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020B1 -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020B1
KR102402020B1 KR1020200050119A KR20200050119A KR102402020B1 KR 102402020 B1 KR102402020 B1 KR 102402020B1 KR 1020200050119 A KR1020200050119 A KR 1020200050119A KR 20200050119 A KR20200050119 A KR 20200050119A KR 102402020 B1 KR102402020 B1 KR 102402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recognition
recognition device
fixing member
tamp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701A (ko
Inventor
염준선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프리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to KR1020200050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020B1/ko
Priority to US17/237,286 priority patent/US11445624B2/en
Publication of KR2021013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8Interlock mechanisms; Means for avoiding unauthorised use or function, e.g. tamper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2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indicating the attainment of a particular tensile load or limiting tensile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mage Input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출입벽 브라켓에 설치된 지문인식장치의 불법 분리를 검출하기 위한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가 개시된다.
이 중에서 지문인식장치는 상기 지문인식장치를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푸시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 및 상기 감지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감지될 때, 탬퍼(Tamper) 기능을 동작시키는 탬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AND FINGERPRINT RECOGNITION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인식장치의 불법 분해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문인식장치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장착되는 프리즘과, 광원, 렌즈계, 이미지 센서 및 컨트롤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지문인식장치에서는, 프리즘의 지문채취면에 손가락의 지문부위가 푸시되면 광원의 빛이 지문의 골과 융선에서 반사와 흡수가 이루어지고, 반사된 빛이 프리즘으로 입사되어 렌즈계에 결상되며, 렌즈계에 결상된 빛이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지문은 영상처리기로 보내지고, 영상처리기는 감지된 지문을 등록된 지문과 대조하여 등록된 지문인지 아닌지를 인식한다.
그런데, 지문인식장치가 비승인된 외부자에 의해 임의로 불법 분해되는 경우, 지문인식장치의 주요 설계에 대한 정보는 물론, 지문인식장치에 저장된 중요 데이터가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탬퍼링(tampering)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0573호 (2016년 11월 14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승인된 외부자에 의한 불법 분해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입벽 브라켓에 설치된 지문인식장치의 분리를 검출하기 위한 지문인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장치를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푸시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 및 상기 감지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감지될 때, 탬퍼(Tamper) 기능을 동작시키는 탬퍼 유닛을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가 회전 결합되도록 상기 지문인식장치의 고정홀부에 장착되는 인서트를 더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감지 스위치 사이에 마련되고, 탄성을 가지는 캡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스위치는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에 의해 소정 거리 푸시되면 상기 탬퍼 유닛의 탬퍼 기능을 오프시키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선단부에 의해 소정 거리 이하로 푸시되거나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선단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탬퍼 유닛의 탬퍼 기능을 온시키는 택트(Tact) 스위치를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부; 상기 고정부재의 푸시에 의해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작동신호를 상기 터미널부에 전달하고, 상기 버튼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탬퍼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를 향하도록 상기 탬퍼 몸체에서 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도록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문인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홀부에 대향되게 위치되되,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고정홀부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픽스부를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푸시에 의해 신축되도록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픽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부를 더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탬퍼 유닛은 알림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탬퍼 기능을 구현하는, 지문인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착 홈부를 구비하고, 출입벽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출입벽 브라켓; 및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지문인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지문인식장치를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고정하는 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푸시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 및 상기 감지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감지될 때, 탬퍼(Tamper) 기능을 동작시키는 탬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대한 지문인식장치의 조립시, 상기 장착 홈부에 매칭되도록 상기 지문인식장치에 마련되는 고정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하나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정부재(일 예로, 스크류)의 푸시 해제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를 통해, 비승인된 외부자(경쟁사 또는 타사 등)에 의한 고정부재의 분리를 신속하게 검출함으로써, 지문인식장치의 탬퍼 동작을 강화할 수 있으며, 비승인된 외부자에 의한 지문인식장치의 주요 설계 정보 및 중요 데이터의 변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캡 실링부재를 고정부재의 선단부와 감지 스위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지문인식장치의 고정홀부를 통한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재가 지문인식장치에서 분리될 때, 감지 스위치에 대한 고정부재의 푸시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상하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상태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이며, 각 구성요소들의 위치가 방향의 기재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재가 지문인식장치에서 분리될 때, 감지 스위치에 대한 고정부재의 푸시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기구는, 지문인식장치(20)와, 지문인식장치(20)를 출입벽의 출입 브라켓(30)에 조립시키기 위한 탬퍼 어셈블리(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문인식장치(20)는 지문채취면에 접촉된 손가락의 지문을 수집할 수 있는 장치로, 커버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커버는 프론트 커버(22) 및 백 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커버에는 지문인식장치(20)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관통하는 고정홀부(21)가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홀부(21)를 통해 출입 브라켓(30)에 조립될 수 있다.
출입 브라켓(30)은 지문인식장치(20)를 출입벽에 설치하기 위해, 출입벽에 고정되는 지문인식장치(20) 설치용 브라켓일 수 있다. 출입 브라켓(30)에는 지문인식장치(20)의 고정홀부(21)와 매칭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00)를 통해 지문인식장치(20)와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관통홀부(31)가 마련될 수 있다.
지문인식장치(20)의 탬퍼 어셈블리(10)는, 고정부재(100), 감지 스위치(200), 탬퍼 유닛(300) 및 인서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00)는 지문인식장치(20)를 출입벽 브라켓(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재(100)는 출입벽 브라켓(30)의 관통홀부(31) 및 지문인식장치(20)의 고정홀부(21)에 회전 결합이 가능한 나사 볼트류(screw)일 수 있다.
감지 스위치(200)는 고정부재(100)에 의해 선택적으로 푸시됨에 따라, 고정부재(100)의 풀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스위치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 스위치(200)는 고정부재(100)의 푸시 작동을 감지할 수 있는 택트(Tact)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택트 스위치는 고정부재(100)의 선단부에 의해 소정 거리 푸시되면 탬퍼 유닛(300)의 탬퍼 기능을 오프(Off)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100)의 선단부에 의해 소정 거리 이하로 푸시되거나 고정부재의 선단부로부터 분리되면 탬퍼 유닛(300)의 탬퍼 기능을 온(On)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탬퍼(tamper) 기능은 지알림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신호는, 시각 신호, 소리 신호일 수 있으며,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소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전자적 신호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00)에 의해 택트 스위치가 푸시될 때, 탬퍼 유닛(300)의 탬퍼 기능을 오프시키고, 고정부재(100)에 의해 택트 스위치가 푸시 해제될 때, 탬퍼 유닛(300)의 탬퍼 기능을 온시키지만, 탬퍼 유닛(300)의 프로그래밍 변경함으로써, 택트 스위치의 푸시/해제 여부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는 고정부재(100)에 의해 푸시되면 온되고, 고정부재(100)에 의해 푸시가 해제되면 오프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100)에 의해 택트 스위치가 푸시될 때, 지문인식장치(20)의 보안에 이상이 없는 안정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 기능을 온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100)에 의해 택트 스위치가 푸시 해제될 때, 지문인식장치(20)의 보안에 이상이 발생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정상 기능을 오프시킬 수 있다.
감지 스위치(200)는 탬퍼 유닛(300: 일 예로,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부(210)와, 고정부재(100)의 푸시에 의해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버튼부(220)와, 버튼부(220)의 작동신호를 터미널부(210)에 전달하는 탬퍼 몸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220)는 고정부재(100)의 선단부를 향하도록 탬퍼 몸체(230)에서 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00)의 푸시에 의한 가압시, 버튼부(220)는 작동신호를 터미널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감지 스위치(200)의 터미널부(210)는 탬퍼 유닛(300)을 향하도록 일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부(210)의 일단은 탬퍼 몸체(230)를 통해 버튼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터미널부(210)의 타단은 솔더링을 통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탬퍼 몸체(230)에는 탬퍼 유닛(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터미널부(21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탬퍼 몸체(230)에는 고정부재(100)를 향해, 다시 말해, 지문인식장치(20)의 고정홀부(21)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버튼부(220)가 장착될 수 있다. 탬퍼 몸체(230)는 버튼부(2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고정부재(100)의 푸시가 해제되면, 버튼부(2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탬퍼 유닛(300)은 감지 스위치(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지문인식장치(20)에 내장될 수 있다. 탬퍼 유닛(300)은 감지 스위치(200)를 통한 지문인식장치(20)의 분리 감지시, 지문인식장치(20)의 탬퍼(Tamper)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탬퍼 유닛(300)은 지문인식장치(20)의 분리 감지시, 기 프로그래밍된 탬퍼 기능을 동작시키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400)는 지문인식장치(20)의 고정홀부(21)에 장착될 수 있다. 인서트(400)를 지문인식장치(20)의 고정홀부(21)에 장착하기 위해, 인서트(400)의 외경에는 고정홀부(21)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인서트(400)의 내경에는 고정부재(100)의 선단부가 회전 결합되는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는, 고정부재(100), 감지 스위치(200), 탬퍼 유닛(300), 인서트(400) 및 캡 실링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캡 실링부재(5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예를 들어, 고정부재(100), 감지 스위치(200), 탬퍼 유닛(300) 및 인서트(400) 구성은,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고정부재(100), 감지 스위치(200), 탬퍼 유닛(300) 및 인서트(400)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캡 실링부재(500)는 지문인식장치(20)의 수밀을 위한 실링 재질(일 예로, 실리콘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캡 실링부재(500)는 지문인식장치(20)의 수밀을 위해, 인서트(400)에 결합된 고정부재(100)의 선단부와 감지 스위치(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캡 실링부재(500)는 고정홀부(21)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커버부(510)와, 상기 고정홀부(21)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도록 커버부(510)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픽스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510)는 고정부재(1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100)의 푸시 동작시, 고정부재(100)의 푸시력을 감지 스위치(200)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510) 및 픽스부(520)가 주름부(530)를 통해 상호 연결되면, 고정부재(100)의 푸시 동작시, 고정부재(100)와 감지 스위치(200) 사이에 캡 실링부재(500)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이들 고정부재(100)와 감지 스위치(200) 사이에 원활한 동작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푸시 해제를 감지한 감지 스위치를 통해, 비승인된 외부자에 의한 고정부재의 분리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지문인식장치의 탬퍼 동작을 강화할 수 있고, 비승인된 외부자에 의한 지문인식장치의 주요 설계 정보 및 중요 데이터의 변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캡 실링부재를 고정부재의 선단부와 감지 스위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지문인식장치의 고정홀부를 통한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의 탬퍼 어셈블리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고정 부재 200: 감지 스위치
210: 터미널부 220: 버튼부
230: 탬퍼 몸체 300: 제 1 탄성 스프링
400: 제 2 탄성 스프링 500: 캡 실링부재
510: 커버부 520: 픽스부

Claims (11)

  1. 출입벽 브라켓에 설치된 지문인식장치의 분리를 검출하기 위한 지문인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장치를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푸시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
    상기 감지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감지될 때, 탬퍼(Tamper) 기능을 동작시키는 탬퍼 유닛; 및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감지 스위치 사이에 마련되고, 탄성을 가지는 캡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 실링부재는
    상기 지문인식장치의 고정홀부에 대향되게 위치되되,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고정홀부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픽스부를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가 회전 결합되도록 상기 지문인식장치의 고정홀부에 장착되는 인서트를 더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스위치는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에 의해 소정 거리 푸시되면 상기 탬퍼 유닛의 탬퍼 기능을 오프시키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선단부에 의해 소정 거리 이하로 푸시되거나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선단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탬퍼 유닛의 탬퍼 기능을 온시키는 택트(Tact) 스위치를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스위치는
    상기 탬퍼 유닛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부;
    상기 고정부재의 푸시에 의해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작동신호를 상기 터미널부에 전달하고, 상기 버튼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탬퍼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를 향하도록 상기 탬퍼 몸체에서 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도록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문인식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푸시에 의해 신축되도록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픽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부를 더 포함하는,
    지문인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 유닛은 알림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탬퍼 기능을 구현하는,
    지문인식장치.
  9. 장착 홈부를 구비하고, 출입벽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출입벽 브라켓; 및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지문인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지문인식장치를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고정하는 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푸시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
    상기 감지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풀림 감지될 때, 탬퍼(Tamper) 기능을 동작시키는 탬퍼 유닛; 및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감지 스위치 사이에 마련되고, 탄성을 가지는 캡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 실링부재는
    상기 지문인식장치의 고정홀부에 대향되게 위치되되,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고정홀부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픽스부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대한 지문인식장치의 조립시, 상기 장착 홈부에 매칭되도록 상기 지문인식장치에 마련되는 고정홀부를 구비하는,
    지문인식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하나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출입벽 브라켓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문인식기구.
KR1020200050119A 2020-04-24 2020-04-24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KR102402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119A KR102402020B1 (ko) 2020-04-24 2020-04-24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US17/237,286 US11445624B2 (en) 2020-04-24 2021-04-22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isassembly of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119A KR102402020B1 (ko) 2020-04-24 2020-04-24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01A KR20210131701A (ko) 2021-11-03
KR102402020B1 true KR102402020B1 (ko) 2022-05-26

Family

ID=7822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119A KR102402020B1 (ko) 2020-04-24 2020-04-24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45624B2 (ko)
KR (1) KR102402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92451A1 (en) * 2022-03-11 2023-09-14 Suprema Inc. Terminal apparatus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862A (ja) * 2001-02-28 2002-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量計
KR102019603B1 (ko) * 2018-06-14 2019-09-06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봉인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993B1 (ko) 2015-05-04 2017-04-26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KR101980861B1 (ko) * 2017-10-25 2019-05-23 (주)에스엠에스 경보기능을 구비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지문인식 전자자물쇠 시스템 및 그 자물쇠시스템을 이용한 보안관리방법
US10362694B1 (en) * 2018-04-27 2019-07-23 Nanning Fugui Precision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anti-detachment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862A (ja) * 2001-02-28 2002-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量計
KR102019603B1 (ko) * 2018-06-14 2019-09-06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봉인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37680A1 (en) 2021-10-28
KR20210131701A (ko) 2021-11-03
US11445624B2 (en)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6310B1 (en) Tamper detection mechanism and card processing device
US6512454B2 (en) Tamper resistant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ical assembly utilizing same
KR102402020B1 (ko)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US6297745B1 (en) Housing for an alarm
US11557160B2 (en) Actuation handle with access control system
US6853301B2 (en) Internal micro alarm
US11397835B2 (en) Data device including OFN functionality
US20160188912A1 (en) Secure data entry device
US6093978A (en) Security system for a motor vehicle opening leaf comprising improved connection means
US20110121967A1 (en) Tamper-proof security system component
JP7296036B2 (ja) タンパースイッチの構造
EP3499479B1 (en) An alarm peripheral with an anti-tampering arrangement and an anti-tampering arrangement
JP2000352749A (ja) 電子カメラ
GB2444968A (en) Alarm housing with cover opening tamper switch and cover penetration conductive grid sensor
US7772984B2 (en) Remote control security supervisory control apparatus
KR101609731B1 (ko) 방범 기능을 갖는 인터폰 및 그 작동 방법
KR101436603B1 (ko) 감지센서가 은폐되는 카메라 도난 방지장치
US20240029540A1 (en) Enhanced visual and audio device for use in access control systems
US5844481A (en) Intrusion detector for security systems
JP4546172B2 (ja) 検知装置
TWM554434U (zh) 機車鎖
KR20220149387A (ko)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JP4559185B2 (ja) 固定設置型機器
JP2003084181A (ja) センサユニット
JP2002295067A (ja) 錠 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