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387A -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387A
KR20220149387A KR1020210111446A KR20210111446A KR20220149387A KR 20220149387 A KR20220149387 A KR 20220149387A KR 1020210111446 A KR1020210111446 A KR 1020210111446A KR 20210111446 A KR20210111446 A KR 20210111446A KR 20220149387 A KR20220149387 A KR 20220149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bracket
case
terminal devi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준선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프리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to US17/529,65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63727B1/en
Priority to EP21209415.5A priority patent/EP4084588A1/en
Publication of KR2022014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에 설치되는 브라켓 및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벽에 설치된 브라켓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림상태에 놓이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로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유닛은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로커, 및 상기 제1 로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로커를 포함하는, 단말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TERMINAL APPARATUS AND TERMINAL EQUIPMENT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단말장치는 데이터 전송 장치 등에서 통신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그 통신 회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장치는 일 예로, 지문채취면에 사용자가 손가락의 지문부위를 접촉시키면, 광원의 빛이 지문의 골과 융선에서 반사와 흡수가 이루어지고, 반사된 빛이 프리즘으로 입사되어 렌즈계에 결상되며, 렌즈계에 결상된 빛이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지문인식장치가 있다. 이러한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감지된 지문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처리기로 보내지고, 영상처리기는 감지된 지문을 등록된 지문과 대조하여 등록된 지문인지 아닌지를 인식한다.
이러한 지문인식장치, 안면인식장치, 카드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단말장치는 비승인된 외부자에 의해 임의로 불법 분해되는 경우, 단말장치의 주요 설계에 대한 정보는 물론, 단말장치에 저장된 중요 데이터가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탬퍼링(tampering)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단말장치는 주로 출입문과 인접한 벽에 배치된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종래의 브라켓은 스크류 연결방식으로 지문인식장치를 고정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스크류 연결방식은 단말장치를 장착하는데 시간이 걸리며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벽에 설치된 브라켓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림상태에 놓이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로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유닛은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로커, 및 상기 제1 로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로커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바디; 및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바디를 지지하는 케이스훅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훅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됨으로써 상기 브라켓과 맞물리는,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로커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어긋나는 경사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로커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로커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벽과 수직한 방향인,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인,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브라켓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벽과 수직인 방향인,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로커가 상기 브라켓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메인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가하는 상기 외력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로커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어긋나는 경사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로커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로커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인,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방향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인,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벽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인,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로커에 외력을 가할 때 상기 제2 로커가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메인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유닛과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브라켓 사이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스위치; 및 상기 감지스위치에서 상기 분리가 감지될 때 탬퍼(tamper) 기능을 동작시키는 탬퍼유닛을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벽에 설치되는 브라켓 및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벽에 설치된 브라켓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림상태에 놓이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로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유닛은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로커, 및 상기 제1 로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로커를 포함하는, 단말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바디; 및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바디를 지지하는 케이스훅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케이스훅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훅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훅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훅연결부에 대하여 이동됨으로써 상기 훅연결부와 맞물리는, 단말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벽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록킹부와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로커연결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는 단말장치를 훅(hook) 연결방식으로 브라켓과 연결되는바,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브라켓에 설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로커유닛이 이동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로커유닛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4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로커유닛이 이동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의 로커유닛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고정', '지지', '이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고정, 지지, 이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상면, 하면 등의 표현은 도 1의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제1 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하고, '상방'은 훅연결부(2200)가 로커연결부(2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되고, '하방'은 '상방'의 반대방향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제1 방향은 '푸쉬방향'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의 제2 방향은 전후방향을 의미하고,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방향은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2 방향은 '로킹방향'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전방'은 단말장치(1000)로부터 브라켓(20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방향으로 정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1)는 훅(hook) 연결방식을 통해 후술할 단말장치(1000)를 벽(wall)에 설치되는 브라켓(200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구(1)는 벽에 고정 설치되는 벽 고정형(wall-mounted typ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기구(1)는 단말장치(1000) 및 브라켓(20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단말장치(1000)는 지문채취면에 접촉된 손가락의 지문을 수집할 수 있는 지문인식장치, 안면인식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원을 인식하는 안면인식장치, 카드에 입력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카드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0)는 브라켓(200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0)는 케이스(1100), 로커유닛(1200), 탄성부(1300), 감지스위치(1400), 및 탬퍼유닛(15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0)는 로커유닛(1200), 탄성부(1300), 감지스위치(1400) 및 탬퍼유닛(150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0)는 로커유닛(1200), 탄성부(1300), 감지스위치(1400) 및 탬퍼유닛(15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0)는 벽에 설치된 브라켓(200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림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0)는 케이스바디(1110) 및 케이스훅(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바디(1110)의 상부에는 로커유닛(1200)이 수용될 수 있는 로커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바디(1110)는 출입벽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바디(1110)는 브라켓(20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바디(1110)가 브라켓(2000)에 연결되면 케이스바디(1110)는 브라켓(20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바디(1110)의 일단부에는 로커유닛(12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로커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바디(1110)의 일단부는 케이스바디(11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일 수 있다. 이러한 로커삽입홀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케이스훅(1120)은 브라켓(2000)에 분리 가능하게 케이스바디(1110)를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훅(1120)은 케이스바디(11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훅(1120)은 케이스바디(1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훅(1120)은 단부가 하방 또는 상방을 향하는 후크(hook)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훅(1120)은 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됨으로써 브라켓(2000)과 맞물릴 수 있다. 벽과 평행한 방향은 일 예로, 상하방향일 수 있다.
로커유닛(1200)은 케이스(1100)를 브라켓(200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커유닛(1200)은 케이스(1100)가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이하, '로킹')하거나, 케이스(1100)가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이하, '언로킹')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로커유닛(1200)은 브라켓(200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커유닛(1200)은 제1 로커(1210) 및 제2 로커(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커(1210)는 푸쉬되기 위한 푸쉬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로커(1210)는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1 로커(1210)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로커(1210)의 일면은 사용자로부터 푸쉬되기 위한 푸쉬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커(1210)의 상면은 사용자에 의해 하방으로 푸쉬되는 푸쉬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로커(1210)가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동할 때 케이스(1100)와 브라켓(2000)은 언로킹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로커(1210)의 하측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경사면은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 어긋나는 경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방향은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과 수직인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경사면과 지면 사이의 각도는 00°이상 00°이하일 수 있다.
제2 로커(1220)는 제1 로커(1210)의 이동에 의해 상하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로커(1220)는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로, 제1 로커(121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제2 로커(1220)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로커(121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제2 로커(1220)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로커(1220)의 상측에는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경사면은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로커(1220)는 제1 로커(1210)가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 경사면이 제1 경사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로커(1210)와 제2 로커(1220)는 각자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한 상태로 상대이동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로커(1220)는 로커바디부(1221) 및 록킹부(12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커바디부(1221)는 센터바디(1221-1) 및 사이드바디(1221-2)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바디(1221-1)는 로커바디부(1221)의 중앙부를 의미할 수 있다. 사이드바디(1221-2)는 센터바디(1221-1)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센터바디(1221-1)와 사이드바디(122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록킹부(1222)는 브라켓(2000)과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부(1222)는 그 상면과 후술할 로커연결부(2100)의 하면과 밀착될 수 있다. 록킹부(1222)와 로커연결부(2100)의 밀착상태가 해제되고, 케이스(1100)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면 케이스(1100)와 브라켓(200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부(1222)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부(1222)는 사이드바디(1221-2)의 전면으로부터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부(1222)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록킹부(1222)는 로커바디부(1221)와 함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1300)는 로커유닛(120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수축하고, 로커유닛(120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신장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300)는 로커유닛(120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1300)는 로커유닛(1200)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로커유닛(1200)을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300)는 로커유닛(1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300)는 일 예로, 압축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1300)는 로커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300)는 메인탄성부재(1310) 및 보조탄성부재(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탄성부재(1310)는 제1 로커(1210)에 의해 제2 로커(122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수축하고, 제2 로커(122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신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인탄성부재(1310)는 제1 로커(121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수축하고, 제1 로커(12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신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탄성부재(1310)는 제2 로커(1220)가 브라켓(20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로커(12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로커(1220)가 브라켓(2000)에 가까워지는 방향은 전방일 수 있다. 이러한 메인탄성부재(1310)는 제1 로커(12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제2 로커(13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인탄성부재(1310)는 케이스바디(1110)와 제2 로커(1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탄성부재(1310)는 케이스바디(1110)와 사이드바디(12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탄성부재(1310)는 일 예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보조탄성부재(1320)는 제1 로커(1210)에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때 수축하고, 제1 로커(12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신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탄성부재(1320)는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1 로커(121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은 상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탄성부재(1320)는 제1 로커(1210)에 하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수축하고, 제1 로커(12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될 때 제1 로커(1210)를 신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탄성부재(1320)는 케이스바디(1110)와 제1 로커(1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탄성부재(1320)는 일 예로,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감지스위치(1400)는 제2 로커(1220)에 의해 선택적으로 푸쉬됨에 따라, 케이스(1100)와 브라켓(2000)의 분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스위치(1400)는 제2 로커(1220)의 후단부에 의해 푸쉬될 때, 분리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감지스위치(1400)는 일 예로, 택트(tact) 스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감지스위치(1400)는 분리신호를 탬퍼유닛(1500)에 전달할 수 있다.
탬퍼유닛(1500)은 감지스위치(1400)로부터 분리신호를 인가 받아 탬퍼(tamper)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탬퍼유닛(1500)은 감지스위치(1400)로부터 분리신호를 인가 받으면 탬퍼 기능을 on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탬퍼유닛(1500)은 일 예로, 프로그래밍된 탬퍼 기능을 작동시키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탬퍼유닛(150)을 통해 비승인된 외부자로부터 단말장치(1000)에 입력된 정보가 탈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2000)은 단말장치(1000)를 소정의 출입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2000)은 단말장치(10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단말장치(10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2000)은 로커연결부(2100) 및 훅연결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커연결부(2100)는 록킹부(1222)와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커연결부(2100)의 하면과 록킹부(1222)의 상면은 서로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로커연결부(2100)는 제1 로커(1210)가 하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면, 록킹부(1222)와의 밀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로커연결부(2100)는 그 하면이 록킹부(1222)의 상면과 대향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로커연결부(2100)는 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훅연결부(2200)는 케이스훅(1120)과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훅연결부(2200)는 케이스훅(112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훅연결부(2200)의 일단부는 상방을 향하는 후크 형상이고, 케이스훅(1120)의 일단부는 하방을 향하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훅연결부(2200)의 일단부는 하방을 향하는 후크 형상이고, 케이스훅(1120)의 일단부는 상방을 향하는 후크 형상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기구(1)는 훅연결부(2200)와 케이스훅(1120)이 맞물림상태에 놓이고, 로커유닛(1200)을 통해 케이스(1100)와 브라켓(2000)을 로킹하여 단말장치(1000)를 브라켓(20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구(1)는 비승인된 외부자가 로커유닛(1200)에 외력을 가하여 언로킹할 때, 탬퍼 기능을 on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구(1)는 로커유닛(1200), 케이스훅(1120) 및 훅연결부(2200)를 통해 나사(screw) 없이 단말장치(1000)를 브라켓(2000)에 고정시킬 수 있는바, 단말장치(1000)의 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구(1)는 단말장치(1000)가 브라켓(2000)에서 분리되면, 탬퍼 기능이 작동되는바, 비승인된 외부자로부터 단말장치(1000) 내부에 입력된 정보가 탈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방향은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제2 로커(1220)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일 예로,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방향은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에 의해 결정되는 좌우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커(121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제2 로커(1220)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과 수직인 방향 중 일측 방향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과 수직인 방향 중 일측 방향은 일 예로, 좌측 방향일 수 있다.
로커바디부(1221)는 센터바디(1221-1) 및 사이드바디(12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바디(1221-2)는 센터바디(1221-1)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1 사이드바디(1221-2a) 및 제2 사이드바디(12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바디(1221-2a)는 센터바디(1221-1)의 좌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이드바디(1221-2a)의 일측 상면에는 경사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방향은 상하방향, 제2 방향과 어긋나고 벽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면과 지면 사이의 각도는 00°이상 00°이하일 수 있다.
메인탄성부재(1310)는 제1 사이드바디(1221-2a)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탄성부재(1310)는 사용자가 제1 로커(1210)에 외력을 가할 때 제2 로커(1220)가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로커(1210)에 외력을 가할 때 제2 로커(1220)가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은 좌측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메인탄성부재(1310)는 제1 로커(12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제2 로커(1220)를 우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단말기구 1000: 단말장치
1100: 케이스 1110: 케이스바디
1120: 케이스훅 1200: 로커유닛
1210: 제1 로커 1220: 제2 로커
1221: 로커바디부 1221-1: 센터바디
1221-2: 사이드바디 1221-2a: 제1 사이드바디
1221-2b: 제2 사이드바디 1222: 록킹부
1300: 탄성부 1310: 메인탄성부재
1320: 보조탄성부재 1400: 감지스위치
1500: 탬퍼유닛 2000: 브라켓
2100: 로커연결부 2200: 훅연결부

Claims (15)

  1. 벽에 설치된 브라켓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림상태에 놓이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로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유닛은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로커, 및 상기 제1 로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로커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바디; 및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바디를 지지하는 케이스훅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훅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됨으로써 상기 브라켓과 맞물리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커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어긋나는 경사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로커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로커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벽과 수직한 방향인,
    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인,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브라켓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벽과 수직인 방향인,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로커가 상기 브라켓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메인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가하는 상기 외력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커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어긋나는 경사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로커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로커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인,
    단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방향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인,
    단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벽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인,
    단말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로커에 외력을 가할 때 상기 제2 로커가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메인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유닛과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브라켓 사이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스위치; 및
    상기 감지스위치에서 상기 분리가 감지될 때 탬퍼(tamper) 기능을 동작시키는 탬퍼유닛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13. 벽에 설치되는 브라켓 및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벽에 설치된 브라켓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맞물림상태에 놓이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맞물림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로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커유닛은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로커, 및 상기 제1 로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로커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바디; 및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바디를 지지하는 케이스훅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케이스훅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훅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훅은 상기 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훅연결부에 대하여 이동됨으로써 상기 훅연결부와 맞물리는,
    단말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벽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록킹부와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로커연결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KR1020210111446A 2021-04-30 2021-08-24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KR20220149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29,659 US11363727B1 (en) 2021-04-30 2021-11-18 Terminal apparatus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EP21209415.5A EP4084588A1 (en) 2021-04-30 2021-11-19 Terminal apparatus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697 2021-04-30
KR20210056697 2021-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387A true KR20220149387A (ko) 2022-11-08

Family

ID=8404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446A KR20220149387A (ko) 2021-04-30 2021-08-24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93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133A (en) Equipment unit latch and associated switch
US6912299B1 (en) Device for detecting a fingerprint, electric apparatus and doorkeeper apparatus
EP1197911B1 (en) Fingerprint recogniz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having such apparatus
US1066407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1157906B1 (en) Biometric key
US20080110217A1 (en) Security System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11363727B1 (en) Terminal apparatus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EP1176858B1 (en) Insertion and removal system in plug-in unit
KR101961922B1 (ko) 네트웍 포트 커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웍 포트 락 장치
US20140270417A1 (en) Portable fingerprint device with enhanced security
EP1239545B1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detecting that card has been held in card mounting position
US20190024406A1 (en) Latch assembl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147134B2 (en) Connector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reof
KR20220149387A (ko)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US20220314932A1 (en) Vehicle-mounted device
JPH10269344A (ja) 指紋読み取り装置
KR102008867B1 (ko) Usb 케이블 잠금장치
US6564998B1 (en) Card enabled latch for a portable computer
KR102402020B1 (ko) 지문인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EP4242903A1 (en) Terminal apparatus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same
KR20080095336A (ko) 사용자 인증장치 및 이 사용자 인증장치가 포함된 도어록장치
KR20230133777A (ko) 단말장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CN108487797B (zh) 一种指纹锁结构及指纹锁笔记本
WO2001057781A1 (en) Fingerprint-based identification system
KR20100102126A (ko) 구동 장치에 설치하는 키 스위치 및 이 키 스위치를 작동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