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661B1 - 기울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팅기 - Google Patents
기울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2661B1 KR102412661B1 KR1020200088949A KR20200088949A KR102412661B1 KR 102412661 B1 KR102412661 B1 KR 102412661B1 KR 1020200088949 A KR1020200088949 A KR 1020200088949A KR 20200088949 A KR20200088949 A KR 20200088949A KR 102412661 B1 KR102412661 B1 KR 1024126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ting
- frame
- intermediate frame
- cutting machine
- insertion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10705 motor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05—Devices for the automatic drive or the program control of the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aw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커팅기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가 나아가는 방향을 전방,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커팅 프레임; 상기 커팅 프레임의 전방 끝에 커팅축이 위치하고 상기 커팅축에 끼워지는 커팅날; 상기 커팅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팅 프레임을 지지하는 중간 프레임; 및 상기 중간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양 측면이 트랙부와 각각 연결된 트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프레임의 전방 끝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후방 끝 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 프레임은 제1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상기 커팅 프레임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위에 위치하면서, 후방 끝을 고정하고 상기 커팅날이 부착된 전방 끝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팅기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가 나아가는 방향을 전방,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커팅 프레임; 상기 커팅 프레임의 전방 끝에 커팅축이 위치하고 상기 커팅축에 끼워지는 커팅날; 상기 커팅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팅 프레임을 지지하는 중간 프레임; 및 상기 중간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양 측면이 트랙부와 각각 연결된 트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프레임의 전방 끝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후방 끝 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 프레임은 제1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상기 커팅 프레임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위에 위치하면서, 후방 끝을 고정하고 상기 커팅날이 부착된 전방 끝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등을 자르는 커팅기 등에는 엔진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때, 엔진에는 오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엔진 오일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엔진에 에러가 생길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작업자로서는 엔진 오일부에 오일이 충분한지, 엔진에 오일이 제대로 공급되고 있는지 등을 체크해야 한다.
커팅을 수행할 때의 커팅기는 커팅날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이동시키므로, 작동 원리 특성상 커팅날과 연결된 프레임이 기울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프레임에 부착된 엔진 및 엔진오일부도 경사진 각도를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엔진오일부에 포함된 오일이 엔진에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엔진이 고장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기울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팅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끝이 상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엔진에 오일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평한 바닥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끝을 적게 회전시킨 경우에도 커팅이 제대로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날의 방향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커팅기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가 나아가는 방향을 전방,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커팅 프레임; 상기 커팅 프레임의 전방 끝에 커팅축이 위치하고 상기 커팅축에 끼워지는 커팅날; 상기 커팅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팅 프레임을 지지하는 중간 프레임; 및 상기 중간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양 측면이 트랙부와 각각 연결된 트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프레임의 전방 끝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후방 끝 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 프레임은 제1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상기 커팅 프레임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위에 위치하면서, 후방 끝을 고정하고 상기 커팅날이 부착된 전방 끝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끝이 상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엔진에 오일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평한 바닥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끝을 적게 회전시킨 경우에도 커팅이 제대로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날의 방향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팅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팅기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팅기에 설치된 유압 모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랙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발생기를 이용하여 커팅기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절 상판의 방향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엔진부 및 엔진오일부가 포함된 커팅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발생기의 신호가 커팅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팅기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팅기에 설치된 유압 모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랙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발생기를 이용하여 커팅기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절 상판의 방향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엔진부 및 엔진오일부가 포함된 커팅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발생기의 신호가 커팅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팅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커팅기는 콘크리트, 철근 등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바닥, 벽면 등을 커팅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커팅기는 구조적인 특성상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한 컨트롤이 가능하다.
커팅기의 외관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체부(400), 트랙부(110) 및 커팅날(3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팅날(310)은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커팅기는 트랙부(110)를 통해 이동하고 상기 커팅날(310)을 위아래로 움직여 콘크리트 등을 커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팅기의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커팅기가 나아가는 방향을 전방,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상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팅기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커팅기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커팅 프레임(300), 중간 프레임(200) 및 트랙 프레임(100)을 포함하고, 이들을 메인 뼈대로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커팅기는 커팅 프레임(300)의 전방 끝에 커팅축(311)을 위치시키고, 상기 커팅축(311)에 커팅날(310)을 끼울 수 있다. 상기 커팅축(311) 양측면에 상기 커팅날(310)을 끼울 수도 있으나, 일측(좌측 또는 우측)에만 상기 커팅날(310)을 끼울 수도 있다. 상기 커팅날(310)은 회전가능하며 톱니 바퀴 형태 또는 원 형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팅 프레임(300)의 아래에는 중간 프레임(200)이 위치하며, 상기 중간 프레임(200)은 커팅 프레임(300)을 지지할 수 있다. 중간 프레임(200)은 도 2에서와 같이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중간 프레임(200)의 아래에는 트랙 프레임(100)이 위치하며, 상기 트랙 프레임(100)의 양 측면은 트랙부(11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랙 프레임(100)은 프레임 구조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결국 커팅 프레임(300) 보다도 아래에 위치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팅기에 설치된 유압 모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유압 모터와 동력 바퀴가 직접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3(b)는 유압 모터와 동력 바퀴 사이에 수직 형태의 감속기가 존재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트랙부(110)는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며, 이중 동력 바퀴(112)가 유압 모터(120)에 의해 추진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바퀴(112)의 지름이 약 15cm인 상태에서, 유압 모터(120)가 한 바퀴를 돌 때 상기 동력 바퀴(112)도 한 바퀴를 돌게 되고, 이 경우 커팅기는 약 50cm(3.14 x 15)를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커팅기는 철근 또는 콘크리트를 커팅하므로 매우 천천히 이동해야 하며, 대략적으로 1분에 20cm 이상을 움직여서는 안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위와 같이 유압 모터(120)와 동력 바퀴(112)가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커팅기의 정확도 및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실제 유압 모터(120)는 1분당 최소 15 내지 20바퀴를 돌아야 의미가 있는 동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도 3(a)와 같이 유압 모터와 동력 바퀴가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유압 모터(120)와 동력 바퀴(112) 사이를 감속기(130)가 연결하게 되었고, 이에 대해서는 도 3(b)와 함께 서술하도록 하겠다.
트랙 프레임(100)의 양 측면에 연결된 2개의 트랙부(110)가 각각 동력 바퀴(112)를 포함하고, 각각에 포함된 상기 동력 바퀴(112)를 제1 동력 바퀴(좌측) 및 제2 동력 바퀴(우측)라고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동력 바퀴와 연결된 감속기를 제1 감속기, 제2 동력 바퀴와 연결된 감속기를 제2 감속기라고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속기는 2개의 폴이 90도로 꺾인 수직 형태를 이루며, 제1 감속기에 포함된 폴인 제1-1 폴 및 제1-2 폴이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고, 제2 감속기에 포함된 폴인 제2-1 폴 및 제2-2 폴이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다.
이때, 제1 감속기의 제1-1 폴은 제1 동력 바퀴와 연결되고, 제1-2 폴은 제1 유압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감속기의 제2-1 폴은 제2 동력 바퀴와 연결되고, 제2-2 폴은 제2 유압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결국,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커팅기의 좌측에 1개의 제1 동력 바퀴, 1개의 제1 감속기, 1개의 제1 유압 모터가 존재하고, 커팅기의 우측에 1개의 제2 동력 바퀴, 1개의 제2 감속기, 1개의 제2 유압 모터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1-2 폴과 제2-2 폴은 서로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2개의 유압 모터(120)가 커팅기의 본체부(400)에 포함된 상태로 상기 동력 바퀴(112)와 연결되기 위함이다. 도 3(b)와 같이, 유압 모터(120)는 본체부(400)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로 동력 바퀴(112)와 90도 각도 형태의 감속기(130)로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감속기(130)가 수직 각도를 이루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유압 모터(120)를 포함하는 본체부(400)의 폭이 좁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커팅기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감속기(130)가 일자형인 경우 상기 본체부(400)의 폭은 그만큼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트랙부(110)의 구조와 관련해서 도 4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랙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트랙부(110)는 복수의 보조 바퀴(113), 톱니바퀴 형태의 동력 바퀴(112) 및 바퀴들을 둘러감싸는 레일(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 바퀴(112)는 대개 트랙부(110)의 후방에 위치하며, 톱니바퀴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동력 바퀴(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 모터(120), 감속기(130) 등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커팅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톱니 바퀴 형태의 동력 바퀴(112)의 둘레에 존재하는 복수의 돌출구들을 톱니 돌기, 들어간 부분을 톱니 홈이라고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동력 바퀴(112)는 유압 모터(120)로부터 힘을 받아 회전하며, 레일(111)을 회전시켜 커팅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111)의 내부에는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홈(1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홈 각각은 상기 동력 바퀴(112)의 톱니 돌기와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바퀴(112)가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톱니 돌기들이 상기 복수의 홈(114)에 하나씩 삽입되면서 레일(111)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보조 바퀴(113)는 둥근 원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보조 바퀴(113)는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레일(111) 내부에 상기 복수 개의 보조 바퀴(113)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도 4(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복수의 보조 바퀴(113)의 외면을 보호하는 바퀴 보호부(116)가 트랙부(110)의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를 살펴보면, 복수의 돌기부(115)가 복수의 홈(114)과 마찬가지로 레일(111)의 내부에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115)는 레일(1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형태는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부(115)는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동력 바퀴(112)와 보조 바퀴(113)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실제로 레일(111)이 회전할 때, 보조 바퀴(113)의 기둥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보조 바퀴(113)의 기둥 부분에는 별도의 홈이 존재하고, 상기 별도의 홈에 복수의 돌기부(115)가 하나씩 삽입될 수도 있다. 참고로, 레일(111)의 내측면에는 홈(114) 및 돌기부(115)가 존재하는데, 커팅기를 기초로 내측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홈(114)들이 일렬로 나열되어 있고,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돌기부(115)들이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한편, 커팅기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에서는 커팅 프레임(300)의 상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에서 커팅 프레임(300)의 상측 이동 명령 버튼이 입력된 경우, 커팅날(310)을 포함하는 커팅 프레임(300)의 전방 끝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팅 프레임(300)의 전방 끝 부분만이 상측으로 움직이고, 상기 커팅 프레임(300)의 후방 끝 부분은 커팅기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즉, 전방 끝 부분만이 위아래로 움직이고, 커팅날(310) 역시 위아래로 함께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아래에서는 커팅기의 프레임 구조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2에서와 같이, 커팅기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커팅 프레임(300), 중간 프레임(200) 및 트랙 프레임(1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 프레임(200)의 경우 전방 끝이 후방 끝 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중간 프레임(200)은 제1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긴 폴대(101)가 상기 중간 프레임(200)의 후방 끝을 지지하고, 짧은 폴대(102)가 중간 프레임(200)의 전방 끝을 지지하여, 중간 프레임(200)은 전방 끝이 아래쪽으로 기울 수 있다. 참고로, 수평 상태의 바닥을 기초로 상기 중간 프레임(200)의 아래 방향 경사 각도가 제1 소정 각도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팅 프레임(300)의 후방 끝과 중간 프레임(200)의 후방 끝 사이에는 방향조절부(210)가 존재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방향조절부(210)는 조절상판(211) 및 조절하판(212)을 포함하며, 후술할 바와 같이 커팅축(31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커팅 프레임(300)은 상기 방향조절부(210)의 자체 높이에 의해 수평 상태의 바닥을 기초로 상기 커팅 프레임(300)의 아래 방향 경사 각도가 제2 소정 각도에 해당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 소정 각도는 제1 소정 각도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커팅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도 5(b)는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커팅 프레임 및 방향조절부 구조를 옆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며, 도 5(c)는 다른 실시예에 해당하는 커팅 프레임 및 방향조절부 구조를 옆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방향조절부(210)는 조절상판(211) 및 조절하판(212)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상판(211) 및 상기 조절하판(212)의 양측면에는 각각 고정 볼트(214)가 삽입되어 있으며, 가운데에는 센터 볼트(213)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센터 볼트(213)는 중간 프레임(200)에도 삽입되어 함께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절하판(212)은 중간 프레임(200)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고, 조절상판(211)은 커팅 프레임(300)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커팅 프레임(300)의 후방 끝 양쪽에는 관절부(301)가 존재하고, 상기 관절부(301)는 커팅 프레임(300)의 위아래 회전 움직임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팅 프레임(300)의 끝은 관절부(301)를 중심으로 위아래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 볼트(214)가 삽입되는 조절상판(211)의 삽입 홀(215)은 길이 방향(전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 고정 볼트(214)가 삽입되는 조절하판(212)의 삽입 홀(미도시)은 상기 고정 볼트(214)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고정 볼트(214)가 고정된 상태에서 조절하판(212) 역시 고정되나, 조절상판(211)은 고정 볼트(214)를 중심으로 삽입 홀(215)이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조절상판(211)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조절상판(211)의 방향 조절과 관련해서는 도 6과 함께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5(b)를 살펴보면, 방향조절부(210)의 후방에 조절 나사(217) 및 조절대(216)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조절 나사(217)는 조절대(216)를 관통하는 위치에 존재하면서 끝부분이 조절상판(211)과 접촉할 수 있다. 즉, 방향조절부(210)의 양측 후방에서 2개의 조절 나사(217)가 존재하고, 상기 2개의 조절 나사(217) 각각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조절상판(21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조절 나사(217)가 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하여 조절상판(211)에 접촉하는 경우 조절상판(211)의 우측면은 상기 오른쪽 조절 나사(217)로 인하여 후방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것이다.
도 5(c)는 다른 실시예의 조절 나사(217)를 나타내며, 상기 조절 나사(217)는 조절상판(211)에 연장된 부분을 관통하고 있다. 즉, 도 5(c)에서 볼 수 있듯이, 조절상판(211) 및 조절하판(212)의 후방 끝 부분은 모두 수직으로 꺾여져 있고, 조절상판(211)을 관통하는 조절 나사(217)의 끝은 조절하판(212)의 후방 끝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조절 나사(217)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조절상판(21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조절 나사(217)가 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하여 조절하판(212)의 후방 끝 부분과 접촉하는 경우 조절상판(211)의 우측면은 전방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것이다.
도 5(c)의 실시예의 경우, 조절나사(217)를 아래측에 위치시킴으로서 보다 공간 활용측면에서 유리하다. 이는 커팅 프레임(300) 등이 위치하는 상측에는 보다 많은 부속품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 나사(217)가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복잡한 구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절 상판의 방향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커팅기의 조절상판(211)의 좌우측면에는 각각 삽입 홀(215)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조절상판(211)의 좌측면에 위치하는 삽입 홀(215)을 제1 삽입 홀, 우측면에 위치하는 삽입 홀(215)을 제2 삽입 홀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도 6(a)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삽입 홀이 후방으로 움직이고, 제2 삽입 홀이 전방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커팅축(31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6(b)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삽입 홀이 전방으로 움직이고, 제2 삽입 홀이 후방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커팅축(31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조절상판(211)의 양측 삽입 홀(214)의 움직임을 서로 반대로 함으로써 커팅축(31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센터 볼트(213)가 상기 조절상판(211)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양쪽의 삽입 홀(214)이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움직일 수는 없을 것이다.
고정 볼트(214)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삽입 홀(214)이 상기 고정 볼트(214)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조절상판(211)이 회전함에 따라 삽입 홀(214)은 실제로 단순히 직선운동을 하는 것은 아니고, 측면(대각선 방향)으로 약간 움직일 수도 있다. 실제, 삽입 홀(214)의 이동 길이(약, 1cm이하)는 매우 적을 것이며, 상기 커팅축(311)의 회전 각도 역시 소정 각도보다 작은 크기에 해당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엔진부 및 엔진오일부가 포함된 커팅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팅기에 포함된 중간 프레임(200)은 전방으로 경사 각도(제1 소정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중간 프레임(200) 및 방향조절부(210)의 위에 위치하는 커팅 프레임(300)은 전방으로 더 큰 경사 각도(제2 소정 각도)를 이루고 있다.
상기 경사진 커팅 프레임(300)의 위에는 지지대(321)에 의해 지지되는 엔진부(3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부(320)의 아래 공간 중 후방 측에는 엔진오일부(330)가 상기 엔진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엔진오일부(330)에는 오일이 포함되어 있으며, 엔진부(320)에서는 호스(미도시)를 통해 오일을 공급받는데, 상기 오일을 공급받지 못하면 장비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로 엔진부(320) 및 엔진오일부(330)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7(a)는 중간 프레임(200) 등이 수평 상태인 커팅기를 나타내며, 도 7(b)는 중간 프레임(200) 등이 경사 각도를 유지하는 상태인 커팅기(본 발명)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커팅 프레임(300)이 동일한 높이만큼 위로 이동하더라도, 도 7(a)에서는 커팅 프레임(300)이 바닥(평평 상태를 가정)과 α각도를 이루며, 도 7(b)에서는 커팅 프레임(300)이 바닥과 β각도를 이루고 있다. 참고로, 상기 α는 상기 β보다 큰 값을 가질 것이다.
이에 따라 커팅 프레임(3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엔진부(320) 및 엔진오일부(330)가 바닥과 이루는 각도 역시 상이할 것이며, 상기 엔진오일부(330)에 포함된 오일은 엔진오일부(330)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할 것이다.
동일한 오일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엔진오일부(330) 내에서 존재하는 오일의 위치는 도 7(a)와 도 7(b)가 서로 다를 것이다. 구체적으로, 커팅 프레임(300)의 각도(α)가 큰 도 7(a)에서는 엔진부(320)와 엔진오일부(330) 내 오일의 거리(a)가 길어, 호스를 통해 엔진부(320)에 오일이 공급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즉, 엔진부(320)의 고장 발생확률이 높을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커팅 프레임(300)의 각도(β)가 작은 도 7(b)에서는 엔진부(320)와 엔진오일부(330) 내 오일의 거리(b)가 짧아, 호스를 통해 엔진부(320)에 오일이 공급되기가 더 용이할 수 있다. 즉, 엔진부(320)의 고장 발생확률이 낮아 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엔진오일부(330) 내 오일의 양이 충분하다면, 엔진부(320)에 오일 공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낮으므로 엔진부(320)의 고장 확률 역시 낮다. 다만, 오일의 양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중간 프레임(200) 및 커팅 프레임(300)이 경사 각도를 이루는 경우(도 7(b))가 평행 상태를 이루는 경우(도 7(a)) 보다 커팅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커팅 프레임(300)을 바닥으로부터 동일 길이만큼 위측으로 올리더라도, 도 7(b)의 커팅기가 고장될 확률이 낮은 것이다.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엔진오일부(330) 내 측정 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오일이 소정 높이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커팅 프레임(300)의 위측으로의 회전 이동을 금지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높이는 엔진부(320)의 호스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발생기의 신호가 커팅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커팅기의 전방에 신호 발생기(500)가 위치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전방이 아닌 다른 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신호 발생기(500)는 막대 형태, 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폴대 등의 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커팅기의 상단에 존재하는 신호감지 센서(410)는 신호 발생기(500)에 의해 발생하는 소정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소정 신호가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커팅기의 이동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신호감지 센서(410)가 신호 발생기(500)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센싱하고, 이를 제어부(미도시) 등에 송신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신호가 발생하는 위치로 상기 커팅기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커팅기의 움직임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을 상기 커팅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감속기(130)가 상기 커팅기에 설치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커팅기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신호 발생기(500)에서 발생하는 소정 신호는 특정 구간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에 대응하고, 신호감지 센서(410)는 상기 특정 주파수를 센싱하여 소정 신호가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커팅기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간(100hz ~ 200hz)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에 대해서만 상기 신호감지 센서(410)가 센싱하고, 다른 주파수에 대해서는 신호감지 센서(410)가 고려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트랙 프레임
101: 긴 폴대
102: 짧은 폴대
110: 트랙부
111: 레일
112: 동력 바퀴
113: 보조 바퀴
114: 홈
115: 돌기부
116: 바퀴 보호부
200: 중간 프레임
210: 방향조절부
211: 조절상판
212: 조절하판
213: 센터 볼트
214: 고정 볼트
215: 삽입 홀
216: 조절대
217: 조절 나사
300: 커팅 프레임
301: 관절부
310: 커팅날
311: 커팅축
400: 본체부
410: 신호감지 센서
500: 신호 발생기
101: 긴 폴대
102: 짧은 폴대
110: 트랙부
111: 레일
112: 동력 바퀴
113: 보조 바퀴
114: 홈
115: 돌기부
116: 바퀴 보호부
200: 중간 프레임
210: 방향조절부
211: 조절상판
212: 조절하판
213: 센터 볼트
214: 고정 볼트
215: 삽입 홀
216: 조절대
217: 조절 나사
300: 커팅 프레임
301: 관절부
310: 커팅날
311: 커팅축
400: 본체부
410: 신호감지 센서
500: 신호 발생기
Claims (6)
- 커팅 프레임;
커팅기가 나아가는 방향을 전방,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커팅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한 커팅축 및 상기 커팅축에 끼워지는 커팅날;
상기 커팅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팅 프레임을 지지하는 중간 프레임; 및
상기 커팅 프레임의 후방 및 상기 중간 프레임 후방 사이에서 연결되어 상기 커팅축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구비는 방향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 프레임의 전방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후방 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 프레임은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방향조절부는 조절상판 및 조절하판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상판은 상기 커팅 프레임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조절하판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조절부의 양측면에는 각각 고정 체결부가 삽입 고정되어 있고, 상기 조절상판 및 상기 조절하판의 내부에는 센터 체결부가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 고정 체결부가 삽입되는 상기 조절상판의 각 삽입 홀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각 고정 체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조절상판의 각 삽입 홀이 전후방으로 움직여 상기 조절상판의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프레임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위에 위치하되 상기 커팅프레임의 후방은 고정되어 있고 상키 커팅날이 부착된 전방을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커팅기의 일 측면에 구비된 제 1 트랙부 및 상기 커팅기의 타 측면에 구비된 제 2 트랙부; 및
상기 중간 프레임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양 측면이 상기 제 1 및 제 2 트랙부와 각각 연결된 트랙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조절상판의 각 삽입 홀 중 상기 조절상판의 좌측면에 위치하는 제 1 삽입 홀이 전방으로 움직이고 상기 조절상판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제 2 삽입 홀이 후방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커팅축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 1 삽입 홀이 후방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 2 삽입 홀이 전방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커팅축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후방 양측에 각각 조절 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조절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조절상판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프레임 위에 구비된 엔진부 및 엔진오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팅 프레임의 전방 끝이 후방 끝보다 더 높게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엔진부의 아래 공간 중 후방 측에 상기 엔진오일부가 상기 엔진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8949A KR102412661B1 (ko) | 2020-07-17 | 2020-07-17 | 기울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팅기 |
US18/016,401 US20240300144A1 (en) | 2020-07-17 | 2021-07-14 | Cutting Machine Capable of Fine Adjustment, Comprising Slanted Frame |
PCT/KR2021/009008 WO2022015036A1 (ko) | 2020-07-17 | 2021-07-14 | 기울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세조절이 가능한 커팅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8949A KR102412661B1 (ko) | 2020-07-17 | 2020-07-17 | 기울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팅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0268A KR20220010268A (ko) | 2022-01-25 |
KR102412661B1 true KR102412661B1 (ko) | 2022-06-23 |
Family
ID=7955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8949A KR102412661B1 (ko) | 2020-07-17 | 2020-07-17 | 기울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팅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300144A1 (ko) |
KR (1) | KR102412661B1 (ko) |
WO (1) | WO2022015036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30915B2 (ja) * | 2003-04-24 | 2008-01-09 | 株式会社本宏製作所 | 路面切断装置 |
KR100938760B1 (ko) * | 2009-07-08 | 2010-01-26 | 한국도로공사 | 유압시스템을 이용한 도로홈 절삭장치 |
KR200452866Y1 (ko) * | 2010-07-19 | 2011-03-25 | (주)하나메탈 | 자동 틸드수단을 갖는 도로커터기 |
KR20180104892A (ko) * | 2017-03-14 | 2018-09-27 | 이성준 | 유압식 도로절단장치 |
KR101877962B1 (ko) * | 2017-03-15 | 2018-07-12 | 전일기계공업 주식회사 | 콘크리트 커팅장치 |
-
2020
- 2020-07-17 KR KR1020200088949A patent/KR1024126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7-14 WO PCT/KR2021/009008 patent/WO202201503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7-14 US US18/016,401 patent/US20240300144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0268A (ko) | 2022-01-25 |
WO2022015036A1 (ko) | 2022-01-20 |
US20240300144A1 (en) | 2024-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762712T3 (es) | Método y sistema para un dispositivo de elevación que tiene ruedas independientemente dirigibles | |
KR20180134644A (ko) | 주행 모드 변경이 가능한 소형 모빌리티 | |
KR102412661B1 (ko) | 기울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팅기 | |
KR102520884B1 (ko) | 로봇 다이아몬드 쏘우 | |
JP5105528B2 (ja) | 車 | |
KR102412660B1 (ko) | 감속기를 포함하는 커팅기 | |
KR101221370B1 (ko) | 파이프 절단장치 | |
JP2009286323A (ja) | 倒立振子型移動体及び教育教材 | |
KR20170030792A (ko) | 와이어 커팅장치 | |
JP6619679B2 (ja) | 自走式作業用ロボット | |
JP3913761B2 (ja) | 舗装道路における音溝形成装置 | |
KR100666602B1 (ko) | 토치봉의 각도 조절장치 | |
KR102351727B1 (ko) | 벽체를 절단하기 위한 지능형 커팅기 | |
KR102410384B1 (ko) | 소형 와이어 쏘우 장치 | |
JPH06343334A (ja) | 自走作業車 | |
JP5158673B2 (ja) | ガス切断装置 | |
JP5154689B2 (ja) | 平行二輪機構を備えた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の走行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 |
KR20160003128U (ko) |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 | |
JP2004130437A (ja) | 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装置 | |
JP5480752B2 (ja) | 切削機械および切削方法 | |
WO2023148855A1 (ja) | ステアリング装置 | |
JP6662672B2 (ja) | 高所作業車の速度検出装置 | |
JP2006182060A (ja) |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 |
WO2023080114A1 (ja) | 作業機械 | |
KR200399904Y1 (ko) | 토치봉의 각도 조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