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128U -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128U
KR20160003128U KR2020150007861U KR20150007861U KR20160003128U KR 20160003128 U KR20160003128 U KR 20160003128U KR 2020150007861 U KR2020150007861 U KR 2020150007861U KR 20150007861 U KR20150007861 U KR 20150007861U KR 20160003128 U KR20160003128 U KR 201600031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odule
traveling
worm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기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성토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성토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성토건
Publication of KR20160003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1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2Scaffold feet, e.g. with arrangements for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프레임 자재가 입체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체(10); 상기 프레임 구조체(10)의 하단부에 대각선으로 구비되는 주행전동모듈(100);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10) 상에서 상기 주행전동모듈(100)에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는 컨트롤러(2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전동모듈(100)은, 주행 바퀴(110)와, 상기 주행 바퀴(1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바퀴 구동 모듈 과, 상기 주행 바퀴의 운동 방향을 변환하게 하는 방향 전환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 구동 모듈은, 모터(210)와 상기 모터 축에 구비되는 웜(220)과 상기 웜에 접하면서 감속되어 회전하는 웜휠(230)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바퀴(110)는 회전축(111)이 상기 웜휠(230)과 연결되어 구동되며, 상기 컨트롤러(20)를 통해 상기 바퀴 구동 모듈 및 방향 전환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구조체(1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작업 지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비계 상에 탑승한 상태에서 비계 장치의 이동 궤적을 직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조향시에도 용이하게 직각조향이 가능하게 되어, 이동 중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하며, 비계장치 상면의 하중 위치에 관계없이 구동바퀴에 마찰력이 전달되어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Scaffold having electric powered driving module}
본 고안은 비계장치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컨트롤러를 통해 비계의 하단부에 결합된 전동주행모듈을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 작업 지점 변경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비계장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신축 작업 또는 유지보수 작업시 건축물의 높은 부분에서의 작업을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비계(scaffold)를 설치하는데, 비계 기둥에 띠장과 장선을 걸어 사용상 편리하고 견고하게 만들게 된다.
상기 비계는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서, 재료의 운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는데, 재료 면에서는 통나무 비계·파이프 비계, 용도 면에서는 외부 비계·내부 비계·수평 비계·달 비계·간이 비계·사다리 비계, 공법 면에서는 외줄 비계·겹 비계·쌍줄 비계 등으로 구분된다.
비계는 보통 수직 비계봉과 수평 비계봉 및 발판 등으로 구성된다.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저 수직 비계봉들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수직 비계봉들에 수평 비계봉들을 배치시켜 연결수단으로 서로 연결시킨 다음 수평 비계봉들에 발판들을 올려놓는 구조로 형성한다.
한편, 작업 장소에서 비계를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한 이후에 장소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들이 분해조립 등의 수작업을 통해 비계 모듈을 전체적으로 이동 배치하거나 비계의 하부에 결합된 바퀴를 이용하여 밀어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게 한다.
비계를 해체한 이후에 새롭게 조립하거나 비계 부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계 부재들을 모듈 상태로 운반하게 하는 조립체 기술을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1196046호(2012.10.24)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폭과 높이가 작은 비계 뭉치를 통해 비계의 이동성을 개선함으로서 운반성, 저장성 및 조립성을 개선한 뭉치형 비계 조립체 기술을 개시하지만, 비계의 발판 상에 작업자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작업 공간 내에서 바퀴를 굴려서 이동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별도로 개시하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종래기술로 미국공개특허공보 US03865203 및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5879호가 있다. 이를 보면, 비계에 설치되는 네개의 바퀴 중 어느 하나의 바퀴에만 구동력과 조향력을 부가하거나(미국공개특허), 비계의 바퀴가 아닌 별도의 구동바퀴를 전방 중앙에 배치하는 형태(한국 공개실용신안)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아래와 같이 '1)이동궤적의 문제 및 2)구동마찰력 문제'라는 두가지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1) 이동궤적의 문제:
종래기술은 비계 구동을 위해 구동바퀴를 좌우로 돌려서 바퀴를 구동하게 되는데 바퀴가 바닥을 이동하는 경로를 보면 곡선 반경을 그리게 되는데 이것은 복잡하고 장애물이 많은 공사현장에서 매우 불리하게 된다.
이것을 위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5879호를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장치(간단히 A라 칭함)의 간략도인데, 가운데 구동바퀴(a)가 있고 네 모서리에 종동바퀴(b)가 배치된다. 이 경우 종래기술의 비계장치(A)가 좌우로 조향하면서 이동하는 궤적을 보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곡선형의 커브를 그리게 된다. 이 경우 도 3a 및 도 3b와 같d은 문제가 발생한다.
작업현장에는 다양한 형태의 장애물들이 많은데, 특히 실내에서 천정 공사를 하는 경우 도 3a와 같이 사각형의 기둥들(x1 내지 x4)이 있거나, 도 3b와 같이 각종 장애물(x1~x4, 공사장비뭉치, 작업 소재 더미 등등)들이 공사현장 바닥에 무작위로 존재한다. 종래기술은 이런 장애물을 피해서 비계장치(A)가 이동하기가 매우 어렵다. 도 3a 내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곡선형 궤적을 그리면서 이들 장애물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장애물과 충돌하여 이동하지 못하게 되거나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2) 구동마찰력의 문제
종래기술의 경우 미국공개특허공보 US03865203 및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5879호 모두 구동력을 전달하는 바퀴가 특정위치에 하나만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바퀴(a)의 위쪽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W1)에는 구동바퀴에 마찰력이 전달되어 구동할 수 있으나, 구동바퀴의 반대쪽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W2)에는 구동바퀴에 마찰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바퀴가 헛돌게 되고 결과적으로 비계장치가 이동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비계의 발판 상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작업 지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다른 보조자에 의한 조력을 요함이 없이 상기 작업자가 컨트롤러를 통해 비계의 하단부에 결합된 전동주행모듈을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 작업 지점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비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며,
특히, 비계장치가 곡선 궤적이 아니라 직선형 궤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현장 바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며,
또한, 구동바퀴에 마찰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바퀴가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복수의 프레임 자재가 입체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체(10); 상기 프레임 구조체(10)의 하단부에 대각선으로 구비되는 주행전동모듈(100);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10) 상에서 상기 주행전동모듈(100)에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는 컨트롤러(2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전동모듈(100)은, 주행 바퀴(110)와, 상기 주행 바퀴(1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바퀴 구동 모듈 과, 상기 주행 바퀴의 운동 방향을 변환하게 하는 방향 전환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 구동 모듈은, 모터(210)와 상기 모터 축에 구비되는 웜(220)과 상기 웜에 접하면서 감속되어 회전하는 웜휠(230)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바퀴(110)는 회전축(111)이 상기 웜휠(230)과 연결되어 구동되며, 상기 컨트롤러(20)를 통해 상기 바퀴 구동 모듈 및 방향 전환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구조체(1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 전환 모듈(130)과 기어 결합되는 연결 구조체(140); 및 상기 방향 전환 모듈(130)과 상기 주행 바퀴(110) 상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바퀴 고정 브라켓(1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구조체(140)는 상기 바퀴 고정 브라켓(115)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구조체(140)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10) 및 상기 바퀴 고정 브라켓(115) 상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연결관(141), 상기 연결관(14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 기어(143)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모듈(130)은, 전환 모터(131) 및 상기 전환 모터(131)에서 동력을 공급받는 공전 기어(133)를 포함하며, 상기 공전 기어(133)은 상기 고정 기어(143)의 외접한 상태로 기어 결합된다.
상기 주행전동모듈(100)은, 프레임 구조체 하단부에 대각선으로 2개가 구비되고, 상기 대각선 방향의 두개의 주행바퀴(110)는 상기 컨트롤러(20)에 의해 동일한 각도로 조향될 수 있어서, 구조체 프레임은 동일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이동궤적이 직각을 그릴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는 비계의 발판 상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작업 지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작업자 내지 다른 보조자에 의한 조력을 요함이 없이 상기 작업자가 컨트롤러를 통해 비계의 하단부에 결합된 전동주행모듈을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 작업 지점 변경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작업 지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비계 상에 탑승한 상태에서 비계 장치의 이동 궤적을 직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조향시에도 용이하게 직각조향이 가능하게 되어, 이동 중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하며,
비계장치 상면의 하중 위치에 관계없이 구동바퀴에 마찰력이 전달되어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장치를 간략화한 개념도이며,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장치를 간략화한 평면 개념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장치의 이동괘적이며,
도 3a 및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장치의 이동시 문제점을 도시하며,
도 4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의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비계장치를 구성하는 전동주행모듈의 일 방향에 따른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비계장치의 전동주행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의 비계장치의 전동주행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6c는 도 6b에 구비되는 모터 및 웜기어의 단면도,
도 7는 전동주행모듈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전동주행모듈의 수직 프레임을 축으로 한 회전 구동을 보이는 도면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비계장치의 이동시 궤적을 도시하며,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비계장치가 장애물을 피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4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의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비계장치를 구성하는 전동주행모듈의 일 방향에 따른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비계장치의 전동주행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내지 단면도, 도 7는 전동주행모듈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전동주행모듈의 수직 프레임을 축으로 한 회전 구동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는 복수의 프레임 자재를 입체적으로 결합하여 작업 공간 내에서 소정의 체적을 점하게 하는 프레임 구조체(10), 프레임 구조체(10) 상에 작업자에 의해 사용 가능하게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컨트롤러(20), 프레임 구조체(10) 상에 고정 설치되는 배터리(30), 프레임 구조체(10)의 전복을 방지하게 결합되는 전복 방지대(40), 프레임 구조체(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보조 바퀴(50) 및 프레임 구조체(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주행전동모듈(100)을 포함한다. 상기 주행전동모듈(100)은 프레임 구조체(10)의 하단부 상에 대각 방향으로 두개가 배치되며, 보조 바퀴(50)는 주행전동모듈(100) 사이에 대각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보조 바퀴는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캐스터처럼 종속되어 회전하는 바퀴이다.
프레임 구조체(1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의 상부 간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2),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 간을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사 프레임(13),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의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발판(15)을 포함한다.
컨트롤러(20)는 작업자가 발판(15) 상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비계장치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주행전동모듈(100)을 조작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프레임 구조체(10)의 수직 프레임(11) 상단 상에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주행전동모듈(100)과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리모컨일 수 있다. 배터리(30)는 주행전동모듈(100) 및 컨트롤러(20) 상에 전력을 제공하게 하는 전력공급장치로서 축전지의 형태일 수 있다.
전복 방지대(40)는 주행전동모듈(100) 내지 보조 바퀴(50)의 상부 측에서 수직 프레임(11)으로부터 연장되는 가로 지지대(41), 가로 지지대(41)의 상부 측에서 수직 프레임(11)으로부터 연장되어 가로 지지대(41)의 끝단에 결합하는 경사 지지대(42), 가로 지지대(41)와 경사 지지대(42)의 결합지점 상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지지대(43) 및 수직 지지대(43)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바닥 지지대(44)를 포함한다. 상기 전복 방지대(40)는 평소에는 지면으로부터 떠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비계장치의 구동시에 마찰 저항을 생성하지 않게 하고, 비계장치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짐 현상이 있을 경우에는 바닥 지지대(44)가 지면에 먼저 접촉하여 비계장치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주행전동모듈(100)에 대해 설명한다.
주행전동모듈(100)은 주행 바퀴(110), 주행 바퀴(110)의 구름 운동을 가능하게 동력을 공급하는 바퀴 구동 모듈(120), 주행 바퀴(110)의 운동 방향을 변환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방향 전환 모듈(130), 및 프레임 구조체(1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향 전환 모듈(130)과 기어 결합되는 연결 구조체(140)를 포함한다.
주행 바퀴(110)는 바퀴 고정 브라켓(115) 상에 고정된 바퀴 구동 모듈(120)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다. 주행 바퀴(110)는 그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설치되는 주행 회전축(111)이 바퀴 고정 브라켓(115)의 양측부에 베어링 구조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구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바퀴 고정 브라켓(115)는 바퀴 구동 모듈(120)이 고정되는 수평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수평 플레이트 부재의 양측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 플레이트 부재가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바퀴 구동 모듈(120)은 바퀴 고정 브라켓(115)의 수평 플레이트 부재 상에 배치되는 바퀴 구동 모터(121), 바퀴 구동 모터(121)에 결합되는 제1 감속기(122), 제1 감속기(122)에 연결되는 구동모터축(123), 구동모터축(123)에 결합되는 구동 풀리(124), 구동 풀리(124)에 연결된 상태에서 바퀴 구동 모터(121)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벨트(125) 및 주행 회전축(111)에 결합되는 종동 풀리(126)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상기 바퀴 구동 모듈의 다른 실시예로서 웜기어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이를 제2바퀴구동모듈(200)이라고 한다(도 6a 내지 도 6c 참조).
제2바퀴구동모듈(200)은 바퀴 고정 브라켓(115)의 측면에 배치되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 축에 구비되는 웜(220)과 상기 웜에 접하면서 감속되어 회전하는 웜휠(2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웜휠(230)과 바퀴의 회전축(111)이 연결된다.
즉, 제2바퀴구동모듈(200)에서는 웜기어를 이용하여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충분한 감속비를 얻을 수 있을 뿐더러 동력전달을 위한 별도의 벨트 등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또한 웜기어의 특성상 회전이 일방향으로만 전달되기 때문에 모터가 정지한 상태에서 바퀴회전이 확실히 정지될 수 있어서 브레이크가 걸리는 이점도 있다. 이것은 공사현장에서 멈춰선 비계장치의 이동을 확실히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방향 전환 모듈(130)은 전환 모터(131), 전환 모터(131)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퀴 고정 브라켓(115)의 수평 플레이트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감속기(132) 및 제2 감속기(132)에 연결되는 회전축 상에 결합되는 공전 기어(133)를 포함한다.
연결 구조체(140)는 그 상부측이 프레임 구조체(10)의 수직 프레임(11)의 하단부 상에 결합되며 그 하부 타측이 바퀴 고정 브라켓(115)의 수평 플레이트 부재 상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연결관(141), 연결관(141)의 표면 상에 관통하여 스크류 체결되는 고정 나사(142), 및 연결관(14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 기어(143)를 포함한다. 연결관(141)은 그 하부측이 바퀴 고정 브라켓(115)의 수평 플레이트 부재 상에 형성된 브라켓 결합공(1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예를 들어 연결관(141)의 외주면과 브라켓 결합공(116)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되어짐으로써 바퀴 고정 브라켓(115)은 연결 구조체(140)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을 시행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주행전동모듈(100)을 갖는 비계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주행전동모듈(100)의 진행 방향을 변경한 상태에서 다른 작업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컨트롤러(20)를 통해 방향 전환 모듈(130)의 전환 모터(131)를 조작하여 공전 기어(133)를 회전하게 한다. 상기 공전 기어(133)는 연결 구조체(140)의 고정 기어(143)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구동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공전 기어(133)는 고정 기어(143)의 가장자리를 따라 공전 구동을 하게 된다.
한편, 주행 바퀴(110)는 바퀴 고정 브라켓(115) 및 방향 전환 모듈(130)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공전 기어(133)의 운동에 따라 연결 구조체(140)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프레임 구조체(10)의 수직 프레임(11)에 결합되는 주행 바퀴(11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컨트롤러(20)를 통해 바퀴 구동 모듈(120)의 바퀴 구동 모터(121)를 조작하여 구동모터(121)의 동력은 웜기어를 통해 주행 회전축(111)으로 전달되어 구동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작업자는 바퀴 구동 모듈(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주행 바퀴(1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구동모터(121)와 주행 회전축(111) 사이에는 윔기어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정지 상태에서 바퀴 구동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웜기어는 그 특성상 구동모터에서 회전축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을 뿐이고, 회전축에서 구동모터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없는 구조이다. 즉, 모터가 멈춘 상태에서 구동바퀴의 주행 회전축(111)은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웜기어 자체가 브레이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계장치는 상기 주행 바퀴(110)가 대각선 방향으로 두 개가 구비된다. 이 경우 구동력 전달 면에서 유리한데, 도 4에서 어느 한쪽(예를 들어 W1)에서만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하중이 작용하는 하단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주행 바퀴(110, 그림에서 왼쪽)가 존재하므로 마찰력 전달에 문제가 없고, 도 4에서 다른 한쪽(예를 들어 W2)에서만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하중이 작용하는 하단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주행 바퀴(110, 그림에서 오른쪽)가 역시 존재하므로 마찰력 전달에 문제가 없게 된다. 이로써 종래 구동바퀴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어서 특정 지점에만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사실상 구동력 전달이 어려웠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비계장치의 이동시 궤적을 도시하며,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비계장치가 장애물을 피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8a를 보면, 본 고안의 상기 주행 바퀴(110)가 그림에서 보아 상측을 향하고 있고 구동력이 전달되면 본 고안의 비계장치가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특정 위치에서 주행 바퀴(110) 두 개를 조향하여 방향을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하면 Y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도 8b). 즉, 본 고안의 비계장치는 대각선에 배치된 두 개의 주행 바퀴로 인해서 직각 이동이 가능한 것이며, 이것은 장애물이 많은 공사 현장에서 매우 유용하다.
본 고안의 비계장치의 직각이동으로 인해서, 도 9a 및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물을 피하여 이동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비계장치 상단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도 유리한데, 작업자의 작업 방향을 그래도 바라보는 상태에서 비계장치가 이동함으로써 작업자는 이동하면서 동일한 작업을 동일한 방향에서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프레임 구조체
20 : 컨트롤러
30 : 배터리
40 : 전복 방지대
50 : 보조 바퀴
100 : 주행전동모듈
110 : 주행 바퀴
120 : 바퀴 구동 모듈
130 : 방향 전환 모듈
140 : 연결 구조체

Claims (3)

  1. 복수의 프레임 자재가 입체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체(10);
    상기 프레임 구조체(10)의 하단부에 대각선으로 구비되는 주행전동모듈(100);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10) 상에서 상기 주행전동모듈(100)에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는 컨트롤러(2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전동모듈(100)은,
    주행 바퀴(110)와, 상기 주행 바퀴(1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바퀴 구동 모듈 과, 상기 주행 바퀴의 운동 방향을 변환하게 하는 방향 전환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 구동 모듈은,
    모터(210)와 상기 모터 축에 구비되는 웜(220)과 상기 웜에 접하면서 감속되어 회전하는 웜휠(230)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바퀴(110)는 회전축(111)이 상기 웜휠(230)과 연결되어 구동되며,
    상기 컨트롤러(20)를 통해 상기 바퀴 구동 모듈 및 방향 전환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구조체(1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모듈(130)과 기어 결합되는 연결 구조체(140); 및
    상기 방향 전환 모듈(130)과 상기 주행 바퀴(110) 상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바퀴 고정 브라켓(1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구조체(140)는 상기 바퀴 고정 브라켓(115)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구조체(140)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10) 및 상기 바퀴 고정 브라켓(115) 상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연결관(141), 상기 연결관(14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 기어(143)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 모듈(130)은, 전환 모터(131) 및 상기 전환 모터(131)에서 동력을 공급받는 공전 기어(133)를 포함하며,
    상기 공전 기어(133)은 상기 고정 기어(143)의 외접한 상태로 기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전동모듈(100)은, 프레임 구조체 하단부에 대각선으로 2개가 구비되고,
    상기 대각선 방향의 두개의 주행바퀴(110)는 상기 컨트롤러(20)에 의해 동일한 각도로 조향될 수 있어서, 구조체 프레임은 동일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이동궤적이 직각을 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장치.
KR2020150007861U 2015-03-06 2015-12-01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 KR20160003128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376 2015-03-06
KR20150031376 2015-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128U true KR20160003128U (ko) 2016-09-19

Family

ID=5704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861U KR20160003128U (ko) 2015-03-06 2015-12-01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12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447A (ko) * 2021-02-02 2022-08-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연동형 이동식 안전비계
KR102528664B1 (ko) * 2021-12-23 2023-05-10 (주)전원기업 이동식 비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447A (ko) * 2021-02-02 2022-08-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연동형 이동식 안전비계
KR102528664B1 (ko) * 2021-12-23 2023-05-10 (주)전원기업 이동식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43449A (ja) 構造物への作業機吊下げ用支持台車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5109952A (en) Mobile and adjustable scaffold system for tunnel roofing and other applications
KR20160003128U (ko) 전동주행모듈을 갖는 비계장치
KR101099631B1 (ko) 론지 승월을 위한 용접로봇의 이동장치
WO2021093450A1 (zh) 转向装置及具有其的抹平机器人
KR101243599B1 (ko) 벽면 부착식 작업로봇
CN110541550A (zh) 抹平机器人
KR20190114376A (ko) 원통형 탱크의 용접장치
KR101635762B1 (ko) 중량물 터닝장치
CN113859384A (zh) 一种具有增强移动时平衡性以及越障功能的移动机器人
JPH06343334A (ja) 自走作業車
CN113753147B (zh) 型钢自爬式机器人用的防倾覆装置及其防倾覆方法
CA1271341A (en) Concrete floor finishing machine
CN110778067B (zh) 一种运动装置、建筑机器人及建筑施工系统
CN113753148B (zh) 适用于型钢连接的自爬式机器人及其作业方法
JPH05256026A (ja) 建築用揚重装置
CN109080647A (zh) 轨道车及轨道车系统
JPH0236436B2 (ko)
CN221162992U (zh) 一种路面施工设备前进转向轮组
KR200368362Y1 (ko) 이동식 셀터장치
JPH0648047Y2 (ja) 自走式作業用移動足場
CN111155753B (zh) 建筑物外墙造楼移动平台
JP6861115B2 (ja) 自走式足場
JPH0569946B2 (ko)
JP2006063695A (ja) 移動足場、および移動足場の移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