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455B1 - 접이식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접이식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455B1
KR100655455B1 KR1020060089297A KR20060089297A KR100655455B1 KR 100655455 B1 KR100655455 B1 KR 100655455B1 KR 1020060089297 A KR1020060089297 A KR 1020060089297A KR 20060089297 A KR20060089297 A KR 20060089297A KR 100655455 B1 KR100655455 B1 KR 10065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illar
plate
hol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방식을 이용하여 필요한 공간에 따라 자유롭게 너비를 조절가능하며, 보관의 용이성이 증대되고, 이동이 쉬우며 신축에 의한 절첩방식으로 철거가 쉬운 접이식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기둥의 상부 중앙에는 수직기둥이 형성되며, 수직기둥의 하부 외측면에는 클램프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기둥부와, 기둥부의 결합되게, 신축밴드의 양끝단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금속링이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상부신축부와, 기둥부의 고정판 및 상부신축부에 결합되며, 'X'형상의 절첩대가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절첩되는 절첩부와, 절첩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기둥부의 수직기둥 내측면에 고정되며, 지그재그로 접혀진 절첩판이 좌우방향으로 절첩되게 이루어지는 절첩판부와, 절첩판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양단에는 갈고리가 형성된 신축밴드로 이루어지는 하부신축부와, 기둥부의 클램프하우징에 나사체결되도록, 손잡이의 하부에는 수나사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수나사축의 하부에 결합되게 암나사홀이 형성된 고정판의 하부에는 논슬립이 접착되어 이루어진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접이식 안전펜스는 공사현장에는 위험을 경고하거나 진입을 금지시킴으로써 공사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주위환경을 깨끗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접이식, 안전펜스, 기둥부, 신축밴드, 신축부, 절첩부, 절첩판부, 지지부, 논슬립

Description

접이식 안전펜스{Safety a Fence For Fold }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두 가지 방식의 안전펜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펜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펜스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신축부와 절첩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와 지지부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펜스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펜스의 접은 경우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펜스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둥부 11; 받침기둥
12; 수직기둥 12a; 결합홈
12b,63; 고정판 12b';고정홀
13; 클램프하우징 13a,63a; 암나사홀
14; 걸림고리 20; 상부신축부
21,52; 신축밴드 22; 결합돌기
23; 금속링 23a; 체결홀
30; 절첩부 31; 절첩대
32; 회동리벳 40; 절첩판부
41; 절첩판 41a; 관통홀
41b; 와이어 50; 하부신축부
51; 갈고리 60; 지지부
61; 손잡이 62; 수나사축
64; 논슬립 64a; 걸림돌기
100; 안전펜스
본 발명은 접이식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방식을 이용하여 필요한 공간에 따라 자유롭게 너비를 조절가능하며, 보관의 용이성이 증대되고, 이동이 쉬우며 신축에 의한 절첩방식으로 철거가 쉬운 접이식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는 위험을 경고하거나 진입을 금지시킴으로써 공사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주위환경을 깨끗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안전펜스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안전펜스로서, 여기에서 (A) 타입은 금속으로 이룬 것을, (B) 타입은 합성수지로 이룬 것을 각각 나타낸다.
먼저, (A) 타입의 안전펜스는 양측을 벤딩하여 '∩'형상으로 형성한 프레임(1)을 세워놓을 수 있도록 그 양끝에 받침대(2)가 용접에 의해 수직하게 접합되고, 상기 프레임(1)이 형성하는 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프레임(1)에 차폐패널(3)의 양끝이 각각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패널(3)은 전·후면에 주의문구 등이 표기된다.
그러나, (A) 타입의 경우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하중이 클 뿐만 아니라 일체형이므로 부피 또한 커 운반이나 보관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안출된 것이 (B) 타입으로서, (B) 타입의 안전펜스는 차폐패널(4)과, 상기 차폐패널(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5)와, 상기 지지다리(5) 사이에서 지지다리(5)에 양끝이 각각 결합되는 지지로드(6)로 구성된다.
이러한, (B) 타입은 하중의 경감을 위해 각기 내부가 비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B) 타입은 하중이 가볍고 분리가능하다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너비를 축소하거나 신장할 수 없어 사용공간에 따른 제약점이 있었다.
한편, (A)와 (B) 타입의 안전펜스는 둘 모두 너비를 조절할 수 없는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공사현장의 여건에 따른 변경적용이 불가능하며, 보관 보관면적을 넓게 필요로 하고, 설치 및 철거의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서는 차폐패널(3)(4)의 높이가 상이한 안전펜스를 별도로 구비해야만 하는 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체형의 안전펜스를 절첩대를 연결하여 형성한 절첩부 및 절첩판부를 형성하여 안전펜스의 너비를 사용공간에 따라 조절가능하여 사용용도 및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접이식 안전펜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펜스의 기둥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신축부와 하부신축부를 형성하고, 기둥부의 하부 외측에 지지부를 형성시켜, 안전펜스의 너비를 신장시킨 후 지지부를 설치면 바닥에 지지시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반면, 지지부를 설치면 바닥과 이탈시키면 상하부신축부의 복원력에 의해 안전펜스의 너비가 자동적으로 신축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접이식 안전펜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부신축부를 형성시켜 신장과 신축의 기능을 겸비시켜 보관의 용적률을 감소시켰으며, 이동이 쉽도록 구조가 개선된 접이식 안전펜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받침기둥의 상부 중앙에는 수직기둥이 형성되며, 수직기둥의 상부 끝단에는 결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홈의 위치된 하부 내측면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이 형성되는 한편, 수직기둥의 하부 외측면에는 암나사홀이 형성된 클램프하우징을 이루며, 클램프하우징의 반대편 수직기둥의 내측면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한 쌍의 기둥부와,
기둥부의 결합홈에 결합되게, 신축밴드의 양끝단에는 'ㅗ'형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신축밴드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의 금속링이 고정되어 체결홀이 형성된 상부신축부와,
기둥부의 고정판 및 상부신축부에 결합되며, 전후방으로 'X'형상으로 겹쳐지게 절첩대가 형성되되, 이웃하는 절첩대에 겹쳐지는 부분을 회동리벳으로 연결하여 좌우방향으로 절첩되는 절첩부와,
절첩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기둥부의 수직기둥 내측면에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여러 번 지그재그로 접혀진 절첩판이 형성되되, 절첩판의 하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절첩되는 절첩판부와,
절첩판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양단은 기둥부의 걸림고리에 연결되게 갈고리가 형성된 신축밴드로 이루어지는 하부신축부와,
기둥부의 클램프하우징에 나사체결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의 하부에는 수나사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수나사축의 하부에 결합되게 암나사홀이 형성된 고정판이 구비되며, 고정판의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논슬립이 접착되어 이루어진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펜스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펜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펜스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신축부와 절첩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와 지지부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펜스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펜스의 접은 경우의 상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펜스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안전펜스는 받침기둥(11)의 상부 중앙에는 수직기둥(12)이 형성되며, 수직기둥(12)의 하부 외측면에는 클램프하우징(13)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기둥부(10)와, 기둥부(10)의 결합되게, 신축밴드(21)의 양끝단에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되되, 금속링(23)이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상부신축부(20)와, 기둥부(10)의 고정판(12b) 및 상부신축부(20)에 결합되며, 'X'형상의 절첩대(31)가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절첩되는 절첩부(30)와, 절첩부(30)의 하부에 위치되어 기둥부(10)의 수직기둥(12) 내측면에 고정되며, 지그재그로 접혀진 절첩판(41)이 좌우방향으로 절첩되게 이루어지는 절첩판부(40)와, 절첩판부(40)의 관통홀(41a)에 삽입되며, 양단에는 갈고리(51)가 형성된 신축밴드(52)로 이루어지는 하부신축부(50)와, 기둥부(10)의 클램프하우징(13)에 나사체결되도록, 손잡이(61)의 하부에는 수나사축(62)이 일체로 형성되고, 수나사축(62)의 하부에 결합되게 암나사홀(63a)이 형성된 고정판(63)의 하부에는 논슬립(64)이 접착되어 이루어진 지지부(60)로 안전펜스(100)가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기둥부(10)를 구성하는 받침기둥(11)의 상부 중앙에는 수직기둥(12)이 형성된다.
즉, 받침기둥(11)과 수직기둥(12)은 사각형상의 파이프나 원통형상의 파이프로 구성가능하며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접합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수직기둥(12)의 상부 끝단에는 결합홈(12a)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결합홈(12a)은 수직기둥(12)의 내측면을 일부 절단하여 구성된 것이 다.
또한, 결합홈(12a)의 위치된 하부 내측면에는 고정홀(12b')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12b)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판(12b)은 수직기둥(12)의 내측면 상부정점에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용접방식으로 접합되어 구성되며, 고정홀(12b')은 고정판(12b)의 두께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수직기둥(12)의 하부 외측면에는 암나사홀(13a)이 형성된 클램프하우징(13)이 형성된다.
이러한, 클램프하우징(13)은 수직기둥(12)의 외측면에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원통형상의 모양으로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클램프하우징(13)의 반대편 수직기둥(12)의 내측면에는 걸림고리(14)가 형성된다.
즉, 걸림고리(14)는 'U'형상으로 구성되어 수직기둥(12)에 용접방식으로 고정된다.
부연설명하자면, 한 쌍의 기둥부(10)는 결합홈(12a), 고정판(12b), 걸림고리(14)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신축부(20)는 기둥부(10)의 결합홈(12a)에 결합되게, 신축밴드(21)의 양끝단에는 'ㅗ'형상의 결합돌기(22)가 형성되어 결합홈(12a)의 상부로 부터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아울러, 신축밴드(21)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의 금속링(23)이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체결홀(23a)일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체결홀(23a)은 절첩부(30)의 절첩대(31)가 서로 회동리벳(32)으로 연결될 때, 회동리벳(32)이 관통하여 신축밴드(21)가 늘어지거나 일측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신축밴드(21)는 띠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며, 한 쌍의 기둥부(10)가 이격되는 거리보다 길이가 짧은 길이로 형성하여, 한 쌍의 기둥부(10)를 이격간격을 멀어지게 하면 기둥부(10)에 연결된 신축밴드(21)는 신장되어 한 쌍의 기둥부(10)를 내측으로 잡아당겨 질 수 있는 복원력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절첩부(30)는 기둥부(10)의 고정판(12b) 및 상부신축부(20)에 결합되며, 전후방으로 'X'형상으로 겹쳐지게 절첩대(31)가 형성된다.
즉, 절첩대(31)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며, 하나의 절첩대(31)는 전방에 다른 하나의 절첩대(31)는 후방에 위치시켜 중앙부를 회동리벳(32)을 이용하여 'X'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하나의 'X'형상으로 형성된 절첩대(31)는 이웃하는 절첩대(31)가 겹쳐지는 부분을 회동리벳(32)으로 연결하여 좌우방향으로 절첩되게 구성한다.
부연설명하자면, 여러 개의 'X'형상 절첩대(31)는 양단 최외측에 위치되는 절첩대(31)의 상하부 끝단은 한 쌍의 기둥부(10)에 형성된 고정판(12b)의 고정홀(12b')을 관통하는 회동리벳(32)을 이용하여 회동 될 수 있도록 체결된다.
한편, 절첩판부(40)는 절첩부(30)의 하부에 위치되어 기둥부(10)의 수직기둥(12) 내측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절첩판부(40)를 수직기둥(12)에 고정하는 방식으로는 와이어(41b)를 이용하여 절첩판부(40)를 관통하여 수직기둥(12)의 종방향으로 여러 번 고정시켜, 사용시 파손으로 인한 절첩판부(40)의 교체작업이 간단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절첩판부(40)는 여러 번 지그재그로 접혀진 절첩판(41)이 형성되되, 절첩판(41)의 하부에는 관통홀(41a)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절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절첩판(41)은 플라스틱재질로 성형가능하며 절첩판(41)이 잘 접힐 수 있도록 접힘부분은 절첩판(41)의 본래 두께보다 얇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관통홀(41a)은 하부신축부(50)가 관통되어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하부신축부(50)는 절첩판부(40)의 관통홀(41a)에 삽입되며, 양단은 기둥부(10)의 걸림고리(14)에 연결되게 갈고리(51)가 형성된 신축밴드(52)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신축부(50)는 절첩판부(40)의 관통홀(41a)에 관통된 삽입된 후, 양단에 형성된 갈고리(51)를 이용하여 각각의 걸림고리(14)에 연결한다.
또한, 신축밴드(52)는 신축밴드(21)와 동일한 재질과 형상이되, 갈고리(51)와 견고하게 물림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지지부(60)는 기둥부(10)의 클램프하우징(13)에 나사체결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61)의 하부에는 수나사축(62)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수나사축(62)을 클램프하우징(13)의 암나사홀(13a)에 삽입하는 동시에 손잡이(61)를 회전시켜 수나사축(62)의 하부 끝단이 암나사홀(13a)을 관통하여 노 출되게 위치시킨다.
이후, 수나사축(62)의 하부 끝단에 암나사홀(63a)을 삽입시키며 회전시켜 고정판(63)을 풀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고정판(63)의 하부에는 걸림돌기(64a)가 형성된 논슬립(64)이 접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논슬립(64)는 경질의 고무재로 형성된 것으로, 안전펜스(100)가 설치되는 설치면 상부에 접촉되어 기둥부(1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펜스(100)는 지지부(60)가 결합된 한 쌍의 기둥부(10)를 마주보게 위치시킨 후, 각각의 결합홈(12a)에 상부신축부(20)의 신축밴드(21) 양단에 형성된 결합돌기(22)를 삽입시켜 결합하고, 다음으로, 기둥부(10)의 각각의 고정판(12b) 및 신축밴드(21)의 체결홀(23a)에 회동리벳(32)을 관통시키며 회동리벳(32)의 끝단에 절첩대(31)를 회동되게 결합하여 기둥부(10)와 절첩부(30)를 결합한다.
이후, 절첩판부(40)를 한 쌍의 기둥부(10)의 내측에 위치시키고 와이어(41b)를 이용하여 여러 군데를 연결한다.
그리고, 하부신축부(50)의 신축밴드(52)를 절첩판(41)에 형성된 관통홀(41a)에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양단을 각각 걸림고리(14)에 갈고리(51)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이렇게, 결합과정이 완료된 안전펜스(100)는 상하부신축부(20,50)의 신축밴 드(21,52)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절첩부(30)와 절첩판부(40)이 접히면서 기둥부(10)가 서로 좁은 간격을 이루도록 안전펜스(100)의 너비가 좁게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펜스(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한 명 또는 두 명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데, 먼저, 일측의 기둥부(10)에 결합된 지지부(60)의 손잡이(61)를 회전시키면 수나사축(62)에 결합된 고정판(63) 및 논슬립(64)이 하부로 회전과 동시에 하강되어 안전펜스(100)가 위치된 설치면 바닥에 닿게 된다.
다음으로, 반대편 기둥부(10)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하부신축부(20,50)의 신축밴드(21,52)는 늘어나게 되고, 절첩부(30)는 회동작용으로 늘어나며, 절첩판부(40)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펴지게 되면 기둥부(10)에 결합된 지지부(60)의 손잡이(61)를 회전시켜 논슬립(64)이 설치면 바닥에 닿게 하여 안전펜스(100)의 설치가 간단하게 종료되므로, 많을 설치인력이 요구되지 않으며, 작업시간이 절감된다.
반대로, 안전펜스(100)를 철거할 경우에는 일측 기둥부(10)의 지지부(60) 손잡이(61)를 설치할 때의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설치면 바닥과 접착되었던 논슬립(64)이 이탈되게 되면서 상하부신축부(20,50)의 신축밴드(21,52)의 복원력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안전펜스(100)의 너비가 외부 작용력 없이 감소된다.
이후, 반대편 지지부(60) 손잡이(61)를 동일한 방법으로 역회전시켜 설치면 바닥과 접착되었던 논슬립(64)이 이탈하게 되면 안전펜스(100)를 보관장소나 설치할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보관 및 재 설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일체형의 안전펜스를 절첩대를 연결하여 형성한 절첩부 및 절첩판부를 형성하여 안전펜스의 너비를 사용공간에 따라 조절가능하여 사용용도 및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전펜스의 기둥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신축부와 하부신축부를 형성하고, 기둥부의 하부 외측에 지지부를 형성시켜, 안전펜스의 너비를 신장시킨 후 지지부를 설치면 바닥에 지지시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반면, 지지부를 설치면 바닥과 이탈시키면 상하부신축부의 복원력에 의해 안전펜스의 너비가 자동적으로 신축되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부신축부를 형성시켜 신장과 신축의 기능을 겸비시켜 보관의 용적률을 감소시켰으며, 이동이 쉽도록 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받침기둥(11)의 상부 중앙에는 수직기둥(12)이 형성되며, 수직기둥(12)의 상부 끝단에는 결합홈(12a)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홈(12a)의 위치된 하부 내측면에는 고정홀(12b')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12b)이 형성되는 한편, 수직기둥(12)의 하부 외측면에는 암나사홀(13a)이 형성된 클램프하우징(13)을 이루며, 클램프하우징(13)의 반대편 수직기둥(12)의 내측면에는 걸림고리(14)가 형성된 한 쌍의 기둥부(10)와,
    기둥부(10)의 결합홈(12a)에 결합되게, 신축밴드(21)의 양끝단에는 'ㅗ'형상의 결합돌기(22)가 형성되되, 신축밴드(21)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의 금속링(23)이 고정되어 체결홀(23a)이 형성된 상부신축부(20)와,
    기둥부(10)의 고정판(12b) 및 상부신축부(20)에 결합되며, 전후방으로 'X'형상으로 겹쳐지게 절첩대(31)가 형성되되, 이웃하는 절첩대(31)에 겹쳐지는 부분을 회동리벳(32)으로 연결하여 좌우방향으로 절첩되는 절첩부(30)와,
    절첩부(30)의 하부에 위치되어 기둥부(10)의 수직기둥(12) 내측면에 와이어(41b)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여러 번 지그재그로 접혀진 절첩판(41)이 형성되되, 절첩판(41)의 하부에는 관통홀(41a)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절첩되는 절첩판부(40)와,
    절첩판부(40)의 관통홀(41a)에 삽입되며, 양단은 기둥부(10)의 걸림고리(14)에 연결되게 갈고리(51)가 형성된 신축밴드(52)로 이루어지는 하부신축부(50)와,
    기둥부(10)의 클램프하우징(13)에 나사체결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61)의 하부에는 수나사축(62)이 일체로 형성되고, 수나사축(62)의 하부에 결합되게 암나사홀(63a)이 형성된 고정판(63)이 구비되며, 고정판(63)의 하부에는 걸림돌기(64a)가 형성된 논슬립(64)이 접착되어 이루어진 지지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펜스.
KR1020060089297A 2006-09-14 2006-09-14 접이식 안전펜스 KR10065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97A KR100655455B1 (ko) 2006-09-14 2006-09-14 접이식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97A KR100655455B1 (ko) 2006-09-14 2006-09-14 접이식 안전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5455B1 true KR100655455B1 (ko) 2006-12-08

Family

ID=3773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297A KR100655455B1 (ko) 2006-09-14 2006-09-14 접이식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4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62B1 (ko) 2011-04-28 2012-10-12 주식회사보성이엔지 이동식 바리케이트
KR101307220B1 (ko) * 2011-11-22 2013-09-11 주식회사에스앤디인터내셔널 동물 출입 차단 펜스
KR101403542B1 (ko) 2012-07-06 2014-06-27 이진호 무빙 월
CN110029830A (zh) * 2019-05-16 2019-07-19 胡广云 一种方便安装的建筑安全用防护装置
KR102015779B1 (ko) * 2018-10-09 2019-08-28 대한민국 차량 안전 유도 펜스
KR20200100244A (ko) * 2019-02-15 2020-08-2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설 난간대
KR102412486B1 (ko) * 2020-12-31 2022-06-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62B1 (ko) 2011-04-28 2012-10-12 주식회사보성이엔지 이동식 바리케이트
KR101307220B1 (ko) * 2011-11-22 2013-09-11 주식회사에스앤디인터내셔널 동물 출입 차단 펜스
KR101403542B1 (ko) 2012-07-06 2014-06-27 이진호 무빙 월
KR102015779B1 (ko) * 2018-10-09 2019-08-28 대한민국 차량 안전 유도 펜스
KR20200100244A (ko) * 2019-02-15 2020-08-2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설 난간대
KR102184803B1 (ko) * 2019-02-15 2020-12-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설 난간대
CN110029830A (zh) * 2019-05-16 2019-07-19 胡广云 一种方便安装的建筑安全用防护装置
KR102412486B1 (ko) * 2020-12-31 2022-06-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시스템 및 이의 유지 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455B1 (ko) 접이식 안전펜스
JPH01268966A (ja) 足場用ネット装置
US10663181B2 (en) AC cage anti-theft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477753B1 (ko) 무천공 지주와 클램프를 이용한 메시형 울타리 및 이 시공 방법
KR101223976B1 (ko) 울타리 지주 결합구조
KR101381371B1 (ko) 조립식 구조물
US20070278042A1 (en) Toeboard clamp system
JP6258107B2 (ja) シート状物の取付装置
KR101364710B1 (ko) 조립식 구조물
KR200449569Y1 (ko) 파티션 연결용 커넥터
JP2014043678A (ja) 安全支柱用の型枠取付け金具
KR200467302Y1 (ko) 안전난간용 난간지주
CN205591576U (zh) 一种临边洞口可调式防护装置
JP2019060140A (ja) 仮設足場
JP3134075U (ja) 四角形開口部用墜落防止柵
KR200392870Y1 (ko) 도배발판
KR101670653B1 (ko) 스카이 어닝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20050049460A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101645094B1 (ko) 펜스형 차단봉
CN215838106U (zh) 床护栏拼接结构
JP5968390B2 (ja) 仮設足場
KR101947496B1 (ko) 복수의 테이블 연결장치
JP6543163B2 (ja) 折り畳み式水切りラック
JP2011001785A (ja) 脚付きスタンド
KR102208208B1 (ko)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