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309B1 - Cnc머신 - Google Patents

Cnc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309B1
KR101826309B1 KR1020170147469A KR20170147469A KR101826309B1 KR 101826309 B1 KR101826309 B1 KR 101826309B1 KR 1020170147469 A KR1020170147469 A KR 1020170147469A KR 20170147469 A KR20170147469 A KR 20170147469A KR 101826309 B1 KR101826309 B1 KR 101826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air
work
air chamber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김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102017014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5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2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의 상면이나 피가공물의 하측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피가공물의 가공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CNC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NC머신은, 상기 평판(A)의 내부에는 에어챔버(12)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A)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통기공(13)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어 에어챔버(1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20)과, 상기 평판(A)에 구비되어 평판(A)의 무게변화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과,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40)와, 상기 평판(A)의 일측에 구비된 경보수단(80)과, 상기 무게측정수단(30)과 기압센서(40)에 연결되며 상기 급기수단(20)과 경보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평판(A)의 무게가 미리 입력된 기준무게값에 비해 상승되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피가공물(1)이 올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급기수단(2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기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기압 이상으로 상승되지 못하면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80)을 구동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칩이나 이물질이 부착된 것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밀착고정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가공유닛(C)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가공함으로서,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1)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CNC머신{CNC machine}
본 발명은 평판의 상면이나 피가공물의 하측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피가공물의 가공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CNC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의 피가공물을 정밀한 형태로 가공하여 사출금형 등과 같은 정밀제품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CNC머신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피가공물(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평판(A)과, 상기 평판(A)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B)와, 상기 지지대(B)에 구비되어 상기 평판(A)에 올려진 피가공물(1)을 가공하는 가공유닛(C)으로 구성된다.
상기 평판(A)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1)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11)에 피가공물(1)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B)는 상기 평판(A)의 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공유닛(C)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공유닛(C)은 상기 평판(A)에 올려진 피가공물(1)을 가공하기 위한 툴이 구비되며, 미리 입력된 치수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툴을 위치조절하면서 상기 평판(A)에 올려진 피가공물(1)을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평판(A)의 상면에 피가공물(1)을 올려놓고, 상기 클램프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고정한 후, 상기 가공유닛(C)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CNC머신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정확히 밀착고정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CNC머신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가공할 때 발생되는 칩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남게 되고,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1)을 배출하고 상기 평판(A)의 상면에 새로운 피가공물(1)을 올려놓을 때, 평판(A)에 남아있는 새로 공급된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끼어, 피가공물(1)이 미세하게 기울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상태로 피가공물(1)을 가공할 경우,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1)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CNC머신에 의해 가공되는 피가공물(1)은 무게가 많이 나가게됨으로, 피가공물(1)을 상기 평판(A)에 올려놓을 때는, 피가공물(1)을 바닥면에 내려놓은 후,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들어올려 상기 평판(A)에 올려놓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이물질이 묻게 되고, 이과 같이, 피가공물(1)에 이물질이 묻은 상태에서 피가공물(1)을 평판(A)에 올려놓을 경우,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정확히 밀착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864055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의 상면이나 피가공물(1)의 하측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피가공물(1)의 가공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CNC머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피가공물(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평판(A)과, 상기 평판(A)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B)와, 상기 지지대(B)에 구비되어 상기 평판(A)에 올려진 피가공물(1)을 가공하는 가공유닛(C)을 포함하는 CNC머신에 있어서, 상기 평판(A)의 내부에는 에어챔버(12)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A)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통기공(13)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어 에어챔버(1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20)과, 상기 평판(A)에 구비되어 평판(A)의 무게변화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과,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40)와, 상기 평판(A)의 일측에 구비된 경보수단(80)과, 상기 무게측정수단(30)과 기압센서(40)에 연결되며 상기 급기수단(20)과 경보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평판(A)의 무게가 미리 입력된 기준무게값에 비해 상승되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피가공물(1)이 올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급기수단(2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기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기압 이상으로 상승되지 못하면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80)을 구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머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평판(A)의 상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1)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평판(A)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평판(A)의 상면과 호이스트(2)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단(50)은 상기 평판(A)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오목홈(1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본체(52)와, 상기 본체(52)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52)가 상기 오목홈(11)을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53)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둘레면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세척롤(54)과, 상기 하부세척롤(54)에 연결되어 하부세척롤(54)을 회전시키는 하부구동모터(55)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본체(5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56)와, 상기 회동바(56)에 연결되어 회동바(56)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5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면이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상부세척롤(58)과, 상기 상부세척롤(58)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세척롤(58)을 회전시키는 상부구동모터(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머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세척수단(50)과 호이스트(2)에 연결되어 세척수단(50)과 호이스트(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경보수단(80)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호이스트(2)를 제어하여 피가공물(1)이 상기 평판(A)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들어올리고, 상기 세척수단(50)을 구동시켜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머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들어올릴 때 피가공물(1)의 하측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70)에 의해 측정된 피가공물(1)의 하측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세척수단(50)의 승강구동수단(57)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세척롤(58)의 상측 둘레면의 높이가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머신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CNC머신은, 상기 평판(A)의 내부에는 에어챔버(12)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A)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통기공(13)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어 에어챔버(1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20)과, 상기 평판(A)에 구비되어 평판(A)의 무게변화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과,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40)와, 상기 평판(A)의 일측에 구비된 경보수단(80)과, 상기 무게측정수단(30)과 기압센서(40)에 연결되며 상기 급기수단(20)과 경보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평판(A)의 무게가 미리 입력된 기준무게값에 비해 상승되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피가공물(1)이 올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급기수단(2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기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기압 이상으로 상승되지 못하면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80)을 구동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칩이나 이물질이 부착된 것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밀착고정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가공유닛(C)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가공함으로서,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1)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CNC머신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CNC머신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CNC머신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NC머신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NC머신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NC머신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NC머신의 회로구성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CNC머신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CNC머신을 도시한 것으로, 상면에 피가공물(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평판(A)과, 상기 평판(A)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B)와, 상기 지지대(B)에 구비되어 상기 평판(A)에 올려진 피가공물(1)을 가공하는 가공유닛(C)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평판(A)의 상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1)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11)에 피가공물(1)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CNC머신의 상측에는 호이스트(2)가 구비되어,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상기 피가공물(1)을 상기 평판(A)의 상면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호이스트(2)에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리모컨(2a)과, 상기 리모컨(2a)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이스트(2)를 제어하는 제어부(2b)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평판(A)의 내부에는 에어챔버(12)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A)의 상면에는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통기공(13)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어 에어챔버(1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20)과, 상기 평판(A)에 구비되어 평판(A)의 무게변화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과,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40)와, 상기 평판(A)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들어올릴 때 피가공물(1)의 하측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70)과, 상기 평판(A)의 일측에 구비된 경보수단(80)과, 상기 평판(A)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평판(A)의 상면과 호이스트(2)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50)과, 상기 무게측정수단(30)과 기압센서(40) 및 높이측정수단(70)에 연결되며 상기 급기수단(20)과 경보수단(80)과 호이스트(2) 및 세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통기공(13)은 상기 평판(A)의 상면 중앙부에 집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평판(A)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의해 통기공(13)의 상면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기수단(20)은 급기관(21a)을 통해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관(21a)을 통해 에어챔버(12)의 내부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21)와, 상기 급기관(21a)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급기관(21a)을 통해 에어챔버(12)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22)로 구성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은 상기 평판(A)의 하측 둘레부에 구비되어 평판(A)과 평판(A)의 상면에 올려진 피가공물(1)의 무게를 측정하는 하중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기압센서(40)는 상기 에어챔버(12)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수단(20)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챔버(12)의 내부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때,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높이측정수단(70)은 상기 평판(A)에 형성된 오목홈(11)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으로 빛을 조사하고, 상기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서 반사된 빛이 수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호이스트(2)에 의해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 하측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높이측정장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비접촉식 높이측정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경보수단(80)은 상기 평판(A)의 전면에 구비된 램프와 스피커로 구성되어, 작동되면 경광과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척수단(50)은 상기 평판(A)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오목홈(1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본체(52)와, 상기 본체(52)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52)가 오목홈(11)을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53)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둘레면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세척롤(54)과, 상기 하부세척롤(54)에 연결되어 하부세척롤(54)을 회전시키는 하부구동모터(55)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본체(5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56)와, 상기 회동바(56)에 연결되어 회동바(56)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5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면이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상부세척롤(58)과, 상기 상부세척롤(58)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세척롤(58)을 회전시키는 상부구동모터(59)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오목홈(11)의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51)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5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좌측면 전후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52a)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51)에 올려지는 연장부(52c)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51)을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53)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실린더는 상기 평판(A)의 우측 상면에 고정되고, 피스톤로드는 상기 본체(52)의 우측면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본체(52)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하부세척롤(54)은 둘레면에 섬유재질의 세척포(54a)가 결합된 것으로, 상기 세척포(54a)가 상기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전후단에 구비된 회전축이 상기 본체(52)의 지지부(5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부구동모터(55)는 본체(52)의 지지부(52a)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세척롤(54)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세척롤(5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바(56)는 전후 한 쌍으로 구성되어, 기단부가 상기 본체(52)의 전후면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57)은 상기 본체(52)의 측면에 구비된 브라켓(52b)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바(56)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바(56)를 정확한 각도로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스테핑모터를 이용한다.
상기 상부세척롤(58)은 둘레면에 섬유재질의 세척포(58a)가 결합된 것으로, 전후단에 구비된 회전축이 상기 회동바(56)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구동모터(59)는 상기 회동바(56)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세척롤(58)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세척롤(5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52)에는 도시 안된 세척액공급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세척롤(54)과 상부세척롤(58)의 세척포(54a,58a)에 일정한 양의 세척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세척포(54a,58a)가 세척액에 의해 젖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세척수단(50)을 이용하여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세척수단(5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상시에는 상기 본체(52)가 평판(A)의 우측으로 후퇴되고, 상기 회동바(56)가 하강된 상태에서 대기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가공물(1)을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60)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회동바(56)를 상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세척롤(58)의 상측 둘레면이 상기 피가공물(1)의 하측면의 높이로 상승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구동모터(55)와 하부구동모터(55)가 구동되어 상기 하부세척롤(54)과 상부세척롤(58)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53)이 구동되어 측방향으로 밀어내면, 상기 하부세척롤(54)과 상부세척롤(58)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52)가 평판(A)의 좌측까지 전진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바(56)가 하강되며,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53)에 의해 본체(52)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된 후,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어수단(60)은 기준무게값과 기준기압이 입력된다.
상기 기준무게값은 상면에 피가공물(1)이 올려지지 않은 평판(A)의 무게값보다 약간 높게 설정되며, 상기 기준기압은 대기압에 비해 높고, 상기 급기수단(2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비해 조금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호이스트(2)의 제어부(2b)에 연결되어, 상기 호이스트(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수단(6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평판(A)의 무게가 미리 입력된 기준무게값에 비해 상승되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피가공물(1)이 올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2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기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기압 이상으로 상승되지 못하면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칩이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평판(A)의 상면에 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이 평판(A)의 상면에 정확히 밀착되어 상기 평판(A)의 통기공(13)이 막히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급기수단(20)에 의해 에어챔버(12)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이 상승된다.
반대로, 상기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칩이나 이물질이 부착된 경우, 상기 평판(A)의 상면에 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이 평판(A)의 상면에 정확히 밀착되지 못하고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평판(A)의 통기공(13)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상기 급기수단(20)을 이용하여 에어챔버(1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공급된 공기가 상기 통기공(13)을 통해 평판(A)의 상부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이 기준기압 이상으로 상승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수단(20)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챔버(1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압센서(40)를 이용하여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칩이나 이물질이 부착된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칩이나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보수단(80)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호이스트(2)를 제어하여, 피가공물(1)을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상승시킨 후, 상기 세척수단(50)을 구동시켜, 평판(A)의 상면과 상기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가공물(1) 하측면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피가공물(1) 하측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세척수단(50)의 승강구동수단(57)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세척롤(58)의 상측 둘레면이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상기 회동바(56)의 각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칩이나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호이스트(2)를 제어하여, 피가공물(1)이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상승되도록 하지만, 상기 호이스트(2)의 특성상, 피가공물(1)을 정확한 높이로 상승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상기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상승시킨 후,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승된 피가공물(1)의 하측면의 높이를 측정하고, 이에 맞도록 상기 승강구동수단(57)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세척롤(58)의 상측 둘레면이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척수단(50)을 작동시켜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한다.
그리고,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이 완료되어 상기 세척수단(50)이 대기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호이스트(2)를 제어하여 상기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하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평판(A)의 상면가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칩이나 이물질이 모두 제거된 것을 확인한 후, 상기 경보수단(8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CNC머신은, 상기 평판(A)의 내부에는 에어챔버(12)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A)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통기공(13)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어 에어챔버(1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20)과, 상기 평판(A)에 구비되어 평판(A)의 무게변화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과,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40)와, 상기 평판(A)의 일측에 구비된 경보수단(80)과, 상기 무게측정수단(30)과 기압센서(40)에 연결되며 상기 급기수단(20)과 경보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평판(A)의 무게가 미리 입력된 기준무게값에 비해 상승되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피가공물(1)이 올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급기수단(2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기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기압 이상으로 상승되지 못하면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80)을 구동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칩이나 이물질이 부착된 것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밀착고정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가공유닛(C)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가공함으로서,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1)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평판(A)의 상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1)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평판(A)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평판(A)의 상면과 호이스트(2)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단(50)은 상기 평판(A)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오목홈(1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본체(52)와, 상기 본체(52)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52)가 상기 오목홈(11)을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53)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둘레면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세척롤(54)과, 상기 하부세척롤(54)에 연결되어 하부세척롤(54)을 회전시키는 하부구동모터(55)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본체(5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56)와, 상기 회동바(56)에 연결되어 회동바(56)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5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면이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상부세척롤(58)과, 상기 상부세척롤(58)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세척롤(58)을 회전시키는 상부구동모터(59)로 구성되어, 자동으로 평판(A)의 상면과 호이스트(2)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60)은 세척수단(50)과 호이스트(2)에 연결되어 세척수단(50)과 호이스트(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경보수단(80)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호이스트(2)를 제어하여 피가공물(1)이 상기 평판(A)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들어올리고, 상기 세척수단(50)을 구동시켜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하도록 한다.
따라서, 더욱 효과적으로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평판(A)의 상면에는 상기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들어올릴 때 피가공물(1)의 하측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70)에 의해 측정된 피가공물(1)의 하측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세척수단(50)의 승강구동수단(57)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세척롤(58)의 상측 둘레면의 높이가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상부세척롤(58)이 정확히 밀착되어,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평판 B. 지지대
C. 가공유닛 20. 급기수단
30. 무게측정수단 40. 기압센서
50. 세척수단 60. 제어수단
70. 높이측정수단 80. 경보수단

Claims (4)

  1. 삭제
  2. 상면에 피가공물(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평판(A)과,
    상기 평판(A)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B)와,
    상기 지지대(B)에 구비되어 상기 평판(A)에 올려진 피가공물(1)을 가공하는 가공유닛(C)을 포함하는 CNC머신에 있어서,
    상기 평판(A)의 내부에는 에어챔버(12)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A)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통기공(13)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챔버(12)에 연결되어 에어챔버(1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20)과,
    상기 평판(A)에 구비되어 평판(A)의 무게변화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30)과,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40)와,
    상기 평판(A)의 일측에 구비된 경보수단(80)과,
    상기 무게측정수단(30)과 기압센서(40)에 연결되며 상기 급기수단(20)과 경보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게측정수단(30)에 의해 측정된 평판(A)의 무게가 미리 입력된 기준무게값에 비해 상승되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피가공물(1)이 올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급기수단(2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기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기압 이상으로 상승되지 못하면 상기 평판(A)의 상면 또는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부착된 칩이나 이물질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1)이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여 상기 에어챔버(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80)을 구동시키고,
    상기 평판(A)의 상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1)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평판(A)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평판(A)의 상면과 호이스트(2)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단(50)은
    상기 평판(A)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오목홈(1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본체(52)와,
    상기 본체(52)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52)가 상기 오목홈(11)을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53)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둘레면이 상기 평판(A)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세척롤(54)과,
    상기 하부세척롤(54)에 연결되어 하부세척롤(54)을 회전시키는 하부구동모터(55)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기단부가 상기 본체(5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56)와,
    상기 회동바(56)에 연결되어 회동바(56)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5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면이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상부세척롤(58)과,
    상기 상부세척롤(58)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세척롤(58)을 회전시키는 상부구동모터(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머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은 세척수단(50)과 호이스트(2)에 연결되어 세척수단(50)과 호이스트(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경보수단(80)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호이스트(2)를 제어하여 피가공물(1)이 상기 평판(A)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들어올리고, 상기 세척수단(50)을 구동시켜 평판(A)의 상면과 피가공물(1)의 하측면을 세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머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A)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들어올릴 때 피가공물(1)의 하측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70)에 의해 측정된 피가공물(1)의 하측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세척수단(50)의 승강구동수단(57)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세척롤(58)의 상측 둘레면의 높이가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들어올려진 피가공물(1)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머신.
KR1020170147469A 2017-11-07 2017-11-07 Cnc머신 KR101826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69A KR101826309B1 (ko) 2017-11-07 2017-11-07 Cnc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69A KR101826309B1 (ko) 2017-11-07 2017-11-07 Cnc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309B1 true KR101826309B1 (ko) 2018-02-06

Family

ID=6122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469A KR101826309B1 (ko) 2017-11-07 2017-11-07 Cnc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3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77B1 (ko) * 2019-06-25 2020-03-17 안근식 Mct가공장치
KR102319794B1 (ko) * 2021-06-18 2021-11-01 정동호 수직선반
KR102415034B1 (ko) * 2021-10-01 2022-06-29 임규창 작업테이블
CN116767820A (zh) * 2023-08-22 2023-09-19 山西冠力法兰股份有限公司 一种弹射运输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723A (ja) * 1994-02-17 1995-08-29 Nippon Steel Corp 異径円形物の保持方法
JP2001274118A (ja) * 2000-03-28 2001-10-05 Disco Abrasive Syst Ltd 凹凸加工装置
JP2001287129A (ja) * 2000-04-05 2001-10-16 Bm:Kk 真空チャック
KR20090107260A (ko) * 2008-04-08 2009-10-13 김성기 공작물 고정 진공척
JP4846330B2 (ja) * 2005-10-05 2011-12-28 コマツNtc株式会社 工作機械のワーク密着状態確認装置
KR101129906B1 (ko) * 2009-08-27 2012-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보링 설비에서의 소재 고정 장치
JP2015217415A (ja) * 2014-05-16 2015-12-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吸着定盤及び溶接ロボッ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723A (ja) * 1994-02-17 1995-08-29 Nippon Steel Corp 異径円形物の保持方法
JP2001274118A (ja) * 2000-03-28 2001-10-05 Disco Abrasive Syst Ltd 凹凸加工装置
JP2001287129A (ja) * 2000-04-05 2001-10-16 Bm:Kk 真空チャック
JP4846330B2 (ja) * 2005-10-05 2011-12-28 コマツNtc株式会社 工作機械のワーク密着状態確認装置
KR20090107260A (ko) * 2008-04-08 2009-10-13 김성기 공작물 고정 진공척
KR101129906B1 (ko) * 2009-08-27 2012-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보링 설비에서의 소재 고정 장치
JP2015217415A (ja) * 2014-05-16 2015-12-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吸着定盤及び溶接ロボット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846330호(2011.12.28.) 1부.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77B1 (ko) * 2019-06-25 2020-03-17 안근식 Mct가공장치
KR102319794B1 (ko) * 2021-06-18 2021-11-01 정동호 수직선반
KR102415034B1 (ko) * 2021-10-01 2022-06-29 임규창 작업테이블
CN116767820A (zh) * 2023-08-22 2023-09-19 山西冠力法兰股份有限公司 一种弹射运输装置
CN116767820B (zh) * 2023-08-22 2023-11-24 山西冠力法兰股份有限公司 一种弹射运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309B1 (ko) Cnc머신
TWI741159B (zh) 平面研削方法以及平面研削裝置
KR100937544B1 (ko) 기판처리장치
JP2013119123A (ja) 研削装置
KR101908261B1 (ko) 프레스장치
KR101983533B1 (ko) 금형가공용 mct
KR102092286B1 (ko) 팔레트 체인저를 구비하는 머신 툴
US20230106649A1 (en) Grinding apparatus
JP2013188836A (ja) 保持テーブルの良否判断方法
JP7364385B2 (ja) 研削装置
JP4408311B2 (ja) 研削装置におけるチャックテーブルの修正方法
JP7274998B2 (ja) 研削装置
KR20110008397A (ko) 드릴링 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
JP7128070B2 (ja) 研削装置
TW201707861A (zh) 磨削方法
JPS62242812A (ja) 自動計測装置
JP2007294490A (ja) 基板の洗浄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基板の洗浄方法
KR102007143B1 (ko) 수정가공장치
JP2017225943A (ja) ドラム缶吸引装置及びドラム缶吸引方法
TWI830369B (zh) 切割機中用於刀片清潔及其尺寸檢測的裝置
JP2000107962A (ja) 自動水平出し装置
JP2002331426A (ja) 細穴放電加工機における深さ指定加工方法および深さ指定加工手段を備えた細穴放電加工機
KR101434618B1 (ko) 베큠수단이 구비된 수치제어 가공기용 피가공물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102273346B1 (ko) 트랙슈의 진직도 및 평탄도 검사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트랙슈의 진직도 및 평탄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RU2670948C9 (ru)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