전날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량 조절 장치{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실시예들은 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이 통과하는 통공의 크기를 조절할 때에 통공의 모양을 원형에 가까운 6각형 모양으로 유지함으로써 광학적 성능이 향상되며,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CCTV와 같은 촬영장치는 피사체의 광을 받아들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로 광을 통과시키는 통공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리개와 같은 광량 조절 장치를 갖는다.
감시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에도 광의 경로를 차단하여 광량과 감도를 조절하기 위해 광량 조절 장치가 사용된다. 광량 조절 장치가 개방하는 면적을 변경하여 심도를 조정하면, 먼 거리나 가까운 거리의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3-0000979호는 종래의 광량 조절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광량 조절 장치는 광을 통과시키는 통공의 크기를 조정할 때에 통공의 모양이 불규칙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광량이 불균형적으로 변하거나, 이미지 센서에 대해 회절 현상이나 색수차가 비대칭적으로 발생하거나, 빛이 갈라지거나 번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조리개의 통공을 최대로 조이는 과정에서 통공의 모양이 거의 마름모꼴 모양이 되어 초점이 맞지 않아 이미지가 흐려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나뭇잎 사이로 유입되는 빛과 같이 고휘도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장면을 촬영하는 경우, 빛 부분이 조리개의 통공 형상과 닮은 마름모꼴의 형상으로 흐려지므로 부자연스러운 이미지의 촬영이 이루어진다.
도 23은 종래의 광량 조절 장치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광량 조절 장치는 광을 통과시키기는 광통공(511)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기 위하여 구멍(521, 531)을 갖는 날개들(520, 530)을 이용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촬영 장치로 광을 전달하기 위한 광통공(511)은 전체적으로 원형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지만, 광량 조절 장치가 작동하는 중에 광량 조절 장치의 날개들(520, 530)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이 광통공(511)의 모양과 잘 맞지 않아 빛이 갈라지거나 번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광량 조절 장치에 의하면 이미지에서 부분적으로 초점이 흐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광량 조절 장치의 통공이 가로부분이 더 긴 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종방향과 횡방향의 광학적 수차가 달라져, 촬영된 이미지의 종방향과 횡방향의 해상력이 불균형을 이루고 광량의 차이가 발생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통공의 모양을 원형에 가까운 다각형 모양으로 변형하기 위한 시도가 있지만, 이와 같은 시도에 의하면 통공을 형성하는 날개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하고 조리개 날개의 이동량이 증가하므로 광량 조절 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6개의 날개를 이용하여 6각형의 개구를 갖는 광량 조절 장치를 설계하는 경우, 6개의 날개를 구동하기 위해서 구동 모터의 크기가 증가하고 부품의 개수와 광량 조절 장치의 전체적인 부피가 증가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301159호와, 일본 등록특허 제5173979호는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3개 이상의 날개를 이용하는 광량 조절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날개들이 최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증가한다. 날개의 이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날개를 구동하는 회전 링크의 길이가 증가하여 광량 조절 장치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의 크기가 증가하므로 광량 조절 장치를 소형화하기가 어렵다.
일본 등록특허 제4735997호는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2개의 날개와 회전하는 4개의 날개를 포함하여, 총 6개의 날개를 이용하는 광량 조절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6각형의 통공의 모양을 유지하는 광량 조절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6개의 날개를 모두 구동하기 위하여 6개의 날개와 핀에 의해 연결되는 원반 부재를 배치하여야 하므로 필요한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고 광량 조절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와 두께가 증가한다. 또한 원반부재와 6개의 날개들의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찰로 인하여 원반부재와 6개의 날개들을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토크가 증가하므로 대형의 구동 모터와 감속기를 사용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각형의 개구를 갖는 종래의 광량 조절 장치는 그 부피가 커지고 부품 개수의 증가로 인하여 제조 비용도 증가하므로, 감시 카메라나 캠코더와 같은 장치에서 채용하기가 어렵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3-0000979호 (1993.01.16.)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301159호 (1998.11.13.) 일본 등록특허 제5173979호 (2013.01.11.) 일본 등록특허 제4735997호 (2011.05.13)
실시예들의 목적은 광학적 성능이 향상된 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광량 조절 장치의 작동 중 광을 통과시키는 통공의 변화로 인하여 빛이 갈라지거나 번지는 등의 광학적 이상 현상을 제거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부품의 개수와 부피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광을 통과시키는 개구의 모양이 원형에 가까운 육각형의 동일한 모양으로 유지될 수 있는 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는 광이 통과하는 통공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링크와, 링크에 연결되며 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링크의 회전중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며, 케이스의 통공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는 위치와 통공을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배치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와, 케이스의 통공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위치와 통공을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의 직선적인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링크에 연결된 제1 회전날개와, 케이스의 통공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위치와 통공을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의 직선적인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링크에 연결된 제2 회전날개를 구비한다.
제1 회전날개와 제2 회전날개의 각각의 회전중심은 케이스의 통공의 중심과 링크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는 일측에서 돌출된 제1 연결돌기와 타측에서 돌출된 제2 연결돌기와 제1 연결돌기와 링크의 회전중심의 사이에서 돌출된 제3 연결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직진날개는 제1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직진날개는 제2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구멍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회전날개는 제3 연결돌기가 삽입되며 만곡되어 연장하는 제1 회전안내구멍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회전날개는 제2 연결돌기가 삽입되며 만곡되어 연장하는 제2 회전안내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회전안내구멍은 제2 회전날개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구멍과 캠구멍에 연결되며 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주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링크는 일측에서 돌출된 제1 연결돌기와 타측에서 돌출된 제2 연결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직진날개는 제1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직진날개는 제2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구멍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회전날개는 제1 연결돌기가 삽입되며 만곡되어 연장하는 제1 회전안내구멍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회전날개는 제2 연결돌기가 삽입되며 만곡되어 연장하는 제2 회전안내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안내구멍은 제1 회전날개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제1 캠구멍과 제1 캠구멍에 연결되며 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원주구멍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회전안내구멍은 제2 회전날개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제2 캠구멍과 제2 캠구멍에 연결되며 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원주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는, 직선 운동을 하는 제1 직진날개 및 제2 직진날개와 회전 운동을 제1 회전날개 및 제2 회전날개에 의해 광이 통과하는 통공의 크기가 조절되는 동안 통공의 모양이 원형에 가까운 6각형 모양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광학적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제1 회전날개 및 제2 회전날개와 제1 직진날개 및 제2 직진날개의 4장의 날개들을 링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구동부에 필요한 구동력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4장의 날개들의 배치와 작동을 위해 필요한 공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컴팩트한 광량 조절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량 조절 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량 조절 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광량 조절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광량 조절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광량 조절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광량 조절 장치의 내부에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광량 조절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광량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광량 조절 장치의 내부에서 제1 회전날개와 제2 회전날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광량 조절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광량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광량 조절장치의 내부에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와 제1 회전날개와 제2 회전날개의 작동 상태를 함께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광량 조절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광량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광량 조절 장치의 통공이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통공이 더욱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통공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9는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를 위하여 제작된 비교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비교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비교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광량 조절 장치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 중에 사용되는 '및/또는'의 표현은 관련 요소들의 하나 또는 요소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는 광이 통과하는 통공(11)을 구비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링크(20)와, 링크(20)에 연결되며 링크(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30)와, 케이스(10)에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며 링크(20)에 연결되는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와,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링크(20)에 연결된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를 구비한다.
상술한 구조의 광량 조절 장치는 예를 들어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나 CCTV 등의 감시 카메라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촬영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통공(11)을 통하여 촬영 장치의 이미지 센서로 광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와 구동부(30)와 링크(20)와 제1 회전날개(70) 및 제2 회전날개(80) 등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스(1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얇은 금속판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와, 제1 회전날개(70) 및 제2 회전날개(80)와, 링크(20)가 수용된다.
케이스(10)의 상면에 커버(9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90)는 케이스(10)의 통공(11)에 대응하는 외측 통공(91)을 구비한다. 케이스(10)도 플라스틱이나 금속판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는 케이스(10)에 의해 지지되며, 케이스(10)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는 X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는 통공(11)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서로에 대하여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는 케이스(10)의 통공(11)을 개방하는 방향, 즉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거나, 케이스(10)의 통공(11)을 폐쇄하는 방향, 즉 서로에 대하여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케이스(10)에 배치된다.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의 각각은 통공(11)의 일부에 대응하도록 통공(11)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개구부(49)와 제2 개구부(59)를 구비한다.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는 플라스틱이나 얇은 금속판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는 서로에 대해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0)와 제1 직진날개(40)의 사이와, 케이스(10)와 제2 직진날개(50)의 사이의 각각에는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의 직선적인 운동을 안내하는 직선 가이드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직선 가이드는 케이스(10)의 내측에 형성된 직진안내 돌출부(10a)와,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의 각각에 형성되어 직진안내 돌출부(10a)가 삽입되는 직선홈(47, 48, 57, 58)을 구비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직선 가이드의 구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케이스(10)에 직선홈을 설치하고,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에 돌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케이스(10)의 내측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의 양측 가장자리의 단부들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직선 가이드를 구현할 수도 있다.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의 직선홈(47, 48, 57, 58)에는 케이스(10)의 직진안내 돌출부(10a)가 삽입되므로,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는 도 1에서 Y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제1 직진날개(40)의 일면에 접하여 제1 직진날개(40)의 직선적인 이동을 안내하는 직선 돌출부(10b)를 구비한다. 직선 돌출부(10b)는 제1 직진날개(40)는 케이스(10)와 제1 직진날개(40)의 사이의 마찰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스(10)에는 링크(2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링크(20)의 회전중심(21)의 일측에는 제1 직진날개(40)가 연결되고, 링크(20)의 타측에는 제2 직진날개(50)가 연결된다.
링크(20)는 회전중심(21) 일측의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연결돌기(22)와 타측의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2 연결돌기(23)와, 제1 연결돌기(22)와 링크(20)의 회전중심(21)의 사이에서 Z축 방향으로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3 연결돌기(24)를 구비한다.
제1 직진날개(40)는 제1 연결돌기(22)가 삽입되는 제1 연결구멍(41)을 구비하고, 제2 직진날개(50)는 제2 연결돌기(23)가 삽입되는 제2 연결구멍(51)을 구비한다. 제1 연결구멍(41)과 제2 연결구멍(51)은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의 직선 운동의 방향, 즉 X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Y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실시예는 링크(20)와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의 각각을 연결하는 제1 연결돌기(22) 및 제2 연결돌기(23)와 제1 연결구멍(41)과 제2 연결구멍(51)의 배치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링크(20)의 양측 단부에 연결구멍들을 설치하고,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의 각각에 연결돌기들을 설치하도록 구조를 변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광량 조절 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구동부(30)는 케이스(10)의 외측에 배치된다. 구동부(30)는 외부에서 전기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함으로써, 도 1의 링크(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부(30)의 구동축(31)은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케이스(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구동축(31)은 케이스(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구동축(31)은 링크(20)의 회전중심(21)에 결합되므로, 링크(20)는 구동축(31)과 함께 케이스(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각각의 회전구멍(72, 82)은 케이스(10)에 형성된 회전 지지축(1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는 회전 지지축(19)을 중심으로 케이스(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는 플라스틱이나 얇은 금속판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각각의 회전구멍(72, 82)에 결합되는 케이스(10)의 회전 지지축(19)은 케이스(10)의 통공(11)의 중심(C)과 링크(20)의 회전중심(D1)을 통과하는 직선(L1)의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각각의 회전중심도 케이스(10)의 통공(11)의 중심(C)과 링크(20)의 회전중심(D1)을 통과하는 직선(L1)의 위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배치 구조에 의하면, 광을 통과시키는 구멍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가 링크(2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회전중심이 직선(L1)의 위에 배치됨으로써 제1 회전안내구멍(71)과 제2 회전안내구멍(81)의 궤적의 위치를 케이스(10)의 길이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회전운동을 허용하기 위한 케이스(10)의 내부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컴팩트한 구성의 광량 조절 장치의 설계가 가능하다.
제2 회전날개(80)는 링크(20)의 제2 연결돌기(23)가 삽입되는 제2 회전안내구멍(81)을 구비한다. 제2 회전안내구멍(81)은 제2 회전날개(80)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구멍(81a)과, 캠구멍(81a)에 연결되며 링크(20)의 회전중심(2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주구멍(81b)을 구비한다. 캠구멍(81a)은 회전중심(2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회전중심(21)에 대한 방사 방향으로 만곡되며 연장한다.
링크(20)는 링크(20)의 회전중심(21)과 제1 연결돌기(22)의 사이에 제3 연결돌기(24)를 구비한다. 제1 회전날개(70)는 링크(20)의 제3 연결돌기(24)가 삽입되는 제1 회전안내구멍(71)을 구비한다. 제1 회전안내구멍(71)은 제1 회전날개(70)의 회전구멍(7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함과 동시에 제1 회전날개(70)의 회전구멍(72)의 방사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장한다.
제1 회전날개(70)의 제1 회전안내구멍(71)에 제3 연결돌기(24)가 삽입됨으로써, 제1 회전날개(70)가 링크(20)에 연결된다. 링크(20)가 회전하면 링크(20)의 회전력이 제3 연결돌기(24)를 통하여 제1 회전안내구멍(71)에 전달되므로, 링크(20)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여 제1 회전날개(70)가 회전한다.
제2 회전날개(80)의 제2 회전안내구멍(81)에 제2 연결돌기(23)가 삽입됨으로써 제2 회전날개(80)가 링크(20)에 연결된다. 따라서 링크(20)가 회전하면 링크(20)의 회전력이 제2 연결돌기(23)를 통하여 제2 회전안내구멍(81)에 전달되므로, 링크(20)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여 제2 회전날개(80)가 회전한다.
링크(20)의 일측에 제1 회전날개(70)가 연결되고, 타측에 제2 회전날개(80)가 연결되므로, 링크(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링크(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20)와 연결된 제1 회전날개(70)는 통공(11)을 폐쇄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날개(80)는 통공(11)을 폐쇄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링크(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회전날개(70)는 통공(11)을 개방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날개(80)는 통공(11)을 개방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회전날개(70) 및 제2 회전날개(80)의 각각은 최대 개방 상태에서 케이스(10)의 돌출부(10a)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70a, 80a)을 구비한다.
도 3은 도 2의 광량 조절 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커버(90)는 제1 연결돌기(22)와 제2 연결돌기(23)와 제3 연결돌기(24)의 단부가 삽입되며 링크(20)의 회전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제1 연결돌기(22)와 제2 연결돌기(23)와 제3 연결돌기(24)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회전홈부(92, 93, 94)와,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를 지지하는 직진안내부(97)와,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를 지지하는 회전안내부(98)를 구비한다.
케이스(10)와 커버(90)의 사이에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와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4장의 날개들이 배치될 때에는 케이스(10)로부터 커버(90)까지의 공간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에 4장의 날개들이 배치된다.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와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는 케이스(10)의 직선 돌출부(10b)와 커버(90)의 직진안내부(97) 및 회전안내부(98)의 사이에 배치되므로(도 1 참조), 4장의 날개들의 사이의 간섭, 4장의 날개들과 커버(90)의 사이의 간섭, 및 4장의 날개들과 케이스(10)의 사이의 기계적인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0)가 4장의 날개들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구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광량 조절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광량 조절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광량 조절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의 각각은 광량 조절 장치의 링크(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차례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2의 광량 조절 장치의 내부에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광량 조절 장치의 링크(20)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 있을 때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의 위치를 도시한다.
제2 직진날개(50)는 링크(20)의 제2 연결돌기(23)에 연결되고, 제1 직진날개(40)는 링크(20)의 제1 연결돌기(22)에 연결되므로, 링크(20)의 회전 운동이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에 전달된다.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는 케이스(10)에 의해 X축 방향만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규제되어 있으므로, 링크(20)가 회전 운동함에 따라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는 X축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도 7에서는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가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통공(11)이 완전히 개방한 상태이다.
도 8은 도 7의 광량 조절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8은 광량 조절 장치의 링크(20)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 있을 때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7의 상태와 비교할 때, 도 8에서는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는 통공(11)의 중심을 향하여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통공(11)의 일부를 폐쇄한다.
도 9는 도 7의 광량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9는 광량 조절 장치의 링크(20)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 있을 때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8의 상태와 비교할 때, 도 9에서는 제1 직진날개(40)와 제2 직진날개(50)가 통공(11)의 중심을 향하여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더욱 이동함으로써 통공(11)을 더 폐쇄한다.
도 10은 도 2의 광량 조절 장치의 내부에서 제1 회전날개와 제2 회전날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0은 광량 조절 장치의 링크(20)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 있을 때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위치를 도시한다.
제2 회전날개(80)의 제2 회전안내구멍(81)에는 링크(20)의 제2 연결돌기(23)가 삽입되고, 제1 회전날개(70)의 제1 회전안내구멍(71)에는 링크(20)의 제3 연결돌기(24)가 삽입된다. 제2 연결돌기(23)는 제2 회전안내구멍(81)의 캠구멍(81a)에 동력을 전달하므로, 제2 연결돌기(23)에 의해 제2 회전날개(80)가 회전운동을 한다. 마찬가지로 제3 연결돌기(24)는 제1 회전안내구멍(71)에 동력을 전달하므로, 제3 연결돌기(24)에 의해 제1 회전날개(70)가 회전운동을 한다.
따라서 링크(20)의 회전 운동이 제2 연결돌기(23)와 제3 연결돌기(24)를 통해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각각에 전달되어,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0에서 제1 회전날개(70)는 반시계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이고, 제2 회전날개(80)는 시계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하여 통공(11)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다.
도 11은 도 10의 광량 조절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1은 광량 조절 장치의 링크(20)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 있을 때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0과 비교할 때, 도 11에서 제1 회전날개(70)는 반시계 방향으로 통공(11)의 중심을 향하여 약간 회전하였고, 제2 회전날개(80)는 시계 방향으로 통공(11)의 중심을 향하여 약간 회전함으로써 통공(11)의 일부분이 폐쇄된다.
도 12는 도 10의 광량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2는 광량 조절 장치의 링크(20)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 있을 때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1과 비교할 때, 도 12에서 제1 회전날개(70)는 반시계 방향으로 통공(11)의 중심을 향하여 더 회전하고, 제2 회전날개(80)는 시계 방향으로 통공(11)의 중심을 향하여 더 회전함으로써 통공(11)의 중심 부분에 가까운 통공(11)의 일부분이 폐쇄된다.
도 13은 도 2의 광량 조절장치의 내부에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와 제1 회전날개와 제2 회전날개의 작동 상태를 함께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광량 조절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광량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광량 조절 장치의 통공이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통공이 더욱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3은 광량 조절 장치의 링크(20)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 있을 때에 해당하고,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해당하며, 도 17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 해당한다.
도 18은 도 17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통공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링크(20)의 위치가 도 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광량 조절 장치의 제1 회전날개(70) 및 제2 회전날개(80)와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의 각각의 위치는 도 13 부터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습으로 차례로 변경되고,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링크(20)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공(11)이 폐쇄된 상태가 된다.
도 17에서 제2 회전날개(80)의 제2 회전안내구멍(81)에 삽입된 제2 연결돌기(23)가 캠구멍(81a)과 원주구멍(81b)의 경계에 도달하였으므로, 이 상태에서 링크(20)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도 링크(20)의 제2 연결돌기(23)가 원주구멍(81b)을 따라 이동한다.
원주구멍(81b)은 제2 회전날개(80)의 회전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므로, 링크(20)의 제2 연결돌기(23)가 원주구멍(81b)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원주구멍(81b)과 제2 연결돌기(23)의 사이에 기계적인 간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연결돌기(23)가 원주구멍(81b)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제2 회전날개(80)에는 링크(20)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제2 회전날개(80)는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 제2 연결돌기(23)는 도 18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한다.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공(11)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제2 회전날개(80)가 더 회전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각각의 단부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간격(d)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회전날개(70)와 제2 회전날개(80)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인 간섭 현상과 이로 인한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상태에서 링크(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공(11)의 중심에 해당하는 일부분이 개방되기 시작한다.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하는 도 6의 상태로부터 링크(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변경된 후, 링크(2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변경되면 광량 조절 장치의 제1 회전날개(70) 및 제2 회전날개(80)와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의 각각의 위치는 도 17부터 도 16, 도 15, 도 14, 도 13의 각각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공(11)을 개방하기 위한 방향으로 차례로 변경된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량 조절 장치의 제1 회전날개(70) 및 제2 회전날개(80)와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의 각각의 위치가 변경되어 통공(11)의 크기가 변경되는 동안 변경되는 통공(11)의 모양은 원형에 가까운 대략 6각형의 동일한 모양으로 유지된다.
통공(11)의 6각형 모양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좌우 측의 4개의 변은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통공(11)의 6각형 모양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상측과 하측의 2개의 변은 제1 회전날개(70) 및 제2 회전날개(80)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통공(11)의 크기가 거의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최소로 개방된 상태까지 변경되는 동안 통공(11)의 모양이 동일한 6각형 모양으로 유지되므로, 마름모꼴의 통공 모양을 구현한 종래의 광량 조절 장치에서 발생하던 광학적인 문제들을 피할 수 있으므로 광량 조절 장치의 광학적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광량 조절 장치에 의하면 제1 회전날개(70) 및 제2 회전날개(80)와 제1 직진날개(40) 및 제2 직진날개(50)의 4장의 날개들을 구동하여 통공(11)의 크기를 6각형 모양으로 유지하면서도, 링크(20)를 이용하여 4장의 날개들을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구동부(30)에 필요한 구동력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4장의 날개들의 배치와 작동을 위해 필요한 공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컴팩트한 광량 조절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9는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를 위하여 제작된 비교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비교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비교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비교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에서는 광이 통과할 수 있는 6각형의 형상의 통공(111)을 개방하거나 및 폐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와 달리,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비교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에서는 6각형의 형상의 통공(111)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개수의 날개들이 필요하다.
즉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비교예에서는 직선 운동하는 두 개의 직선날개들(140, 150)과, 6각형의 통공(111)의 두 개의 변을 형성하는 제1 회전날개(170)와 제2 회전날개(180)와 또 다른 두 개의 변을 형성하는 제3 회전날개(150)와 제4 회전날개(160)의 총 6개의 날개들이 사용된다.
제1 회전날개(170)는 직선날개들(140, 150)의 직선 운동 방향에서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회전중심(179)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제1 회전날개(170)의 캠홈(171)과 제3 회전날개(150)의 캠홈(151)은 링크의 제1 돌기(122)에 의해 안내된다.
제2 회전날개(180)도 직선날개들(140, 150)의 직선 운동 방향에서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회전중심(189)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제2 회전날개(180)의 캠홈(181)과 제4 회전날개(160)의 캠홈(161)은 링크의 제2 돌기(123)에 의해 안내된다.
상술한 구성의 비교예에 의하면 6개의 날개들에 의해 대략 6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는 통공(111)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나, 6개의 회전하는 날개들의 회전 궤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광량 조절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날개들의 개수가 증가함으로 광량 조절 장치의 두께가 증가한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는,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광량 조절 장치에서 링크(20)에 제1 연결돌기(22)와 제2 연결돌기(23)의 두 개의 연결돌기만을 설치하도록 변경하였다.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링크(20)의 제1 연결돌기(22)는 제1 직진날개(40) 및 제1 회전날개(270)에 결합된다. 제1 연결돌기(22)는 제1 회전날개(270)의 제1 회전안내구멍(271)에 삽입된다.
링크(20)의 제2 연결돌기(23)는 제2 직진날개(50) 및 제2 회전날개(280)에 결합된다. 제2 연결돌기(23)는 제2 회전날개(280)의 제2 회전안내구멍(281)에 삽입된다.
제1 회전날개(270)와 제2 회전날개(280)은 케이스(10)에 형성된 회전 지지축(1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회전날개(270)와 제2 회전날개(280)는 회전 지지축(19)을 중심으로 케이스(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날개(270)와 제2 회전날개(280)의 각각의 회전중심은 케이스(10)의 통공(11)의 중심(C)과 링크(20)의 회전중심(D1)을 통과하는 직선(L1)의 위에 배치된다.
제1 회전날개(270)의 제1 회전안내구멍(271)은 제1 회전날개(270)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제1 캠구멍(271a)과, 제1 캠구멍(271a)에 연결되며 링크(20)의 회전중심(D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원주구멍(271b)을 구비한다. 제1 캠구멍(271a)은 링크(20)의 회전중심(D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링크(20)의 회전중심(D1)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만곡되며 연장한다.
제2 회전날개(280)의 제2 회전안내구멍(281)은 제2 회전날개(280)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제2 캠구멍(281a)과, 제2 캠구멍(281a)에 연결되며 링크(20)의 회전중심(D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원주구멍(281b)을 구비한다. 제2 캠구멍(281a)은 링크(20)의 회전중심(D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링크(20)의 회전중심(D1)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만곡되며 연장한다.
제1 연결돌기(22)가 제1 캠구멍(271a)에 위치할 때에는 링크(20)의 회전력이 제1 회전날개(270)에 전달되고, 제2 연결돌기(23)가 제2 캠구멍(281a)에 위치할 때에는 링크(20)이 회전력이 제2 회전날개(280)에 전달됨으로써 제1 회전날개(270)와 제2 회전날개(280)가 회전운동을 한다.
또한 제1 연결돌기(22)가 제1 원주구멍(271b)에 위치할 때에는 링크(20)의 회전력이 제1 회전날개(270)에 전달되지 않고, 제2 연결돌기(23)가 제2 원주구멍(281b)에 위치할 때에는 링크(20)의 회전력이 제2 회전날개(280)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회전날개(270)와 제2 회전날개(280)가 더 이상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 제1 회전날개(270)와 제2 회전날개(280)의 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기계적인 간섭 현상을 피할 수 있다.
제1 회전날개(270)의 제1 회전안내구멍(271)이 링크(20)의 제1 연결돌기(22)에 연결됨으로 인해, 제1 회전안내구멍(271)의 위치가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교하여 제1 회전날개(270)의 외곽으로 이동하였다. 따라서 케이스(10)는 제1 회전날개(270)의 회전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외측 확장부(10d)를 구비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L1: 직선 70, 270: 제1 회전날개
D1: 회전중심 71: 제1 회전안내구멍
10a: 돌출부 80, 280: 제2 회전날개
10b: 직선 돌출부 81b: 원주구멍
10: 케이스 81: 제2 회전안내구멍
10d: 외측 확장부 81a: 캠구멍
11: 통공 90: 커버
19: 회전 지지축 91: 외측 통공
20: 링크 97: 직진안내부
21: 회전중심 98: 회전안내부
22: 제1 연결돌기 70a, 80a: 수용홈
23: 제2 연결돌기 72, 82: 회전구멍
24: 제3 연결돌기 47, 48, 57, 58: 직선홈
30: 구동부 271b: 제1 원주구멍
31: 구동축 271a: 제1 캠구멍
40: 제1 직진날개 271: 제1 회전안내구멍
41: 제1 연결구멍 92, 93, 94: 회전홈부
49: 제1 개구부 281b: 제2 원주구멍
50: 제2 직진날개 281a: 제2 캠구멍
51: 제2 연결구멍 281: 제2 회전안내구멍
59: 제2 개구부

Claims (6)

  1. 광이 통과하는 통공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링크;
    상기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링크의 회전중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통공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제1 직진날개와 제2 직진날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통공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직진날개와 상기 제2 직진날개의 직선적인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링크에 연결된 제1 회전날개;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통공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직진날개와 상기 제2 직진날개의 직선적인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링크에 연결된 제2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제2 회전날개의 각각의 회전중심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통공의 중심과 상기 링크의 상기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의 위에 배치된, 광량 조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일측에서 돌출된 제1 연결돌기와, 상기 타측에서 돌출된 제2 연결돌기와, 상기 제1 연결돌기와 상기 링크의 상기 회전중심의 사이에서 돌출된 제3 연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직진날개는 상기 제1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직진날개는 상기 제2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날개는 상기 제3 연결돌기가 삽입되며 만곡되어 연장하는 제1 회전안내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날개는 상기 제2 연결돌기가 삽입되며 만곡되어 연장하는 제2 회전안내구멍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안내구멍은 상기 제2 회전날개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구멍과 상기 캠구멍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의 상기 회전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원주구멍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일측에서 돌출된 제1 연결돌기와, 상기 타측에서 돌출된 제2 연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직진날개는 상기 제1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직진날개는 상기 제2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날개는 상기 제1 연결돌기가 삽입되며 만곡되어 연장하는 제1 회전안내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날개는 상기 제2 연결돌기가 삽입되며 만곡되어 연장하는 제2 회전안내구멍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안내구멍은 상기 제1 회전날개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제1 캠구멍과 상기 제1 캠구멍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의 상기 회전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원주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안내구멍은 상기 제2 회전날개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제2 캠구멍과 상기 제2 캠구멍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의 상기 회전중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원주구멍을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
KR1020150191121A 2015-12-31 2015-12-31 광량 조절 장치 KR102415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121A KR102415064B1 (ko) 2015-12-31 2015-12-31 광량 조절 장치
EP16207048.6A EP3187931B1 (en) 2015-12-31 2016-12-28 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US15/393,925 US10025161B2 (en) 2015-12-31 2016-12-29 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CN201611255865.8A CN106932895B (zh) 2015-12-31 2016-12-30 光量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121A KR102415064B1 (ko) 2015-12-31 2015-12-31 광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991A KR20170079991A (ko) 2017-07-10
KR102415064B1 true KR102415064B1 (ko) 2022-06-30

Family

ID=5786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121A KR102415064B1 (ko) 2015-12-31 2015-12-31 광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25161B2 (ko)
EP (1) EP3187931B1 (ko)
KR (1) KR102415064B1 (ko)
CN (1) CN1069328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064B1 (ko) * 2015-12-31 2022-06-3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광량 조절 장치
JP6356743B2 (ja) * 2016-03-31 2018-07-11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光量調節装置及び光学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0028A (ja) * 2009-10-20 2011-05-06 Canon Inc 絞り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鏡筒
WO2014136457A1 (ja) * 2013-03-08 2014-09-12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並びに撮像装置
JP2014197182A (ja) 2013-03-08 2014-10-1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光量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5176012A (ja) 2014-03-17 201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制御装置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5997Y1 (ko) 1968-03-30 1972-10-31
KR930000979B1 (ko) 1989-12-22 1993-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 메인클럭 발생회로
JPH055926A (ja) 1991-06-28 1993-01-14 Sony Corp アイリス駆動機構
JPH07333527A (ja) * 1994-06-10 1995-12-22 Olympus Optical Co Ltd 光量絞り装置
JPH1062835A (ja) 1996-08-19 1998-03-06 Sony Corp 光量絞り装置
JPH10301159A (ja) 1997-04-25 1998-11-13 Victor Co Of Japan Ltd 絞り装置
JP3802870B2 (ja) * 2002-12-20 2006-07-26 株式会社タムロン 光量調節装置
JP4393539B2 (ja) 2007-07-30 2010-01-0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光学機器用羽根駆動装置
JP4573136B2 (ja) * 2007-11-01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4735997B2 (ja) 2008-12-18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絞り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WO2012026104A1 (ja) * 2010-08-23 2012-03-01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12220761A (ja) * 2011-04-11 2012-11-12 Tamron Co Ltd 光量調整装置
CN202486425U (zh) * 2012-03-23 2012-10-10 中国兵器工业系统总体部 一种自锁型抗高冲击快门装置
KR101993240B1 (ko) * 2012-03-30 2019-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102095556B1 (ko) * 2013-07-08 2020-03-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조리개 조립체
CN203490422U (zh) * 2013-10-12 2014-03-19 中山联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步进光圈的多功能限位板
KR102415064B1 (ko) * 2015-12-31 2022-06-3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광량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0028A (ja) * 2009-10-20 2011-05-06 Canon Inc 絞り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鏡筒
WO2014136457A1 (ja) * 2013-03-08 2014-09-12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並びに撮像装置
JP2014197182A (ja) 2013-03-08 2014-10-1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光量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5176012A (ja) 2014-03-17 201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制御装置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25161B2 (en) 2018-07-17
EP3187931A1 (en) 2017-07-05
EP3187931B1 (en) 2019-12-25
US20170192337A1 (en) 2017-07-06
CN106932895B (zh) 2020-10-09
CN106932895A (zh) 2017-07-07
KR20170079991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8290B2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US7559709B2 (en) Iris diaphragm device, diaphragm driving device and camera unit including the same, and diaphragm control method
EP1748313B1 (en) Lens barrel
JP2005309443A (ja) 絞り装置および絞り駆動装置、並びにこれを有する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絞り制御方法
JP5938405B2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KR102415064B1 (ko) 광량 조절 장치
JP6624786B2 (ja) 絞り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3983235B2 (ja) 光量調整装置
KR102319688B1 (ko) 광량 조절 장치
CN103676074B (zh) 镜头镜筒
KR102095556B1 (ko) 조리개 조립체
JP6543996B2 (ja) シャッタ装置及び光学機器
JP5952155B2 (ja) 絞り装置およびレンズ鏡筒
JP2007298788A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4347142B2 (ja) セクタ駆動装置
JP6051033B2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21056394A (ja) 羽根駆動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5897887B2 (ja) レンズ鏡筒
JP6502659B2 (ja) 絞り機構、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6184536A (ja) 絞り装置及び撮像装置
KR19990050905A (ko) 캠코더용 조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