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143B1 - 수정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수정가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7143B1 KR102007143B1 KR1020190041838A KR20190041838A KR102007143B1 KR 102007143 B1 KR102007143 B1 KR 102007143B1 KR 1020190041838 A KR1020190041838 A KR 1020190041838A KR 20190041838 A KR20190041838 A KR 20190041838A KR 102007143 B1 KR102007143 B1 KR 102007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grinding
- block
- elevating
- err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69—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with means for feeding the work-pieces to the grinding tool, e.g. turntables, transfer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5—Feeding or manipul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grinding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optica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된 케이스를 추가적으로 가공하여, 케이스에 발생되는 변형 또는 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수정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가공장치는 오차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스(1)의 둘레면에 형성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깊이에 따라 연삭수단(C)을 이용하여 케이스(1)의 둘레면을 가공함으로, 케이스(1)의 외부면을 가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케이스(1)를 가공하는 공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가공장치는 오차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스(1)의 둘레면에 형성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깊이에 따라 연삭수단(C)을 이용하여 케이스(1)의 둘레면을 가공함으로, 케이스(1)의 외부면을 가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케이스(1)를 가공하는 공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된 케이스를 추가적으로 가공하여, 케이스에 발생되는 변형 또는 오차를 수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수정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기의 제어기의 케이스 등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된다.
그런데, 이러한 다이캐스트팅공법으로 케이스를 제조할 경우, 성형된 케이스(1)가 냉각되면서 케이스(1)의 측벽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미세한 굴곡(2)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스(1)의 외측면에 도장을 할 경우, 측벽의 외측면에 형성된 굴곡(2)에 의해 도장면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케이스(1)를 제조한 후에는 별도의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스(1)의 외측면을 일정한 깊이만큼 연삭하는 후가공을 하여, 케이스(1)의 표면의 오차를 기준 이내로 줄인 후, 케이스(1)의 외측면에 도장을 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된 케이스(1)의 외측면에 발생되는 굴곡(2)의 깊이는 제품에 따라 다양함으로, 이와 같이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스(1)의 외측면을 가공할 경우, 일반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표면의 굴곡(2)의 최대치에 비해 조금 더 깊게 표면을 절삭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의 외부면을 연삭하는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될 뿐 아니라, 케이스(1)의 외부면을 연삭하는 공구의 수면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된 케이스의 표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에 따라 케이스의 표면을 연삭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수정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된 케이스(1)의 측판의 외측면에 발생되는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는 오차측정수단(B)과,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을 연삭하는 연삭수단(C)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공급된 케이스(1)를 상기 연삭수단(C)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D)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의해 측정된 굴곡의 깊이를 수신하며 상기 연삭수단(C)과 이송수단(D)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오차측정에 의해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가 측정되면, 이송수단(D)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를 상기 연삭수단(C)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측정된 오차에 따라 상기 연삭수단(C)을 제어하여 상기 케이스(1)의 둘레면을 연삭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3D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베드(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상기 베드(A)의 전방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연삭수단(C)은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상기 오차측정수단(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송수단(D)은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측방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중앙부에 연결된 회동구동수단(21a)에 의해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아암(21)과, 상기 회동아암(21)의 상면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구동수단(22b)에 의해 회전되며 상면에는 오목홈(22a)이 형성된 회전블록(22)과, 상기 회전블록(22)의 오목홈(2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구동수단(23a)에 의해 상기 회전블록(22)의 상면으로 출몰되며 상기 케이스(1)가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승강블록(23)과, 상기 회동아암(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블록(23)이 하강되면 상기 회전블록(22)의 상면에 올려지는 케이스(1)를 후방으로 밀어 배출하는 푸셔(24)와, 상기 베드(A)의 후방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푸셔(24)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된 케이스(1)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장치(25)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24)는 하측면이 상기 회동아암(2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1)의 외측에 밀착되며 하측면에는 흡입구(24b)가 형성된 가압판(24a)과, 상기 회동아암(21)에 회동아암(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24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가압판(24a)을 전후진시키는 실린더기구(24c)와, 흡입관(24e)을 통해 상기 가압판(24a)의 흡입구(24b)에 연결된 진공펌프(24d)와, 상기 흡입관(24e)의 중간부에 구비된 필터유닛(24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1)가 승강되는 승강통로(41)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프레임(F)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상기 지지프레임(F)의 상측에 상기 승강통로(41)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삭수단(C)은 상기 오차측정수단(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F)의 승강통로(41)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송수단(D)은 상기 승강통로(41)의 내부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51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51)와, 상기 승강대(51)의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구동수단(52b)에 의해 회전되며 상면에는 오목홈(52a)이 형성된 회전대(52)와, 상기 회전대(52)의 오목홈(5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구동수단(51a)에 의해 상기 회전대(52)의 상측으로 출몰되며 상기 케이스(1)가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고 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급기공(53b)이 형성된 승강블록(53)과, 상기 지지프레임(F)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록(53)의 상면에 오일을 분사하는 오일분사수단(54)과, 급기관(55a)을 통해 상기 승강블록(53)의 급기공(53b)에 연결되는 급기수단(55)과, 상기 급기관(55a)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급기관(55a)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측정수단(56)과, 상기 지지프레임(F)에 상기 연삭수단(C)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51)가 하강된 후 상기 승강블록(53)이 하강되면 상기 회전대(52)에 올려진 케이스(1)를 측방향으로 밀어 배출하는 푸셔(57)와, 상기 푸셔(57)에 의해 배출된 케이스(1)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장치(58)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승강블록(53)에 케이스(1)가 결합되면 상기 급기수단(55)을 작동시켜 상기 급기공(53b)을 통해 승강블록(53)에 결합된 케이스(1)의 하측면으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기압측정수단(5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압측정수단(56)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기압이 미리 입력된 기준기압 이하로 저하되면 경보기(31)를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가공장치는 오차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스(1)의 둘레면에 형성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깊이에 따라 연삭수단(C)을 이용하여 케이스(1)의 둘레면을 가공함으로, 케이스(1)의 외부면을 가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케이스(1)를 가공하는 공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 바닥면이 평면을 이루는 사각형의 케이스(1)를 수정가공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1)는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정가공장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베드(A)와, 상기 베드(A)의 전방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의 측판의 외측면에 발생되는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는 오차측정수단(B)과,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상기 오차측정수단(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을 연삭하는 연삭수단(C)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공급된 케이스(1)를 상기 연삭수단(C)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D)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의해 측정된 굴곡의 깊이를 수신하며 상기 연삭수단(C)과 이송수단(D)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수단(E)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상기 이송수단(D)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케이스(1)의 둘레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케이스(1)의 둘레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3차원적으로 측정하는 3D스캐너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D)의 회동아암(21)이 회동될 때 오차측정수단(B)이 회동아암(21)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삭수단(C)은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대(11)와, 상기 이송대(11)에 구비되며 선단부에 결합된 툴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스(1)의 둘레면을 가공하는 가공유닛(1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대(11)와 가공유닛(12)은 CNC가공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수단(D)은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측방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중앙부에 연결된 회동구동수단(21a)에 의해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아암(21)과, 상기 회동아암(21)의 상면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구동수단(22b)에 의해 회전되며 상면에는 오목홈(22a)이 형성된 회전블록(22)과, 상기 회전블록(22)의 오목홈(2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구동수단(23a)에 의해 상기 회전블록(22)의 상면으로 출몰되며 상기 케이스(1)가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승강블록(23)과, 상기 회동아암(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블록(23)이 하강되면 상기 회전블록(22)의 상면에 올려지는 케이스(1)를 후방으로 밀어 배출하는 푸셔(24)와, 상기 베드(A)의 후방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푸셔(24)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된 케이스(1)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장치(25)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아암(21)은 강도가 높은 금속제로 구성되며,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회동축(21b)에 의해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아암(21)의 양단 상면에는 결합홈(21c)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21a)은 상기 베드(A)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21b)에 연결된 서버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아암(21)이 일방향으로 180°씩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블록(2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아암(21)의 결합홈(21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블록(22)은 상면이 상기 회동아암(2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구동수단(22b)은 상기 회동아암(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블록(22)에 연결된 서버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블록(22)을 90°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블록(23)은 상단둘레부의 형상이 상기 케이스(1)의 내부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를 승강블록(23)의 상단 둘레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블록(23)의 둘레면에는 실린더기구(23c)에 의해 승강블록(23)의 둘레면으로 출몰되는 복수개의 조(23b)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록(23)에 케이스(1)를 결합하면 상기 조(23b)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23a)은 상기 회전블록(22)의 오목홈(22a)의 내부에 구비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승강블록(23)을 승강시키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푸셔(24)는 하측면이 상기 회동아암(2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1)의 외측에 밀착되며 하측면에는 흡입구(24b)가 형성된 가압판(24a)과, 상기 회동아암(21)에 회동아암(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24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가압판(24a)을 전후진시키는 실린더기구(24c)와, 흡입관(24e)을 통해 상기 가압판(24a)의 흡입구(24b)에 연결된 진공펌프(24d)와, 상기 흡입관(24e)의 중간부에 구비된 필터유닛(24f)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24e)은 2개로 분할되어 2개의 가압판(24a)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흡입관(24e)의 분기부에는 상기 제어수단(E)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전자제어식밸브(24g)가 구비되어, 각각의 가압판(24a)에 구비된 흡입구(24b)를 통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정가공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된 케이스(1)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21)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아암(21)의 선단부에 구비된 승강블록(23)이 상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승강블록(23)의 상단에 상기 케이스(1)를 결합하면, 상기 조(23b)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오차측정수단(B)이 상기 케이스(1)의 일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면, 상기 회전구동수단(22b)에 의해 회전블록(22)이 90°회전되어 케이스(1)의 다른 면이 상기 오차측정수단(B)을 향하도록 하고, 오차측정수단(B)이 케이스(1)의 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케이스(1)의 4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모두 측정한다.
이때,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의해 측정된 굴곡의 깊이는 상기 제어수단(E)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4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모두 측정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차측정수단(B)과 연삭수단(C)은 베드(A)의 전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회동아암(21)이 회동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오차측정수단(B)과 연삭수단(C)이 벗어나도록 하고, 상기 회동구동수단(21a)에 의해 회동아암(21)이 180°회동되어, 상기 케이스(1)가 상기 연삭수단(C)에 근접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의해 측정된 굴곡의 깊이에 따라 상기 연삭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케이스(1)의 둘레면을 연삭가공하여, 케이스(1)의 둘레면에 형성된 굴곡을 제거한다.
이때, 오차측정수단(B)은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회동아암(21)의 전단부에 구비된 승강블록(23)이 상승되며, 작업자가 승강블록(23)에 새로운 케이스(1)를 결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차측정수단(B)이 작동되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22b)에 의해 케이스(1)가 회전되어 새로운 케이스(1)의 둘레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의 가공과, 케이스(1)의 둘레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삭수단(C)에 의해 상기 승강블록(23)에 고정된 케이스(1) 둘레면의 가공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23b)가 승강블록(23)의 내부로 후퇴되어 케이스(1)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승강구동수단(23a)에 의해 승강블록(23)이 하강되어, 케이스(1)가 상기 회전블록(22)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셔(24)의 실린더기구(24c)가 신장되어 상기 가압판(24a)을 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회전블록(22)의 상면에 올려진 케이스(1)가 상기 배출컨베이어장치(25)의 상면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1)는 배출컨베이어장치(25)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24d)가 작동되어 도 9에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판(24a) 하측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연삭수단(C)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의 둘레면을 가공할 때 발생되어 상기 회전블록(22)의 상면과 승강블록(23)의 둘레면에 부착된 칩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서, 회전블록(22)과 승강블록(23)이 칩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배출이 완료되면, 다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21)은 회동구동수단(21a)에 의해 180°회전되며,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케이스(1)의 둘레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굴곡의 깊이에 따라 케이스(1)의 둘레면을 가공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추가가공장치는 오차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스(1)의 둘레면에 형성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깊이에 따라 연삭수단(C)을 이용하여 케이스(1)의 둘레면을 가공함으로, 케이스(1)의 외부면을 가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케이스(1)를 가공하는 공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D)은 회동아암(21)의 양단에 케이스(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케이스(1)의 둘레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는 작업과, 케이스(1)의 둘레면을 가공하는 작업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어서, 작업시간을 더욱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푸셔(24)를 이용하여 케이스(1)를 배출할 때, 회전블록(22) 상측의 칩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칩에 의해 케이스(1)에 손상이 발생되거나, 케이스(1)가 상기 승강블록(23)에 정확히 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레이저를 이용하는 3D스캐너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케이스(1)의 둘레면에 접촉되어 케이스(1)의 둘레면에 형성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는 접촉식 측정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의 형상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케이스(1)의 형상에 비해 복잡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수정가공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1)가 승강되는 승강통로(41)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프레임(F)과, 상기 지지프레임(F)의 상측에 상기 승강통로(41)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의 측판의 외측면에 발생되는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는 오차측정수단(B)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F)의 승강통로(41)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을 연삭하는 연삭수단(C)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공급된 케이스(1)를 상기 연삭수단(C)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D)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의해 측정된 굴곡의 깊이를 수신하며 상기 연삭수단(C)과 이송수단(D)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수단(E)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F)은 복수개의 금속바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통형상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상기 이송수단(D)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케이스(1)의 둘레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케이스(1)의 둘레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3차원적으로 측정하는 3D스캐너를 이용한다.
상기 연삭수단(C)은 상기 지지프레임(F)의 중간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42)에 구비된 이송대(11)와, 상기 이송대(11)에 구비되며 선단부에 결합된 툴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스(1)의 둘레면을 가공하는 가공유닛(1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42)은 상기 지지프레임(F)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송대(11)는 상기 제어수단(E)의 제어에 의해, 도 10d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드레일(42)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F)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D)은 상기 승강통로(41)의 내부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51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51)와, 상기 승강대(51)의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구동수단(52b)에 의해 회전되며 상면에는 오목홈(52a)이 형성된 회전대(52)와, 상기 회전대(52)의 오목홈(5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구동수단(51a)에 의해 상기 회전대(52)의 상측으로 출몰되며 상기 케이스(1)가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고 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급기공(53b)이 형성된 승강블록(53)과, 상기 지지프레임(F)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록(53)의 상면에 오일을 분사하는 오일분사수단(54)과, 급기관(55a)을 통해 상기 승강블록(53)의 급기공(53b)에 연결되는 급기수단(55)과, 상기 급기관(55a)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급기관(55a)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측정수단(56)과, 상기 지지프레임(F)에 상기 연삭수단(C)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가 하강된 후 상기 승강블록(53)이 하강되면 상기 회전대(52)에 올려진 케이스(1)를 측방향으로 밀어 배출하는 푸셔(57)와, 상기 푸셔(57)에 의해 배출된 케이스(1)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장치(58)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대(51)는 사각형의 블록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51a)은 상기 승강통로(4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승강대(51)를 정해진 높이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대(52)는 원형의 블록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51)의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구동수단(52b)은 상기 승강대(5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대(52)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대(52)를 90°씩 회전시키는 서버모터를 이용한다.
상기 승강블록(53)은 상단둘레부의 형상이 상기 케이스(1)의 내부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를 승강블록(53)의 상단 둘레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블록(53)의 둘레면에는 실린더기구(53d)에 의해 승강블록(53)의 둘레면으로 출몰되는 복수개의 조(53c)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록(53)에 케이스(1)를 결합하면 상기 조(53c)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오일분사수단(54)은 상기 지지프레임(F)의 중간부에, 상기 승강대(51)가 가장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블록(53)의 상면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54a)과, 공급관(54b)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54a)에 연결되며 오일이 저장된 저장탱크(54c)와, 상기 공급관(54b)의 중간부에 구비된 공급펌프(54d)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펌프(54d)를 구동시키면, 상기 저장탱크(54c)에 저장된 오일이 상기 분사노즐(54a)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상기 오일은 일반적인 절삭유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블록(53)의 상면에 분사되어 승강블록(53)의 상면에 결합된 케이스(1)와 승강블록(53) 상면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세한 틈을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급기수단(55)은 일반적인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상기 기압측정수단(56)은 상기 급기관(55a)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관(55a)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관(55a) 내부의 기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의 내부형태가 정확한 형태로 제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승강블록(53)의 상면은 상기 케이스(1)의 내부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블록(53)의 상면에는 상기 오일분사수단(54)에 의해 오일이 분사됨으로, 상기 케이스(1)가 정확한 형태로 제작된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블록(53)에 케이스(1)를 결합하면, 케이스(1)가 승강블록(53)의 상면에 기밀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수단(55)을 이용하여 승강블록(53)의 급기공(53b)에 공기를 공급할 경우, 급기공(53b)의 상단이 상기 케이스(1)에 의해 막혀 급기공(53b)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기압측정수단(56)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기압이 높게 상승된다.
반대로, 상기 케이스(1)가 정확한 형태로 제작되지 못한 경우, 케이스(1)를 승강블록(53)의 상면에 결합하면, 승강블록(53)의 상면과 케이스(1)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고, 상기 급기공(53b)에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승강블록(53)의 상면과 케이스(1)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기압측정수단(56)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수단(55)을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기압측정수단(56)을 이용하여 기압을 측정하여, 상기 케이스(1)의 내부형태가 정확한 형태로 제조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푸셔(57)는 상기 승강대(51)가 가장 하강된 위치에 비해 조금 높게 위치된 가압판(57a)과, 상기 지지프레임(F)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57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가압판(57a)이 측방향으로 전후진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57b)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E)은 경보기(31)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경보기(31)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정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51)가 가장 하측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오일분사수단(54)이 작동되어, 상기 승강블록(53)의 상면에 적절한 양의 오일을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51a)이 신장되어 상기 승강대(51)가 가장 높은 위치, 즉, 상기 지지프레임(F)의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삭수단(C)은 상기 제어수단(E)의 제어에 따라, 지지프레임(F)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승되는 승강대(51)가 연삭수단(C)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51a)에 의해 승강블록(53)은 상기 회전대(5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를 상기 승강블록(53)의 상면에 결합하면, 상기 조(53c)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1)를 고정하고, 상기 급기수단(55)이 작동되어 상기 승강블록(53)의 급기공(53b)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기압측정수단(56)의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케이스(1)의 내부형태가 정확한 형태로 제조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기압측정수단(56)에 의해 측정된 기압이 정상범위에 비해 낮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E)은 케이스(1)의 내부형태에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송수단(D)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경보기(31)를 작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해당 케이스(1)에 불량이 발생된 것을 인지하고 후속조치를 하도록 한다.
반대로, 기압측정수단(56)에 의해 측정된 기압이 정상범위일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승강구동수단(51a)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블록(53)에 결합된 케이스(1)가 상기 오차측정수단(B)의 위치로 하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수단(52b)을 이용하여 회전대(52)를 90°씩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차측정수단(B)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 4면에 형성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고, 오차측정수단(B)에 의해 측정된 값은 상기 제어수단(E)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승강구동수단(51a)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블록(53)에 결합된 케이스(1)가 상기 연삭수단(C)의 위치로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연삭수단(C)이 정위치(상기 지지프레임(F)의 내부)로 복귀되도록 한 후, 연삭수단(C)을 제어하여,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을 가공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E)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51a)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블록(53)을 가장 하측으로 하강시킨 후, 상기 조(53c)를 후퇴시켜 상기 케이스(1)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승강블록(53)을 하강시켜, 상기 케이스(1)가 상기 회전블록(22)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셔(57)를 작동시켜 회동블록의 상면에 올려진 케이스(1)가 상기 배출컨베이어장치(58)로 배출되도록 하여, 배출컨베이어장치(58)에 의해 상기 케이스(1)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오일분사수단(54)을 작동시켜 하강된 승강블록(53)의 상면에 오일을 분사하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케이스(1)를 가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정가공장치는 이송수단(D)을 이용하여 케이스(1)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면서 케이스(1)의 둘레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고, 케이스(1)의 표면을 가공함으로써, 수정가공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급기수단(55)과 기압측정수단(56)을 이용하여 케이스(1)의 내부형태가 정확한 형태로 제조되었는지를 감지함으로, 케이스(1)의 내부형태가 정확히 제조되지 못한 불량을 가려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베드 B. 오차측정수단
C. 연삭수단 D. 이송수단
E. 제어수단 F. 지지프레임
C. 연삭수단 D. 이송수단
E. 제어수단 F. 지지프레임
Claims (4)
-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된 케이스(1)의 측판의 외측면에 발생되는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는 오차측정수단(B)과,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을 연삭하는 연삭수단(C)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공급된 케이스(1)를 상기 연삭수단(C)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D)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의해 측정된 굴곡의 깊이를 수신하며 상기 연삭수단(C)과 이송수단(D)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오차측정에 의해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가 측정되면, 이송수단(D)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를 상기 연삭수단(C)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측정된 오차에 따라 상기 연삭수단(C)을 제어하여 상기 케이스(1)의 둘레면을 연삭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베드(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상기 베드(A)의 전방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연삭수단(C)은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상기 오차측정수단(B)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송수단(D)은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측방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중앙부에 연결된 회동구동수단(21a)에 의해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아암(21)과,
상기 회동아암(21)의 상면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구동수단(22b)에 의해 회전되며 상면에는 오목홈(22a)이 형성된 회전블록(22)과,
상기 회전블록(22)의 오목홈(2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구동수단(23a)에 의해 상기 회전블록(22)의 상면으로 출몰되며 상기 케이스(1)가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승강블록(23)과,
상기 회동아암(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블록(23)이 하강되면 상기 회전블록(22)의 상면에 올려지는 케이스(1)를 후방으로 밀어 배출하는 푸셔(24)와,
상기 베드(A)의 후방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푸셔(24)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된 케이스(1)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장치(25)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24)는
하측면이 상기 회동아암(2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1)의 외측에 밀착되며 하측면에는 흡입구(24b)가 형성된 가압판(24a)과,
상기 회동아암(21)에 회동아암(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24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가압판(24a)을 전후진시키는 실린더기구(24c)와,
흡입관(24e)을 통해 상기 가압판(24a)의 흡입구(24b)에 연결된 진공펌프(24d)와,
상기 흡입관(24e)의 중간부에 구비된 필터유닛(24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가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3D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가공장치.
- 삭제
-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된 케이스(1)의 측판의 외측면에 발생되는 굴곡의 깊이를 측정하는 오차측정수단(B)과,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을 연삭하는 연삭수단(C)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공급된 케이스(1)를 상기 연삭수단(C)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D)과,
상기 오차측정수단(B)에 의해 측정된 굴곡의 깊이를 수신하며 상기 연삭수단(C)과 이송수단(D)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오차측정에 의해 상기 케이스(1)의 외측면에 발생된 굴곡의 깊이가 측정되면, 이송수단(D)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1)를 상기 연삭수단(C)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측정된 오차에 따라 상기 연삭수단(C)을 제어하여 상기 케이스(1)의 둘레면을 연삭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1)가 승강되는 승강통로(41)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프레임(F)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차측정수단(B)은 상기 지지프레임(F)의 상측에 상기 승강통로(41)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삭수단(C)은 상기 오차측정수단(B)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F)의 승강통로(41)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송수단(D)은
상기 승강통로(41)의 내부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51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51)와,
상기 승강대(51)의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구동수단(52b)에 의해 회전되며 상면에는 오목홈(52a)이 형성된 회전대(52)와,
상기 회전대(52)의 오목홈(52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구동수단(51a)에 의해 상기 회전대(52)의 상측으로 출몰되며 상기 케이스(1)가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고 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급기공(53b)이 형성된 승강블록(53)과,
상기 지지프레임(F)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록(53)의 상면에 오일을 분사하는 오일분사수단(54)과,
급기관(55a)을 통해 상기 승강블록(53)의 급기공(53b)에 연결되는 급기수단(55)과,
상기 급기관(55a)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급기관(55a)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측정수단(56)과,
상기 지지프레임(F)에 상기 연삭수단(C)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51)가 하강된 후 상기 승강블록(53)이 하강되면 상기 회전대(52)에 올려진 케이스(1)를 측방향으로 밀어 배출하는 푸셔(57)와,
상기 푸셔(57)에 의해 배출된 케이스(1)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장치(58)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승강블록(53)에 케이스(1)가 결합되면 상기 급기수단(55)을 작동시켜 상기 급기공(53b)을 통해 승강블록(53)에 결합된 케이스(1)의 하측면으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기압측정수단(5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압측정수단(56)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기압이 미리 입력된 기준기압 이하로 저하되면 경보기(31)를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가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838A KR102007143B1 (ko) | 2019-04-10 | 2019-04-10 | 수정가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838A KR102007143B1 (ko) | 2019-04-10 | 2019-04-10 | 수정가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7143B1 true KR102007143B1 (ko) | 2019-08-02 |
Family
ID=6761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1838A KR102007143B1 (ko) | 2019-04-10 | 2019-04-10 | 수정가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714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5282B1 (ko) * | 2019-09-05 | 2020-12-24 | 박정순 | 수정가공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47818A (ja) * | 1998-06-01 | 1999-12-21 | Hitachi Via Mechanics Ltd | ワークの加工方法 |
KR101472024B1 (ko) | 2013-04-22 | 2014-12-16 | (주)두성로보텍 | 다이캐스팅 주물의 후가공장치 |
KR20150098107A (ko) * | 2014-02-19 | 2015-08-27 | 대영기계공업 주식회사 | 공작기계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
KR20160128353A (ko) * | 2014-03-31 | 2016-11-07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3차원 적층 장치 및 3차원 적층 방법 |
-
2019
- 2019-04-10 KR KR1020190041838A patent/KR1020071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47818A (ja) * | 1998-06-01 | 1999-12-21 | Hitachi Via Mechanics Ltd | ワークの加工方法 |
KR101472024B1 (ko) | 2013-04-22 | 2014-12-16 | (주)두성로보텍 | 다이캐스팅 주물의 후가공장치 |
KR20150098107A (ko) * | 2014-02-19 | 2015-08-27 | 대영기계공업 주식회사 | 공작기계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
KR20160128353A (ko) * | 2014-03-31 | 2016-11-07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3차원 적층 장치 및 3차원 적층 방법 |
KR20180041265A (ko) * | 2014-03-31 | 2018-04-23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3차원 적층 장치 및 3차원 적층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5282B1 (ko) * | 2019-09-05 | 2020-12-24 | 박정순 | 수정가공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8261B1 (ko) | 프레스장치 | |
US11691239B2 (en) | Carbide blade grinding forming processing production line | |
TWI741159B (zh) | 平面研削方法以及平面研削裝置 | |
CN103921358B (zh) | 一种全自动单晶硅棒切方磨削复合加工一体设备 | |
KR101983533B1 (ko) | 금형가공용 mct | |
KR102007143B1 (ko) | 수정가공장치 | |
CN109382920B (zh) | 切削装置和晶片的加工方法 | |
KR101788830B1 (ko) | 용접용 틸팅테이블 | |
TW201434082A (zh) | 研磨裝置及研磨方法 | |
KR101560380B1 (ko) | 공작기계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 |
KR101826309B1 (ko) | Cnc머신 | |
KR102116646B1 (ko) | H빔 가공장치 | |
KR102195282B1 (ko) | 수정가공장치 | |
KR101979549B1 (ko) | 금속봉 자동 절단장치 | |
JP2013255952A (ja) | 研削装置 | |
JP2019147233A (ja) | 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 |
KR101185201B1 (ko) | 슬라브용 스카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4417971B2 (ja) | 樹脂封止装置及び吸引孔詰まり検出方法 | |
CN216991317U (zh) | 一种可测距补偿的槽型岩板倒角定高装置 | |
WO2022263579A1 (en) | Installation for producing at least one useful part from a glass pane | |
KR101986066B1 (ko) | 메인베이스 제조장치 | |
KR20220031508A (ko) | 액상 수지 공급 장치 | |
JP2006297511A (ja) | レンズの球面研削方法 | |
KR20210073452A (ko) | 연삭 장치 | |
KR102011024B1 (ko) | 커팅디스크부재의 마모량 측정이 가능한 커팅장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