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125B1 -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125B1
KR102405125B1 KR1020210014699A KR20210014699A KR102405125B1 KR 102405125 B1 KR102405125 B1 KR 102405125B1 KR 1020210014699 A KR1020210014699 A KR 1020210014699A KR 20210014699 A KR20210014699 A KR 20210014699A KR 102405125 B1 KR102405125 B1 KR 10240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irculation
rail
rotation
ro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근
Original Assignee
비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앤에스(주) filed Critical 비앤에스(주)
Priority to KR102021001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이송시스템은, 바닥 지면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형성된 격자형의 작업대인 사각프레임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사각프레임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하되, 상기 상부베이스와 배향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 및 상기 하부베이스 면상 각각에는 롤러가 부착된 순환파렛트가 롤링되어 이송하기 위하여, 평행하게 정렬된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순환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사각 프레임의 일측 끝단과 분리되어 형성하되, 상기 상부베이스의 순환레일 또는 상기 하부베이스의 순환레일을 따라 롤링되어 이송되는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유닛프레임의 소정부위에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회전축을 구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회전유닛으로 이루어진 순환파렛트의 회수/공급 회전유닛에 의하여 시간 지연을 단축시킴으로써 설비 전체의 운영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운영시간의 단축으로 인하여 생산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A rotation unit that converts the moving direction of a pallet, and a pallet transfer system and transfer metho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렛트를 회수하는 리프터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유닛을 이용하여 제품이 적재된 순환파렛트(공급/회수 파렛트)를 순환레일과 롤러를 통해서 시간 지연없이 신속하게 회수/공급할 수 있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순환파렛트의 이송시간을 단축하여 생산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변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는 컨베이어 시스템(linear conveyor system)은 고속, 고하중, 고정밀로 제품을 이송하는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물류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또는 일반적인 파렛트(pallet)를 이용하여 운영하는 물류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파렛트는 생산된 제품을 싣고 각각의 생산 공정을 거치면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생산 공정을 모두 끝마친 파렛트는 제품을 하역하고, 다시 제품을 공급받기 위하여 제품이 공급되는 원래의 시작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물류 이송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리프터를 이용한 파렛트의 상승 및 하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물류 이송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리프터를 이용한 파렛트의 상승 및 하강 구조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파렛트를 회수하여 공급라인으로 되돌려 주기(이송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장치가 리프터(Lifter)이며, 이와 같은 리프터는, 물류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시스템에서 파렛트를 상승 또는 하강하여 파렛트를 회수 또는 공급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터의 동작에 의한 파렛트를 회수/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에서의 리프터의 동작과정은, 하부의 회수라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빈 파렛트인 순환되는 파렛트(11)가 순환레일(13)을 통하여 파렛트의 이송방향을 변환하는 장치인 리프터(30)가 설치된 프레임 구조 내로 진입하여 리프터레일(33)에 파렛트(31)가 안착되면, 리프터 상승/하강 구동 모터(35)에 의하여 리프터(30)가 상승하여 상승된 파렛트(31)는 리프터(30)가 설치된 프레임 구조 외부로 배출되어 파렛트(21)가 공급레일(23)상에 안착하게 된다. 리프터(30)의 리프터레일(33)로부터 파렛트(31)가 이탈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리프터(30)는 하강하여 연이어서 진행되어 도착하는 다음 파렛트(11)를 회수하기 위하여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에서의 리프터의 동작과정은 상기의 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의 리프터 동작과정과는 반대의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즉, 상부에 나타낸 공급레일(23)을 통하여 제품이 모두 하역된 빈 파렛트인 파렛트(21)가 공급레일(23)을 통하여 파렛트의 이송방향을 변환하는 장치인 리프터(30)가 설치된 프레임 구조 내로 파렛트(31)가 진입하여 리프터레일(33)에 안착되면, 리프터 상승/하강 구동모터(35)에 의하여 리프터(30)가 하강하여 하강된 파렛트(31)는 리프터(30)가 설치된 프레임 구조 외부로 배출되어 파렛트(11)가 회수레일(13)상에 안착하게 된다. 리프터(30)의 리프터레일(33)로부터 하강된 파렛트(31)가 배출되어 이탈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리프터(30)는 상승하여 연이어서 진행되어 도착하는 다음 파렛트(21)를 회수하기 위한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물류 이송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레일과 롤러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물류 이송 컨베이어시스템은, 레일(13, 23, 33)이 두 개의 열로 수평하게 정렬된 구조로 형성되며, 또한. 파렛트(11, 21, 31)상의 하부에는 좌우/전후 사방에 각각 두 개의 롤러(12, 22, 32)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롤러(12, 22, 32) 사이에 레일(3, 23, 33)이 끼워져서 롤링되며, 파렛트(11, 21, 31)의 하부 저면에는 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14)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르면, 간단한 물류 컨베이어시스템에서의 설비 운영의 작업시간을 좌우하는 공정이 리프터에 의하여 파렛트를 상승 및 하강하는 리프팅 공정이며, 이와 같은 리프팅 공정에 따른 시간 지연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의 종래기술에서 발생되는 리프팅 공정에서의 시간 지연을 개선하여 단축할 경우에는 물류 컨베이어시스템에서 파렛트의 이송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20-0091589호(2020.07.31) 특허문헌2. 등록특허공보 10-1287027호(2013.07.17) 특허문헌3.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7468호(2005.06.17) 특허문헌4. 공개특허공보 10-2000-0059646호(2000.10.05)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기술의 리프터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순환파렛트를 회수/공급할 수 있는 회전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제작의 편리성 및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감안한 레일/롤러의 프레임 구조를 개선하여 순환파렛트를 회수/공급하는 회전유닛에 의하여 작업시간의 단축 및 설비의 성능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리프터에 의한 리프팅 공정 대신에 순환파렛트의 회수/공급 회전유닛에 의하여 시간 지연을 단축시킴으로써 설비 전체의 운영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운영시간의 단축으로 인하여 생산 효율을 증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은,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유닛프레임과, 상기 회전유닛프레임의 소정부위에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회전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쌍으로 배향되도록 형성하되, 롤러가 부착된 순환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상부레일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롤러가 부착된 순환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하방으로 하부레일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레일, 각각은 순환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두 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두 라인 각각의 양측으로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다.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는 각각의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레일에 안착되는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방향인 전진방향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방향인 후진방향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이송시스템은, 바닥 지면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형성된 격자형의 작업대인 사각 프레임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사각프레임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하되, 상기 상부베이스와 배향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 및 상기 하부베이스 면상 각각에는 롤러가 부착된 순환파렛트가 롤링되어 이송하기 위하여, 평행하게 정렬된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순환레일; 및 상기 사각 프레임의 일측 끝단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베이스의 순환레일 또는 상기 하부베이스의 순환레일을 따라 롤링되어 이송되는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베이스의 하부레일을 형성하는 두 라인 각각의 양측으로 롤러가 끼워져서 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베이스 및 상기 하부베이스 상에는 각각의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레일에 안착되는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부레일은 순환파렛트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공급라인이며, 상기 하부베이스의 하부레일은 순환파렛트를 회수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회수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부레일 또는 상기 하부베이스의 하부레일을 따라 롤링되어 진입하는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유닛프레임과, 상기 회전유닛프레임의 소정부위에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회전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회수 이송방법은, 본 발명의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제품이 모두 하역된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 롤링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110); 상기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된 순환파렛트가,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진행하여 상기 회전유닛으로 진입하여 안착하는 단계(S120); 상기 회전유닛에서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는 단계(S130); 및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에서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서 배출되어 회수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140) 단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상기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배출되는(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회수 이송방법은,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롤링 진행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순환파렛트를 공급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1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공급 이송방법은, 본 발명의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 롤링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210); 상기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된 순환파렛트가,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진행하여, 상기 회전유닛으로 진입하여 안착하는 단계(S220); 상기 회전유닛에서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는 단계(S230); 및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에서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서 배출되어 공급되는 단계(S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240) 단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상기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인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배출되는(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공급 이송방법은,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롤링 진행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회전유닛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2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회수 및 공급 이송방법은,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제품이 모두 하역된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 롤링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110); 상기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된 순환파렛트가,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진행하여 상기 회전유닛으로 진입하여 안착하는 단계(S120); 상기 회전유닛에서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는 단계(S130);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에서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서 배출되어 회수되는 단계(S140);와,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회수되는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 롤링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210); 상기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된 순환파렛트가,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진행하여, 상기 회전유닛으로 진입하여 안착하는 단계(S220); 상기 회전유닛에서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는 단계(S230); 및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에서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서 배출되어 공급되는 단계(S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은, 종래기술의 리프터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순환파렛트를 회수/공급할 수 있는 회전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제작의 편리성 및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감안한 레일/롤러의 프레임 구조를 개선하여 순환파렛트를 회수/공급하는 회전유닛에 의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설비의 성능개선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리프터에 의한 리프팅 공정 대신에 순환파렛트의 회수/공급 회전유닛에 의하여 시간 지연을 단축시킴으로써 설비 전체의 운영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운영시간의 단축으로 인하여 생산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물류 이송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리프터를 이용한 파렛트의 상승 및 하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물류 이송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리프터를 이용한 파렛트의 상승 및 하강 구조의 상세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물류 이송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레일과 롤러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가이드롤러와 가이드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순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순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순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방정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순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방정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순환레일에서 회전유닛으로 진입전의 상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순환레일에서 회전유닛으로 진입전의 상태를 나타낸 전방정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순환레일에서 회전유닛으로 진입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으로의 진입전 및 진입후의 비교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 전의 상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 전의 상태를 나타낸 후방정면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방정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후방정면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방정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순환레일로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순환레일로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정면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순환레일로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에서 회수되는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종래기술인 리프터 방식에 따른 기본적인 설비운영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회전방식에 따른 기본적인 설비운영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롤러와 순환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방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후방사시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방정면도이고,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방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은, 바닥 지면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형성된 격자형의 작업대인 사각 프레임(101)상의 상부베이스(110) 상에서 롤러(112)가 부착된 순환파렛트(111)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부베이스(110) 상에 상방으로 형성하되 평행하게 정렬된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순환레일(113)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은, 바닥 지면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형성된 격자형의 작업대인 사각 프레임(101)상에는 상기 상부베이스(110)와 평행하게 배향되어 상기 상부베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베이스(210)의 하방으로 롤러(212)가 부착된 순환파렛트(211)를 이송하기 위하여 형성하되 평행하게 정렬된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순환레일(213)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은,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일측 끝단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순환파렛트(111, 211)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유닛프레임(301)으로 형성되는 회전유닛(30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에 따르면, 상기 상부베이스(110)에 형성되는 평행하게 정렬된 두 라인의 순환레일(113)을 공급레일(113)로도 명명하기도 하며, 아울러, 상기 공급레일(113) 상에 안착되는 롤러(112)가 부착된 순환파렛트(111)를 공급파렛트(111)로도 명명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하부베이스(210)에 형성되는 평행하게 정렬된 두 라인의 순환레일(213)을 회수레일(213)로도 명명하기도 하며, 아울러, 상기 회수레일(113) 상에 안착되는 롤러(212)가 부착된 순환파렛트(211)를 회수파렛트(211)로도 명명하기도 한다.
한편,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롤러와 순환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같이, 이는 종래기술에 따른 물류 이송 컨베이어시스템에서 레일과 롤러가 결합된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에서, 상부베이스(110)에서 순환파렛트(111)의 롤러(112)와 순환레일(113)이 결합되는 구조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의 사각프레임(101) 상부의 상부베이스(110)에 설치되는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순환(또는 공급)레일(113)이 수평하게 정렬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베이스(110)의 순환레일(113)을 롤링하는 순환(또는 공급)파렛트(111)의 하부면에는 좌우/전후 사방(경우에 따라서는 파렛트의 크기/하중에 따라 중간/좌우도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음)에 각각 두 개가 쌍으로 이루어진 롤러(112)가 부착되고 상기 순환레일(113) 양측으로 각각에 쌍으로 이루어진 롤러(112)가 끼워져서 롤링되며, 순환파렛트(111)의 하부 저면인 상부베이스(110)에는 롤링되어 진행되는 상기 순환파렛트(111)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114)가 형성되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에서, 하부베이스(210)에서 순환파렛트(211)의 롤러(212)와 순환레일(213)이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상부베이스(110)와 동일한 구조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은,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의 사각프레임(101) 상부의 상부베이스(110)에 대향되게 평행하게 형성되는 사각프레임(101) 하부의 하부베이스(210)상에는 형성되는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순환(또는 회수)레일(213)이 수평하게 정렬된 구조로 형성되며, 순환레일(213) 역시도 순환(또는 회수)파렛트(211)에 부착된 롤러(212)가 끼워져서 롤링되어 진행되며, 상기 하부베이스(210)상에도 상기 순환파렛트(211)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114)가 형성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순환레일(113)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111)에 부착된 쌍으로 이루어진 롤러(112)가 끼워져서 롤링되며, 상기 순환레일(213)에 상기 순환파렛트(211)에 부착된 쌍으로 이루어진 롤러(112)가 끼워져서 롤링되기 때문에 즉, 상기 순환레일(113, 213) 및 롤러(112, 212)는 롤링 시에 상호 가이드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순환레일을‘가이드레일’및 상기 롤러(112, 212)를‘가이드롤러’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를 공급하여 회수하는 과정은, 상부베이스(110)의 공급레일(113)을 따라 진행되는 공급파렛트(111)의 진행방향이 회전유닛(300)의 180도 회전동작에 의하여 전환되어, 하부베이스(210)의 회수레일(213)로 배출하는 과정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베이스(110)의 순환레일(113)(파렛트를 공급하는 공급라인으로서의 공급레일(113))을 따라 롤링되는 공급되어진 순환파렛트(111)인 공급파렛트(111)가 이송 공정상 모든 공정을 모두 완료한 상태에서, 공급파렛트(111)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300)(일명“회수 회전유닛(300)”)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유닛(300)에 의한 진행방향 전환에 의하여 상기 공급파렛트(111)가 회수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유닛(300)은 순환파렛트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회전유닛(300)은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인 회수측 터미널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수 회전유닛(300)의 180도 회전동작에 의하여, 순환파렛트인 공급파렛트(111)의 진행방향이, 공급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는 역방향(반대방향)으로 전환되어 하부베이스(210)의 회수레일(213)로 배출함으로써, 회수라인인 회수레일(213)을 통하여 회수파렛트(211)를 회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수 회전유닛(300)의 180도 회전동작에 의하여 상부베이스(110)의 공급파렛트(111)는, 하부베이스(210)상의 회수파렛트(211)로 전환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순환파렛트를 회수하여 공급하는 과정은, 하부베이스(210)의 회수레일(213)을 따라 진행되는 회수파렛트(211)의 진행방향을 회전유닛(300)의 180도 회전동작에 의하여 전환되어 상부베이스(110)의 공급레일(113)로 배출하는 과정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베이스(210)의 순환레일(213)인 파렛트를 회수하는 회수라인으로서의 회수레일(213)을 따라 롤링되어 회수되어진 순환파렛트(211)인 회수파렛트(211)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300)(일명“공급 회전유닛(300))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유닛(300)에 의한 진행방향 전환에 의하여 상기 회수파렛트(211)가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유닛(300)은 파렛트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공급 회전유닛(300)은 공급하는 터미널인 공급측 터미널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급 회전유닛(300)의 180도 회전동작에 의하여, 순환파렛트인 회수파렛트(211)의 진행방향이, 회수파렛트(211)가 진행해온 방향과는 역방향(반대방향)으로 전환되어 상부베이스(110)의 공급레일(113)로 배출함으로써 공급라인인 공급레일(113)을 통하여 공급파렛트(111)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 회전유닛(300)의 180도 회전동작에 의하여 하부베이스(210)의 회수파렛트(211)는, 상부베이스(110)상의 공급파렛트(111)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에서 순환파렛트를 회수하여 공급하는 터미널 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순환파렛트를 회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에서, 사각 프레임(101)의 상부인 상부베이스(110)에 형성되는 공급라인인 상부의 공급레일(113)(또는 순환레일(113))을 통하여 진행되어 제품이 모두 하역된 공급파렛트(111)(또는 순환파렛트(111))는,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인 상기 회수 회전유닛(300)에 의하여 진행방향이 전환(상기 공급파렛트(111)가 진행되는 전진방향으로 180도 회전(뒤집혀짐))됨으로써 즉, 공급파렛트(111)는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하부베이스(210)에 형성되는 회수라인인 하부의 회수레일(213)(또는 순환레일(213))을 통하여 롤링되어 이송되는 회수파렛트(211)로 전환되며, 전환된 회수파렛트(211)는 하부의 회수레일(213)을 통하여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인 공급 회전유닛(300)으로 순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 라인상에 안착된 공급파렛트(111) 상부와 공급레일(113) 상부 모두는 상부 윗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며, 회수 라인상에 안착된 회수파렛트(211) 상부와 회수레일(213) 상부 모두는 지면방향인 아랫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상부베이스(110)와 상기 하부베이스(210)가 서로 배향(대향)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그와 각각 관련되는 순환파렛트(111, 211) 및 순환레일(113, 213) 각각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종래기술인 도 1에 따르면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이 모두 동일하게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 및 도 6a 내지 도 6d와 같이, 공급라인인 상부베이스(110)와 회수라인인 상기 하부베이스(210)가 배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이 본 발명에 따른 특징 중 하나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300)은,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유닛프레임(301)과, 상기 회전유닛프레임(301)의 소정부위에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회전축(302)과, 상기 회전축(302)에 지지되어 회전구동모터(303)에 의하여 회전축(30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축(302)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30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305)는, 상기 회전축(302)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쌍으로 배치되는 상부프레임(310) 및 하부프레임(320)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10)은 상방(윗쪽방향)으로 순환되는 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상부레일(313)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프레임(320)은 하방(아랫방향)으로 순환되는 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하부레일(323)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300)은,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일측 끝단과 분리되는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유닛프레임(301)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상부베이스(110)와 상기 하부베이스(210)가 대향되도록 형성된 것과 동일하게, 상방으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310)과 그에 대향되도록 하방으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320)을 포함하는 회전플레이트(305)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20)은 회전축(302)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10)에는 롤러(112)가 부착된 순환파렛트(111)를 회전하여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진입되는 경우에 상기 순환파렛트(111)를 안착하기 위한 상부레일(313)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프레임(320) 역시도 롤러(212)가 부착된 순환파렛트(211)를 안착하기 위한 하부레일(323)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유닛(300)은, 상기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20)으로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305)가 장착된 회전축(302)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모터(303)를 회전유닛프레임(101)상에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300)에서, 상기 회전축(302)은 회전유닛프레임(301)의 소정부위에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 회전플레이트(305)는 상기 회전축(302)에 지지되어 회전구동모터(303)에 의하여 회전축(30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축(302)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회전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프레임(310)의 상부레일(313)에,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롤러(112)가 부착된 순환파렛트(111)가 진입되어 안착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300)의 180도 회전동작에 의하여 순환파렛트(111)의 진행방향이 진행해온 방향과 역방향으로 전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305)가 구동하면,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는, 회전유닛프레임(101)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302)에 수직한 방향인 종방향으로 180도 회전된다. 즉,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플레이트(305)는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하는 방향의 종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05)는,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전진방향 하방(아랫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지는 경우와,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후진방향 하방(아랫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지는 경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도 6a 내지 도 6d에서, 상기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20) 각각에 순환파렛트(111)로서의 공급파렛트(111)와 순환파렛트(211)로서의 회수파렛트(211)가 모두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회전유닛(300)의 회전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나타낸 것일 뿐, 만약, 상기 상부프레임(310)에 공급파렛트(111)가 있는 경우에는 하부프레임(320)에는 회수파렛트(211)가 없는 상태이고,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320)에 회수파렛트(211)가 있는 경우에는 상부프레임(310)에는 회수파렛트(211)가 없는 상태이다.
즉, 후술되는 도 7a 내지 도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의 사각프레임(101) 상부의 상부베이스(110)에 설치되는 공급레일(113)에 안착되어 진행되는 공급파렛트(111)가 회전유닛(300)으로 진입하면, 회전유닛(300)에서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프레임(310)에 설치된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상부레일(313)에 롤러(112)가 끼워져서 롤링되어 공급파렛트(111)가 안착된다. 이 경우에,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하부프레임(320)에 설치된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하부레일(323) 상에는 회수파렛트(211)가 없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회전유닛(300)의 회전유닛프레임(301)상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303)에 의하여 회전축(302)에 지지되는 회전플레이트(305)가 회전축(302)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180도 회전하면, 즉,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프레임(310)은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하부프레임(320)으로 상호 전환(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축(302)이 회전유닛프레임(301)에 횡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구동모터(303)가 구동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305)는 상기 회전축(302)을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302)에 수직한 방향인 종방향으로 회전 즉,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종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305)는,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전진방향의 하방, 또는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후진방향의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플레이트(305)가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인 전진방향 하방, 진행해온 방향의 후진방향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면, 상기 공급파렛트(111)에 부착된 롤러(112)가 두 라인의 상부레일(313)에 끼워져서 안착된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방향을 향하는 상부프레임(310)은 하방을 향하는 하부프레임(320)로 반전되고, 동시에 두 라인의 하부레일(323)이 형성된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하부프레임(320)은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방향을 향하는 상부프레임(310)로 반전된다.
따라서, 즉, 회전플레이트(305)가 회전되면,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313)이 형성된 상부프레임(310)이 위치하고, 회전플레이트(305)의 하부는 하방을 향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323)에 순환파렛트(211)의 롤러(212)가 끼워진 상태의 하부프레임(320)으로 반전되기 때문에, 상기 공급파렛트(111)는, 상기 공급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진행되기 위한 회수파렛트(211)로 전환되고, 전환된 회수파렛트(211)는 하부의 회수레일(213)을 통하여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인 공급 회전유닛(300)으로 순환된다.
다음으로는, 지금까지의 설명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에서 순환파렛트가 공급, 회전, 및 회수되는 각각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순환레일에서 회전유닛으로 진입전의 상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순환레일에서 회전유닛으로 진입전의 상태를 나타낸 전방정면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순환레일에서 회전유닛으로 진입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상기 상부베이스(110)의 공급레일(113)의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인 회수 회전유닛(300)에 진입하기 전에 대기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에서, 물류를 이송하기 위한 작업대인 사각프레임(10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베이스(110)에는 공급파렛트(111)를 이송하기 위한 공급레일(113)이 연속하여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롤러(112)가 부착된 공급파렛트(111)는 상기 공급레일(113)을 통하여 롤링되어 이송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에서 상부베이스(110)에 형성된 공급파렛트(111)를 이송하기 위한 공급레일(113)은,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으로부터 시작되는 공급라인으로서의 공급레일(113)에 해당되므로, 상기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인 공급 회전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순환파렛트인 공급파렛트(111)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의 여러 가지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파렛트(111)에 제품을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하는 등의 일련의 공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공급레일(113)을 따라 롤링되어 이송되면서 물류를 이송하기 위한 작업대인 사각프레임(101) 끝단에 도달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공급파렛트(111)는 제품이 모두 하역된 텅빈 상태에서 공급파렛트(111)의 진행방향을 진행해온 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역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회전유닛(300)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게 된다.
즉, 도 7a 내지 도 7c는, 제품이 모두 하역된 순환파렛트(111)인 공급파렛트(111)의 롤러(112)가, 사각 프레임(101)의 상부인 상부베이스(110)에 형성되는 공급라인인 공급레일(113)에 끼워져서 롤링되어 공급레일(113)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111)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 즉, 순환되는 순환파렛트(111)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회전유닛(300)에 진입하기 전의 단계로서 대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으로 진입하기 전과 진입한 후의 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도는 순환파렛트(111)가 회전유닛(300)으로 진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우측도는 순환파렛트(111)가 회전유닛(300)으로 진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사각 프레임(101)의 끝단과 회전유닛(300)의 회전유닛프레임(301)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도에서 사각 프레임(101)의 끝단과 회전유닛(300)의 회전유닛프레임(301) 사이의 간격은“d"인 반면에, 우측도에서 사각 프레임(101)의 끝단과 회전유닛(300의 회전유닛프레임(301) 사이의 간격은“d‘”으로서, 좌측도에서의 간격보다도 우측도에서의 간격이 보다 넓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300)의 회전축(302)상에 지지되는 회전플레이트(305)에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배향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상기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20)이 회전되어 반전되기 위하여 상기 회전유닛(300)의 상부프레임(310) 및 하부프레임(320)의 끝단 모서리 부위가 회전 시에 간섭을 방해받지 않게 하기 위하여, 순환파렛트(111)가 회전유닛(300)에 진입하여 안착된 후에는 소정의 간격이 더 넓게 유지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의 회전유닛(300)의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유닛프레임(301)상의 회전축(302)에 지지되는 상부프레임(310) 및 하부프레임(320)을 구비한 회전플레이트(305)가 회전동작을 하는 경우에 사각프레임(101)과의 상호 부딪침(간섭) 없이 무난하게 회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 전의 상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 전의 상태를 나타낸 후방정면도이며,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방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a 내지 도 9d는 사각프레임(101)의 공급레일(113) 끝단에 존재하였던 공급파렛트(111)가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프레임(310)의 상부레일(313)로 진입하여 이동한 상태에서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180도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도 9d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유닛(300)의 회전축(302) 중심으로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20) 중에서, 상기 상부프레임(310)의 상부레일(313) 양측으로 공급파렛트(111)에 부착된 쌍으로 이루어진 롤러(112)가 끼워져서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회전동작을 위한 대기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순환파렛트(111)의 하부 저면인 상부프레임(310)에는 상기 순환파렛트(111)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114)가 형성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한편, 하부프레임(320)상 하부레일(323)에는 순환파렛트(211)가 존재하지 않고 리니어모터(114)가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공급레일(113) 끝단에 정지된 공급파렛트(111)가, 상기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프레임(310)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313)에 상기 공급파렛트(111)의 롤러(112)가 끼워져서 롤링되어 순환파렛트(111)의 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300)에 안착되어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후방정면도이며,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파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회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방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a 내지 도 10d에서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305)가 구동하면,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302)에 수직한 방향인 종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공급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플레이트(305)는 상기 공급파렛트(111)가 진행하는 방향의 종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축(302)을 중심으로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20) 중에서, 상기 상부프레임(310)의 공급레일(313)에 안착된 공급파렛트(111)가 180도 회전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하부프레임(310)의 하부레일(313)에 안착된 것과 같은 회수파렛트(111)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도 10d는, 상기 회전유닛(300)의 회전축(302)을 중심으로 지지되는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20) 중에서, 상기 하부프레임(320)의 하부레일(313) 양측으로 순환파렛트(211)에 부착된 쌍으로 이루어진 롤러(212)가 끼워져서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300)으로부터 상기 사각프레임(101)의 하부베이스(210)에 형성되는 회수레일(213)로 배출되기 전의 대기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순환파렛트(211)의 하부 저면인 하부프레임(320)에는 상기 순환파렛트(211)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114)가 형성되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프레임(310)에 설치된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상부레일(313) 상에는 순환파렛트(111)가 없는 상태이고 상부프레임(310) 상에 리니어모터(114)가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30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302)에 지지되는 회전플레이트(305)가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전진방향으로 180도 뒤집혀져 회전된 상태, 또는 순환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후진방향으로 180도 뒤집혀져 회전된 상태이며, 상기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하부프레임(320)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313)에 상기 순환파렛트(211)의 롤러(212)가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각프레임(101)의 하부베이스(210)에 형성되는 회수레일(213)로 배출하기 전의 대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05)는, 공급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전진방향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지는 경우와, 공급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후진방향하방으로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지는 경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회전하기 전의 상태이고, 도 10a 내지 도 10d는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180도 회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회전하기 전에는 상부프레임(310)상의 상부레일(313)에 순환파렛트(111)가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반면에,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회전한 후에는 하부프레임(310) 상의 하부레일(323)에 순환파렛트(211)가 끼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회전됨으로써 상부레일(313)에 안착된 공급파렛트(111)가 회전한 후에는 하부레일(323)에 안착된 회수파렛트(211)로 전환되고, 따라서, 공급파렛트(111)가 공급레일(113)을 따라롤링되어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종방향으로 회전된 후 공급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과는 반대방향(역방향)으로 회수파렛트(211)가 회수레일(213)을 따라 롤링되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순환파렛트(211)가 회수되어 질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순환레일로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순환레일로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정면도이며,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가 회전유닛에서 순환레일로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정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공급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인 전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이거나, 또는 공급파렛트(111)가 진행해온 방향인 후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이다.
즉,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하부프레임(320)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323)에 상기 회수파렛트(211)의 롤러(212)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300)으로부터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하부인 하부베이스(210)에 형성되는 회수라인인 회수레일(213)에 순환파렛트(211)인 회수파렛트(211)의 롤러(212)가 끼워져서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전유닛(300)으로부터 사각 프레임(101)의 회수라인으로 배출되면, 배출된 회수파렛트(211)는 회수라인인 회수레일(213)을 따라 롤링되어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공급파렛트(111)로 제공하기 위한 회전유닛(300)에 도달한다. 즉,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하부인 하부베이스(210)에 형성되는 회수라인인 회수레일(213)에 회수파렛트(211)의 롤러(212)가 끼워져서 회수레일(213) 끝단까지 롤링 진행하여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인 공급 회전유닛(300)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한다. 즉, 순환되는 순환파렛트인 회수파렛트(211)의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공급파렛트(111)로 제공하기 위한 회전유닛(300)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을 이용하여 파렛트를 이송방법으로서,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에서 공급되는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과정과,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에서 회수되는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과정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도 7a 내지 도 11c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에서 공급되어지는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에서 공급되어지는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1 단계 : 회수 대기단계) :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에서 제품이 모두 하역된 순환파렛트(111)인 공급파렛트(111)의 롤러(112)가, 사각 프레임(101)의 상부인 상부베이스(110)에 형성되는 공급라인인 상부의 공급 가이드레일(113)에 끼워져 롤링되어 공급레일(113) 끝단에 정지하여 공급파렛트(111)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인 (회수) 회전유닛(300)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110);
(제 1-2 단계 : 진입단계) : 상기 공급레일(113) 끝단에 정지된 공급파렛트(111)가, 상기 (회수)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프레임(310)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313)에 상기 공급파렛트(111)의 롤러(112)가 끼워져서 진행하여, 공급파렛트(111)를 회수하는 상기 (회수) 회전유닛(300)으로 진입하여 안착하는 단계(S120);
(제 1-3 단계 : 회전단계) : 상기 회전유닛(300)에서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프레임(310)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313)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111)의 롤러(112)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30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302)을 중심으로 지지되는 회전플레이트(305)가 상기 순환파렛트(111)가 진행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전진방향의 하방(아랫방향) 또는 진행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후진방향의 하방(아랫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는 단계(S130);
(제 1-4 단계 : 배출(이탈)단계) : 상기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인,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하부프레임(320)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323)에 상기 순환파렛트(211)의 롤러(212)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300)으로부터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하부인 하부베이스(210)에 형성되는 회수라인인 회수레일(213)에 상기 순환파렛트(211)인 회수파렛트(211)의 롤러(212)가 끼워져서 배출되는(이탈되는) 단계(S140);
(제 1-5 단계 : 회수/공급단계) : 상기 (회수) 회전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하부인 하부베이스(210)에 형성되는 회수라인인 회수레일(213)에 회수파렛트(211)의 롤러(212)가 끼워져서 롤링 진행되어 회수레일(213)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인 (공급) 회전유닛(300)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150); 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공급파렛트(111)는 상부의 공급레일(113)을 따라 진행하여 (회수) 회전장치(300)에서 반전(180도 회전)되어 하부의 회수레일(213)을 따라 진행되는 (제 1-1 단계 : 회수 대기단계) 내지 (제 1-5 단계 : 회수/공급단계)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여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으로 순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라인상에 안착된 공급파렛트(111)의 상부 및 공급레일(113) 상부 모두는 상부 윗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며, 회수라인상에 안착된 회수파렛트(211)의 상부 및 회수레일(213) 상부 모두는 지면방향인 아랫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에서 회수되는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에서 회수되는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에서 회수되는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1 단계 : 공급 대기단계) : 파렛트 이송시스템(100)에서 순환파렛트(211)인 회수파렛트(211)의 롤러(212)가, 사각 프레임(101)의 하부인 하부베이스(210)에 형성되는 회수라인인 하부의 회수레일(213)에 끼워져 롤링되어 회수레일(213)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를 공급하는 터미널 측인 (공급) 회전유닛(300)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210);
(제 2-2 단계 : 진입단계) : 상기 회수레일(213) 끝단에 정지된 회수파렛트(211)가, 상기 (공급)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하부프레임(320)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323)에 상기 회수파렛트(211)의 롤러(212)가 끼워져서 진행하여, 회수파렛트(211)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 회전유닛(300)으로 진입하여 안착하는 단계(S220);
(제 2-3 단계 : 회전단계) : 상기 회전유닛(300)에서 회전플레이트(305)의 하부프레임(320)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323)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211)의 롤러(322)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300)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30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302)을 중심으로 지지되는 회전플레이트(305)가 상기 순환파렛트(2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전진방향의 상방(위쪽방향)으로 또는 상기 순환파렛트(211)가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방향인 후진방향의 상방(위쪽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는 단계(S230);
(제 2-4 단계 : 배출(이탈)단계) : 상기 회전유닛(300)의 회전플레이트(305)가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인, 상기 회전플레이트(305)의 상부프레임(310)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313)에 상기 순환파렛트(111)의 롤러(112)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300)으로부터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상부인 상부베이스(110)에 형성되는 공급라인인 공급레일(113)에 상기 순환파렛트(111)인 공급파렛트(111)의 롤러(112)가 끼워져서 배출되는(이탈되는) 단계(S240);
(제 2-5 단계 : 공급/회수단계) : 상기 (공급) 회전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사각 프레임(101)의 상부인 상부베이스(110)에 형성되는 공급라인인 공급레일(113)에 공급파렛트(111)의 롤러(112)가 끼워져서 롤링 진행되어 공급레일(113)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인 회수 회전유닛(300)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250)
따라서, 상기의 회수파렛트(211)는 하부의 회수레일(213)을 따라 진행하여 공급 회전장치(300)에서 반전(180도 회전)되어 상부의 공급레일(113)을 따라 진행되는 (제 1 단계 : 공급 대기단계) 내지 (제 5 단계 : 공급/회수단계)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여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터미널 측으로 순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수라인상에 안착된 회수파렛트(211)의 상부 및 회수레일(213) 상부 모두는 지면방향인 아랫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며, 공급라인상에 안착된 공급파렛트(111)의 상부 및 공급레일(113) 상부 모두는 상부 윗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13a는 종래기술인 리프터 방식에 따른 기본적인 설비운영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회전방식에 따른 기본적인 설비운영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인 리프터를 이용한 컨베이어시스템인 경우는, 리프터에 진입된 파렛트를 하강한 후 파렛트를 배출하고, 다시 다음 파렛트를 하강하기 위하여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는 시간이 약 20초 정도 소요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이용한 이송시스템인 경우는 회전유닛에 진입된 순환파렛트를 한 번의 회전유닛에 의한 회전동작 시간만이 소요된 후 바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약 10초 정도만이 소요되므로, 결과적으로 도 13a의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터를 이용한 컨베이어 이송시스템에 비하여 도 13의 본 발명의 회전유닛을 이용한 파렛트 이송시스템이 운영시간이 크게 단축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유닛을 이용한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은, 종래기술의 리프터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순환파렛트를 회수/공급할 수 있는 회전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제작의 편리성 및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감안한 레일/롤러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순환파렛트를 회수/공급하는 회전유닛에 의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설비의 성능개선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리프터에 의한 리프팅 공정 대신에 순환파렛트의 회수/공급 회전유닛에 의하여 시간 지연을 단축시킴으로써 설비 전체의 운영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운영시간의 단축으로 인하여 생산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물류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시스템
11 : 회수파렛트 12 : 롤러
13 : 회수레일 14 : 리니어모터
21 : 공급파렛트 22 : 롤러
23 : 공급레일
30 : 리프터 31 : 파렛트
32 : 롤러 33 : 리프터 레일
35 : 리프터 상승/하강 구동 모터
100 : 파렛트 이송시스템
101 : 사각 프레임 110 : 상부베이스
111 : 순환파렛트(또는 공급파렛트) 112 : 롤러
113 : 순환레일(또는 공급레일 또는 가이드레일)
114 : 리니어모터
210 : 하부베이스
211 : 순환파렛트(또는 회수파렛트) 212 : 롤러
213 : 순환레일(또는 회수레일 또는 가이드레일)
300 : 회전유닛 301: 회전유닛프레임
302 : 회전축 303 :회전구동모터
305 : 회전플레이트
310 : 상부프레임 313 : 상부레일
320 : 하부프레임 323 : 하부레일

Claims (30)

  1.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유닛프레임과,
    상기 회전유닛프레임의 소정부위에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회전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쌍으로 배향되도록 형성하되, 롤러가 부착된 순환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상부레일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롤러가 부착된 순환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하방으로 하부레일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는 각각의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레일에 안착되는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레일, 각각은 순환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두 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두 라인 각각의 양측으로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방향인 전진방향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방향인 후진방향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
  6. 바닥 지면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형성된 격자형의 작업대인 사각 프레임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베이스와, 상기 사각프레임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하되, 상기 상부베이스와 배향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 및 상기 하부베이스 면상 각각에는 롤러가 부착된 순환파렛트가 롤링되어 이송하기 위하여, 평행하게 정렬된 두 라인으로 형성되는 상부베이스의 상부레일과 하부베이스의 하부레일로 이루어지는 순환레일; 및
    상기 사각 프레임의 일측 끝단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베이스의 순환레일 또는 상기 하부베이스의 순환레일을 따라 롤링되어 이송되는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베이스 및 상기 하부베이스 상에는 각각의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레일에 안착되는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베이스의 하부레일을 형성하는 두 라인 각각의 양측으로 롤러가 끼워져서 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부레일은 순환파렛트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공급라인이며, 상기 하부베이스의 하부레일은 순환파렛트를 회수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회수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부레일 또는 상기 하부베이스의 하부레일을 따라 롤링되어 진입하는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회전유닛프레임과, 상기 회전유닛프레임의 소정부위에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회전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쌍으로 배향되도록 형성하되, 롤러가 부착된 순환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상부레일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롤러가 부착된 순환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하방으로 하부레일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는 각각의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레일에 안착되는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레일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레일, 각각은 순환파렛트를 안착하기 위하여 두 라인으로 형성되며, 상기 두 라인 각각의 양측으로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14. 삭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전진방향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후진방향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16.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제품이 모두 하역된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구비되는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 롤링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110);
    상기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된 순환파렛트가,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진행하여 상기 회전유닛으로 진입하여 안착하는 단계(S120);
    상기 회전유닛에서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는 단계(S130); 및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에서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구비되는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서 배출되어 회수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 이송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S140) 단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상기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배출되는(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 이송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롤링 진행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순환파렛트를 공급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 이송방법.
  19.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방향인 전진방향의 하방 또는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방향인 후진방향의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 이송방법.
  20.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구비되는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 롤링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210);
    상기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된 순환파렛트가,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진행하여, 상기 회전유닛으로 진입하여 안착하는 단계(S220);
    상기 회전유닛에서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는 단계(S230); 및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에서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구비되는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서 배출되어 공급되는 단계(S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공급 이송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S240) 단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상기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인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배출되는(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공급 이송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롤링 진행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회전유닛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2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공급 이송방법.
  23.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전진방향의 상방으로 또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방향인 후진방향의 상방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공급 이송방법.
  24.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제품이 모두 하역된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구비되는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 롤링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110);
    상기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된 순환파렛트가,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진행하여 상기 회전유닛으로 진입하여 안착하는 단계(S120);
    상기 회전유닛에서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는 단계(S130);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에서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서 배출되어 회수되는 단계(S140);와
    파렛트 이송시스템에서 회수되는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구비되는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 롤링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210);
    상기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된 순환파렛트가,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순환파렛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리니어모터가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진행하여, 상기 회전유닛으로 진입하여 안착하는 단계(S220);
    상기 회전유닛에서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 상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는 단계(S230); 및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플레이트가 180도 회전하여 뒤집혀진 상태에서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끼워져서 배출되어 공급되는 단계(S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공급 이송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S140) 단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하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상기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배출되는(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공급 이송방법.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사각 프레임의 하부인 하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롤링 진행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순환파렛트를 공급하여 회전유닛에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공급 이송방법.
  27. 청구항 24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방향인 전진방향의 하방 또는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방향인 후진방향의 하방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공급 이송방법.
  28.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S240) 단계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두 라인의 상부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상기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상기 순환파렛트인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배출되는(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공급 이송방법.
  29.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사각 프레임의 상부인 상부베이스에 형성되는 순환레일에 순환파렛트의 롤러가 끼워져서 롤링 진행되어 순환레일 끝단에 정지하여 순환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여 순환파렛트를 회수하는 회전유닛 진입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단계(S2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공급 이송방법.
  30. 청구항 24, 청구항 28,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동일한 전진방향의 상방으로 또는 상기 순환파렛트가 진행해온 방향과 반대방향인 후진방향의 상방으로 18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회수/공급 이송방법.
KR1020210014699A 2021-02-02 2021-02-02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KR10240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699A KR102405125B1 (ko) 2021-02-02 2021-02-02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699A KR102405125B1 (ko) 2021-02-02 2021-02-02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125B1 true KR102405125B1 (ko) 2022-06-08

Family

ID=8198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699A KR102405125B1 (ko) 2021-02-02 2021-02-02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125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225A (ja) * 1991-10-17 1993-04-27 Cmk Corp 基板の反転装置
JPH05116740A (ja) * 1991-10-23 1993-05-14 Kanai Hiroyuki 自動車用ホイールのデイスクの反転装置
JPH08310776A (ja) * 1995-05-15 1996-11-26 Mitsubishi Heavy Ind Ltd 加減速式動く歩道
KR20000059646A (ko) 1999-03-06 2000-10-05 조충환 팔렛트 반전장치
KR200387468Y1 (ko) 2005-03-14 2005-06-17 윤명구 팔레트 대차형 반전기
KR20050082594A (ko) * 2004-02-19 2005-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송장치
KR100922610B1 (ko) * 2009-03-16 2009-10-21 태재근 회전식 컨베이어 장치
KR101287027B1 (ko) 2011-09-26 2013-07-17 (주)코윈테크 자동창고용 파렛트 전환장치
KR20140088140A (ko) * 2011-10-12 2014-07-09 페로텍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기계 고정 성분과의 비접촉식 자석 드라이브 조립체
KR20150077664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캐리어 회전 장치
KR20170074462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반전장치
KR20200091589A (ko)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벤텍 파렛트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225A (ja) * 1991-10-17 1993-04-27 Cmk Corp 基板の反転装置
JPH05116740A (ja) * 1991-10-23 1993-05-14 Kanai Hiroyuki 自動車用ホイールのデイスクの反転装置
JPH08310776A (ja) * 1995-05-15 1996-11-26 Mitsubishi Heavy Ind Ltd 加減速式動く歩道
KR20000059646A (ko) 1999-03-06 2000-10-05 조충환 팔렛트 반전장치
KR20050082594A (ko) * 2004-02-19 2005-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송장치
KR200387468Y1 (ko) 2005-03-14 2005-06-17 윤명구 팔레트 대차형 반전기
KR100922610B1 (ko) * 2009-03-16 2009-10-21 태재근 회전식 컨베이어 장치
KR101287027B1 (ko) 2011-09-26 2013-07-17 (주)코윈테크 자동창고용 파렛트 전환장치
KR20140088140A (ko) * 2011-10-12 2014-07-09 페로텍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기계 고정 성분과의 비접촉식 자석 드라이브 조립체
KR20150077664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캐리어 회전 장치
KR20170074462A (ko) *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반전장치
KR20200091589A (ko)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벤텍 파렛트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637972A (zh) 昇降搬運裝置
JP5078563B2 (ja) 自動倉庫
CN215699329U (zh) 一种输送定位工装及焊接系统
CN112299047A (zh) 一种货物自动装卸的方法
KR102405125B1 (ko)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JP2013227746A (ja) パレットの搬送装置
KR102405128B1 (ko) 파렛트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회전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파렛트 이송시스템 및 파렛트 이송방법
KR20190066990A (ko) 원지 공급을 위한 파렛트 자동 반·출입 장치
CN217903089U (zh) 晶圆缓存机构
KR100974063B1 (ko) 창고용 박스 반입 및 반출 시스템
JP2006315829A (ja) 自動倉庫
CN211768513U (zh) 一种汽车螺母焊接零件缺陷视角自检装置
CN109534217B (zh) 便于手动液压搬运车作业的升降式输送机
JP4583554B2 (ja) 容器バッファ・供給装置及び容器バッファ・供給方法
CN107458993A (zh) 一种生产线物料自动搬运与装卸成套系统
CN216612956U (zh) 一种用于物流的升降装置
CN110624837A (zh) 一种连续式垂直分拣系统
CN220577388U (zh) 运输小车
CN219258728U (zh) 一种传送机构
CN220975312U (zh) 存储装置和生产线
CN212355590U (zh) 一种并行上下料系统
KR100554971B1 (ko) 타이어 스트립의 운반 및 적재 자동화장치
JPH07185828A (ja) パネル部材の溶接装置
CN216862595U (zh) 一种投入辊道装置
CN220456437U (zh) 石墨舟装卸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