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169B1 -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 - Google Patents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169B1
KR102414169B1 KR1020210026955A KR20210026955A KR102414169B1 KR 102414169 B1 KR102414169 B1 KR 102414169B1 KR 1020210026955 A KR1020210026955 A KR 1020210026955A KR 20210026955 A KR20210026955 A KR 20210026955A KR 102414169 B1 KR102414169 B1 KR 10241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omen
fruit
diges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진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이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진 filed Critical 이예진
Priority to KR102021002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8Commiphora, e.g. mecca myrrh or balm of Gil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2Agastache, e.g. giant hyss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에 관한 것으로서, 약재를 포함하고, 상기 약재는, 산사자, 맥아, 석창포, 계내금, 나복자, 곽향, 울금, 몰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Digestive medicine composition for women and digestive medicine product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에 관한 것으로서, 여성에게 맞는 성분들로 구성되어 기능성 소화불량을 치료할 수 있는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과다한 음주 및 흡연, 인스턴트 식품 섭취 등의 다양한 영향으로 인해 소화기능 저하, 대장운동기능 등의 저하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소화기능 및 대장운동기능의 저하를 미연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일상생활에서 소화계통의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질환에 대해 사전에 예방하기란 쉽지가 않다.
따라서, 소화계통 기능의 저하로 발생되는 질환, 예컨대 복통,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현대인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들은 임시방편으로 약국에서 처방되는 소화제를 구입하여 복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연도별 건강보험 연령대별 '소화불량' 질환 진료현황을 참고하면, 소화불량 질환이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서 1.5배 이상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일반 시중에서 판매되는 소화제는 주로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져 장기간 복용 시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클 뿐 아니라, 알레르기 유발, 질병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인자(factor) 요소가 인체의 장기 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화제로 인한 부작용은 만성질환으로까지 확산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 및 연구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07903호에 '변비 숙변 다이어트 건강 식품의 제조방법' 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에 관한 것으로서, 여성에게 알맞은 재료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저하된 소화기능을 강화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을 치료할 수 있는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은, 약재를 포함하고, 상기 약재는, 산사자, 맥아, 석창포, 계내금, 나복자, 곽향, 울금, 몰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재는, 산사자 10 내지 20중량부, 맥아 10 내지 20중량부, 석창포 10 내지 20중량부, 계내금 10 내지 20중량부, 나복자 10 내지 20중량부, 곽향 10 내지 20중량부, 울금 2 내지7중량부, 몰약 2 내지7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형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형제는, 곡물가루, 과일추출물 및 당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가루는, 밀, 쑥, 메밀, 카무트 및 햄프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일 추출물은, 포포 열매, 비파 열매 및 다래 열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일 추출물은, 포포 열매 0.3 내지 0.8중량부, 비파 열매 0.1 내지 0.5중량부 및 다래 열매 1 내지 3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류는, 꿀, 조청, 아가베시럽, 스테비아 및 수카나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소화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는, 여성에게 알맞은 재료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저하된 소화기능을 강화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을 치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은, 한방 재료를 이용하여 환 형태의 소화제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로 약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약재는 산사자, 맥아, 석창포, 계내금, 나복자, 곽향, 울금, 몰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재는 산사자 10 내지 20중량부, 맥아 10 내지 20중량부, 석창포 10 내지 20중량부, 계내금 10 내지 20중량부, 나복자 10 내지 20중량부, 곽향 10 내지 20중량부, 울금 2 내지7중량부, 몰약 2 내지7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산사자 15중량부, 맥아 15중량부, 석창포 15중량부, 계내금 15중량부, 나복자 15중량부, 곽향 15중량부, 울금 5중량부 및 몰약 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산사자(Crataegis fructus)는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의 열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산사나무의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고 산방꽃차례에 달리며, 열매는 이과(梨果)로서 둥글며 흰 반점이 있다.
산사의 주요성분은 정유, 플라빈, 타닌 등이며 혈액순환 향상, 혈압조절, 안정작용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건위제, 소화제, 정장제로 사용한다. 유럽에서는 유럽 산사나무의 열매를 크라테거스(Crataegus)라고도 칭하며, 강심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산사자는 찌는 과정을 거친 다음 씨를 제거하고 과육만을 얇게 자른 후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사자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산사자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며,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산사자 특유의 신맛으로 인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맥아는 벼과의 대맥 Hordeum vulgare L.의 싹을 내어 말린 후 살짝 볶아서 만든 약재로 엿기름이라 하여 맥주 양조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맥아는 맥아효소인 아밀라제, 프로테아제, 인버타아제, 산화효소, 파타제 등이 포함되어 소화를 돕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한의학에서는 비위허약으로 인한 소화장애, 소화불량과 유즙분비 부족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서 맥아는 벼과에 속하는 겉보리에 물을 뿌려 습기를 유지시킨 다음 싹을 틔운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싹이 2 내지 5 mm로 자랐을 때 햇볕에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싹이 3 mm인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맥아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맥아로 인한 약리적 효과가 미미하며,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맥아로 인해 복통이 생길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석창포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중부와 남부지방에서 자생한다. 석창포는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자라고 지상에 있는 줄기와 더불어 독특한 향기가 나는 식물로, 정신을 맑게 하여 마음과 정신을 안정시키고 건망, 불면, 이명 등을 치료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석창포는 뿌리줄기를 사용하며, 수염뿌리를 제거한 다음 깨끗이 씻어 건조한 후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석창포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석창포로 인한 약리적 효과가 미미하며,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석창포 특유의 쓴맛과 매운맛으로 인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계내금(Endithelium Cornium Gigeraiae Galli)은 닭(Gallus domesticus Brisson, 꿩과 Phasianidae)의 모래주머니의 내막(內幕)으로 황금색 내지 황갈색을 띠며, 주성분으로는 벤트리쿨린(Ventriculin), 시스틴, 아르기닌, 트립토판 등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계내금은 약의 성질이 차며 유정(遺精)을 하는데 좋고, 이질에도 좋으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시키며, 설사나 이질을 멎게 해주고, 소변을 원활하게 조절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계내금은 모래주머니의 속껍질을 벗겨낸 다음 세척하여 건조 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내금이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계내금으로 인한 약리적 효과가 미미하며,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계내금 특유의 비린내로 인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나복자 십자화과에 속한 식물로 무(Raphanus sativus L.)의 여문 종자이다. 말린 종자는 타원형이거나 둥근 난형과 비슷한데 조금 편평하며 길이는 약 3mm, 너비는 2.5mm이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한쪽에 세로 홈이 몇 개 있고 한쪽 끝에 밑씨가 있다. 또한, 나복자에는 항균물질이 들어 있어 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대하여 뚜렷한 억제 작용을 하고 동심성, 백선균 등의 피부 진균에 대한 항진균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가 치밀어 오르는 증세를 치료하고 호흡을 가라앉히며 소화를 돕고 가래를 삭히는 효능이 있으며 해수로 인한 기관지 천식, 식적기체(食積氣滯), 가슴이 답답하고 더부룩한 증상, 이질에 의한 이급후중을 치료하는데 나복자가 처방된다. 근래에 들어, 나복자 추출물 또는 일부 구성 성분이 강력한 항돌연변이 활성, 항균, 항고혈압 및 항염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나복자는 나복자의 씨앗을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나복자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나복자로 인한 약리적 효과가 미미하며,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나복자로 특유의 매운맛으로 인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곽향은 배초향의 지상부를 사용해 만든 약재로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여 소화기계통의 기능을 항진시키면서 외부의 사기로 인한 체표의 사기를 발산시켜 주므로 소화불량,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감기에 효과 특히 여름철에 좋은 약재이며 잘못 먹어서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에도 좋다. 또한, 곽향은 가슴이 답답하고 메스꺼운 증상에 효능이 있으며 발열, 도통, 구토, 식욕부진, 복부팽만, 설사에 활용위장을 건강하게 하고 소화를 좋게 하여 속을 편안하게 하며, 당뇨·혈압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곽향은 배초향의 지상부를 사용하며, 뿌리를 제거한 다음 씻어 건조 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곽향이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곽향으로 인한 약리적 효과가 미미하며,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곽향 특유의 매운맛으로 인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울금(Curcuma long L)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구근을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을 심황이라고 부르며 향은 순한 단맛을 지니고 있고 뿌리는 노란색이며 커리와 머스터드의 주원료 중의 하나로서 착색료 및 향신료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울금에는 인체에 유용한 유효성분들이 다수 존재하며, 그 중 커큐민은 만성질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항산화, 항염, 항균 항암 등의 특성 및 치매 예방 특성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의 울금에 대한 생리활성으로 간장 해독 촉진, 담즙분비 촉진, 담도 결석 제거, 강심, 이뇨, 항출혈, 항균, 항궤양, 혈중콜레스테롤 억제 등이 알려졌고, 담도염, 황달, 위염, 생리불순, 고혈압, 동맥경화 등에 대한 효능과 항암, 항당뇨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울금은 수염뿌리를 제거한 후 물에 찌거나 끓인 후에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울금 2중량부 미만일 경우 울금으로 인한 약리적 효과가 미미하며, 7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울금 특유의 알싸한 매운맛으로 인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몰약은 감람나무과(Burseraceae)에 속하는 몰약나무(Commiphoramyrrha ENGL.) 또는 애륜보몰약나무(Balsamodendronehrenbergjanum BERG.)의 껍질에 상처를 내어 나오는 수지를 응고시킨 것으로, 방향성의 냄새가 있고 맛은 쓰며 약간 떫고 맵다. 또한, 몰약은 항염 진통 효과, 항암 효과, 지질 강하 효과, 항미생물 활성 등의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무기력한 기분을 고양시키고 격양된 감정을 누그러뜨려 심리적 안정을 가져오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몰약은 상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큰 덩어리를 작은 덩어리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몰약이 2중량부 미만일 경우 몰약으로 인한 약리적 효과가 미미하며, 7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몰약 특유의 방향성의 냄새 및 쓰고 떫고 매운맛으로 인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두통을 유발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의 약재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능들을 가질 뿐만 아니라, 찬기운과 더운기운의 성질을 갖는 약재들이 조화를 이루어 환자의 체질에 상관없이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은 고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형제는 약재와 혼합하여 약재를 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약재의 기호성을 높이고 고형제의 효능을 부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고형제는 추가적 약재 90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10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재 90중량부에 있어서 고형제 7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다.
이때, 약재 90중량부에 있어서, 고형제가 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고형제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고형제로 인해 약재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고형제는 곡물가루, 과일추출물 및 당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곡물가루 40 내지 60중량부, 과일추출물 5 내지 10중량부 및 당류 1 내지 3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곡물가루 50중량부, 과일추출물 6중량부 및 당류 2중량부가 혼합되어 고형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곡물가루는 약재와 혼합되어 곡물가루의 효능을 부가된 환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40중량부 미만일 경우 곡물가루의 효과가 미미하며, 60중량부를 추가할 경우 가루 비중이 높아짐으로 인해 환 형태로 제작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곡물가루는 통밀, 쑥, 메밀, 카무트 및 햄프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재료들을 가루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곡물가루는 통밀 20 내지 25중량부, 쑥 10 내지 15중량부, 메밀 5 내지 7중량부, 카무트 6 내지 9중량부 및 햄프씨드 2 내지 5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밀 22중량부, 쑥 12중량부, 메밀 6중량부, 카무트 8중량부 및 햄프씨드 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통밀은 일반 밀과 비교해서 식이섬유 함량이 6배, 칼륨은 3배, 그리고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도 풍부하며, 마그네슘, 망간, 셀레늄도 현미보다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통밀은 항산화 작용에 특효인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꾸준하게 섭취하면 체내 활성산소 제거, 노화방지 및 심장 질환에도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통밀이 20중량부 미만일 경우 통밀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고, 2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통밀의 거칠기로 인해 환 제조 시 환 형태로 제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쑥은 쑥속(Genus Artemisia),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식물로 약 40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기후, 토양에 잘 적응하므로 널리 분포되고 있으나 주로 아시아, 유럽, 북미 등 북반구에 분포되고 있다. 이러한 쑥은 국내의 대표적인 기능성 천연식품 소재로 예로부터 민간에서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여성에게 좋다고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쑥은 전초를 말려 진정제, 경련, 마비, 전신강직 등의 치료에 사용하여 왔으며, 외용으로는 직접 피부에 이용하거나 뜸으로 사용하여 왔는데 우리나라 전통 민간요법에서 복통, 간염, 만성 간질환, 황달, 천식 등의 치료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어온 약용식물이다.
이와 같은 쑥이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쑥으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쑥 특유의 향으로 인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메밀은 마디풀과(Polygenaceae family)에 속하는 일년초로서 분류학상 곡류와 구별되지만 곡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유사 곡물로서, 탄수화물, 단백질, 라이신, 아르기닌, 메티오닌 등의 필수 아미노산, 불포화 지방산 및 각종 무기물과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메밀 단백질은 라이신이 약 6.1%(w/w), 메티오닌은 약 2.5%(w/w)로 다른 곡류에 비해서 라이신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메밀에 많은 기능성 성분들이 보고되었는데, 그 중 폴리페놀 성분으로는 루틴(rutin),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세틴(isoquercetin), 미리세틴(myricetin), 시링산(syringic acid) 유도체, carreic acid 유도체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화합물은 항산화작용, 혈압저하작용, 혈관 수축작용, 항균작용 등 생체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메밀은 5중량부 미만일 경우 메밀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며, 7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메밀이 복통을 일으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카무트는 밀의 한 종류로 일반 밀보다 2배 정도 큰 크기이며 칼로리는 낮고 단백질 함량이 높다. 특히 고소한 맛이 나며 식감이 좋고 백미의 8배 이상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아연과 철분, 비타민 B군이 풍부해 체내 에너지 활용이 뛰어나 더 많은 열량을 소모하게 함으로써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
이러한 카무트는 6중량부 미만일 경우 카무트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며, 9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카무트가 구토와 설사, 및 탈모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햄프씨드는 환각 성분을 제거한 대마 씨앗으로서, 아르기닌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고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아르기닌 성분은 몸에 해로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관 속 지방을 씻어내 각종 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러한 햄프씨드는 2중량부 미만일 경우 햄프씨드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햄프씨드가 복통이나 설사를 일으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효능을 부가하고, 약재와 곡물가루를 혼합하여 반죽할 때 반죽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뭉쳐줌으로써 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과일 추출물을 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과일 추출물을 첨가하는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약재와 곡물가루를 혼합하여 반죽할 때 수분이 부족하여 뭉쳐지지 않아 반죽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일 추출물의 과한 단맛으로 인해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약재와 곡물가루 혼합하여 반죽할 때 가루종류 대비 수분의 양이 많아짐으로 인해 진 형태의 반죽이 되어 환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과일 추출물은 포포 열매, 비파 열매 및 다래 열매 중 하나 이상의 과일을 추출물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 포포 열매 0.3 내지 0.8중량부, 비파 열매 0.1 내지 0.5중량부 및 다래 열매 1 내지 3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포 열매 0.5중량부, 비파 열매 0.2중량부 및 다래 열매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먼저, 포포 열매는 망고와 바나나, 파파야를 합쳐놓은 듯한 맛으로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 칼슘, 마그네슘, 구리, 망간, 인등의 강화 영양소는 물론 아세토제닌 외 50여가지 강력한 항암성분을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포포 열매가 0.3중량부 미만일 경우 포포 열매를 첨가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0.8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단맛이 너무 강해져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비파 열매는 비파의 열매로 비파(Eriobotrya japonica)는 장미목 장미과의 상록중교목으로 잎은 짙은 녹색에 얕은 톱니가 있고, 길이는 약 20cm, 나비 10cm로 짧은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비파 열매는 송이모양으로 달리며 원모양 또는 거꿀달걀꼴에 솜털로 덮여 있고 숙존꽃받침을 가지며 초여름에 노란색으로 익는다.
또한 비파 열매는 수분이 90.26%, 탄수화물 67.30%, 섬유소 2.15%, 환원당 71.31%, 펜토산 3.24%로 아미노산, 다당류, 지방당, 셀룰로오스, 펙틴, 칼륨, 비타민 B1, 비타민 C, 탄닌, 나트륨, 칼슘과 함께, 크립토산틴, 베타-케로틴 등의 색소 및 포도당, 과당, 사과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는 비파열매는 갈증을 해소하고 기를 밑으로 내리는 효능이 있어 위장, 폐, 간장에 좋으며, 폐병에 의한 회수, 토혈, 비혈, 조갈, 구토를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파 열매가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비파 열매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며, 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피부 트러블이 나타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래 열매는 맛이 달고 시면서 성질은 차다. 열매의 성분은 탄수화물, 아스코르브산, 단백질, 기름 당, 비타민C, 유기산, 색소, 탄닌질, 펙틴질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씨에도 기름, 단백질이 들어있다. 해열, 지갈, 통림의 효능이 있으며 가슴이 답답하면서 열이 많은 증상을 치료하고 소갈증을 제거시킨다. 급성 전염성 간염에도 효험이 있으며, 식욕부진 및 소화불량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다래 열매는 비타민과 유기산, 당분, 단백질, 인,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철분 및 카로틴 등이 풍부하여 항암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특히 위암을 예방하고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다래 열매가 1중량부 미만일 경우 다래 열매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며,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복통을 일으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당류는 단맛을 이용하여 환 복용 시 쓴맛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환 형태로 제조하는 데 있어서 당류의 높은 점도를 이용하여 과일 추출물과 함께 약재와 곡물가루가 서로 잘 뭉쳐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당류가 1중량부 미만일 경우, 당류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너무 달게 되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당류는 꿀, 조청, 아가베시럽, 스테비아 및 수카나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꿀 2 내지 5중량부, 조청 1 내지 3중량부, 아가베시럽 1 내지 3중량부, 스테비아 0.2 내지 0.5중량부 및 수카나트 0.3 내지 0.5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꿀 4중량부, 조청 2중량부, 아가베시럽 2중량부, 스테비아 0.3중량부 및 수카나트 0.4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도가 높은 꿀, 조청 및 아가베시럽과 점도가 낮은 스테비아와 수카나트를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환 제조를 위한 바람직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꿀은 꽃가루 특유의 비타민, 단백질, 미네랄, 방향성 물질, 아미노산 등의 이상적인 종합 영양 성분 이외에 효소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 살아있는 식품> 이라고 하며, 포도당과 과당에 의한 피로 회복 효과는 어떤 식품과도 비교할 수 없는 꿀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꿀은 포도당과 과당을 주성분으로 한 단당류(單糖類)이기 때문에 체내 장벽에 직접 흡수되어 영양제가 된다. 포도당과 과당은 장벽에서 흡수되면 글리코겐(glycogen)이 되어 간에 저장된다. 포도당은 주로 체내 근육 세포에서 연소하여 생명을 지속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발생한다. 사람이 필요한 무기물의 대부분을 꿀이 함유하고 있어 체내에 있어서 중요한 생리 작용을 원활하게 하고 골조직(骨組織)의 발육을 완전하게 해준다. 영양 회복, 심장 질환의 치료에 포도당 주사를 행하고 있는데, 이때 포도당을 다량 함유한 꿀을 내복하는 것은 다소 목적이 다르지만 영양 장애, 피로 회복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조청은 보리나 쌀에 들어있는 녹말을 맥아(엿기름)의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삭히고 건더기만 걸러 푹 졸인 것이다. 조청에는 당분 외에 약간의 섬유질과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갈색빛을 띤다. 조청에는 소화효소가 있기 때문에 위에 부담을 주지 않고 소화를 편안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으며, 좋은 당 성분으로 당이 몸 속에 흡수되면 두뇌회전에 필수적인 포도당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여 집중력이 높아지고 두뇌회전이 잘 되도록 한다.
아가베시럽은 100% 천연유기농 식품으로 일반 설탕보다 당도가 30% 높고 혈당지수는 일반설탕에 비에 1/3밖에 되지 않아 요리할 때 설탕 및 벌꿀의 대용으로 사용된다. 아가베시럽의 특징은, 과당뿐만 아니라 칼슘, 철분, 무기질이 등이 함유되어 있어 각종 요리뿐만이 아니라 커피, 홍차 등 각종 음료의 감미료 사용되고 있으며, 결장암의 발암물질을 배출하는 효능과, 무향으로 음식의 짠맛과 신맛을 보완해주고, 뭉치거나 응고되지 않아 상온이나 저온에서도 잘 용해된다.
스테비아는 주요한 감미성분으로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전초 무게 대비 6 내지 7%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스테비오사이드의 함유율은 개체에 따라 차이가 크다.
스테비오사이드는 감미도가 설탕의 250배이며, 비발암성 혹은 무칼로리의 당 대체 감미료로서 해산품, 피클 야채, 디저트, 음료와 과자류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비만, 당뇨병, 심장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 환자 및 충치 환자들에게 저혈당 감미료로 각광받고 있다.
수카나트는, 사탕수수 즙을 이용해 만드는 것으로, 단맛의 강도는 설탕과 비슷하나 일반적인 백설탕과는 다르게 정제되지 않았기 때문에 영양분이 보다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일반적인 백설탕에 비해 상대적으로 찬물에서 잘 용해되며 순한맛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여성물 소화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여성용 소화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성에게 알맞은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저하된 소화기능을 강화하여 기능성 소화불량을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에 대하여 실시예, 비교예, 실험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실시되는 실험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험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악재(산사자 15중량부, 맥아 15중량부, 석창포 15중량부, 계내금 15중량부, 나복자 15중량부, 곽향 15중량부, 울금 5중량부 및 몰약 5중량부)를 통상적으로 환을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여성용 소화제를 환 형태로 제조한다.
[실시예 2]
악재 90중량부(산사자 15중량부, 맥아 15중량부, 석창포 15중량부, 계내금 15중량부, 나복자 15중량부, 곽향 15중량부, 울금 5중량부 및 몰약 5중량부) 및 고형제 7중량부(곡물가루 50중량부, 과일추출물 6중량부 및 당류 2중량부)를 혼합하고, 통상적으로 환을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여성용 소화제를 환 형태로 제조한다.
이때, 곡물가루는 밀 22중량부, 쑥 12중량부, 메밀 6중량부, 카무트 8중량부 및 햄프씨드 3중량부를 포함하고, 과일추출물은 포포 열매 0.5중량부, 비파 열매 0.2중량부 및 다래 열매 1.5중량부를 포함하며, 당류는 꿀 4중량부, 조청 2중량부, 아가베시럽 2중량부, 스테비아 0.3중량부 및 수카나트 0.4중량부를 포함한다.
[비교예 1]
약재 90중량부 및 고형제 30중량부를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환 형태의 여성용 소화제를 제조한다.
[비교예 2]
고형제(곡물가루 70중량부, 과일추출물 6중량부 및 당류 2중량부)를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환 형태의 여성용 소화제를 제조한다.
[비교예 3]
고형제(곡물가루 50중량부, 과일추출물 6중량부 및 당류 10중량부)를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환 형태의 여성용 소화제를 제조한다.
[실험예 1] 소화불량 개선 효과
실시예 1로 제조된 여성용 소화제를 복용하여, 소화 불량으로 불편함을 겪는 20~5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소화기능 개선 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표본 집단인 상기 20명은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환 형태의 소화제를 일주일 동안 1일 2회씩 식후에 복용한 후, 소화불량 증상의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20명은 기존에 소화제를 복용하고 있던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들로 기존에 복용하던 소화제와 실시예 1로 제조된 여성용 소화제를 비교하여 평가한 내용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5점을 기준으로 매우 나쁨(1점), 조금 나쁨(2점), 보통(3점), 조금 좋음(4점), 매우 좋음(5점)으로 점수를 매기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실시예 1 매우 나쁨 조금 나쁨 보통 조금 좋음 매우 좋음
치료 효과 0 1 2 11 6
기존 소화제 대비 치료 효과 0 0 4 10 6
실험결과, 표 1과 같이 실시예 1의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을 복용한 표본 집단의 85%에서 소화 불량의 불편함이 개선되었고, 또한 80%에서 기존 소화제보다 실시예 1로 제조된 여성용 소화제의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관능평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2 내지 4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훈련된 전문 관능검사 요원(2년 이상 관능검사 경험을 지닌 50명[남자 25명, 여자 25명])중 미각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30명을 선발하여 제조된 면 간식을 시식하게 한 후 풍미, 면 거칠기, 맛, 식감 및 기호도로 나누어 정량적 묘사분석(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QDA)을 하였다. 관능검사는 5점 측정법(1:매우 나쁨, 2:나쁨, 3:보통, 4:좋음, 5:매우 좋음)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하나를 섭취하여 평가한 뒤 반드시 물로 입안을 헹군 후 다른 하나를 섭취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실시하였다.
형태 기호도
실시예1 4.2 4.2 4.3 4.5
실시예2 4.8 4.7 4.6 4.8
비교예1 2.7 3.5 4.1 2.9
비교예2 2.8 4.3 4.3 2.8
비교예3 4.5 2.9 4.0 2.7
상기 표 2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2는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경우 고형제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환 형태로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고, 실시예 2보다 과일추출물 및 당류의 비중도 높아짐에 따라 맛과 기호성도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경우 고형제에서 곡물가루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환 형태 제조하는 데 있어서 반죽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의 경우 고형제에서 당류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과한 단맛으로 인해 맛과 기호성도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약재를 포함하고,
    상기 약재는,
    산사자 10 내지 20중량부, 맥아 10 내지 20중량부, 석창포 10 내지 20중량부, 계내금 10 내지 20중량부, 나복자 10 내지 20중량부, 곽향 10 내지 20중량부, 울금 2 내지7중량부, 몰약 2 내지7중량부를 포함하는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고형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형제는,
    곡물가루, 과일추출물 및 당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가루는,
    통밀, 쑥, 메밀, 카무트 및 햄프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추출물은,
    포포 열매, 비파 열매 및 다래 열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추출물은,
    포포 열매 0.3 내지 0.8중량부, 비파 열매 0.1 내지 0.5중량부 및 다래 열매 1 내지 3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꿀, 조청, 아가베시럽, 스테비아 및 수카나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화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소화제.
KR1020210026955A 2021-02-26 2021-02-26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 KR10241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55A KR102414169B1 (ko) 2021-02-26 2021-02-26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55A KR102414169B1 (ko) 2021-02-26 2021-02-26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169B1 true KR102414169B1 (ko) 2022-06-27

Family

ID=8224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955A KR102414169B1 (ko) 2021-02-26 2021-02-26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1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563A (ko) * 2003-03-11 2003-04-14 김대곤 함초,석창포 를 주제로 한 건강식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563A (ko) * 2003-03-11 2003-04-14 김대곤 함초,석창포 를 주제로 한 건강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10051748A (ko) 우리 농산물을 이용한 과실맥주 그 제조방법.
KR101419463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JP6463504B2 (ja) 発毛促進、脱毛緩和及び改善、血糖調節、胃腸障害の症状緩和及び改善用健康補助食品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618A (ko) 한방 홍시 젤리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7410577A (zh) 一种能稳定降血压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110080817A (ko)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92787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0507B1 (ko) 흑삼 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삼 삼계탕
KR102414169B1 (ko) 여성용 소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여성용 소화제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EP1968401B1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53064B1 (ko) 식용 달팽이와 장어뼈와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조식품
KR20210142545A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CN108112927A (zh) 一种可食仙人掌火龙果复合营养果酱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52606A (ko) 은행과 도라지를 함유하는 죽염 김부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1647B1 (ko) 항비만 조성물
KR101872937B1 (ko)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15333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