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670B1 -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 - Google Patents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670B1
KR102406670B1 KR1020210172665A KR20210172665A KR102406670B1 KR 102406670 B1 KR102406670 B1 KR 102406670B1 KR 1020210172665 A KR1020210172665 A KR 1020210172665A KR 20210172665 A KR20210172665 A KR 20210172665A KR 102406670 B1 KR102406670 B1 KR 10240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ushing
cylinder part
unit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학
Original Assignee
(주)대성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이노텍 filed Critical (주)대성이노텍
Priority to KR102021017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7Devices for handl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공정을 통해 버스바 및 부싱의 결합이 이루어져 신속하고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며, 생산률이 증가하고, 안전사고 발생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Bus-bar assembly automation device for On Board Charger}
본 발명은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테이블(100);와,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싱(20)을 공급하는 부싱공급부(200);와,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10)를 공급하는 버스바공급부(300);와,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부싱(20) 및 상기 버스바(10)가 거치되는 지그블럭(410)을 포함하는 턴테이블(400);과,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싱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상기 부싱(20)을 픽업하여 상기 지그블럭(410)에 안착시키는 부싱픽업유닛(500);과,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된 상기 버스바(10)를 픽업하여 상기 부싱(20)이 거치된 지그블럭(410a) 상에 상기 버스바(10)를 안착시키는 버스바픽업유닛(600);과,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부싱(20) 상부에 상기 버스바(10)가 놓인 지그블럭(410b)이 위치되면, 상기 버스바(1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11)에 상기 부싱(20)을 압입시키는 압입가이드유닛(700); 및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11)에 상기 부싱(20)이 압입된 상태의 상기 버스바(10)가 놓인 지그블럭(410c)이 위치되면, 공압을 통해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상기 버스바(10)를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가이드유닛(8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BC(On Board Charger)란, 전기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200V AC에서 차량의 모터를 구동시켜주는 고전압 배터리 충전기로서, 전기차 충전은 물론 전기차의 에너지를 다양한 곳에서 쓸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전기자동차의 충전은 급속충전과 완속충전 두가지로 분류되는데 OBC는 완속충전을 담당하는 제어기로서, LDC제어기와 협조하여 컨버터, 인버터, 배터리 등과 함께 전력변환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OBC의 전기적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버스바(Bus-bar)를 포함한 보빈이 구비되며, 보통 정류기에서 케이블을 통해 버스바(Bus-bar)까지 전류가 운반되며, 케이블과 버스 바는 볼트로 조여져 있다.
이러한 버스바(Bus-bar)는 막대형상으로 성형되어 상부에 부싱이 결합되어 사용된다.
한편, 기존 버스바(Bus-bar)와 부싱의 결합은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일일히 수작업을 통해 결합시키거나 다수개를 한 번에 결합시키기 위해 작업작가 프레스 작업대에 다수개의 부싱을 거치한 상태에서 그 위에 버스바(Bus-bar)를 올려 놓은 후 프레싱하여 결합시키는 작업을 진행하였는데,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결합 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단순반복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프레스 조작시 조작 미숙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58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버스바 및 부싱 결합작업을 기존 작업자들이 직접 체결하는 방식에서 자동화 장비를 통해 자동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며, 생산률이 증가하고, 안전사고 발생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는, 메인테이블(100);와,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싱(20)을 공급하는 부싱공급부(200);와,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10)를 공급하는 버스바공급부(300);와,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부싱(20) 및 상기 버스바(10)가 거치되는 지그블럭(410)을 포함하는 턴테이블(400);과,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싱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상기 부싱(20)을 픽업하여 상기 지그블럭(410)에 안착시키는 부싱픽업유닛(500);과,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된 상기 버스바(10)를 픽업하여 상기 부싱(20)이 거치된 지그블럭(410a) 상에 상기 버스바(10)를 안착시키는 버스바픽업유닛(600);과,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부싱(20) 상부에 상기 버스바(10)가 놓인 지그블럭(410b)이 위치되면, 상기 버스바(1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11)에 상기 부싱(20)을 압입시키는 압입가이드유닛(700); 및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11)에 상기 부싱(20)이 압입된 상태의 상기 버스바(10)가 놓인 지그블럭(410c)이 위치되면, 공압을 통해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상기 버스바(10)를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가이드유닛(8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싱픽업유닛(500)은, 상기 부싱공급부(200)의 공급로드(2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부싱(20)이 안착되는 부싱안착부(510)와, 상기 부싱안착부(510)의 중앙에 타공형성되는 통과공(520)과, 상기 부싱안착부(5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통과공(520)을 통과하여 상기 부싱(20)의 저면과 맞닿아 상기 부싱(2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1 샤프트(531)를 포함하는 제1 실린더부(530)와, 좌, 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작동되어 상기 부싱(20)을 집거나 놓아주는 제1 그리퍼(540)와, 상기 제1 그리퍼(54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부(550)와, 상기 제2 실린더부(550)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부(560)와, 상기 제2 실린더부(55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실린더부(55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 이동가이드레일부(5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스바픽업유닛(600)은, 상기 버스바공급부(100)의 공급로드(1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버스바(10)가 1차 안착되는 제1 버스바안착부(610)와, 상기 버스바안착부(610)에 안착된 상기 버스바(10)를 밀어 전진시키는 제2 샤프트(621)를 포함하는 제4 실린더부(620)와, 상기 제4 실린더부(620)에 의해 전진이동된 상기 버스바(10)가 2차 안착되는 제2 버스바안착부(630)와, 좌, 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작동되어 상기 버스바(10)을 집거나 놓아주는 제2 그리퍼(640)와, 상기 제2 그리퍼(64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5 실린더부(650)와, 상기 제2 그리퍼(640)와 상기 제5 실린더부(65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그리퍼(640)를 180도 회전시키는 회전체부재(660)와, 상기 제5 실린더부(650)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6 실린더부(670)와, 상기 제5 실린더부(650)와 결합되어 상기 제5 실린더부(65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 이동가이드레일부(6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가이드유닛(700)은, 상기 버스바(1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11)에 상기 부싱(20)을 압입시키는 압입해머(710)와, 상기 압입해머(71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프레스부(7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가이드유닛(800)은, 상기 지그블럭(410c)에 거치된 상기 버스바(10)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기 버스바(1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제3 샤프트(811)를 포함하는 제7 실린더부(810)와,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상기 버스바(10)의 상부 일부가 이탈된 부분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상기 버스바(10)를 분리시키는 고압에어분사구(820)와, 분리된 상기 버스바(10)가 낙하되어 외부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컨베이어(8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400)은, 상기 메인테이블(100)에 구비되는 구동부(420)와, 상기 구동부(420)에 의해 회전되는 원형회전판(430)와, 상기 원형회전판(430)의 둘레에 상기 원형회전판(430)의 중심으로부터 270도, 0도, 90도, 180도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4개의 상기 지그블럭(410, 410a, 410b, 410c)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블럭(410)은, 상기 부싱(20)이 놓여지는 부싱지지축(411)을 포함하는 거치판(412)과, 상기 부싱지지축(411)이 삽입되는 제1 장공(413)과, 상기 버스바(10)가 놓여지는 버스바인입홈(414)과, 상기 제1 장공(413) 주변에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 장공(415)이 형성되는 본체블럭(416)과, 상기 제2 장공(415)에 삽입되어 그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텐션바(417)와, 상기 거치판(412)과 상기 텐션바(417)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텐션바(41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18)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420)는 센서 및 제어부에 의해 작동시 상기 원형회전판(430)이 시계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한 뒤 정지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화 공정을 통해 버스바 및 부싱의 결합이 이루어져 신속하고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며, 생산률이 증가하고, 안전사고 발생률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부싱이 결합된 버스바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부싱픽업유닛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부싱픽업유닛의 작동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버스바픽업유닛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버스바픽업유닛의 작동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압입가이드유닛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압입가이드유닛의 작동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1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턴테이블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턴테이블의 평면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지그블럭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지그블럭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배출가이드유닛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의 구성 중 배출가이드유닛의 작동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1)는 크게, 메인테이블(100), 부싱공급부(200), 버스바공급부(300), 턴테이블(400), 부싱픽업유닛(500), 버스바픽업유닛(600), 압입가이드유닛(700) 및 배출가이드유닛(800)으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1)는 그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부, 구동부, 실린더, 각종센서, PCB, 전원인가장치 및 연동되는 구동요소들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 일부에는 구성요소의 일부가 생략되어 도시되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메인테이블(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메인테이블(100)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직사각형상의 거치대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이동의 편의를 위해 캐스터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부싱공급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부싱공급부(2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부싱(20)이 저장되고 저장된 부싱(20)을 후술할 부싱픽업유닛(500)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부싱공급부(200)의 내부에는 로터리컨베이어가 설치되어 부싱(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부싱(20)을 상기 부싱픽업유닛(500) 측으로 정렬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급로드(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부스바공급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부스바공급부(3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부싱공급부(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버스바(10)가 저장되고 저장된 버스바(10)를 후술할 버스바픽업유닛(600)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버스바공급부(300)의 내부에는 로터리컨베이어가 설치되어 버스바(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버스바(10)를 상기 버스바픽업유닛(600) 측으로 정렬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급로드(3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턴테이블(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턴테이블(400)은 도 15 또는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버스바(10) 및 부싱(20)이 거치, 결합, 배출 공정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구동부(420), 원형회전판(430) 및 지그블럭(4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420)는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에 구비되어 후술할 원형회전판(43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420)는 픽 앤 플레이스 인덱스 형태로 구비되어 센서 및 제어부에 의해 작동시 상기 원형회전판(430)이 시계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한 뒤 정지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원형회전판(430)에 구비되는 후술할 지그블럭(410, 410a, 410b, 410c)들이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에 각각 배치된 부싱픽업유닛(500), 버스바픽업유닛(600), 압입가이드유닛(700) 및 배출가이드유닛(800)에 각각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원형회전판(430)은 상기 구동부(420)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한 뒤 정지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원형회전판(430)의 상부 둘레에는 상기 지그블럭(410, 410a, 410b, 410c)들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그블럭(410)은 상기 원형회전판(430)의 둘레에 구비되어 버스바(10) 및 부싱(20)이 거치되어 결합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지그블럭(410, 410a, 410b, 410c)은 상기 원형회전판(430)의 중심으로부터 270도, 0도, 90도, 180도의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270도 상에 위치된 상기 지그블럭(410)에는 상기 부싱픽업유닛(500)에 의해 부싱(20)이 거치되고, 0도 상에 위치된 상기 지그블럭(410a)에는 부싱(20)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 상기 버스바픽업유닛(600)에 의해 버스바(10)가 더 안착되며, 90도 상에 위치된 상기 지그블럭(410b)에는 부싱(20) 및 버스바(10)가 안착된 상태에서 후술할 압입가이드유닛(700)에 의해 결합공(11)에 부싱(20)이 압입된 버스바(10)가 위치되고, 180도 상에 위치된 상기 지그블럭(410c)에는 결합이 완료된 버스바(10)가 위치되어 후술할 배출가이드유닛(8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지그블럭(410)은 도 16 또는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거치판(412) 및 본체블럭(4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판(412)은 상기 원형회전판(430) 상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 본체블럭(416)이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중앙에는 부싱(20)이 놓여지는 부싱지지축(411)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블럭(416)은 상기 거치판(412)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버스바(10)와 부싱(20)이 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부싱지지축(411)이 삽입되는 제1 장공(413)과, 상기 버스바(10)가 놓여지는 버스바인입홈(414)과, 상기 제1 장공(413) 주변에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 장공(415)이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상기 제2 장공(415)에는 그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텐션바(417)가 삽입되고, 상기 거치판(412)과 상기 텐션바(417) 사이에는 상기 텐션바 (41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18)가 각각 구비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장공(413)에 부싱(20)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버스바인입홈(414)에 버스바(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압입가이드유닛(700)이 부싱(20)이 위치된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부싱(20) 및 상기 텐션바(417)가 가압되어 부싱(20)은 결합공(11)에 압입되고, 상기 텐션바(417)는 제2 장공(415)을 따라 하강하게 됨으로써, 부싱(20)이 결합공(11)에 정확하게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부싱픽업유닛(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부싱픽업유닛(500)은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싱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부싱(20)을 픽업하여 상기 원형회전판(430)의 중심으로부터 270도 상에 위치된 상기 지그블럭(410)에 안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부싱안착부(510), 통과공(520), 제1 실린더부(530), 제1 그리퍼(540), 제2 실린더부(550), 제3 실린더부(560) 및 제1 이동가이드레일부(5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싱안착부(510)는 상기 부싱공급부(200)의 공급로드(210)로부터 공급되는 부싱(20)이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에는 후술할 제1 그리퍼(540)가 위치되고, 하부에는 후술할 제1 실린더부(530)가 위치된다.
상기 통과공(520)은 상기 부싱안착부(510)의 중앙에 타공형성되어 후술할 제1 샤프트(531)가 통과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통과공(520)은 상기 부싱안착부(510)에 부싱(2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실린더부(5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샤프트(531)가 상부측으로 이동하여 부싱(20)을 상부측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 실린더부(530)는 상기 부싱안착부(5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부싱(20)을 상부측으로 들어 올려주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통과공(520)을 통과하여 부싱(20)의 저면과 맞닿아 부싱(2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1 샤프트(5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리퍼(540)는 상기 부싱안착부(5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부싱(20)을 집거나 놓아주는 구성요소로서, 좌, 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작동된다.
상기 제2 실린더부(550)는 상기 제1 그리퍼(54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그리퍼(54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실린더부(560)는 상기 제2 실린더부(55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실린더부(550)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즉, 상기 제1 그리퍼(540)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동가이드레일부(570)는 상기 제2 실린더부(55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실린더부(55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실린더부(55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1 이동판(57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판(571)과 연결되어 상기 제3 실린더부(5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실린더부(550)의 좌, 우 방향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 레일(572)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버스바픽업유닛(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버스바픽업유닛(600)은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된 버스바(10)를 픽업하여 부싱(20)이 거치된 지그블럭(410a) 상에 버스바(10)를 안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 버스바안착부(610), 제4 실린더부(620), 제2 버스바안착부(630), 제2 그리퍼(640), 제5 실린더부(650), 회전체부재(660), 제6 실린더부(670) 및 제2 이동가이드레일부(6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버스바안착부(610)는 상기 버스바공급부(300)의 공급로드(310)로부터 공급되는 버스바(10)가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전방에는 후술할 제2 버스바안착부(630)가 위치되고, 후방에는 후술할 제4 실린더부(620)가 위치된다.
상기 제4 실린더부(620)는 상기 버스바안착부(610)에 안착된 버스바(10)를 밀어 상기 제2 버스바안착부(630)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버스바(10)를 가압하여 전진시키는 제2 샤프트(6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버스바안착부(630)는 상기 제4 실린더부(620)에 의해 전진이동된 버스바(10)가 최종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버스바안착부(630)의 상부에는 상기 제2 그리퍼(640)가 위치된다.
상기 제2 그리퍼(640)는 상기 제2 버스바안착부(6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버스바(10)을 집거나 놓아주는 구성요소로서, 좌, 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작동된다.
상기 제5 실린더부(650)는 상기 제2 그리퍼(64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그리퍼(64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체부재(660)은 상기 제2 그리퍼(640)와 상기 제5 실린더부(65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그리퍼(640)를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공급로드(310) 및 상기 지그블럭(410a)의 위치 및 원형회전판(430)의 설정된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공급로드(310)로부터 이송된 버스바(10)가 상기 지그블럭(410a)의 부스바인입홈(414)에 정확히 안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 제6 실린더부(670)는 상기 제5 실린더부(650)와 연결되어 상기 제5 실린더부(650)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즉, 상기 제2 그리퍼(640)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이동가이드레일부(680)는 상기 제5 실린더부(650)와 결합되어 상기 제5 실린더부(65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5 실린더부(65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2 이동판(68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판(681)과 연결되어 상기 제6 실린더부(67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5 실린더부(650)의 좌, 우 방향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 레일(682)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압입가이드유닛(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압입가이드유닛(700)은 도 13 또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부싱(20) 상부에 버스바(10)가 놓인 지그블럭(410b)이 위치되면, 상기 버스바(1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11)에 상기 부싱(20)을 압입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버스바(10)의 상부를 가압하여 결합공(11)에 상기 부싱(20)을 압입시키는 압입해머(710)와 상기 압입해머(71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프레스부(7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압입가이드유닛(700)의 일측에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고압에어분사구(820)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배출가이드유닛(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출가이드유닛(800)은 도 19 또는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결합공(11)에 부싱(20)이 압입된 상태의 버스바(10)가 놓인 지그블럭(410c)이 위치되면, 공압을 통해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버스바(10)를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7 실린더(810), 고압에어분사구(820) 및 이동컨베이어(8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7 실린더(810)는 상기 지그블럭(410c)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블럭(410c)에 거치된 버스바(10)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기 버스바(1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제3 샤프트(811)를 포함한다.
상기 고압에어분사구(820)는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버스바(10)의 상부 일부가 이탈된 부분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상기 버스바(10)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컨베이어는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버스바(10)가 낙하되어 외부의 포장소 또는 저장소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
100: 메인테이블
200: 부싱공급부 210: 공급로드
300: 버스바공급부 310: 공급로드
400: 턴테이블 410, 410a, 410b, 410c: 지그블럭
411: 부싱지지축 412: 거치판
413: 제1 장공 414: 버스바인입홈
415: 제2 장공 416: 본체블럭
417: 텐션바 418: 탄성부재
420: 구동부 430: 원형회전판
500: 부싱픽업유닛 510: 부싱안착부
520: 통과공 530: 제1 실린더부
531: 제1 샤프트 540: 제1 그리퍼
550: 제2 실린더부 560: 제3 실린더부
570: 제1 이동가이드레일부 571: 제1 이동판
572: 제1 레일
600: 버스바픽업유닛 610: 제1 버스바안착부
620: 제4 실린더부 621: 제2 샤프트
630: 제2 버스바안착부 640: 제2 그리퍼
650: 제5 실린더부 660: 회전체부재
670: 제6 실린더부 680: 제2 이동가이드레일부
681: 제2 이동판 682: 제2 레일
700: 압입가이드유닛 710: 압입해머
720: 프레스부
800: 배출가이드유닛 810: 제7 실린더부
811: 제3 샤프트 820: 고압에어분사구
830: 이동컨베이어

Claims (7)

  1. 버스바(10) 상부에 타공형성된 결합공(11)에 부싱(20)을 결합하고 고정시키는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1)에 있어서,
    메인테이블(100);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싱(20)을 공급하는 부싱공급부(200);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10)를 공급하는 버스바공급부(300);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부싱(20) 및 상기 버스바(10)가 거치되는 지그블럭(410)을 포함하는 턴테이블(400);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싱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상기 부싱(20)을 픽업하여 상기 지그블럭(410)에 안착시키는 부싱픽업유닛(500);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된 상기 버스바(10)를 픽업하여 상기 부싱(20)이 거치된 지그블럭(410a) 상에 상기 버스바(10)를 안착시키는 버스바픽업유닛(600);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부싱(20) 상부에 상기 버스바(10)가 놓인 지그블럭(410b)이 위치되면, 상기 버스바(1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11)에 상기 부싱(20)을 압입시키는 압입가이드유닛(700); 및
    상기 메인테이블(100)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11)에 상기 부싱(20)이 압입된 상태의 상기 버스바(10)가 놓인 지그블럭(410c)이 위치되면, 공압을 통해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상기 버스바(10)를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가이드유닛(8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턴테이블(400)은,
    상기 메인테이블(100)에 구비되는 구동부(420)와,
    상기 구동부(420)에 의해 회전되는 원형회전판(430)와,
    상기 원형회전판(430)의 둘레에 상기 원형회전판(430)의 중심으로부터 270도, 0도, 90도, 180도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4개의 상기 지그블럭(410, 410a, 410b, 410c)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픽업유닛(500)은,
    상기 부싱공급부(200)의 공급로드(2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부싱(20)이 안착되는 부싱안착부(510)와,
    상기 부싱안착부(510)의 중앙에 타공형성되는 통과공(520)과,
    상기 부싱안착부(5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통과공(520)을 통과하여 상기 부싱(20)의 저면과 맞닿아 상기 부싱(2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1 샤프트(531)를 포함하는 제1 실린더부(530)와,
    좌, 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작동되어 상기 부싱(20)을 집거나 놓아주는 제1 그리퍼(540)와,
    상기 제1 그리퍼(54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부(550)와,
    상기 제2 실린더부(550)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부(560)와,
    상기 제2 실린더부(55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실린더부(55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 이동가이드레일부(5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픽업유닛(600)은,
    상기 버스바공급부(100)의 공급로드(1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버스바(10)가 1차 안착되는 제1 버스바안착부(610)와,
    상기 버스바안착부(610)에 안착된 상기 버스바(10)를 밀어 전진시키는 제2 샤프트(621)를 포함하는 제4 실린더부(620)와,
    상기 제4 실린더부(620)에 의해 전진이동된 상기 버스바(10)가 2차 안착되는 제2 버스바안착부(630)와,
    좌, 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작동되어 상기 버스바(10)을 집거나 놓아주는 제2 그리퍼(640)와,
    상기 제2 그리퍼(64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5 실린더부(650)와,
    상기 제2 그리퍼(640)와 상기 제5 실린더부(65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그리퍼(640)를 180도 회전시키는 회전체부재(660)와,
    상기 제5 실린더부(650)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6 실린더부(670)와,
    상기 제5 실린더부(650)와 결합되어 상기 제5 실린더부(65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 이동가이드레일부(6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가이드유닛(700) 은,
    상기 버스바(1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결합공(11)에 상기 부싱(20)을 압입시키는 압입해머(710)와,
    상기 압입해머(71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프레스부(7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유닛(800)은,
    상기 지그블럭(410c)에 거치된 상기 버스바(10)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기 버스바(1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제3 샤프트(811)를 포함하는 제7 실린더부(810)와,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상기 버스바(10)의 상부 일부가 이탈된 부분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지그블럭(410c)으로부터 상기 버스바(10)를 분리시키는 고압에어분사구(820)와,
    분리된 상기 버스바(10)가 낙하되어 외부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컨베이어(8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1).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블럭(410)은,
    상기 부싱(20)이 놓여지는 부싱지지축(411)을 포함하는 거치판(412)과,
    상기 부싱지지축(411)이 삽입되는 제1 장공(413)과, 상기 버스바(10)가 놓여지는 버스바인입홈(414)과, 상기 제1 장공(413) 주변에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 장공(415)이 형성되는 본체블럭(416)과,
    상기 제2 장공(415)에 삽입되어 그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텐션바(417)와,
    상기 거치판(412)과 상기 텐션바(417)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텐션바(41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18)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420)는 센서 및 제어부에 의해 작동시 상기 원형회전판(430)이 시계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한 뒤 정지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1).





KR1020210172665A 2021-12-06 2021-12-06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 KR10240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665A KR102406670B1 (ko) 2021-12-06 2021-12-06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665A KR102406670B1 (ko) 2021-12-06 2021-12-06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670B1 true KR102406670B1 (ko) 2022-06-13

Family

ID=8198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665A KR102406670B1 (ko) 2021-12-06 2021-12-06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31881A (zh) * 2024-01-08 2024-02-09 四川省盛源鑫智能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铜排折弯机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635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로터리콤프레셔용 실린더블럭의 공정간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KR101695870B1 (ko) 2015-05-19 2017-01-13 김춘식 차량용 배터리 단자 클램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23095B1 (ko) * 2018-03-19 2019-02-27 박민홍 캡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캡 조립공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635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로터리콤프레셔용 실린더블럭의 공정간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KR101695870B1 (ko) 2015-05-19 2017-01-13 김춘식 차량용 배터리 단자 클램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23095B1 (ko) * 2018-03-19 2019-02-27 박민홍 캡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캡 조립공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31881A (zh) * 2024-01-08 2024-02-09 四川省盛源鑫智能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铜排折弯机床
CN117531881B (zh) * 2024-01-08 2024-04-26 四川省盛源鑫智能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铜排折弯机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0402B (zh) 夹持翻转组装工装及夹持翻转组装方法
KR101737795B1 (ko) 자석강 공급 장치
CN105057937B (zh) 一种壳体焊接生产设备
CN104227422A (zh) 带线式充电器自动测试铆合镭雕生产线
KR102406670B1 (ko) Obc용 버스바 조립자동화장치
CN108494071A (zh) 移动电源自动化生产系统
CN106129775B (zh) 一种多功能连接器组装平台
CN108723765B (zh) 一种插头全自动装配一体机
CN111347617B (zh) 电源线自动成型系统
CN204449907U (zh) 一种带线式充电器自动测试铆合镭雕设备
CN110031712B (zh) 一种碳刷架装配生产线及碳刷架测试系统
CN202712311U (zh) 圆柱电池盖帽焊机
CN111318869B (zh) 自动压销机
CN211759748U (zh) 键帽自动组装机
CN111016050A (zh) 电芯自动入料模注塑生产线
CN216085670U (zh) 一种载具自动插针设备
CN213857974U (zh) 遥控器外壳组装装置
CN111055119B (zh) 一种玩具遥控器组装生产线
CN211840921U (zh) 一种玩具遥控器组装生产线
CN110253253A (zh) 一种全自动缸体堵盖压装机
CN107825437B (zh) 一种双头三轴撕胶机
CN108695540A (zh) 锂电池极耳自动装配机
CN207952478U (zh) 一种自动绕线点焊成型机
CN109727800B (zh) 行程开关组装系统
CN114273888B (zh) 一种磁瓦装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