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525B1 - 레고형 대차 동바리 - Google Patents

레고형 대차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525B1
KR101691525B1 KR1020160061295A KR20160061295A KR101691525B1 KR 101691525 B1 KR101691525 B1 KR 101691525B1 KR 1020160061295 A KR1020160061295 A KR 1020160061295A KR 20160061295 A KR20160061295 A KR 20160061295A KR 101691525 B1 KR101691525 B1 KR 101691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hannel
horizontal
ho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수
Original Assignee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Abstract

본 발명은 레고형 대차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게 충분한 높이와 공간이 마련되도록 대차블록을 조립 구성하였고, 또한 대차블록 하부에 대차받침장치와 대차이동장치를 구비하여 경사진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사진 바닥면에서 신속한 이동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한 대차블록의 상부에 다단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부받침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장에 따라 높이가 다른 상부슬라브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하부에 대차받침장치와 대차이동장치가 구비된 대차블록과 동일 구조로 조립된 연결블록을 대차블록 상부에 적층하고, 연결블록 상부에 다단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받침장치를 구비하여 고층의 상부슬라브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레고형 대차 동바리{Lego Type Cart Supporting Post}
본 발명은 레고형 대차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사진 작업장 바닥면에 하부가 용이하게 밀착 고정되고, 상부슬라브의 설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바리는 건설업에서 쓰는 용어로 건축 구조물을 지지하는 받침대로서, 건축공사 및 노후된 건축물을 철거 또는 리모델링하는 공사에 사용되며 주로 슬라브 구조를 받쳐주는 작업에 사용된다. 즉, 동바리는 슬라브 형틀 설치시 형틀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거나 구조물 철거시 하부 슬라브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가설재이며, 통상 철재로 이루어지고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달라진다.
이와 같은 동바리에 대한 선행기술은 등록특허 10-1607890호(발명의 명칭 : 대차가 구비된 일체형 동바리)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경사진 작업장의 바닥면 및 슬라브에 상부판 및 하부판이 자연스럽게 밀착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여,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또한 복층구조의 대차를 이용하여 하부의 미세높이조절 및 전체적인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장에 레일을 깔아 신속하게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대차의 높이가 한정되어 있고, 자유롭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못하여, 정해진 높이의 상부슬라브만 지지할 수 있어 작업의 한계성을 갖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경사진 작업장 바닥에 이동이 용이하고, 하부판이 경사진 바닥면에 자연스럽게 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안정되게 받치게 되고, 상부슬라브의 설치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 도록 구성한 레고형 대차 동바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양단에 조립공을 갖는 수평연결판이 상하부에 형성된 마감부재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는 하부세로찬넬과, 수평연결판과 하부세로찬넬 상부에 장착된 하부가로찬넬과, 하부가로찬넬 상부에 하단이 장착된 수직찬넬과, 수직찬넬 상단에 장착된 상부가로찬넬과, 상부가로찬넬 상부 사이에 장착된 상부세로찬넬로 이루어진 대차블록과; 상기 마감부재의 수평연결판, 하부가로찬넬 및 수직찬넬의 모서리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와; 상기 마감부재의 수평연결판, 하부가로찬넬 및 수직찬넬의 내측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닥면에 고정되어 대차블록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와; 상기 대차블록의 수직찬넬과 상부세로찬넬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슬라브를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상부받침장치와; 상기 상부받침장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받침장치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게 충분한 높이와 공간이 마련되도록 대차블록을 조립 구성하였고, 또한 대차블록 하부에 대차받침장치와 대차이동장치를 구비하여 경사진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사진 바닥면에서 신속한 이동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한 대차블록의 상부에 다단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부받침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장에 따라 높이가 다른 상부슬라브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하부에 대차받침장치와 대차이동장치가 구비된 대차블록과 동일 구조로 조립된 연결블록을 대차블록 상부에 적층 고정하여 자체 높이를 높이게 되었으며, 연결블록 상부에 다단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상부받침장치를 구비하여 고층의 상부슬라브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동바리의 정면 및 측면구성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대차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대차받침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로서, a는 하부받침부재가 바닥면으로 이동된 상태도이고, b는 하부받침대의 하부조절판이 바닥면의 경사면에 밀착되는 상태도이며, c는 대차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4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상부받침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상부받침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상부받침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로서, a 및 b는 상부받침장치의 전체적인 높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상부받침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로서, a 및 b는 상부받침장치의 상부이동체가 이동된 상태의 구성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서포터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및 측면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대차받침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로서, a는 하부받침부재가 바닥면으로 이동된 상태도이고, b는 하부받침대의 하부조절판이 바닥면의 경사면에 밀착되는 상태도이며, c는 대차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C"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체결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7은 도 14의 "D"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상부받침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2실시예에 대한 상부받침장치의 동작상태도로서, a 및 b는 상부받침장치의 전체적인 높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2실시예에 대한 상부받침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로서, a 및 b는 상부받침장치의 상부이동체가 이동된 상태의 구성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2실시예에 대한 서포터장치에 대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동바리의 정면 및 측면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대차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는 양단에 조립공(11)을 갖는 수평연결판(12a)(12b)이 상하부에 형성된 마감부재(13)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하부세로찬넬(14)과, 수평연결판(12a)과 하부세로찬넬(14) 상부에 간격을 두고 직사각이 유지되도록 장착된 하부가로찬넬(15)과, 하부가로찬넬(15) 상부에 하단이 간격을 유지하여 동일 높이로 장착된 다수의 수직찬넬(16)과, 수직찬넬(16) 상단에 하부가 간격을 유지하여 수평으로 장착된 상부가로찬넬(17)과, 상부가로찬넬(17) 상단 사이에 간격을 두고 직사각이 유지되도록 장착된 다수의 상부세로찬넬(18)로 이루어진 대차블록(10)과; 대차블록(10)을 구성하는 마감부재(13)의 수평연결판(12a)(12b), 하부가로찬넬(15) 및 수직찬넬(16)의 모서리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20)와; 대차블록(10)을 구성하는 마감부재(13)의 수평연결판(12a)(12b), 하부가로찬넬(15) 및 수직찬넬(16)의 내측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작업장 바닥면(1)에 고정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30)와; 대차블록(10)을 구성하는 수직찬넬(16)과 상부세로찬넬(18)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슬라브(3)를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상부받침장치(60)와; 상부받침장치(60)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받침장치(60)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장치(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이동장치(20)는 마감부재(13)를 구성하는 수평연결판(12a)의 조립공(11) 외주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가 수직찬넬(16)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며 상하이동공(21a)이 관통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21)와; 수평연결판(12a)(12b)의 조립공(11) 사이에 연통되게 개재된 체결부재(28)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안내파이프(21)의 상하이동공(2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이동스크류(22)와; 수직이동스크류(22)의 하단에 장착되어 작업장 바닥면(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재(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부재(23)는 수직이동스크류(22) 하단에 고정된 수평판(24)과, 수평판(24) 하단에 고정된 한쌍의 수직편(25)과; 수직판(25) 사이에 회전핀(26)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롤러(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재(28)는 수평연결판(12b)의 조립공(11) 외주면에 위치된 하부베어링(29a)과; 하부베어링(29a) 상부에 위치되고 수직이동스크류(22)가 나사 결합되는 회전너트(29b)와; 회전너트(29b) 상부에 조립공(11)과 일치되게 삽입되는 상부베어링(29c)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 및 상부베어링은 수직이동스크류(22)가 회전너트(29b)를 따라 회전시 마찰을 줄여 회전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대차받침장치(30)는 마감부재(13)를 구성하는 수평연결판(12a)의 조립공(11) 외주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가 수직찬넬(16)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며 상하이동공(32a)이 관통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32)와; 수평연결판(12a)(12b)의 조립공(11) 사이에 연통되게 개재된 체결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안내파이프(32)의 상하이동공(3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이동스크류(34)와; 수직이동스크류(34)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경사진 작업장 바닥면(1)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받침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재(40)는 수평연결판(12b)의 조립공(11) 외주면에 위치된 하부베어링(42)과; 하부베어링(42) 상부에 위치되고 수직이동스크류(32)가 나사 결합되는 회전너트(44)와; 회전너트(44) 상부에 조립공(11)과 일치되게 삽입되는 상부베어링(4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 및 상부베어링은 수직이동스크류(34)가 회전너트(44)를 따라 회전시 마찰을 줄여 회전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받침대(50)는 바닥면(1)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설치공(52a)이 형성된 하부조절판(52)과; 하부조절판(52) 상부 양측에 대응되게 수직으로 고정되고, 핀삽입공(54a)이 형성된 하부수직판(54)과; 하부수직판(54)의 핀삽입공(54a)과 대응되게 통공(58a)이 형성되어 수평회동핀(55)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부에 수직이동스크류(34)의 하단이 고정되며, 하부수직판(54) 사이의 조절판(52) 상부 양측에 고정된 받침대(56)에 하부가 지지되는 결합구(58)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받침장치(60)는 상부세로찬넬(18) 상부에 장착되고, 양단에 조립공(61a)을 갖는 수평마감판(61)이 고정된 연결찬넬(62)과, 연결찬넬(62)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빔(63)으로 이루어진 하측세로찬넬(64)과; 하측세로찬넬(64)의 수평마감판(61)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된 하측가로찬넬(65)과; 하측가로찬넬(65) 상단에 하단의 플랜지(66)로써 체결 고정된 다수의 수직지지봉(67)과; 수직지지봉(67)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봉(72)과, 수직봉(72)의 하단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하부나사공(74a)이 형성된 내측너트(74)와, 수직봉(72) 상단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부나사공(76a)이 형성된 외측너트(76)로 이루어진 회전부재(70)와; 회전부재(70)의 수직봉(7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너트(74) 및 외측너트(76)의 하부나사공(74a)과 상부나사공(76a)에 상부 또는 하부로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하부이동체(80) 및 상부이동체(90)와; 상부이동체(80) 상단에 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된 상측가로찬넬(68)과; 상측가로찬넬(68)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사각으로 조립되어 슬라브(3)에 밀착되는 상측세로찬넬(69)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이동체(80)는 회전부재(70)의 수직봉(7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너트(74)의 하부나사공(74a)에 체결되는 나사부(82a)가 형성되며, 하측가로찬넬(65), 수평마감판(61)의 조립공(61a), 상부세로찬넬(18), 상부가로찬넬(17)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하부이동볼트(82)와; 하부이동볼트(82) 외주면에 고정되어 하부이동볼트(82)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84)와; 하부이동볼트(82) 하단에 고정되고, 통공(86a)이 형성된 결합구(86)와; 결합구(86)의 통공(86a)과 수직찬넬(16)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87)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88)과; 수평마감판(61)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이동볼트(82)에 체결되어 대차블록(10)과 상부받침장치(60)의 하측세로찬넬(64)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89)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이동체(90)는 회전부재(70)의 수직봉(72) 내부에 삽입되고 외측너트(76)의 상부나사공(76a)에 체결되는 나사부(92a)가 형성된 상부이동볼트(92)와; 상부이동볼트(92) 상단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측가로찬넬(68)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체결판(9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터장치(100)는 수직지지봉(67) 상단에 하부가 안착되고, 회전부재(70)의 수직봉(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공(102a)을 갖는 외측수평편(102)이 외측에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내측에 수직공(104a)을 갖는 내측수직편(104)이 고정된 긴수평브라켓(110)과; 내측수직편(104)의 수직공(104a) 및 긴수평브라켓(110)에 형성된 상부조립공(121)에 연결핀(122)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경사지게 연결된 상부이동볼트(120)와; 하측세로찬넬(64)의 연결찬넬(62)과 하측가로찬넬(65) 사이에 형성된 하부조립공(131)에 연결핀(132)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경사지게 연결된 하부이동볼트(130)와; 상부이동볼트(120) 및 하부이동볼트(130) 사이에 체결되는 나사공(141)이 관통 형성되어, 하부이동볼트(120) 및 상부이동볼트(130)가 나사공(141)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조절봉(1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3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에 대한 제2실시예는 양단에 조립공(11)을 갖는 수평연결판(12a)(12b)이 상하부에 형성된 마감부재(13)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하부세로찬넬(14)과, 수평연결판(12a)과 하부세로찬넬(14) 상부에 간격을 두고 직사각이 유지되도록 장착된 하부가로찬넬(15)과, 하부가로찬넬(15) 상부에 하단이 간격을 유지하여 동일 높이로 장착된 다수의 수직찬넬(16)과, 수직찬넬(16) 상단에 하부가 간격을 유지하여 수평으로 장착된 상부가로찬넬(17)과, 상부가로찬넬(17) 상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직사각이 유지되도록 장착된 다수의 상부세로찬넬(18)로 이루어진 대차블록(10)과; 대차블록(10)을 구성하는 마감부재(13)의 수평연결판(12a)(12b), 하부가로찬넬(15) 및 수직찬넬(16)의 모서리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20)와; 대차블록(10)을 구성하는 마감부재(13)의 수평연결판(12a)(12b), 하부가로찬넬(15) 및 수직찬넬(16)의 내측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작업장 바닥면(1)에 고정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30)와; 대차블록(10)의 상부세로찬넬(18) 상부에 안착되고, 양단 상하부에 조립공(151a)을 갖는 수평마감판(151)(152)이 고정된 하측세로찬넬(153)과, 하측세로찬넬(153)의 수평마감판(151) 상부에 간격을 두고 직사각이 유지되도록 장착된 하측가로찬넬(154)과, 하측가로찬넬(154) 상부에 하단이 간격을 유지하여 동일 높이로 장착된 다수의 수직찬넬(155)과, 수직찬넬(155) 상단에 하단이 간격을 유지하여 수평으로 장착된 상측가로찬넬(156)과, 상측가로찬넬(156) 상단 사이에 간격을 두고 직사각이 유지되도록 장착된 다수의 상측세로찬넬(157)로 이루어지고, 체결수단(160)으로써 대차(1)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블록(150)과; 연결블록(150)을 구성하는 수직찬넬(155)과 상측세로찬넬(157)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슬라브(3)를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상부받침장치(180)와; 상부받침장치(180)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받침장치(180)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장치(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이동장치(20)는 마감부재(13)를 구성하는 수평연결판(12a)의 조립공(11) 외주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가 수직찬넬(16)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며 상하이동공(21a)이 관통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21)와; 수평연결판(12a)(12b)의 조립공(11) 사이에 연통되게 개재된 체결부재(28)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안내파이프(21)의 상하이동공(2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이동스크류(22)와; 수직이동스크류(22)의 하단에 장착되어 작업장 바닥면(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재(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부재(23)는 수직이동스크류(22) 하단에 고정된 수평판(24)과, 수평판(24) 하단에 고정된 한쌍의 수직편(25)과; 수직판(25) 사이에 회전핀(26)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롤러(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재(28)는 수평연결판(12b)의 조립공(11) 외주면에 위치된 하 부베어링(29a)과; 하부베어링(29a) 상부에 위치되고 수직이동스크류(22)가 나사 결합되는 회전너트(29b)와; 회전너트(29b) 상부에 조립공(11)과 일치되게 삽입되는 상부베어링(29c)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 및 상부베어링은 수직이동스크류(22)가 회전너트(29b)를 따라 회전시 마찰을 줄여 회전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대차받침장치(30)는 하부세로찬넬(14)의 양단 상부에 고정된
수평연결판(12a)의 조립공(11) 외주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가 수직찬넬(16)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며 상하이동공(32a)이 관통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32)와; 수평연결판(12a)(12b)의 조립공(11) 사이에 연통되게 개재된 체결부재(40)와; 체결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안내파이프(32)의 이동공(3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이동스크류(34)와; 수직이동스크류(34)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경사진 작업장 바닥면(1)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받침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재(40)는 수평연결판(12b)의 조립공(11) 외주면에 위치된 하부베어링(42)과; 하부베어링(42) 상부에 위치되고 수직이동스크류(34)가 나사 결합되는 회전너트(44)와; 회전너트(44) 상부에 수평연결판(12a)의 조립공(11)과 일치되게 삽입되는 상부베어링(4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 및 상부베어링은 수직이동스크류(34)가 회전너트(44)를 따라 회전시 마찰을 줄여 회전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받침대(50)는 바닥면(1)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설치공(52a)이 형성된 하부조절판(52)과; 하부조절판(52) 상부 양측에 대응되게 수직으로 고정되고, 핀삽입공(54a)이 형성된 하부수직판(54)과; 하부수직판(54)의 핀삽입공(54a)과 대응되게 통공(58a)이 형성되어 수평회동핀(55)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부에 수직이동스크류(34)의 하단이 고정되며, 하부수직판(54) 사이의 조절판(52) 상부 양측에 고정된 받침대(56)에 하부가 지지되는 결합구(58)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160)은 하측세로찬넬(153)의 수평마감판(151) 상부에 조립공(151a)과 연통되게 하단이 장착되고, 상부가 하측가로찬넬(154)과 수직찬넬(155) 사이에 위치된 안내지지바(162)와; 상부세로찬넬(18)과 수직찬넬(16) 사이에 고정된 보강지지바(164)와; 보강지지바(164), 안내지지바(162)를 통과하여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부(166a)가 형성되며, 하단에 통공(165a)을 갖는 결합구(165)가 형성된 결합장볼트(166)와; 결합구(165)의 통공(165a)과 수직찬넬(16)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167)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168)과; 수평마감판(152) 상부에 위치되고 결합장볼트(166)에 체결되어 대차블록(10)와 연결블록(150)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169)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받침장치(180)는 연결블록(150)의 상측세로찬넬(157) 상부에 장착되고, 양단에 조립공(181a)을 갖는 수평마감판(181)이 고정된 연결찬넬(182)과, 연결찬넬(182)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빔(183)으로 이루어진 하단세로찬넬(184)과; 하단세로찬넬(184)의 수평마감판(181)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된 하단가로찬넬(185)과; 하단가로찬넬(185) 상단에 하단의 플랜지(186)로써 체결 고정된 다수의 수직지지봉(187)과; 수직지지봉(187)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봉(192)과, 수직봉(192)의 하단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하부나사공(194a)이 형성된 내측너트(194)와, 수직봉(192) 상단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부나사공(196a)이 형성된 외측너트(196)로 이루어진 회전부재(190)와; 회전부재(190)의 수직봉(19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너트(196) 및 외측너트(196)의 하부나사공(194a)과 상부나사공(196a)에 상부 또는 하부로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하부이동체(200) 및 상부이동체(210)와; 상부이동체(210) 상단에 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된 상단가로찬넬(188)과; 상단가로찬넬(188)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사각으로 조립되어 슬라브(3)에 밀착되는 상단세로찬넬(189)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이동체(200)는 회전부재(190)의 수직봉(19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너트(194)의 하부나사공(194a)에 체결되는 나사부(201a)가 형성되며, 하단가로찬넬(185), 수평마감 판(181)의 조립공(181a), 상측세로찬넬(157), 상측가로찬넬(156)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하부이동볼트(201)와; 하부이동볼트(201) 외주면에 고정되어 하부이동볼트(201)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203)와; 하부이동볼트(201) 하단에 고정되고, 통공(204a)이 형성된 결합구(204)와; 결합구(204)의 통공(204a)과 수직찬넬(155)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205)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206)과; 수평마감판(182)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이동볼트(201)에 체결되어 연결블록(150)과 상부받침장치(180)의 하단가로찬넬(185)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고정너트(207)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이동체(210)는 회전부재(190)의 수직봉(192) 내부에 삽입되고 외측너트(196)의 상부나사공(196a)에 체결되는 나사부(212a)가 형성된 상부이동볼트(212)와; 상부이동볼트(212) 상단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단가로찬넬(188)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체결판(2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터장치(220)는 수직지지봉(187) 상단에 하부가 안착되고, 회전부재(190)의 수직봉(19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공(231a)을 갖는 외측수평편(231)이 외측에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내측에 수직공(232a)을 갖는 내측수직편(232)이 고정된 긴수평브라켓(230)과; 내측수직편(232)의 수직공(232a) 및 긴수평브라켓(230)에 형성된 상부조립공(241)에 연결핀(242)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경사지게 연결된 상부이동볼트(240)와; 하단세로찬넬(184)의 연결찬넬(182)과 하단가로찬넬(185) 사이에 형성된 하부조립공(251)에 연결핀(252)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경사지게 연결된 하부이동볼트(250)와; 상부이동볼트(240) 및 하부이동볼트(250) 사이에 체결되는 나사공(261)이 관통 형성되어, 하부이동볼트(250) 및 상부이동볼트(240)가 나사공(261)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조절봉(26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1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하부세로찬넬(14), 하부가로찬넬(15), 수직찬넬(16), 상부가로찬넬(17) 및 상부세로찬넬(18)로 이루어지고,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높이와 공간이 마련되게 제작된 대차블록(10) 하부의 대차이동장치(20)를 구성하는 롤러부재(23)의 이동롤러(27)를 작업장 바닥면(1)에 내려 놓은다음, 대차 동바리를 작업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마감부재(13)의 수평연결판(12a)(12b), 하부가로찬넬(15) 및 수직찬넬(16) 내측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닥면(1)에 고정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30)를, 바닥면(1)의 상태, 즉 평탄하거나 경사진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순차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경사진 바닥면(1)에 설치되는 대차 동바리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대차받침장치(30)를 구성하는 체결부재(40)의 회전너트(4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평연결판(12a)(12b)의 조립공(11) 사이에 연통되게 개재된 체결부재(40)를 구성하는 하부베어링(42)과 상부베어링(46) 사이의 회전너트(44)에 체결된 수직이동스크류(34)가 수직안내파이프(32)의 상하이동공(32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부받침대(50)를 구성하는 하부조절판(52)의 하부 일면이 경사진 바닥면(1)에 닿게 된다.
이때, 바닥면(1)의 경사도에 따라 대차받침장치(30)의 수직이동스크류(34) 이동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하부받침대(5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도 6b에서와 같이 회전너트(44)를 계속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받침대(50)의 하부조절판(52) 하부 일면이 경사진 바닥면(1)에 닿은 상태에서 경사면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하부조절판(52)이, 하부수직판(54)의 핀삽입공(54a)과 결합구(58)의 통공(58a)을 통해 삽입된 수평회동핀(55)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하부조절판(52)의 하부면이 바닥면(1)의 경사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결합구(58) 상부에 하단이 고정된 수직이동스크류(34)는 경사진 바닥면(1)과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즉, 하부받침대(50)의 하부조절판(52)은 수평회동핀(55)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동하여 경사면에 밀착되고, 수직이동스크류(34)는 경사진 바닥면(1)과 수직이 유지된다.
그 다음으로 도 6c에서와 같이 하부조절판(52)의 설치공(52a)을 통해 앙카볼트로서 고정시켜 경사진 바닥면(1)에 하부조절판(52)을 고정한 다음, 대차이동장치(20)를 구성하는 회전너트(29b)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베어링(29c)과 상부베어링(29a) 사이의 회전너트(29b)가 수직이동스크류(22)를 따라 회전하게 됨에 따라, 수직이동스크류(22)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롤러부재(23)의 이동롤러(27)가 바닥면(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부슬라브(3)를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상부받침장치(60)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부이동체(80)의 하부이동볼트(82) 하단에 고정된 결합구(86)의 통공(86a)을, 수직찬넬(16)에 수직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87)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고, 이를 통해 고정핀(88)을 고정시켜 전체적으로 상부받침장치(6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이 수직찬넬(16)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87) 중 하단에, 하부이동볼트(82)의 결합구(86)에 형성된 통공(86a)을 결합하여 높이를 설정하고, 상부슬라브(3)의 설치 높이에 따라, 상부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고정핀(88)을 결합한 다음, 고정너트(89)를 하부이동볼트(82)에 체결하여 대차블록(10)과 상부받침장치(60)의 하측세로찬넬(64)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면, 높이조절공(87)의 수직 간격만큼 상부받침장치(60)의 전체적인 높이가 조절된다.
그 다음으로 도 10a에서와 같이 회전부재(70)의 외측너트(7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측너트(76)의 상부나사공(76a)이 상부이동볼트(92)의 나사부(92a)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부이동볼트(92)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이동볼트(92) 상단의 수평체결판(94)으로써 체결된 상측가로찬넬(68)과 상측세로찬넬(69)이 상방으로 최대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부슬라브(3)를 안정되게 받치게 된다.(도 10b참조)
이때, 하부이동체(80)의 하부이동볼트(82)는 하단의 결합구(86)가 수직찬넬(16)의 높이조절공(87)에 고정핀(88)으로써 고정됨에 따라 이동하지 않고, 내측너트(74)의 하부나사공(74a)이 하부이동볼트(82)의 나사부(82a)를 따라 공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부받침장치(60) 상부에 서포터장치(100)를 구비하여 상부받침장치(60)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즉, 수직지지봉(67) 상단과 회전부재(70)의 수직봉(72)에 외측수평편(102)의 회전결합공(102a)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긴수평브라켓(110)의 내측수직편(104)에 형성된 수직공(104a)에 상부이동볼트(120)를 연결핀(122)으로써 연결하고, 하측세로찬넬(64)의 연결찬넬(62)과 하측가로찬넬(65) 사이에 형성된 하부조립공(131)에 하부이동볼트(130)를 연결핀(132)으로써 연결한 다음, 상부이동볼트(120) 및 하부이동볼트(130) 사이에 체결되는 나사공(141)으로써 체결된 조절봉(140)을 회전시켜 하부이동볼트(120) 및 상부이동볼트(130)를 나사공(141)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측세로찬넬(69)에 의해 안정되게 받쳐지게 되는 상부슬라브(3)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게 된다.
한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작업이 완료된 후, 상부받침장치(60)를 구성하는 회전부재(70)의 외측너트(7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측너트(76)의 상부나사공(76a)이 상부이동볼트(92)의 나사부(92a)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부이동볼트(92)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이동볼트(92)의 수평체결판(94)으로써 체결된 상측세로찬넬(69)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부슬라브(3)로부터 이탈된다.
그 다음으로 대차이동장치(20)의 회전너트(29b)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베어링(29c)과 상부베어링(29a) 사이의 회전너트(29b)가 수직이동스크류(22)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수직이동스크류(22)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롤러부재(23)의 이동롤러(27)가 바닥면(1)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면(1)에 고정된 하부조절판(52)의 체결력을 해제한 다음, 체결부재(40)의 회전너트(4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베어링(42)과 상부베어링(46) 사이의 회전너트(44)에 나사 체결된 수직이동스크류(36)가 수직지지파이프(32)의 상하이동공(32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부받침대(50)를 구성하는 하부조절판(52)의 하부가 경사진 바닥면(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대차이동장치(20)의 이동롤러(27)가 작업장 바닥면(1)에 안착되고, 대차이동장치(20)를 이용하여 대차블록(10)을 신속하게 다른 작업현장으로 이동시켜 동바리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 내지 도 2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하부세로찬넬(14), 하부가로찬넬(15), 수직찬넬(16), 상부가로찬넬(17) 및 상부세로찬넬(18)로 이루어진 대차블록(10)을 제작하고, 대차블록(10)과 동일 구조의 하측세로찬넬(153), 하측가로찬넬(154), 수직찬넬(155), 상측가로찬넬(156) 및 상측세로찬넬(157)로 이루어진 연결블록(150)을 제작한 다음, 대차블록(10) 상부에 체결수단(160)으로써 연결블록(150)을 장착하여 자체 높이를 높이게 된다.
그 다음으로 대차블록(10)을 구성하는 수직찬넬(16)과 상부세로찬넬(18) 상부에 상부슬라브(3)를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상부받침장치(60)를 장착하여 대차 동바리를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블록(10) 하부의 대차이동장치(20)를 구성하는 롤러부재(23)의 이동롤러(27)를 작업장 바닥면(1)에 내려놓은 다음, 작업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마감부재(13)의 수평연결판(12a)(12b), 하부가로찬넬(15) 및 수직찬넬(16) 내측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작업장 바닥면(1)에 고정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30)를, 작업장 바닥면(1)의 상태, 즉 평탄하거나 경사진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순차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도 15a에서와 같이 경사진 작업장 바닥면(1)에 설치되는 대차 동바리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체결부재(40)의 회전너트(4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평연결판(12a)(12b)의 조립공(11) 사이에 연통되게 개재되고, 하부베어링(42)과 상부베어링(46) 사이의 회전너트(44)에 체결된 수직이동스크류(34)가 수직안내파이프(32)의 상하이동공(32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부받침대(50)를 구성하는 하부조절판(52)의 하부 일면이 경사진 바닥면(1)에 닿게 된다.
이후, 도 15b에서와 같이 회전너트(44)를 계속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받침대(50)의 하부조절판(52) 하부 일면이 경사진 바닥면(1)에 닿은 상태에서 경사면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하부조절판(52)이, 하부수직판(54)의 핀삽입공(54a)과 결합구(58)의 통공(58a)을 통해 삽입된 수평회동핀(55)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하부조절판(52)의 하부면이 바닥면(1)의 경사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결합구(58) 상부에 하단이 고정된 수직이동스크류(34)는 경사진 바닥면(1)과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즉, 하부받침대(50)의 하부조절판(52)은 수평회동핀(55)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동하여 경사면에 밀착되고, 수직이동스크류(34)는 경사진 바닥면(1)과 수직이 유지된다.
그 다음으로 도 15c에서와 같이 하부조절판(52)의 설치공(52a)을 통해 앙카볼트로써 경사진 바닥면(1)에 하부조절판(52)을 고정한 다음, 대차이동장치(20)를 구성하는 회전너트(29b)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베어링(29c)과 상부베어링(29a) 사이의 회전너트(29b)가 수직이동스크류(22)를 따라 회전하게 됨에 따라, 수직이동스크류(22)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롤러부재(23)의 이동롤러(27)가 바닥면(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6 및 도 17에서와 같이 상부슬라브(3)를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상부받침장치(180)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부이동체(200)의 하부이동볼트(201) 하단에 고정된 결합구(204)의 통공(204a)을, 수직찬넬(155)에 수직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205)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고, 이를 통해 고정핀(206)을 고정시켜 전체적으로 상부받침장치(18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도 18a 및 도 18b에서와 같이 수직찬넬(155)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205) 중 하단에, 하부이동볼트(201)의 결합구(204)에 형성된 통공(204a)을 결합하여 높이를 설정하고, 상부슬라브(3)의 설치 높이에 따라, 상부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고정핀(206)을 결합한 다음, 고정너트(207)를 하부이동볼트(201)에 체결하여 연결블록(150)과 상부받침장치(180)의 하단가로찬넬(185)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면, 높이조절공(205)의 수직 간격만큼 상부받침장치(180)의 전체적인 높이가 조절된다.
그 다음으로 도 19a에서와 같이 회전부재(190)의 외측너트(19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측너트(196)의 상부나사공(196a)이 상부이동볼트(201)의 나사부(201a)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부이동볼트(201)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이동볼트(201) 상단의 수평체결판(214)으로써 체결된 상단가로찬넬(188)과 상단세로찬넬(189)이 상방으로 최대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부슬라브(3)를 안정되게 받치게 된다.(도 19b참조)
이때, 하부이동체(200)의 하부이동볼트(201)는 하단의 결합구(204)가 수직찬넬(155)의 높이조절공(205)에 고정핀(206)으로써 고정됨에 따라 이동하지 않고, 내측너트(194)의 하부나사공(194a)이 하부이동볼트(201)의 나사부(201a)를 따라 공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에서와 같이 상부받침장치(180) 상부에 서포터장치(220)를 구비하여 상부받침장치(180)를 안정되게 받치게 된다.
즉, 수직지지봉(187) 상단과 회전부재(190)의 수직봉(192)에 외측수평편(231)의 회전결합공(231a)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긴수평브라켓(230)의 내측수직편(232)에 형성된 수직공(232a)에 상부이동볼트(240)를 연결핀(242)으로써 연결하고, 하단세로찬넬(184)의 연결찬넬(182)과 하단가로찬넬(185) 사이에 형성된 하부조립공(251)에 하부이동볼트(250)를 연결핀(252)으로써 연결한 다음, 상부이동볼트(240) 및 하부이동볼트(250) 사이에 체결되는 나사공(261)으로써 체결된 조절봉(260)을 회전시켜 하부이동볼트(250) 및 상부이동볼트(240)를 나사공(261)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단세로찬넬(189)에 의해 안정되게 받쳐지게 되는 상부슬라브(3)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게 된다.
한편, 레고형 대차 동바리의 작업이 완료된 후 회전부재(190)의 외측너트(19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이동볼트(212)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수평체결판(214)으로써 체결된 상단세로찬넬(189)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부슬라브(3)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대차이동장치(20)의 회전너트(29b)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베어링(29c)과 상부베어링(29a) 사이의 회전너트(29b)가 수직이동스크류(22)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수직이동스크류(22)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롤러부재(23)의 이동롤러(27)가 바닥면(1)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면(1)에 고정된 앙카볼트로써 고정된 하부조절판(52)의 체결력을 해제한 다음, 체결부재(40)의 회전너트(4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베어링(42)과 상부베어링(46) 사이의 회전너트(44)에 나사 체결된 수직이동스크류(36)가 수직지지파이프(32)의 상하이동공(32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부받침대(50)를 구성하는 하부조절판(52)의 하부 일면이 경사진 바닥면(1)으로부터 이탈된다.(도 7참조)
이에 따라 대차이동장치(20)의 이동롤러(27)가 작업장 바닥면(1)에 안착되고, 대차이동장치(20)를 이용하여 대차블록(10)을 신속하게 다른 현장으로 이동시켜 동바리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대차받침장치(30)를 구성하는 체결부재(40)의 회전너트(4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베어링(42)과 상부베어링(46) 사이의 회전너트(44)에 나사 체결된 수직이동스크류(46)가 수직지지파이프(32)의 상하이동공(32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대차블록(10)가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롤러부재(23)의 이동롤러(27)가 바닥면(1)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면(1)에 앙카볼트 등으로 고정된 하부조절판(52)의 체결력을 해제한 다음, 체결부재(40)의 회전너트(4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베어링(42)과 상부베어링(46) 사이의 회전너트(44)에 나사 체결된 수직이동스크류(36)가 수직지지파이프(32)의 상하이동공(32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부받침대(50)를 구성하는 하부조절판(52)의 하부 일면이 경사진 바닥면(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대차이동장치(20)의 이동롤러(27)가 작업장 바닥면(1)에 안착되고, 대차이동장치(20)를 이용하여 대차 동바리를 신속하게 다른 현장으로 이동시켜 동바리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대차 동바리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바닥면 3 : 상부슬라브
10 : 대차블록 11,61a : 조립공
12a,12b : 수평연결판 13 : 마감부재
14 : 하부세로찬넬 15 : 하부가로찬넬
16 : 수직찬넬 17 : 상부가로찬넬
18 : 상부세로찬넬 20 : 대차이동장치
21,32 : 수직안내파이프 21a,32a : 상하이동공
22,34 : 수직이동스크류 23 : 롤러부재
50 : 하부받침대 52 : 하부조절판
52a : 설치공 54 : 하부수직판
55 : 수평회동핀 56 : 받침대
60,180 : 상부받침장치 61,181 : 수평마감판
62,182 : 연결찬넬 63,183 : 연결빔
64,184 : 하측세로찬넬 65 : 하측가로찬넬
66,186 : 플랜지 67,187 : 수직지지봉
68,188 : 상측가로찬넬 69,189 : 상측세로찬넬
70,190 : 회전부재 72,192 : 수직봉
74,194 : 내측너트 74a,194a : 하부나사공
76,196 : 외측너트 76a,196a : 상부나사공
80,200 : 하부이동체 82,201 : 하부이동볼트
82a,201a : 나사부 84,203 : 보강재
86,204 : 결합구 86a,204a : 통공
87,205 : 높이조절공 88,206 : 고정핀
100,220 : 서포터장치 102a,231a : 회전결합공
102,231 : 외측수평편 104,232 : 내측수직편
104a,232a : 수직공 110,230 : 긴수평브라켓
120,250 : 상부이동볼트 121 : 조립공
122,132 : 연결핀 130,250 : 하부이동볼트
131 : 하부조립공 140,260 : 조절봉
141 : 나사공 150 : 연결블록
151,152 : 수평마감판 151a : 조립공
153 : 하측가로찬넬 154 : 하측가로찬넬
155 : 수직찬넬 156 : 상측가로찬넬
157 : 상측세로찬넬 160 : 체결수단
162 : 안내지지바 164 : 보강지지바
165 : 결합구 165a : 통공
166 : 결합장볼트 167 : 높이조절공
168 : 고정핀 169,207 : 고정너트
180 : 상부받침장치 181a : 조립공
182 : 연결찬넬 183 : 연결빔
184 : 하단세로찬넬 185 : 하단가로찬넬

Claims (14)

  1. 양단에 고정되고, 조립공(11)을 갖는 수평연결판(12a)(12b)이 상하부에 형성된 마감부재(13)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는 하부세로찬넬(14)과, 수평연결판(12a)과 하부세로찬넬(14) 상부에 장착된 하부가로찬넬(15)과, 하부가로찬넬(15) 상부에 하단이 장착된 수직찬넬(16)과, 수직찬넬(16) 상단에 장착된 상부가로찬넬(17)과, 상부가로찬넬(17) 상부에 장착된 상부세로찬넬(18)로 이루어진 대차블록(10)과;
    상기 마감부재(13)의 수평연결판(12a)(12b), 하부가로찬넬(15) 및 수직찬넬(16)의 모서리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20)와;
    상기 마감부재(13)의 수평연결판(12a)(12b), 하부가로찬넬(15) 및 수직찬넬(16)의 내측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닥면(1)에 고정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30)와;
    상기 대차블록(10)의 수직찬넬(14)과 상부세로찬넬(18)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슬라브(3)를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상부받침장치(60)와;
    상기 상부받침장치(60)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받침장치(60)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장치(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이동장치(20)는
    상기 마감부재(13)를 구성하는 수평연결판(12a)의 조립공(11) 외주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가 수직찬넬(16)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며, 상하이동공(21a)이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21)와;
    상기 수평연결판(12a)(12b)의 조립공(11) 사이에 연통되게 개재된 체결부재(28)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안내파이프(21)의 상하이동공(2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이동스크류(22)와;
    상기 수직이동스크류(22)의 하단에 장착되어 바닥면(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재(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받침장치(30)는
    상기 마감부재(13)를 구성하는 수평연결판(12a)의 조립공(11) 외주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가 수직찬넬(16)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며 상하이동공(32a)이 관통 형성된 수직안내파이프(32)와;
    상기 수평연결판(12a)(12b)의 조립공(11) 사이에 연통되게 개재된 체결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안내파이프(32)의 상하이동공(3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이동스크류(34)와;
    상기 수직이동스크류(34)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경사진 바닥면(1)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받침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대(50)는
    상기 바닥면(1)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설치공(52a)이 형성된 하부조절판(52)과;
    상기 하부조절판(52) 상부 양측에 대응되게 수직으로 고정되고, 핀삽입공(54a)이 형성된 하부수직판(54)과;
    상기 하부수직판(54)의 핀삽입공(54a)과 대응되게 통공(58a)이 형성되어 수평회동핀(55)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상부에 수직이동스크류(34)의 하단이 고정되며, 하부수직판(54) 사이의 조절판(52) 상부 양측에 고정된 받침대(56)에 하부가 지지되는 결합구(5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장치(60)는
    상기 상부세로찬넬(18) 상부에 장착되고, 양단에 조립공(61a)을 갖는 수평마감판(61)이 고정된 연결찬넬(62)과, 연결찬넬(62)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빔(63)으로 이루어진 하측세로찬넬(64)과;
    상기 하측세로찬넬(64)의 수평마감판(61)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된 하측가로찬넬(65)과;
    상기 하측가로찬넬(65) 상단에 하단의 플랜지(66)로써 체결 고정된 다수의 수직지지봉(67)과;
    상기 수직지지봉(67)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봉(72)과, 수직봉(72)의 하단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하부나사공(74a)이 형성된 내측너트(74)와, 수직봉(72) 상단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부나사공(76a)이 형성된 외측너트(76)로 이루어진 회전부재(70)와;
    상기 회전부재(70)의 수직봉(7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너트(74) 및 외측너트(76)의 하부나사공(74a)과 상부나사공(76a)에 상부 또는 하부로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하부이동체(80) 및 상부이동체(90)와;
    상기 상부이동체(90) 상단에 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된 상측가로찬넬(68)과;
    상기 상측가로찬넬(68)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사각으로 조립되어 슬라브(3)에 밀착되는 상측세로찬넬(6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이동체(80)는
    상기 회전부재(70)의 수직봉(7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너트(74)의 하부나사공(74a)에 체결되는 나사부(82a)가 형성되며, 하측가로찬넬(65), 수평마감판(61)의 조립공(61a), 상부세로찬넬(18) 및 상부가로찬넬(17)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하부이동볼트(82)와;
    상기 하부이동볼트(82) 외주면에 고정되어 하부이동볼트(82)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84)와;
    상기 하부이동볼트(82) 하단에 고정되고, 통공(86a)이 형성된 결합구(86)와;
    상기 결합구(86)의 통공(86a)과 수직찬넬(16)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87)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88)과;
    상기 수평마감판(61)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이동볼트(82)에 체결되어 대차블록(10)과 상부받침장치(60)의 하측세로찬넬(64)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8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체(90)는
    상기 회전부재(70)의 수직봉(72) 내부에 삽입되고 외측너트(76)의 상부나사공(76a)에 체결되는 나사부(92a)를 갖는 상부이동볼트(92)와;
    상기 상부이동볼트(92) 상단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측가로찬넬(68)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체결판(9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장치(100)는
    상기 상부받침장치(60)의 수직지지봉(67) 상단에 하부가 안착되고, 회전부재(70)의 수직봉(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공(102a)을 갖는 외측수평편(102)이 외측에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내측에 수직공(104a)을 갖는 내측수직편(104)이 고정된 긴수평브라켓(110)과;
    상기 내측수직편(104)의 수직공(104a) 및 긴수평브라켓(110)에 형성된 상부조립공(121)에 연결핀(122)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경사지게 연결된 상부이동볼트(120)와;
    상기 상부받침장치(60)를 구성하는 하측세로찬넬(64)의 연결찬넬(62)과 하측가로찬넬(65) 사이에 형성된 하부조립공(131)에 연결핀(132)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경사지게 연결된 하부이동볼트(130)와;
    상기 상부이동볼트(120) 및 하부이동볼트(130) 사이에 체결되는 나사공(141)이 관통 형성되어, 하부이동볼트(120) 및 상부이동볼트(130)가 나사공(141)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조절봉(1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9. 양단에 고정되고, 조립공(11)을 갖는 수평연결판(12a)(12b)이 상하부에 형성된 마감부재(13)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는 하부세로찬넬(14)과, 수평연결판(12a)과 하부세로찬넬(14) 상부에 장착된 하부가로찬넬(15)과, 하부가로찬넬(15) 상부에 하단이 장착된 수직찬넬(16)과, 수직찬넬(16) 상부에 장착된 상부가로찬넬(17)과, 상부가로찬넬(17) 상부에 장착된 상부세로찬넬(18)로 이루어진 대차블록(10)과;
    상기 마감부재(13)의 수평연결판(12a)(12b), 하부가로찬넬(15) 및 수직찬넬(16)의 모서리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차블록(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20)와;
    상기 마감부재(13)의 수평연결판(12a)(12b), 하부가로찬넬(15) 및 수직찬넬(16)의 내측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닥면(1)에 고정되어 대차블록(10)을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대차받침장치(30)와;
    상기 대차블록(10)의 상부세로찬넬(18) 상부에 안착되고, 양단 상하부에 조립공(151a)을 갖는 수평마감판(151)(152)이 고정된 하측세로찬넬(153)과, 하측세로찬넬(153)의 수평마감판(151) 상부에 장착된 하측가로찬넬(154)과, 하측가로찬넬(154) 상부에 하단이 장착된 수직찬넬(155)과, 수직찬넬(155) 상단에 하단이 장착된 상측가로찬넬(156)과, 상측가로찬넬(156) 상단에 장착된 상측세로찬넬(157)로 이루어지고, 체결수단(160)으로써 대차블록(10)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블록(150)과;
    상기 연결블록(150)의 수직찬넬(155)와 상측세로찬넬(157) 상부 영역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부슬라브(3)를 안정되게 받치기 위한 상부받침장치(180)와;
    상기 상부받침장치(180)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받침장치(180)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장치(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60)은
    상기 하측세로찬넬(153)의 수평마감판(151) 상부에 조립공(151a)과 연통되게 하단이 장착되고, 상부가 하측가로찬넬(154)과 수직찬넬(155) 사이에 위치된 안내지지바(162)와;
    상기 상부세로찬넬(18)과 수직찬넬(16) 사이에 고정된 보강지지바(164)와;
    상기 보강지지바(164), 안내지지바(162)를 통과하여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부(166a)가 형성되며, 하단에 통공(165a)을 갖는 결합구(165)가 형성된 결합장볼트(166)와;
    상기 결합구(165)의 통공(165a)과 수직찬넬(16)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167)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168)과;
    상기 수평마감판(152) 상부에 위치되고 결합장볼트(166)에 체결되어 대차블록(10)과 연결블록(150)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16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장치(180)는
    상기 연결블록(150)의 상측세로찬넬(157) 상부에 장착되고, 양단에 조립공(181a)을 갖는 수평마감판(181)이 고정된 연결찬넬(182)과, 연결찬넬(182)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빔(183)으로 이루어진 하단세로찬넬(184)과;
    상기 하단세로찬넬(184)의 수평마감판(181)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된 하단가로찬넬(185)과;
    상기 하단가로찬넬(185) 상단에 하단의 플랜지(186)로써 체결 고정된 다수의 수직지지봉(187)과;
    상기 수직지지봉(187)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봉(192)과, 수직봉(192)의 하단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하부나사공(194a)이 형성된 내측너트(194)와, 수직봉(192) 상단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부나사공(196a)이 형성된 외측너트(196)로 이루어진 회전부재(190)와;
    상기 회전부재(190)의 수직봉(19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너트(194) 및 외측너트(196)의 하부나사공(194a)과 상부나사공(196a)에 상부 또는 하부로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하부이동체(200) 및 상부이동체(210)와;
    상기 상부이동체(210) 상단에 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된 상단가로찬넬(188)과;
    상기 상단가로찬넬(188)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사각으로 조립되어 슬라브(3)에 밀착되는 상단세로찬넬(18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이동체(200)는
    상기 회전부재(190)의 수직봉(192) 내부에 삽입되고 내측너트(194)의 하부나사공(194a)에 체결되는 나사부(201a)가 형성되며, 하단가로찬넬(185), 수평마감판(181)의 조립공(181a), 상측세로찬넬(157) 및 상측가로찬넬(156)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하부이동볼트(201)와;
    상기 하부이동볼트(201) 외주면에 고정되어 하부이동볼트(201)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203)와;
    상기 하부이동볼트(201) 하단에 고정되고, 통공(204a)이 형성된 결합구(204)와;
    상기 결합구(204)의 통공(204a)과 수직찬넬(155)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공(205)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206)과;
    상기 수평마감판(182)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이동볼트(201)에 체결되어 연결블록(150)과 상부받침장치(180)의 하단가로찬넬(185)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고정너트(20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체(210)는
    상기 회전부재(190)의 수직봉(192) 내부에 삽입되고, 외측너트(196)의 상부나사공(196a)에 체결되는 나사부(212a)를 갖는 상부이동볼트(212)와;
    상기 상부이동볼트(212) 상단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단가로찬넬(188)에 체결 고정되는 수평체결판(2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장치(220)는
    상기 상부받침장치(180)의 수직지지봉(187) 상단에 하부가 안착되고, 회전부재(190)의 수직봉(19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공(231a)을 갖는 외측수평편(231)이 외측에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내측에 수직공(232a)을 갖는 내측수직편(232)이 고정된 긴수평브라켓(230)과;
    상기 내측수직편(232)의 수직공(232a) 및 긴수평브라켓(230)에 형성된 상부조립공(241)에 연결핀(242)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경사지게 연결된 상부이동볼트(240)와;
    상기 상부받침장치(180)를 구성하는 하단세로찬넬(184)의 연결찬넬(182)과 하단가로찬넬(185) 사이에 형성된 하부조립공(251)에 연결핀(252)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경사지게 연결된 하부이동볼트(250)와;
    상기 상부이동볼트(240) 및 하부이동볼트(250) 사이에 체결되는 나사공(261)이 관통 형성되어, 하부이동볼트(250) 및 상부이동볼트(240)가 나사공(261)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조절봉(2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1020160061295A 2016-04-22 2016-05-19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101691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49250 2016-04-22
KR1020160049250 2016-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525B1 true KR101691525B1 (ko) 2017-01-09

Family

ID=5781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295A KR101691525B1 (ko) 2016-04-22 2016-05-19 레고형 대차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5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538B1 (ko) * 2017-03-28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20180022111A (ko) * 2016-08-23 2018-03-0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20180127066A (ko) * 2017-05-19 2018-11-28 (주)동은에프앤씨 시스템 동바리
KR20190044332A (ko) * 2017-10-20 2019-04-30 롯데건설 주식회사 헌치부를 지지하는 시스템 동바리
AU2019100147B4 (en) * 2018-05-31 2019-07-04 Genuine Treasure Construction Technology Company Limited Fast Moving Installation Supporting System
FR3109785A1 (fr) * 2020-04-30 2021-11-05 Xavier Le Tallec équipement pour l’étaiement de planchers préfabriqué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827A (ko) * 1998-10-23 2000-05-15 김형벽 대형 파이프의 용접 대차
KR100680149B1 (ko) * 2006-11-07 2007-02-07 탁재균 아파트 발코니 확장형 브래킷
KR100919431B1 (ko) * 2009-05-14 2009-09-29 노창현 칫솔모 가공, 배출 및 포장 자동화시스템
KR20110086672A (ko) * 2011-07-04 2011-07-29 주식회사백상 사다리형 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827A (ko) * 1998-10-23 2000-05-15 김형벽 대형 파이프의 용접 대차
KR100680149B1 (ko) * 2006-11-07 2007-02-07 탁재균 아파트 발코니 확장형 브래킷
KR100919431B1 (ko) * 2009-05-14 2009-09-29 노창현 칫솔모 가공, 배출 및 포장 자동화시스템
KR20110086672A (ko) * 2011-07-04 2011-07-29 주식회사백상 사다리형 작업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111A (ko) * 2016-08-23 2018-03-0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101898166B1 (ko) 2016-08-23 2018-09-12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101798538B1 (ko) * 2017-03-28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20180127066A (ko) * 2017-05-19 2018-11-28 (주)동은에프앤씨 시스템 동바리
KR102029907B1 (ko) * 2017-05-19 2019-11-15 (주)동은에프앤씨 시스템 동바리
KR20190044332A (ko) * 2017-10-20 2019-04-30 롯데건설 주식회사 헌치부를 지지하는 시스템 동바리
KR101996559B1 (ko) * 2017-10-20 2019-07-04 롯데건설 주식회사 헌치부를 지지하는 시스템 동바리
AU2019100147B4 (en) * 2018-05-31 2019-07-04 Genuine Treasure Construction Technology Company Limited Fast Moving Installation Supporting System
FR3109785A1 (fr) * 2020-04-30 2021-11-05 Xavier Le Tallec équipement pour l’étaiement de planchers préfabriqué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525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US2815132A (en) Machine for hoisting and positioning building board
KR20150134694A (ko)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301529B1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607890B1 (ko) 대차가 구비된 일체형 동바리
KR200475021Y1 (ko) 이동식 거푸집 조립체
JP6270692B2 (ja) 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KR101732681B1 (ko) 교량 캔틸레버부의 슬래브타설용 거푸집
JP4329535B2 (ja) 張出し床版用移動作業車
CN112095875B (zh) 钢筋结构建筑叠合楼板的快速支撑体系及其施工工艺
KR101415232B1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 설비
KR101798538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JP4813702B2 (ja) 連続ベルトコンベアの移動装置
KR101635762B1 (ko) 중량물 터닝장치
CN116348408A (zh) 一种智能吊装机器人
JPH04238960A (ja) 法面アンカーボルト打設用足場
KR20170093498A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JP2003328322A (ja) 床版の架設工法および架設装置
JPH03194062A (ja) 走行式型枠支保工
CN218541552U (zh) 一种用于竹模墙板挂装的支撑系统
CN219240288U (zh) 施工台车
JPH1121822A (ja) 片持架設作業装置
JP2879248B2 (ja) 走行式型枠支保工
CN216613764U (zh) 一种可拆卸的移动龙门架装置
KR20130064525A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