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599B1 -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599B1
KR102661599B1 KR1020220052342A KR20220052342A KR102661599B1 KR 102661599 B1 KR102661599 B1 KR 102661599B1 KR 1020220052342 A KR1020220052342 A KR 1020220052342A KR 20220052342 A KR20220052342 A KR 20220052342A KR 102661599 B1 KR102661599 B1 KR 10266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utting
unit
transfer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2492A (ko
Inventor
이태규
김샛별
Original Assignee
이태규
김샛별
주식회사 광천제재소
나무나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규, 김샛별, 주식회사 광천제재소, 나무나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태규
Priority to KR102022005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599B1/ko
Publication of KR2023015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02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 B27B5/06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for dividing plates in parts of determined size, e.g. panels
    • B27B5/065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for dividing plates in parts of determined size, e.g. panels with feedable saw blades, e.g. arrang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27B25/04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with feed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 B27B31/02Loading equipment for travelling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29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는: 설치 면에 하부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 구비되며, 상부에 목재가 놓이면 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 목재 이송 유닛; 상기 목재 이송 유닛의 타측에 연통 구비되어 상기 목재 이송 유닛에서 목재가 내부로 들어오면 이를 감지하여 목재를 측면으로 가압 고정함과 동시에 목재의 전면을 가로막은 상태에서 목재가 절단되도록 하는 목재 절단 유닛; 및, 상기 목재 절단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목재 이송 유닛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상기 목재 절단 유닛에서 절단된 목재가 상기 목재 이송 유닛의 연속 이송 동작에 의해 상기 목재 절단 유닛의 외부로 나오면 절단된 목재를 지지하며 선별 이송 공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목재 배출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파렛트 패널, 블록, 나무 박스, 가구 부품 등의 소재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목재를 일정간격마다 절단하는 일련의 작업들이 하나의 장치 안에서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절단하는 연속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미리 계획된 치수로 정밀한 절단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목재의 절단 품질 또한 최상의 상태로 유지되게 선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 {wood cutting apparatus with easy continuous work}
본 발명은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렛트 패널, 블록, 나무 박스, 가구 부품 등의 소재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목재를 일정간격마다 절단하는 일련의 작업들이 하나의 장치 안에서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절단하는 연속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미리 계획된 치수로 정밀한 절단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목재의 절단 품질 또한 최상의 상태로 유지되게 선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 절단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절단하고자 하는 목재를 목재 절단장치의 작업판 위에 올리고 구비된 가이드 판을 따라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절단 톱이 통과되도록 전진 이송시켜 절단하거나, 잘려 질 소정의 길이만큼 목재를 이송시켜 고정하고 고정된 목재에 절단 톱을 이송하여 절단하는 과정을 거치는 바, 작업자는 절단장치에 근접된 위치에서 절단할 목재의 일측을 잡아야 하고, 절단 과정 일체를 지켜보며 절단작업을 수행함으로 인해 절단 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지 못하여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목재를 절단한 후 절단된 부분을 다른 장소로 옮기고, 다시금 절단될 목재를 작업대에 올려야 하므로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고 제조 수율을 떨어뜨리며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생산단가가 현저하게 상승 되었다.
또한, 목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톱밥가루 및 미세분진 등이 그대로 작업장 내의 대기 중에 방출되므로 작업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작업자의 신체에 그대로 전달되어 건강을 크게 해치게 되었다.
이러한 통상의 목재 절단기에 대해 개선된 종래의 발명으로 제재기(특허공보 특1980-0000368호)가 있다.
상기 제재기는 2줄의 벨트를 갖는 컨베이어 장치로 이송하는 제재기로서, 톱날이 통과되는 중앙부에 이송통로를 갖는 2줄 벨트로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를 탑재하고 목재가 톱날이 있는 곳까지 자동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목재 절단기는 자동 이송된 목재가 톱날에 의해 절단될 때 목재를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작업자가 목재를 일일이 잡아주어야 함으로 인해 종래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절단장치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고 절단 가공시 목재를 잡은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라 정밀한 절단가공을 이루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10-1980-00003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파렛트 패널, 블록, 나무 박스, 가구 부품 등의 소재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목재를 일정간격마다 절단하는 일련의 작업들이 하나의 장치 안에서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절단하는 연속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미리 계획된 치수로 정밀한 절단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목재의 절단 품질 또한 최상의 상태로 유지되게 선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는: 설치 면에 하부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 구비되며, 상부에 목재가 놓이면 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 목재 이송 유닛; 상기 목재 이송 유닛의 타측에 연통 구비되어 상기 목재 이송 유닛에서 목재가 내부로 들어오면 이를 감지하여 목재를 측면으로 가압 고정함과 동시에 목재의 전면을 가로막은 상태에서 목재가 절단되도록 하는 목재 절단 유닛; 및, 상기 목재 절단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목재 이송 유닛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상기 목재 절단 유닛에서 절단된 목재가 상기 목재 이송 유닛의 연속 이송 동작에 의해 상기 목재 절단 유닛의 외부로 나오면 절단된 목재를 지지하며 선별 이송 공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목재 배출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는 상기 목재 배출 플랫폼의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목재 배출 플랫폼에서 배출되는 절단된 목재를 경사진 이송 경로를 따라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에서 낙하시 수거 수단에 의해 수거되도록 하며 절단된 목재가 이송되는 동안 절단 상태의 양부에 따라 선별되도록 하여 선별 이송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선별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목재 절단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목재 이송 유닛 및 상기 목재 배출 플랫폼에 연통 되게 좌우 양 측면에 목재 입출구가 각각 형성된 절단 케이싱과, 상기 절단 케이싱의 내부에 평탄하게 구비되고 상기 목재 이송 유닛 및 상기 목재 배출 플랫폼에 이어지게 구비된 절단 공정 테이블과,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의 후방에 차단 벽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목재 이송 유닛에서 이송되어 오는 목재가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목재를 지지하는 절단 테이블 지지부와,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절단 테이블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목재 이송 유닛에서 이송되어 오는 목재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감지부와,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의 전방에서 상기 절단 테이블 지지부를 향해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목재를 감지하게 되면 목재를 상기 절단 테이블 지지부 측으로 가압하며 고정하는 측면 가압부와,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에서 상기 목재 배출 플랫폼에 인접된 위치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목재를 감지하게 되면 하강동작에 의해 목재의 전면을 가로막아 목재의 추가적인 전진 이송이 정지되도록 하는 전면 승강 차단부와,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의 하부에서 회전 칼날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측면 가압부 및 상기 전면 승강 차단부에 의해 목재가 고정 지지 된 상태에서 상승동작에 의해 목재가 회전 칼날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는 목재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렛트 패널, 블록, 나무 박스, 가구 부품 등의 소재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목재를 일정간격마다 절단하는 일련의 작업들이 하나의 장치 안에서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절단하는 연속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미리 계획된 치수로 정밀한 절단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목재의 절단 품질 또한 최상의 상태로 유지되게 선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절단 유닛의 내부로 목재가 이송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 가압부 및 전면 승강 차단부에 의해 목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칼날의 상승에 의해 목재가 절단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이송 유닛에 의해 목재가 목재 절단 유닛으로 이송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일부 영역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목재 이송 유닛에 의해 목재가 목재 절단 유닛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것을 도시한 일부 영역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절단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 영역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이송 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면에 하부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 구비되며 상부에 목재(10)가 놓이면 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 목재 이송 유닛(100)과, 목재 이송 유닛(100)의 타측에 연통 구비되어 목재 이송 유닛(100)에서 목재(10)가 내부로 들어오면 이를 감지하여 목재(10)를 측면으로 가압 고정함과 동시에 목재(10)의 전면을 가로막은 상태에서 목재(10)가 절단되도록 하는 목재 절단 유닛(200)과, 목재 절단 유닛(200)을 사이에 두고 목재 이송 유닛(10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목재 절단 유닛(200)에서 절단된 목재(20)가 목재 이송 유닛(100)의 연속 이송 동작에 의해 목재 절단 유닛(200)의 외부로 나오면 절단된 목재(20)를 지지하며 선별 이송 공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목재 배출 플랫폼(3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파렛트 패널, 블록, 나무 박스, 가구 부품 등의 소재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목재(10)를 일정간격마다 절단하는 일련의 작업들이 하나의 장치 안에서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절단하는 연속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미리 계획된 치수로 정밀한 절단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목재의 절단 품질 또한 최상의 상태로 유지되게 선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목재 이송 유닛(10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절단 유닛(200)의 일측에서 절단 공정 테이블(220)에 일체로 연장되게 구비된 이송 테이블(110)과, 이송 테이블(110)의 후방에 차단 벽의 형태로 후술할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에 일체로 연장되게 구비된 이송 테이블 지지부(111)와, 이송 테이블 지지부(111)의 배면에 무한궤도의 형태로 구비된 타이밍 벨트를 갖는 이송 전동부(120)와, 이송 전동부(120)에 연결되어 이송 전동부(120)의 동작을 구동하는 목재 이송 구동부(130)와, 이송 테이블(110)의 상면에서 이송 테이블 지지부(111)의 전방에 구비되며 이송 전동부(120)의 타이밍 벨트에 브래킷으로 연결되어 목재 이송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해 이송 테이블(110)의 상면에서 좌우로 수평 왕복 되며 전방에 놓이게 되는 목재(10)를 목재 절단 유닛(200)으로 가압 이송해주는 가압 이송 블록(14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목재(10)를 작업자가 이송 테이블(110)의 상면에서 가압 이송 블록(140)의 앞에 놓아두면 목재 이송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해 가압 이송 블록(140)이 전진되며 목재(10)가 목재 절단 유닛(200)을 향해 가압 이송되어 절단 공정이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송 전동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테이블 지지부(111)의 배면에서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풀리(pulley)와, 풀리에 감겨진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며, 목재 이송 구동부(130)는 풀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에 의해 타이밍 벨트가 작동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 절단 유닛(2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케이싱(210)과, 절단 공정 테이블(220)과,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와, 감지부(240)와, 측면 가압부(250)와, 전면 승강 차단부(260)와, 목재 절단부(270)를 포함한다.
절단 케이싱(2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절단 유닛(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목재 이송 유닛(100) 및 목재 배출 플랫폼(300)에 연통 되게 좌우 양 측면에는 목재 입출구(211)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케이싱(210)의 전면에는 회동 개폐되는 케이싱 도어(213)가 구비되고, 케이싱 도어(213)에는 작업자가 절단 케이싱(210)의 외부에서 내부를 용이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투명 소재로 마련된 점검 창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목재 절단 유닛(200)에서 목재의 절단 공정 중 작업자가 케이싱 도어(213)의 점검 창을 통해 절단 케이싱(210)의 내부를 살펴보다가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신속하게 케이싱 도어(213)를 개방하여 점검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절단 공정 테이블(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케이싱(210)의 내부에 평탄하게 구비되고, 목재 이송 유닛(100) 및 목재 배출 플랫폼(300)에 이어지게 구비된다.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후방에 차단 벽의 형태로 구비되어 목재 이송 유닛(100)에서 이송되어 오는 목재(10)가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목재(10)를 지지해준다.
감지부(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공정 테이블(2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의 일측에 구비되어 목재 이송 유닛(100)에서 이송되어 오는 목재(10)를 정확한 위치에서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감지부(240)는 레이저 변위 센서나 카메라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측면 가압부(2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전방에서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를 향해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게 구비되어 감지부(240)에서 목재(10)를 감지하게 되면 목재(10)를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 측으로 가압하며 고정해주게 된다.
여기서, 측면 가압부(2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전방에 일측이 고정되어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를 향해 타측이 신장 되며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 구동부(251)와, 가압 구동부(251)의 타측에 연결되어 가압 구동부(251)의 신장 가압에 의해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를 향해 접근되게 이동되는 가압 고정부(2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가압 구동부(251)는 피스톤이 타측으로 구비된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압 구동부(251)의 피스톤은 가압 고정부(253)에 힌지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승강 차단부(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공정 테이블(220)에서 목재 배출 플랫폼(300)에 인접된 위치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감지부(240)에서 목재(10)를 감지하게 되면 하강동작에 의해 목재(10)의 전면을 가로막아 목재(10)의 추가적인 전진 이송이 정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면 승강 차단부(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케이싱(210)의 측면 중 목재 배출 플랫폼(300)이 인접하는 측면 내측에 일측이 고정되어 절단 공정 테이블(220)을 향해 타측이 상하로 승강 되게 구비된 전면 승강 구동부(261)와, 전면 승강 구동부(261)의 타측에 연결되어 전면 승강 구동부(261)의 승강 구동에 의해 절단 공정 테이블(220)을 향해 승강 되는 승강부(26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전면 승강 구동부(261)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263)는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된 가이드 브래킷(264)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시 가이드 브래킷(264)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비되고, 승강부(263)의 일측에는 절단 공정 테이블(220)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어 목재를 측면에서 가이드 해주는 측면 가이드 롤러(265)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승강부(263)의 승강이 가이드 브래킷(264)에 의해 안내되어 좀더 안정된 상태로 정밀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전면 승강 차단부(260)의 승강부(263)의 하강에 의해 목재(10)가 멈춰진 상태가 측면 가이드 롤러(265)의 가압에 의해 좀더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브래킷(264)의 내측에서 승강부(263)가 접촉되는 판면에는 수직으로 길게 가이드 슬롯이 천공 형성되어 승강부(263)의 양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가이드 슬롯에 맞물리도록 하여 승강부(263)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 절단부(2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하부에서 회전 칼날(271)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측면 가압부(250) 및 전면 승강 차단부(260)에 의해 목재(10)가 고정 지지 된 상태에서 상승동작에 의해 목재(10)가 회전 칼날(271)에 의해 절단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목재 이송 유닛(100)의 이송에 의해 절단 케이싱(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길이가 긴 목재(10)를 일정간격마다 절단하는 일련의 작업들이 하나의 장치 안에서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절단하는 연속 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감지부(240)의 감지에 의해 목재(10)의 추가적인 전진 이송이 정지 및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상부로 일부분 올라오게 되는 회전 칼날(271)에 의해 미리 계획된 치수로 목재의 정밀한 절단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절단 공정이 절단 케이싱(210)의 내부에서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목재 절단부(2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위치까지 승강 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목재(10)가 절단되도록 하는 회전 칼날(271)과,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하부에서 회전 칼날(271)에 연결되어 회전 칼날(271)이 회전되도록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절단 회전 구동부(273)와,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하부에서 회전 칼날(271)에 연결되어 회전 칼날(271)이 승강 되도록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절단 승강 구동부(27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상부에서 목재(10)가 고정될 때마다 목재 절단부(270)에 의한 절단 공정이 깔끔하게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절단 승강 구동부(275)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 배출 플랫폼(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절단 유닛(200)의 타측에서 절단 공정 테이블(220)에 일체로 연장되게 구비된 배출 테이블(310)과, 배출 테이블(310)의 후방에 차단 벽의 형태로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에 일체로 연장되게 구비된 배출 테이블 지지부(311)와, 절단된 목재(20)가 절단 케이싱(210)에서 나오게 되는 목재 입출구(211)의 일측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절단된 목재(20)가 배출 테이블(310)의 상면에서 흐트러지게 됨이 없이 가지런히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배출 정렬 가이드(3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목재 절단 유닛(200)에서 절단되어 절단 케이싱(210)의 외부로 나오게 되는 목재(20)들이 배출 테이블(310)에 의해 지지 되며 배출 정렬 가이드(320)에 의해 안내되며 가지런히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정렬 가이드(320)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과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배출 플랫폼(300)의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목재 배출 플랫폼(300)에서 배출되는 절단된 목재(20)를 경사진 이송 경로를 따라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에서 낙하시 수거 수단(30)에 의해 수거되도록 하며 절단된 목재(20)가 이송되는 동안 절단 상태의 양부에 따라 선별되도록 하여 선별 이송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선별 이송 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렛트 패널, 블록, 나무 박스, 가구 부품 등의 소재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목재(10)를 일정간격마다 절단하는 일련의 작업들이 하나의 장치 안에서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절단된 목재(20)의 절단 품질 또한 최상의 상태로 항상 유지되게 선별 이송 유닛(400)에 의해 절단된 목재(20)가 이송되는 동안 선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선별 이송 유닛(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배출 플랫폼(300)에서 낙하 되는 절단된 목재(20)의 이송이 시작되는 일측이 하향 경사지고 타측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 이송 컨베이어(410)와, 이송 컨베이어(410)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410)가 동작 되도록 하는 선별 이송 구동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별 이송 구동부(420)는 이송 컨베이어(41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4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목재 이송 구동부(130), 가압 구동부(251), 전면 승강 구동부(261), 절단 회전 구동부(273), 절단 승강 구동부(275) 및 선별 이송 구동부(42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입력 명령을 전달받아 목재 이송 구동부(130)가 작동되도록 제어부(500)가 제어하여 목재(10)가 절단 케이싱(210) 내의 정해진 위치까지 이송되면, 감지부(24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는 가압 구동부(251) 및 전면 승강 구동부(261)가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목재(10)가 고정되도록 하고, 목재(10)가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어부(500)는 절단 회전 구동부(273) 및 절단 승강 구동부(275)가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목재(10)가 회전 칼날(271)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며, 목재가 절단된 후에는 가압 구동부(251) 및 전면 승강 구동부(261)가 다시 제어되어 목재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며 절단된 목재(20)의 이송이 이뤄지도록 하여 절단된 목재(20)가 배출 테이블(310)로 나오도록 하고, 제어부(500)는 선별 이송 구동부(420)를 제어하여 절단된 목재(20)가 이송 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여, 목재의 이송, 절단, 선별 이송 및 수거를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들이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에는 절단 케이싱(21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작업자로부터 입력 명령을 입력받아 입력된 명령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하는 입력부(510)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목재 이송 유닛 110 : 이송 테이블
111 : 이송 테이블 지지부 120 : 이송 전동부
130 : 목재 이송 구동부 140 : 가압 이송 블록
200 : 목재 절단 유닛 210 : 절단 케이싱
211 : 목재 입출구 213 : 케이싱 도어
220 : 절단 공정 테이블 230 : 절단 테이블 지지부
240 : 감지부 250 : 측면 가압부
251 : 가압 구동부 260 : 전면 승강 차단부
261 : 전면 승강 구동부 265 : 측면 가이드 롤러
270 : 목재 절단부 271 : 회전 칼날
273 : 절단 회전 구동부 275 : 절단 승강 구동부
300 : 목재 배출 플랫폼 310 : 배출 테이블
311 : 배출 테이블 지지부 320 : 배출 정렬 가이드
400 : 선별 이송 유닛 410 : 이송 컨베이어
420 : 선별 이송 구동부 500 : 제어부
510 : 입력부

Claims (3)

  1. 설치 면에 하부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 구비되며, 상부에 목재(10)가 놓이면 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 목재 이송 유닛(100);
    상기 목재 이송 유닛(100)의 타측에 연통 구비되어 상기 목재 이송 유닛(100)에서 목재(10)가 내부로 들어오면 이를 감지하여 목재(10)를 측면으로 가압 고정함과 동시에 목재(10)의 전면을 가로막은 상태에서 목재(10)가 절단되도록 하는 목재 절단 유닛(200); 및
    상기 목재 절단 유닛(2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목재 이송 유닛(10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상기 목재 절단 유닛(200)에서 절단된 목재(20)가 상기 목재 이송 유닛(100)의 연속 이송 동작에 의해 상기 목재 절단 유닛(200)의 외부로 나오면 절단된 목재(20)를 지지하며 선별 이송 공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목재 배출 플랫폼(300);
    을 포함하되,
    상기 목재 절단 유닛(200)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목재 이송 유닛(100) 및 상기 목재 배출 플랫폼(300)에 연통 되게 좌우 양 측면에 목재 입출구(211)가 각각 형성된 절단 케이싱(210)과,
    상기 절단 케이싱(210)의 내부에 평탄하게 구비되고 상기 목재 이송 유닛(100) 및 상기 목재 배출 플랫폼(300)에 이어지게 구비된 절단 공정 테이블(220)과,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후방에 차단 벽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목재 이송 유닛(100)에서 이송되어 오는 목재(10)가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목재(10)를 지지하는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와,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2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목재 이송 유닛(100)에서 이송되어 오는 목재(10)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감지부(240)와,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전방에서 상기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를 향해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240)에서 목재(10)를 감지하게 되면 목재(10)를 상기 절단 테이블 지지부(230) 측으로 가압하며 고정하는 측면 가압부(250)와,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220)에서 상기 목재 배출 플랫폼(300)에 인접된 위치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240)에서 목재(10)를 감지하게 되면 하강동작에 의해 목재(10)의 전면을 가로막아 목재(10)의 추가적인 전진 이송이 정지되도록 하는 전면 승강 차단부(260)와,
    상기 절단 공정 테이블(220)의 하부에서 회전 칼날(271)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측면 가압부(250) 및 상기 전면 승강 차단부(260)에 의해 목재(10)가 고정 지지 된 상태에서 상승동작에 의해 목재(10)가 회전 칼날(271)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는 목재 절단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배출 플랫폼(300)의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목재 배출 플랫폼(300)에서 배출되는 절단된 목재(20)를 경사진 이송 경로를 따라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에서 낙하시 수거 수단(30)에 의해 수거되도록 하며, 절단된 목재(20)가 이송되는 동안 절단 상태의 양부에 따라 선별되도록 하여 선별 이송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선별 이송 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
  3. 삭제
KR1020220052342A 2022-04-27 2022-04-27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 KR10266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342A KR102661599B1 (ko) 2022-04-27 2022-04-27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342A KR102661599B1 (ko) 2022-04-27 2022-04-27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492A KR20230152492A (ko) 2023-11-03
KR102661599B1 true KR102661599B1 (ko) 2024-04-29

Family

ID=8874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342A KR102661599B1 (ko) 2022-04-27 2022-04-27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5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411Y1 (ko) * 2004-01-19 2004-04-28 김광석 자동 목재절단기
KR101678685B1 (ko) * 2016-06-21 2016-12-06 강병철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KR102074219B1 (ko) * 2019-09-04 2020-02-06 (주)동성디에스엠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368B1 (ko) 1975-08-04 1980-05-03 신이찌로오 사토오 제 재 기(製材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411Y1 (ko) * 2004-01-19 2004-04-28 김광석 자동 목재절단기
KR101678685B1 (ko) * 2016-06-21 2016-12-06 강병철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KR102074219B1 (ko) * 2019-09-04 2020-02-06 (주)동성디에스엠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492A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6130A (en) Lumber edger
KR101875207B1 (ko) 합판절단장치
US3946631A (en) Undercut saw
WO2018014464A1 (zh) 数控高速截断锯
US6142050A (en) Cutting machine for elongate workpieces
KR102173931B1 (ko) 목재 자동 재단 장치
KR101873309B1 (ko) 반자동 목재 재단장치
US4270423A (en) Slab trimming apparatus
CN112976166A (zh) 木材智能横向锯切系统
KR101079710B1 (ko) 자동 목재 제재 장치
KR102661599B1 (ko) 연속작업이 용이한 목재절단장치
KR101384989B1 (ko) 목재 수직 절단장치
KR101577055B1 (ko) 원목 절단 장치 및 방법
KR102121412B1 (ko) 인출유닛을 갖는 목재 가공장치
US4409875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tegral wooden angle bar
KR200348411Y1 (ko) 자동 목재절단기
US3832922A (en) Automatic back rip machine
KR100462320B1 (ko) 자동 목재절단기 및 이의 구동방법
US3063479A (en) Chop saw apparatus for cutting series fed pieces
KR100663397B1 (ko) 라미네이팅 자동화 장치
CN209973438U (zh) 一种下料分拣式输送装置
CN210910348U (zh) 一种木材双头断料装置
KR20220090135A (ko) 장작 절단장치
CN212578119U (zh) 一种用于切割铝门窗的角码锯
GB1490108A (en) Saw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