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811B1 -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811B1
KR100930811B1 KR1020090012881A KR20090012881A KR100930811B1 KR 100930811 B1 KR100930811 B1 KR 100930811B1 KR 1020090012881 A KR1020090012881 A KR 1020090012881A KR 20090012881 A KR20090012881 A KR 20090012881A KR 100930811 B1 KR100930811 B1 KR 10093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acker
robot
bicycl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철
Original Assignee
이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철 filed Critical 이금철
Priority to KR102009001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양측에 다수개의 격납실을 갖는 다층 주차 시설 내에 로봇을 갖는 리프트와 스테커시스템을 이용해 자동으로 자전거의 입, 출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지상에 자전거 주차를 위한 출입구(12)가 구비되며, 복수층으로 양측에 파렛트(11)들이 각각 배치되는 격납실(10)과; 상기 출입구(12)로부터 진입된 자전거를 리프트후레임(2)에 안착시킨 상태로 모터(31)를 갖춘 윈치(32)에 의해 와이어(33)가 로울러(34)들의 안내로 리프트후레임(2)의 양측에 연결되어 메인후레임(1)을 따라 리프트후레임(2)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과; 상기 격납실(10)의 내측 상하부에 횡으로 가로질러서 고정 설치되는 상, 하부레일(50)(51)과; 상기 상, 하부레일(50(51)을 따라 구동부(100)의 작동으로 좌우 구동되는 스테커 메인후레임(60)과; 상기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의 안내로 승강부(110)의 작동으로 상하 승강되는 스테커 후레임(70)과; 상기 스테커 후레임(70)의 안내로 자전거의 앞바퀴를 홀딩한 상태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2로봇(80)과; 상기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이 축베어링(91)을 축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부는 하부후레임(62)의 상부에 받쳐진 상태로 터닝기어(92)가 터닝모터(93)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94)에 치차 결합되어 터닝모터(93)의 회전으로 기어(94)가 터닝기어(92)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축베어링(91)을 축으로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을 선회시키는 스테커 선회수단(90)으로 구성된다.
자전거, 다열주차, 로봇, 스테커, 리프터, 선회, 구동, 거치대,

Description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The bicycle parking system used robot}
본 발명은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양측에 다수개의 격납실을 갖는 다층 주차 시설 내에 로봇을 갖는 리프트와 스테커시스템을 이용해 자동으로 자전거의 입, 출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주차장치는 지주에 횡으로 설치된 설치대에 자전거의 앞바퀴가 진입되는 바퀴 삽입홈이 형성된 주차구조와 상, 하단으로 동시에 주차할 수 있는 주차구조로 아파트 단지와 관공서 및 전철역 주변에 별도로 자전거를 보관하는 장소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 상기한 상, 하단의 주차 장치에 있어서, 상부 주차장치에 회동 및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가동궤도 부재가 설치되어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도록 되어 있 다. 그러나, 가동궤도 부재에서 앞바퀴 지지틀까지 이동하여 주차를 해야 하므로, 체력이 많이 소모되고, 지지대에 고정된 하부 주차장치와 상부 주차장치의 간격이 좁아서 주차 및 출고시 페달 및 핸들이 접촉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비바람이 심하게 불 경우에는 상기 세워진 다량의 자전거가 모두 전복되는 문제점은 물론 그로 인한 충격에 의해 자전거가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 제10-880011호에서는 타워식 주차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종래 주차타워의 구조는, 자전거가 주차되는 타워와, 상기 타워에 자전거를 입출고 하는 입출고부와, 상기 타워의 수평 방향으로 자전거를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와, 상기 타워의 상하부로 자전거를 이송시키는 상하이송부와, 상기 타워의 내에 구비된 자전거 주차부로 이루어져 있다.
주차 격납실은 2∼6층의 복수층으로 마련되어 있고, 격납실은 대차 이동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격납실에는 자전거를 받쳐진 상태로 보관하는 파렛트들이 각 층마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차 격납실의 일측에는 각 파렛트를 주차실의 각 층과 승입면 사이에서 수직으로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는 철골 구조체가 세워져 모터 및 감속기와 체인이나 와이어로 이루어진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선회장치가 구비된 케이지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고정되어 승하강 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 국내 특허 제10-880011호는 리프트에 의해 원하는 층고로 이동된 후 양측 팔레트로 자전거를 수평 이동시킬 때 자전거가 흔들리거나 쓰러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파손됨이 없이 이동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일정공간 내에서 최대한 점유면적을 활용하여 다수의 자전거를 좁은 공간에 주차할 수 있는 자전거 주차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하강과 선회 및 원하는 위치로 안정된 상태로 자전거를 수평 이동시키는 로봇을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주차가 자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체력 소모와 인력 낭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자전거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를 수직 승하강, 또는 수평 이동시킬 때 앞바퀴를 안정되게 고정함으로 인해 전복 사고나 파손의 염려를 없애고 안정된 자동 주차시설을 구현할 수 있는 자전거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상에 자전거 주차를 위한 출입구(12)가 구비되며, 복수층으로 양측에 파렛트(11)들이 각각 배치되는 격납실(10)과;
상기 출입구(12)로부터 진입된 자전거를 리프트후레임(2)에 안착시킨 상태로 모터(31)를 갖춘 윈치(32)에 의해 와이어(33)가 로울러(34)들의 안내로 리프트후레임(2)의 양측에 연결되어 메인후레임(1)을 따라 리프트후레임(2)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과;
상기 격납실(10)의 내측 상하부에 횡으로 가로질러서 고정 설치되는 상, 하부레일(50)(51)과;
상기 상, 하부레일(50(51)을 따라 구동부(100)의 작동으로 좌우 구동되는 스테커 메인후레임(60)과;
상기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의 안내로 승강부(110)의 작동으로 상하 승강되는 스테커 후레임(70)과;
상기 스테커 후레임(70)의 안내로 자전거의 앞바퀴를 홀딩한 상태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2로봇(80)과;
상기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이 축베어링(91)을 축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부는 하부후레임(62)의 상부에 받쳐진 상태로 터닝기어(92)가 터닝모터(93)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94)에 치차 결합되어 터닝모터(93)의 회전으로 기어(94)가 터닝기어(92)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축베어링(91)을 축으로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을 선회시키는 스테커 선회수단(9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리프트후레임(2)에는 앞바퀴를 홀딩한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트후레임(2)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제1로봇(20)을 구비하고, 상기 리프트후레임(2) 및 메인후레임(1)을 상단 중앙에 형성된 센터베어링(3)을 축으로 선회시키는 리프트선회수단(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로봇(20)과 제2로봇(80)은 한쌍의 홀더(21)(81)가 실린더(22)(82)의 전후진 작동으로 자전거의 앞바퀴를 홀딩, 또는 분리시키며 구동모터(23)(83)의 구동으로 롤러(24)(84)가 리프트후레임(2)과 스테커 후레임(70)을 따라 각각 전, 후진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1로봇(20)을 탑재한 승강수단(30)과, 제 2로봇을 탑재하는 스테커장치가 선회와 승강 및 상, 하부레일(50)(51)을 따라 이동되면서 원하는 파렛트(11)에 자전거를 탑재 또는 인출하여 입, 출고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일련의 작동들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인력의 낭비나 체력소모가 불필요 하여 경제적이고, 최대한 점유면적을 활용하여 다수의 자전거를 좁은 공간에 주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자전거를 수직 승하강, 또는 수평 이동시킬 때 앞바퀴를 안정되게 고정함으로 인해 전복 사고나 파손의 염려를 없애고 안정된 자동 주차시설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승강수단(30)과 스테커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격납실(10)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격납실(10)에 구비된 출입구(12)의 설치 구조를 보인 실시예이다.
도 3은 격납실 내부에 설치된 스테커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간략도이다.
도 4는 두 개의 출입구(12)를 갖는 격납실(10)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로봇(20)을 갖는 승강수단(30)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리프트후레임(2)에 설치된 제1로봇(20)이 자전거 앞바퀴를 홀딩한 상 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로봇(20)의 요부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상, 하부레일(50)(51)을 따라 구동부(100)와 스테커 메인후레임(60), 스테커 후레임(70)과, 제2로봇(80) 및 스테커 선회수단(90)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선회 작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스테커장치의 구동부(100)와 스테커 선회수단(90)의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로봇(80)의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12g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상기 격납실(10)은 예로서 지하에 속이 빈 박스형상으로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로 시설되며, 자전거의 진입을 위해 출입구(12)가 내부와 연통되게 설비된다.
격납실(10)의 내부는 고정후레임(14)에 의해 복수층으로 양측에 파렛트(11)들이 일정간격 각각 배치된다.
파렛트(11)는 자전거가 진입된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고 스텐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측에 바퀴의 중간부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간(15)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파렛트(11)들이 복층으로 다수개 횡으로 배치된 본 발명의 격납실(10) 내부에는 자전거를 주차시키기 위해 상하 승강시킨 후 방향 전환시키는 리 프트와, 이 리프트에 의해 하강된 자전거를 원하는 파렛트(11)에 탑재시키거나 또는 인출시키기 위해 수평이동과, 상하 승강, 그리고 방향 전환을 위한 선회수단을 모두 갖춘 스테커(STACKER)장치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리프트장치의 구조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즉, 메인후레임(1)을 따라 리프트후레임(2)을 이 승강수단(30)에 의해 상하 승강시키게 되며, 리프트후레임(2)에는 제1로봇(20)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수단(30)은 모터(31)를 갖춘 윈치(32)에 의해 와이어(33)가 로울러(34)들의 안내로 리프트후레임(2)의 양측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터(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33)가 리프트후레임(2)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리프트후레임(2)에는 작업자나 사용자가 직접 자전거를 출입구(12)로부터 진입시킨 후 안착시키는 수동 방식도 가능하나, 도 6에서 도시한 제1로봇(20)의 외부를 감싸고 있으면서, 제1로봇(20)의 전, 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방법으로 자동식에 의해 자전거를 제1로봇(20)의 작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게 된다.
제1로봇(20)은 한쌍의 홀더(21)가 실린더(22)의 전후진 작동으로 자전거의 앞바퀴를 홀딩, 또는 분리시키며 구동모터(23)의 구동으로 롤러(24)가 리프트후레임(2)을 따라 전, 후진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로봇(20)의 홀더(21)는 예로서 자전거의 하부 양측을 홀딩하고, 제2로봇(80)의 홀더(81)는 자전거의 선단 중앙부를 홀딩하도록 설계되어 리프트장치와 스테커장치에 의해 서로 그 위치를 전환시킬 때 홀더(21)(81)들이 서로 간섭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출입구(12)로 주차하고자 하는 자전거가 위치되면 리프트후레임(2)이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로봇(20)이 구동모터(23)의 작동으로 전진 이동된 후 실린더(22)의 작동으로 양측 한쌍의 홀더(21)가 자전거의 하부를 홀딩하게 된다.(도 12a)
그리고, 다시 구동모터(23)의 역주행으로 리프트후레임(2)을 따라 도 5와 같이 하강이 가능한 정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도 12b)
이때, 회전이 불가능한 앞바퀴에 의해 진행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승강수단(30)의 작동으로 약간 앞바퀴를 들어서 끌리지 않도록 제어 회로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리프트후레임(2)이 자전거를 탑재한 상태로 승강가능한 위치까지 이동되면 스테커장치에 의해 자전거를 넘겨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리프트선회수단(40)에 의해 선회된다.(도 12c)
리프트 메인후레임(1)은 리프트후레임(2)의 상하 승강을 안내하도록 사각 형틀로 짜여져 베이스(4) 상부에 지지되는데, 상부 중앙에는 센터베어링(3)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터닝기어(41)가 터닝모터(42)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43)에 치차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터닝모터(42)의 회전으로 기어(43)가 터닝기어(41)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센터베어링(3)을 축으로 리프트 메인후레임(1)이 약 90도 선회하게 되는 것이다.
주차하고자 하는 자전거를 리프트후레임(2)에 탑재한 상태로 리프트선회수단(40)에 의해 선회시킨 다음에는 승강수단(30)의 작동으로 스테커장치인 스테커 후레임(70)의 위치까지 하강시키게 된다.
스테커장치의 수평 구동을 위해서는 격납실(10)의 내측 상하부에 횡으로 가로질러서 상, 하부레일(50)(51)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상, 하부레일(50)(51)을 따라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이 구동부(100)와 승강부(110)의 작동으로 상하, 좌우 구동되기도 하며, 스테커 선회수단(90)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은 제2로봇(80)을 구비하고 있는 스테커 후레임(70)의 상하 승강을 안내하도록 사각 형틀로 짜여지고, 상부에는 상부후레임(61)의 중앙에서 축베어링(91)으로 연결되고, 하부는 하부후레임(62)의 상부에 받쳐지게 된다.
리프트장치에 의해 자전거가 리프트후레임(2)과 함께 스테커 후레임(70)의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면, 스테커 후레임(70)에 구비된 제2로봇(80)이 전진 작동하게 된다.(도 12d)
제2로봇(80)은 한쌍의 홀더(81)가 실린더(82)의 전후진 작동으로 자전거의 앞바퀴를 홀딩, 또는 분리시키며 구동모터(83)의 구동으로 롤러(84)가 스테커 후레임(70)을 따라 각각 전, 후진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로봇(20)의 홀더(21)는 예로서 자전거의 하부 양측을 홀딩한 상태로 하강되어 있으며, 제2로봇(80)의 홀더(81)는 자전거의 선단 중앙부를 홀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리프트장치와 스테커장치에 의해 서로 그 위치를 전환시킬 때 홀더(21)(81)들이 서로 간섭받지 않고, 제1로봇(20)의 홀더(21)는 물림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제2로봇(80)의 홀더(81)는 자전거 앞바퀴의 중간부를 홀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모터(83)가 역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자전거의 앞바퀴를 홀딩한 상태로 스테커 후레임(70)의 상부 정위치로 자전거를 이동시키게 된다.(도 12e)
이때, 회전이 불가능한 앞바퀴에 의해 진행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승강부(110)의 작동으로 약간 앞바퀴를 들어서 끌리지 않도록 제어 회로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스테커장치인 스테커 후레임(70) 위체 자전거가 위치된 후에는 주차하고자 하는 빈 파렛트(11) 위치로 승강부(110)의 작동으로 하강시키게 된다.(도 12f)
스테커 후레임(70)은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의 안내되며 승강부(110)의 작동으로 상하 승강되는데, 승강부(110)는 모터(111)를 갖춘 윈치(112)에 의해 와이어(113)가 로울러(114)들의 안내로 스테커 후레임(70)의 양측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스테커 후레임(70)에 받쳐진 상태로 승강부(110)의 작동으로 하강된 자전거는 빈 파렛트(11)를 찾기위해 구동부(100)의 작동으로 좌우 이동된다.(도 12f)
구동부(100)의 구성은 하부후레임(51)에 구비된 주행모터(101)가 주행로울러(102)를 구동시켜 하부레일(51)을 따라 주행되는 것이며, 상부레일(50)에는 상부후레임(61)에 구비된 가이드롤러(103)들이 수개 부착되어 좌우 구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빈 파렛트(11)의 위치로 스테커 후레임(70)이 이동된 후에는 다시 제2로봇(80)이 작동되어 파렛트(11)에 자전거를 밀어서 탑재시키게 된다.(도 12g)
탑재가 완료된 후에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물고 있던 홀더(81)가 실린더(82) 작동으로 물림 해제된 후 다시 복귀된다.
한편, 빈 파레트(11)의 방향이 격납실(10)내에서 반대측에 위치될 경우를 위해서는 스테커 선회수단(90)에 의해 약 180도 선회시키게 된다.
즉,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은 사각형틀로 짜여진 상단부가 상부후레임(61)에 축베어링(91)을 축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는 하부후레임(62)의 상부에 받쳐진 상태로 터닝기어(92)가 터닝모터(93)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94)에 치차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터닝모터(93)의 회전으로 기어(94)가 터닝기어(92)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축베어링(91)을 축으로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이 약 360도 자유롭게 선회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의 평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코너부에서는 파렛트(11)를 중앙을 향하게 약간 경사지게 배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스테커 선회수단(90)의 작동으로 제2로봇(80)을 탑재한 스테커 후레임(70)이 각도 조절되어 자전거를 경사진 파렛트(11)에 탑재 내지 인출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자전거가 주차되는 과정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출고되는 과정은 이와 역순서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승강수단과 스테커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격납실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격납실에 구비된 출입구의 설치 구조를 보인 실시예.
도 3은 격납실 내부에 설치된 스테커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간략도.
도 4는 두 개의 출입구를 갖는 격납실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제1로봇을 갖는 승강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리프트후레임에 설치된 제1로봇이 자전거 앞바퀴를 홀딩한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7은 제1로봇의 요부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상, 하부레일을 따라 구동부와 스테커메인후레임, 스테커후레임과, 제2로봇 및 스테커선회수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선회 작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스테커장치의 구동부와 스테커선회수단의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11은 제2로봇의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12g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리프트 메인후레임 2 - 리프트 후레임
10 - 격납실 11 - 파렛트
20 - 제1로봇 30 - 승강수단
40 - 리프트선회수단 50,51 - 상, 하부레일
60 - 스테커 메인후레임 70 - 스테커 후레임
80 - 제2로봇 90 - 스테커 선회수단
100 - 구동부 110 - 승강부

Claims (3)

  1. 지상에 자전거 주차를 위한 출입구(12)가 구비되며, 복수층으로 양측에 파렛트(11)들이 각각 배치되는 격납실(10)과;
    상기 출입구(12)로부터 진입된 자전거를 리프트후레임(2)에 안착시킨 상태로 모터(31)를 갖춘 윈치(32)에 의해 와이어(33)가 로울러(34)들의 안내로 리프트후레임(2)의 양측에 연결되어 메인후레임(1)을 따라 리프트후레임(2)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과;
    상기 격납실(10)의 내측 상하부에 횡으로 가로질러서 고정 설치되는 상, 하부레일(50)(51)과;
    상기 상, 하부레일(50(51)을 따라 구동부(100)의 작동으로 좌우 구동되는 스테커 메인후레임(60)과;
    상기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의 안내로 승강부(110)의 작동으로 상하 승강되는 스테커 후레임(70)과;
    상기 스테커 후레임(70)의 안내로 자전거의 앞바퀴를 홀딩한 상태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2로봇(80)과;
    상기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이 축베어링(91)을 축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부는 하부후레임(62)의 상부에 받쳐진 상태로 터닝기어(92)가 터닝모터(93)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94)에 치차 결합되어 터닝모터(93)의 회전으로 기어(94)가 터닝기어(92)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축베어링(91)을 축으로 스테커 메인후레임(60)을 선회시키는 스테커 선회수단(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후레임(2)에는 앞바퀴를 홀딩한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트후레임(2)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제1로봇(20)을 구비하고, 상기 리프트후레임(2) 및 메인후레임(1)은 베이스(4) 상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부 중앙에는 센터베어링(3)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터닝기어(41)가 터닝모터(42)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43)에 치차 결합되어 터닝모터(42)의 회전으로 기어(43)가 터닝기어(41)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센터베어링(3)을 축으로 리프트 메인후레임(1)이 선회되도록 하는 리프트선회수단(4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로봇(20)과 제2로봇(80)은 한쌍의 홀더(21)(81)가 실린더(22)(82)의 전후진 작동으로 자전거의 앞바퀴를 홀딩, 또는 분리시키며 구동모터(23)(83)의 구동으로 롤러(24)(84)가 리프트후레임(2)과 스테커 후레임(70)을 따라 각각 전, 후진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KR1020090012881A 2009-02-17 2009-02-17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KR100930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881A KR100930811B1 (ko) 2009-02-17 2009-02-17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881A KR100930811B1 (ko) 2009-02-17 2009-02-17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811B1 true KR100930811B1 (ko) 2009-12-09

Family

ID=4168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881A KR100930811B1 (ko) 2009-02-17 2009-02-17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8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7180A (zh) * 2017-07-27 2017-11-07 陈荣楚 一种自动升降电瓶车停车系统
CN108643626A (zh) * 2018-06-22 2018-10-12 刘守义 一种错位式智能停车装置及方法
DE102017121638A1 (de) 2017-09-19 2019-03-21 Heron Sondermaschinen Und Steuerungen Gmbh Schienengebundener Transportroboter mit Hubplattform
CN109680998A (zh) * 2018-08-05 2019-04-26 张闯报 一种可移动的自行车车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061Y2 (ja) * 1993-01-11 1995-12-13 横浜特殊船舶株式会社 自転車駐車装置
KR200239458Y1 (ko) 2000-08-16 2001-09-13 배균석 자전거용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061Y2 (ja) * 1993-01-11 1995-12-13 横浜特殊船舶株式会社 自転車駐車装置
KR200239458Y1 (ko) 2000-08-16 2001-09-13 배균석 자전거용 주차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7180A (zh) * 2017-07-27 2017-11-07 陈荣楚 一种自动升降电瓶车停车系统
DE102017121638A1 (de) 2017-09-19 2019-03-21 Heron Sondermaschinen Und Steuerungen Gmbh Schienengebundener Transportroboter mit Hubplattform
US11027917B2 (en) 2017-09-19 2021-06-08 Heron Innovations Factory Gmbh Rail-bound transport robot with lifting platform
CN108643626A (zh) * 2018-06-22 2018-10-12 刘守义 一种错位式智能停车装置及方法
CN109680998A (zh) * 2018-08-05 2019-04-26 张闯报 一种可移动的自行车车库
CN109680998B (zh) * 2018-08-05 2024-03-19 张闯报 一种可移动的自行车车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812B1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KR970003868B1 (ko) 입체주차설비
KR20100097775A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KR100453147B1 (ko) 이동식 발을 이용한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KR100930811B1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KR100421087B1 (ko)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KR101011041B1 (ko) 저 피트(pit)형 승강기식 주차장치
WO2002099228A1 (en) A parking machine, a park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parking cars
KR20100097390A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의 원통 타워식 주차장치
JP5206827B2 (ja) 機械式自転車駐輪設備及び方法
US2817446A (en) Apparatus for parking automobiles
JP2007113345A (ja) 駐車装置と昇降装置
KR101342098B1 (ko) 보조 주차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주차 시스템
JP5351671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20120020718A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기의 출입구 도난방지장치
JP3606342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JP4415500B2 (ja) パレットの収納装置
JPH04343981A (ja) 機械式立体駐車場
JPH09302977A (ja) 昇降式駐車装置
JP5653134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435593B2 (ja) 乗込場における載置台の移載装置
JP2009243223A (ja) 地下式自転車駐輪設備
JPH09100646A (ja) 格納システム
JP2004263472A (ja) 立体駐輪装置
JPH11324383A (ja) 格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