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736B1 -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736B1
KR102402736B1 KR1020190013432A KR20190013432A KR102402736B1 KR 102402736 B1 KR102402736 B1 KR 102402736B1 KR 1020190013432 A KR1020190013432 A KR 1020190013432A KR 20190013432 A KR20190013432 A KR 20190013432A KR 102402736 B1 KR102402736 B1 KR 10240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adiene
butene
product
component
heavy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999A (ko
Inventor
남현석
강전한
차경용
정재원
고동현
한준규
한상진
이경무
이주혁
최대흥
서명지
황예슬
황선환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9010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4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a hydrogen acceptor
    • C07C5/48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a hydrogen acceptor with oxygen as an accep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75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heat exchan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12Alkadienes
    • C07C11/16Alkadienes with four carbon atoms
    • C07C11/1671, 3-Butadi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05Processes comprising at least two steps in s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9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fractional conden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A) 부텐을 포함하는 반응물로부터, 경질(light) 성분, 1,3-부타디엔 및 중질(heavy) 성분을 포함하는 제1 생성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제1 생성물을 열교환시킨 후, 상기 중질 성분을 응축하여 상기 1,3-부타디엔 및 상기 경질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생성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응축된 중질 성분을 재가열하여 농축된 중질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1,3-BUTADIENE}
본 출원은 2018년 2월 27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8-0023838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는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3-부타디엔(1,3-butadiene)은 석유화학 제품의 중간체로서 전세계적으로 그 수요와 가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상기 1,3-부타디엔은 납사 크래킹, 부텐의 직접 탈수소화 반응,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 등을 이용해 제조되고 있다.
상기 납사 크래킹 공정은 높은 반응 온도로 인해 에너지 소비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1,3-부타디엔 생산만을 위한 단독 공정이 아니기 때문에, 1,3-부타디엔 이외에 다른 기초 유분이 잉여로 생산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n-부텐의 직접 탈수소화 반응은 열역학적으로 불리할 뿐만 아니라, 흡열반응으로써 높은 수율의 1,3-부타디엔 생산을 위해 고온 및 저압의 조건이 요구되어, 1,3-부타디엔을 생산하는 상용화 공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을 이용하여 1,3-부타디엔을 제조하는 기술이 널리 알려져있다. 한편,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공정은, 퀀칭(quenching) 공정 후단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리사이클(recycle)하여 반응물로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반응기로 회수된 폐수(recycle water)에는 경질 성분이 포함되어 부텐의 전환율을 감소시키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에, 폐수에 포함된 경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16-0152529호
본 명세서는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A) 부텐을 포함하는 반응물로부터, 경질(light) 성분, 1,3-부타디엔 및 중질(heavy) 성분을 포함하는 제1 생성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제1 생성물을 열교환시킨 후, 상기 중질 성분을 응축하여 상기 1,3-부타디엔 및 상기 경질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생성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응축된 중질 성분을 재가열하여 농축된 중질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은,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열교환 및 응축을 이용해서 경질 성분을 제외한 폐수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질 성분이 반응물에 포함되어 산소(O2)와 반응하는 것을 차단시켜, 폐수(recycle water)의 사용시 발생하는 부텐의 전환율 감소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비교예 1에 따른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율(%)'은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의 생성물인 1,3-부타디엔(BD)의 중량을, 원료인 부텐(BE)의 중량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예컨대, 수율은 하기의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수율(%) = [(생성된 1,3-부타디엔의 몰수)/(공급된 부텐의 몰수)]×100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환율(conversion, %)'은 반응물이 생성물로 전환하는 비율을 말하며, 예컨대, 부텐의 전환율은 하기의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환율(%) = [(반응한 부텐의 몰수)/(공급된 부텐의 몰수)]×100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선택도(%)'는 부타디엔의 변화량을 부텐의 변화량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예컨대, 선택도는 하기의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선택도(%) = [(생성된 1,3-부타디엔 또는 COx의 몰수)/(반응한 부텐의 몰수)]×100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A) 부텐을 포함하는 반응물로부터, 경질(light) 성분, 1,3-부타디엔 및 중질(heavy) 성분을 포함하는 제1 생성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제1 생성물을 열교환시킨 후, 상기 중질 성분을 응축하여 상기 1,3-부타디엔 및 상기 경질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생성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응축된 중질 성분을 재가열하여 농축된 중질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공정에는 생성물을 정제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특히, 정제공정 중 퀀칭(quenching) 공정 후단에서 발생하는 폐수(recycle water)를 재활용하기 위해 컬럼(column)을 이용하여 재가열(reboiling) 후 반응물(feed)에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폐수에 포함된 경질 성분이 반응물에 유입되면서, 반응기 내에서 산소(O2)와 반응하여 반응물인 부텐의 전환율을 감소시키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 후 얻어진 생성물을 퀀칭(quenching)하기 이전에 열교환 및 응축으로 냉각하여, 경질 성분을 제외한 폐수를 반응기로 재활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질 성분이 반응물 내의 산소와 반응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경질 성분이 포함된 폐수의 사용시 발생하는 부텐의 전환율 감소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제공정에서 경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컬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중질 성분을 응축하는 온도는 60℃ 내지 10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하는 온도는 80℃ 내지 100℃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응축하는 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 후 얻어진 생성물 중 중질 성분이 응축되어 경질 성분 및 1,3-부타디엔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생성물을 열교환시키는 단계는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열교환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관식(Shell & Tube type) 열교환기, 블록식(Block type) 열교환기, 자켓식(Jacket type) 열교환기, 공냉식(Air cooled type) 열교환기, 스파이럴(Spiral type) 열교환기, 판형(Plate type) 열교환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1개 또는 2개 이상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생성물의 온도는 200℃ 내지 4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생성물의 온도는 230℃ 내지 37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상기 제1 생성물을 열교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생성물을 냉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제1 생성물의 온도는 200℃ 내지 400℃일 수 있고, 상기 (B) 단계의 열교환시키는 단계 이후의 온도가 60℃ 내지 100℃가 되도록 열교환을 통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1 생성물의 온도가 상기 범위까지 냉각되어야, 그 다음 공정인 응축하는 공정이 가능하고, 특히 상기 중질 성분을 응축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질 성분을 응축하는 단계는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응축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냉식 응축기, 공냉식 응축기, 증발식 응축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응축기 내부는 60℃ 내지 1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의 온도, 0.1 kgf/cm2 내지 1.0 kgf/cm2의 압력을 만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응축된 중질 성분은 응축수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재가열하여 얻어진 수증기를 회수하여 상기 부텐을 포함하는 반응물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응축된 중질 성분을 재가열하면, 농축된 중질 성분과 수증기가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농축된 중질 성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수증기를 다시 부텐을 포함하는 반응물에 공급하는 경우, 경질 성분이 반응물 내의 산소와 반응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경질 성분이 포함된 폐수의 사용시 발생하는 부텐의 전환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 생성물을 정제하여 1,3-부타디엔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하는 단계는, 퀀칭(quench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하는 단계는, 당 기술분야에서, 1,3-부타디엔을 불순물로부터 정제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부텐을 포함하는 반응물을 예열(pre-heat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물을 예열하는 단계를 거치는 경우, 부텐을 포함하는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물이 활성을 띠게되어 단시간 내에 효율적인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예열하는 단계의 압력은 0.5 kgf/cm2 내지 1.5 kgf/cm2 일 수 있다. 상기 예열하는 단계의 압력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부텐을 포함하는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물이 활성을 띠게되어 단시간 내에 효율적인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제1 생성물을 얻는 단계는 하나의 반응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제1 생성물을 얻는 단계는 둘 이상의 반응기, 즉 다단 반응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다단 반응기는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반응기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제1 생성물을 얻는 단계의 압력은 0.2 kgf/cm2 내지 1.5 kgf/cm2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4 kgf/cm2 내지 1.0 kgf/cm2 일 수 있다. 상기 압력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최적화된 전환율 및 선택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이 0.2 kgf/cm2 미만인 경우에는 부텐 전환율이 감소할 수 있고, 1.5 kgf/c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타디엔 선택도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부텐을 포함하는 반응물은, C4 유분, 스팀(steam), 산소(O2) 및 질소(N2)를 포함하는 원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경질 성분은 수소,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수증기, 메탄, 에틸렌, 아세트알데히드, 1-부텐, 2-부텐 및 비닐아세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경질 성분의 불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질 성분은 아크롤레인, 퓨란, 부타논, 벤젠, 4-비닐 시클로헥센, 스티렌, 4-포르밀시클로헥센, 벤조퓨란, 3-아세틸-1-시클로헥센, 시클로헥센 디카르복시, 벤조페논 및 9-플루오레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중질 성분의 불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경질 성분은 1,3-부타디엔보다 분자량이 낮은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중질 성분은 1,3-부타디엔보다 분자량이 높은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시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스무스-몰리브덴 촉매, 페라이트계 촉매 등이 촉매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단계는, C4 유분, 스팀(steam), 산소(O2) 및 질소(N2)를 포함하는 원료를 300℃ 내지 500℃의 반응 온도, 0.1 kgf/cm2 내지 1.5 kgf/cm2의 압력 조건에서, GHSV(Gas Hourly Space Velocity) 30h-1 내지 200h-1의 조건으로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4 유분은 납사크래킹으로 생산된 C4 혼합물에서 유용한 화합물을 분리하고 남은 C4 라피네이트-1, 2, 3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에틸렌 다이머리제이션(dimerization)을 통해 얻을 수 있는 C4 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C4 유분은 n-부탄(n-butane), 트랜스-2-부텐(trans-2-butene), 시스-2-부텐(cis-2-butene), 및 1-부텐(1-but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스팀(steam) 또는 질소(N2)는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에 있어서, 반응물의 폭발 위험을 줄이는 동시에, 촉매의 코킹(coking) 방지 및 반응열의 제거 등의 목적으로 투입되는 희석기체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산소(O2)는 산화제(oxidant)로서 C4 유분과 반응하여 탈수소화 반응을 일으킨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은 하기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C4H8 + 1/2O2 → C4H6 + H2O
[반응식 2]
C4H10 + O2 → C4H6 + 2H2O
상기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으로 부탄 또는 부텐의 수소가 제거됨으로써 부타디엔(butadiene)이 제조된다. 한편, 상기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은 상기 반응식 1 또는 2와 같은 주반응 외에, 일산화탄소(CO), 또는 이산화탄소(CO2) 등을 포함하는 부반응 생성물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부반응 생성물은 공정 내에서 지속적인 축적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리되어 계 외부로 배출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부타디엔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텐의 전환율은 83%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3.2%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부타디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타디엔의 선택도는 89%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9.4%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부타디엔의 수율(Yield)은 74%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4.4% 이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공정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반응기로 C4 유분, 스팀(steam), 산소(O2) 및 질소(N2)를 포함하는 원료가 도입되어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이 일어난다. 반응기는 1개일 수 있고, 2개 이상의 다단 반응기일 수 있다. 상기 반응기 앞에 반응물인 원료를 예열(pre-heating)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 후 얻어진 제1 생성물은 퀀칭(Quenching, QC) 단계 이전에 열교환(Heat exchange)기를 거쳐서 냉각하게 된다. 이어서, 응축기(Condenser)를 통과하면, 경질 성분 및 1,3-부타디엔으로부터, 중질 성분이 분리된다. 이 때 상기 응축기의 온도는 60℃ 내지 100℃일 수 있고, 8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9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는 중질 성분이 응축되어 분리될 수 있는 온도 범위이다.
다음으로, 분리된 중질 성분은 재가열(Reboiler)기를 통하여 중질 성분을 농축하고, 수증기를 분리해 낸다. 분리된 수증기(Water recycle)는 다시 반응물에 유입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상기 응축기에서 분리된 경질성분과 1,3-부타디엔은, 일반적인 정제공정을 거쳐서 1,3-부타디엔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은,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 이후의 공정에서, 정제단계 특히 퀀칭하는 단계에 앞서, 열교환 및 응축을 통하여 경질 성분이 미포함된 폐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경질 성분이 미포함된 폐수는 다시 반응기의 반응물로 회수되어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에 재활용되고, 이 때, 경질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경질 성분이 반응기 내에서 산소(O2)와 반응하여 반응물인 부텐의 전환율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
< 실험예 1>
350℃, GHSV=120h-1, OBR=1, SBR=5, NBR=4의 조건 하에서,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경질 성분 및 중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증류수를 가열하여 얻어진 수증기를 반응물에 유입하였다.
< 실시예 1>
350℃, GHSV=120h-1, OBR=1, SBR=5, NBR=4의 조건 하에서,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도 1의 공정과 같이, 얻어진 생성물을 정제공정 이전에 순서대로 열교환, 응축을 통하여, 경질 성분 및 기체와 중질 성분을 분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교환 공정 전의 1차 생성물의 온도는 360℃ 였고, 2개의 다관식(shell & tube) 열교환기, 또는 그 이상의 열교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수행하였다. 첫번째 열교환기를 통과한 생성물의 온도는 250℃ 였고, 두번째 열교환기를 통과한 생성물의 온도는 90℃ 였다.
얻어진 중질 성분을 가열하여 얻어진 수증기를 반응기로 회수하여 반응물에 유입하였고, 농축된 중질 성분은 이후의 정제공정으로 분리해내었다.
상기 응축과정으로 분리된 경질 성분과 1,3-부타디엔은 이후의 정제공정(퀀칭)을 통하여 1,3-부타디엔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두번째 열교환기를 통과한 생성물의 온도를 100℃로 조절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 비교예 1>
350℃, GHSV=120h-1, OBR=1, SBR=5, NBR=4의 조건 하에서,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도 2의 공정과 같이, 열교환 및 응축하는 공정 없이, 얻어진 생성물을 퀀칭하여 분리된 경질 성분을 포함하는 폐수를 반응기로 회수하여 반응물에 유입하였다.
상기 얻어진 생성물을 정제공정을 통하여 1,3-부타디엔을 제조하였다.
(GHSV = Gas Hourly Space Velocity, OBR = Oxygen/total mixed-butene ratio, SBR = Steam/total mixed-butene ratio, NBR = Nitrogen/total mixed-butene ratio)
상기 실험예 1 및 비교예 1에서, 부텐 전환율, 부타디엔 선택도, 부타디엔 수율, COx 선택도 및 부산물 선택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9012067729-pat00001
또한,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의 경질 및 중질의 분리 모사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2의 결과는 실험을 통해서 얻은 부텐 전환율, 1,3-부타디엔 선택도, 반응온도, 그리고 생성가스의 조성 등을 ASPEN plus(공정 모사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얻었다. 즉, 반응에서 생성된 물의 유량과, 경질 유기물의 조성비는 실험에 의해서 얻고, 응축수와 응축된 경질 유기물의 조성비는 모사에 의해서 얻은 결과이다. 하기 경질유기물 함량은 작을수록, 즉 0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다.
[표 2]
Figure 112019012067729-pat00002
상기 표 1 및 2에 따르면, 실시예 1 및 2와 같이, 부텐의 산화적 탈수소화 반응 공정 중, 정제단계 특히 퀀칭하는 단계에 앞서, 열교환 및 응축을 통하여 경질 성분이 미포함된 폐수를 다시 재활용하는 경우, 부텐의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실험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하면, 경질 성분이 포함된 폐수를 재활용한 비교예 1에 비하여, 경질 성분이 미포함된 수증기를 활용한 실험예 1의 경우, 부텐 전환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타디엔의 수율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질유기물 함량이 비교예 1보다 작은 실시예 1 및 2에서도 비교예 1보다 높은 부텐 전환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경질 성분이 반응기 내에서 산소(O2)와 반응하여 반응물인 부텐의 전환율을 감소시키는데, 실험예 1 및 실시예 1 ~ 2와 같이 경질 성분이 미포함, 또는 일부 분리된 수증기를 반응물에 재활용하는 경우, 부텐의 전환율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Claims (7)

  1. (A) 부텐을 포함하는 반응물로부터, 경질(light) 성분, 1,3-부타디엔 및 중질(heavy) 성분을 포함하는 제1 생성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제1 생성물을 열교환시킨 후, 상기 중질 성분을 응축하여 상기 1,3-부타디엔 및 상기 경질 성분을 포함하는 제2 생성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응축된 중질 성분을 재가열하여 농축된 중질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이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중질 성분을 응축하는 온도는 90℃ 내지 100℃ 이며,
    상기 (B) 단계의 응축된 중질 성분은 응축수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재가열하여 얻어진 수증기를 회수하여 상기 부텐을 포함하는 반응물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생성물을 정제하여 1,3-부타디엔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부텐을 포함하는 반응물을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질 성분은 수소,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수증기, 메탄, 에틸렌, 아세트알데히드, 1-부텐, 2-부텐 및 비닐아세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인 것인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질 성분은 아크롤레인, 퓨란, 부타논, 벤젠, 4-비닐 시클로헥센, 스티렌, 4-포르밀시클로헥센, 벤조퓨란, 3-아세틸-1-시클로헥센, 시클로헥센 디카르복시, 벤조페논 및 9-플루오레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인 것인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20190013432A 2018-02-27 2019-02-01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102402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23838 2018-02-27
KR1020180023838 2018-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99A KR20190102999A (ko) 2019-09-04
KR102402736B1 true KR102402736B1 (ko) 2022-05-27

Family

ID=6780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432A KR102402736B1 (ko) 2018-02-27 2019-02-01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0730B2 (ko)
EP (1) EP3760606A4 (ko)
JP (1) JP7092440B2 (ko)
KR (1) KR102402736B1 (ko)
CN (1) CN111417613B (ko)
WO (1) WO201916827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759B1 (ko) * 2014-01-24 2015-12-1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공정 폐수를 재활용하는 1,3-부타디엔 제조시스템 및 방법
WO2017133997A1 (de) * 2016-02-04 2017-08-1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3-butadien aus n-butenen durch oxidative dehydrierung
KR101782674B1 (ko) 2014-07-02 2017-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타디엔 제조 공정 내 에너지 재활용 방법
KR101785146B1 (ko) 2015-03-24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액디엔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809319B1 (ko) 2015-01-05 2017-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액디엔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7238A (en) * 1967-11-06 1971-01-19 Phillips Petroleum Co Oxidative dehydrogenation by-product elimination
JPS60115531A (ja) 1983-11-25 1985-06-22 Nippon Zeon Co Ltd ブタジエンの製造法
JP5621304B2 (ja) 2009-05-21 2014-11-12 三菱化学株式会社 共役ジエンの製造方法
KR101566050B1 (ko) 2011-10-04 2015-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액디엔의 제조방법
WO2014055249A1 (en) 2012-10-04 2014-04-10 Lummus Technology Inc. Butadiene extraction process
PL2906519T3 (pl) * 2012-10-09 2021-07-12 Lummus Technology Llc Elastyczny sposób ekstrakcji butadienu
US20140200381A1 (en) * 2013-01-16 2014-07-17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Butadiene by Oxidative Dehydrogenation of N-Butenes with Monitoring of the Peroxide Content During Work-Up of the Product
EP3022169A1 (de) * 2013-07-18 2016-05-2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3-butadien aus n-butenen durch oxidative dehydrierung
WO2015104397A1 (de) 2014-01-13 2015-07-16 Basf Se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reaktors zur oxidativen dehydrierung von n-butenen
EA201790690A1 (ru) 2014-09-26 2017-09-29 Басф С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1,3-бутадиена из n-бутенов путем окислительного дегидрирования
US10358399B2 (en) 2014-11-03 2019-07-23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1,3-butadiene from n-butenes by oxidative dehydrogenation
JP2016089042A (ja) 2014-11-05 2016-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
CN107001186A (zh) * 2014-11-14 2017-08-01 巴斯夫欧洲公司 通过正丁烯脱氢制备1,3‑丁二烯且提供含有丁烷和2‑丁烯的料流的方法
US9809512B2 (en) 2014-12-01 2017-11-07 Uop Llp Adsorptive recovery of butadiene from on purpose butadiene production
KR101738403B1 (ko) 2014-12-30 2017-06-0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공정 폐수를 재활용하는 1,3-부타디엔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1,3-부타디엔의 제조 방법
JP6489860B2 (ja) 2015-02-18 2019-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6172721A (ja) 2015-03-09 2016-09-29 三菱化学株式会社 共役ジエンの製造方法
EP3287493A1 (de) 2016-08-26 2018-02-28 LANXESS Deutschland GmbH Polyesterzusammensetzung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759B1 (ko) * 2014-01-24 2015-12-1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공정 폐수를 재활용하는 1,3-부타디엔 제조시스템 및 방법
KR101782674B1 (ko) 2014-07-02 2017-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타디엔 제조 공정 내 에너지 재활용 방법
KR101809319B1 (ko) 2015-01-05 2017-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액디엔의 제조 방법
KR101785146B1 (ko) 2015-03-24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액디엔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O2017133997A1 (de) * 2016-02-04 2017-08-1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3-butadien aus n-butenen durch oxidative dehydri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3378A1 (en) 2021-06-03
JP2021504316A (ja) 2021-02-15
EP3760606A1 (en) 2021-01-06
US11370730B2 (en) 2022-06-28
CN111417613B (zh) 2022-12-27
WO2019168276A1 (ko) 2019-09-06
CN111417613A (zh) 2020-07-14
EP3760606A4 (en) 2021-04-07
JP7092440B2 (ja) 2022-06-28
KR20190102999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7965B2 (en) Process for co-producing C3 olefins, iC4 olefins, nC4 olefins and diolefins, and/or C5 olefins and diolefins
TWI426067B (zh) 藉由使用高壓產物分流器塔在丙烷去氫單元中的高減能
EA012611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УТАДИЕНА ИЗ н-БУТАНА
JP5780124B2 (ja) 共役ジエンの製造方法
JP4471977B2 (ja) 希薄エチレン流からのプロピレンおよびアルキル芳香族化合物の製造プロセス
KR101816244B1 (ko) 공비 증발 및 낮은 총 수분 대 에틸벤젠 비를 이용하는 에틸벤젠으로부터의 스티렌 생산
WO2014001461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mixture comprising cyclohexanone and cyclohexanol from phenol
CN108713008B (zh) 制备丁二烯的方法
CN109195934B (zh) 制备丁二烯的方法
US9902669B2 (en) Oxidative dehydrogenation process with hydrocarbon moderator gas and reduced nitrogen feed
US9856188B2 (en) Integration of N-C4/N-C4=/BD separation system for on-purpose butadiene synthesis
US20140114107A1 (en) Use of hydrocarbon diluents to enhance conversion in a dehydrogenation process at low steam/oil ratios
KR102402736B1 (ko) 1,3-부타디엔의 제조방법
US4113787A (en) Aromatic hydrocarbon dehydrogenation process
US10526259B2 (en) Staged pressure for butadiene reactors to enhance energy recovery
US20220204426A1 (en) Downstream production process for high purity butadiene
US4067921A (en) Primary adjunct, continuous diene process
US11230513B2 (en) Production process of 1,3-butadiene
US20230048953A1 (en) Naphtha catalytic cracking process
KR20230154945A (ko) C4-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이소부텐을 얻는 공정
KR20230154948A (ko) C4-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이소부텐을 얻는 공정
KR20230154947A (ko) C4-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이소부텐을 얻는 공정
WO2023209180A1 (en) Method for styrene monomer production
KR101917910B1 (ko) 공액디엔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