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370B1 - 파이프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370B1
KR101221370B1 KR1020100137727A KR20100137727A KR101221370B1 KR 101221370 B1 KR101221370 B1 KR 101221370B1 KR 1020100137727 A KR1020100137727 A KR 1020100137727A KR 20100137727 A KR20100137727 A KR 20100137727A KR 101221370 B1 KR101221370 B1 KR 101221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pe
cutting
cu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431A (ko
Inventor
임철영
임일호
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씨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씨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씨엠씨
Priority to KR102010013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3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23D21/02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otherwise tha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tube, e.g. for making mitred cuts, for making bicyc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23D21/04Tube-severing machines with rotating tool-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일반 파이프는 물론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수직으로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원하는 각도로 보다 용이하게 경사지게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절단장치{PIPE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반 파이프는 물론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수직으로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원하는 각도로 보다 용이하게 경사지게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는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사용목적에 따라 롤링벤딩장치에 의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다.
한편, 롤링벤딩장치에 의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대게 톱날 등의 절단기구를 사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를 절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절단기구로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를 간편하게 절단하기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자동으로 절단하는 파이프용 절단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용 절단장치는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수직으로만 절단할 뿐 필요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일반 파이프는 물론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수직으로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원하는 각도로 보다 용이하게 경사지게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는 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에 수직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상하이동 및 좌우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부재;로 구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일측 절단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타측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1구동부재와; 상기 절단부의 하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제 2구동부재와; 상기 제 1구동부재와 제 2구동부재를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 절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된 베이스판의 상부면에 수직형성되는 지지부에 상하이동 및 좌우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절단부재를 통해 일반 파이프는 물론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수직으로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음은 특히,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원하는 각도로 보다 용이하게 경사지게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측 절단부와 타측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단부를 통해 일반 파이프는 물론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수직으로 자동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파이프의 일측과 타측을 원하는 각도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경사지게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구동부재를 통해 상기 절단부와 함께 상기 베이스판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정역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구동부재를 통해 상기 절단부 또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좌우회전이동시켜 경사지게 기울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일측 절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파이프의 좌우길이에 따라 상기 일측 절단부와 상기 타측 절단부 사이의 좌우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파이프 절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절단부재가 좌우회전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6은 베이스판이 정역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7은 파이프가 절단된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파이프 절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파이프 절단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고정부(20) 및 절단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프레임(110)과; 상기 일측 프레임(110)의 타측에 구비되는 타측 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프레임(110)은 제 1프레임(111)과 제 2프레임(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프레임(111)은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프레임(112)은 상기 제 1프레임(11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프레임(1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프레임(112)은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프레임(111)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 및 상기 제 2프레임(112)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에는 상기 제 1프레임(111)과 상기 제 2프레임(112)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113)가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프레임(110)의 제 1프레임(111)의 일측 상부와 상기 제 2프레임(112)의 일측 상부 사이는 상기 절단부(30)가 구비되는 지지판(114)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프레임(10)의 제 1프레임(111)의 타측과 상기 제 2프레임(112)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지지판(114)보다 낮은 높이로 고정판(115)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15)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고정판(115)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고정홈(116)은 상기 고정판(115)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복수의 상기 고정홈(116)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수직가이드공간(116a)과; 상기 수직가이드공간(116a)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공간(116a)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평확장공간(116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프레임(120)은 제 3프레임(121)과 제 4프레임(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프레임(121)은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프레임(122)은 상기 제 3프레임(12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3프레임(121)의 타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4프레임(122)은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프레임(121)의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 및 상기 제 4프레임(122)의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는 상기 제 3프레임(121)과 상기 제 4프레임(122)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123)가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프레임(120)의 제 3프레임(121)의 상부와 상기 제 4프레임(122)의 상부 사이에는 지지판(124)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판(115)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5)를 위치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고정판(115)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는 파이프(5)의 형상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후이동판(210), 전후이동판고정부재(220) 및 파이프고정부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210)은 복수의 상기 고정홈(116)의 수직가이드공간(116a)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115)의 상부면에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210)은 작업자에 의해 복수의 상기 고정홈(116)의 수직가이드공간(116a)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고정부재(220)는 고정볼트(221)와 너트(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221)의 하측은 상기 전후이동판(210)의 전후측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수직가이드공간(116a)과 수평확장공간(116b)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너트(222)는 상기 고정볼트(221)의 하단부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평확장공간(116b)내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고정볼트(22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너트(222)는 상기 수직가이드공간(116a)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수평확장공간(116b)의 내주면 상측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에 의해 전후이동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20)가 위치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고정볼트(22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너트(222)는 상기 수평확장공간(116b)의 내주면 하측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고정부(20)의 위치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이프고정부재(230)는 지지몸체(231), 회전부재(232) 및 고정볼트(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232)는 상기 전후이동판(210)의 상부면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232)의 상부면에는 작업자에 의해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5)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32)는 작업자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축(232a)과 회전판(2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2)은 상기 지지몸체(232)의 상부 전측에 수직으로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232b)의 전단부 하부면은 상기 회전축(232a)의 상부면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접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232b)은 상기 회전축(232a)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233)는 상기 회전판(232b)의 후단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고정볼트(233)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고정볼트(233)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232)의 상부면에 안착된 파이프(5)는 상기 회전축(232)과 상기 고정볼트(2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특히, 상기 회전판(232b)의 후단부 하부방향으로 하강한 상태인 상기 고정볼트(233)를 통해 상기 지지몸체(232)의 상부면에 안착된 파이프(5)가 상기 지지몸체(232)의 외부로 이탈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절단부(30)는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310), 지지부(320) 및 절단부재(330)로 구성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310)의 전단부는 상기 프레임(10)의 지지판(114, 124)의 상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4, 124)의 중심부에는 상하측이 개방된 호형상의 가이드슬릿(도 2의 114a, 12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3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지지판(114, 124)의 가이드슬릿(114a, 124a)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14, 124)의 가이드슬릿(114a, 124a)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가이드축(310a)이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베이스판(310)의 후측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20)의 중심부에는 전후측이 개방된 호형상의 가이드슬릿(도 1의 32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재(330)는 상기 지지부(320)의 전측에 상하이동 및 좌우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부(20)에 고정된 파이프(5)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절단부재(330)는 좌우회전이동판(331), 상하이동판(332), 몸체(333), 절단날(334), 실린더(335) 및 구동부재(3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회전이동판(331)의 하단부는 축(도 1의 331a)에 의해 상기 지지부(320)의 하측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회전이동판(331)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부(320)의 가이드슬릿(320a)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가이드축(331a)이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회전이동판(331)의 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레일(331b)이 일체형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332)의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는 상기 좌우회전이동판(331)의 가이드레일(331b)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몸체(332a)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333)는 상기 상하이동판(332)의 전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판(332)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절단날(334)은 상기 몸체(333)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333)의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단날(334)은 상기 몸체(333)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파이프(5)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35)는 상기 좌우회전이동판(331)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35)의 하단부는 상기 상하이동판(332)의 상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35)의 상하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판(332)이 상기 좌우회전이동판(331)의 가이드레일(331b)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36)는 구동모터(336a)와 회전력전달부재(도 1의 33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36a)는 상기 몸체(333)의 상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절단부재(330)가 좌우회전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336b)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풀리(336b1), 제 2풀리(336b2) 및 제 1벨트(336b3)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전력전달부재(336b)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스프로켓, 제 2스크로켓 및 제 1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풀리(336b1) 또는 제 1스프로켓은 상기 구동모터(336a)의 구동축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풀리(336b2) 또는 제 2스프로켓은 상기 절단날(334)의 축(334a)의 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벨트(336b3)와 상기 제 1체인 중 상기 제 1벨트(336b3)는 상기 제 1풀리(336b1)의 외주연과 제 2풀리(336b2)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고, 상기 제 1체인은 상기 제 1스프로켓과 제 2스프로켓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절단날(334)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336b)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336a)의 정역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여 파이프(5)를 절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30)는 상기 베이스판(310), 지지부(320) 및 절단부재(330)로 구성되는 일측 절단부(31)와; 상기 베이스판(310), 지지부(320) 및 절단부재(330)로 구성되는 타측 절단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절단부(31)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프레임(110)의 제 1프레임(111)의 일측 상부와 상기 제 2프레임(112)의 일측 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판(11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절단부(33)는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프레임(120)의 제 3프레임(121)의 상부와 상기 제 4프레임(122)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판(12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절단부(31)와 타측 절단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절단부(30)를 통해 일반 파이프(5)는 물론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5)의 일측과 타측을 수직으로 자동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절단(도 7의 a) 참조.)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파이프(5)의 일측과 타측을 원하는 각도(도 7의 b)의 α 참조.)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경사지게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베이스판(310)이 정역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제 1구동부재(40), 제 2구동부재(50) 및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부재(40)는 상기 베이스판(310)의 전단부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지지판(114, 124)의 하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동부재(50)는 상기 절단부(30)의 좌우회전이동판(331)의 하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3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1구동부재(40)와 제 2구동부재(50)를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부재(4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410), 구동기어(420) 및 종동기어(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10)는 상기 지지판(114, 124)의 하측에 각각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420)는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축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판(114, 124)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430)는 상기 베이스판(310)의 전단부와 상기 지지판(114, 124)을 축결합시키는 축(431)의 하단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판(114, 124)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430)는 상기 구동기어(420)와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동부재(50)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510), 구동기어(520) 및 종동기어(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10)는 상기 지지부(320)의 후면 중심부에 각각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520)는 상기 구동모터(510)의 구동축과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530)는 상기 지지부(320)의 하측 중심부에 상기 좌우회전이동판(331)의 하단부를 축결합시키는 상기 축(331a)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530)는 상기 구동기어(520)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기어(5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은 각각 상기 제 1구동부재(40)의 구동모터(410)의 구동축의 정역회전수값과; 상기 제 2구동부재(50)의 구동모터(510)의 구동축의 정역회전수값;일 수 있다.
파이프(5)의 일측과 타측의 벤딩정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 즉, 상기 제 1구동부재(40)의 구동모터(410)의 구동축의 정역회전수값을 근거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30)와 함께 상기 베이스판(310)의 후단부가 제자리에서 정역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 즉, 상기 제 2구동부재(50)의 구동모터(510)의 구동축의 정역회전수값을 근거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30)가 좌우회전이동한 상태에서 파이프(5)의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하강하여 상기 파이프(5)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경사지게 절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5)의 일측과 타측의 절단각도(도 7의 b)의 α 참조.)는 상기 절단부(30)의 좌우회전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부재(40)를 통해 상기 절단부(30)와 함께 상기 베이스판(310)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정역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구동부재(50)를 통해 상기 절단부(30) 또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좌우회전이동시켜 경사지게 기울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절단부(31)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프레임(110)의 일측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프레임(110)의 제 1프레임(111)의 일측 상부와 상기 제 2프레임(112)의 일측 상부 사이에 수평구비된 상기 지지판(114)을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프레임(110)의 제 1프레임(111)의 상부면과 상기 제 2프레임(112)의 상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레일(117)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14)의 전측 하부면과 후측 하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7)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몸체(118)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6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610), 리드스크류(620) 및 좌우이동몸체(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10)는 상기 제 2프레임(112)의 후방에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620)는 상기 구동모터(610)의 구동축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2프레임(112)의 후방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630)는 상기 지지판(114)의 후면 중심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몸체(630)는 상기 리드스크류(6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610)가 상기 리드스크류(620)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몸체(630), 상기 지지판(114) 및 상기 일측 절단부(31)는 좌우이동한 상태로 위치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절단부(31)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파이프(5)의 좌우길이에 따라 상기 일측 절단부(31)와 상기 타측 절단부(33) 사이의 좌우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타측 절단부(33)는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프레임(120)의 상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프레임(120)의 제 3프레임(121)의 상부와 상기 제 4프레임(122)의 상부 사이에 수평구비된 상기 지지판(124)을 전후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 프레임(120)의 제 3프레임(121)의 상부면과 상기 제 4프레임(122)의 상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레일(12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24)의 일측 하부면과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5)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몸체(12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7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710), 리드스크류(720) 및 전후이동몸체(7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10)는 상기 제 4프레임(122)의 타측방향에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720)는 상기 구동모터(710)의 축동축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4프레임(122)의 타측 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몸체(730)는 상기 지지판(124)의 타측면 중심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몸체(730)는 상기 리드스크류(7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710)가 상기 리드스크류(720)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전후이동몸체(730), 상기 지지판(124) 및 상기 타측 절단부(33)는 전후이동한 상태로 위치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파이프(5)가 절단된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부면에 수직형성되는 상기 지지부(320)에 상하이동 및 좌우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기 절단부재(330)를 통해 일반 파이프(5)는 물론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벤딩된 파이프(5)의 일측과 타측을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음은 특히,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5)의 일측과 타측을 원하는 각도(α)로 보다 용이하게 경사지게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20; 고정부,
30; 절단부.

Claims (4)

  1.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5)를 고정하는 고정부(20)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베이스판(310)과,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부면에 수직형성되는 지지부(320)와, 상기 지지부(320)에 상하이동 및 좌우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부(20)에 고정된 파이프(5)를 절단하는 절단부재(330);로 구성되는 절단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310)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1구동부재(40)와;
    상기 절단부(30)의 하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320)에 구비되는 제 2구동부재(50)와;
    상기 제 1구동부재(40)와 제 2구동부재(50)를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일측 절단부(31)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타측 절단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절단부(31)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4. 삭제
KR1020100137727A 2010-12-29 2010-12-29 파이프 절단장치 KR101221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727A KR101221370B1 (ko) 2010-12-29 2010-12-29 파이프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727A KR101221370B1 (ko) 2010-12-29 2010-12-29 파이프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431A KR20120076431A (ko) 2012-07-09
KR101221370B1 true KR101221370B1 (ko) 2013-01-21

Family

ID=4671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727A KR101221370B1 (ko) 2010-12-29 2010-12-29 파이프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7765A (zh) * 2015-08-06 2015-11-18 李千林 一种钢管加工的切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6899B (zh) * 2014-06-30 2016-03-23 苏州鸿大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金属管切割机
CN106270738B (zh) * 2016-08-31 2018-07-10 泉州市泉港区龙格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管道切割机器人
CN108907855B (zh) * 2018-07-30 2020-10-30 江苏亚奥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割管机工装
CN109822150A (zh) * 2019-03-31 2019-05-31 肖俊 一种可调式钢管横向切割设备及切割方法
CN111545839B (zh) * 2020-05-19 2021-03-02 大连交通大学 一种方便固定的管材开槽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9683U (ko) * 1975-03-24 1976-09-28
JPS5436684A (en) * 1977-08-26 1979-03-17 Sadaji Nakashima Cutting machine
JPS6156814A (ja) * 1984-08-24 1986-03-22 Hanazono Kogu Kk パイプカツ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9683U (ko) * 1975-03-24 1976-09-28
JPS5436684A (en) * 1977-08-26 1979-03-17 Sadaji Nakashima Cutting machine
JPS6156814A (ja) * 1984-08-24 1986-03-22 Hanazono Kogu Kk パイプカツ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7765A (zh) * 2015-08-06 2015-11-18 李千林 一种钢管加工的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431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370B1 (ko) 파이프 절단장치
CA2642660C (en) Vertical spinner
JP3104959U (ja) ワイヤソー加工機
RU2664319C2 (ru) Торцовочная пила с цепной передачей
CN209920264U (zh) 一种切割混凝土的轨道旋转切割机
KR20150039498A (ko) 브릿지형 석재 절단 장치
JP6106445B2 (ja) 送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粉砕機
KR101722254B1 (ko) 와이어 커팅장치
KR101613369B1 (ko) 석재 곡면 절단 장치
KR102128328B1 (ko) 파이프 가공 캐리지
US6227775B1 (en) Internal gears and splines and mi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KR102520884B1 (ko) 로봇 다이아몬드 쏘우
KR20120000861U (ko) 목재패널 절단장치
CN111501573A (zh) 一种桥梁连续梁浇筑成型后加工设备
KR102172065B1 (ko) 석판 절단장치
KR100896400B1 (ko) 회전 작업 시스템
KR100894535B1 (ko) 터빈 로터의 더브테일 홀 가공장치
KR101604955B1 (ko) 생산성을 향상시킨 서까래 가공장치
JP3796509B2 (ja) 既設伸縮継手の切り取り撤去装置とその使用法
KR20140013281A (ko) 목조 건물용 목재 멀티 가공장치
KR101916703B1 (ko) 앵글 가공 장치
KR20210103881A (ko) 절단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석재 절단기
EP4046766A1 (en) Blade guard for circular saw blade
CN214770612U (zh) 角码切割装置
KR20120020535A (ko) 부품 홈 가공용 커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