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762B1 - 중량물 터닝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터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762B1
KR101635762B1 KR1020140129270A KR20140129270A KR101635762B1 KR 101635762 B1 KR101635762 B1 KR 101635762B1 KR 1020140129270 A KR1020140129270 A KR 1020140129270A KR 20140129270 A KR20140129270 A KR 20140129270A KR 101635762 B1 KR101635762 B1 KR 10163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frame
rotation
rotary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328A (ko
Inventor
채왕석
이근호
전덕희
Original Assignee
군장대학산학협력단
유한회사 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장대학산학협력단, 유한회사 한스 filed Critical 군장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7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8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for tilting the loads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터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회전부와 타측회전부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20ton 이상의 고중량물을 포함한 중량물을 보다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고도의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크레인 등의 크레인을 임차할 필요가 시간적, 경제적 이윤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터닝장치{Turning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일측회전부와 타측회전부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20ton 이상의 고중량물을 포함한 중량물을 보다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고도의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크레인 등의 크레인을 임차할 필요가 시간적, 경제적 이윤을 높일 수 있는 중량물 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도 및 빗물관련구조물,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구성 및 친환경을 주목적으로 생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청소 및 마감, 운반을 위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90°회전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유압크레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크레인과 지게차가 함께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크레인과 연결되어 중량물 터닝시 설치작업 및 부품을 간단하게 하고 큰 중량물을 이동시키며, 운송과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분리형 중량물 터닝시스템이 국내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2171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21716호(분리형 중량물 터닝시스템) 등으로 제안된 중량물 터닝장치들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중량물을 터닝시키기 위해 고도의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크레인 등의 크레인의 사용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2171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일측회전부와 타측회전부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20ton 이상의 고중량물을 포함한 중량물을 보다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고도의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크레인 등의 크레인을 임차할 필요가 시간적, 경제적 이윤을 높일 수 있는 중량물 터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안착된 중량물의 하부와 타측을 지지하는 일측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일측회전구동부재로 구성되는 일측회전부와; 타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이동되어 상부에 안착된 중량물이 뒤집혀질 수 있도록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뒤집혀진 상태의 상기 중량물의 하부와 일측을 지지하는 타측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타측회전구동부재로 구성되는 타측회전부와;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중량물의 하부를 안착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터닝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가 상기 중량물을 상하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제 1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1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수직형성되는 제 2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은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제 1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1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제 2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회전구동부재는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일측종동스프로켓과; 상기 일측종동스프로켓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방향에 구비되는 일측구동스프로켓과; 상기 일측구동스프로켓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일측구동모터와;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일측종동스프로켓과 상기 일측구동스프로켓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일측체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회전구동부재는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타측종동스프로켓과; 상기 타측종동스프로켓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방향에 구비되는 타측구동스프로켓과; 상기 타측구동스프로켓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타측구동모터와;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타측종동스프로켓과 상기 타측구동스프로켓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타측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을 각각 회전지지하는 가이드롤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이 각각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은 일체연결 또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회전부의 좌우이동 및 상기 타측회전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상기 일측회전부와 상기 타측회전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일측회전부의 일측베이스프레임의 하부 및 상기 타측회전부의 타측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바퀴부재와; 상기 바퀴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 및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에 안착된 중량물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 및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받침부의 상부 일측과 상기 받침부의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받침부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측회전부와 타측회전부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20ton 이상의 고중량물을 포함한 중량물을 보다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고도의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크레인 등의 크레인을 임차할 필요가 시간적, 경제적 이윤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중량물 터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일측회전지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일측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중량물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중량물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일측회전구동부재와 타측회전구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이탈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일측베이스프레임과 타측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가이드레일부와 좌우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보조이탈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받침부의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21은 일측회전지지프레임에서 타측회전지지프레임으로 중량물이 이동하면서 뒤집혀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중량물 터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의 상부에 중량물(3)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중량물 터닝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회전부(10), 타측회전부(20) 및 받침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일측회전부(10)는 일측베이스프레임(110),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 및 일측회전구동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의 상부에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중량물(3)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중량물(3)의 하부와 상기 중량물(3)의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일측회전구동부재(130)는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을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타측회전부(20)는 타측베이스프레임(210),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 및 타측회전구동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은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중량물(3)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은 정역회전하여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중량물(3)을 뒤집게 된다.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은 뒤집혀진 상태의 상기 중량물(3)의 하부와 상기 중량물(3)의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타측회전구동부재(230)는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을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도 5는 중량물(3)을 지지하는 받침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중량물(3)의 하부 전측과 상기 중량물(3)의 하부 후측에 각각 1개 또는 1개 이상으로 위치하여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으로 이동되는 상기 중량물(3)의 하부를 안착지지하기 위해, 상기 일측회전부(10)의 전측방향 및 상기 타측회전부(20)의 전측방향과 상기 일측회전부(10)의 후측방향 및 상기 타측회전부(20)의 후측방향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중량물(3)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된 상태로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중량물(3)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부(3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301), 승강부재(302) 및 고정판(3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301)는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 및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02)는 유압실린더, 에어실린더, 전기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02)의 상부는 상기 받침대(301)의 하부면 중간부에 일체연결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03)은 상기 받침대(301)를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02)의 상부면 중심부에 상기 승강부재(302)의 하부가 일체연결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과 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工'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은 제 1, 2, 3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a, 121b, 12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3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a, 121b, 121c)은 각각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전측, 상부 중간 및 상부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은 제 1, 2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a, 1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a)은 상기 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의 상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a)은 상기 제 1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a)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b)은 상기 제 1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a)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과 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은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면형상이 '工'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은 제 1, 2, 3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a, 221b, 22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3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a, 221b, 221c)은 각각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 전측, 상부 중간 및 상부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222)은 제 1, 2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222a, 22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222a)은 상기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의 상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222a)은 상기 제 1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222a)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222b)은 상기 제 1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222a)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일측회전구동부재(130)와 타측회전구동부재(2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회전구동부재(13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종동스프로켓(131), 일측구동스프로켓(132), 일측구동모터(133) 및 일측체인(1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종동스프로켓(131)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구동스프로켓(132)은 상기 일측종동스프로켓(13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일측종동스프로켓(131)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 상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구동모터(133)는 상기 일측구동스프로켓(132)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체인(134)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일측체인(134)의 상부와 상기 일측체인(134)의 하부는 각각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의 제 2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b)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체인(134)의 중간부는 상기 일측종동스프로켓(131)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종동스프로켓(131)의 타측과 상기 일측구동스프로켓(132)의 일측을 각각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일측구동모터(133)가 상기 일측구동스프로켓(132)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이 정역회전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타측회전구동부재(23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타측종동스프로켓(231), 타측구동스프로켓(232), 타측구동모터(233) 및 타측체인(2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종동스프로켓(231)은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구동스프로켓(232)은 상기 타측종동스프로켓(23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타측종동스프로켓(231)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타측 상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구동모터(233)은 상기 타측구동스프로켓(232)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타측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체인(234)이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타측체인(234)의 상부와 상기 타측체임(234)의 하부는 각각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제 2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b)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체인(234)의 중간부는 상기 타측종동스프로켓(231)의 일측과 상기 타측구동스프로켓(23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을 각각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다.
상기 타측구동모터(233)가 상기 타측구동스프로켓(232)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이 정역회전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전측과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후측에는 각각 2개의 가이드롤러부(40)가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 전측과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 후측에도 각각 2개의 상기 가이드롤러부(40)가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2개씩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된 상기 가이드롤러부(40)는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의 제 1, 3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a, 121c)의 하부를 각각 회전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2개씩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된 상기 가이드롤러부(40)는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제 1, 3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a, 221c)의 하부를 각각 회전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이탈방지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이 각각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외부방향 및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50)는 상기 가이드롤러부(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 및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5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판(510)과 이탈방지부재(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510)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 및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2개씩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520)는 각각 상기 고정판(510)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의 제 1, 3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a, 121c)의 전측과 후측방향으로 수평연장 및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제 1, 3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a, 221c)의 전측과 후측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제 1, 3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a, 121c)의 전측과 후측내 및 상기 제 1, 3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a, 221c)의 전측과 후측내로 일정길이로 인입되는 이탈방지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510)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각각 상기 제 1, 3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121a, 121c)의 전측과 후측내 및 상기 제 1, 3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221a, 221c)의 전측과 후측내에 수용되는 이탈방지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9는 일측베이스프레임(110)과 타측베이스프레임(210) 사이에 연결부재(6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일측회전부(10)와 상기 타측회전부(20)는 후술할 좌우이동부(80)에 의해 개별적으로 각각 좌우이동 또는 상기 좌우이동부(80)에 의해 상기 일측회전부(10)와 상기 타측회전부(20) 모두는 함께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80)에 의해 상기 일측회전부(10)와 상기 타측회전부(20) 모두가 함께 좌우이동하기 위해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은 일체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 사이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프레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부재(60)가 용접고정 또는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가이드레일부(70)와 좌우이동부(8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70)와 좌우이동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70)는 상기 일측회전부(10)의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 및 상기 타측회전부(20)의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회전부(10)의 좌우이동 및 상기 타측회전부(20)의 좌우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70)는 상기 일측회전부(10)에서 상기 타측회전부(2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8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70)를 따라 상기 일측회전부(10)와 상기 타측회전부(20)를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80)는 바퀴부재(810)와,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부재(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재(810)는 상기 일측회전부(10)의 일측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 및 상기 타측회전부(20)의 타측베이스프레임(21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70)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름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미도시)는 복수의 상기 바퀴부재(810)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바퀴부재(810)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바퀴부재(81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보조이탈방지부(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중량물(3)이 가령,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일측회전부(10) 및 타측회전부(20)가 정역회전하는 과정 중에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중량물(3)이 상기 일측회전부(10)의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의 외부방향 및 상기 타측회전부(20)의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외부방향으로 굴러 이탈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 및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10)에 안착된 중량물(3)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 및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이탈방지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이탈방지부(90)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중량물(3)의 일측 상부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와 상기 중량물(3)의 타측 상부와 마주보는 상기 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의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이탈방지부(90)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중량물(3)의 타측 상부와 상기 중량물(3)의 타측 상부와 마주보는 상기 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222)의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이탈방지부(90)는 고무,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목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받침부(30)의 상부에 돌출부(310)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중량물(3)이 상기 받침부(30)의 상부에서 상기 받침부(30)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굴러 이탈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30)의 받침대(301)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받침부(30)의 받침대(301)의 상부면 타측에 각각 상기 받침부(30)의 받침대(301)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0) 사이에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중량물(3)의 하부 중간부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1은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에서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으로 중량물(3)이 이동하면서 뒤집혀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중량물(3)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에서 상기 타측 회전지지프레임(220)으로 이동하면서 뒤집혀지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a)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제 2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122b)이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이 회전된 상태로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의 상부에 상기 중량물(3)이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120)에 수평으로 안착된 상기 중량물(3)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회전부(10)와 상기 타측회전부(20) 모두가 상기 가이드레일부(70)를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부(7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난 후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길이가 줄어든 상태인 상기 받침부(30)의 상하길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받침부(3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인 상기 중량물(3)을 상기 일측회전부(10)의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 후,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회전부(10)와 상기 타측회전부(20) 모두가 상기 가이드레일부(70)를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부(7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나면, 상기 타측회전부(20)의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상부방향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인 상기 중량물(3)이 위치하게 되고,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인 상기 중량물(3)이 안착되도록 상기 받침부(30)의 상하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인 상기 중량물(3)이 안착된 상태에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시 상기 일측회전부(10)와 상기 타측회전부(20) 모두가 상기 가이드레일부(70)를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부(7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난 후,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220)에 안착된 상기 중량물(3)이 뒤집혀진 상태로 수평으로 눕혀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일측회전부(10)와 상기 타측회전부(2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20ton 이상의 고중량물을 포함한 중량물(3)을 보다 용이하게 반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고도의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크레인 등의 크레인을 임차할 필요가 시간적, 경제적 이윤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일측회전부, 20; 타측회전부,
30; 받침부.

Claims (10)

  1. 일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안착된 중량물의 하부와 타측을 지지하는 일측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일측회전구동부재로 구성되는 일측회전부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과 일체연결 또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타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이동되어 상부에 안착된 중량물이 뒤집혀질 수 있도록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뒤집혀진 상태의 상기 중량물의 하부와 일측을 지지하는 타측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타측회전구동부재로 구성되는 타측회전부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면에 상부가 연결고정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가 상부면에 연결고정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중량물의 하부를 안착지지하고, 상기 중량물을 상하이동시키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상기 받침대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사이에 상기 중량물이 원형형상인 경우,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중량물의 하부중간부가 수용되는 받침부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을 각각 회전지지하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이 각각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와;
    상기 일측회전부의 좌우이동 및 상기 타측회전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상기 일측회전부와 상기 타측회전부를 좌우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일측회전부의 일측베이스프레임의 하부 및 상기 타측회전부의 타측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바퀴부재와, 상기 바퀴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로 구성되는 좌우이동부와;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 및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에 안착된 중량물이 원형형상인 경우,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중량물이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 및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은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 전측, 상부 중간 및 상부 후측에 구비되는 제 1, 2, 3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제 1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1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수직형성되는 제 2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은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 전측, 상부 중간 및 상부 후측에 구비되는 제 1, 2, 3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제 1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1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제 2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이탈방지부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중량물의 상부와 상기 일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의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및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중량물의 상부와 상기 타측상부회전지지프레임의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일측회전구동부재는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일측종동스프로켓과;
    상기 일측종동스프로켓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방향에 구비되는 일측구동스프로켓과;
    상기 일측구동스프로켓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일측구동모터와;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일측종동스프로켓과 상기 일측구동스프로켓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일측체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회전구동부재는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타측종동스프로켓과;
    상기 타측종동스프로켓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방향에 구비되는 타측구동스프로켓과;
    상기 타측구동스프로켓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타측구동모터와;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타측종동스프로켓과 상기 타측구동스프로켓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타측체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일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 및 상기 타측베이스프레임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2개씩 수직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일측회전지지프레임과 상기 타측회전지지프레임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 1, 3일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내 및 상기 제 1, 3타측하부회전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내에 수용되는 이탈방지롤러로 이루어지는 이탈방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터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29270A 2014-09-26 2014-09-26 중량물 터닝장치 KR10163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270A KR101635762B1 (ko) 2014-09-26 2014-09-26 중량물 터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270A KR101635762B1 (ko) 2014-09-26 2014-09-26 중량물 터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328A KR20160037328A (ko) 2016-04-06
KR101635762B1 true KR101635762B1 (ko) 2016-07-05

Family

ID=5579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270A KR101635762B1 (ko) 2014-09-26 2014-09-26 중량물 터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076B1 (ko) * 2018-04-26 2019-07-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대형 수직펌프 이동장치
KR102323756B1 (ko) * 2019-10-31 2021-11-09 정우돈 곤돌라 정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5121B2 (ja) * 1994-12-16 2003-03-10 相生精機株式会社 金型分割反転装置
KR101022648B1 (ko) * 2008-08-07 2011-03-22 한국전력공사 고 중량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46B1 (ko) * 1990-06-16 1992-07-06 주식회사 삼정정밀 금형반전 보전기
JPH063538U (ja) * 1992-06-22 1994-01-18 日立金属株式会社 90°反転機
KR200221716Y1 (ko) 1999-02-25 2001-04-16 윤길호 분리형 중량물 터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5121B2 (ja) * 1994-12-16 2003-03-10 相生精機株式会社 金型分割反転装置
KR101022648B1 (ko) * 2008-08-07 2011-03-22 한국전력공사 고 중량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328A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324B1 (ko) 아치형 구조물의 이동 점검차
KR101691525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CN1394189A (zh) 乘客输送装置
KR101635762B1 (ko) 중량물 터닝장치
JP2008156015A (ja) 移動クレーン
KR101908133B1 (ko) 교량건설용 데릭크레인
CN111376380A (zh) 一种叠合墙板养护系统
KR100930811B1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KR101342098B1 (ko) 보조 주차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주차 시스템
CN104912366A (zh) 无避让高层立体停车塔库
JP5152951B2 (ja) 車椅子用昇降機
KR20100046715A (ko) 이동식 가설펜스
KR101770230B1 (ko) 폼 트래블러
CN211498488U (zh) 一种公路铁路两用桥移动式铁路硬防护平台
JP7306628B2 (ja) レール送り装置を備えた台車
KR102206873B1 (ko)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CN209066247U (zh) 一种防护性能好多功能的全液压移动栈桥
CN112281673A (zh) 一种公路桥梁施工平台
KR200329414Y1 (ko) 건축용 갱폼 인양기
KR100563267B1 (ko)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JP6479640B2 (ja) 移動足場装置
CN205617866U (zh) 一种立体车库升降旋转平台支撑导向结构
CN219491649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脚手架
CN109630004A (zh) 一种便于快速装修用的工程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