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993B1 -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993B1
KR101726993B1 KR1020150062473A KR20150062473A KR101726993B1 KR 101726993 B1 KR101726993 B1 KR 101726993B1 KR 1020150062473 A KR1020150062473 A KR 1020150062473A KR 20150062473 A KR20150062473 A KR 20150062473A KR 101726993 B1 KR101726993 B1 KR 10172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recognition module
fingerprint recognition
guide groo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573A (ko
Inventor
이종우
권대진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프리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to KR102015006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99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006
    • G06K9/0004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가 개시된다.
상기 지문인식 모듈의 고정 구조는, 제1 경사면을 갖는 지지부; 상기 제1 경사면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을 갖는 지문인식모듈;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외측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1 경사면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을 가압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1 경사면을 향해 밀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FIXING STRUCTURE OF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본 발명은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및 광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출입문 개폐 장치도 순수한 기계적인 장치에서 전자 및 광학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장치로 전환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인식 대상도 기계적으로 특정한 형태를 갖는 열쇠가 아닌 출입자가 출생과 함께 갖는 종생 불변의 생체 정보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식 대상으로 특히 접근이 용이한 지문이 인식 대상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지문 인식을 구현하기 위해, 출입문 개폐 장치에는 지문인식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문인식모듈은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와, 본체에 장착되는 프리즘과, 외관 상 확인할 수는 없으나 내부에 위치한 광원, 렌즈계, 이미지 센서 및 컨트롤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지문인식모듈에서는, 우선 프리즘의 지문채취면에 손가락의 지문부위가 접촉되면 광원의 빛이 지문의 골과 융선에서 반사와 흡수가 이루어지고, 이 중 반사된 빛이 프리즘으로 입사되어 렌즈계에 결상되며, 렌즈계에 결상된 빛이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지문은 지문인식모듈과 연결된 영상처리기로 보내지고, 영상처리기는 감지된 지문을 등록된 지문과 대조하여 등록된 지문인지 아닌지를 인식한다. 이러한 지문인식모듈은 출입문 개폐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프리즘의 지문채취면만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프리즘의 지문채취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지문인식모듈은 하우징의 경사면에 지문채취면이 접촉되도록 장착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이러한 장착 구조가 도시되었다. 이 때, 지문인식모듈(1)과 하우징(4)의 경사면 간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할 수 있다. 수분이 내부의 전자 부품 등에 닿으면, 출입문 개폐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다. 종래에는 지문인식모듈(1)의 지문채취면과 이에 대응되는 하우징(4)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모듈(1)을 하우징(4)에 장착하는 브라켓(2)에서는 나사(3)가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는바 나사(3)에 의한 미는 힘이 경사면에 비스듬하게 발생한다(화살표 참조). 그 결과, 경사면에 균일한 힘이 전달되지 않아 지문인식모듈(1)과 하우징(4)의 경사면이 효과적으로 밀착되기 어렵고, 결국 수분 침투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나사를 경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하는 방식도 제안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의 압축력이 경사면에 수직하게 발생하므로 경사면간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브라켓에서 나사가 체결되는 부분 또한 경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금형비가 상승된다. 또한, 나사를 체결하는 방향이 수직방향이 아닌바, 지문인식모듈을 하우징에 조립 시 하우징을 기울인 상태에서 나사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비 또한 상승하여 비경제적이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9442호 (2008년 4월 3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문인식모듈의 경사면과 이것이 고정되는 부분의 경사면을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경사면을 갖는 지지부; 상기 제1 경사면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을 갖는 지문인식모듈;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외측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1 경사면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을 가압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1 경사면을 향해 미는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측면에서,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이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1 경사면을 향해 미는 힘에 의해 압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외표면에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쐐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쐐기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문인식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쐐기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을 통해 삽입되어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2 경사면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상기 측면은 상기 일측이 상기 제2 경사면을 향해 기울어진 제3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쐐기부는 상기 제3 경사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홈의 상기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3 경사면에 상응하는 제4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경사면은 상기 쐐기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때 상기 제3 경사면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전자 장치의 커버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문인식모듈을 지지부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그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전자 장치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인식모듈뿐만 아니라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문인식모듈 고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모듈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 및 지문인식모듈 고정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지문인식모듈 및 가이드홈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정브라켓 및 쐐기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지지부, 실링부재 및 지문인식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고정브라켓을 통해 지지부에 지문인식모듈이 고정될 때 쐐기부가 가이드홈 내에서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상하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내지 도 7b에서 보이는 상태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이며, 각 구성요소들의 위치가 방향의 기재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모듈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 및 지문인식모듈 고정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지문인식모듈 및 가이드홈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고정브라켓 및 쐐기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의 지지부, 실링부재 및 지문인식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전방 하우징(11) 및 후방 하우징(11)을 포함하는 커버 하우징과, 전방 하우징(11)과 후방 하우징(11)의 사이에 수용되는 지문인식모듈(200)과, 지문인식모듈(200)의 고정을 위한 고정 브라켓(300)과, 지문인식모듈(200)과 고정 브라켓(300) 사이에 제공되는 실링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10)는, 예를 들어 지문인식장치, 출입문 개폐 장치 등일 수 있다. 지문인식모듈(200)은 고정 브라켓(300)에 의해 전방 하우징(11) 또는 후방 하우징(11)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지문인식모듈(200)이 전방 하우징(11)에 고정된 경우가 예시되었다.
전방 하우징(11)에는 지문인식모듈(200)이 고정될 수 있는 지지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00)는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으로부터 전자 장치(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경사면(110)과, 체결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20)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경사면 또는 경사진 상태는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면(110)은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과 수직하거나 평행하지 않고,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지문인식모듈(200)의 제2 경사면(210)은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과 예각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사면(110)은 전자 장치(10)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경사면(110)의 중앙부에는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지지부(100)에 고정된 지문인식모듈(200)의 지문채취면(14)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지문채취면(14) 또한 경사진 상태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문인식을 위해 상기 함몰된 공간(13)에 손가락을 넣고 경사진 지문채취면(14)에 손가락을 접촉시킬 수 있다.
결합부(120)는 체결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는 체결수단으로서, 제1 경사면(1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부(120)는 나사 등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일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120)의 나사홀은 제1 경사면(110)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함몰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경사면(110)은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과 예각을 이루게 형성된 데 반해, 나사홀은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되고, 이에 따라 체결부재(400)는 제1 경사면(110)과 수직하게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제1 경사면(110)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삽입될 수 있다.
지문인식모듈(200)은 지문채취면에 접촉된 손가락의 지문을 수집하여 전자 장치(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인식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프리즘과, 역시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광원, 렌즈계, 이미지 센서 및 컨트롤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의 일단부는 제2 경사면(2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면(21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프리즘의 일측 표면이 노출되어 지문채취면(14)을 형성할 수 있다. 지문인식모듈(2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2 경사면(210)은 지지부(100)의 제1 경사면(110)과 상응하는 각도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문인식모듈(200)은 제2 경사면(210)이 지지부(100)의 제1 경사면(110)과 대향하게 커버 하우징(11, 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경사면(210)은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지문채취면(14)은 결국 제1 경사면(110)에 형성된 개구부(130)를 통해 전방 하우징(11)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2 경사면(210)과 제1 경사면(110) 사이에는 후술되는 실링부재(600)가 개재될 수 있다. 지문인식모듈(200)이 지지부(100)에 고정되면, 제2 경사면(210)은 실링부재(600)의 일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 때, 실링부재(600)의 타면은 제1 경사면(110)과 맞닿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링부재 없이 제2 경사면(210)이 제1 경사면(110)에 직접 맞닿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경사면(110)과 제2 경사면(210) 사이에 실링부재(600)가 제공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문인식모듈(200)의 외표면에는 가이드홈(5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가이드홈(510)이 지문인식모듈(200)의 본체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51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때, 가이드홈(510)의 내부 벽들, 즉 측면들 중 제2 경사면(210)에 가깝게 위치한 면은 제3 경사면(5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경사면(512)은 상단이 제2 경사면(210)을 향해 기울어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홈(510) 또는 제3 경사면(512)의 상단은, 후술되는 쐐기부(520)가 가이드홈(510)으로 삽입될 때, 쐐기부(520)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단부를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사면(210)이 제1 경사면(110)과 대향하도록 지문인식모듈(200)이 배치되는 경우, 쐐기부(520)는 전방 하우징(11)과 반대측에서부터 가이드홈(510)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상단은 전방 하우징(11)과 반대측에 위치한 단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홈(510)의 폭이 상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질 수 있다.
고정 브라켓(300)은 지문인식모듈(200)의 외측에 결합되고, 일측이 지지부(100)에 고정되어 지문인식모듈(200)을 지지부(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브라켓(300)은 지문인식모듈(200)의 제2 경사면(210)이 실링부재(600)의 일면과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지문인식모듈(200)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브라켓(300)은 내부에 지문인식모듈(20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310)와, 수용부(3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체결부재(400)가 내삽될 수 있는 관통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10)에 지문인식모듈(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300)이 지지부(100)에 체결됨으로써 지문인식모듈(200)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00)와 고정 브라켓(300)의 체결은 체결부재(400)가 고정 브라켓(300)의 관통홀(320)을 통과한 상태에서 지지부(100)의 결합부(120)와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체결부재(400)와 결합부(120) 간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 브라켓(300)이 지지부(100)에 밀착되고 가압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400)는 결합부(120)에 체결됨으로써 고정 브라켓(300)을 지지부(100) 상에 가압할 수 있다.
결합부(120)와 마찬가지로, 고정 브라켓(300)의 관통홀(320)은 지지부(100)의 제1 경사면(110)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된 것일 수 있이고, 동시에 결합부(120)의 나사홀의 함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고정 브라켓(300)이 지지부(100)와 체결되기 위한 배치로 놓여질 때, 관통홀(320)은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20)의 나사홀이 제1 경사면(110)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체결부재(400)가 관통홀(320)을 통과한 상태에서 결합부(120)와 체결될 수 있고, 결국 체결부재(400)가 제1 경사면(110)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고정 브라켓(300)을 가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300)의 내표면에는 쐐기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쐐기부(520)가 수용부(310)의 양쪽 내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쐐기부(520)는 고정 브라켓(300)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용부(3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쐐기부(520)는 고정 브라켓(300)의 수용부(310)에 지문인식모듈(200)이 삽입될 때 지문인식모듈(200)의 가이드홈(510)에 삽입된다. 쐐기부(520)가 가이드홈(510)에 삽입됨으로써 지문인식모듈(200)과 고정 브라켓(300)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홈(510)이 쐐기부(520)의 이동을 제한하는바, 고정 브라켓(300) 내에서 지문인식모듈(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쐐기부(520)와 가이드홈(510)은, 고정 브라켓(300)이 지지부(100)에 체결될 때, 지문인식모듈(200)의 제2 경사면(210)이 실링부재(600)와 맞닿게 되는 위치에 지문인식모듈(200)이 놓여질 수 있게끔 형성될 수 있다.
쐐기부(520)의 일측면은 제4 경사면(5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 경사면(522)은 가이드홈(510)의 제3 경사면(512)과 상응하는 각도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경사면(522)은 쐐기부(520)의 측면들 중 고정 브라켓(300)이 지지부(100)와 체결될 때 지지부(100)와 더 가까이 위치하는 측에 형성되되, 쐐기부(520)의 하단부가 지지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쐐기부(520)의 하단부는 고정 브라켓(300)이 지지부(100)와 체결될 때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과 가깝게 위치하는 단부를 가리킬 수 있다. 이 경우, 쐐기부(520)의 폭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4 경사면(522)은 쐐기부(520)가 가이드홈(510)에 삽입된 때 가이드홈(510)의 제3 경사면(512)과 밀착될 수 있다.
체결부재(400)는 지지부(100)에 고정 브라켓(300)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으로서, 두 개의 부재를 물리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수단은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지지부(100)에 형성된 결합부(120)의 종류와 형상은 체결부재(400)의 종류에 대응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부재(400)는 나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300)은 체결부재(400)가 지지부(100)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지지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재(400)는 고정 브라켓(300)을 지지부(100) 상에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400)가 고정 브라켓(300)을 가압할 때에, 고정 브라켓(300)은 지문인식모듈(200)을 지지부(100)의 제1 경사면(110)을 향해 밀 수 있다. 이로써, 고정 브라켓(300)이 지지부(100)에 체결됨에 따라 지문인식모듈(200)이 제1 경사면(110)을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결국 실링부재(600)와 맞닿게 놓여진 제2 경사면(210)이 실링부재(600)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브라켓(300)은 가이드홈(510)의 내부로 쐐기부(520)가 점점 삽입되는 것을 통해 지문인식모듈(200)을 제1 경사면(110)을 향해 밀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100)의 제1 경사면(110)과 지문인식모듈(200)의 제2 경사면(210) 사이에는 실링부재(6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실링부재(600)는 제1 경사면(110)과 제2 경사면(210) 사이에서 압착되는데, 실링부재(600)를 압착하는 힘은 고정 브라켓(300)이 지문인식모듈(200)을 제1 경사면(110)을 향해 미는 힘에 기인한다. 즉, 지지부(100)와 고정 브라켓(300)이 체결되는 것에 의해 지문인식모듈(200)이 제1 경사면(110)을 향해 밀리면, 지문인식모듈(200)의 제2 경사면(210)과 지지부(100)의 제1 경사면(110)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600)가 지문인식모듈(200)에 의해 압착되면서 찌그러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의 압착력에 의해 실링부재(600)의 양면이 각각 제1 경사면(110)과 제2 경사면(210)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고, 결국 지지부(100)와 지문인식모듈(200) 사이에 틈새를 남기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방수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실링부재(600)는 고무로 제작된 가스켓(rubber gasket)일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6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심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600)는 그것의 개구부가 지지부(100)의 개구부(130)에 중첩되도록 지지부(100)의 제1 경사면(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에는 고정브라켓(300)을 통해 지지부(100)에 지문인식모듈(200)이 고정될 때 쐐기부(520)가 가이드홈(510) 내에서 작용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지문인식모듈(200)이 전방 하우징(11)의 전면(FS)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지문인식모듈(200)이 고정 브라켓(300) 내에 수용되도록 고정 브라켓(300)이 지문인식모듈(200)을 상측에서부터 덮으며 지문인식모듈(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지문인식모듈(200)은 제2 경사면(210)이 지지부(100)의 제1 경사면(1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경사면(110)과 제2 경사면(210) 사이에는 실링부재(600)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브라켓(300)이 지문인식모듈(200)을 덮을 때, 고정 브라켓(300)의 쐐기부(520)가 지문인식모듈(200)의 가이드홈(510)의 상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다. 쐐기부(520)가 가이드홈(510)의 내부로 삽입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520)의 제4 경사면(522)이 가이드홈(510)의 제3 경사면(512)의 상부와 밀착될 수 있다.
도 7a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부재(400)가 고정 브라켓(300)의 관통홀(320)을 통과한 뒤 지지부(100)의 결합부(120)와 체결되면, 체결부재(400)와 결합부(120)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 브라켓(300)이 하부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 도 7a의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고정 브라켓(300)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쐐기부(520) 또한 가이드홈(510) 내부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쐐기부(520)는 제4 경사면(522)을 이용하여 가이드홈(510)의 제3 경사면(512) 상에서 용이하게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홈(510)의 제3 경사면(512)은 하부로 갈수록 제2 경사면(210)과 멀어지는 모양으로 기울어졌기 때문에, 쐐기부(52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쐐기부(520)의 제3 경사면(512)이 가이드홈(510)의 제4 경사면(522)을 제2 경사면(210) 방향으로 민다. 이에 따라, 고정 브라켓(300)이 하부로 이동할 때 쐐기부(520)가 가이드홈(510)의 측면을 제2 경사면(210) 방향으로 밀게 되고, 결과적으로 지문인식모듈(200)이 제1 경사면(11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문인식모듈(200)은 제1 경사면 (110) 측으로 이동하여 실링부재(600)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동시에, 실링부재(600)의 타면은 제1 경사면(110)에 밀착되고, 결국 제2 경사면(210), 실링부재(600)와 제1 경사면(110)은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고 서로 효과적으로 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쐐기부(520)와 가이드홈(510)은, 지문인식모듈(200)을 제2 경사면(210)이 실링부재(600)와 맞닿을 때까지만 미는 것이 아니라, 제2 경사면(210)이 실링부재(600)와 맞닿은 후에도 지문인식모듈(200)을 제1 경사면(110)을 향해 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 브라켓(300)이 정위치에서 지지부(100)에 고정된 상태일 때, 제2 경사면(210)은 실링부재(600)와 맞닿은 상태이고, 동시에 쐐기부(520)가 가이드홈(510)의 일측면을 제1 경사면(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계속하여 밀고 있을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부(520)가 가이드홈(510)을 미는 힘(화살표 참조)은 결국 제2 경사면(210)이 실링부재(600)를 압착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브라켓(300)이 지문인식모듈(200)을 지지부(100)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제2 경사면(210)이 실링부재(600)에 면방향으로 수직한 압착력을 항상 가하게 되고, 실링부재(600)는 압착력에 의해 찌그러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경사면(210)에 의한 압착력은 실링부재(600)의 면방향에 수직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실링부재(600)를 더욱 균일하게 압착할 수 있고, 결국 제2 경사면(210), 실링부재(600)와 제1 경사면(110)이 더욱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인식모듈(제2 경사면, 210), 실링부재(600) 및 전방 하우징(11)의 일부인 지지부(제1 경사면, 11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지문인식모듈(200)이 실링부재(600)를 항상 압착하는 상태로 지지부(100)에 고정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방수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하우징(11)에 형성된 개구부(130)를 통해 전자 장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통로를 지문인식모듈(200)과 실링부재(600)가 지지부(100)에 밀착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결국 전자 장치(1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켜 전자 장치(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라켓(300)에 쐐기부가 형성되고 지문인식모듈(200)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는 반대로, 고정 브라켓(300)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지문인식모듈(200)에 돌출된 쐐기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전자 장치 11: 전방 하우징
12: 후방 하우징 100: 지지부
110: 제1 경사면 120: 결합부
200: 지문인식모듈 210: 제2 경사면
300: 고정 브라켓 310: 수용부
320: 관통홀 400: 체결부재
510: 가이드홈 512: 제3 경사면
520: 쐐기부 522: 제4 경사면
600: 실링부재 FS: 전방 하우징의 전면

Claims (6)

  1. 제1 경사면을 갖는 지지부;
    상기 제1 경사면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을 갖는 지문인식모듈;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외측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제1 경사면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을 가압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외표면에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내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쐐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1 경사면을 향해 밀고,
    상기 쐐기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문인식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쐐기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을 통해 삽입되어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2 경사면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이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1 경사면을 향해 미는 힘에 의해 압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3. 삭제
  4. 제1 경사면을 갖는 지지부;
    상기 제1 경사면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을 갖는 지문인식모듈;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외측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제1 경사면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을 가압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상기 제1 경사면을 향해 밀고,
    가이드홈의 측면은 상기 일측이 상기 제2 경사면을 향해 기울어진 제3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쐐기부는 상기 제3 경사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홈의 타측으로 이동하는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의 일측면은 상기 제3 경사면에 상응하는 제4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경사면은 상기 쐐기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때 상기 제3 경사면과 밀착되는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6.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전자 장치의 커버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KR1020150062473A 2015-05-04 2015-05-04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KR101726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73A KR101726993B1 (ko) 2015-05-04 2015-05-04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73A KR101726993B1 (ko) 2015-05-04 2015-05-04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573A KR20160130573A (ko) 2016-11-14
KR101726993B1 true KR101726993B1 (ko) 2017-04-26

Family

ID=57528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473A KR101726993B1 (ko) 2015-05-04 2015-05-04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9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2071B2 (en) 2019-11-25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odules
US11507148B2 (en) 2019-11-25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solid-state drive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727B1 (ko) * 2017-05-17 2019-03-20 주식회사 슈프리마 식별정보 수집기기용 케이스 및 식별정보 수집기기
KR102402020B1 (ko) 2020-04-24 2022-05-26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42A (ko) 2006-09-29 2008-04-03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인식기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2071B2 (en) 2019-11-25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odules
US11507148B2 (en) 2019-11-25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solid-state drive module
US11867366B2 (en) 2019-11-25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573A (ko) 201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993B1 (ko)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US7555150B2 (en) Fingerprint input apparatus
US20170154742A1 (en) Electronic apparatus
TWI382158B (zh) Electrostatic Capacitive Sensors
US8957849B2 (en) Optical scrolling module and optical control module
WO2019150551A1 (ja) 撮像装置
EP3001671B1 (en) Image pickup apparatus
KR870011449A (ko) 부품표면의 凸출부형상 검출장치
JP4877164B2 (ja) 画像入力装置
WO2017024437A1 (en) Optical fingerprint imaging system and optical assembly thereof
JP7296036B2 (ja) タンパースイッチの構造
JP5368279B2 (ja) 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用送信機
CN104636735A (zh) 指纹成像模组及移动终端
CN111834149B (zh) 按键模块及电子装置
KR101027269B1 (ko) 화상입력장치
JP2002140151A (ja) 携帯型情報機器
KR101027198B1 (ko) 화상입력장치
CN111223698A (zh) 电子设备
KR102332649B1 (ko) 밀폐력이 향상된 밀폐부재를 이용한 지문인식기
US20240098909A1 (en) Eletronic device
KR102197179B1 (ko) 밀폐력이 향상된 밀폐부재를 이용한 지문인식기
US20230292451A1 (en) Terminal apparatus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same
WO2022163155A1 (ja) 入力装置
JP2006113879A (ja) 画像検出装置
CN109214262B (zh) 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