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004B1 -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3004B1 KR102363004B1 KR1020210063547A KR20210063547A KR102363004B1 KR 102363004 B1 KR102363004 B1 KR 102363004B1 KR 1020210063547 A KR1020210063547 A KR 1020210063547A KR 20210063547 A KR20210063547 A KR 20210063547A KR 102363004 B1 KR102363004 B1 KR 1023630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ssential oil
- skin
- pine
- cosmetic composi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면도에 서식하는 안면송(Pinus densiflora)으로부터 수증기증류법을 통해 분리된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안면송 에센셜오일은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과 멜라닌 합성 및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이는 피부재생,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면도에 서식하는 안면송(적송, Pinus densiflora) 유래의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skin)는 신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신체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형성하며 보호기능을 한다. 피부는 신체의 바깥 면에 위치하여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외부 물질들이 들어올 수 없도록 경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1차 방어선의 기능을 가진 거대한 장벽조직이다. 피부는 각질화된 바깥쪽 표피(epidermis)와 혈관이 풍부하게 발달된 내부 결합조직인 진피(dermis), 그리고 피하지방(subcutis)으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털, 손발톱, 감각수용기, 분비샘과 같은 여러 부속기구와 함께 피부계(integumentary system)를 이룬다.
표피(epidermis)는 가장 바깥층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가시층, 기저층으로 나누어진다. 표피는 필요이상으로 과도한 수분손실이나 물리적 손상, 유해한 화학물질로부터 피부 내부에 위치한 조직들을 보호하고 외부 유해 물질의 침입을 차단함으로서 피부 면역계에 기여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각질형성세포(kerationcyte)는 대표적인 표피세포로, 표피세포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각질형성세포가 증식하는 것은 피부재생과 상처치유, 콜라겐합성을 유도함으로서 피부의 기저막 형성에 주 영향을 미치며 피부의 탄력 증진을 향상시킨다. 또한 표피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한 기저층에서는 특수하게 분화된 멜라닌세포(melanocyte)가 존재하며, 표피세포의 대략 5%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피부색을 결정짓는 검은색소인 멜라닌(melanin)을 생성한다. 멜라닌은 자외선이 진피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흡수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과도한 자외선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피부세포의 DNA 변형과 다른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천연물 유래 "정유"란 방향유(식물의 잎, 줄기, 열매, 꽃, 뿌리 따위에서 채취한 향기로운 휘발성의 물질)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추출물, 추출법,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천연물 유래 정유는 추출법에 따라 에센셜오일(essential oil), 앱솔루트(absolute), 콘크리트(concrete)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천연물 유래 정유의 방향성 성분이 피부, 순환계, 후각계를 통해 진정, 긴장완화 등의 효과를 나타내고 항균작용, 면역 증진, 항알러지 작용 등의 치료효과를 나타내어 오래전부터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활용되어왔을 뿐만 아니라, 식품 향료와 향장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arini)는 한국 어디에서나 자생하는 상록성 교목이며 우리나라에 가장 대표적으로 분포되어있는 종은 적송(red fine)과 리기다소나무(pitch fine)이다. 적송은 상록침엽 교목으로 한국(전지역), 일본과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높이 35m, 지름 1.8 m이며 수피와 동아가 적갈색이라서 적송(red fine)이라 불린다. 적송 잎은 침엽으로 2개가 속생하고 비틀리며 길이는 8-9 cm, 폭은 1.5 mm로 여름에는 진녹색, 겨울에는 연두색으로 되며 밑 부분에 아린이 있고 2년 후에는 낙엽이 된다.
예로부터 안면송(적송) 잎은 약용식품으로도 널리 이용되어왔으며 전통의학서에 따르면 동맥경화, 고혈압과 같은 심혈관계질환, 위장질환, 비뇨기질환, 피부질환, 간장질환, 당뇨, 탈모 등에 유용한 효능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솔잎 특유의 푸른빛을 띠는 것은 송진의 주성분인 테르펜(terpene) 때문이며,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콜레스테롤 축적을 막아 동맥경화를 방지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함으로써 뇌기능이 향상된다고 보고되어있다. 그러나 안면송(적송) 잎을 활용한 에센셜오일 및 피부 기능성에 관한 선행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안면도에 자생하는 안면송(적송)의 잎으로부터 에센셜오일을 추출하여 피부 기능성에 대해 연구하던 중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과 멜라닌 합성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면도에 서식하는 안면송(적송) 유래 에센셜오일의 구성성분을 규명하고,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에 이용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면도에 서식하는 안면송(적송)의 잎으로부터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 extract)에 의해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에서 수용성 성분(hydrosol)을 제거한 에센셜오일(essential oi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면송(적송) 잎은 건조되지 않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며, 캄펜(Camphene), 사비넨(Sabinene), β-피넨(β-Pinene), γ-테르피넨(γ-Terpinene), β-펠란드렌(β-Phellandrene), α-테르피놀렌(α-Terpinolene), 티몰 메틸 에터(Thymol Methyl Ether), (-)-초산 보르닐((-)-Bornyl Acetate), α-코파엔(α-Copaene), 메틸 유제놀(Methyl Eugenol), 이소롱기폴렌(Isolongifole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α-후물렌(α-Humulene), α-아모르펜(α-Amorphene), β-쿠베벤(β-Cubebene), (+)-카라렌((+)-Calarene), δ-카디넨(δ-Cadinene), (-)-카리오필렌 옥사이드((-)-Caryophyllene oxide), τ-뮤올롤(τ-Muurolol), α-카디놀(α-Cadinol), 시클로헥사데칸(Cyclohexadecane), 툰베르골(Thunbergol), 1-옥타데신(1-Octadecene) 및 헥사데실 2-헥사논산에틸(Hexadecyl 2-Ethyl hexano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0.1 ~ 50 μg/mL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 멜라닌 합성 및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면도에 서식하는 안면송(적송)으로부터 추출한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안면도에 서식하는 안면송(적송)으로부터 추출된 에센셜오일의 성분을 규명하고, 이의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 활성을 입증한 것으로, 피부세포 수준에서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 멜라닌 합성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으로부터 추출한 에센셜오일의 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이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생존률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이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이 멜라닌형성세포의 생존률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이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이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합성(A)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B)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이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생존률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이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이 멜라닌형성세포의 생존률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이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이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합성(A)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B)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w/w) %, 고체/액체는(w/v) %, 그리고 액체/액체는(v/v) %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안면송으로부터 추출된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기 에센셜오일은 안면도에 서식하는 안면송(적송)의 건조하지 않은 잎에서 얻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 extract)을 이용하여 추출 후 수용성 성분을 제거한 에센셜오일(essential oil)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건조하지 않은 안면송 잎을 수증기 추출장비에 넣은 후, 100℃ 온도의 수증기를 주입하여 추출물을 획득하다. 상기 획득한 추출물로부터 수용성 성분을 제거 및 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캄펜(Camphene), 사비넨(Sabinene), β-피넨(β-Pinene), γ-테르피넨(γ-Terpinene), β-펠란드렌(β-Phellandrene), α-테르피놀렌(α-Terpinolene), 티몰 메틸 에터(Thymol Methyl Ether), (-)-초산 보르닐((-)-Bornyl Acetate), α-코파엔(α-Copaene), 메틸 유제놀(Methyl Eugenol), 이소롱기폴렌(Isolongifole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α-후물렌(α-Humulene), α-아모르펜(α-Amorphene), β-쿠베벤(β-Cubebene), (+)-카라렌((+)-Calarene), δ-카디넨(δ-Cadinene), (-)-카리오필렌 옥사이드((-)-Caryophyllene oxide), τ-뮤올롤(τ-Muurolol), α-카디놀(α-Cadinol), 시클로헥사데칸(Cyclohexadecane), 툰베르골(Thunbergol), 1-옥타데신(1-Octadecene) 및 헥사데실 2-헥사논산에틸(Hexadecyl 2-Ethyl hexano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성분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Camphene 6.23 중량%, Sabinene 0.82 중량%, β-Pinene 18.95 중량%, γ-Terpinene 0.53 중량%, β-Phellandrene 22.14중량%, α-Terpinolene 9.71중량%, Thymol Methyl Ether 1.11중량%, (-)-Bornyl Acetate 18.13중량%, α-Copaene 0.39 중량%, Methyl Eugenol 1.83 중량%, Isolongifolene 1.56 중량%, Caryophyllene 3.84 중량%, α-Humulene 0.67 중량%, α-Amorphene 0.48 중량%, β-Cubebene 2.65 중량%, (+)-Calarene 2.08 중량%, δ-Cadinene 2.96 중량%, (-)-Caryophyllene oxide 0.37 중량%, τ-Muurolol 1.10 중량%, α-Cadinol 0.89 중량%, Cyclohexadecane 0.73 중량%, Thunbergol 0.79 중량%, 1-Octadecene 0.31 중량% 및 Hexadecyl 2-Ethyl hexanoate 1.71 중량% 의 범위로 에센셜오일 내에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을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25 ~ 50 μg/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25 μg/mL 미만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효과가 미미하며, 75 μg/mL 이상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정유(精油)"란 식물(식물의 잎, 줄기, 열매, 꽃, 뿌리 등)로부터 추출 분리한 방향유(휘발성 물질)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추출물, 추출법,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천연물 유래 정유는 추출법에 따라 에센셜오일(essential oil), 앱솔루트(absolute), 콘크리트(concrete) 등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extract)"이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즉, 목적하는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물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과정을 거친 추출물을 분획한 것도 포함된다.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교반 추출, 진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용매로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나 헥산, 클로로 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안면송(적송, Pinus densiflora)에서 추출한 에센셜오일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통한 피부 재생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색조화장품, 선크림, 투웨이케이크,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아이쉐도우, 립스틱, 립글로스, 립픽스, 아이브로우 펜슬, 화장수 등의 화장품 및 샴푸, 비누 등의 세정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안면송(적송, Pinus densiflora) 잎에서 추출한 에센셜오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안면송으로부터 추출된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은 상기에서 기술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에 의해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과 멜라닌 합성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외용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유요한 양의 안면송 잎에서 추출한 에센셜오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약학적으로 하나 이상의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을 피부재생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25 ~ 50 μg/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25 μg/mL 미만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효과가 미미하며, 75 μg/mL 이상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상기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을 피부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10 ~ 50 μg/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10 μg/mL 미만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 멜라닌 합성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미미하며, 75 μg/mL 이상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 제조
안면도에 서식하는 적송 잎을 채취하여 세척 손질 후, 생초 7.2 kg을 수증기 증류장치에 넣은 후 100℃의 수증기를 투입하였다. 증류장치의 냉각관(4℃)을 통해서 응축된 4 L의 추출물을 확보한 후,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분리 및 정제과정을 거처 수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에센셜오일 3.8 mL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의 성분분석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의 성분분석은 KBSI(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Seoul Center)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계(6890N GC/5975i MS, Agilent, USA)를 사용하였고, GC/MS의 컬럼(column)은 DB5-MS (30 m×50 μm, 0.25 μm)를 사용하였으며, 캐리어 가스(carrier gas)는 헬륨을 사용하여 1 mL/분으로 흐르게 하여 분석하였다. 오븐의 온도는 40℃-2℃/분-230℃-5℃/분-300℃ (5분)으로 유지하였으며, injection의 온도는 280℃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Interface의 온도는 300℃, ion source의 온도는 230℃, analyzer의 온도는 150℃에서 분석하였으며, Mass range는 40~800 m/z에서 분석하였다.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 성분의 확인은 휘발성분의 지체시간(retention indices, RI)과 표준물질의 지체시간과 일치하거나 휘발물질의 질량 스펙트럼과 Wiley 7Nist 05 library의 질량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물질을 확인하였다. RI는 C6~C24(n-alkane)를 이용하여 시료와 동일 조건에서 결정하였다.
안면송 잎 유래 에센셜오일은 총 24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β-Phellandrene, β-Pinene, (-)-Bornyl Acetate, α-Terpinolene, Camphene, Caryophyllene, δ-Cadinene 등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도 1 참조).
실시예 3.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표피 각질형성세포 생존율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이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에 독성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인간 피부 유래 표피 각질형성세포(HaCaT)를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에 배양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5×10³ cells/100 μL/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37℃의 5%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을 1 ~ 100 μg/mL의 농도로 각 웰에 100 μL씩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Ez-cytox를 웰당 10 μL씩 처리한 후 37℃의 5% CO₂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플레이트 리더(Synerge 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백분율로 환산하여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은 1~50 μg/mL의 농도에서는 유의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75 μg/mL 농도 이상에서 매우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 농도는 50 μg/ml 이하의 농도가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 향상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이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람 피부 유래 표피 각질형성세포(HaCaT)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했으며 표피 각질형성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3×10³ cells/100 μL/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37℃의 5%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을 1 ~ 50 μg/mL의 농도로 각 웰에 100 μL씩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여기서, 음성 대조군은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이고, 양성 대조군은 피부재생 및 상처치유제로 활용되고 있는 표피성장인자(Epithermal growth factor, EGF 50 ng/mL)를 이용하였다. Ez-cytox를 각 웰에 10 μL씩 처리한 후 37℃의 5% CO₂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ELISA 플레이트 리더 (Synerge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백분율 환산하여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추출된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음성 대조군은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을 이용하지 않은 것이고, 양성 대조군은 종래에 상처치유 및/또는 피부 재생에 활용되고 있는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50 ng/mL)를 이용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은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표피성장인자(50 ng/mL)에 의한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은 176.47±13.47% 유도가 되었으며,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 25 μg/mL 농도에서 120.26±13.54%의 증식 유도율을 나타내었고, 50 μg/mL의 농도에서 142.92±7.73%의 최대 증식 유도율을 나타내어,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표피 멜라닌형성세포 생존율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이 피부 표피 멜라닌형성세포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피부 유래 표피 멜라닌형성세포(B16BL6)를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에 배양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3×10³ cells/100 μL/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37℃의 5%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을 1~50 μg/mL의 농도로 각 웰에 100 μL씩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Ez-cytox를 웰당 10 μL씩 처리한 후 37℃의 5% CO₂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플레이트 리더(Synerge 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백분율로 환산하여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피부 표피 멜라닌형성세포의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은 1~50 μg/mL의 농도에서는 유의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 농도는 50 μg/ml 이하의 농도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6.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표피 멜라닌형성세포 증식 향상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이 피부 표피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피부 유래 표피 멜라닌형성세포(B16BL6)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했으며 표피 멜라닌형성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2×10³ cells/100 μL/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37℃의 5%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2%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을 1~50 μg/mL의 농도로 각 웰에 100 μL씩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여기서, 음성 대조군은 2%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과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이고, 양성 대조군은 2%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였다. Ez-cytox를 각 웰에 10 μL씩 처리한 후 37℃의 5% CO₂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ELISA 플레이트 리더 (Synerge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백분율 환산하여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표피 멜라닌형성세포 증식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추출된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이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음성 대조군은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을 이용하지 않은 것이고, 양성 대조군은 2% 우태아혈청이 처리된 군이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은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 우태아혈청에 의한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은 164.53±2.14% 유도가 되었으나,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 10 μg/mL 농도에서 142.08±2.67%, 25 μg/mL 농도에서 121.64±3.42%, 50 μg/mL의 농도에서 102.64±5.65%의 증식률을 나타내며 음성대조군(100.00±4.06)과 유사한 증식률을 나타내었으며,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미백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B16BL6 세포를 60 mm dish에 1 × 105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37℃의 5% CO₂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미백활성실험에 널리 사용되는 멜라닌자극호르몬인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Sigma, USA, 200 nM)과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을 1 ~ 50 μg/mL의 농도로, 2%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와 함께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포배양 상층액을 제거하고 1% triton X-100 용액으로 세포를 수확하여 원심분리 후, 상층액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를 측정했고, 상층액을 제외하고 남은 펠렛은 10% DMSO를 함유한 1 N NaOH 용액에 용해한 후 멜라닌 함량을 측정했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넣은 후 ELISA 플레이트 리더 (Synerge2, BioTek, USA)를 이용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는 흡광도 490 nm에서 측정하고, 멜라닌 함량은 흡광도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멜라닌함량은 멜라닌 표준품으로 얻은 표준 검량선을 이용하여 산출 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Bradford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 후 보정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추출된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이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합성(A) 및 타이로시나아제 활성(B)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음성 대조군은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을 이용하지 않은 것이고, 양성 대조군은 200 nM의 a-MSH가 처리된 군이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은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a-MSH(200 nM) 처리에 의한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합성이 224.34±4.57% 유도가 되었으나,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 10 μg/mL 농도에서 180.68±3.06%, 25 μg/mL 농도에서 158.82±6.11%, 50 μg/mL의 농도에서 144.48±4.52%의 멜라닌 합성률을 나타내며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은 멜라닌형성세포의 타이로시나아제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a-MSH(200 nM) 처리에 의한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합성이 330.65±5.06% 유도가 되었으나, 안면송 잎 에센셜오일 10 μg/mL 농도에서 290.35±0.70%, 25 μg/mL 농도에서 279.07±7.23%, 50 μg/mL의 농도에서 235.00±0.73%의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을 나타내며 멜라닌형성세포의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 안면도에 서식하는 안면송으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추출된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확보된 추출물에서 수용성 성분을 제거한 에센셜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캄펜(Camphene), 사비넨(Sabinene), β-피넨(β-Pinene), γ-테르피넨(γ-Terpinene), β-펠란드렌(β-Phellandrene), α-테르피놀렌(α-Terpinolene), 티몰 메틸 에터(Thymol Methyl Ether), (-)-초산 보르닐((-)-Bornyl Acetate), α-코파엔(α-Copaene), 메틸 유제놀(Methyl Eugenol), 이소롱기폴렌(Isolongifole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α-후물렌(α-Humulene), α-아모르펜(α-Amorphene), β-쿠베벤(β-Cubebene), (+)-카라렌((+)-Calarene), δ-카디넨(δ-Cadinene), (-)-카리오필렌 옥사이드((-)-Caryophyllene oxide), τ-뮤올롤(τ-Muurolol), α-카디놀(α-Cadinol), 시클로헥사데칸(Cyclohexadecane), 툰베르골(Thunbergol), 1-옥타데신(1-Octadecene) 및 헥사데실 2-헥사논산에틸(Hexadecyl 2-Ethyl hexano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 하는 것인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10 ~ 50 μg/mL의 범위로 포함된 것인,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유도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오일은 멜라닌형성세포의 증식, 멜라닌 합성 저해 및 타이로시네이드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안면도에 서식하는 안면송으로부터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추출된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3547A KR102363004B1 (ko) | 2021-05-17 | 2021-05-17 |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3547A KR102363004B1 (ko) | 2021-05-17 | 2021-05-17 |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3004B1 true KR102363004B1 (ko) | 2022-02-15 |
Family
ID=8032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3547A KR102363004B1 (ko) | 2021-05-17 | 2021-05-17 |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300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4515B1 (ko) | 2022-03-16 | 2022-06-07 | 주식회사 서울베이스 |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411A (ja) | 1992-06-26 | 1994-01-18 | Nireco Corp | 印刷汚れ検査装置 |
KR20070119296A (ko) * | 2006-06-15 | 2007-12-20 | 황보식 | 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피부미백제 |
-
2021
- 2021-05-17 KR KR1020210063547A patent/KR1023630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411A (ja) | 1992-06-26 | 1994-01-18 | Nireco Corp | 印刷汚れ検査装置 |
KR20070119296A (ko) * | 2006-06-15 | 2007-12-20 | 황보식 | 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피부미백제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네이버 쇼핑. 솔나라 레드파인 앱솔루트 오일 에센스 30ml: 솔나라(2019.12.31.) 1부.*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4515B1 (ko) | 2022-03-16 | 2022-06-07 | 주식회사 서울베이스 | 향 발산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5704B1 (ko) |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363004B1 (ko) |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
JP4243202B2 (ja) | シワ改善用皮膚外用剤 | |
JP6382197B2 (ja) | 皮膚の老化の徴候に対するおよび酸化防止剤としてのLaserpitiumsilerL.の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の化粧的使用方法 | |
KR102402211B1 (ko) |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168532B1 (ko)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42340B1 (ko) | 옥수수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2214042B1 (ko) |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2455132B1 (ko) |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197123B1 (ko) | 마타리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2232699B1 (ko) | 스키산드린(Schisandrin)의 함량이 증진된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 완화 또는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168533B1 (ko)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JP4757157B2 (ja) | 皮膚外用剤 | |
KR102055127B1 (ko) | 대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49956B1 (ko) |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555941B1 (ko) | 궁궁이 유래의 앱솔루트 타입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 |
KR102215769B1 (ko) | 새삼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2627688B1 (ko) | 죽단화 꽃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442464B1 (ko) | 억새 꽃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 |
JP2009007261A (ja) | 美白剤および化粧料組成物 | |
KR20150010530A (ko) |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2308715B1 (ko) | 가는 갯능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115988B1 (ko) |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20170137432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1967919B1 (ko) | 누리장나무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또는 누리장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