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515B1 -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515B1
KR102404515B1 KR1020220032616A KR20220032616A KR102404515B1 KR 102404515 B1 KR102404515 B1 KR 102404515B1 KR 1020220032616 A KR1020220032616 A KR 1020220032616A KR 20220032616 A KR20220032616 A KR 20220032616A KR 102404515 B1 KR102404515 B1 KR 10240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베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베이스
Priority to KR1020220032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천연물 재료로부터 추출한 향기 분자를 통해 피부세포의 후각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fragrance emission and skin regene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천연물 재료로부터 추출한 향기 분자를 통해 피부세포의 후각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skin)는 인체의 가장 외부를 덮고 있는 조직으로 인체를 보호하고 장벽기능을 하여 외부의 화학적·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일차적인 방어기능을 한다. 피부는 표피(epidermis)와 진피(dermis), 피하지방층(subcutis)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바깥층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층은 95%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구성되어있다. 표피의 각질형성세포는 피부에 침투하는 세균, 화학 물질 등에 효율적으로 방어하고,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피부의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에 관여한다. 또한, 각질형성세포의 이동과 증식은 상처치유와 피부 재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콜라젠(collagen) 합성을 유도하여 피부의 탄력 증진과 기저막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콜라젠은 α-chain에 따라 20종 이상의 콜라젠이 있으며, 사람의 피부에는type I, III, IV, V, VI 및 VII 형 콜라겐이 분포하고 있다. 주로 type I 콜라젠은 피부 진피층의 85% 이상을 구성하고, type IV 콜라겐은 기저막(basement membrane)의 주요 구조 단백질로서, type I 및 IV 콜라겐의 합성은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고, 기저막 형성을 향상시켜 피부 세포들의 부착과 증식이 조절되고, 유해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장벽기능의 향상과 표피와 진피의 상호작용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이동과 증식, 그리고 콜라젠 합성의 유도는 피부 재생과 상처치유 뿐만 아니라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건강한 피부가 유지되도록 도와준다.
최근 화장품·의약외품에서 사용되는 여러 화학합성 물질의 인체에 대한 높은 독성과 호르몬 교란 등의 문제가 인식되면서 천연 소재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천연 향료는 향과 아로마테라피 효과 뿐만 아니라 항균 및 항염증 작용에 대한 효과까지 알려지면서 천연물 유래 천연 향료에 대한 연구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천연향료(香料)는 추출물, 추출법,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식물 유래 천연향료는 추출법에 따라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엡솔루트(absolute), 콘크리트(concrete) 등으로 분류된다. 식물 유래 천연 향료는 식물의 2차 대사 산물 중 인체에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휘발성 화학물질로, 알코올·알데히드·케톤·에스테르 등 많은 테르펜화합물이 성분이다. 이러한 천연 향료의 방향성 성분이 피부, 순환계, 후각계를 통해 스트레스 해소, 피로 회복, 근육 이완 등의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항균작용, 면역 증진, 항알러지 작용 등의 치료효과를 나타내어 오래전부터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활용되어왔으며 식품 향료와 향장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소비자들이 건강한 삶을 추구함에 따라 천연성분을 사용한 제품 및 천연원료에 관심을 갖게 됐고, 그 결과 천연향료 시장 또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렇듯 천연 소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면서,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 개발 관련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63004호에서는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이용하여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과 멜라닌 합성 및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피부재생과 관련한 천연물 화장품의 수요가 높아 추가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6300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연물 재료로부터 추출한 향기 분자를 통해 피부세포의 후각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활성탄 10~20중량%, 은행잎 10~20중량% 및 증류수 60~80중량%로 구성된 수조에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넣고 1~3시간 침지 후 건조시키는 침지 단계; 상기 침지가 완료된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증류하여 1차 혼합 추출물을 추출하는 1차 추출 단계; 상기 1차 추출을 마친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건조 및 분쇄 후 50~80% 에탄올에 침지하고 50~60℃에서 5~10시간 동안 숙성하여 2차 혼합 추출물을 추출하는 2차 추출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 추출물, 2차 혼합 추출물,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 및 아마란스 씨앗 추출물을 혼합하는 복합 조성물 제조 단계; 를 포함하는,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및 2차 혼합 추출물은 피부세포의 OR2AT4 후각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추출단계는 2차 혼합 추출물을 부탄올을 포함하는 용매로 제1분획 후, 메탄올을 포함하는 용매로 제2분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조성물 제조 단계는 복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개나리 꽃 추출물 5~10중량% 및 벌개미취 추출물 5~10중량%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은 백단향 나무칩 60~80중량%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 20~40중량%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복합 조성물은 1차 혼합 추출물 30~50중량%, 2차 혼합 추출물 20~30중량%,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 10~20중량% 및 아마란스 씨앗 추출물 10~20중량%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물 재료로부터 추출한 향기 분자를 통해 피부세포의 후각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촉진시키므로 피부재생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활성탄 10~20중량%, 은행잎 10~20중량% 및 증류수 60~80중량%로 구성된 수조에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넣고 1~3시간 침지 후 건조시키는 침지 단계; 상기 침지가 완료된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증류하여 1차 혼합 추출물을 추출하는 1차 추출 단계; 상기 1차 추출을 마친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건조 및 분쇄 후 50~80% 에탄올에 침지하고 50~60℃에서 5~10시간 동안 숙성하여 2차 혼합 추출물을 추출하는 2차 추출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 추출물, 2차 혼합 추출물,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 및 아마란스 씨앗 추출물을 혼합하는 복합 조성물 제조 단계; 를 포함하는,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활성탄 10~20중량%, 은행잎 10~20중량% 및 증류수 60~80중량%로 구성된 수조에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넣고 1~3시간 침지 후 건조한다.
상기 활성탄은 흡착성이 강하고,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탄소질로 된 물질로, 흡착제로 기체나 습기를 흡수시키거나 탈색제로 사용된다. 목재나 갈탄 등을 염화아연 등의 약품으로 처리, 건조시켜 제조한다.
상기 은행잎은 은행나무의 잎을 의미하며, 은행잎 추출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징코라이드 및 플라보노이드, 진놀 등의 성분은 혈관을 확장하는 작용뿐만 아니라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여 혈류의 흐름을 개선해주며, 따라서 동맥경화, 심근경색, 고혈압 등의 여러 혈관 질환들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항산화 및 항염효과와 당뇨 개선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백단향(Sandalwood)은 단향나무 줄기의 심재를 의미하며, 맑은 향기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향료로 사용되거나 오일을 추출하여 급성 기관지염 또는 임질의 치료에 사용한다.
상기 프랑스 해안송(Pinus pinaster)은 프랑스 남서부지역의 지중해 해안에서 자라는 소나무를 의미하며, 프랑스 해안송에서 추출한 추출물은 폴리페놀인 플라반제놀을 함유하고 있어 강력한 항산화활성, 혈관보호, 혈액순환 개선, 간 기능개선, 운동시 근육 손상 억제 효과 등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은 백단향 나무칩 60~80중량%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 20~40중량%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침지가 완료된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증류하여 1차 혼합 추출물을 추출한다.
상기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 extract)은 식물의 아로마 정유를 추출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대상이 되는 식물을 스팀처리하여 수증기가 아로마와 혼합되고 이러한 수증기는 상부로 올라가 냉각관을 거치면서 응축되어 액체화되면서 아로마 오일이 냉각관을 거쳐 모이게 된다.
상기 1차 혼합 추출물은 피부세포의 OR2AT4 후각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혼합 추출물의 향기 분자가 피부 표피의 주요 성분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 있는 후각 수용체 OR2AT4와 결합하여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 수용체는 내부 화학신호를 통해 피부세포의 이동 및 증식 기능을 활성화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차 추출을 마친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건조 및 분쇄 후 50~80% 에탄올에 침지하고 50~60℃에서 5~10시간 동안 숙성하여 2차 혼합 추출물을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 추출은 추출 후 2차 혼합 추출물을 부탄올을 포함하는 용매로 제1분획 후, 메탄올을 포함하는 용매로 제2분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결과물을 분획물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상기 2차 추출을 통해 얻은 2차 혼합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2차 혼합 추출물은 상기 1차 혼합 추출물과 같이, 피부세포의 OR2AT4 후각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1차 혼합 추출물, 2차 혼합 추출물,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 및 아마란스 씨앗 추출물을 혼합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화이트 트러플은 크림색 혹은 황갈색을 띠는 자낭균류 서양송로과의 지하생 버섯으로 고급 식재료로 꼽힌다. 주로 이탈리아 Piedmond 지방 등 중부 유럽에서 자생하며, 보통은 향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스프에 넣어먹거나, 다른 음식에 곁들여 먹는다.
상기 아마란스 씨앗은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을 원산지로 둔 한해살이풀인 아마란스의 씨앗을 의미하며,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슈퍼 곡물 중 하나다. 다른 곡류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고,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당뇨와 고혈압에 좋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조성물은 1차 혼합 추출물 30~50중량%, 2차 혼합 추출물 20~30중량%,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 10~20중량% 및 아마란스 씨앗 추출물 10~20중량%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조성물 제조 단계는 복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개나리 꽃 추출물 5~10중량% 및 벌개미취 추출물 5~10중량%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나리 꽃은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인 개나리(Forsythia koreana)의 꽃을 의미하며, 개나리는 이의 뿌리, 줄기, 잎, 열매 등이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개나리 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혈관 염증 치료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벌개미취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빛이 잘 들고 물기가 많은 습지 등에서 자라며, 한국의 경기도 이남 및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주로 원예용 또는 지피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뿌리를 달여 가래 및 천식에 대한 치료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활성탄 20중량%, 은행잎 10중량% 및 증류수 70중량%로 구성된 수조에 백단향 나무칩 70중량%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 30중량%로 구성된 혼합 나무칩을 넣고 3시간 침지 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침지가 완료된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증류하여 1차 혼합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1차 추출을 마친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건조 및 분쇄한 후, 70% 에탄올에 침지하고 60℃에서 6시간 동안 숙성하여 2차 혼합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1차 혼합 추출물 40중량%, 2차 혼합 추출물 30중량%,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 15중량% 및 아마란스 씨앗 추출물 15중량%를 혼합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예 1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2차 추출과정에서 추출 후 2차 혼합 추출물을 부탄올을 포함하는 용매로 제1분획 후, 메탄올을 포함하는 용매로 제2분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예 2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복합 조성물 제조 과정에서 복합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개나리 꽃 추출물 5~10중량% 및 벌개미취 추출물 5~10중량%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예 3으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 수준 비교]
상기 실시예 1~3에서 얻은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인간 피부 유래 표피 각질형성세포 (HaCaT)는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에 배양하고, 본 발명의 실험예에 활용하였다.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 당 세포 수 5 X 103 cells/100 μL/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 100 μg/mL 농도로 각 well에 100 μL씩 처리하여 3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z-cytox를 각 well 당 20 μL씩 처리한 후 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백분율로 환산하여 실시예 1~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표피 각질형성 세포의 증식률에 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음성대조군은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것이며, 양성대조군은 종래에 피부재생 및/또는 상처 복원제에 활용되고 있는 표피 성장인자(epithermal growth factor, EGF 50ng/mL)를 이용한 것이다.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증식률(%) 100 152 144 165 15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3은 모두 높은 증식률을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이동 수준 비교]
상기 실시예 1~3에서 얻은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인간 유래 표피 각질세포(HaCaT)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고 본 발명의 실험 예에 활용하였다. 48웰 화학주성 boyden 챔버(chemotactic boyden chamber)를 사용하여 표피 각질세포의 이동률을 조사하였다.
먼저 하단 챔버에 실시예 1~3에서 얻은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00 μg/ml의 농도를 처리하고, 콜라겐(collagen) 코팅이 된 8 μm pore의 membrane을 올려 주었다. 이후, 상단 챔버에 표피 각질형성세포를 웰당 1×106cell/50 μl씩 처리하였다.
Chamber를 37℃ 배양기에서 배양시킨 후, membrane을 염색 및 고정하였다. Membrane을 통과하여 이동한 세포의 수를 세어 백분율로 환산하여 실시예 1~3에서 얻은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이동률에 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음성 대조군은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지 않은 것이고, 양성 대조군은 종래의 상처복원 및/또는 피부 재생에 활용되는 있는 표피성장인자(epithermal growth factor)를 이용한 것이다.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이동률(%) 100 353 181 199 184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3은 모두 높은 이동률을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이주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활성탄 10~20중량%, 은행잎 10~20중량% 및 증류수 60~80중량%로 구성된 수조에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넣고 1~3시간 침지 후 건조시키는 침지 단계;
    상기 침지가 완료된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증류하여 1차 혼합 추출물을 추출하는 1차 추출 단계;
    상기 1차 추출을 마친 백단향 및 프랑스 해안송 나무칩을 건조 및 분쇄 후 50~80(v/v)% 에탄올에 침지하고 50~60℃에서 5~10시간 동안 숙성하여 2차 혼합 추출물을 추출하는 2차 추출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 추출물, 2차 혼합 추출물,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 및 아마란스 씨앗 추출물을 혼합하는 복합 조성물 제조 단계; 를 포함하는,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혼합 추출물은 피부세포의 OR2AT4 후각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추출단계는 2차 혼합 추출물을 부탄올을 포함하는 용매로 제1분획 후, 메탄올을 포함하는 용매로 제2분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032616A 2022-03-16 2022-03-16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616A KR102404515B1 (ko) 2022-03-16 2022-03-16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616A KR102404515B1 (ko) 2022-03-16 2022-03-16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515B1 true KR102404515B1 (ko) 2022-06-07

Family

ID=8198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616A KR102404515B1 (ko) 2022-03-16 2022-03-16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678B1 (ko) * 2023-05-31 2023-11-23 엘브이엠엔 주식회사 개선된 피부 재생 효과 및 보습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945A (ko) * 2007-02-28 2008-09-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편백 추출물, 해송 추출물 및 백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2159A (ko) * 2014-12-31 2016-07-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나무로부터 정유 및 폴리페놀 분획을 연속 추출하는 방법
KR102332666B1 (ko) * 2020-09-07 2021-12-02 (주)비모뉴먼트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2363004B1 (ko) 2021-05-17 2022-02-15 충청남도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945A (ko) * 2007-02-28 2008-09-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편백 추출물, 해송 추출물 및 백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2159A (ko) * 2014-12-31 2016-07-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나무로부터 정유 및 폴리페놀 분획을 연속 추출하는 방법
KR102332666B1 (ko) * 2020-09-07 2021-12-02 (주)비모뉴먼트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이트 트러플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2363004B1 (ko) 2021-05-17 2022-02-15 충청남도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678B1 (ko) * 2023-05-31 2023-11-23 엘브이엠엔 주식회사 개선된 피부 재생 효과 및 보습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56270A (ja) インスリン様成長因子−1発現促進剤
KR102404515B1 (ko)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37952A (ko) 마스크 팩
KR20160003915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849642A (zh) 一种牡丹鲜花水及其制备方法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0828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3004B1 (ko)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617856B1 (ko) 천산설연, 송라 및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101571517B1 (ko) 제주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주름개선 효능 및 항산화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7123B1 (ko) 마타리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32699B1 (ko) 스키산드린(Schisandrin)의 함량이 증진된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 완화 또는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22050090A (ja) 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871577B1 (ko) 고산지역에서 자란 로즈마리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371164B1 (ko) 발아 납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55941B1 (ko) 궁궁이 유래의 앱솔루트 타입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2442464B1 (ko) 억새 꽃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KR102627688B1 (ko) 죽단화 꽃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8804B1 (ko)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해 인삼 오일 및 프랑킨센스 오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바디 로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3381441A1 (en) Antiaging composition for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ntaining extract of germinatedglycine gracilis
KR102638536B1 (ko)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5769B1 (ko) 새삼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