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486B1 -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486B1
KR102412486B1 KR1020200189532A KR20200189532A KR102412486B1 KR 102412486 B1 KR102412486 B1 KR 102412486B1 KR 1020200189532 A KR1020200189532 A KR 1020200189532A KR 20200189532 A KR20200189532 A KR 20200189532A KR 102412486 B1 KR102412486 B1 KR 10241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cker
unit
cassette loading
rail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0018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이 수납되는 카세트를 이송하기 위한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은,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복수의 제1 단위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카세트 적재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대향 배치되고,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복수의 제2 단위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카세트 적재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 사이에서 카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토커부; 및 상기 스토커부의 유지 보수시, 상기 레일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하기 위한 펜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STOCKER SYSTEM AND METHOD FOR MAINTENANCE OF THE SAME}
본 발명은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이 수납되는 카세트를 이송하기 위한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기판의 역할과 기능은 갈수록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 현장에서는 작업 효율을 최대화하고, 작업 환경의 청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수의 기판을 로봇 등을 통하여 카세트(cassette)에 수납하고, 기판을 수납한 카세트를 스토커에 의하여 이동시켜 카세트를 보관하기 위한 적재용 셀(cell)에 적재하거나, 이와 같은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적재용 셀에 보관된 카세트를 반출한다.
즉, 기판은 하나의 제조 설비에서 해당 공정이 완료된 후 다음 제조 설비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각 제조 설비의 처리 능력 및 처리 시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버퍼링(buffering)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카세트에 적재된 후 적재용 셀에 임시로 보관되며, 필요에 따라 해당 공정을 수행하는 제조 설비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카세트의 이송은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스토커에 의하여 수행된다. 스토커는 승강 및 주행이 가능한 장치로서, 카세트를 각 적재용 셀에 수납시키거나, 적재용 셀에서 카세트를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커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유지 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레일 상의 영역으로 들어가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유지 보수를 위하여 레일 상의 영역에 들어간 상황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스토커의 주행 등에 의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6-0020322 A
본 발명은 스토커의 유지 보수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은,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복수의 제1 단위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카세트 적재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대향 배치되고,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복수의 제2 단위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카세트 적재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 사이에서 카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토커부; 및 상기 스토커부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레일부 상에서 상기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스토커부의 유지 보수시에는 상기 레일부 상에서 상기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펜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펜스부는, 상기 스토커부의 유지 보수시, 상기 레일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상하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에 설치되는 인터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와 상기 인터락은, 상기 스토커의 상기 레일부를 가로지르는 폭 방향 길이보다 긴 간격으로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복수의 제1 격벽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은, 상기 복수의 제2 격벽 중 상기 포스트가 설치되는 제1 격벽과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서 상기 네트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상기 포스트를 결합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펜스부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네트의 타단에 설치되는 사이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상기 인터락에 결합되도록 상기 사이드바에 설치되는 인터락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락 키와 상기 인터락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상기 네트의 타단과 상기 인터락의 결합 여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인터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커부는, 상기 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스토커부; 및 상기 레일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스토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상기 제1 스토커부와 상기 제2 스토커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상기 제1 스토커부와 상기 제2 스토커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펜스부 및 제2 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펜스부는, 상기 제1 스토커부가 상기 레일부의 일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스토커부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1 스토커부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의 격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펜스부는, 상기 제2 스토커부가 상기 레일부의 타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스토커부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2 스토커부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의 격벽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은,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제2 카세트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스토커부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과정; 상기 레일부를 가로질러 펜스부로 상기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과정; 상기 스토커부를 유지 보수하는 과정; 및 상기 펜스부로 상기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과정은, 상기 펜스부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의 제1 격벽에 일단이 고정된 네트의 타단을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의 제2 격벽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의 제1 격벽에 설치되는 포스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된 네트를 권출하는 과정; 및 상기 네트의 타단을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에 설치된 인터락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커의 이동 경로를 개방시키는 과정은, 상기 펜스부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인터락과 상기 네트의 타단의 결합을 해제하는 과정; 및 상기 포스트에 네트를 권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에 네트를 권취하는 과정은, 상기 네트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포스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네트가 상기 포스트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가 연결되었음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의하면, 스토커부의 유지 보수시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스토커부가 유지 보수 중임을 외부에 알리고,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제2 카세트 적재부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 작업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즉, 스토커 시스템의 정상 운행 중에는 네트를 제1 카세트 적재부에 설치된 포스트에 권취된 상태로 유지하여 스토커의 운행을 간섭하지 않고,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중에는 네트를 권출하여 제2 카세트 적재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스토커 시스템의 정상 운행 모드와 유지 보수 모드 상호 간의 전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스부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포스트에 네트가 권취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네트가 인터락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스부(500)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포스트(510)에 네트(520)가 권취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네트(520)가 인터락(59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은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복수의 제1 단위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대향 배치되고,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복수의 제2 단위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부(300), 상기 레일부(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에서 카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토커부(400) 및 상기 스토커부(400)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레일부(300) 상에서 상기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시에는 상기 레일부(300) 상에서 상기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펜스부(500)를 포함한다.
제1 카세트 적재부(100)는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을 제공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세트는 복수의 기판을 수납하고, 수납된 복수의 기판을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세트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3m 내외에 이르는 대면적 기판을 수납하기 위한 카세트일 수 있다.
제1 카세트 적재부(100)는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복수의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을 제공한다. 즉, 제1 카세트 적재부(100)는 카세트가 보관되기 위한 캐비닛(cabinet)의 역할을 한다. 복수의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카세트 적재부(100)는 상하 방향, 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레일부(300)의 연장 방향, 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격벽(110) 및 레일부(300)의 연장 방향, 예를 들어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하 방향, 예를 들어 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세트 적재부(100)는 복수의 제1 격벽(110) 및 복수의 제1 선반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자 구조에 의하여 복수의 제1 단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카세트 적재부(200)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대향 배치되고,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복수의 제2 단위 공간(S2-1 내지 S2-N)을 제공한다. 제2 카세트 적재부(200) 또한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동일하게 카세트가 보관되기 위한 캐비닛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 카세트 적재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레일부(300)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격벽(210) 및 레일부(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카세트 적재부(200)는 복수의 제2 격벽(210) 및 복수의 제2 선반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자 구조에 의하여 복수의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에 각각 대향되는 복수의 제2 단위 공간(S2-1 내지 S2-N)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을 제공하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 및 복수의 제2 단위 공간(S2-1 내지 S2-N)을 제공하는 제2 카세트 적재부(200)는 제조 설비들의 처리 능력 및 처리 시간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버퍼링(buffering)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조 설비에서 해당 공정이 완료되어 기판이 생산되면, 기판은 카세트에 수납된 후에 로봇 등을 통하여 우선 제1 카세트 적재부(100)의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에 적재될 수 있다. 이후에, 후 공정의 처리 상황에 따라 후술하는 스토커부(400)가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에 적재된 카세트를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제2 단위 공간(S2-1 내지 S2-N)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에 임시 적재된 카세트를 제2 단위 공간(S2-1 내지 S2-N)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에는 레일부(300)가 배치된다. 레일부(300)는 카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의 지면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스토커부(400)는 레일부(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에서 카세트를 이동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토커는 레일부(300) 상에서 구름 회전하는 다수의 휠을 구비하는 스토커 본체와, 주행 방향을 따른 스토커 본체의 양측에서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컬럼 및 한 쌍의 컬럼에 각각 연결되어 업/다운(up/down) 구동하면서 카세트를 핸들링하는 포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휠은 스토커 본체 내에 마련된 휠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방향 및 속도가 제어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컬럼에는 각각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포크 유닛은 카세트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포크와, 포크에 연결되어 포크를 레일부(300)를 가로지르는 방향, 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포크 암 및 포크 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포크 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커부(400)는 레일부(300) 상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커부(400)는 상기 레일부(30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스토커부(400a) 및 상기 레일부(30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스토커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하나의 스토커부(400)를 사용하여 카세트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스토커부(400)의 운행 거리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카세트의 이동에 있어서 택트 타임(tact time)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00) 상에 제1 스토커부(400a) 및 제2 스토커부(400b)를 포함하여 복수의 스토커를 운용함으로써 카세트 이송에 있어서 택트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스토커부(400a)는 상기 레일부(300)의 일단, 예를 들어, 도 1에서 X축 방향을 따른 좌측단으로부터 레일부(300)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토커부(400b)는 상기 레일부(300)의 타단, 예를 들어, 도 1에서 X축 방향을 따른 우측단으로부터 레일부(300)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토커부(400a)와 제2 스토커부(400b)는 각각 전술한 스토커 본체, 한 쌍의 컬럼 및 포크 유닛을 포함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펜스부(500)는 상기 스토커부(400)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레일부(300) 상에서 상기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시에는 상기 레일부(300) 상에서 상기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차단시킨다.
이와 같은 펜스부(500)는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시에만 필요한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함이 없이, 스토커부(400)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레일부(300) 상에서 상기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시에는 상기 레일부(300) 상에서 상기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차단시킨다. 이와 같은, 펜스부(500)는 레일부(300) 상에서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차단 또는 개방시키기 위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펜스부(500)는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시, 상기 레일부(300)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펜스부(500)는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시, 상기 레일부(300)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펜스부(500)는 일부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에 설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에 설치되어, 스토커부(400)의 정상 운행시에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시에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펜스부(500)를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에 고정 설치하고, 유지 보수시에만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유지 보수시에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레일부(300) 상에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스토커부(400)의 운행 모드와 유지 보수 모드의 전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펜스부(500)는 상하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510), 상기 포스트(510)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되는 네트(520) 및 상기 네트(520)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에 설치되는 인터락(5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스트(510)와 인터락(590)은 스토커부(400)의 폭 방향, 즉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간격으로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즉, 포스트(510)와 인터락(590)은 네트(520)가 권취된 경우 스토커부(400)의 운행을 간섭하지 않기 위하여 스토커부(400)의 폭 방향, 즉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간격으로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포스트(510)는 상하 방향, 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카세트 적재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포스트(5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포스트(510)의 상하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스토커부(400)가 유지 보수 중임을 외부로 표시하고, 작업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유지 보수 영역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포스트(510)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격벽(110) 중 적어도 하나에 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포스트(510)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가 복수의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을 구획하기 위하여 포함하는 복수의 제1 격벽(11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포스트(510)를 복수의 제1 격벽(11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펜스부(500)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브라켓(530)은 포스트(51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의 제1 격벽(110) 중 적어도 하나에 상하 방향, 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브라켓(530)은 스토커부(400)에 의한 카세트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기 위하여, 제2 격벽(210)을 바라보는 제1 격벽(110)의 단부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펜스부(500)는 한 쌍의 브라켓(530) 사이에서 후술하는 네트(520)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포스트(510)를 결합시키는 탄성 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54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포스트(5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포스트(510)가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반대로 포스트(5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시계 방향으로 포스트(510)가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540)에 의하여 포스트(510)는 한 쌍의 브라켓(530)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탄성 부재(540)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 부재(540)는 포스트(510)의 양단이나 포스트(5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포스트(510)를 회전시키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네트(520)는 포스트(510)에 일단이 고정된다. 여기서, 네트(520)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520)는 사각형의 천 등으로 마련되어, 스토커부(400)의 운행시에는 일변이 포스트(510)에 고정된 상태로 포스트(510)에 권취되어 마련되어 있다가,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시에는 일변이 포스트(510)에 고정된 상태로 포스트(510)의 회전에 따라 포스트(510)로부터 권출되어 네트(520)의 타단, 즉 포스트(510)에 고정된 일변과 대향하는 타변이 후술하는 인터락(590)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52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네트(520)를 접힘 없이 인터락(59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펜스부(500)는 사이드바(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바(550)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네트(520)의 타단, 즉 포스트(510)에 고정된 일변과 대향하는 네트(520)의 타변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스부(500)는 사이드바(550)에 설치되는 인터락 키(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락 키(56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사이드바(550)에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네트(5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제2 카세트 적재부(20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2개의 인터락 키(560)가 사이드바(55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인터락 키(560)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인터락 키(560)는 후술하는 인터락(590)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사이드바(550)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터락(590)은 네트(520)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제2 카세트 적재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인터락(590)은 제2 카세트 적재부(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격벽(21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인터락(590)은 전술한 포스트(510)가 설치되는 제1 격벽(110)에 대향하며, 제2 카세트 적재부(200)가 복수의 제2 단위 공간(S2-1 내지 S2-N)을 구획하기 위하여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격벽(21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인터락 키(560)는 인터락(59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터락(590)은 인터락 키(56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를 가질 수 있으며, 삽입구에 삽입된 인터락 키(560)는 인터락(590) 내부에서 자동으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고정 핀을 통하여 인터락(59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펜스부(500)는 네트(520)의 타단과 인터락(590)의 결합 여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5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520)의 타단이 인터락(590)에 결합되면, 스토커 시스템이 유지 보수 중임을 외부에 알릴 필요가 있다. 즉,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레일 상의 영역으로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지하지 못하고, 스토커가 원래대로 운행되면 안전상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스토커 시스템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진행 중임을 외부로 알릴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스부(500)는 네트(520)의 타단과 인터락(590)의 결합 여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5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595)는 인터락(59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95)는 스토커부(400)와 마주보는 인터락(590)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95)는 스토커부(400)가 운행 중으로 네트(520)가 포스트(510)에 권취되고, 인터락 키(560)가 인터락(59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점등되지 않고 있다가, 유지 보수를 위하여 네트(520)의 타단에 설치된 인터락 키(560)가 인터락(590)에 삽입되어 고정된 경우 비로소 점등되어 스토커 시스템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진행 중임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595)의 점등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인터락 키(560)가 인터락(59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색상, 예를 들어 녹색으로 점등되고, 인터락 키(560)가 인터락(590)에 삽입되어 고정된 경우에는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 예를 들어 적색으로 점등되는 등 다양한 방식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펜스부(500)는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시 레일부(300)를 가로질러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스토커부(400)가 레일부(30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30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스토커부(400)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스토커부(400)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격벽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스토커 시스템은 거대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레일부(300)를 유지 보수하거나 스토커를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는 작업자가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의 레일 상의 영역으로 들어가야 한다. 이를 위하여, 스토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 도어가 마련된다. 이때, 출입 도어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일단과,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타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 도어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서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토커부(400)가 레일부(30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30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스토커부(400)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스토커부(400)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의 제1 격벽(110)에 포스트(51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커부(400)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제2 격벽(210)에는 인터락(590)을 설치하여,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격벽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커부(400)는 레일부(300) 상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토커부(400)는 상기 레일부(30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스토커부(400a) 및 상기 레일부(30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스토커부(400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토커부(400a)와 제2 스토커부(400b)를 각각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펜스부(500) 또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스부(500)는 제1 펜스부(500)와 제2 펜스부(500)를 포함하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토커부(400a)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제1 스토커부(400a)의 유지 보수에 의하여, 제2 스토커부(400b)의 정상적인 운행이 간섭되는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펜스부(500)는 상기 제1 스토커부(400a)가 상기 레일부(300)의 일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30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스토커부(400a)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1 스토커부(400a)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격벽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가 레일부(300)를 따라 각각 N개의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과 제2 단위 공간(S2-1 내지 S2-N)을 제공한다고 할 때, 제1 스토커부(400a)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제1 스토커부(400a)는 N개의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과 제2 단위 공간(S2-1 내지 S2-N) 중 레일부(300)의 일단에 위치한 제1-1 단위 공간(S1-1)과 제2-1 단위 공간(S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펜스부(500)는 제1-1 단위 공간(S1-1)과 제1-2 단위 공간(S1-2)를 구획하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의 제1 격벽(110)과, 제2-1 단위 공간(S2-1)과 제2-2 단위 공간(S2-2)를 구획하는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제2 격벽(21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가 레일부(300)를 따라 각각 N개의 제1 단위 공간(S1-1 내지 S1-N)과 제2 단위 공간(S2-1 내지 S2-N)을 제공한다고 할 때, 제2 스토커부(400b)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제2 스토커부(400b)는 N개의 제1 단위 공간과 제2 단위 공간 중 레일부(300)의 타단에 위치한 제1-N 단위 공간(S1-N)과 제2-N 단위 공간(S2-N)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펜스부(500)는 제1-N 단위 공간(S1-N)과 제1-(N-1) 단위 공간(S1-(N-1))를 구획하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의 격벽과, 제2-N 단위 공간(S2-N)과 제2-(N-1) 단위 공간(S2-(N-1))를 구획하는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격벽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은 스토커 시스템에서 각 부품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방법일 수 있으며, 이에 스토커 시스템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은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스토커부(400)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과정(S100), 상기 레일부(300)를 가로질러 펜스부(500)로 상기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과정(S200), 상기 스토커부(400)를 유지 보수하는 과정(S300) 및 상기 펜스부(500)로 상기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개방시키는 과정(S400)을 포함한다.
카세트의 이동을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스토커부(400)는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의 어느 한 제1 단위 공간에 적재된 카세트를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어느 한 제2 단위 공간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예를 들어 스토커부(400)가 제1 스토커부(400a)와 제2 스토커부(400b)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스토커부(400a)와 제2 스토커부(400b)는 서로 충돌되지 않고 서로의 작업 영역이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기적으로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여 제1 카세트 적재부(100)의 어느 한 제1 단위 공간에 적재된 카세트를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어느 한 제2 단위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토커부(400)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과정(S100)은,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에 의하여 또는 자동으로 스토커부(400)의 운행을 중지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스토커부(400a)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제1 스토커부(400a)의 운행을 중지시키고, 제2 스토커부(400b)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제2 스토커부(400b)의 운행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때, 운행이 중지된 스토커부(400)를 제외한 나머지 스토커부(400)는 운행이 유지될 수 있다.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과정(S200)은 레일부(300)를 가로질러 펜스부(500)로 상기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차단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펜스부(500)는 레일부(300) 상에서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차단 또는 개방시키기 위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과정(S200)은 레일부(300)를 가로질러 펜스부(500)로 상기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과정(S200)은 상기 펜스부(500)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는 과정은 스토커부(400)의 운행이 중지되면, 레일부(300)를 가로질러 펜스부(500)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한다. 여기서, 펜스부(500)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기 전에 스토커부(400)를 유지 보수를 위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토커부(400a)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제1 스토커부(400a)의 운행은 중지되고, 유지 보수를 위하여 제1 스토커부(400a)는 레일부(300)의 일단에 옮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토커부(400a)가 레일부(300)의 일단에 옮겨지면 작업자는 레일부(300)의 일단에 마련된 출입 도어를 통해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로 들어가 펜스부(500)로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게 된다. 한편, 제2 스토커부(400b)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제2 스토커부(400b)의 운행은 중지되고, 유지 보수를 위하여 제2 스토커부(400b)는 레일부(300)의 타단에 옮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토커부(400b)가 레일부(300)의 타단에 옮겨지면 작업자는 레일부(300)의 타단에 마련된 출입 도어를 통해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로 들어가 펜스부(500)로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의 제1 격벽(110)에 일단이 고정된 네트(520)의 타단을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제2 격벽(2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펜스부(500)는 상하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510), 상기 포스트(510)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되는 네트(520) 및 상기 네트(520)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에 설치되는 인터락(5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의 제1 격벽(110)에 설치되는 포스트(510)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된 네트(520)를 권출하는 과정 및 상기 네트(520)의 타단을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에 설치된 인터락(59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제1 카세트 적재부(100)의 제1 격벽(110)에 설치되는 포스트(510)에 권취된 네트(520)를 권출하고, 권출된 네트(520)를 제2 카세트 적재부(200)에 설치된 인터락(59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가 연결되었음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펜스부(500)는 네트(520)의 타단과 인터락(590)의 결합 여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59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595)는 인터락(59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가 연결되었음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과정은 인터락 키(560)가 인터락(59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595)가 점등되지 않고 있다가, 유지 보수를 위하여 네트(520)의 타단에 설치된 인터락 키(560)가 인터락(590)에 삽입되어 고정된 경우 비로소 디스플레이(595)가 점등되어 스토커 시스템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진행 중임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스토커부(400)를 유지 보수하는 과정(S300)은 작업자에 의하여 스토커부(400)를 유지 보수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레일부(300)의 일단에 위치한 출입 도어를 통해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의 영역으로 들어가 운행이 중지되어 레일부(300)의 일단에 옮겨진 제1 스토커부(400a)를 유지 보수하거나, 레일부(300)의 타단에 위치한 출입 도어를 통해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 사이의 영역으로 들어가 운행이 중지되어 레일부(300)의 타단에 옮겨진 제2 스토커부(400b)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개방시키는 과정(S400)은, 펜스부(500)로 상기 스토커(400)의 이동 경로를 개방시킨다. 즉,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개방시키는 과정(S400)은 스토커부(400)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도록 레일부(300)를 가로지르는 펜스부(500)를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개방시키도록 작동시킨다.
여기서, 스토커부(400)의 이동 경로를 개방시키는 과정(S400)은 펜스부(500)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카세트 적재부(100)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인터락(590)과 상기 네트(520)의 타단의 결합을 해제하는 과정 및 상기 포스트(510)에 네트(520)를 권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유지 보수가 종료되면, 네트(520)의 타단에 설치된 인터락 키(560)와 제2 카세트 적재부(200)의 제2 격벽(210)에 설치된 인터락(590)의 결합을 해제하고, 포스트(510)에 네트(520)를 권취시킨다. 여기서, 포스트(510)에 네트(520)를 권취시키는 과정은, 상기 네트(520)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포스트(5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네트(520)가 상기 포스트(510)에 권취될 수 있다. 즉, 펜스부(500)는 네트(520)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포스트(510)를 결합시키는 탄성 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탄성 부재(5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인터락(590)과 상기 네트(520)의 타단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네트(520)는 포스트(510)에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의하면, 스토커부의 유지 보수시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스토커부가 유지 보수 중임을 외부에 알리고,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제2 카세트 적재부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 작업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즉, 스토커 시스템의 정상 운행 중에는 네트를 제1 카세트 적재부에 설치된 포스트에 권취된 상태로 유지하여 스토커의 운행을 간섭하지 않고,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중에는 네트를 권출하여 제2 카세트 적재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스토커 시스템의 정상 운행 모드와 유지 보수 모드 상호 간의 전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제1 카세트 적재부 110: 제1 격벽
200: 제2 카세트 적재부 210: 제2 격벽
300: 레일부 400: 스토커부
500: 펜스부 510: 포스트
520: 네트 530: 브라켓
540: 탄성 부재 550: 사이드바
560: 인터락 키 590: 인터락
595: 디스플레이

Claims (25)

  1.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복수의 제1 단위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카세트 적재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대향 배치되고, 카세트가 적재되기 위한 복수의 제2 단위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카세트 적재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 사이에서 카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토커부; 및
    상기 스토커부의 정상 운행시에는 상기 레일부 상에서 상기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스토커부의 유지 보수시에는 상기 레일부 상에서 상기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부는,
    상기 스토커부의 유지 보수시, 상기 레일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하는 스토커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하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되는 네트; 및
    상기 네트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에 설치되는 인터락;을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와 상기 인터락은, 상기 스토커의 상기 레일부를 가로지르는 폭 방향 길이보다 긴 간격으로 상호 대향 배치되는 스토커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복수의 제1 격벽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커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은, 상기 복수의 제2 격벽 중 상기 포스트가 설치되는 제1 격벽과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스토커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서 상기 네트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상기 포스트를 결합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펜스부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네트의 타단에 설치되는 사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기 인터락에 결합되도록 상기 사이드바에 설치되는 인터락 키;를 더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키와 상기 인터락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로 설치되는 스토커 시스템.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기 네트의 타단과 상기 인터락의 결합 여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인터락에 설치되는 스토커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부는,
    상기 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스토커부; 및
    상기 레일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스토커부;를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기 제1 스토커부와 상기 제2 스토커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커 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기 제1 스토커부와 상기 제2 스토커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펜스부 및 제2 펜스부;를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펜스부는,
    상기 제1 스토커부가 상기 레일부의 일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스토커부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1 스토커부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의 격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펜스부는,
    상기 제2 스토커부가 상기 레일부의 타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스토커부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2 스토커부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의 격벽을 상호 연결하는 스토커 시스템.
  18.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제2 카세트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스토커부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과정;
    상기 레일부를 가로질러 펜스부로 상기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과정;
    상기 스토커부를 유지 보수하는 과정; 및
    상기 펜스부로 상기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커부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과정은,
    상기 펜스부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의 제1 격벽에 일단이 고정된 네트의 타단을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의 제2 격벽에 결합시키는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의 제1 격벽에 설치되는 포스트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된 네트를 권출하는 과정; 및
    상기 네트의 타단을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에 설치된 인터락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의 이동 경로를 개방시키는 과정은,
    상기 펜스부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의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인터락과 상기 네트의 타단의 결합을 해제하는 과정; 및
    상기 포스트에 네트를 권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 네트를 권취하는 과정은,
    상기 네트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포스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네트가 상기 포스트에 권취되는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카세트 적재부와 상기 제2 카세트 적재부가 연결되었음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토커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
KR1020200189532A 2020-12-31 2020-12-31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 KR10241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32A KR102412486B1 (ko) 2020-12-31 2020-12-31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32A KR102412486B1 (ko) 2020-12-31 2020-12-31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486B1 true KR102412486B1 (ko) 2022-06-24

Family

ID=8221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532A KR102412486B1 (ko) 2020-12-31 2020-12-31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4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322A (ko) 2004-08-31 2006-03-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스토커 시스템
KR100655455B1 (ko) * 2006-09-14 2006-12-0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접이식 안전펜스
KR20070002616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스토커의 감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
KR20110033669A (ko) * 2009-09-25 2011-03-3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시스템
KR20110038276A (ko) * 2009-10-08 2011-04-1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322A (ko) 2004-08-31 2006-03-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스토커 시스템
KR20070002616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스토커의 감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동방법
KR100655455B1 (ko) * 2006-09-14 2006-12-0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접이식 안전펜스
KR20110033669A (ko) * 2009-09-25 2011-03-3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시스템
KR20110038276A (ko) * 2009-10-08 2011-04-1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98064A1 (en) Library service port
WO2008038566A1 (fr) Pont roulant gerbeur
KR101504146B1 (ko) 반송시스템
KR102412486B1 (ko)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
IL291406B2 (en) Conveying system and storage unit
KR101224121B1 (ko) 스토커 시스템
KR101117122B1 (ko) 스토커 시스템
KR102117437B1 (ko) 순환 주차설비용 파레트 장치
KR101918187B1 (ko) 트롤리 호이스트
CN115571544B (zh) 用于智能仓库电动搬运车的应急轨道装置
JP7347695B2 (ja) 天井保管システム
KR102185264B1 (ko) 이송 장치
TW202346173A (zh) 貯藏庫
JP2883849B2 (ja) 面状物体搬送治具
JP2007246231A (ja) 自動倉庫におけるスタッカクレーンの退避方法
JP6985069B2 (ja) 可動式制御盤を備えた駐車装置
JP7367851B2 (ja) 走行車システム
WO2024070301A1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WO2024070310A1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JP2000203703A (ja) 物品収納設備
WO2022255062A1 (ja) 走行車システム、単位ユニット、及び格子状軌道
US20230415991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TW202402640A (zh) 搬送系統
KR970010960B1 (ko) 자동 거래기 수납 장치
JP3000568B2 (ja) 大型車輌格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