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777A - 단말장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777A
KR20230133777A KR1020230029140A KR20230029140A KR20230133777A KR 20230133777 A KR20230133777 A KR 20230133777A KR 1020230029140 A KR1020230029140 A KR 1020230029140A KR 20230029140 A KR20230029140 A KR 20230029140A KR 20230133777 A KR20230133777 A KR 20230133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ker
bracket
terminal device
devic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준선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프리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프리마
Priority to US18/181,35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92451A1/en
Priority to EP23161020.5A priority patent/EP4242903A1/en
Priority to JP2023037556A priority patent/JP7503341B2/ja
Publication of KR2023013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라켓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내측로킹부를 포함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로킹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장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TERMINAL APPARATUS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단말장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데이터 전송 장치 등에서 통신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그 통신 회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일 예로, 지문채취면에 사용자가 손가락의 지문부위를 접촉시키면, 광원의 빛이 지문의 골과 융선에서 반사와 흡수가 이루어지고, 반사된 빛이 프리즘으로 입사되어 렌즈계에 결상되며, 렌즈계에 결상된 빛이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지문인식장치가 있다. 이러한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감지된 지문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영상처리기로 보내지고, 영상처리기는 감지된 지문을 등록된 지문과 대조하여 등록된 지문인지 아닌지를 인식한다.
이러한 지문인식장치, 안면인식장치, 카드 단말장치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는 비승인된 외부자에 의해 임의로 불법 분해되는 경우, 단말기의 주요 설계에 대한 정보는 물론, 단말기에 저장된 중요 데이터가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탬퍼링(tampering)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단말기는 주로 출입문과 인접한 벽에 배치된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종래의 단말기는 스크류 체결방식으로 브라켓에 고정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스크류 체결방식은 단말기를 브라켓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일 예로, 드라이버 등)가 필요하고, 고정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바, 단말기의 설치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단말기를 브라켓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단말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라켓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내측로킹부를 포함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로킹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내측로커;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내측로커와 맞물리는, 제2 내측로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측로커는, 상부가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고, 하부가 브라켓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력 및 상기 제1 내측로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하부가 가압되면 상기 브라켓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측로커는 판스프링인,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는 로킹상태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하는 로킹해제상태에 중 어느 하나에 놓이고, 상기 제2 내측로커는, 상기 로킹상태일 때, 하단이 상기 제1 내측로커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로킹해제상태일 때, 하단이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을 향해 가압되어 상기 제1 내측로커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단말기가 브라켓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로킹도입상태에 놓이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로킹도입상태일 때, 상기 로킹상태 및 로킹해제상태일 때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측로커는, 상기 로킹도입상태일 때, 상기 제2 내측로커의 하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내측로커의 하부를 상기 브라켓을 향해 가압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로커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하방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내측로커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내측로커를 가압하기 위한 오프너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내측로커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측로커는 상기 가이드부보다 더 돌출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는, 상기 오프너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탬퍼링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에 지지되는, 제1 내측로커; 및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어,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내측로커와 맞물리는, 제2 내측로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로커는, 상기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이동되는 내측 로커부재; 및 가압되어 이동되는 상기 내측 로커부재에 의해 상기 단말기를 향해 압축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내측 로커부재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는 로킹상태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하는 로킹해제상태에 중 어느 하나에 놓이고, 상기 내측 로커부재는, 상기 로킹상태일 때, 상단이 상기 제2 내측로커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로킹해제상태일 때,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단말기를 향해 가압되어 상단이 상기 제2 내측로커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탄성부재를 압축시키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로커부재에는 외면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인입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로커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오프너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은 하단이 상단보다 상기 단말기로부터 더 이격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측로커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복수 개의 제2 내측로커 사이에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로커부재는, 상기 로킹상태일 때, 상기 경사면의 상단과 상기 단말기 간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2 내측로커와 상기 단말기 간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로킹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에 지지되는, 제1 내측로커;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내측로커와 맞물리는 제2 내측로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로커는, 하부가 상기 단말기에 지지되고, 상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외력 및 제2 내측로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이동되고,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단말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로커는 판스프링인,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는 로킹상태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하는 로킹해제상태에 중 어느 하나에 놓이고, 상기 제1 내측로커는 상기 로킹상태일 때, 상단이 상기 제2 내측로커의 하단에 접촉되고, 상기 로킹해제상태일 때, 외력에 의해, 상기 단말기를 향해 가압되어 상단이 상기 제2 내측로커로부터 이격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로커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내측로커에 대하여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인입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측로커를 가압하기 위한 오프너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단에 오프너홀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오프너홀을 개폐하는 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서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좌우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오프너홀을 개폐하는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가 상기 오프너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커버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벽에 설치되는 브라켓 및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브라켓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내측로킹부를 포함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로킹부는, 적어도 일부가 가압되어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체결될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상기 단말기에 배치되는 제1 엣지로커와,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어 제1 엣지로커와 맞물리는 제2 엣지로커를 포함하는 엣지로킹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내측로킹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엣지로커는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도출되고, 상기 제2 엣지로커는, 상기 브라켓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엣지단턱; 및 상기 엣지단턱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엣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엣지로커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체결될 때, 하면이 상기 엣지단턱에 접촉되어 상기 엣지돌기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는, 단말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는, 단말기를 브라켓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측로킹부가 로킹해제상태에 놓인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내측로킹부가 로킹해제상태에 놓인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내측로킹부가 로킹해제상태에 놓인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 '공급',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동, 공급,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상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좌표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1)는 단말장치 조립체(10) 및 브라켓(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 조립체(10)는 단말기(100) 및 로킹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브라켓(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로킹유닛(200)을 통하여 브라켓(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프레임(110), 탬퍼링부(120), 가이드부(130) 및 홀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탬퍼링부(120), 가이드부(130) 및 홀커버(14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은 로킹유닛(200)의 후술할 내측로킹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단말기(100)의 외관을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일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10)의 상단에는 오프너(P)가 관통할 수 있는 오프너홀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바디프레임(111) 및 사이드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111)은 외측프레임(111a) 및 내측프레임(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프레임(111a)은 단말기(100)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프레임(111b)은 단말기(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프레임(111b)은 외측프레임(111a) 및 사이드프레임(112)과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112)은 바디프레임(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프레임(111b)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프레임(112)은 단말기(100)의 상면, 하면 및 측면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탬퍼링부(120)는 브라켓(20)과 단말기(100)의 분리가 감지되면, 단말기(100)의 탬퍼(temper)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탬퍼링부(120)는 후술할 제2 내측로커(212)와의 접촉이 해제될 때 단말기(100)의 탬퍼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탬퍼링부(120)는 내측로킹부(210)를 로킹해제할 수 있는 오프너(P)(일 예로, 날카로운 송곳, 드라이버, 샤프트핀 등)이 감지되면, 단말기(100)의 탬퍼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탬퍼링부(120)는 후술할 내측로킹부(2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오프너(P)가 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오프너(P)가 제2 내측로커(212)를 향하도록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너(P)가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될 때, 가이드부(130)는 오프너(P)가 제2 내측로커(212)를 가압하도록 오프너(P)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3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내측프레임(111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가이드부(130)는 오프너(P)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프너(P)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130)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가이드부(130) 사이의 폭은 하방으로 갈수록 좌우방향으로의 길이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부(130)는 사이에는 탬퍼링부(120)가 위치될 수 있다.홀커버(140)는 사이드프레임(112)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오프너홀을 개폐할 수 있다. 오프너홀은 사이드프레임(112)의 상단 중앙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이러한 홀커버(140)는 커버몸체(141) 및 토션스프링(14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141)는 사이드프레임(112)의 상단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몸체(141)는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사이드프레임(112)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잇다. 다시 말해, 커버몸체(15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되면 오프너홀을 개방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되면 오프너홀을 폐쇄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142)은 커버몸체(141)가 사이드프레임(112)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일 때, 커버몸체(141)가 회전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커버몸체(141)에 회전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토션스프링(142)의 일측은 내측프레임(111b)에 연결되고, 토션스프링(142)의 타측은 커버몸체(141)에 연결될 수 있다.
로킹유닛(200)은 단말기(100)와 브라켓(20)을 선택적으로 체결시켜줄 수 있다. 다시 말해, 로킹유닛(200)에 의해 단말기(100)는 브라켓(20)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유닛(200)은 내측로킹부(210) 및 엣지로킹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로킹부(210)는 적어도 일부가 가압되어 브라켓(20) 또는 단말기(100)를 향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로킹부의 적어도 일부는 오프너(P)에 의해 가압되어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가압이 해제되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로킹부(210)는 서로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제1 내측로커(211) 및 제2 내측로커(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로커(211)는 제2 내측로커(212)와 맞물리도록 단말기(10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프레임(111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단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측로커(211)는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로커(211)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프레임(111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측로커(211)는 가이드부(13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로커(21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에를 들어, 제1 내측로커(211)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내측로커(212)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로커(211)의 상면은 복수 개의 가이드부(130)에 연결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로커(211)는 가이드부(130)보다 후방측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로킹부(210)가 후술할 로킹상태일 때, 제1 내측로커(211)의 상면은 제2 내측로커(212)와 접촉되어 제1 내측로커(211)와 제2 내측로커(212)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로커(212)는 제1 내측로커(211)와 맞물리도록 브라켓(20)의 전면에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내측로커(212)는 상부가 브라켓(20)의 전면에 지지되고, 하부가 브라켓(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측로커(212)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내측로킹부(210)는 단말기(100)와 브라켓(20)을 체결시키는 로킹상태, 단말기(100)가 브라켓(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하는 로킹해제상태 및 단말기(100)가 브라켓(2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로킹도입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로킹도입상태는 단말기(100)와 브라켓(20)이 전후방향에 있어서 서로 밀착되어 제2 내측로커(212)가 제1 내측로커(211)에 의해 단말기(100)를 향해 가압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로킹도입상태일 때, 단말기(100)는 로킹상태 및 로킹해제상태일 때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로킹도입상태에서 단말기(100)는 브라켓(2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이동되면, 제1 내측로커(211)와 제2 내측로커(212)가 맞물려 로킹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로킹도입상태일 때, 제1 내측로커(211)는, 제2 내측로커(212)의 하부에 접촉되어 제2 내측로커(212)의 하부를 브라켓(20)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
로킹상태는 제1 내측로커(211)와 제2 내측로커(212)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로킹상태일 때의 단말기(100)의 위치는 로킹도입상태일 때의 위치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킹상태일 때, 제2 내측로커(212)는 제1 내측로커(2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로킹상태일 때, 제2 내측로커(212)는, 하단이 제1 내측로커(211)의 상면에 접촉되어 제1 내측로커(211)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로킹상태일 때, 제2 내측로커(212)에 의해, 제1 내측로커(211)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로킹해제상태는 제1 내측로커(211)와 제2 내측로커(212)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로킹해제상태일 때, 단말기(100)는 브라켓(2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로킹해제상태일 때, 제2 내측로커(212)는 오프너(P)에 의해 브라켓(20)을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해제상태일 때, 제2 내측로커(212)의 하단은 오프너(P)에 의해, 브라켓(20)을 향해 가압되어, 제1 내측로커(211)와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로킹해제상태일 때, 제2 내측로커(212)가 상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내측로킹부(210)가 로킹도입상태일 때로부터 단말기(100)가 브라켓(20)에 대하여 하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되면, 내측로킹부(210)는 로킹상태에 놓일 수 있다.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일 때, 단말기(100)가 브라켓(2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내측로킹부(210)가 로킹해제상태일 때, 단말기(100)는 브라켓(2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로킹해제상태에서 단말기(10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로킹도입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엣지로킹부(220)는 단말기(100)와 브라켓(20)이 체결될 때, 단말기(100)가 브라켓(2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엣지로킹부(220)는 로킹상태 및 로킹해제상태일 때, 단말기(100)가 브라켓(2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엣지로킹부(2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엣지로킹부(220)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엣지로킹부(220)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제1 엣지로커(221) 및 제2 엣지로커(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엣지로커(221)는 단말기(100)애 배치되어 로킹상태 및 로킹해제상태일 때, 제2 엣지로커(222)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제1 엣지로커(221)는 사이드프레임(112)의 내측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엣지로커(221)는 사이드프레임(112)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제2 엣지로커(222)는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 및 로킹해제상태일 때, 단말기(100)가 브라켓(2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엣지로커(222)는 제1 엣지로커(221)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후크(hook)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엣지로커(222)는 엣지단턱 및 엣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단턱은 브라켓(20)의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수 있다. 또한, 엣지단턱은 브라켓(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엣지단턱은 내측로킹부(210)가 로킹도입상태일 때, 제1 엣지로커(221)의 하면과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엣지단턱은 내측로킹부(210)가 로킹도입상태일 때, 제1 엣지로커(221)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엣지단턱은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일 때, 제1 엣지로커(221)의 하면과 접촉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엣지단턱은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 및 로킹해제상태일 때, 단말기(100)가 브라켓(2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엣지돌기는 엣지단턱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엣지돌기는 엣지단턱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엣지돌기는 내측로킹부(210)가 로킹도입상태일 때, 제1 엣지로커(221)와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엣지돌기는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일 때, 제1 엣지로커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엣지돌기는 단말기(100)가 브라켓(2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엣지돌기의 후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은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면은 상단이 하단보다 전방측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엣지돌기의 하단은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일 때, 제1 엣지로커(22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엣지돌기의 상단은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일 때, 내측로킹부(210)와 전후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돌기와 내측로킹부(210) 사이의 전후 이격거리는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구(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평방향에 있어서, 단말기(100)가 브라켓(20)에 밀착될 때, 내측로킹부(210)는 로킹도입상태에 놓일 수 있다. 내측로킹부(210)가 로킹도입상태일 때,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브라켓(20)에 대하여 소정거리만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내측로킹부(210)는 로킹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일 때, 사용자가 오프너(P)를 홀커버(140), 가이드부(130), 및 탬퍼링부(1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 내측로커(211)를 가압하면, 내측로킹부(210)는 로킹해제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오프너(P)가 탬퍼링부(120)와 접촉될 때, 단말기(100)의 탬퍼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자가 로킹상태를 로킹해제상태로 전환할 경우, 단말기(100)의 탬퍼 기능이 수행되어, 단말기(100) 내부의 정보를 외부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로킹부(210)가 로킹해제상태에 놓이면,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브라켓(2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켜, 단말기(100)를 브라켓(2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측로커(211)는 단말기(100)에 구비되고, 제2 내측로커(212)는 브라켓(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제1 내측로커(211)는 내측프레임(1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측로커(211)는 내측 로커부재(211a) 및 내측 탄성부재(211b)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로커부재(211a)는 내측프레임(111b)에 대하여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내측로킹부(210)가 로킹도입상태일 때, 내측 로커부재(211a)의 후면은 제2 내측로커(212)와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내측 로커부재(211a)는 내측로킹부(210)가 로킹도입상태일 때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일 때, 내측 로커부재(211a)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어, 내측 로커부재(211a)는 내측 탄성부재(211b)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일 때, 이러한 내측 로커부재(211a)의 상단과 제2 내측로커(212)의 하면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내측로킹부(210)가 로킹해제상태일 때, 내측 로커부재(211a)는 가이드부(130)에 의해 가이드된 오프너(P)에 의해 가압되어 내측프레임(111b)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로커부재(211a)는 오프너(P)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내측 탄성성부재(211b)를 압축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로커부재(211a)는, 로킹상태일 때, 후술할 경사면의 상단과 단말기(100) 간의 이격거리가 제2 내측로커(212)와 단말기(100) 간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탄성부재(211b)는 내측 로커부재(211a)가 전방으로 가압될 때, 압축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탄성부재(211b)는 내측 로커부재(211a)를 가압하는 압력이 해제될 때, 내측 로커부재(211a)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내측 로커부재(211a)를 향해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탄성부재(211b)의 전단은 내측프레임(111b)에 연결되고, 후단은 내측 로커부재(211a)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탄성부재(211b)는 압축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제2 내측로커(212)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로커(212) 로킹상태일 때, 제1 내측로커(211)의 상측에 접촉되어 제1 내측로커(211)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내측 로커부재(211a)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30)는 내측 로커부재(211a)의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30)는 내측 로커부재(211a)의 중앙부에 전방으로 인입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30)의 내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부(130)의 후면은 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30)의 경사면의 상단은 하단보다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은 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 복수 개의 제2 내측로커(2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프너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복수 개의 제2 내측로커(212)의 사이를 통과하고,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 내측로커(212)를 단말기(100)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측로커(211)는 단말기(100)에 구비되고, 제2 내측로커(212)는 브라켓(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제1 내측로커(211)는 적어도 일부가 오프너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이동되도록 단말기(1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로커(211)는 전방으로 가압될 때, 후방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측로커(211)는 하부가 단말기(100)에 지지되고, 상부가 단말기(10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로커(211)는 상부가 오프너 및 제2 내측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압되면 단말기(100)를 향해 이동되고, 압력이 해제되면, 단말기(1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로커(211)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제1 내측로커(211)는 내측로킹부(210)가 로킹도입상태일 때, 제2 내측로커(212)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측로커(211)는 로킹상태일 때, 제2 내측로커(2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로커(211)의 상단은 내측로킹부(210)가 로킹상태일 때, 제2 내측로커(212)의 하단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내측로커(211)는 내측로킹부(210)가 로킹해제상태일 때, 후단과 제2 내측로커(212)의 전단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측로커(211)는 로킹해제상태일 때, 오프너(P) 의해, 단말기(100)를 향해 가압되어 상단이 제2 내측로커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측로커(211)는 로킹해제상태일 때, 상방으로 이동되는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제2 내측로커(212)는 브라켓(2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로커(212)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내측로커(212)는 로킹상태일 때, 제1 내측로커(211)의 상측에 접촉되어 제1 내측로커(211)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내측로커(212)는 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 후술할 가이드부(130)의 경사면이 복수 개의 제2 내측로커(212)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프너(P)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복수 개의 제2 내측로커(212)의 사이를 통과하고, 가이드부(130)의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 내측로커(211)를 단말기(100)를 향해 가압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제1 내측로커(21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부(130)는 제1 내측로커의 상부 배치되되, 제1 내측로커에 대하여 단차를 형성하도록 단말기(100)를 향해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30)는 제1 내측로커(211)의 상부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인입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30)는 오프너(P)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30)의 후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30)의 경사면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단이 하단보다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단말기구 10: 단말장치 조립체
20: 브라켓 100: 단말기
110: 프레임 111: 바디프레임
111a: 외측프레임 111b: 내측프레임
112: 사이드프레임 120: 탬퍼링부
130: 가이드부 140: 홀커버
141: 커버몸체 142: 토션스프링
200: 로킹유닛 210: 내측로킹부
211: 제1 내측로커 211a: 내측 로커부재
211b: 내측 탄성부재 212: 제2 내측로커
220: 엣지로킹부 221: 제1 엣지로커
222: 제2 엣지로커

Claims (24)

  1. 브라켓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내측로킹부를 포함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로킹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내측로커;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내측로커와 맞물리는, 제2 내측로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측로커는,
    상부가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고, 하부가 브라켓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력 및 상기 제1 내측로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하부가 가압되면 상기 브라켓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로커는 판스프링인,
    단말장치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는 로킹상태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하는 로킹해제상태에 중 어느 하나에 놓이고,
    상기 제2 내측로커는,
    상기 로킹상태일 때, 하단이 상기 제1 내측로커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로킹해제상태일 때, 하단이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을 향해 가압되어 상기 제1 내측로커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단말기가 브라켓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로킹도입상태에 놓이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로킹도입상태일 때, 상기 로킹상태 및 로킹해제상태일 때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측로커는,
    상기 로킹도입상태일 때, 상기 제2 내측로커의 하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내측로커의 하부를 상기 브라켓을 향해 가압하는,
    단말장치 조립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로커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는 하방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내측로커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내측로커를 가압하기 위한 오프너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내측로커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로커는 상기 가이드부보다 더 돌출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는, 상기 오프너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탬퍼링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에 지지되는, 제1 내측로커; 및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어,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내측로커와 맞물리는, 제2 내측로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로커는,
    상기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이동되는 내측 로커부재; 및
    가압되어 이동되는 상기 내측 로커부재에 의해 상기 단말기를 향해 압축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내측 로커부재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는 로킹상태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하는 로킹해제상태에 중 어느 하나에 놓이고,
    상기 내측 로커부재는,
    상기 로킹상태일 때, 상단이 상기 제2 내측로커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로킹해제상태일 때,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단말기를 향해 가압되어 상단이 상기 제2 내측로커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탄성부재를 압축시키는,
    단말장치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커부재에는 외면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인입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로커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오프너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은 하단이 상단보다 상기 단말기로부터 더 이격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측로커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복수 개의 제2 내측로커 사이에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커부재는,
    상기 로킹상태일 때, 상기 경사면의 상단과 상기 단말기 간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2 내측로커와 상기 단말기 간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로킹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에 지지되는, 제1 내측로커;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내측로커와 맞물리는 제2 내측로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로커는,
    하부가 상기 단말기에 지지되고, 상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외력 및 제2 내측로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이동되고,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단말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로커는 판스프링인,
    단말장치 조립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로킹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서로 체결되는 로킹상태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형성하는 로킹해제상태에 중 어느 하나에 놓이고,
    상기 제1 내측로커는
    상기 로킹상태일 때, 상단이 상기 제2 내측로커의 하단에 접촉되고,
    상기 로킹해제상태일 때, 외력에 의해, 상기 단말기를 향해 가압되어 상단이 상기 제2 내측로커로부터 이격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로커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내측로커에 대하여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인입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측로커를 가압하기 위한 오프너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단말장치 조립체.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단에 오프너홀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오프너홀을 개폐하는 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서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좌우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오프너홀을 개폐하는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가 상기 오프너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커버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조립체.
  22. 벽에 설치되는 브라켓 및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브라켓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내측로킹부를 포함하는 로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로킹부는,
    적어도 일부가 가압되어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단말기를 향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체결될 때, 상기 단말기가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상기 단말기에 배치되는 제1 엣지로커와,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어 제1 엣지로커와 맞물리는 제2 엣지로커를 포함하는 엣지로킹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내측로킹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엣지로커는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도출되고,
    상기 제2 엣지로커는,
    상기 브라켓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엣지단턱; 및
    상기 엣지단턱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엣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엣지로커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브라켓이 체결될 때, 하면이 상기 엣지단턱에 접촉되어 상기 엣지돌기에 의해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는,
    단말기구.
KR1020230029140A 2022-03-11 2023-03-06 단말장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KR20230133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81,356 US20230292451A1 (en) 2022-03-11 2023-03-09 Terminal apparatus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same
EP23161020.5A EP4242903A1 (en) 2022-03-11 2023-03-09 Terminal apparatus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same
JP2023037556A JP7503341B2 (ja) 2022-03-11 2023-03-10 端末装置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端末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30439 2022-03-11
KR1020220030439 2022-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777A true KR20230133777A (ko) 2023-09-19

Family

ID=8819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140A KR20230133777A (ko) 2022-03-11 2023-03-06 단말장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7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9569B2 (en) Fingerprint recogniz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having such apparatus
US5546334A (en) Notebook computer system with a separable trackball
JP2623227B2 (ja) 押釦式平面ハンドル装置
US11002039B2 (en) Electronic controlled handles
US7043282B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battery mounting device of the equipment
US5873446A (en) Coin box assembly
US9529441B2 (en) Display apparatus
US20080110217A1 (en) Security System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6854997B2 (en) Device for unlocking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is insertible into a receiving device
US6960091B2 (en) Card connector
US9147134B2 (en) Connector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reof
KR20230133777A (ko) 단말장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US5224869A (en) Slidable door apparatus for covering a socket of a computer
EP4242903A1 (en) Terminal apparatus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same
US20080105008A1 (en) Specification cabinet lock
US11363727B1 (en) Terminal apparatus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US20050044909A1 (en) Knob cylinder with biometrical sensor
JP3737622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
US20130091908A1 (en) Device for unlocking lock recognizing punched card
KR20220149387A (ko) 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구
CN108487797B (zh) 一种指纹锁结构及指纹锁笔记本
CN212958104U (zh) 一种箱包用智能锁
KR100616277B1 (ko) 도어록 장치
CN220100967U (zh) 电子锁前面板和电子锁
CN219392593U (zh) 主机锁结构和迷你主机