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034B1 - 작업테이블 - Google Patents

작업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034B1
KR102415034B1 KR1020210130516A KR20210130516A KR102415034B1 KR 102415034 B1 KR102415034 B1 KR 102415034B1 KR 1020210130516 A KR1020210130516 A KR 1020210130516A KR 20210130516 A KR20210130516 A KR 20210130516A KR 102415034 B1 KR102415034 B1 KR 102415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body
chip
suction case
suction
pivo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규창
Original Assignee
임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규창 filed Critical 임규창
Priority to KR1020210130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4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중 발생된 칩에 의해 재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작업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테이블은 작업이 완료되어, 상판(11)에 올려진 재료가 완전히 치워지면, 자동으로 흡입펌프(26)가 연결된 흡입케이스(24)가 전진되어 상판(11)에 남아있는 칩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 상판(11)에 남아있는 칩에 의해 상판(11)에 올려진 재료가 긁히거나, 칩에 의해 금속파이프가 들어올려져서 금속파이프를 정확하게 결합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작업테이블{working table}
본 발명은 작업중 발생된 칩에 의해 재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작업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파이프를 절단, 용접하여 다양한 제품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작업테이블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된 상판(1)과, 상기 상판(1)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레그부재(2)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금속파이프를 들어서 상판(1)의 상면에 올려놓은 후, 별도의 절단기나 절곡기, 용접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금속장비를 절단, 절곡 및 용접하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테이블에서 금속파이프를 절단할 때는 다량의 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칩이 상판(1)의 상면에 남아있을 경우, 금속파이프를 이동시킬 때, 칩에 의해 금속파이프가 긁혀 손상을 입거나, 칩에 의해 금속파이프가 들어올려져서 금속파이프를 정확하게 결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14093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중 발생된 칩에 의해 재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작업테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테이블본체(10)와,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전후단에 스토퍼(21a)가 구비된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22)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23)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회동아암(23)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회동아암(23)이 상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상측에 위치되는 흡입케이스(24)와, 상기 회동아암(23)에 연결되어 회동아암(23)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5)와, 상기 흡입케이스(24)에 연결되어 흡입케이스(24)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이 흡입케이스(24)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펌프(26)와,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블록(27)과, 상기 상부블록(27)과 회동아암(23)을 연결하는 링크부재(28)와,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블록(27)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테이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본체(10)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된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레그부재(12)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케이스(24)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을 감지하는 칩감지수단(31)과, 상기 레그부재(12)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테이블의 상면에 올려진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2)과, 상기 칩감지수단(31)과 무게측정수단(3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과 흡입펌프(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칩감지수단(31)은 상기 흡입케이스(24)의 하측면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31a)과, 상기 흡입케이스(24)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31a)에서 출력되어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에서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수단(3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재료가 올려지지 않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과 흡입펌프(26)를 제어하여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을 1차 제거한 후,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으로 흡입케이스(2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칩감지수단(31)의 신호를 수신하여 발광수단(31a)에서 출력된 빛이 수광수단(31b)에 수신되면 테이블에 칩이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과 흡입펌프(26)를 반복적으로 작동시켜 테이블에 있는 칩을 재차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테이블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테이블은 작업이 완료되어, 상판(11)에 올려진 재료가 완전히 치워지면, 자동으로 흡입펌프(26)가 연결된 흡입케이스(24)가 전진되어 상판(11)에 남아있는 칩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 상판(11)에 남아있는 칩에 의해 상판(11)에 올려진 재료가 긁히거나, 칩에 의해 금속파이프가 들어올려져서 금속파이프를 정확하게 결합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작업테이블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테이블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테이블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테이블의 회로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테이블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테이블을 도시한 것으로,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테이블본체(10)와,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전후단에 스토퍼(21a)가 구비된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22)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23)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회동아암(23)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회동아암(23)이 상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상측에 위치되는 흡입케이스(24)와, 상기 회동아암(23)에 연결되어 회동아암(23)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5)와, 상기 흡입케이스(24)에 연결되어 흡입케이스(24)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이 흡입케이스(24)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펌프(26)와,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블록(27)과, 상기 상부블록(27)과 회동아암(23)을 연결하는 링크부재(28)와,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블록(27)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29)과, 상기 흡입케이스(24)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을 감지하는 칩감지수단(31)과, 상기 레그부재(12)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테이블의 상면에 올려진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2)과, 상기 칩감지수단(31)과 무게측정수단(3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과 흡입펌프(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3)으로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본체(10)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된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레그부재(12)로 구성된 것으로, 양측면에는 지지판(1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판(11)은 목재나 도장된 금속판과 같이 빛을 반사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1)은 상기 지지판(13)의 외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은 전후진시 상기 스토퍼(21a)에 걸려 정지된다.
상기 회동아암(23)은 기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23a)이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흡입케이스(2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 길이가 상기 테이블본체(10) 상판(11)의 측방향 길이에 비해 조금 길게 구성되어, 양단이 상기 회동암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측면에 흡입구(24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아암(23)의 길이는, 회동아암(23)이 상측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회동되면 상기 흡입케이스(24)의 하측면이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근접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이 후퇴된 상태에서 회동아암(23)이 후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흡입케이스(24)가 상판(11)의 후방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조절된다.
상기 탄성부재(25)는 상기 회동축(23a)에 결합되며 양단이 슬라이드블록(22)과 회동아암(23)에 고정되어 회동아암(23)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흡입펌프(26)는 흡입관(26a)을 통해 상기 흡입케이스(24)에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입케이스(24)와 흡입관(26a)을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흡입펌프(26)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펌프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블록(27)은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의 상면에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블록(27)의 전후면이 밀착되는 상부스토퍼(22a)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링크부재(28)는 전후단이 상기 상부블록(27)의 후측면에 구비된 회동브라켓(27a)과, 상기 회동아암(23)의 중간부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은 상기 지지판(13)의 외측면에 상기 상부블록(27)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13)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된 구동 및 피동풀리(29a,29b)와, 상기 구동풀리(29a)에 연결된 구동모터(29c)와,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29a,29b)의 둘레면에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상부블록(27)에 연결된 벨트(29d)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9c)로 구동풀리(29a)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벨트(29d)가 구동 및 피동풀리(29a,29b)의 둘레부를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블록(27)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상기 칩감지수단(31)은 상기 흡입케이스(24)의 하측면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31a)과, 상기 흡입케이스(24)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31a)에서 출력되어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에서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수단(31b)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32)은 상기 테이블본체(10)의 레그부재(12) 하측면과 바닥면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로드셀을 이용하는 것으로, 레그부재(12)를 통해 로드셀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여,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상판(11)에 올려진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2)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완료하여, 상판(11)에 올려진 재료가 모두 치워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테이블본체(10)와 기타 장치의 무게는 미리 알려져 있음으로, 상기 무게측정수단(32)에 테이블본체(10)와 기타 장치의 무게만이 감지될 경우, 상기 테이블에 올려진 재료가 모두 치워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업테이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초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고,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에 의해 상부블록(27)이 가장 후방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때, 상기 상부블록(27)에 연결된 링크부재에 의해 회동아암(23)이 후방으로 밀려 후방하측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흡입케이스(24)는 상판(11)의 후방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재료를 올려놓고 작업을 할 때, 흡입케이스(24)가 재료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2)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이 완료되어 상판(11)의 상면에 올려진 재료가 모두 치워진 것이 감지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을 구동시켜 상부블록(27)을 조금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며, 이때, 상기 링크부재(28)에 의해 회동아암(23)이 전방으로 당겨져 상측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5)에 의해 회동아암(23)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 상기 상부블록(27)이 전방의 상부스토퍼(22a)에 밀착될 때 까지는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은 전방으로 전진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블록(27)이 전방의 상부스토퍼(22a)에 밀착되고, 상기 회동아암(23)이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흡입케이스(24)는 상판(11)의 상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흡입펌프(26)를 작동시켜 상판(11)의 상면에 있는 칩을 포함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에 의해 상부블록(27)이 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슬라이드블록(22)과 회동아암(23) 및 흡입케이스(24)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판(11)의 상면 전체에 올려진 칩을 포함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이 전방에 있는 스토퍼(21a)에 걸릴 때 까지 전진되면, 상기 제어수단(33)은 슬라이드구동수단(29)을 역회전시켜 도 6에 도시한 위치로, 상기 흡입케이스(24)가 후퇴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칩감지수단(31)을 통해 상판(11)의 상면에 칩이 남아있는지를 감시한다.
즉,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칩이 남아있을 경우, 발광수단(31a)에서 출력된 빛이 금속재인 칩의 면에서 반사되어 수광수단(31b)으로 수신되며, 이때, 수광수단(31b)에 수신된 빛의 광도를 분석하여 상판(11)의 상면에 칩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판(11)에 칩이 남아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을 제어하여 흡입케이스(24)가 다시 전진되도록 함으로써, 상판(11)에 남아있는 칩이 완전히 흡입되어 제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판(11)이 있는 칩이 완전히 제거되면,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흡입펌프(26)를 정지시키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록(22)과 상부블록(27)이 완전히 후퇴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아암(23)이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흡입케이스(24)가 상판(11)의 후방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다음번 작업을 준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업테이블은 작업이 완료되어, 상판(11)에 올려진 재료가 완전히 치워지면, 자동으로 흡입펌프(26)가 연결된 흡입케이스(24)가 전진되어 상판(11)에 남아있는 칩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 상판(11)에 남아있는 칩에 의해 상판(11)에 올려진 재료가 긁히거나, 칩에 의해 금속파이프가 들어올려져서 금속파이프를 정확하게 결합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테이블본체 21. 가이드레일
22. 슬라이드블록 23. 회동아암
24. 흡입케이스 25. 탄성부재
26. 흡입펌프 27. 상부블록
28. 링크부재 29. 슬라이드구동수단

Claims (2)

  1.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테이블본체(10)와,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전후단에 스토퍼(21a)가 구비된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22)과,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23)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회동아암(23)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회동아암(23)이 상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상측에 위치되는 흡입케이스(24)와,
    상기 회동아암(23)에 연결되어 회동아암(23)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5)와,
    상기 흡입케이스(24)에 연결되어 흡입케이스(24)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이 흡입케이스(24)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펌프(26)와,
    상기 슬라이드블록(2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블록(27)과,
    상기 상부블록(27)과 회동아암(23)을 연결하는 링크부재(28)와,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블록(27)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본체(10)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된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레그부재(12)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케이스(24)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을 감지하는 칩감지수단(31)과,
    상기 레그부재(12)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테이블의 상면에 올려진 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2)과,
    상기 칩감지수단(31)과 무게측정수단(3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과 흡입펌프(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칩감지수단(31)은
    상기 흡입케이스(24)의 하측면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31a)과,
    상기 흡입케이스(24)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31a)에서 출력되어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에서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수단(3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33)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재료가 올려지지 않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과 흡입펌프(26)를 제어하여 테이블본체(10)의 상면에 있는 칩을 1차 제거한 후,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으로 흡입케이스(2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칩감지수단(31)의 신호를 수신하여 발광수단(31a)에서 출력된 빛이 수광수단(31b)에 수신되면 테이블에 칩이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9)과 흡입펌프(26)를 반복적으로 작동시켜 테이블에 있는 칩을 재차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테이블.
KR1020210130516A 2021-10-01 2021-10-01 작업테이블 KR102415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16A KR102415034B1 (ko) 2021-10-01 2021-10-01 작업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16A KR102415034B1 (ko) 2021-10-01 2021-10-01 작업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034B1 true KR102415034B1 (ko) 2022-06-29

Family

ID=8227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516A KR102415034B1 (ko) 2021-10-01 2021-10-01 작업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0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935B1 (ko) 2009-09-28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용접용 작업대
JP2015131363A (ja) * 2014-01-10 2015-07-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ダイシング装置およびダイシング方法
KR101826309B1 (ko) * 2017-11-07 2018-02-06 김종진 Cnc머신
CN109397937A (zh) * 2018-10-31 2019-03-01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升降式工程造价用工作台
CN210132402U (zh) * 2019-03-29 2020-03-10 南安凌卓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具有吸尘功能的农业机械用加工工作台
KR20200059677A (ko) * 2018-11-21 2020-05-29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CN211940467U (zh) * 2020-03-23 2020-11-17 四川北极光口腔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义齿加工用除尘工作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935B1 (ko) 2009-09-28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용접용 작업대
JP2015131363A (ja) * 2014-01-10 2015-07-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ダイシング装置およびダイシング方法
KR101826309B1 (ko) * 2017-11-07 2018-02-06 김종진 Cnc머신
CN109397937A (zh) * 2018-10-31 2019-03-01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升降式工程造价用工作台
KR20200059677A (ko) * 2018-11-21 2020-05-29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CN210132402U (zh) * 2019-03-29 2020-03-10 南安凌卓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具有吸尘功能的农业机械用加工工作台
CN211940467U (zh) * 2020-03-23 2020-11-17 四川北极光口腔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义齿加工用除尘工作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024B1 (ko) 금속판 절단장치
CN107824722B (zh) 一种自动切脚机
CN204473934U (zh) 一种木板翻板机
JPH04503330A (ja) パレット切断機械装置
KR102415034B1 (ko) 작업테이블
CN109625963B (zh) 地板冲裁分切机的自动喂板装置
CN106965971B (zh) 刀叉勺自动加料装置
CN205915436U (zh) 一种木地板切割机
CN216151458U (zh) 一种铭牌自动激光打标机
CN206764141U (zh) 激光切割上下料装置
CN210252873U (zh) 一种固晶机
CN113814187B (zh) 一种全自动上下料齿轮轴扭矩检测装置及方法
CN205441997U (zh) 一种钢板冷压自动流水线
CN213652278U (zh) 一种玻璃块自动切割装置
CN112959428A (zh) 一种工厂化自动木材板集堆装置
JPH09290948A (ja) カットシートのセンタリング機能を備えた供給装置
CN208614532U (zh) 一种生态板砂光机的推板装置
KR102663671B1 (ko) 목재패널 절단장치
CN214812760U (zh) 一种激光下料机分拣装置
CN109720857B (zh) 地板冲裁分切机的吸板推板装置
KR20100007967U (ko) 목판가공장치
CN218557388U (zh) 多层板加工用倒角装置
CN212314903U (zh) 一种蓝牙耳机电池ppg测厚和尺寸测量装置
CN220698253U (zh) 一种链轮加工装置
CN215471752U (zh) 一种木条运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